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998U - 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 - Google Patents

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998U
KR20150003998U KR2020140003240U KR20140003240U KR20150003998U KR 20150003998 U KR20150003998 U KR 20150003998U KR 2020140003240 U KR2020140003240 U KR 2020140003240U KR 20140003240 U KR20140003240 U KR 20140003240U KR 20150003998 U KR20150003998 U KR 201500039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rtition
divided
main body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9553Y1 (en
Inventor
조증호
조증업
Original Assignee
조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증호 filed Critical 조증호
Priority to KR2020140003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553Y1/en
Publication of KR201500039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9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5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포장체 정위치 고정용 분할패널을 구비한 포장상자는 평단면 형상이 3~20각을 이루는 벽체를 구비하고, 포장체를 위한 수용부 및 개구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서로 다른 설치모서리에 양단부가 각각 접하는 형태로 본체에 내장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수용부를 분할하는 분할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패널의 도입으로 파티션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나아가 상기 분할패널의 폭이 본체의 설치모서리 사이의 거리보다 커서 '활의 형태'로 휘어지는 단부형상을 갖기 때문에 포장체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파티션 내부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형되어 다양한 포장체를 수용할 수 있고,
추가로 분한패널 자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호 지지력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요소의 간소화를 통한 재재 절감 및 원가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휘어지는 단부형상을 가진 분할패널이 연결일단부와 비연결타단부를 가져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인해 두개의 분할패널의 역할을 하나의 분할패널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연결일단부를 기점으로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제2곡면부가 포장체를 압박하여 직립된 정위치 그대로 수용할 수 있다.
The packaging box having the partition panel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ll having a flat section shape of 3 to 20 angles and a body having a housing portion and an opening portion for the package body, And a partition panel which is built in th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corners, and which is fixed by fixing means to divide the receiving portion,
Since the width of the divided pane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ing edges of the main body, it has an end shape bent in an 'bow shape' The size of the partition accommodating space is deformed to accommodate various packages,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force is supported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divided panel itself,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xing means, so as to provide material reduction and cost reduction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components,
Since the divided panel having a bent end shape as described above has a connecting end portion and a non-connecting other end portion, the two divided panels are integrally formed. Therefore, the function of the two divided panels is formed by one partition panel,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from the depressed por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upright standing position by pressing the package.

Description

포장체 정위치 고정용 분할패널을 구비한 포장상자{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ing box having a partition panel for fixing a position of a package,

본 고안은 포장체를 정위치 상태 그대로 고정할 수 있는 분할패널을 구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포장상자의 포장체 수용부를 분할하는 분할패널을 통해 포장공간을 나누는 것은 물론, 나아가 포장체를 직립상태 그대로 고정하여 디스플레이(Display) 되도록 하면서도 완충효과를 겸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having a partition panel capable of fixing a package in a fixed 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box dividing a packaging space of a packaging box of a packaging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ing box having a body which is fixed in an upright state so as to be displayed and which has a buffering effect.

포장용 상자에 여러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파티션(partition)을 나누고 각 파티션마다 다양한 제품을 수납한다. 이러한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기 조립된 상자의 내부공간에 간지(또는 속지)를 삽입하는 형태를 채택한다.The packaging box is divided into several partitions for storing various items, and various products are stored in each partition. The most common method of dividing the partitions is to insert a blank (or inlay)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re-assembled box.

종래기술 등록실용신안 제20-0465287호(2013년02월04일) [포장용 상자의 간지 구조]에는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삽입하여 포장되는 제품끼리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나 파손을 막는 완충기능 또는 칸막이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간단한 구조의 간지가 제시되어 있고,[Prior Art Registration Utility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65287 (February 04, 2013) [Structure of packing box] The packing box is provided with a buffering function or a partition for preventing impact or damage due to contact between the products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packing box A simple structure for securing a function is proposed,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88014호(2005년06월17일) [구획 완충재]에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측벽판을 포함하는 측벽부, 측벽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보강판 및 복수개의 연결보강판을 포함하고 있고, 제1 길이와 제2 길이의 차에 의해서 측부 모서리를 절곡할 때 절곡 과정이 용이하면서도 측부 보강부를 보강하므로 수직하중을 지지하기에 효과적인 구획 완충제를 제시하고 있다.In another prior art, in a regenerative utility model No. 20-0388014 (June 17, 2005) (compartment cushioning material), a side wall portion including first to fourth side wall plates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o fourth reinforcing plate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einforcing plates. When the side edges are bent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engths, the bending process is facilitated and the side reinforcing portions are reinforced. Effective compartment buffer.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67235호(2013년05월27일)[겉지와 속지를 포함하는 필기구 수납 케이스]에는 겉지와 단 형성부가 연결된 속지로 구분되어 있어서, 상기 속지를 넣어서 2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속지를 빼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 형태의 필기구를 수납할 수도 있는 필기구 수납 케이스를 제시하였다.
In additio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67235 (May 27, 2013) [the writing instrument storage case including the cover and the inlay] is divided into the inlay connected with the cover and the step forming par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riting implement storage case which can be used by subtracting the above-mentioned inlay, thereby accommodating writing instruments of various sizes.

