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23U - Table - Google Patents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23U
KR20150003423U KR2020140001816U KR20140001816U KR20150003423U KR 20150003423 U KR20150003423 U KR 20150003423U KR 2020140001816 U KR2020140001816 U KR 2020140001816U KR 20140001816 U KR20140001816 U KR 20140001816U KR 20150003423 U KR20150003423 U KR 201500034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pper plate
supporting
present
le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8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2020140001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23U/en
Publication of KR20150003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2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 테이블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고안은 상판 테이블(B); 상기 상판 테이블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J),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C),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D)을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를 포함하며, 상기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상기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지지대(a1)(a2)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L1)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L1)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테이블 사용이 가능하고 테이블에 올려진 보관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제공한다.This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a table t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board table (B); Shaped horizontal support head J which is part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table and supports the upper plate table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 first frame C configured to be bent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support head, A leg portion including a second frame (D) coupled with the first frame; Shaped support base I for supporting the leg portion and a support a1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end of the second frame D of the leg portion, (a2), and one side thereof is formed with an open space (L1) opened to the space, and the object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through the open space (L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use the table even in a narrow space, and to provide a table which can be safely used while preventing falling of the stored article on the table.

Description

테이블{TABLE}Table {TABLE}

본 고안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테이블을 받쳐주는 다리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실내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 which can be freely moved and moved freely in an indoor space while ensuring a sufficient space occupied by a leg portion supporting the table.

일반적으로 주거 공간 또는 사무실 공간 등에서는 테이블(탁자)이 사용된다. 테이블은 간편하게 보관물품이나 소품들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테이블은 다양한 형식과 구조로 제안되어 있다.Typically, a table (table) is used in a residential or office space. Tables are mainly used to store or store articles and accessories easily. Tables are proposed in various formats and structures.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3-0012908호에는 '절첩이 용이한 탁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보조다리의 걸림홈과 결합체의 걸림턱의 상호작용으로 보조다리가 견고한 지지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시된 절첩이 용이한 탁자에 관한 기술이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993-0012908 discloses a "foldable table". This technique relates to a foldable table which is provided so that the auxiliary leg can act as a solid support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latching groove of the auxiliary leg and the latching jaw of the coupling.

한편 다리의 높이를 조정하는 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43555호의 '휴대용 탁자'로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상판이 두께가 작으며 강성이 적은 상판부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판을 말수 있으며, 상판을 말았을 때 부피가 적고 탁자의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을 갖도록 한 것이고, 탁자의 다리는 고정각부와 상기 고정각부에 대해 입출 가능한 변형부로 구성되어 각각의 다리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평평한 상판을 제공하도록 제안된 기술이다.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No. 20-0243555 as " portable table ". This technique has the advantage that the top plate is made of a small thickness and low rigidity of the top plate member and can be used as a top plate and has a small volume when the top plate is used and a light weight of the table, A fixed corner portion and a deformable portion capable of being input and output to the fixed corner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adjust the length of each leg to provide a flat top panel.

그러나 상기 기술은 테이블 사각일 경우 이를 지지하는 다리 최소한 3개 이상 필요하였고 이동하기도 어려워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technique, at least three bridges for supporting the table are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move them.

또한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부로 인해 하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wer space can not be fully utilized due to the leg portion supporting the table.

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3-0012908호Prior Ar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3-0012908

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43555호Prior Art 2.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243555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이 간편한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le which is easy to move, which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에 있어서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의 갯수를 최소 단위로 견고하게 상판 테이블을 지지하고 사용이 이동과 사용이 간편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in which a table is supported by a minimum number of bridges supporting a table in a table and the use of which is easy to move and us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하면서도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in which the legs supporting the table are structurally rigid while utilizing the lower spac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 테이블에 올려진 보관 물건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for preventing the storage of articles placed on a table top plate from falling dow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물품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상판 테이블, 상기 상판 테이블을 받쳐주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에 있어서,A table comprising a top plate for placing or storing an article, and a leg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상판 테이블; 상기 상판 테이블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리부;Top board table; Shaped horizontal support head coupled to a part of the upper table and supporting the upper plate table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 first frame configured to be bent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support head, A leg portion including a second frame to be attached;

상기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를 포함하며,And a 'C' shaped supporting base for supporting the leg portion,

상기 'ㄷ' 자형 지지베이스는 상기 다리부의 제2 프레임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지지대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테이블을 특징으로 한다.The 'C' -shaped support base is composed of supporting rods that are coupled with and supported by the ends of the second frame of the legs. One side of the 'C' -shaped support base forms an open space opened to the space, It features a configured table.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상판 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판 테이블 위에 올려진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테두리 단턱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의 단턱은 상판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윗면 방향으로 돌출된 테이블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 frame step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table to prevent a drop of an object placed on the upper plate table from falling, and a step of the frame protrudes from a surface of the upper plate table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Lt; / RTI > table.

본 고안은 이동이 간편하고 지면에 물체가 있더라도 일부 개방 공간을 통해 물체가 지지베이스 안으로 진입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table which is easy to move and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while allowing an object to enter the support base through a part of the open spac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indoor space even if there is an object on the ground.

또한 본 고안은 실내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 움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conveniently while moving freely in an indoor space.

또한 본 고안은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의 갯 수를 최소 단위로 견고하게 상판 테이블을 지지하고 사용이 이동과 사용이 간편한 테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able that supports the table top board with a minimum number of legs supporting the table, and is easy to use and use.

