KR20150004205U - Humidifier - Google Patents

Humid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05U
KR20150004205U KR2020140003688U KR20140003688U KR20150004205U KR 20150004205 U KR20150004205 U KR 20150004205U KR 2020140003688 U KR2020140003688 U KR 2020140003688U KR 20140003688 U KR20140003688 U KR 20140003688U KR 20150004205 U KR20150004205 U KR 201500042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water
water container
humidifying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6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진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3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205U/en
Publication of KR20150004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0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가습물통의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 가습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가습기는 물통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장치본체;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삽탈 가능한 가습물통; 및 상기 가습물통에 구비되며, 상기 가습물통에서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다리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습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가습물통을 장치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가습물통이 평평한 바닥에 독립적으로 직립할 수 있으므로, 가습물통에 물을 보충하는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isclosed is a humidifier having improved convenience in use of a humidifying water tank in which humidifying water is stored.
The disclosed humidifier includes a device body having a water storage space; A humidifying water tank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water reservoir accommodation space so that one sid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eg member provided 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and configured to be spread outward from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According to such a humidifier,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humidifying water tank from the apparatus body by using one hand, and the separated humidifying water tank can stand upright on the flat floor independently, so that the water replenishing work The effect can be obtained.

Description

가습기 {HUMIDIFIER}Humidifier {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용 물이 저장되는 가습물통의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idifier having improved convenience in use of a humidifying water tank in which humidification water is stored.

일반적으로 가습기에는 가습용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가습물통이 구비된다.Generally, the humidifier is provided with a humidifying water reservoir in which water for humidification can be stored.

시중에 나와있는 가습기 중에는 가습물통이 가습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통해 가습기 본체에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품이 있다.Among commercially available humidifiers, there is a product in which a humidifying water reservoir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humidifier main body through a housing sp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humidifier main body.

이러한 형태의 가습기는 가습용 물 보충이나 세척 등의 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가습물통을 가습기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is type of humidifier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 the humidifier from the humidifier main body for operations such as replenishing or cleaning the humidifier.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물통 삽탈식 가습기에 구비되는 가습물통은 가습기 본체에 몸체가 삽입되는 구조상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인출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umidifying water bottle provided in the humidifying water dispenser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take out the humidifier with one hand becaus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humidifier main body.

따라서, 제품의 외관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본체에서 인출되기 용이한 가습물통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humidifying water container which is easily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while mai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한편, 사용자는 가습물통에 가습용 물을 보충하는 경우, 가습물통의 하단에 구비된 주둥이를 통해 물을 보충하기 위해 가습물통을 뒤집어서 바닥에 내려놓고 가습물통에 물을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plenishes the humidifying water 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is turned over to the bottom to supplement the water through the snou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에 구비되는 가습물통은 상단이 평평하지 않아서 가습물통을 뒤집어서 독립적으로 세워놓기 어려워 물을 보충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공급되는 물의 출렁임으로 인해 가습물통이 쓰러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humidifying water tank provided in th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not flat at the top, it is difficult to turn the humidifying water tank upside down independently so that it is not easy to replenish the water. There is a problem of falling.