상기 종래기술들은 대상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면서도 그 수납공간을 분할하여 여러 대상을 나누어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수납공간이 고정되어 있어 대상체의 크기가 수납공간의 크기보다 크거나, 그 형태가 수납하기 어려운 형태로 구성되어 있거나,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바닥구조로 되어 있지만 직립상태로 수납되어야 하거나 할 때 대상체의 수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prior arts provid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objects, but can divide the storage space into a plurality of objects for storage. However, since the storage space is fixed so that the size of the objec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or the shape of the object is difficult to accommodate, or the floor structure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It is difficult to store the object.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파티션이 수납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to freely change the siz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partition,

종래기술 공개특허 제10-2006-0042719호(2006년05월15일)[이동 가능한 글로브 박스 파티션 부재 및 이를 구비한글로브 박스]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된 누름부재와, 누름부재의 가압으로 선형 이동하며 일단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력을 받는 로드와, 외부로 돌출된 핀과, 일단이 핀 하부에 형성된 핀칼럼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로드와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누름부재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핀이 파티션 부재의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물품의 수납 및 정리에 유용한 구조를 제공하는 글로브 박스를 제시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a movable glove box partition member and a glove box having the movable glove box partition member, a pressing member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a link member hinged to one end of the pin colum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in a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member and hinged to the rod, And the pin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partition member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member,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useful for storing and arranging articles of various sizes.

하지만 공개특허 제10-2006-0042719호(2006년05월15일)를 포함한 상기 종래기술 모두 파티션은 내부의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역할만 할 뿐이기에 별도의 완충부재의 도입을 요구하고 또한 대상체가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수납공간 내부에서 무분별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대상체를 고정하는 수단 역시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all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echnologies including Patent Document 10-2006-0042719 (May 15, 2006) merely serve to divide the internal storage space, requiring the introduction of a separate buffer member, Since it moves indiscriminately within the storage space due to vibration and shock, there is a need to separately provide means for fixing the objec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

평단면 형상이 2~20각을 이루는 벽체를 구비한 본체의 서로 다른 설치모서리에 양단부가 각각 접하는 형태로 본체에 내장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본체의 수용부를 분할하는 분할패널을 도입하여 파티션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나아가 상기 분할패널의 폭이 본체의 설치모서리 사이의 거리보다 커서 '활의 형태'로 휘어지는 단부형상을 갖기 때문에 포장체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파티션 내부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형되어 다양한 포장체를 수용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A partition panel for divid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main body by being fixed to th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different mounting edges of the main body having a wall having a square cross- Since the width of the partition pane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stallation edges of the main body, it has an end shape bent in an 'bow shape'. Therefore, the size of the partition accommodating spa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ack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box which can accommodate various packages,

추가로 분한패널 자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호 지지력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요소의 간소화를 통한 재재 절감 및 원가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force is supported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divided panel itself,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xing means, so as to provide material reduction and cost reduction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components,

상기한 바와 같은 휘어지는 단부형상을 가진 분할패널이 연결일단부와 비연결타단부를 가져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인해 두개의 분할패널의 역할을 하나의 분할패널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연결일단부를 기점으로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제2곡면부가 포장체를 압박하여 직립된 정위치 그대로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ince the divided panel having a bent end shape as described above has a connecting end portion and a non-connecting other end portion, the two divided panels are integrally formed. Therefore, the function of the two divided panels is formed by one partition panel, And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which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can be received in the upright standing position by pressing the pack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체 정위치 고정용 분할패널을 구비한 포장상자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ckaging box having a partition panel for fixing a packag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평단면 형상이 3~20각을 이루는 벽체를 구비하고, 포장체를 위한 수용부 및 개구부를 갖는 본체 및A main body having a wall section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at an angle of 3 to 20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and an opening portion for the package body;

상기 본체의 서로 다른 설치모서리에 양단부가 각각 접하는 형태로 본체에 내장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수용부를 분할하는 분할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a partition panel which is built in th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are in contact with different mounting edges of the main body and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o divide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분할패널의 폭(L1)은 본체의 설치모서리 사이의 거리(L2) 보다 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분할패널 자체에 의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L1 of the divided pane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the mounting edges of the main body, and the fixing means is constituted by the divided panel itself.

아울러 상기 분할패널은 폭이 같거나 서로 다른 2~17개의 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vided panels are composed of 2 to 17 powder having the same width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나아가 상기 분할패널의 분체는 연결일단부와 비연결타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owder of the divided panel has a connection end portion and a non-connection other end portion.

본 고안에 따른 포장체 정위치 고정용 분할패널을 구비한 포장상자는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ckaging box provided with a partition panel for fixing the position of a package

평단면 형상이 2~20각을 이루는 벽체를 구비한 본체의 서로 다른 설치모서리에 양단부가 각각 접하는 형태로 본체에 내장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본체의 수용부를 분할하는 분할패널을 도입하여 파티션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나아가 상기 분할패널의 폭이 본체의 설치모서리 사이의 거리보다 커서 '활의 형태'로 휘어지는 단부형상을 갖기 때문에 포장체의 크기나 모양에 따라 파티션 내부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형되어 다양한 포장체를 수용할 수 있고,A partition panel for divid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main body by being fixed to th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different mounting edges of the main body having a wall having a square cross- Since the width of the partition pane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stallation edges of the main body, it has an end shape bent in an 'bow shape'. Therefore, the size of the partition accommodating spa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ackage. So that various packages can be accommodated,

또한 분한패널 자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호 지지력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요소의 간소화를 통한 재재 절감 및 원가 절감을 제공하고,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force is supported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divided panel itself,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xing means, so that the material is reduced and the cost is reduced by simplifying the components,

