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623U -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 Google Patents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623U
KR20150003623U KR2020140002369U KR20140002369U KR20150003623U KR 20150003623 U KR20150003623 U KR 20150003623U KR 2020140002369 U KR2020140002369 U KR 2020140002369U KR 20140002369 U KR20140002369 U KR 20140002369U KR 20150003623 U KR20150003623 U KR 20150003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user
extension
training apparatus
low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일 filed Critical 김광일
Priority to KR2020140002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623U/ko
Publication of KR20150003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2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08Spring-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단련기구라고 불리우는 점핑 도약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체단련기구는 사용자가 상 보드판 위에서 올라서서 상,하로 점핑할 수 있는 도약운동 및 이와 동시에 좌,우로 이동하는 스테핑 운동을 함께 수행한다.
위와 같은 운동을 실시하면, 상,하로 구를 때 점핑와 같은 유산소운동의 효과가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좌,우로 움직이며 스키동작의 허리 운동을 겸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신체단련기구는 보관 및 이동의 편의를 위해서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좁힐 수도 있고, 또 이와는 반대로 사용시에 좌,우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를 받도록 그 좌,우 폭을 넓힐 수도 있다.

Description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Extension Means For Trampoline}
본 고안의 기술분야는 일반적으로 신체단련기구라고 불리우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 방향으로 스테핑운동 및 상,하 방향으로 점핑운동을 동시에 달성하는 신체단련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신체단련기구는 사용자가 상 보드판 위에서 올라서서 상,하로 도약하는 수직변위와 이와 동시에 좌,우로 이동하는 수평변위를 함께 수행한다.
위와 같은 운동은 상,하로 구를 때 점핑운동과 같은 유산소운동의 효과가 있으면서 이와 동시에 좌,우로 스테핑운동으로 움직이며 스키동작의 허리 운동을 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는,
바닥에 놓이고 사용자를 지탱하도록 서로 대면하는 상,하 보드판과;
상기 상,하 보드판을 상호 이격시키도록 상,하 각 단부가 상기 각 보드판과 힌지연결되는 좌,우 스트럿과;
상기 보드판의 상호 간격을 복원하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복원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0732호(2011.12.01)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힌지연결은 특정한 방향으로만 굴절하는 회전수단이다. 상기 힌지연결의 역할로 인하여 상기 좌,우 스트럿과 상기 상,하 보드판이 4절 링키지를 구성하여 대변이 서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사다리꼴 형태와 장방형 형태를 오가면서 운동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드판은 통상적으로 보드 형태로 제공되어서 상 보드판은 사용자가 발을 얹기 편하도록, 그리고 하 보드판은 바닥에 놓여 단단히 지지받도록 형태를 취하여 제공되어진다.
상기 스트럿은 보드 형태로 제공되거나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어 그 상단부는상기 상 보드판의 저부와 힌지연결 되고, 하단부는 상기 하 보드판의 상부에 힌지연결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4절 링크운동 후 원형, 원위치가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탄성부가 포함된다. 상기 복원탄성부는 금속재 스프링 또는 고무줄과 같은 인장 고무부재 등을 부재로 하여 만들어진다.
더하여,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판을 구비하여 상,하,좌,우 운동에 더하여 회전운동이 추가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신체단련기구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구르는 운동을 실시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사이즈의 부피를 갖는다. 그래서 유통, 이동, 보관을 위하여 박스에 포장될 때 그 부피가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하 보드판의 좌,우의 길이 즉, 좌,우 폭이다.
따라서, 유통의 비용저감 및 효율을 위해서 가능한 포장 박스의 부피를 줄이도록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줄일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사용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해서도 신체단련기구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줄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반면에 신체단련기구의 전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최대한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넓혀야 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와 같은 종래의 신체단련기구 경우에는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넓히고 좁히는 효율적인 수단이 없거나 설령, 있다고 하더라도 그 구성의 효율이나 작용효과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명백한 것이다.
