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54U -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 Google Patents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54U
KR20150003554U KR2020140002182U KR20140002182U KR20150003554U KR 20150003554 U KR20150003554 U KR 20150003554U KR 2020140002182 U KR2020140002182 U KR 2020140002182U KR 20140002182 U KR20140002182 U KR 20140002182U KR 20150003554 U KR20150003554 U KR 201500035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ok
insertion tube
flowerpot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1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1388Y1 (en
Inventor
이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이엔
이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이엔, 이호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이엔
Priority to KR2020140002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88Y1/en
Publication of KR20150003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5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8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의 일측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간편하면서 취급 및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삽입관을 구비하여 화분의 내측으로 물공급띠가 흙 속에 삽입된 상태로 원활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급수기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화분의 상단에 걸리도록 일측 상부로 돌출된 후에 다시 하부측으로 절곡되게 관형의 걸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의 상단 외측에 물주입공이 형성되는 물저장통과; 상기 물주입공에 결합되고, 상기 물주입공을 개폐시키는 마개부와;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걸이부의 하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삽입관과; 상기 물저장통의 내부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걸이부를 지나 상기 삽입관의 단부에 노출되게 구비되며, 물이 스며드는 섬유 재질의 물공급띠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ot, so that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d easy to handle and maintain, and a water supply belt is inserted into the soil with the insertion tube so that it can be smoothly placed Wherein the water purifier is formed with an internal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with a tubular hook portion which is protruded to one upper side so as to be caught at the upper end of the flowerpot and then bent back to the lower side, A water storage passage through which a water injection hole is formed; A stopper coupled to the water hole and opening / closing the water hole; An insertion tube vertical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ook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ot; A water supply belt of a fiber material having one end in the water reservoir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tube through the hook, .

Description

화분용 자동 급수기{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dispenser,

본 고안은 화분에 설치하여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일측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간편하면서 취급 및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삽입관을 구비하여 화분의 내측으로 물공급띠가 흙 속에 삽입된 상태로 원활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used for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to a flower pot by installing it in a flowerpot, more specifically, it can be easily mounted on one side of a flowerpot, so that installation is simple and handling and maintenance are eas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having an insertion tube so that a water supply band can be smoothly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soil.

일반적으로 화분에 심은 초목은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데, 통상 호스나 바가지로 직접 물을 부어주는 방법 외에 화분받침에 물을 공급하여 화분의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Generally, planted plants need to supply water periodically. In addition to pouring water directly with hoses or barges, there is a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a flowerpot support so that the flowerpot plants absorb moisture.

그러나, 이런 방법은 자주 물을 부어주어야 하며 호스나 파이프 등 수도시설이 별도로 필요하고, 협소한 공간에는 설치가 어려우며, 필요한 부위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water must be poured frequently, a water supply facility such as a hose or a pipe is separately required, installation in a narrow space is difficult, and it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directly to a necessary site.

이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섬유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가 제안되고 있다. 즉, 종래의 화분용 자동 급수기는 모세관현상이 있는 일정한 규격으로 된 섬유류의 끝에 끈을 맨 후 그 끝은 수분공급통 안의 밑바닥에 닿게 하고, 또 한 끝 부분은 수분공급통 가장자리 절개된 부분을 통하게 한 후 수분이 필요한 대상물에 닿게 하거나, 가깝게 놓아두면 수분공급통의 물이 섬유류의 모세관현상으로 수분이 공급되고, 수분공급을 중지하고자 할 때는 수분공급통 안의 끈에 메여져 밑바닥에 놓여있는 섬유류의 끝을 끈으로 들어 올려 물에 닿지 않게 하여 수분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게 한 것이다.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a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that automatically supplies water to pots using a capillary phenomenon of fibers has been proposed.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automatic pot for potted plants has a capillary phenomenon, a string is put on the end of a certain size of the fabric, the end of the string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pail, and the end portion is passed through the cut- If water is needed to reach an object that requires moisture, or if it is placed close to it,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will be supplied with water by the capillary phenomenon of the fibers, and when it is desired to stop water supply, The tip is lifted with a strap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water and the supply of water can be stopped.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화분용 자동 급수기는 수분공급통을 화분의 옆으로 지면에 올려놓거나 화분의 상면에 올려놓도록 구성되어 취급 및 유지 관리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 conventional automatic flowerpower automatic water dispenser has a problem that the water supply pail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flowerpot or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lowerpot so that handling and maintenance are very inconvenient.