따라서, 가습물통에 물을 보충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가습물통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humidifying water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stably fixed so a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replenishing the water 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가습물통의 분리가 용이하고, 가습물통에 물 보충시 가습물통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at least some of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umidifier which can easily separate a humidifying water reservoir and can stably fix a humidifying water reservoir in a humidifying water reservoir .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고안은 물통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장치본체;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삽탈 가능한 가습물통; 및 상기 가습물통에 구비되며, 상기 가습물통에서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at least part of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water container accommodation space; A humidifying water tank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water reservoir accommodation space so that one sid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eg member provided 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and configured to be spread outward from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물통은 저부에 물통캡을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가습물통이 상하반전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가습물통의 직립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습물통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has a water bottle cap at the bottom, and the leg member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to assist the uprightness of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when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is placed on the floor with the water bottle turned upside down. As shown in FIG.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물통은 상단이 상기 가습물통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or rounded from one surface of the humidification water tank to the other surfac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가습물통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상기 가습물통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leg member may be hinged to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so as to be rotated and unfolded outside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물통에는 상기 다리부재가 접히는 경우에 상기 다리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may have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leg member can be received when the leg member is fold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부재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leg members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unfold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물통은 일면의 상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may have a handle on the upper side of the one side.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물통은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삽입된 경우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잠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에는 작동시 상기 가습물통의 잠김을 해제시키는 잠김해제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reservoir is configured to be submerg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when inserted into the water reservoir accommodating space, A lock release button may be provid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가습물통을 장치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from the apparatus body by using one hand.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된 가습물통이 평평한 바닥에 독립적으로 직립할 수 있으므로, 가습물통에 물을 보충하는 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ed humidifying water tank can stand upright on a flat floor independentl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it is easy to replenish the water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가습물통이 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가습물통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가습물통이 분리되어 상하반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가습물통이 상하반전되어 바닥에 직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drawing the humidification water container of the humidifier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umidifying water tank of the humidifie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midifying water tank of the humidifier shown in FIG. 1 is separated and turned upside down.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midifying water tank of the humidifier shown in FIG. 1 is vertically inverted and standing on the floo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대해서 살펴본다.1 to 5, a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장치본체(110) 및 가습물통(12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5, the humid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vice body 110 and a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

상기 장치본체(11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의 제품 본체를 의미한다.The apparatus main body 110 means the product main body of the humidifi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장치본체(110)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가습유닛, 수조, 제습유닛, 공기정화유닛 및 송풍팬 등의 부품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body 110 includes a housing constituting an appearance, components such as a humidifying unit, a water tank, a dehumidifying unit, an air purifying unit, and a blower fan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Lt; / RTI >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장치본체(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로 후술할 가습물통(120)이 삽입될 수 있는 물통수용공간(115)을 구비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main body 110 has a water receiving space 115 into which a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s.

여기서, 물통수용공간(115)은 장치본체(110)의 측면,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water storage space 115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물통수용공간(115)의 입구는 후술할 가습물통(120)의 일면의 외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let of the bucket accommodating space 115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one surface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to be described later.

이를 통해, 후술할 가습물통(120)이 장치본체(110)에 장착된 경우에 가습물통(120)의 일면이 물통수용공간(115)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고 장치본체(110)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의 외관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one surface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is covered with the water container receiving space 115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humid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상기 가습물통(120)은 가습용 물을 저장하여 장치본체(110)에 구비되는 가습유닛에 가습용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부재로서,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물통수용공간(115)에 삽탈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humidifying water tank 120 is a member capable of storing humidification water and supplying humidification water to a humidifying unit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120)은 물통본체(121), 프레임(122), 물통캡(128) 및 다리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may comprise a water bottle main body 121, a frame 122, a water bottle cap 128 and a leg member 125.

여기서, 상기 물통본체(121)는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박스형태의 부재로서, 저장된 물의 양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water tub main body 121 is a box-shaped member in which water can be stored, and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amount of water stored therein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통본체(121)는 저면에 후술할 물통캡(128)이 장착되는 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water bottle main body 121 may have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bottle cap 12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bottom face.

한편, 상기 프레임(122)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본체(121)의 외면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후술할 손잡이부(123), 수위표시창(124) 및 다리부재(125)가 구비되는 구조물이다.3 to 5, the frame 122 includes a handle 123, a water level display window 124, and a leg member 1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22)은 물통본체(121)의 일면과 상면을 덮는 형태로 물통본체(121)에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rame 122 may be coupled to the bucket body 121 in a form that covers one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bucket body 121.

한편, 상기 손잡이부(123)는 프레임(122) 일면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3)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용될 수 있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handle 123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122. The handle 123 may be a groove in which a user's finger can be received. However, the handle 12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또한, 상기 수위표시창(124)은 프레임(122)의 일면에 구비되어, 물통본체(121)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물통본체(121)의 수위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The water level display window 12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122 to expos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bottle main body 121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water bottle main body 121 from the outside .

