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825U - stone block of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tone block of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825U
KR20150003825U KR2020150005807U KR20150005807U KR20150003825U KR 20150003825 U KR20150003825 U KR 20150003825U KR 2020150005807 U KR2020150005807 U KR 2020150005807U KR 20150005807 U KR20150005807 U KR 20150005807U KR 20150003825 U KR20150003825 U KR 201500038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lock
stone block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8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정민
신은경
Original Assignee
신정민
신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민, 신은경 filed Critical 신정민
Priority to KR20201500058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825U/en
Publication of KR20150003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2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블록 조적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상하좌우측면이 연통되게끔 외주면에

Figure utm00024
형 홈(11)이 형성된 석재블록(1)을 쌓아 담이나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때, 보다 더 신속 정확하고 간편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Figure utm00025
형 지지구(2a)와 T형 지지구(2b), 그리고 +형 지지구(2c)를 구비하고, 이를 조적방식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지지구(2a, 2b, 2c)의 두께를 석재블록(1)의 홈(11)의 폭(w)과 같거나 약간 작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서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벽체 시공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하좌우측면에
Figure utm00026
형의 홈(11)이 형성된 석재블록(1)을 장방형으로 된
Figure utm00027
형 지지구(2a)와 T형 지지구(2b), 그리고 +형 지지구(2c)를 조적방식에 따라 선택 적용하여 벽체(10)를 시공함으로서 조적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따르고, 더불어 지지구(2a, 2b, 2c)의 부피가 적어 휴대 및 보관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This design relates to the district where the stone blocks are applied.
In the configura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id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igure utm00024
When the stone block 1 having the grooves 11 formed therein is stacked or the wall of a building is constructed, it is necessary to use a metal such as iron or stainless steel
Figure utm00025
Shaped support 2a, a T-shaped support 2b, and a positive support 2c, which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a coarse system,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s 2a, 2b, 2c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w) of the groove (11) of the stone block (1), so that a stable and robust wall construction can be achieved.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igure utm00026
Shaped block 1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Figure utm00027
The wall 10 is constructed by selectively applying the shape-retaining portion 2a, the T-shaped support portion 2b, and the + -shaped support portion 2c in a cooperative manner so that the joint is very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And the volume of the support 2a, 2b, 2c is small, so that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store and use.

Description

석재블록 조적용 지지구{stone block of construction}Stone block of construction.

본 고안은 석재블록 조적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블록의 상하좌우면에 서로 연통되는

Figure utm00001
형의 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석재블록을 쌓아 건물이나 담장, 경사면이나 절개지의 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한 벽체를 조적 시공할 때 별도 구성의 지지구를 이용하여 조적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석재블록의 조적이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ne block block,
Figure utm00001
When the wall f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buildings, fences, slopes and cut-outs is built by stacking these stone blocks, it is possible to make the walls by using a separate construction support, So that it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주지된 바와 같이 석재를 이용하여 각종 건물의 벽체 또는 담장 등의 벽체를 시공할 때는 지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친 후 그 위에 석재블록을 쌓게 되는데, 통상 석재블록과 석재블록사이에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나 또는 시멘트 몰탈을 접착제로 이용하여 쌓게 된다.As is well known, when a wall of a building or a wall of a building is constructed by using a stone, a foundation block is formed on the ground after the base concrete is built. Usually, an adhesive such as epoxy or the like is used between the stone block and the stone block. The cement mortar is stacked using the adhesive.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으로 벽체를 시공하게 되면, 석재블록을 수평과 수직 등을 감안하여 쌓아야 함으로서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조적이 어려우며 더불어 조적시는 물론 양생에 따른 시간도 과다 소요되는 등의 폐단이 따른다.However, if the wall is constructed by the above method, the stone blocks must be stacked consider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specialist to construct the block, and the time for curing as well as the curing time is too much.

