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642U -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 Google Patents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642U
KR20150003642U KR2020140002459U KR20140002459U KR20150003642U KR 20150003642 U KR20150003642 U KR 20150003642U KR 2020140002459 U KR2020140002459 U KR 2020140002459U KR 20140002459 U KR20140002459 U KR 20140002459U KR 20150003642 U KR20150003642 U KR 201500036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nitor
unit
data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4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상민
남일우
Original Assignee
남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일우 filed Critical 남일우
Priority to KR2020140002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642U/en
Publication of KR20150003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4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7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을 구비한 고해상도 모니터 갤러리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에서 계절, 인물, 풍경, 예술 작품 등의 사진 또는 영상이 출력되어 사진 또는 영상이 창 밖의 풍경을 나타내는 효과를 주기 위한 창문을 구비한 고해상도 모니터 갤러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영상 출력 명령에 의해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부 및 모니터부의 사면을 둘러싸고 창문틀이 형성되며 창문틀의 양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열었을 때 모니터부에서 출력되는 사진 또는 영상이 보이도록 하는 창문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resolution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in which a photograph or an image such as a season, a person, a landscape, or an artwork is output from a monitor having a window, and a window To a high-resolution monitor gallery.
A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 unit for outputting photo data or image data by a video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a window frame surrounding the slope of the monitor unit and being openable and closable on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And a window for displaying a photograph or an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when it is opened.

Description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본 고안은 창문을 구비한 고해상도 모니터 갤러리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에서 계절, 인물, 풍경, 예술 작품 등의 사진 또는 영상이 출력되어 사진 또는 영상을 통해 창 밖의 풍경을 보는 효과를 주기 위한 창문을 구비한 고해상도 모니터 갤러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resolution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in which a photograph or an image of a season, a person, a landscape, an art work, or the like is output from a monitor having a window to give an effect of viewing a scene outside the window To a high-resolution monitor gallery having windows.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계절, 인물, 풍경, 예술 작품 등의 사진, 그림 등을 보기 위해서는 사진을 넣은 액자 프레임이나 그림 틀에 넣은 그림을 선반이나 책상 위에 올려놓거나 벽면에 걸어 놓는다. 사람들은 자신이 보고 싶어하는 사진, 그림 등을 보며 정서적인 만족감을 얻고 예술적인 소양을 높인다.In general, in order to view photographs and pictures of seasons, people, landscapes, works of art, etc., a picture frame frame or a picture frame with a photograph is placed on a shelf or a desk or hanged on a wall. People see pictures and pictures they want to see, get emotional satisfaction and increase artistic literacy.

사진, 그림 등을 넣는 액자 프레임, 그림 틀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내어지고 있는데, 종래 기술 등록 실용 신안 공보 제20-0372803에는 그림이나 미니어쳐 기념물 등을 액자 프레임 안에 장치하고 내부의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소리나는 액자가 개시되어 있는 등 기술을 통해 그림을 감상하는 데 있어 여러 가지 효과를 더해주는 발명이 개발되고 있다.A frame frame and a picture frame for inserting a picture, a picture,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various form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the official invention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2803 is that a picture or miniature monument is placed in a frame frame, And a sound picture frame which generates a sound image is generated. In addition, an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which adds various effects to the appreciation of a picture through a technique.

하지만, 종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소리 나는 액자와 같은 발명은 하나의 그림 또는 기념물 등에 대해 사진, 그림 등을 감상하는 데 있어 정서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한계가 있다.
However, an invention such as a sound frame that generates a conventional soun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give an emotional effect to a photograph, a picture, or the like in viewing a picture or a monument.

등록 실용 신안 공보 20-0372803 '소리나는 액자'Registration Practical Newspaper Bulletin 20-0372803 'Sound Frame'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창문이 없는 벽이나 창문이 없는 장소에서도 풍경을 보고 싶을 때 다양한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has a purpose to produce various scenes when viewing scenery even in a window without a window or a window.

또한, 본 고안은 예술 작품을 단순하게 보는 것 이외에 창문이라는 구성을 통해 예술 작품이 창문 밖의 풍경이 되어 예술 작품을 보는 심미적 효과를 더해주기 위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is design is aimed at adding aesthetic effect of art works to art works by making the art works as a landscape outside the window through the composition of windows as well as simply viewing art works.