나아가 상기한 바와 같은 휘어지는 단부형상을 가진 분할패널이 연결일단부와 비연결타단부를 가져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인해 두개의 분할패널의 역할을 하나의 분할패널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연결일단부를 기점으로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제2곡면부가 포장체를 압박하여 직립된 정위치 그대로 수용하여 흔들림 없는 포장 상태 유지를 확보하고,Furthermore, since the divided panel having the curved end shape as described above has a connecting end and a non-connecting other end, the two divided panels can be divided into one divided panel,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formed by starting from the one end portion are pressed into the package body to accommodate the package in the upright position,

추가로 내부 수용공간의 양 측 공간이 완충역할을 하여 별도의 완충부재를 도입하지 않아도 외부 충격으로 인한 제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space on both sides of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serves as a buffer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an external impact without introducing a separate buffer member.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의 실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3은 다각형 본체에 분할패널의 길이에 따른 적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분할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5는 손잡이부의 도입을 통한 변형예를 도시한 실시도.
도6은 파지용 손잡이의 도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pplication of a polygonal main body according to a length of a divided panel.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ivided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mbodiment showing a modific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handle.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introduction of a grip for gripp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먼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에 따른 평면 일체형 포장상자(A)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접기만 하면 완성형 포자상자가 되지만 내용의 이해를 돕기위해 "조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을 뿐, 실제로 조립하는 과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표현하는 모든 "조립"의 개념은 전기한 개념으로 해석된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integral packing box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nd folded to form a complete spore box.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here is no process to do this. All the concepts of "assembly" that are expressed below are interpreted as a concept.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기 조립된 상태에서 그 방향을 특정하면,In describing the packaging box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irection is specified in the assembled state for convenience,

직립된 포장상자(A)를 기준으로 상하를 설정하고, 상측 덮개가 덮혀 중첩되는 부분을 전방, 그 반대 측을 후방으로 설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et on the basis of the upright packaging box A, the portion where the upper cover is covered and overlapped is set forward and the opposite side is set to the rear, 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ign related to the other drawings, .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평단면 형상이 3~20각을 이룬다는 개념은 보호범위의 명확성을 위한 표현에 불과하고, 설치모서리(17)를 두개 이상 갖는 형태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정다각형, 원형, 불특정 다각형 등을 평단면으로 갖는 벽체(11)에 대해서도 변형 실시 가능하다.
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of this invention, the notion that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forms the angle of 3 to 20 is only an expression for clarity of the protection range, and in the form of two or more installation corners (17)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the wall 11 having a regular section, a circular section, an unspecified polygon or the like as a flat section.

도1 내지 도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As can be seen in Figures 1 to 5,

본 고안에 따른 포장체(M) 정위치 고정용 분할패널(30)을 구비한 포장상자(A)는 4각형을 이루는 벽체(11)를 구비하고, 포장체(M)를 위한 수용부(13) 및 개구부(15)를 갖는 본체(10) 및The packaging box A having the partition panel 30 for fixing the package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wall body 11 and a receiving portion 13 for the package M ) And an opening (15).

상기 본체(10)의 서로 다른 설치모서리(17)에 양단부가 각각 접하는 형태로 본체(10)에 내장되고 고정수단(20)에 의하여 고정되어 수용부(13)를 분할하는 분할패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artition panel 30 which is built in the main body 10 and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20 so as to divide the receiving portion 13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different mounting edges 17 of the main body 10 .

또한 상기 분할패널(30)의 폭(L2)은 본체(10)의 설치모서리(17) 사이의 거리(L1)보다 크고,The width L2 of the divided panel 30 is larger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mounting edges 17 of the main body 10,

상기 고정수단(20)은 분할패널(30) 자체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ans 20 is preferably formed by the partition panel 30 itself.

추가로 상기 분할패널(30)은 폭(L2)이 같거나 서로 다른 1개 또는 2개의 분체로 구성될 수 있고,In addition, the partition panel 30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powders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widths L2,

상기 분할패널(30)은 연결일단부(32a)와 비연결타단부(32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tition panel 30 preferably has a connecting end portion 32a and a non-connecting other end portion 32b.

먼저 본 고안의 포장상자(A)의 전개도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도 형태의 포장상자(A)는 제1 내지 제4측벽부(11A, B, C, D)로 이루어진 벽체(11)와 각 측벽부의 일 측 단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4패널(51, 52, 53, 54)로 이루어진 바닥부재(50)와 각 벽체(11)부의 타 측 단부에 형성된 제5 내지 제7패널(43)로 이루어진 덮개부재(40)와 상기 벽체(11)와 연결된 접착부로 이루어진다.
2, which is an exploded view of the packaging box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aging box A in the developed form is a wall box 11 composed of the first to fourth side wall portions 11A, 11B, 11C, and 11D, A bottom member 50 composed of first to fourth panels 51, 52, 53, and 54 formed at one side end of each side wall part, and a fifth to seventh panel (not shown) formed at the other side end of each wall body 11 43, and an adhesive portion connected to the wall body 11. The lid member 4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도1, 도2, 도4를 통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A)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ackaging box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4,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2의 방향 그대로를 기준으로 가장 좌측의 측벽부를 제1측벽부(11A)로 설정하고 우측방향으로 각각 제2, 제3, 제4측벽부로 설정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eftmost sidewall portion is set as the first sidewall portion 11A, and the rightmost sidewall portion is set as the second, third, and fourth sidewall portions,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of Fig.

먼저 제1 내지 제4측벽부(11A, B, C, D)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접이홈을 모두 내측으로 접어 직육면체의 형태로 조립하고 제1측벽부(11A)에 연결된 접착부와 제4측벽부(11D)가 포개지도록 한 다음 접착부재를 활용하여 접착시켜 연결하면 상기 벽체(11)가 완성된다.
The plurality of folding grooves formed between the first to fourth sidewall portions 11A, 11B, 11C and 11D are folded inward to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adhesiv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idewall portion 11A, (11D)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n bonded together by using an adhesive member, the wall (11) is completed.

