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57A -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57A
KR20150003557A KR20130076580A KR20130076580A KR20150003557A KR 20150003557 A KR20150003557 A KR 20150003557A KR 20130076580 A KR20130076580 A KR 20130076580A KR 20130076580 A KR20130076580 A KR 20130076580A KR 20150003557 A KR20150003557 A KR 2015000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magnetic
dial
mounting groove
tri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6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557A/ko
Publication of KR2015000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저항(magnetic reluctance)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산포나 성질 변화 등에 따른 동작특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일정전압하에서의 작동성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트립장치는 크게 외부의 트립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PCB와,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동작을 실행하는 메커니즘, PCB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통해 메커니즘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이 되며,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요크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위치에 따라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요크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Shunt Trip Devic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저항(magnetic reluctance)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산포나 성질 변화 등에 따른 동작특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일정전압하에서의 작동성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전기적으로 이상전류의 발생이나 과부하 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의 내부 부속장치로 부족전압트립장치 (Under-voltage Trip, UVT) 또는 전압트립장치 (Shunt Trip, SHT)가 있다. 부족전압트립장치 (Under-voltage Trip, UVT)는 선로 전압이 정격 대비 소정비율 이하로 내려가면 차단기를 자동으로 트립(Trip)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다. 트립동작은 시간의 지연없이 순간적으로 실행되며 전압이 정격의 소정비율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는 한 차단기는 재투입(리셋 및 ON)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압트립장치 (Shunt Trip, SHT)는 외부에서 전압트립장치로 특정 전압이 인가(트립신호)될 경우 차단기를 트립(Trip) 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다. 트립동작은 시간의 지연없이 순간적으로 실행된다. 부족전압트립장치와 전압트립장치의 기계적 구성은 거의 동일하므로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전압트립장치로 용어를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전압트립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예로는 국내특허로서 등록특허 제10-0371375호 '전압트립특허'와 등록특허 제10-1027781호 '차단기의 전자식 전압트립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해외특허로서 EP1098344B1 'Shunt trip devic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와 EP1154454A2 'Shock resistant breaker shunt trip'을 참조할 수 있다.
배선용 차단기의 전원트립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전원트립장치는 크게 외부의 트립신호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PCB(3)와,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지닌 메커니즘(Mechanism, 1), PCB(3)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통해 메커니즘(1)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 2)로 구성이 되어 있다.
메커니즘(1)은 스프링 래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2)의 기계적 하중을 전달받아 래치(4)가 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액추에이터(2)는 PCB(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PCB(3)의 일정 전압에서 동작하여 메커니즘(1)을 기계적으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PCB(3)는 메커니즘(1)의 전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전압을 받아 액추에이터(2)에 트립신호를 보낸다.
래치(4)는 메커니즘(1)의 구성부품으로 상단으로는 래치스프링(1a)에 구속되고 하단으로는 가동코어(5)에 구속되어 균형상태를 이루고 있다. 래치(4)는 가동코어(5)가 상부로 움직이면 회동되어 메커니즘(1)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추에이터(2)는 가동코어(5), 스프링(6), 자성체(7), 요크(8), 요크판(9), 코일(10), 보빈(11) 등으로 구성된다.
가동코어(5)는 스프링(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래치(4)를 회전시켜 메커니즘(1)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6)은 가동코어(5)와 자성체(7)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코어(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자성체(7)의 자기력에 의해 탄성에너지를 가진 채 가동코어(5)를 하방으로 흡인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자성체(7)는 코일(10)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가동코어(5)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방으로 흡인하여 붙잡고 있는 역할을 한다.
요크(8)는 코일(10)에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요크판(9)은 요크(8)의 상부에 결합되며, 요크(8)와 함께 코일(10)에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코일(10)은 요크(8) 내부에 설치되는 보빈(11)에 권회된다. 코일(10)은 PCB(3)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면, 자기장을 형성하여 가동코어(5)에 자기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 자기력은 자성체(10)의 자기적인 구속력을 이겨내고 가동코어(5)가 상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요약하면, 액추에이터(2)는 PCB(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트립신호를 전달받아 가동되고, 메커니즘(1)은 액추에이터(2)에 래치(4)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있다.