또한, 본 고안은 사진, 그림의 수에 제한받지 않고 많은 사진 또는 영상을 쉽게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asily display a large number of pictures or images to the user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number of pictures and picture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영상 출력 명령에 의해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부의 사면을 둘러싸고 창문틀이 형성되며 상기 창문틀의 양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열었을 때 상기 모니터부에서 출력되는 사진 또는 영상이 보이도록 하는 창문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nitor gallery including a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 unit for outputting photo data or image data by a video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a window for opening and closing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to allow a photograph or an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to be displayed when the window frame is opened.

상기 모니터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로 출력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출력 명령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출력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The monitor unit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 image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transmitting an output command signal to a storage unit storing image data or image data,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corresponding photo data or image data, and a display unit for transmitting and outputting photo data or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니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USB, 메모리카드 슬롯, 케이블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와이브로,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face unit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nitor unit and receives any one of the USB, the memory card slot, and the cable terminal, receives the photo data or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And receives image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모니터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악 출력 명령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에서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nito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for receiving music data in a storage unit storing music data by a music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outputting the music data.

상기 저장부는,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들의 영상 리스트와 저장된 상기 음악 데이터들의 음악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리스트 출력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영상 리스트 또는 상기 음악 리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unit stores the video list of the stored video data and the music list of the stored music data, and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list output request by the user, the interface unit stores the video list corresponding to the video list or the music list Or music data is transmitted.

상기 모니터부 뒷면에는 상기 모니터부를 벽에 걸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groove is formed on a back surface of the monitor unit so that the monitor unit can be hung on the wall.

상기 창문은, 여닫이창, 오르내리창, 미서기창, 미들창, 들창, 미닫이창, 블라인드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window of a casement window, an up / down window, a tail window, a middle window, a window, a sliding window, and a blind window.

본 고안은 창문이 없는 벽면, 창문이 없는 장소에서도 풍경을 보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가 있다.This design has the visual effect of looking at the scenery even on a wall without a window or a window without a window.

또한, 본 고안은 예술 작품을 단순하게 보는 것 이외에 창문이라는 구성을 통해 예술 작품이 창문 밖의 풍경이 되어 예술 작품을 보는 심미적 효과를 더해주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is design has the effect of adding the aesthetic effect of seeing the art works because the art works become the scenery outside the window through the composition of windows in addition to simply viewing art works.

또한, 본 고안은 창문이 닫혀있을 때에도 밀폐된 공간에 창문이 있음으로써 개방적인 공간감을 느끼게하는 인테리어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ior effect that allows an open feeling of space by having a window in an enclosed space even when the window is closed.

또한, 본 고안은 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많은 사진 또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wing a lot of pictures or images to a user by having a storage uni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을 가진 모니터 갤러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스트 및 음악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리스트,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부의 뒷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을 가진 모니터 갤러리를 거실에 적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ni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ideo list and a music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back side of a moni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living roo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을 가진 모니터 갤러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창문을 가진 모니터 갤러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출력 명령에 의해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부(110) 및 모니터부(110)의 사면을 둘러싸고 창문틀(120)이 형성되며 상기 창문틀(120)의 양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열었을 때 모니터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진 또는 영상이 보이도록 하는 창문(130)을 포함한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 110 for outputting photo data or image data by an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a monitor 110 for surrounding the slope of the monitor 110, And a window 1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12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a photograph or an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110 can be seen when the window 120 is opened.

창문틀(120)은 기본적으로 모니터부(110)의 사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지만 모니터부(110)의 좌우에 형성되어 좌우에 형성된 각각의 창문틀(120)의 양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된 창문(130)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window frame 120 is basically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lope of the monitor unit 110 but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nitor unit 110 and has a window 1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120, (130) may be formed.

본 고안은 단순히 사진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보는 이에게 창문(130)이라는 시각적 효과를 함께 주어 사진 또는 영상을 창 밖의 풍경을 보는 것처럼 느끼게 해준다. 모니터부(110)에서 겨울의 계절을 나타내는 사진이나 히말라야 산맥을 보여주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면 적도에 위치한 지역이나 주위에 사막만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도 창문을 열었을 때 겨울의 계절을 보고 느낄 수 있는 효과를 줄 수 있다. The idea is not simply to output a picture or image, but to give the viewer a visual effect called a window (130), which makes the picture or video feel like a landscape outside the window. In the monitor 110, when photographs or image data showing the season of winter or the Himalayas are output, it is possible to see and feel the season of winter when the window is opened in the area located in the equator or in the area where only the desert exists Can give effect.