다음으로 본 포장상자(A)의 직립을 위해 상기 바닥부재(50)를 조립하는데,Next, the bottom member 50 is assembled for upstanding of the packaging box A,

우선 상기 제2 및 제4측벽부(11B, 11D)에 연결된 제2 및 제4패널(52, 54)을 접이선을 따라 접어주고 제1측벽부(11A)에 연결된 제1패널(51)을 접어 상기 제2 및 제4패널(52, 54)을 덮어준 다음 제3측벽부(11C)에 연결된 제3패널(53)을 접어주고 상기 제3패널(53)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55B)를 상기 제1패널(51)의 중앙에 형성된 끼움홀(55A) 안으로 밀어 넣은 상태로 상기 제3패널(53)의 절개부(55C)에 의해 일부 분리된 고정돌기(55D)를 상기 끼움홀(55A)에 삽입관통 시켜주면 바닥부재(50)가 평면 형태로 완성되어 포장상자(A)가 직립된다.
The first and second panels 52 and 54 connected to the second and fourth side wall portions 11B and 11D are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and the first panel 51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1A Folds the third panel 53 connected to the third side wall part 11C after folding the second and fourth panels 52 and 54 and folds the fitting projections 55B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panel 53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55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panel (51), the fixing protrusion (55D) partially separated by the cut portion (55C) of the third panel (53) The bottom member 50 is completed in a planar shape and the packaging box A is uprighted.

이 상태에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포장상자(A)의 본체(10)를 이루는 수용부(13), 설치모서리(17) 등이 도1을 통해 확인된다.
In this state,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the mounting edge 17,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of the packaging box A described in the claims are confirmed through FIG.

이 후 도2 [B]에 도시된 사각형의 정면형상을 갖고 연결일단부(32a)와 비연결타단부(32b)를 갖는 분할패널(30)을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3)에 삽입하게 되면 분할패널(30)의 폭(L2)이 비인접 설치모서리(17) 사이의 거리(L1)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분할패널(30)은 도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호형(弧形)으로 휘어져 제1곡면부(31A)와 제2곡면부(31B)를 갖게 된다.
Thereafter, the partition panel 30 having the rectangular front face shape shown in FIG. 2B and having the connecting end portion 32a and the non-connecting other end portion 32b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Since the width L2 of the partition panel 30 is longer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non-adjacent installation edges 17, the partition panel 30 is bent in an arcuate shape as shown in FIG. And has a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31A and a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상기와 같이 제1곡면부(31A)와 제2곡면부(31B) 사이의 수용공간(35)에 포장체(M)를 직립상태로 투입하고 상기 덮개부재(40)를 덮어주고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하면 포장이 완료된다.
The package M is put in the upright sta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35 between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31A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as described above and covers the cover member 40, Upon completion, the packaging is completed.

또한 도4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35)을 제1수용공간(35A), 제1곡면부(31A)와 상기 본체(10)의 벽체(11)로 둘러싸인 제2수용공간(35B), 상기 제2곡면부(31B)와 상기 벽체(11)로 둘러싸인 제3수용공간(35C)으로 설정하여 제1수용공간(35A)에는 메인 포장체(M), 제2 및 제3수용공간(35B, 35C)에는 메인 포장체(M)의 샘플, 부품, 설명서, 사양서, 악세사리(accessary) 등 다양한 부재들을 수용하거나 제1 내지 제3포장체를 수용하는 등, 포장체(M)의 정위치 고정을 위한 분할패널(30)을 통해 파티션(partition)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accommodating space 35 is divided into a first accommodating space 35A, a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31A and a wall 1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35C surrounded by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and the wall 11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35A is provided with the main package M, The second and third accommodating spaces 35B and 35C accommodate various members such as samples, parts, manuals, specifications, accessories and the like of the main package M or accommodate the first to third package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role of a partition through the partition panel 3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ackage M in place.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자(A)의 조립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사각형의 평단면을 갖는 포장상자(A)를 예로 들어 실시과정을 설명하였지만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정다각형, 원형, 불특정 다각형 등의 포장상자(A)로 변형실시 가능하고,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하고 실시 가능하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ackaging box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the packaging box A having a rectangular flat cross section as an exampl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box A may be a regular polygon, a circular polyg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modification to the packaging box (A), which is well understood and practicabl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한편, 본 고안의 핵심인 분할패널(3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도1 내지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partition panel 30, which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도2 [B]에 도시된 분할패널(30)은 사각형의 정면 형상을 갖고 추가로 포장체(M)의 돌출부위에 상응하는 위치에 돌출홈(37)이 구비되어 포장체(M)를 상기 수용공간(35)에 수용할 때, 포장체(M)가 돌출부위를 갖더라도 정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벽체(11)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였을 때 디스플레이(Display)효과를 갖도록 한다.The partition panel 30 shown in Fig. 2B has a rectangular frontal shape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ding groove 37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ackage M, Even when the package M has a protruding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received in a fixed position, so that when the wall body 1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Respectively.

또한 분할패널(30)의 정면 형상은 도면에는 사각형으로만 도시하였지만 삼각형, 원형, 부정형 등일 수 있고, 적어도 분할패널(30)의 양 단부의 일부 또는 모두가 본체(10)의 서로 다른 모서리(설치모서리(17))에 접한다.
In addition, the frontal shape of the divided panel 30 may be triangular, circular, irregular or the like, although it is only shown as a square in the drawing. At least a part or all of both ends of the divided panel 3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corners (The edge 17).