여기서, 코일(10)에 전류가 흐를 때, 가동코어(5)는 요크(8) 및 요크판(9)과 함께 자기장의 경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액추에이터(2)는 메커니즘(1)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리벳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동작특성에 대한 조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자성체(7)의 자속밀도, 가동코어(5)의 스프링(6)의 하중 산포, 시간 경과에 따른 하중의 변화 등에 의해 액추에이터(2) 동작 특성에 변화가 발생하면 전압트립장치의 동작특성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기저항(magnetic reluctance)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산포나 성질 변화 등에 따른 동작특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 일정전압하에서의 작동성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는 개폐기구부와 트립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전압트립장치에 있어서, 매커니즘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요크플레이트; 원관으로 된 몸체와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크와 요크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몸체에 권회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몸체에 관통 삽입되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요크 및 요크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회로의 자기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의해 움직이며 상기 메커니즘을 구동시키는 래치; 및 상기 요크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요크다이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크의 하부에 자성체가 설치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상기 가동코어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방으로 흡인하여 붙잡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다이얼는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회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놓였을 때 최소 자기저항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회로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놓였을 때 최대 자기저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상기 요크다이얼는 상기 장착홈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양측면에 호(弧)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에는 내주면을 따라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다이얼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홈의 홈 또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크 다이얼에는 중앙부에 일자형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조절부재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장착홈 내에서 상기 요크 다이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에 의하면, 자기회로내의 자기저항을 조절함으로써 자성체의 자속밀도 변화나 스프링의 하중 산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동작특성을 일관되게 유지하도록 하여 전압트립장치가 특정전압하에서 일관된 성능을 나타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부품별 산포에 따른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부수적으로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의 (a)전방사시도 및 (b) 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a)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b)코일이 제거된 상태의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내부중심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트립장치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b)코일이 제거된 상태의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트립장치의 동작상태도로서 (a) 자기저항이 최대인 상태 (b) 자기저항이 최소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크다이얼의 정면도와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 요크다이얼의 상하면부에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경우 (b) 요크다이얼의 상하면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경우 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는 개폐기구부와 트립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메커니즘(2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요크(31); 상기 요크(31)의 상부에 중공부(36)가 형성되어 있는 요크플레이트(35); 원관으로 된 몸체와 상판(41) 및 하판(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크(31)와 요크플레이트(35) 사이에 설치되는 보빈(40); 상기 보빈(40)의 몸체에 권회되는 코일(45); 상기 보빈(40)의 몸체에 관통 삽입되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코일(45)에 전류가 흐를 때 요크(31) 및 요크플레이트(35)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회로의 자기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코어(55); 상기 가동코어(55)에 의해 움직이며 상기 메커니즘(20)을 구동시키는 래치(22); 및 상기 요크(31) 일측벽에 형성되는 장착홈(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요크다이얼(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트립장치의 후방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a)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b)코일이 제거된 상태의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크다이얼의 정면도와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 요크다이얼의 상하면부에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경우 (b) 요크다이얼의 상하면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경우 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트립장치는 크게 외부의 트립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30)에 전류를 공급하는 PCB(25)와,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동작을 실행하는 메커니즘(20), PCB(25)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통해 메커니즘(20)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30)로 구성이 되어 있다.
메커니즘(20)은 하우징(21) 내에 설치되는 스프링 래치에 의해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액추에이터(30)의 기계적 하중을 전달받아 래치(22)가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래치(22)는 메커니즘(20)의 구성부품으로 액추에이터(30)에서 전달받은 기계적 힘에 의해 회전하며 메커니즘(20)을 구동하여 트립작동을 일으키도록 하는 전달자 역할을 한다. 래치(22)는 상단으로는 래치스프링(23)에 구속되고 하단으로는 가동코어(55)에 구속되어 균형상태를 이루고 있다. 래치(22)는 가동코어(55)가 상부 방향으로 래치(22)의 하단부를 밀게 되면 회전하여 메커니즘(20)을 가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커니즘(20)의 세부사항과 트립작동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액추에이터(30)는 일측으로는 PCB(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PCB(25)의 일정 전압에서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한다. 액추에이터(30)는 타측으로는 메커니즘(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커니즘(20)을 기계적으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액추에이터(30)는 가동코어(55), 스프링(60), 자성체(50), 요크(31), 요크다이얼(33), 요크플레이트(35), 코일(45), 보빈(40) 등으로 구성된다.