모니터부(110)에서는 고흐, 피카소, 칸딘스키과 같은 화가들의 작품이 출력될 수 있다. 모니터부(110)에서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이라는 작품이 출력된다면,예술 작품을 단순히 보는 것 이상으로 창문(130)이라는 시각적 효과가 더해짐으로써 현재 창 밖의 풍경이 별이 빛나는 밤이라는 장면이 연출되는 효과를 주게 되는 것이다.In the monitor unit 110, works of artists such as Gogh, Picasso, and Kandinsky can be output. If the artwork of the star of Van Gogh is displayed on the monitor 110, the visual effect of the window 130 is added more than simply viewing the art work, so that the scene outside the current window is a night in which stars are shining It will give effect.

모니터부(110)는 일반적으로 사진이 인쇄된 인화지나 그림이 그려진 캔버스가 아닌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되는 화면과 같은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니터부(110)는 엘씨디 디스플레이(LCD Display), 엘이디 디스플레이(LED Display), 피디피 디스플레이(PDP Display), 오엘이디 디스플레이(OLED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ouch panel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재의 모니터부(110)는 모니터부(110)의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사진 또는 영상의 화질을 높일 수 있어 보는 이에게 선명한 고화질의 사진 또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nitor unit 110 generally functions as a screen for outputting picture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rather than a canvas in which a picture or a picture is printed. Accordingly, the monitor unit 110 may be an LCD display, an LED display, a PDP display, an OLED display, a flexible display, a touch panel display ) And the like. The monitor 110 of such a member can enhance the quality of a photo or image out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nitor 110, thereby providing a sharp high-quality photo or image to the viewer.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니터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40)로 출력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111)와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저장부(140)에서 출력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12) 및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수신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출력하는 표시부(113)을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the monitor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transmits an output request signal to the storage unit 140 in which photo data or image data is stored The interface unit 112 and the interface unit 112 receiving the image data or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output request signal in the storage unit 140 receiving the output request signal, And a display unit 113 for transmitting and outputting image data.

본 고안은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114), 마우스(114), 키보드(114) 등을 통해 출력 명령이 모니터부(110)에 입력되면 출력 명령을 수신한 모니터부(110)의 제어부(111)에서 저장부(140)로 출력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저장부(140)는 출력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12)로 송신하고 인터페이스부(112)는 수신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13)로 전송하여 표시부(113)에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user inputs an output command to the monitor unit 110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114, the mouse 114 and the keyboard 114, the control unit 111 of the monitor unit 110 receives the output command. And transmits an output request signal to the storage unit 140. The storage unit 140 receiving the output request signal transmits the photo data or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output request signal to the interface unit 112 and the interface unit 112 transmits the received photo data or image data to the display unit 113. [ And the display unit 113 outputs the photo data or the image data.

인터페이스부(112)는 모니터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USB, 메모리카드 슬롯, 케이블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유선 통신을 통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와이브로,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HSDPA, 와이맥스, 유더블유비, IrDA, SWA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무선 통신을 통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The interface unit 11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nitor unit 11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photograph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And receives image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is composed of WiBro, WiFi, ZigBee, Bluetooth, HSDPA, WiMAX, UDB, IrDA or SWAP.

사용자의 입력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리모컨(114), 키보드(114), 마우스(114) 등으로 모니터부(110)에 출력 명령을 입력하지만,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모니터부(110)를 터치함으로써 출력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터치(114)를 통해 출력 명령이 입력된다면, 모니터부(110)의 표시부(113)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ouch Panel Display)로 구성되며, 표시부(113)는 입력 받은 출력 명령을 제어부(111)로 송신하여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13)에서 출력된다.The user's input can be done in various ways. An output command may be inputted to the monitor unit 110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114, the keyboard 114, the mouse 114 or the like in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have. The display unit 113 of the monitor unit 110 is configured as a touch panel display and the display unit 113 displays the input output instruction to the control unit 111 And outputs image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2 on the display unit 113. [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모니터부(110)에 카메라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을 흔드는 등의 사용자의 특정한 몸짓을 사용자의 입력으로 인식한 카메라부(미도시)가 출력 명령을 제어부(111)로 송신하여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표시부(113)를 통해 출력되어진다.In addition, a user's input is provided with a camera unit (not shown) in the monitor unit 110, and a camera unit (not shown) recognizing the user's specific gesture such as shaking his hand, (111), and the picture data or the picture data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이동통신 단말기(114)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14)로 출력 명력이 입력된다면, 모니터부(110)의 제어부(111)는 이동통신 단말기(114)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lso, the input of the user may be mad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4 as well. The control unit 111 of the monitor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4 if the output power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4. [