특히, 접착제나 시멘트 모르타르의 양생에 따른 시간을 감안하여 조적하여야 함으로 하루하루 조적량이 한정되고, 이에 따라 시공기간이 과다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더불어 인건비가 비싼 전문가가 아니면 조적이 어려움으로 비용도 그 만큼 더 과다 소요된다.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take the time for curing of the adhesive or cement mortar into consideration, so that the amount of construction per day is limited.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is excessively long, and if the expert is not expensive labor cost, It takes too much.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석재블록을 쌓게 되면 석재블록과 석재블록이 단순히 접착제나 시멘트 몰탈에 의해 결합된 상태이기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작용하게 되면 무너질 염려도 컸던 것이다.Also, if the stone block is piled up by the above method, the stone block and the stone block are simply coupled by the adhesive or the cement mortar, so that there is a fear that the stone block will collapse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선 고안특허 제0621694호가 있다.Accordingly, Patent No. 0621694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 선 고안특허는 석재블록의 상하면 양측에 소정의 깊이로 원형구멍을 뚫고 이를 조적할 때는 상기 구멍에 소정 길이의 원형봉이나 파이프로서 석재벽돌과 석재벽돌을 서로 끼워 조립 및 조적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석재 블록 조적시 보다 더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patent, when circular holes are drill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tone block and the hol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stone bricks and the stone bricks can be assembl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using a circular rod or pipe It is noteworthy that it can be more robust to combine than stone blocks.

그러나 상기한 선 고안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patents necessarily follow the following problems.

즉, 석재블록은 말 그대로 자연석을 절단 가공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시멘트 블록과 같은 성형제품과는 달리 절단 가공된 블록 제품마다 크기가 다소 차이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In other words, because stone blocks are literally produced by cutting natural stone, unlike molded products such as cement blocks, the size of each block product is inevitably slightly different.

따라서 석재블록 상하면에 형성하는 구멍의 위치도 블록마다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되므로 위와 같은 공차상의 문제로 인하여 석재블록을 다단으로 높이 조적하고자 할 때는 틈이 크게 발생하게 되거나 잘 맞지 않아 조적이 불가능해 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hol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tone block is inevitably different from block to block. Therefore, due to the tolerance problem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one block is designed to have a high height, there is a large gap, There is no other way.

다시 말하면, 석재블록은 일반 시멘트 블록이나 콘크리트 블록처럼 금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는 제품이 아니고 하나하나 일일이 가공에 의존하여 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차 발생은 필연적이라는 것이며, 따라서 상하면 좌우측에 소정의 깊이로 원형구멍을 천공한 인용고안은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one block is not a product that can be molded through a mold like a general cement block or a concrete block, but because the stone block has to be produced one by one depending on processing, it is inevitable that the tolerance is generated. Therefore, A citation design that drills a hole is unreliable.

한편, 석재블록은 아니지만 선 출원공개 된 인용고안으로서 공개번호 제10-2008-0022307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not a stone block, there is a publication No. 10-2008-0022307 as a citation design disclosed in a prior application.

이는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하좌우 면에

Figure utm00002
형의 홈이 형성되게끔 성형하고, 이를 조적할 때는 사각봉 형태의 가로바를 하고, 이조적하게끔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블록으로서 석재블록은 아니며 더불어 사각봉 형태의 가로바를 하고, 이조적함으로서 보다 더 신속 간편한 조적이 이루어지고 견고한 조적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따르기는 하지만 가로바에만 의존되어 조적됨으로서 조적이 극히 한정적이다.This is because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ment concrete block
Figure utm00002
Shaped grooves are formed, and when the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 rectangular bar-shaped horizontal bar is formed. However, this is not a stone block as a block having a space in the inside, but also a rectangular bar-shaped horizontal ba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bines more quickly with a simpler and more robust structure, The mobility is extremely limited.

또한, 길이가 긴 가로바를 이용함에 따라 취급 및 사용이 불편한 폐단도 따른다.In addition, due to the use of a long horizontal bar, there is also a case where the handling and use are inconvenient.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석재블록을 조적하여 각종 건축물의 벽체나 담장 등을 시공할 때, 석재블록의 조적을 보다 더 신속정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견고한 조적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one block,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the project.

또한, 장식을 위해 표면에 음양각으로 특정의 문양이나 문자, 기호 등을 형성한 석재 블록을 모자이크식으로 조립시공 함에 있어서도 보다 더 신속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고 견고한 조립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quickly and simply, accurately and firmly assembling a stone block having a specific pattern, character, symbol, or the lik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by a mosaic surface.

또한, 석재블록을 5cm 내외의 얇은 두께로 형성한 경우에도 조적이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중량 감소로 인한 운반, 보관,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시공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려는 데도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tone block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5 cm or less, the masonry can be stably and firmly form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arry, store and construct due to weight reduction, There is a purpose to do.