요크(3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요크(31)는 자기력이 전달되기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31)는 코일(45)에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기장의 경로를 이룬다.
요크(31) 일측면에 장착홈(32)이 형성된다. 장착홈(32)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크다이얼(33)이 장착홈(3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요크다이얼(33)의 외주면은 장착홈(32)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양측에 대칭되게 호형의 홈부(33a)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요크다이얼(33)의 상하면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장착홈(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돌기(33b) 또는 슬라이딩홈(33c)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장착홈(32)에도 내주면에 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요크다이얼(33)에는 중앙부에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34)이 형성되며, 삽입홈(34)에 조절부재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장착홈(32) 내에서 요크다이얼(33)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조절부재는 드라이버나 동전 등 납작하게 생기고 경도가 충분한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활용할 수 있다.
요크플레이트(35)는 중공부(36)가 형성된 판상으로 요크(31)의 상부에 결합된다. 요크플레이트(35)는 요크(31)와 함께 외형적으로 사각형의 틀을 이룰 수 있다. 요크플레이트(35)는 요크(31)와 함께 코일(45)에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기장의 경로, 즉 자기회로를 형성한다.
자성체(50)는 요크(31)의 하부에 설치된다. 자성체(50)는 코일(45)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가동코어(55)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방으로 흡인하여 붙잡고 있는 역할을 한다.
보빈(40)은 요크(31) 내부에 설치된다. 보빈(40)은 원관으로 된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판(41)과 하판(42)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보빈(40)은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형의 주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빈(40)의 상판(41)은 요크플레이트(35)에 접하며, 보빈(40)의 하판(42)에는 자성체(50)를 수용하도록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보빈(40)의 몸체에는 코일(45)이 권회되어 솔레노이드를 형성하며, 코일(45)은 PCB(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코일(45)은 PCB(25)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면,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가동코어(55)는 봉으로 이루어지며, 보빈(40)의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가동코어(55)의 상단부는 요크플레이트(35)의 중공부(36) 위에 노출된다. 가동코어(55)의 하부에는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상방으로 향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평상시에 가동코어(55)는 요크(31) 하부에 설치된 자성체(50)의 자기력에 의해 하단부가 요크(31) 바닥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가동코어(55)는 요크(31) 및 요크플레이트(35)와 함께 코일(45)에 전류가 흘러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될 때, 자기력이 흐를 수 있는 자기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요크다이얼(33)이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회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놓이면 자로가 3개로 형성되어 자기저항이 최소인 상태가 되고, 요크다이얼(33)이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회로의 방향에 수직인 상태로 유지되면 자로가 2개로 형성되어 자기저항이 최대인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트립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트립장치의 동작상태도로서 (a) 자기저항이 최대인 상태 (b) 자기저항이 최소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정상상태에서는 PCB(25)에서 액추에이터(30)로 전류가 전달되지 않으며, 액추에이터(30)의 가동코어(55)는 단지 자성체(50)의 자기력만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가동코어(55)는 하단부가 요크(31) 바닥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과전류 등 이상전류가 흘러 PCB(25)에 트립신호가 전달되면 PCB(25) 전압에 의해 PCB(25)로부터 액추에이터(30)의 코일(45)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코일(45)에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력은 요크(31)와 요크플레이트(35) 및 가동코어(55)로 이어지는 자기회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50)의 자기력은 상쇄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6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가동코어(55)는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래치(22)를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PCB(25)로부터 받는 특정전압에 따라 일정한 동작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자성체(50)의 자속밀도나 스프링(60)의 하중별 산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코일(45)의 자기력의 변화 등이 변화하므로 이에 따른 대응을 하여야 한다.