저장부(140)는 SD 카드, USB 메모리, 메모리 스틱, 클라우드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지는데, 사용자의 입력의 형태와 저장부(14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로 모니터부(110)에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지고, 저장부(140)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된다면, 사용자가 한라산의 백록담을 촬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니터부(110)의 제어부(110)로 출력 명령을 입력하고, 동시에 저장부(140)의 역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백록담을 촬영한 백록담 사진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여 표시부(113)에서 출력되는 것이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any one of an SD card, a USB memory, a memory stick, a cloud serv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monitor unit 110, So that the image data or the image data can be output. For example, if the user inpu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torage unit 140 is als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e user takes a picture of Halla Mountain and saves i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inputs an output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10 of the monitor unit 110 through a program or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displays the Baikkoldam photo data of the Baikkulda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ng as the storage unit 140 And is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3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제어부(111)는 기본적으로 모니터부(110)에 포함되어 있지만, 제어부(111)의 기능 즉, 사용자에 의해 출력 명령을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출력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이 모니터부(110)에 포함되지 않고 모니터부(110)와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1)는 PC,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기존의 기기가 될 수도 있고, 또한, 제어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출력 명령을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출력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본 고안의 모니터부(110)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구성되어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1 is basically included in the monitor unit 110. The control unit 111 includes a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11, that is, a function of receiving an output command by a user and transmitting an output request signal to the storage unit 140 May not be included in the monitor unit 110 but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nitor unit 11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11 may be an existing device such as a PC,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Further, the control unit 111 may receive an output command from a user and transmit an output request signal to the storage unit 140 And the monitor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performs only a function of outputting photo data or image data, and may be implemented by being connected by wir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모니터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 중에 선택되어 출력되며, 저장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는 모니터부(110)에서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는데, 모니터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의 수와 다수의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때의 시간 간격이 미리 설정되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의 종류와 갯수, 시간 간격 등은 미리 설정되어 다양한 형태로 모니터부(110)에서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The photo data or image data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110 is selected and output from the photo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one or more pieces of photo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monitor unit 110 are output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number of the photo data or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110 and the number of the photo data or the image data are outputted can be set and output in advance. The type and number of output image data or image data, the time interval, and the like can be preset and output from the monitor 110 in various forms.

저장부(140)에 사진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모니터부(110)에서 출력되도록 하기 때문에 저장부(140)의 용량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다양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되게 할 수 있다.Since the photo or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is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110, various photo data or image data can be stored within a range not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40, Data can be output.

또한, 모니터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악 출력 명령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40)에서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피커(미도시)를 구비하는 본 고안은, 그림 또는 사진을 영상으로 얻는 시각적인 효과와 음악으로 얻는 청각적인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어 심미적 효과를 더해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주기 위해서 저장부(140)에는 음악 데이터 또는 효과음 데이터와 같은 청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모니터부(110)에서 출력시 함께 출력되게 한다.The monitor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not shown) for receiving the music data in the storage unit 140 storing the music data by the music output command input by the user and outputting the music data ha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peaker (not shown) can provide both a visual effect of obtaining a picture or a picture as an image and an auditory effect obtained by music, thereby adding an aesthetic effect. In order to achieve this effect,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udio data, such as music data or sound effect data, so that the photo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s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110 To be output together.