상하 좌우측면이 연통되도록

Figure utm00003
형 홈(11)을 형성하여서 된 석재블록(1)을 쌓아 벽체를 시공할 때 인접하는 다른 석재블록과의 사이에 설치하여 벽체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Figure utm00004
형 지지구(2a)와 T형 지지구(2b), 그리고 +형 지지구(2c)를 구비하고 이를 조적하는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되, 상기 지지구(2a, 2b, 2c)는 두께가 석재블록(1)의 홈(11)의 폭(w)을 감안하여 같거나 약간 작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서 안정적이고도 견고한 조적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So that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re communicated
Figure utm00003
When the wall is constructed by stacking the stone blocks 1 formed by forming the grooves 11, it is installed between the adjacent stone blocks so that the wall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easily. At the same time, iron, stainless steel With a metal such as
Figure utm00004
The support 2a, the T-shaped support 2b and the positive support 2c ar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support 2a, 2b and 2c. The thickness is formed to be the same or slightly smaller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w of the groove 11 of the stone block 1, so that stable and robust construction is achieved.

상기

Figure utm00005
형, T형, +형의 지지구(2a, 2b, 2c)는 내측 면에 연결바(21)를 더 장착 고정시켜, 앵커볼트(3)로서 콘크리트벽체(4)에 연결 장착시킬 수 있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remind
Figure utm00005
The support bars 21 can be further attach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2a, 2b and 2c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the concrete wall 4 as the anchor bolts 3. [ .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하좌우측면에

Figure utm00006
형의 홈(11)이 형성된 석재블록(1)을 장방형으로 된
Figure utm00007
형 지지구(2a)와 T형 지지구(2b), 그리고 +형 지지구(2c)를 조적방식에 따라 선택 적용하여 벽체(10)를 시공함으로서 조적이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따르고, 더불어 지지구(2a, 2b, 2c)의 부피가 적어 휴대 및 보관 사용이 편리한 효과도 따른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igure utm00006
Shaped block 1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Figure utm00007
The wall 10 is constructed by selectively applying the shape-retaining portion 2a, the T-shaped support portion 2b, and the + -shaped support portion 2c in a cooperative manner, , And the volume of the supporting portions (2a, 2b, 2c) is small, which is convenient for carrying and storing.

또한, 상기 지지구(2a, 2b, 2c)의 내측 면에 연결바(21)가 연결 구성됨으로서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4)에 앵커볼트(3)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장착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벽체나 절개지 등의 경사면에 표면에 입체무늬를 형성한 모자이크 타잎의 석재블록을 설치 시공하고자 할 때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nnecting bars 21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supports 2a, 2b and 2c so that the anchor bolts 3 can be stably installed and fixed on the concrete wall 4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when a stone block of a mosaic type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such as a concrete wall or a cut-out surface is to be installed, the construction can be smoothly carried out, and thus it can be used effective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석재블록의 사시도.
도 2A∼2C는 본 고안의 지지구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3C는 본 고안의 지지구에 대한 정면예시도.
도 4A∼4C는 지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도 5C는 벽체 조적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6은 지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종단면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ne block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to 3C are frontal view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s 4A-4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Figs. 5A to 5C are front elevation views showing a wall mooring state.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Fig.
7 is an exemplary use-case vertical s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석재블록(1)으로 각종 건축물의 벽체(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적이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으로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석재블록(1)은 상하면과 좌우측면에

Figure utm00008
형 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홈(11)에 끼워져 인접하는 다른 석재블록과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지구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구(2a, 2b, 2c)는 형태에 따라
Figure utm00009
형, T형, +형으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one block 1 for constructing a wall 10 of various buildings so that the building can be made very quickly and easily and safely and firmly. The stone block 1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On the side
Figure utm00008
Shaped grooves 11 are formed in the grooves 11 and are formed in the grooves 11 so that the grooves 11 can induce a firm connection with other adjacent stone blocks. The grooves 2a, 2b,
Figure utm00009
Type, T-type, and + type.