한편 본 고안의 분할패널(30)이 수용부(13)의 내부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고정수단(20)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설치모서리(17) 부분에 걸림턱과 걸림슬릿을 구비하여 상기 분할패널(30)의 양단부의 일부 또는 모두가 걸림슬릿에 끼워지고 걸림턱에 의해 결합이 유지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조립 시 접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도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ix the divided panel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13, the fixing means 20 is required. The fixing means 20 is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and a latching slit at a mounting edge 17 of the main body 10 so that part or all of both ends of the partitioning panel 30 are fitted to the latching slit, Or a method of bonding and fixing by using an adhesive member when assembling can be introduced.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고정수단(20)의 도입 없이 상기 분할패널(30) 자체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the partition panel 30 itself without the introduction of the separate fixing means 20.

적당한 탄성력을 가진 소재의 분할패널(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패널(30)의 폭(L2)이 비인접 설치모서리(17) 사이의 거리(L1)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분할패널(30)은 호형(弧形)으로 휘어져 제1곡면부(31A)와 제2곡면부(31B)를 갖게 되고,Since the width L2 of the divided panel 30 is longer tha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non-adjacent installed edges 17 as described above, And has a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31A and a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상기 제1곡면부(31A)의 단부(=비연결타단부(32b))와 제2곡면부(31B)의 단부(=비연결타단부(32b))는 각각 복원력에 의해 평면형태로 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35)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힘을 받고, 이를 상기 본체(10)의 벽체(11)가 지탱하기 때문에 벽체(11)와 분할패널(30)은 밀착되고 이 밀착력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20) 없이도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3)에 고정된 채로 수용된다.The end portion of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31A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of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return to a planar shape due to their restoring force, The wall 11 of the main body 10 supports the wall 11 and the partition panel 3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13) of the main body (10) without the fixing means (20).

별도의 고정수단(20)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수를 줄여 제품의 단가가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Since the separate fastening means 20 is not required, the number of components is reduced and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is low,

또한 구성요소의 수가 적기 때문에 제품 성형을 위한 금형단계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뛰어나고 양산성 면에서 탁월한 포장상자(A)를 제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omponents is small, the number of mold steps for product molding is reduced, so that a packaging box (A) excellent in productivity and excellent in mass production is provided.

도3에는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에 대한 분할패널(30)의 적용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3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divided panel 30 for a square, a pentagon, a hexagon, and an octagon.

(도3 및 도4를 이용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각형의 상 우측부터 시계방향으로 제1(a), 제2(b), 제3(c), 제4(d)… 로 모서리의 명칭을 정하고, 모서리의 명칭 앞에 다각형을 의미하는 4, 5, 6, 8 등의 아라비아 숫자를 적용한다.)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explanation using Figs. 3 and 4, first (a), second (b), third (c), fourth (d) Specify the name of the corner and use Arabic numerals such as 4, 5, 6, 8 to indicate the polygon before the name of the corner.)

도3 및 도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오각형의 경우 제1모서리(5a)의 비인접 설치모서리(17)는 제3, 제4모서리(5c, 5d)가 되고 제1모서리(5a)와 제4모서리(5d)의 길이가 L1이 되고 이 길이보다 분할패널(30)의 폭인 L2가 더 긴 경우 휘어지게 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인단부와 비연결타단부(32b)를 가져 포개어지는 형태의 분할패널(30)(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연결형 분할패널(30F)로 명명한다.)을 도입하는 경우 도3-6 같은 형태로 수용공간(35)을 형성한다.3 and 4, in the case of a pentagon, the non-adjacent mounting edge 17 of the first edge 5a becomes the third and fourth edges 5c and 5d, and the first edge 5a and the non- When the length of the four corners 5d becomes L1 and the length L2 of the divided panel 30 is longer than the length thereof, the corners 5d are bent and have the connecting end and the non-connecting end 32b as shown in Fig. 2 When the split panel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ion type partition panel 30F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s introduced, the accommodation space 35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S.

추가로 오각형의 경우에는 비인접 설치모서리(17)가 2개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제1모서리(5a)와 제3모서리(5c)를 설치모서리(17)로 하고, 분할패널(30)을 도입하면 메인파티션과 3개의 서브파티션이 형성되고, 연결형 분할패널(30F)을 도입하면 2개의 메인파티션과 3개의 서브파티션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entagonal shape, since there are two non-adjacent mounting edges 17, the first corner 5a and the third corner 5c may be used as an installation edge 17, The main partition and the three sub partitions are formed, and when the connection type partition panel 30F is introduced, two main partitions and three sub partitions can be formed.

아울러 육각형의 경우에는 제1모서리(6a)를 기준으로 제3, 제4, 제5모서리(6c, 6d, 6e)가 비인접 설치모서리(17)가 되고 이러한 경우 분할패널(30)이 3개 도입이 가능하다.
In the hexagonal shape, the third, fourth, and fifth edges 6c, 6d, and 6e serve as non-adjacent mounting edges 17 with respect to the first edge 6a.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팔각형의 경우에는 제1모서리(8a)를 기준으로 제3, 제4, 제5, 제6, 제7모서리(8c, 8d, 8e, 8f, 8g)가 비인접 설치모서리(17)가 되어 5개의 분할패널(30)의 도입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분할패널(30)의 설치 가능 수를 가늠할 수 있다.[ 분할패널(30)의 설치 가능 수 = 다각형의 전체 모서리 수 - 3 ]
The third, fourth, fifth, sixth, and seventh edges 8c, 8d, 8e, 8f, 8g are formed as non-adjacent mounting edges 17 on the basis of the first edge 8a, The number of the partition panels 30 can be introduced and the number of the partition panels 30 to be installed can be determined.