일 실시예에서, 수위표시창(124)은 프레임(122)에 물통본체(121)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vel display window 124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frame 122 so as to be elonga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ter bottle main body 121.

이와 같은 가습물통(120)이 장치본체(110)에서 인출되는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123)를 외측으로 당겨서 가습물통(120)을 물통수용공간(115)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Whe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is drawn out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110, the user can pull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out of the water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115 by pulling the handle 123 outward.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부(123)를 외측으로 당기면, 가습물통(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의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user pulls the handle 123 outward,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rotates about the lower end of one surface as shown in FIG.

이후, 사용자가 가습물통(120)을 들어올리게 되면, 가습물통(120)은 장치본체(110)에서 상측 대각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lifts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can be drawn out in the upper diagonal direction from the device body 110.

한편, 가습물통(120)의 회전 인출 동작시에 가습물통(120)의 상단이 물통수용공간(115)의 입구에 걸리지 않도록, 프레임(122)의 상단이 가습물통(12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end of the frame 122 is moved from one surface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to the other surface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is not caught by the inlet of the water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115 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downward or rounded gradually.

이와 같이, 가습물통(120)의 상단이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조는 가습물통(120)의 상단이 회전 인출 가능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구조보다 내부체적이 크므로 가습물통(120)의 용량이 최대로 확보된다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internal volume of the humidification water container 120 is larger than tha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humidification water container 120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y drawn out,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물통캡(128)은 물통본체(121)의 저부에 구비되는 입구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물통캡(128)에는 노즐(미도시)이 구비되며, 가습물통(120)이 장치본체(110)에 장착되면 상기 노즐은 장치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수조(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로 물통본체(121)에 저장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water bottle cap 128 may be mounted at an inl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bottle main body 121.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water bottle cap 128 is provided with a nozzle (not shown). When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is mounted on the apparatus body 110, the nozzle is connected to a water tank (not shown) (Not shown) to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ub main body 121 to the water tub.

한편, 상기 다리부재(125)는 가습물통(120)에 구비되며, 가습물통(120)에서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the leg member 125 is provided in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120 and is configured to be spread outward from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120.

이러한 다리부재(125)는 가습물통(120)의 물 보충 또는 세척을 위해, 장치본체(110)에서 분리된 경우 가습물통(120)이 상하반전된 상태로 직립하도록 할 수 있다.The leg member 125 may be uprighted in a state in which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is vertically inverte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110 to replenish or clean the humidification water container 120.

다시 말해, 가습물통(120) 프레임(122)의 상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가습물통(120)은 평평한 바닥에 직립할 수 없게 되는데, 상기 다리부재(1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물통(120)이 평평한 바닥에 직립할 수 있도록 가습물통(120)의 몸체를 지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upper end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120 frame 122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as described above, the humidification water tank 120 can not stand upright on a flat floo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ody of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can stand upright on a flat surface.

일 실시예에서, 다리부재(125)는 가습물통(120)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프레임(122)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g members 125 may be hinged to the frame 122 to rotate and unfold to the outside of the humidification receptacle 120.

또한, 이러한 다리부재(125)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리부재(125)의 힌지결합부에는 토션스프링 및 판 스프링 등이 설치되어 외력이 제거된 다리부재(125)가 탄성복원되며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leg members 125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unfold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To this end, a torsion spring, a leaf spring,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leg member 125, and the leg member 125 from which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can be elastically restored and unfolded.

이때, 가습물통(120)이 장치본체(110)의 물통수용공간(115)에 삽입되면, 다리부재(125)의 외측면은 장치본체(110)의 하우징에 의해 눌려서 접힐 수 있고, 가습물통(120)이 인출되면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is inserted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115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the outer surface of the leg member 125 can be pressed and folded by the housing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120 can be unfolded automatically.

또한, 일 실시예에서, 다리부재(125)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직립되는 가습물통(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122)의 타단측에는 다리부재(125)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는 단턱부(127)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leg member 125 is limit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122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leg member 125 is limited to stably support the upright humidifying water bottle 120 A step 127 serving as a stopper may be provided.