저장부(140)에는, 음악 데이터 또는 효과음 데이터가 저장되어 제어부(111)의 음악 출력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음악 데이터 또는 효과음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모니터부(110)로 송신한다. 음악 데이터 또는 효과 데이터는 저장부(140)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하여 하나의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 여러 가지의 음악 데이터 또는 효과음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사진 데이터, 영상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의 조합은 미리 설정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흐의 그림이 모니터부(110)에서 출력될 때 비틀즈의 렛잇비 또는 예스터데이 등의 노래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출력되는 것이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music data or sound effect data and transmits music data or sound effect data corresponding to the music output command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1 to the monitor unit 1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2. [ The music data or effect data may be variously stor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40 so that various music data or effect sound data can be output when one picture data or image data is output, The combination of music data and sound effect data is set and used in advance. For example, when the picture of the goggles is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110, song data such as Lett. Of Beatles or Yeast Day is output in a predetermined order.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리스트 및 음악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리스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40)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의 영상 리스트와 저장된 상기 음악 데이터들의 음악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제어부(111)가 리스트 출력 요청을 입력받으면 인터페이스부(112)로 영상 리스트 또는 음악 리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EH는 음악 데이터를 전송한다. 저장부(140)에는 영상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진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도 각각을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사진 리스트, 효과음 리스트도 저장된다.FIG. 4 is a list schematically showing a video list and a music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 video list of stored video data and a music list of the stored music data. When the control unit 111 receives a list output request by the user, the interface unit 112 The image data EH corresponding to the image list or the music list transmits the music data.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 picture list and an effect sound list for sequentially outputting not only image data and music data but also picture data and effect sound data.

예를 들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영상 데이터들의 리스트인 영상 리스트와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음악 데이터들의 리스트인 음악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어 영상 리스트에 있는 영상 데이터와 음악 리스트에 있는 음악 데이터가 출력된다. 사진 리스트, 영상 리스트, 음악 리스트, 효과음 리스트들이 출력되는 순서는 미리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도 있고, 랜덤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For example, in order to output stored video data, a video list, which is a list of video data predetermined in advance, and a music list, which is a list of music data that are predetermined to output the stored music data, are stored, Is output. The order in which the photo list, the image list, the music list, and the sound effect list are output may be sequentially outpu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or may be randomly output, which is preset by the user.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어부(111)에 음악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저장부(140)로 음악 출력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음악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한 저장부(140)는 음악 출력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음악 리스트에 따라 음악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12)로 송신하고 음악 리스트에 대한 음악 데이터를 수신한 인터페이스부(112)는 출력부(113)로 음악 데이터를 송신하여 출력부(113)에서 음악 리스트에 대한 음악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이다.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와 음악 데이터 또는 효과음 데이터의 조합을 통한 리스트는 다양하게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즉, 어떠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와 어떠한 음악 데이터 또는 효과음 데이터를 함께 출력하는지는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출력되어 날씨, 기분, 인테리어 등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a music output command to the controller 111, the controller 111 transmits a music output request signal to the storage unit 140. The storage unit 140 receiving the music output request signal transmits the music data to the interface unit 112 according to the music list corresponding to the music output request signal and the interface unit 112 receiving the music data for the music list The music data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113, and the output unit 113 outputs the music data for the music list. The list through the combination of picture data or video data and music data or sound effect data is preset by various users.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various kinds of picture data or image data and any music data or effect sound data together according to weather, mood, interior, etc.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effect.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부의 뒷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을 가진 모니터 갤러리를 거실에 적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니터부(110)의 뒷면에는 모니터부(110)를 걸개에 걸 수 있도록 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living room. As shown in FIG. 5, a groove 15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monitor unit 110 can be hooked on the hangers.

본 고안은 모니터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진 또는 영상을 창문(130)의 시각적 효과를 더한 고안으로서 일반적으로 벽면에 거는 형식으로 구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실에 본 고안의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를 벽에 걸 수 있도록 모니터부(110)에 홈(15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는 모니터부(110)에 고리(미도시)를 형성하여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를 벽에 걸 수도 있다. 이러한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를 벽면에 걸게 되면 창이 없는 벽면, 창이 없는 장소에서도 창문(130)을 열면 풍경이 보이는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dding a visual effect of the window 130 to a photograph or an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110, and generally hanging on a wall. A groove 150 is formed in the monitor unit 110 so that a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hung on a wall in a living room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a monit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monitor unit 110 to hang a mo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on the wall. When the monitor gallery having such a window is placed on the wall, the window 130 can be made to feel as if the landscape is visible even in a window without a window or a window without a window.