공개특허 제2007-0113172호 "화분의 자동급수기"(2007.11.28)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7-0113172 "Automatic watering machine of pots" (Nov. 28, 2007)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의 일측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간편하면서 취급 및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삽입관을 구비하여 화분의 내측으로 물공급띠가 흙 속에 삽입된 상태로 원활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mounting on one side of a flowerpot so that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d easy to handle and maintain, and a water supply b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erpot with an insertion tube smoothly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삽입관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물공급띠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which is capable of separating the insertion tube and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water supply band.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지턱을 통해 물저장통이 화분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capable of more firmly fixing a water reservoir to a pot through a supporting ja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기"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화분의 상단에 걸리도록 일측 상부로 돌출된 후에 다시 하부측으로 절곡되게 관형의 걸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의 상단 외측에 물주입공이 형성되는 물저장통과; 상기 물주입공에 결합되고, 상기 물주입공을 개폐시키는 마개부와;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걸이부의 하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삽입관과; 상기 물저장통의 내부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걸이부를 지나 상기 삽입관의 단부에 노출되게 구비되며, 물이 스며드는 섬유 재질의 물공급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automatic flowerpot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with a tubular hook portion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one side so as to be caught on the top of the flowerpot, A water storage passage in which a water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n upper outer side of the hook portion; A stopper coupled to the water hole and opening / closing the water hole; An insertion tube vertical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ook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ot; A water supply belt of a fiber material having one end in the water reservoir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tube through the hook,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기"의 상기 마개부는, 상기 물주입공의 둘레에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고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통공의 둘레로 상기 커버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홈과, 상기 통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끼움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고무마개와, 상기 고무마개의 상단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pper of the "automatic pollen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mounted around the water inlet,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And a grip which is detach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and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a pair of grip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stopp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기"의 상기 물저장통은, 상기 걸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은, 상기 삽입부에 분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삽입관의 상단에 형성되는 대응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water reservoir of the "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ok portion, and the insertion tub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And a corresponding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기"의 상기 물저장통은, 상기 화분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걸이부에 대응하여 상기 물저장통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water reservoir of the "automatic pollen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in correspondence with the hook portion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ollen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화분의 일측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가 간편하면서 취급 및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삽입관을 구비하여 화분의 내측으로 물공급띠가 흙 속에 삽입된 상태로 원활히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pot,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easy to handle and maintain, and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belt is inserted into the soil with the insertion tube inside the pot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은, 삽입관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물공급띠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insertion pipe can be detachably provided so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water supply strap can be adjust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installation.

또한, 본 고안은, 지지턱을 통해 물저장통이 화분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water reservoir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pot through the support jaw.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of an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분용 자동 급수기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통(10)과, 상기 물저장통(10)의 상면에 장착되는 마개부(20)와, 상기 물저장통(10)의 단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삽입관(30)과, 상기 물저장통(10)에서 상기 삽입관(30)에 걸쳐 배치되는 물공급띠(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utomatic flowerpot automatic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reservoir 10 for storing water, a stopper 20 moun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10, An insertion tube 30 vertically mounted on an end of the insertion tube 30 and a water supply band 40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tube 10 from the insertion tube 30.