도4를 통해 상기 연결형 분할패널(30F)의 작용효과의 설명과 함께 다양한 분할패널(30)의 도입을 살펴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type partition panel 30F and the introduction of the various partition panels 30 can be examined.

먼저 도4 [A]와 [B]를 통해 분할패널(30)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면 제1 및 제3모서리(4a, 4c)가 설치모서리(17)가 되고 이에 연결형 분할패널(30F)의 양단부를 설치모서리(17)에 위치시키면 도4 [A]와 같은 형태가 되어 제1곡면부(31A)와 제2곡면부(31B)를 갖는다.First and third corners 4a and 4c will be the installation edges 17 and the connection edge of the connection type partition panel 30F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FIGS. 4 [A] and [B] When the both end portions are positioned on the installation edge 17,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31A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are formed as shown in Fig. 4A.

상기 제1곡면부(31A)와 제2곡면부(31B)로 둘러싸인 내부 수용공간(35)에 포장체(M)를 수용시키면 도4 [B]와 같이 수용공간(35)의 크기가 포장체(M)의 크기에 맞게 커지게 되고 이 경우 수용공간(35)의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분할패널(3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포장체(M)를 고정시켜 직립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흔들림, 충격등에 의해 포장체(M)가 전복되는 현상을 막고, 또한 제2수용공간(35B), 제3수용공간(35C)(기존 수용공간(35)을 제1수용공간(35A)으로 설정)은 제1수용공간(35A)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충작용을 해주어 포장체(M)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package M is received in the inner accommodation space 35 surrounded by the first curved surface portion 31A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31B,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35 is determined as shown in FIG. 4B, The restoring force of the dividing panel 30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space 35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space 35 so that the package M is fixed so as not to move in the upright state,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35B and the third accommodating space 35C (the existing accommodating space 35 is set as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35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ckage M from being damaged by applying a buffering action from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35A.

도4 [C]에는 육각형 포장상자(A)에 3개의 분할패널(30)을 도입한 변형예를 보여준다.Fig. 4 [C] shows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ree partition panels 30 are installed in the hexagonal packing box A.

제2, 제4, 제6모서리(6b, 6d, 6f)를 각각 설치모서리(17)로 하여 3개의 분할패널(30)을 도입한 경우에도 제1, 제2, 제3곡면부(31C)가 수용공간(35)을 형성하고 도4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체(M)의 크기에 맞게 수용공간(35)의 크기가 변화되어 전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econd, and third curved portions 31C are formed even when the three divided panels 30 are introduced with the second, fourth, and sixth corners 6b, 6d, and 6f as the mounting corners 17, And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space 35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ckage M as shown in FIG. 4 [D].

도4 [E], 도4 [F]에는 삼각형 포장상자(A)에 분할패널(30)을 도입한 변형예를 도시하였고,4E and 4F show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artition panel 30 is installed in the triangular packing box A,

도4 [E]의 경우에는 같은 폭을 가진 분할패널(30), 도4[F]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진 분할패널(30)의 도입을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4 [E], the introduction of the divided panels 30 having the same width and the divided panels 30 having different widths in FIG. 4 [F] can be confirmed.

이처럼 반드시 분할패널(30)들의 길이는 같을 필요는 없고, 서로 다른 폭을 가진 분할패널(30)의 도입으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수용공간(35)을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panels 3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length, and the partitioning panels 30 having different widths can be introduced to form more various accommodating spaces.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수용공간(35)과 포장체(M)의 돌출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돌출홈(37)을 통해 포장체(M)의 크기, 형태, 모양에 구애 받지 않고 포장체(M)를 수용하여 별도의 완충제를 도입하지 않아도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제품 단가의 절감을 통해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나아가 제품의 특성상 평단면형태의 바닥부가 아니기에 직립이 어려운 제품을 포장할 때도 직립된 상태 그대로 포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결과적으로 다변하는 소비자의 욕구 충족에 이바지하는 제품이기에 뛰어난 품질과 성능이 기대되면서도 간편한 포장상자(A)의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The package body M can be attached to the package body M regardless of the size, shape and shape of the package body M through the accommodating space 35 of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jecting groove 37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package M. M), it is possible to expect a buffering effect without introducing a separate buffering agent. Thus, the product is advantageous in cost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product unit cost, and furthermore, the product which is difficult to stand up because it is not the bottom part of the flat- It can be packed in an upright state. As a result, it is a product that contributes to fulfill the needs of customers who change variousl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ackage box (A) can be easily provided while expecting excellent quality and performance.

한편 도5에는 상기 포장상자(A)에 손잡이부(47)를 도입한 변형예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Fig. 5 shows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handle 47 is introduced into the packaging box A. Fig.