또, 절개지나 경사면 등에 석재블록(1)을 설치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벽면에 석재블록(1)을 설치 시공하고자 할 때는 상기

Figure utm00010
형, T형, +형 등으로 된 지지구(2a, 2b, 2c) 내측 면에 연결바(21)를 연결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tone block 1 is installed on the incision or inclined surface or the stone block 1 is installed on the concrete wall surface,
Figure utm00010
A connection bar 21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support 2a, 2b, 2c made of a metal plate, a T-shaped plate, a + type plate, and the like.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석재블록(1)은 장방형의 직육면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모양을 비롯하여 사다리꼴 모양, 평행사변형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stone block 1 is preferably formed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ut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shape, a trapezoidal shape, and a parallelogram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석재블록(1)이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형태로 된 경우에는 상하좌우측면에는 일정한 두께와 깊이로

Figure utm00011
형 홈(11)을 형성하고, 사다리꼴 모양이나 평행사변형 모양일 때는 상하면에만
Figure utm00012
형 홈(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tone block (1) is in the shape of a rectangle or a squar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has a certain thickness and depth
Figure utm00011
Shaped grooves 11 are formed, and in the case of a trapezoidal shape or a parallelogram shape,
Figure utm00012
Shaped grooves 11 are preferably formed.

위와 같이

Figure utm00013
형 홈(11)을 사면에 형성한 석재블록(1)의 경우는 조적시 도5A와 도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수직으로 배치 시설하는 경우는,
Figure utm00014
형, +형의 지지구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하여 벽면시공을 하고,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재블록을 상하 지그재그방식으로 배치 시설하는 경우에는
Figure utm00015
형 지지구(2a)나 T형 지지구(2b) 중 하나를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bove
Figure utm00013
In the case of the stone block 1 formed on the oblique surface of the groove 11, as shown in FIGS. 5A and 5C,
Figure utm00014
When a wall is constructed by selectively using any one of the supports of the type and the + type and the stone blocks are arranged in a vertical zigzag manner as shown in FIG. 5B
Figure utm00015
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use one of the template 2a and the T-shaped support 2b.

이 외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다리꼴 모양이나 평행사변형 모양의 블록의 경우는

Figure utm00016
형 지지구(2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 block having a trapezoidal shape or a parallelogram shape,
Figure utm00016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old halves 2a.

또, 상기 지지구 중

Figure utm00017
형 지지구(2a)는 조적된 석재블록(1)의 상하좌우의 코너부가 만나는 지점에 끼워 넣음으로서 조적이 완료되면 하나의
Figure utm00018
형 지지구(2a)가 인접하는 4개의 지지블록을 연결 지지하는 상태로 되어 석재블록이 서로서로 물려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매우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Figure utm00017
The mold halves 2a are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ight and left corners of the stone block 1,
Figure utm00018
The mold halves 2a are in a state of connecting and supporting four adjoining support blocks so that the stone blocks remain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assembled state is maintained to a very high level.

T형 지지구(2b)는 석재블록(1)을 상하 어긋나게 조적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좌우에 맞닿는 석재블록(1)의 사이사이에 T형 지지구(2b)의 하부를 끼워 넣고 상부에는 석재블록(1) 저면의 홈(11) 중앙부가 끼워지기 때문에 지지면적이 커서 보다 더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다.The T-shaped support 2b is used when the stone block 1 is vertically and laterally staggered. The T-shaped support 2b sandwiches the lower portion of the T-shaped support 2b between the stone blocks 1 contacting to the left and right,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oove 11 on the bottom of the stone block 1 is fitted, the supporting area is large, so that a more stable and robust construction is possible.

+형 지지구(2c)는 석재블록(1)을 바로 쌓기 할 때 석재블록과 석재블록이 접촉되는 코너부마다 끼워 설치하는 것으로, 이는 바로 쌓기를 할 때 지지면적이 커서 안정성이 더욱 더 크고 견고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Type support 2c is installed at each corner where the stone block and the stone block are in contact when the stone block 1 is directly stacked. This is because the support area is large at the time of stacking, Construction can be done.

한편, 상기한

Figure utm00019
형, T형, +형 지지구(2a)(2b)(2c)는 두께가 석재블록(1)의 홈(11)의 폭(w)을 감안하여 제작되어야 하며 홈 폭에 비해 지나치게 얇거나 두꺼우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상실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utm00019
The tongues 2a and 2b and 2c should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w of the grooves 11 of the stone block 1 and be excessively thin or thick It will fail to function or lose its function.

또 상기 지지구(2a)(2b)(2c)를 지지블록(1)의 홈(11)에 조립할 때는 접착제나 충진제와 함께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s 2a, 2b, 2c are fitted together with an adhesive or a filler when assembling the support portions 2a, 2b, 2c into the grooves 11 of the support block 1.