상기 물저장통(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화분의 상단에 걸리도록 일측 상부로 돌출된 후에 다시 하부측으로 절곡되게 관형의 걸이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11)의 상단 외측에 물주입공(12)이 형성된다.The water reservoir 1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water reservoir 10 is formed with a tubular hook portion 11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so as to be hooked on the upper end of the flowerpot and then bent downward, And a water column 12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상기 물저장통(10)은 상기 마개부(20)를 통해 그 내부로 물을 주입하여 화분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부(11)는 걸수 있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화분의 상단에 끼워지고, 그에 따라 상기 물저장통(10)이 화분의 상단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물주입공(12)은 상기 마개부(20)를 통해 상기 물저장통(10)의 내부로 물을 주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water reservoir (10) serves to stor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flower pot by injecting water into the water reservoir (20) through the cap (20). The hook portion 11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to be hooked and is fitted to the top of the flowerpot so that the water reservoir 10 can be fixed on the top of the flowerpot. The water inlet 12 functions to provide a passage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water reservoir 10 through the stopper 20.

상기 마개부(20)는 상기 물주입공(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물주입공(12)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topper 20 is coupled to the water inlet 12 and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water inlet 12.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마개부(20)는 상기 물주입공(12)의 둘레에 장착되는 커버(21)와, 상기 커버(21)의 고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통공(22)과, 상기 통공(22)의 둘레로 상기 커버(21)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홈(23)과, 상기 통공(22)을 개폐하도록 상기 끼움홈(23)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고무마개(24)와, 상기 고무마개(24)의 상단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손잡이(25)를 포함한다.The stopper 20 has a cover 21 mounted around the water inlet 12, a through hole 2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1, A rubber stopper 23 detach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hole 22 and formed in a rubber material 24 and a handle 25 formed as a pair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stopper 24.

상기 커버(21)는 상기 물주입공(12)의 둘레로 상기 물저장통(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통공(22)과 끼움홈(23)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공(22)은 물이 주입되는 통로이며, 상기 끼움홈(23)은 상기 고무마개(24)가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cover 21 is attached to the water reservoir 10 around the water inlet 12 and provides a place where the through hole 22 and the fitting groove 23 are formed. The through hole 22 i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is injected, and the fitting groove 23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rubber stopper 24 is inserted.

상기 고무마개(24)는 실리콘 등의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홈(23)에 끼워져 상기 통공(22)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25)는 사용자가 잡고서 상기 고무마개(24)를 상기 끼움홈(23)에 끼우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rubber stopper 24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uch as silicone an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23 to seal the through hole 22. The handle 25 allows the user to hold the rubber stopper 24 in the fitting groove 23 or to pull it out.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걸이부(11)의 하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흙 속에 삽입되어 상기 물공급띠(40)를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insertion tube 30 is vertically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ok 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erpot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erpot so that the water supply belt 40 is inserted inside the flowerpot .

상기 물공급띠(40)는 상기 물저장통(10)의 내부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걸이부(11)를 지나 상기 삽입관(30)의 단부에 노출되게 구비되며 물이 스며드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물이 스며드는 현상인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저장통(10)에 저장된 물을 화분에 심겨진 초목의 뿌리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water supply belt 40 is provided with one end in the water reservoir 10 and the other end exposed through the hook 11 to the end of the insertion tube 30, Thereby automatically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10 to the roots of the vegetation planted in the flowerpot by capillary phenomenon,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penetrates.

상기 물저장통(10)은 상기 걸이부(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부(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삽입부(13)에 분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삽입관(30)의 상단에 형성되는 대응삽입부(31)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reservoir 10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13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ok portion 11. The insertion tube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3 so as to be disassembled, (3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30).

상기 삽입부(13)와 대응삽입부(31)를 통해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걸이부(11)의 하단에 분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삽입관(30)이 필요 없는 경우, 즉 상기 물공급띠(40)를 화분의 흙 속으로 깊이 유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관(30)을 제거하고 상기 걸이부(11)를 직접 화분의 흙 속에 삽입하게 된다.The insertion tube 30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oking part 11 through the insertion part 13 and the corresponding insertion part 31 so that when the insertion tube 30 is not required, When it is not necessary to guide the water supply belt 40 deep into the soil of the flower pot, the insertion tube 30 is removed and the hook 11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soil of the flower pot.