즉, 종래의 신체단련기구의 전체 부피 가운데서 가장 문제가 되는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필요에 따라 넓히거나 좁히는 수단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술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수직으로 이격되어 각각 수평으로 놓이며, 사용자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받는 상 보드판 및 상기 체중을 포함한 전체 하중을 바닥과 접촉하는 하 보드판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체중 및 상기 상 보드판의 하중을 포함한 전체 하중을 상기 하 보드판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상,하 보드판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 보드판의 사이에 세워져서 좌,우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되는 좌 스트럿 및 우 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보드판의 이격된 간격이 사용자의 체중 또는 좌,우 스테핑운동에 의한 외력의 작용으로 변경되면 이를 원상태로 탄성복원키는 복원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체단련기구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서,
사용자가 탑승하여 좌,우 스테핑운동을 실시할 시에 상 보드판의 좌,우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연장지지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지지부는 좌,우로 그 폭이 신축될 수 있는 수단이 추가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효과는,
신체단련기구의 전체 부피 가운데서 가장 문제가 되는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필요에 따라 넓히거나 좁히는 수단을 제시하여서,
유통, 운송, 보관 시에는 신체단련기구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좁히고, 반면에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탑승하여 안정적으로 운동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하 보드판의 좌,우 폭을 최대한 확장시켜 넓힐 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단련기구의 전체 외형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체단련기구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단련기구의 하 보드판(200) 특히, 연장지지부(210)를 투시하여 보인 부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장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하 보드판의 일부 해체를 보인 부분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하 보드판을 일부 해체를 보인 부분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체단련기구의 상기 하 보드판을 투시하여 보인 부분도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의 여러 실시례와 함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기본적인 토대는 상기 등록특허와 같은 종래의 구성을 인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본 고안의 신체단련기구의 전체적인 외형을 사시도로 보인 도 1 및 저면 일부를 보인 도 2의 예시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수직으로 적어도 20cm 이상 이격되어 수평으로 놓이며 상측에 배치되는 상 보드판(100) 및 하측에 배치되는 하 보드판(200);
상기 상,하 보드판(100, 200)이 서로 이격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사이 좌,우에 각각 세워져서 배치되는 좌 스트럿(300) 및 우 스트럿(400);
상기 상,하 보드판(100, 200)의 이격된 거리 즉, 간격이 사용자의 체중 또는 좌,우 이동을 일으키기 위한 외력의 작용으로 변경되면 이를 탄성복원키는 복원탄성부(600);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좌,우 스트럿(300, 400)의 각 상단은 상기 상 보드판(100)의 저부 평면에 힌지연결(500)되고,
상기 좌,우 스트럿(300, 400)의 각 하단은 상기 하 보드판(200)의 상부 평면에 힌지연결(500)되어 4절 링키지 운동이 가능하게 작동한다.
발판의 역할을 하는 상 보드판(100)과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하 보드판(200)이 연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 보드판(200)의 경우면으로 연장되는 연장지지부(210)를 구비하여 도4와 같이 상기 보드판이 옆으로 하강한 상태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 보드판(100)은 사용자의 발을 지탱하므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강하여야 하며 이러한 기능은 힌지의 굴절방향 또는 회전방향이 좌,우로 동일한 힌지연결(500)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달성된다.
만일, 상,하 보드판(100, 200)의 너비 크기가 서로 달리하여 운동을 진행할 시에는 상기 상 보드판(100)이 기운상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이 관성으로 바깥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는, 그 역으로 구성하여서 그 역의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경사 혹은 기울임이 지나치게 크게되면 오히려 균형유지가 어려워지므로 상기 수평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울도록 상,하 보드판(100, 200)의 너비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힌지연결(500)이 좌,우 뿐만아니라 전,후측으로도 굴절하도록 된다면 전,후측으로도 4절링크운동을 하도록 될 것이다. 전,후측으로만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좌,우을 전,후측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전,후,좌,우로 운동을 이루는 것은 좌,우로 굴절운동을 할 힌지연결(500) 및 전,후로도 굴절운동을 할 힌지연결(500)을 동시 구비한 힌지연결(500)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연결(500)은 하나의 교차하는 축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재이음(Universal Joint)을 사용하여서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은 전,후 측으로도 연장지지부(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전,후,좌,우 외의 곳으로 운동의 궤적을 이루려면 상기 힌지연결(500)의 방향을 그 곳을 향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어느 경우이던 중요한 것은 힌지연결(500)들의 굴절방향이 동일하도록 구성해서 평행사변형을 유지하며 운동을 해야 하며 그렇지 않고 힌지연결(500)의 방향이 다르면 작동이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힌지연결(500)은 어느 한 곳에만 설치하고 나머지에는 그냥 굴절만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신체단련기구는 어떤 형태이던 하 보드판(200)에 대하여 상 보드판(100)이 좌,우 상,하로 평행이동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한 곳의 힌지연결(500)만으로 다른 모든 연결부위의 굴절 회절의 방향을 정해주어야 하는 결과가 되어 장치에 무리가 가거나, 유격이 커져서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힌지연결(500)의 설치 장소는 둘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과정을 통하여 상,하,좌,우 점핑 신체단련기구 운동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사용자는 발판의 역할을 하는 상 보드판(100)에 탑승한 상태에서 한번은 좌측 하방으로; 그리고 복귀하여 중앙측 상방으로; 또 한번은 우측 하방으로; 위치를 변경하는 이동 동작의 자리이동을 하면서 점핑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연결(500)은 굴절이 가능한 하나이 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립힌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립힌지로 제공되는 힌지연결(500)은 굴절후 원형을 복원하도록 탄성체의 부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탄성복원 기능의 복원탄성부(600)를 겸할 수 있다.