코일(45)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은 요크(31)와 요크플레이트(35)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를 따라 흐르는데 이때 발생하는 자기저항은 자기회로의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즉, 요크(31)의 측면에 설치된 요크다이얼(33)에 의해 자기저항을 조절함으로써 자속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요크다이얼(33)이 장착홈(32)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함에 따라 자기저항이 변화된다. 상세히, 요크다이얼(33)이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회로의 방향과 동일하게 놓이면 자로가 3개로 형성되어 자기저항이 최소인 상태가 되고, 요크다이얼(33)이 길이방향을 따라 자로의 방향에 수직인 상태로 놓이면 자기회로가 2개로 형성되어 자기저항이 최대인 상태가 된다. 즉, 요크다이얼(33)의 길이방향이 자기회로의 방향에 동일하게 놓일수록 자기저항이 감소되어 자속밀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가동코어(55)를 상부로 운동시키는 힘은 증가하고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감소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요크다이얼(33)의 길이방향이 자기회로의 방향에 수직에 가깝게 놓일수록 자기저항이 증가되어 자속밀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가동코어(55)를 상부로 운동시키는 힘은 감소하고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증가하게 된다.
즉, 전압트립장치의 동작특성이 변화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요크다이얼(33)을 조절하여 전압트립장치의 동작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0 메커니즘 21 하우징
22 래치 23 래치스프링
25 PCB 30 액추에이터
31 요크 32 장착홈
33 요크다이얼 33a 홈부
33b 슬라이딩돌기 33c 슬라이딩홈
34 삽입홈 35 요크플레이트
36 중공부 40 보빈
41 상판 42 하판
45 코일 50 자성체
55 가동코어 60 스프링

Claims (6)

  1. 개폐기구부와 트립장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적용되는 전압트립장치에 있어서,
    매커니즘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요크;
    상기 요크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요크플레이트;
    원관으로 된 몸체와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크와 요크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몸체에 권회되는 코일;
    상기 보빈의 몸체에 관통 삽입되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요크 및 요크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회로의 자기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의해 움직이며 상기 메커니즘을 구동시키는 래치; 및
    상기 요크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회로의 자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요크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트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하부에 자성체가 설치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상기 가동코어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방으로 흡인하여 붙잡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트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다이얼는 상기 장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회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놓였을 때 최소 자기저항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자기회로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놓였을 때 최대 자기저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트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다이얼는 상기 장착홈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양측면에 호(弧)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트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는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다이얼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홈의 슬라이딩홈 또는 슬라이딩돌기에 대응하는 슬라이딩돌기 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트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 다이얼에는 중앙부에 일자형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 조절부재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장착홈 내에서 상기 요크 다이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트립장치.
KR20130076580A 2013-07-01 2013-07-01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 KR20150003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580A KR20150003557A (ko) 2013-07-01 2013-07-01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580A KR20150003557A (ko) 2013-07-01 2013-07-01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57A true KR20150003557A (ko) 2015-01-09

Family

ID=5247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580A KR20150003557A (ko) 2013-07-01 2013-07-01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5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8921B1 (en) Adjustable flux transfer shunt trip actuator and electric power switch incorporating same
EP3373319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JP6173422B2 (ja) ライン保護スイッチ
CN101908447B (zh) 电路断路器
KR10251403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기구
CA2899773C (en) Bimetal and magnetic armature providing an arc splatter resistant offset therebetween, and circuit breaker including the same
KR10142780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유닛
US20140118096A1 (en) Pry plate tripping circuit breaker
JP6658360B2 (ja) 漏電遮断器
CA2911373C (en) Circuit breaker panel including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
US8749328B2 (en) Shortage voltage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2081698B1 (ko) 배선용 차단기
US9595413B2 (en) Low instantaneous level circuit breakers, circuit breaker tripping mechanisms, and tripping methods
US9466451B2 (en) Flux shunt trip actuator interface and breaker reset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KR20047725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기구
KR20150003557A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압트립장치
JP2007103123A (ja) 回路遮断器の電磁引き外し装置
US9892873B2 (en) Multi-purpose mounting for a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CA2911363C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remote operation circuit
KR20150108247A (ko) 소형 회로차단기 순시 트립 장치
US11282663B1 (en) Compact low amperage shunt solenoid assembly for 12V to 48V AC/DC supply
KR102088939B1 (ko) 스프링 순시흡인형 차단기
KR102271519B1 (ko) 크로스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트립 장치
KR101098930B1 (ko)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KR20210057584A (ko) 트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