단턱부(127)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125)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다리부재(125)가 가습물통(120)을 직립시킬 수 없는 정도의 넓은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ep portion 127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leg member 125 as shown in Figures 4 and 5 so that the leg member 125 is rotated at a wide angle such that the humidifying water can 120 can not be erected Can be prevented.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120)의 프레임(122)에는 다리부재(125)가 접히는 경우에 다리부재(125)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ame 122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may b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26 in which the leg member 125 can be received when the leg member 125 is folded.

여기서, 다리부재(125)가 접히는 경우, 다리부재(125)는 프레임(12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용홈(126)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Here, when the leg member 125 is folded, the leg member 125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26 without protruding outside the frame 122.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120)은 물통수용공간(115)에 삽입된 경우 가습물통(120)의 몸체가 외력에 의해 장치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장치본체(110)에 잠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umidifying water tank 120 is immers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such that the body of the humidifying water tank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110 by an external force when the water humidifying water tank 120 is inserted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115. [ .

다시 말해, 가습물통(120)은 장치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순히 손잡이부(123)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서는 장치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humidifier water bottle 120 is not detached from the apparatus body 110 by simply pulling the handle 123 while the water humidifier 120 is mounted on the apparatus body 110.

이때, 장치본체(110)에는 작동시 가습물통(120)의 잠김을 해제시키는 잠김해제버튼(117)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aratus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unlocking button 117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during operation.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잠김해제버튼(117)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가습물통(120)을 장치본체(110)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미도시)를 해제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unlocking button 117 can release a locking device (not shown) for fixing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to the apparatus main body 110 when the user depresses the button.

예를 들어, 상기 잠금장치는 장치본체(110)의 물통수용공간(115) 측에 구비되고 가습물통(120) 장착시 자동으로 가습물통(120)의 몸체에 걸리는 후크와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잠김해제버튼(117)은 작동시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cket accommodating space 115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nd may be constituted by a device such as a hook automatically hooked on the body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whe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is installed And the unlock button 117 may be a mechanical or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in operation.

이러한 장금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가습물통(120)을 장치본체(1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잠김해제버튼(117)에 의해 잠김이 풀릴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such a lancing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devices capable of fixing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to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nd releasing the lock by the unlock button 117. [

일 실시예에서, 잠김해제버튼(11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10) 중에서 가습물통(120)의 손잡이부(123)의 상방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nlock button 117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23 of the humidification tank 120 in the apparatus body 110 as shown in Figs.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잠김해제버튼(117)을 작동시키고 동시에, 나머지 손가락으로 손잡이부(123)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한 손을 사용하여 가습물통(12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can operate the unlocking button 117 by using the thumb of one hand and simultaneously hold the grip 123 with the remaining finger, Can be separat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장치본체(110)에서 물통수용공간(115)의 반대측 면에는 가습물통(120)의 손잡이부(123)에 대응하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handl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handle 123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ater container receiving space 115 i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have.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장치본체(110)에 장착된 가습물통(120)의 손잡이부(123)와 이에 대응하여 장치본체(110)의 반대측 면에 구비된 손잡이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장치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user can grasp the handle 123 of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mounted on the device body 110 and the handl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vice body 110 in correspondence thereto with both hands, .

이때, 상기 잠금장치를 통해 가습물통(120)이 장치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치본체(110)와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120 can be stably hous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10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110 through the locking device.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가습물통(120)의 손잡이부(123)를 장치본체(110) 이동용 손잡이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본체(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외관이 단순해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That is, the dehumidifi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handle 123 of the humidifying water bottle 120 as a handle for moving the apparatus body 11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handle of the product,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simplified.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하여 가습물통(120)을 장치본체(11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다리부재(125)를 통해 분리된 가습물통(120)이 평평한 바닥에 직립할 수 있으므로, 가습물통(120)에 물을 보충하는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humid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the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0 from the apparatus body 110 by using one hand of the user and can separate humidified water The water tank 120 can stand upright on a flat surfac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replenish the water in the humidifying water tank 120.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o change it.