복원탄성부(600)는 그 배치된 위치나, 고정된 위치에 따라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 고무띠 형태의 복원탄성부(600) 단부의 고정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고정 위치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탄성력 및 탄성을 주는 방법이 가능하다.
복원탄성부(600)의 좌,우 단부를 상기 좌,우 스트럿에 각각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유통 또는 장소 이동을 위한 운반, 보관시 접어서 부피를 줄이는 데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원탄성부(600)의 단부에 후크를 설치하고 상기 스트럿에 상기 후크를 걸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하여 서로 결착하고 반대로 해제하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허리 트위스트 운동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 보드판(100)의 제공에 있어서 상기 상보드판은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 보드판(100)에 회전이 가능한 별도의 회전판을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좌,우 스트럿(300, 400)과 힌지연결(500)되는 지지 보드판; 상기 지지 보드판의 축받이공에 회전축이 축받이되는 회전판;을 추가하는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킴으로써 트위스팅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상 보드판(100)의 상,하,좌,우 이동시에 발생하는 이동 에너지를 근거로 하여서 상기 회전판이 강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요체라 할 수 있는 연장지지부(2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아본다.
상기 연장지지부(210)는 본 고안의 신체단련기구를 운반, 보관시에 부피를 줄이기 위한 구성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탈착이 가능하거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종래에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연장부지지부를 꺽거나 접어서 측면의 부피를 줄이는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거기에, 상기 복원탄성부(600), 벨트 등을 탈부착식으로 설치하거나 해체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상,하 보드판(100, 200) 및 스트럿의 구조물을 상자를 접듯이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하 보드판(200)의 구조에 있어서는 좌,우 스트럿(300, 40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좌,우 스트럿(300, 400) 중 다른 하나의 측으로 양분된 하 보드판(200)을 두고 그 단부에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거나 상기 고정을 해제 가능케 하는 구성도 제공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부(210)는, 바닥에 접촉하는 하 보드판(200)의 좌,우로 연장되어 설치되어서 좌,우 스테핑 운동으로 인하여 작용하는 관성하중에 대하여 지지받침이 되는 방법으로 신체단련기구가 좌,우로 전도되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보다 유통상에 있어서 많은 개수를 한정된 공간에 적재하도록 포장박스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 현장의 상황에는 맞지 않다.
더하여, 사용에 있어서도 사용 후에 이를 보관하거나 장소 이동을 하려고 하면 그 크기, 부피가 사용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연장지지부(210)는 그 좌,우 폭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신축장치(212)가 요구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신축장치(212)로서 슬라이딩 방법으로 신축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신축장치 수단을 제공한다.
도 1의 전체를 보인 사시도 및 도 2의 부분을 보인 저면도의 실시례를 살펴보면, 틀램플린 기구의 전체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식의 신축장치(212)가 배치된 위치 및 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는 물론, 도 3 내지 도 6의 예시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장지지부(210)의 몸체가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 보드판(200)의 몸체, 또한 파이프 형상을 취하되 서로 지름이 달라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의 예시에서는 상기 연장지지부(210)의 몸체 일단부가 상기 하 보드판(200) 몸체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연장지지부(210) 몸체에는 연장선택공(213 : 213a, 213b, 213c, 213d, 213e)이 2개 이상 복수 형성된다. 도면의 예시에서는 5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 보드판(200)의 몸체에는 구멍을 천공하여 만든 연장고정공(21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선택공(213 : 213a, 213b, 213c, 213d, 213e) 및 상기 연장고정공(214a)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삽입될 연장고정구(214)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고정구(214)는 리벳 또는 나사 형태를 취한다.