제품의 진열을 위해 고리형태의 행거에 걸어서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여타 다른 이유로 손잡이가 필요한 경우를 위해서는 손잡이부(47)의 도입이 필요한데,In order to display the product on the hanger in the form of a ring for display or for other reasons when the handle is necessary, introduction of the handle 47 is required,

전기한 바와 같이 포장상자(A)의 벽체(11)와 바닥부재(50)를 조립하고 직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40)를 덮어줄 때, 도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1)의 측면단부에 형성된 제5패널(41) 및 제6패널(42)을 먼저 접어주고 전방에 구비된 제7패널(43)을 접어주되, 제7패널(43) 단부에 형성된 노출부(43b)를 상측으로 향하게 하는 제1접이슬릿(43f)을 접어 상측으로 향하게 하고 제8패널(44)을 포개어주되, 제8패널(44)에 형성된 노출홈(43a)을 상기 노출부(43b)가 관통하게 하고, 제8패널(44)의 제2접이슬릿(44f)을 접어주어 제8패널(44)의 단부를 상기 전면 벽체(11)에 밀착시킨 후 제8패널(44)의 체결돌기(46)를 전면 벽체(1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5)에 끼워 넣으면 도5 [A]와 같이 노출부(43b)와 노출홈(43a)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47)를 갖는 포장박스가 완성된다.
As shown in FIG. 5B, when the wall 11 and the bottom member 50 of the packaging box A are assembled and the lid member 40 is held upright, as shown in FIG. 5B, The fifth panel 41 and the sixth panel 42 formed on the side edge of the wall 11 are folded first and the seventh panel 43 provided on the front side is folded. The first folding slit 43f upwardly facing the first panel 43b is folded upward to overlap the eighth panel 44 and the exposed groove 43a formed in the eighth panel 44 is folded over the exposed portion 43a The second folding slit 44f of the eighth panel 44 is folded so that the end of the eighth panel 4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wall 11 and then the eighth panel 44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s 46 are fitted into the fastening recesses 45 formed in the front wall 11, the fastening protrusions 46 are provided with the handle portions 47 composed of the exposed portions 43b and the exposed grooves 43a as shown in Fig. The packaging box is completed.

또한 상기와 같은 손잡이부(47)를 도입한 경우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손잡이를 놓치게 되면 박스가 사용자의 손에서 이탈되어 바닥에 떨어져 충격이 가해지면 제품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Also, when the knob 47 is introduced, if the knob is miss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the box may be detached from the user's hand and may fall on the floor, resulting in damage to the product.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파지용 손잡이(60)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ding handle 60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도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용 손잡이(60)는 상기 제7패널(43)의 단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접이홈(61, 62, 63, 64)과 삽입고정패널(65)을 갖는다.As shown in Fig. 6A, the holding handle 6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venth panel 4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olding grooves 61, 62, 63, 64 and an insertion fixing panel 65, Respectively.

또한 상기 삽입고정패널(65)은 단부에 형성된 상기 바닥부재(50)의 끼움홀(55A)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중첩삽입부(65b)와 이들의 결합을 지지하는 중첩접이슬릿(65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insertion and fixing panel 65 includes an overlapping insertion portion 65b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5A of the bottom member 50 formed at the end portion and an overlapping folding slit 65a supporting the coupling .

이어서 도6 [A]와 도6 [B]를 통해 본 고안의 파지용 손잡이(60)의 실시를 설명하면, 먼저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전개도 형태의 포자상자(A)를 전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하여 직립시키고 상기 덮개부재(40)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벽체(11)의 측면단부에 형성된 제5패널(41) 및 제6패널(42)을 먼저 접어주고 전방에 구비된 제7패널(43)을 접어주되, 제7패널(43) 단부에 형성된 파지용 손잡이(60)를 제1접이홈(61)을 접어주어 제8패널(44)의 노출홈(43a)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제8패널(44)을 포개어주고, 제8패널(44)의 제2접이슬릿(44f)을 접어주어 제8패널(44)의 단부를 상기 전면 벽체(11)에 밀착시킨 후 제8패널(44)의 체결돌기(46)를 전면 벽체(1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5)에 끼워 넣은 후, 제2 내지 제4접이홈(62)(63)(64)을 접어주어 상기 파지용 손잡이(60)의 삽입고정패널(65)이 상기 포장상자의 바닥부재(50)와 밀착되게끔 해주고, 이 후 상기 중첩접이슬릿(65a)을 접어 이와 연결된 중첩삽입부(65b)가 상기 바닥부재(50)의 끼움홀(55A) 내측으로 삽입시켜 끼워주면 상기 중첩삽입부(65b)는 상기 제3패널(53)의 끼움돌기(55B)와 중첩된 채로 고정된다.6 (A) and 6 (B), a spear box A in the form of an exploded view as shown in FIG. 6 (A) is firstly described The fifth panel 41 and the sixth panel 42 formed on the side edge of the wall 11 in the same manner as the case 47 in assembling the lid member 4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handle 47, And the folding handle 60 formed on the end of the seventh panel 43 folds the first folding groove 61 to fold the seventh panel 43 provided on the eighth panel 44 The eighth panel 44 is folded so that the second folding slit 44f of the eighth panel 44 is folded and the end of the eighth panel 44 is folded over the front surface 43a of the eighth panel 44, The second to the fourth folding grooves 62 are formed by fitting the fastening protrusions 46 of the eighth panel 44 into the fastening grooves 45 formed in the front wall body 11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s 46 of the eighth panel 44 are fitted to the wall body 11, (63) and (64) The insertion and fixing panel 65 of the gripping handle 6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member 50 of the packaging box and then the overlapping insertion slit 65a is folded and inserted into the overlap insertion portion 65b, The overlapping inserting portion 65b is fixed while being overlapped with the fitting protrusion 55B of the third panel 53 if the inserting portion 65b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55A of the bottom member 50. [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6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지용 손잡이(60)가 구비되고 전기한 바와 같은 이탈 문제를 보완하여 포장상자가 손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쉽게 파지할 수 있다.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holding handle 60 as shown in Fig. 6 [B] is provided and the dispensing problem as described above can be compensated for, so that the packing box can be gripped easily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hand.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예시로 상기 설명에서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의 평단면을 갖는 벽체(11)에 대해서만 언급했지만 다갹형의 형태에 2개 이상의 설치모서리(17)를 갖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에도 본 고안의 분할패널(30)은 적용가능하고, 그 개수도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이를 보호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 제한을 두어서는 안 된다.
For the sake of clarity, in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only the wall 11 having a triangular, rectangular, hexagonal, and octagonal flat cross-section is referred to, but any shape having two or more installation edges 17 in a multi- The Partition Panel (30) of this invention shall be applicable and shall not be limited in its number and shall not be restricted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scope of protection.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에서 포장상자(A)를 일체형으로 성형하기 위한 가공법, 분할패널(30)이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게 하는 소재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relating to a forming method for integrally forming the packaging box A, a material for allowing the divided panel 30 to be bent with appropriate elasticity, etc.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can be guessed, inferred and reproduced.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포장상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acking box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substitu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포장상자: A 포장체: M
벽체: 11 수용부: 13
설치모서리: 17
고정수단: 20 분할패널: 30
제1곡면부: 31A 제2곡면부: 31B
제3곡면부: 31C 연결일단부: 32a
비연결타단부: 32b 수용공간: 35
덮개부재: 40 제5패널: 41
제6패널: 42 제7패널: 43
노출홈: 43a 노출부: 43b
제1접이슬릿: 43f 제8패널: 44
체결홈: 45 체결돌기: 46
손잡이부: 47 바닥부재: 50
제1 내지 제4패널: 51, 52, 53, 54
끼움홀: 55A 끼움돌기: 55B
절개부: 55C 고정돌기: 55D
파지용 손잡이: 60 제1 내지 제4 접이홈: 61, 62, 63, 64
삽입고정패널: 65 중첩접이슬릿: 65a
중첩삽입부: 65b
Packing box: A Package: M
Wall: 11 Reception area: 13
Mounting Corner: 17
Fixing means: 20 split panels: 30
First curved portion: 31A Second curved portion: 31B
Third curved portion: 31C One end portion of connection: 32a
Non-connection other end: 32b Capacity: 35
Lid member: 40 fifth panel: 41
Panel 6: 42 Panel 7: 43
Exposed groove: 43a Exposed part: 43b
1st folding slit: 43f 8th panel: 44
Fastening groove: 45 Fastening protrusion: 46
Handle portion: 47 Bottom member: 50
First to fourth panels: 51, 52, 53, 54
Insertion hole: 55A Insertion projection: 55B
Cutting section: 55C Fixing projection: 55D
Holding handle: 60 First to fourth folding grooves: 61, 62, 63, 64
Insertion Fixed panel: 65 Nested folding slit: 65a
Overlapping insertion section: 65b