상기 물저장통(10)은 상기 화분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걸이부(11)에 대응하여 상기 물저장통(1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턱(14)은 상기 걸이부(11)가 상기 화분의 상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화분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걸이부(11)에 의한 상기 물저장통(10)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water reservoir 10 further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1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hook 11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ollen. The holding jaw 1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erpot in a state in which the hooking part 11 is hooked on the top of the flowerpot so that the hooking part 11 can firmly fix the water storage container 10 .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수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automatic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목이 심겨진 화분(P)의 상단에 상기 걸이부(11)를 끼워서 상기 물저장통(10)을 상기 화분(P)의 외측면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11)의 하부측으로 상기 물저장통(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턱(14)이 상기 화분(P)의 외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걸이부(11)와 함께 상기 지지턱(14)에 의해 상기 물저장통(10)이 상기 화분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The water reservoir 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t P by sandwiching the hook portion 11 on the top of the pot P that is planted with the vegetation. At this time, the support step 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10 at the lower side of the hook 11 supports the outer surface of the pollen P, The water reservoir 10 is fixed by the supporting jaws 14 in a state of being firmly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llen.

이와 같이 상기 물저장통(10)이 상기 화분(P)의 외측면에 설치되면, 상기 삽입관(30)이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흙 속에 삽입되고, 이때 사용자는 초목의 뿌리 근처에 상기 물공급띠(40)를 배치한 후에 흙을 덮게 된다.When the water reservoir 1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t P, the insertion tube 30 is inserted into the soil inside the pot. At this time, (40) and then cover the soil.

이 상태에서 상기 마개부(20)를 열고 상기 물저장통(10)의 내부에 물(W)을 채우고 상기 마개부(20)를 닫으면, 상기 물저장통(10)에 저장된 물(W)이 상기 물공급띠(40)에 스며들어 상기 걸이부(11)와 삽입관(30)을 지나 상기 화분(P)에 심겨진 초목의 뿌리 근처에 배치된 상기 물공급띠(40)를 통해 초목의 뿌리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
The water W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reservoir 10 by opening the cap 20 in this state and filling the water reservoir 10 with water W and closing the cap 20,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roots of the vegetation through the water supply band 40 which penetrates the supply band 40 and passes through the hooking part 11 and the insertion pipe 30 and is arranged near the root of the planting plant, Automatically.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equally to the above embodiment.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set forth below.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물저장통
11 : 걸이부 12 : 물주입공
13 : 삽입부 14 : 지지턱
20 : 마개부
21 : 커버 22 : 통공
23 : 끼움홈 24 : 고무마개
25 : 손잡이
30 : 삽입관
31 : 대응삽입부
40 : 물공급띠
P : 화분
W : 물
10: Water reservoir
11: Hook part 12: Pouring water
13: insertion portion 14: support jaw
20:
21: cover 22: through hole
23: fitting groove 24: rubber stopper
25: Handle
30: insertion tube
31:
40: Water supply strip
P: Flower pot
W: Water