사용자는, 도 3의 예시처럼 상기 연장선택공(213 : 213a, 213b, 213c, 213d, 213e) 및 상기 연장고정공(214a)에 삽입되어 체결된 연장고정구(214)를; 도 4의 예시와 같이 빼어내서 삽입 체결을 해제하고 난 후에; 도 5의 예시처럼 상기 연장지지부(21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원하는 길이로 조절한 후; 도 6의 예시와 같이 상기 연장고정구(214)를 다시 끼워넣어서 고정 체결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체결, 해제 과정을 통하여 매우 빠르고 간단하게 신체단련기구 전체 좌,우 부피를 조절할 수 있다.
100 : 상 보드판
200 : 하 보드판
300 : 좌 스트럿
400 : 우 스트럿
500 : 힌지연결
600 : 복원탄성부
210 : 연장지지부

Claims (5)

  1. 트렘플린 운동기구에 있어서,
    수직으로 적어도 20cm 이상 이격되어 각각 수평으로 놓이며, 사용자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받는 상 보드판 및 상기 체중을 포함한 전체 하중을 바닥과 접촉하는 하 보드판과;
    사용자의 체중 및 상기 상 보드판의 하중을 포함한 전체 하중을 상기 하 보드판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상,하 보드판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 보드판의 사이에 세워져서 좌,우로 이격되어 각각 배치되는 좌 스트럿 및 우 스트럿과;
    상기 상,하 보드판의 이격된 간격이 사용자의 체중 또는 좌,우 스테핑운동에 의한 외력의 작용으로 변경되면 이를 원상태로 탄성복원키는 복원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탑승하여 좌,우 스테핑운동을 실시할 시에 상 보드판의 좌,우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연장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부는 좌,우로 그 폭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식의 신축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부의 몸체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 보드판의 몸체도 파이프 형상을 취하되;
    상기 연장지지부의 몸체와 상기 하 보드판의 몸체는 서로 지름이 달라서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부 몸체에는 연장선택공이 5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신체단련기구의 하 보드판 몸체에는 구멍을 천공하여 만든 연장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5. 제4 항에 있어서,
    리벳 형상을 취하는 연장고정구가 구비되어서, 상기 연장선택공에 상기 연장고정공을 맞춘 후, 상기 연장고정구를 통과 시켜서 삽입하여 고정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KR2020140002369U 2014-03-26 2014-03-26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KR201500036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69U KR20150003623U (ko) 2014-03-26 2014-03-26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369U KR20150003623U (ko) 2014-03-26 2014-03-26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23U true KR20150003623U (ko) 2015-10-06

Family

ID=5434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369U KR20150003623U (ko) 2014-03-26 2014-03-26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62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964B1 (en) Exercise machine carriage handle system
KR102206836B1 (ko) 접이식 프리 스탠딩 운동기구
US10080920B2 (en) Rotational fitness apparatus
US4337942A (en) Portable exercising device usable alone or with other devices for multiple routines
JPS62501126A (ja) 折畳み式運動機械
US11826605B2 (en) Exercise machine carriage handle system
EP3868449B1 (en) Apparatus aiding body balance
US9017228B2 (en) Stable multi-purpose exercise and training device
KR101796956B1 (ko) 스쿼트 자세 교정장치
US20170106236A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US7942795B2 (en) Stretching and toning device
US6132343A (en) Physical conditioning apparatus
GB2446947A (en) Gymnastic exercise apparatus
US8708869B2 (en) Dynamic resistance training machine
KR20150003623U (ko) 신체단련기구의 신축식 연장지지부
US20160236032A1 (en) Stowable lower body fitness apparatus providing enhanced muscle engagement, body stability and range of motion
US9427370B2 (en)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KR200480802Y1 (ko) 자전거 운동 기구
KR20150003624U (ko) 충격저감부가 구비된 트램플린
CN204380085U (zh) 一种新型跑步机
JP2022521743A (ja) スタンド型歩行運動器具
JP2010005350A (ja) ウェイトスタック式トレーニング装置
US20230249026A1 (en) Workout platform
KR101404053B1 (ko) 굴림식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