또한, 창문(130)의 모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닫이창뿐 아니라 오르내리창, 미서기창, 미들창, 들창, 미늘창, 미닫이창, 블라인드창 등의 다양한 모양의 창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window 130 can be realized by windows of various shapes such as an upward / downward window, an undershooting window, a middle window, a window, a louver, a sliding window, a blind window, have.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110: 모니터부 111: 제어부
112: 인터페이스부 113: 표시부
114: 사용자 입력(리모컨, 마우스, 키보드, 터치) 120: 창문 틀
130: 창문 140: 저장부
110: Monitor section 111: Control section
112: interface unit 113: display unit
114: user input (remote control, mouse, keyboard, touch) 120: window frame
130: window 140: storage unit

Claims (7)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영상 출력 명령에 의해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부의 사면을 둘러싸고 창문틀이 형성되며 상기 창문틀의 양측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어 열었을 때 상기 모니터부에서 출력되는 사진 또는 영상이 보이도록 하는 창문;
을 포함하는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
A monitor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or image data according to a video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A window that surrounds the slope of the monitor unit and is formed with a window frame and is opened and closed on both sides of the window frame to allow a photo or image output from the monitor unit to be displayed when the monitor unit is opened;
A monitor gallery with a window containing the moni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영상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로 출력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상기 출력 명령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출력 명령 신호에 대응되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 unit,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 image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transmitting an output command signal to a storage unit in which picture data or image data is stored;
An interface unit receiving image data or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output command signal in the storage unit that receives the output command signal; And
A display unit for transmitting and outputting photo data or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a monitor window having a window.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모니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USB, 메모리카드 슬롯, 케이블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와이브로, 와이파이, 지그비,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terface unit includes: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nitor unit and receives either photo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a USB, a memory card slot, or a cable terminal. And receives image data or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악 출력 명령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에서 음악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을 구비한 갤러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 unit,
Further comprising: a speaker for receiving music data in a storage unit storing music data by a music output command input by a user and outputting the music dat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들의 영상 리스트와 저장된 상기 음악 데이터들의 음악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리스트 출력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영상 리스트 또는 상기 음악 리스트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을 구비한 갤러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mage list of the stored image data and the music list of the stored music data are stored and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list output request by the user, the interface unit displays image data or music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list or the music list Wherein the window has a plurality of window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 뒷면에는 상기 모니터부를 벽에 걸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onitor window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nitor unit so that the monitor unit can be hung on a wa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여닫이창, 오르내리창, 미서기창, 미들창, 들창, 미닫이창, 블라인드창 중 어느 하나의 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을 구비한 모니터 갤러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ndow
A monitor window having a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ow is one of a casement window, an up / down window, a wandering window, a middle window, a window, a sliding window, and a blind window.
KR2020140002459U 2014-03-27 2014-03-27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KR2015000364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59U KR20150003642U (en) 2014-03-27 2014-03-27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59U KR20150003642U (en) 2014-03-27 2014-03-27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42U true KR20150003642U (en) 2015-10-07

Family

ID=5434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459U KR20150003642U (en) 2014-03-27 2014-03-27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64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12Y1 (en) * 2019-11-13 2020-06-09 주식회사 세종지에스 Glass wall assembly with LED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812Y1 (en) * 2019-11-13 2020-06-09 주식회사 세종지에스 Glass wall assembly with LED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3342A1 (en) Weather displaying method and device
CN107438813A (en) Including the leader's method, apparatus investigated for virtual reality and the system for participating in method, apparatus
KR101714983B1 (en) Server and user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ugmented reality by using products and products of thereof
CN202153042U (en) Air conditioner
JP2014106837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2696278A3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66063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55235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projection system
KR20150003642U (en) Mornitor Gallery having a window
EP3336601A1 (en) A photo terminal stand system
US10649710B2 (en) Electronic content simulation for digital signage
WO2018130909A3 (en) Images with virtual reality backgrounds
Brusila Realismista fiktioon. Visuaalisuus ja suomalaiset aikakauslehdet.
CN102818335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89439B1 (en) Smart fram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133255U1 (en) WINDOW SIMULATOR
KR1013556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visitors' book
Suess Light matter: the transdisciplinary practice of the architectural moving drawing
Beugnet The Gulliver effect: screen size, scale and frame, from cinema to mobile phones
Landry Stereographic Scenography: Ersan Mondtag’s (Post) colonial Frame in De Living
KR101293684B1 (en) User terminal taking picture with celebrities
KR200342961Y1 (en) Digital album picture frame
US20160043335A1 (en) Transparent oled architectural partition and method
US119672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in a context-dependent manner
Scott et al. A sustainability photography compet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