Claims (4)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화분의 상단에 걸리도록 일측 상부로 돌출된 후에 다시 하부측으로 절곡되게 관형의 걸이부(11)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11)의 상단 외측에 물주입공(12)이 형성되는 물저장통(10)과;
상기 물주입공(12)에 결합되고, 상기 물주입공(12)을 개폐시키는 마개부(20)와;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걸이부(11)의 하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삽입관(30)과;
상기 물저장통(10)의 내부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걸이부(11)를 지나 상기 삽입관(30)의 단부에 노출되게 구비되며, 물이 스며드는 섬유 재질의 물공급띠(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
A tubular hook portion 11 is formed so as to be bent to the lower side after being protruded to one upper side so as to be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flowerpot, A water storage tank 10 in which a water tank 10 is formed;
A stopper (20) coupled to the water inlet (12) and opening / closing the water inlet (12);
An insertion tube 30 vertical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ook 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The water supply pipe 40 is provided with one end in the water reservoir 10 and the other end expos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ipe 30 through the hook 11, ;
Wherein the automatic water dispenser for potting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20)는,
상기 물주입공(12)의 둘레에 장착되는 커버(21)와,
상기 커버(21)의 고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통공(22)과,
상기 통공(22)의 둘레로 상기 커버(21)의 상면에 형성되는 끼움홈(23)과,
상기 통공(22)을 개폐하도록 상기 끼움홈(23)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고무마개(24)와,
상기 고무마개(24)의 상단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손잡이(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20)
A cover 21 mounted around the water inlet 12,
A through hole 2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1,
A fitting groove (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1) around the through hole (22)
A rubber plug 24 detachably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23 so as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22 and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 pair of knobs (25)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stopper (24)
Wherein the automatic water dispenser for potting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통(10)은,
상기 걸이부(11)의 하단에 형성되는 삽입부(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30)은,
상기 삽입부(13)에 분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삽입관(30)의 상단에 형성되는 대응삽입부(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reservoir (10)
And an insertion portion (13)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hook portion (11)
The insertion tube (30)
Further comprising a corresponding insertion portion (31)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sertion tube (30) so as to be detachably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통(10)은,
상기 화분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걸이부(11)에 대응하여 상기 물저장통(1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자동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reservoir (10)
(1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10) corresponding to the hook (11) so as to support the outer surface of the pot,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water dispenser.
KR2020140002182U 2014-03-19 2014-03-19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KR2004813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82U KR200481388Y1 (en) 2014-03-19 2014-03-19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182U KR200481388Y1 (en) 2014-03-19 2014-03-19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54U true KR20150003554U (en) 2015-10-01
KR200481388Y1 KR200481388Y1 (en) 2016-09-23

Family

ID=5434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182U KR200481388Y1 (en) 2014-03-19 2014-03-19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88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U (en) * 1992-06-08 1994-01-11 侃 藤井 Automatic water bottle for potted plants
JP2001286227A (en) * 2000-04-05 2001-10-16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Watering method
KR20070113172A (en) 2007-10-13 2007-11-28 이정호 The automatic water-feeder for raising pla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U (en) * 1992-06-08 1994-01-11 侃 藤井 Automatic water bottle for potted plants
JP2001286227A (en) * 2000-04-05 2001-10-16 Aichi Pref Gov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Watering method
KR20070113172A (en) 2007-10-13 2007-11-28 이정호 The automatic water-feeder for raising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88Y1 (en) 2016-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472B2 (en) Plant container
US20130212939A1 (en) Automate Water Permeating Arrangement for Plant Container
US20200305356A1 (en) Assembly of a Patio Pot and a Plant Pot Support
KR101248076B1 (en) Flowerpot of drawer type for wick flood
KR200389646Y1 (en) Flowerpot for water culture
KR20130046793A (e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potted plant
KR101774647B1 (en) Water reservoir for pot
KR200481388Y1 (e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a flowerpot
KR20130052118A (e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potted plant
CN201138958Y (en) Water-saving watering-free flower pot
JP4740361B2 (en) Irrigation equipment
JP3153151U (en) Water supply for plants planted in flowerpots
KR101479851B1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flowerpot
KR200329599Y1 (en) Drip-watering flowerpot
KR200457473Y1 (en) Flower pot
KR20100136623A (en) Flower pot
JP2014039522A (en) Insertion-type flowerpot water feeder
KR101291235B1 (en) The pot holder where the moisture supply is possible
KR20130046794A (e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potted plant
CN209787956U (en) Automatic cultivation device of watering plant
KR102300685B1 (en) Plant breeding water supply
JP3152261U (en) Simple irrigation device
KR100925207B1 (en) Flowerpot having function of storing water
CN208242341U (en) A kind of Flower pot
KR200457475Y1 (en) Water storage and supply device for a flower pot and a flower pot compri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