100: 가습기 110: 장치본체
115: 물통수용공간 117: 잠김해제버튼
120: 가습물통 121: 물통본체
122: 프레임 123: 손잡이부
124: 수위표시창 125: 다리부재
126: 수용홈 127: 단턱부
128: 물통캡
100: humidifier 110:
115: Bucket storage space 117: Unlock button
120: Humidification water bottle 121: Water bottle body
122: Frame 123: Handle
124: water level display window 125: leg member
126: receiving groove 127:
128: Water bottle cap

Claims (8)

물통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장치본체;
일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삽탈 가능한 가습물통; 및
상기 가습물통에 구비되며, 상기 가습물통에서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다리부재;
를 포함하는 가습기.
An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water container accommodation space;
A humidifying water tank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water reservoir accommodation space so that one sid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eg member provided 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and configured to be opened outward from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은 저부에 물통캡을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가습물통이 상하반전된 상태로 바닥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가습물통의 직립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습물통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has a water container cap at the bottom,
Wherein the leg member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to assist the uprighting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whe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is placed on the floor in a state where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is turned upside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은 상단이 상기 가습물통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is formed such that its upper end is inclined downward or rounded from one surface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to the oth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가습물통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상기 가습물통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g member is hinged to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so as to be opened and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에는 상기 다리부재가 접히는 경우에 상기 다리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leg member can be received when the leg member is fol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g members ar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n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은 일면의 상측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has a handle on an upper side of the one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은 상기 물통수용공간에 삽입된 경우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장치본체에 잠기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에는 작동시 상기 가습물통의 잠김을 해제시키는 잠김해제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umidifying water reservoir is configured to be submerg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when inserted into the water reservoir accommodating space,
Wherein the apparatus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unlocking button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humidifying water container in operation.
KR2020140003688U 2014-05-13 2014-05-13 Humidifier KR2015000420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88U KR20150004205U (en) 2014-05-13 2014-05-13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688U KR20150004205U (en) 2014-05-13 2014-05-13 Humid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5U true KR20150004205U (en) 2015-11-24

Family

ID=5486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688U KR20150004205U (en) 2014-05-13 2014-05-13 Humid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205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8977A (en) * 2019-10-11 2019-12-17 高伟国 Convenient to use's air purifier
US20210396399A1 (en) * 2020-06-23 2021-12-23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Concealed handl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with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520A (en) * 2010-06-29 2012-0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Humidification apparatus having a safety device
KR20120007956U (en)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Water tank structure of air wash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520A (en) * 2010-06-29 2012-01-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Humidification apparatus having a safety device
KR20120007956U (en) * 2011-05-13 2012-11-2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Water tank structure of air wa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8977A (en) * 2019-10-11 2019-12-17 高伟国 Convenient to use's air purifier
US20210396399A1 (en) * 2020-06-23 2021-12-23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Concealed handl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with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616B2 (en) Dock with plural cleaning heads
KR101381948B1 (en) Humidifier
JP6282995B2 (en) Humidifier
KR20150004205U (en) Humidifier
EP2980495B1 (en) Humidifier
US20070177925A1 (en) Mopping device, mopping system, and method of mopping
US9955826B2 (en) Foaming dispenser for toilet paper
KR101610704B1 (en) Humidifier
KR101526188B1 (en) water tank for dehumidifier
KR20140071153A (en) Humidification apparatus
KR102281444B1 (en) Dehumidifier
KR20180000957U (en) Brush Holder for Paint
JP2010275003A (en) Liquid pack container and liquid pouring-out container
US20110041281A1 (en) Spill resistant tiltable paint pan
JP2001039446A (en) Handle structure
KR20150004206U (en) Dehumidifier
CN214275991U (en) Dehumidifier
CN207523338U (en) A kind of painting appliance containing box
TW202245902A (en) Spray type dust removal device including a base, a gripping rod and a sprayer
KR20210151455A (en) Art Palette
KR20180076625A (en) water bottle for 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TWM569486U (en) Improved guitar box structure
JP6343125B2 (en) Bed board
CN105996924A (en) Mop
JP3950435B2 (en) Tableware basket and dish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