위와 같이 지지구(2a)(2b)(2c)를 이용하여 석재블록(1)을 조적하게 되면, 상기 지지구(2a)(2b)(2c)에 의해 석재블록(1)과 석재블록이 서로 맞물려 조적될 수 있게 됨으로서 매우 견고한 조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도5A, 도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쌓기를 하거나,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쌓기를 할 때 비전문가라 할지라도 손쉽게 조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tone block 1 is assembled by using the support 2a 2a 2b and 2c as described above, the stone block 1 and the stone block are separated by the support 2a, 2b, 5A and 5C, or when stacking in a zigzag manner as shown in FIG. 5B, it is possible to easily arrange even a non-specialist It will be possible.

한편, 본 고안은 석재블록(1)의 정면에 전체 그림이나 문양의 일부분을 양각 또는 음각 형성하여 이들을 모자이크식으로 조립 시공하여 벽면 전체가 하나의 특정 그림이나 무늬가 배치되게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whole picture or a part of a pattern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a stone block 1 in a relief or a relief, and these are assembled and assembled in a mosaic manner, so that one specific picture or pattern can be arranged on the entire wall surface.

위와 같이 모자이크식으로 그림이나 기호 등이 조합되도록 석재블록(1)을 형성할 경우 벽면(10) 자체를 석재블록(1)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콘크리트로 벽체(4)를 먼저 형성하고, 이 벽체에 앵커볼트(3)를 이용하여 연결바(21)가 구비된

Figure utm00020
형, T형, +형의 지지구(2a)(2b)(2c)로서 석재블록(1)을 설치하게 되면 두께가 비교적 작은 석재블록으로 벽면(10)을 형성하더라도 마치 크고 두꺼운 석재로 시공한 것과 같은 벽체로 인식되게 되어 원가절감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When the stone block 1 is formed in a mosaic manner so as to combine pictures or symbols, the wall surface 10 itself may be formed of the stone block 1, but the wall 4 may be formed of concrete, The anchor bolts 3 are provided on the wall and the connecting bars 21
Figure utm00020
If the stone block 1 is provided as the support 2a, 2b, or 2c of a T-shaped or T-shaped structure, even if the wall surface 10 is formed of a stone block having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It will be recognized as the same wall as the wall, and the cost saving effect will be maximized.

Claims (1)

상하좌우측면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Figure utm00021
형 홈을 형성하여서 된 통상의 석재블록을 안정적으로 조적할 수 있도록
Figure utm00022
형 지지구나 T형 지지구, 또는 +형 지지구를 구비하되, 상기
Figure utm00023
형 지지구나 T형 지지구, 또는 +형 지지구의 내측 면에 연결바를 구비하여, 앵커볼트(3)로서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4)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블록 조적용 지지구.
On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Figure utm00021
So that the ordinary stone blocks formed by forming the grooves can be stably fixed
Figure utm00022
Shaped support, a T-shaped support, or a positive support,
Figure utm00023
And a connecting bar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shaped support or the + type support so that the anchor bolt 3 can be securely fixed to the concrete wall 4 of the building. District.
KR2020150005807U 2015-08-28 2015-08-28 stone block of construction KR2015000382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07U KR20150003825U (en) 2015-08-28 2015-08-28 stone block of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807U KR20150003825U (en) 2015-08-28 2015-08-28 stone block of constru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652 Division 2014-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25U true KR20150003825U (en) 2015-10-20

Family

ID=5443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807U KR20150003825U (en) 2015-08-28 2015-08-28 stone block of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82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6774B1 (en) Building block
EA012686B1 (en) Wooden building element for constructing the walls of a building
US20050204663A1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US20140305062A1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KR101609249B1 (en) 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US20140196392A1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KR20150003825U (en) stone block of construction
JP6382263B2 (en) Concrete block
US9683368B1 (en) Encompassing mortarless locking blocks
JP2008156912A (en) Assembly member and assembly using the same
ITUD20000125A1 (en) MORTAR FREE BRICK
CN111032976B (en) Construction modul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0196312A (en) Block for masonr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735818B2 (en) Space formation
JP3171173U (en) Blindfold fence
JP5620850B2 (en)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ies
KR101925956B1 (en) Corner structure using block for constructing wall
CN206091065U (en) Integrated room structure base roof beam
JP3200717U (en) Concrete block with joint spacer
WO2008108765A1 (en) Concrete block for forming columns
KR20110101746A (en) A brick
JP2011163033A (en) Decorative form for concrete and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KR101925969B1 (en) Corner structure using block for constructing wall
JP3199087U (en) Top-end unit block body of a civil engineering building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