Claims (4)

평단면 형상이 3~20각을 이루는 벽체를 구비하고, 포장체를 위한 수용부 및 개구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서로 다른 설치모서리에 양단부가 각각 접하는 형태로 본체에 내장되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수용부를 분할하는 분할패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상자.
A main body having a wall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forming an angle of 3 to 20, and having a receiving portion and an opening portion for the package; And
A partition panel which is built in th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thereof are in contact with different mounting edges of the main body and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o divide the receiving portion;
A packaging box made up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패널의 폭(L1)은 본체의 설치모서리 사이의 거리(L2) 보다 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분할패널 자체에 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L1 of the divided pane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L2 between the mounting corners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fixing means is constituted by the partition panel itsel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패널은 폭이 같거나 서로 다른 2~17개의 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artitioning panel comprises 2 to 17 pieces of powder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width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패널의 분체는 연결일단부와 비연결타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wder of the partition panel has a connection end and a non-connection end.
KR2020140003240U 2014-04-23 2014-04-23 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 KR2004795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40U KR200479553Y1 (en) 2014-04-23 2014-04-23 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40U KR200479553Y1 (en) 2014-04-23 2014-04-23 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98U true KR20150003998U (en) 2015-11-02
KR200479553Y1 KR200479553Y1 (en) 2016-02-18

Family

ID=5470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40U KR200479553Y1 (en) 2014-04-23 2014-04-23 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5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462B1 (en) * 2019-10-18 2021-04-27 정세진 Packing Box For Fo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462B1 (en) * 2019-10-18 2021-04-27 정세진 Packing Box For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553Y1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553Y1 (en) Packing box equipped with partition
KR200475107Y1 (en) Parcel box
KR20110132831A (en) Packing box having buffering case
KR20090123703A (en) Box package
JP4223019B2 (en) Paper bag for bottle storage
KR20120066334A (en) Packing case for wine bottle
KR20170102647A (en) Packaging carton having a support
KR200453822Y1 (en) Packaging container
JP4962065B2 (en) Packing material
CN112239000B (en) Packing box (Chinese character' jiangsu
JP4246616B2 (en) Goods packaging container
KR101525221B1 (en) Wine bottle packaging box
JP5511617B2 (en) Corrugated cushioning material
JP3235936U (en) Buffer partition member and packaging box using it
KR20130090672A (en) Folding type package
KR101382411B1 (en) Packing Box
KR200495381Y1 (en) Paper packing container for glasses frame
JP4080988B2 (en) Package of goods
JP3240518U (en) container
KR102018563B1 (en) A packing box
JP2008222298A (en) Packing material
JP3222010U (en) Container package
JP7197974B2 (en) container
KR20160002205U (en) Packing box
KR200256182Y1 (en) Pack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