또한 본 고안은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하면서도 하부 공간에 물체를 수납하거나 활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은 테이블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table with a high space utilization because the legs supporting the table can be structurally rigid while objects can be stored or utilized in the lower space.

또한 본 고안은 상판 테이블에 올려진 보관 물건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able for preventing a stored article placed on a table top plate from falling dow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입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주요 부분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참고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a height adjus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main part explanatory view of a height adjustme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구성 및 주요 부분, 그리고 높낮이 조정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입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주요 부분 설명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참고 사시도 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height adjust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main part of a height adjustment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ment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무빙 테이블을 구성하는 주요 부분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상판 테이블과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main part of the moving tabl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able including a table top table and legs for placing or storing articles.

주요 부분은 평면 표면을 갖는 상판 테이블(B)이 구성된다. 상판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나 꽃병 등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보관이나 전시가 필요한 다양한 물건들을 필요에 따라 올려놓을 수 있다.The main part is constituted by an upper plate table B having a flat surface. As shown in FIG. 3, a box or a vase can be placed on the top plate, and various items requiring storage or display can be placed as needed.

그리고, 상판 테이블(B)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J),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C),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D)을 포함하는 다리부가 구성된다.The horizontal support head J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upper plate table B to support the upper plate table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a first frame (not shown) configured to b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support head (C), and a second frame (D) coupled with the first frame.

그리고,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C' shaped support base (I) for supporting the leg portion.

그리고,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상기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지지대(a1)(a2)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L1)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L1)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C' -shaped support base I is composed of supports a1 and a2 which are coupled with the ends of the second frame D of the legs, L1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object through the open space L1.

또한, 상판 테이블(B)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판 테이블 위에 올려진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테두리 단턱(M)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의 단턱(M)은 상판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윗면 방향으로 돌출시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판 테이블에 보관된 물품이 미끄러진다고 하여도 테두리 단턱(M)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된다.And a frame step M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table B to prevent falling of an object placed on the upper plate table. The step M of the frame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able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article stored in the upper plate table slips, it is caught by the step edge M and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또한 다리부는,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절곡되어 상판 테이블을 받쳐주는 구조로서, 이 구조는 다른 보조 구조물이나 결합을 위한 체결요소 없이 견고한 상태로 상판 테이블을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Also,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egs are integrally bent from the first frame to support the upper plate table, and this structure functions to support the upper plate table in a rigid state without other auxiliary structures or fastening elements for coupling.

또한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양 방향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을 양 방향에서 견고하면서도 유동 없이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C' -shaped support base (I) supporting the legs functions to support the second frame (D) of the legs symmetrically positioned in both directions, firmly in both directions without any movement.

또한 다리부는 한쪽 방향이 L1의 개방 공간으로 개방되어 그 개방 공간 L1을 따라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L1의 개방 공간은 바닥에 물체가 놓여 있거나 돌출된 장애물 등이 있을 때 이 개방 공간 L1 속으로 물체나 장애물을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좁은 공간에서 장애물 때문에 테이블의 고정 위치를 잡지 못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Also, the leg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one direction is open to the open space of L1, and the object can enter and exit along the open space L1. The open space of this L1 can be used when the object is placed on the floor or when there is a protruding obstacle or the like, the object or obstacle can enter into the open space L1. .

한편 바닥과 닿는 지지 베이스(I)의 저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바퀴를 달아 이동이 부드럽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 아니며 이동 바퀴는 택일적인 구성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place a moving wheel on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base I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o that the movement is smooth and facilitated. However, if the floor is slippery, it is not a necessary configuration and the wheel is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그리고 상판 테이블은 사각, 원형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상판 테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한 예이다.In addition, the top plate can be square, round, etc., and various shapes can be applied.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plate tab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 상판 테이블 C: 제1 프레임
D: 제2 프레임 I: 지지 베이스
J: 수평 지지 헤드 M: 단턱
B: top plate table C: first frame
D: second frame I: support base
J: horizontal support head M: step

Claims (2)

물품을 올려놓거나 보관하는 상판 테이블, 상기 상판 테이블을 받쳐주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 테이블(B); 상기 상판 테이블과 일부가 결합 되어 상판 테이블을 지면과 나란히 평행하게 받쳐주는 'ㄱ' 자형 수평 지지 헤드(J), 그리고 그 수평 지지 헤드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꺾여져 내려오도록 구성된 제1 프레임(C),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D)을 포함하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를 받쳐주는 'ㄷ' 자형 지지베이스(I);를 포함하며,
상기 'ㄷ' 자형 지지베이스(I)는 상기 다리부의 제2 프레임(D)의 종단과 결합되어 받쳐주는 지지대(a1)(a2)들로 이루어지고, 한쪽 방향은 공간으로 개방된 개방 공간(L1)을 형성하여 그 개방 공간(L1)을 통해 물체의 진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A table comprising a top plate for placing or storing an article, and a leg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The upper table (B); Shaped horizontal support head J which is part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table and supports the upper plate table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 first frame C configured to be bent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support head, A leg portion including a second frame (D) coupled with the first frame;
And a 'C' shaped support base (I) for supporting the leg portion,
The 'C' -shaped support base I is composed of supports a1 and a2 which are coupled with the ends of the second frame D of the legs, )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object through the open space (L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테이블(B)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상판 테이블 위에 올려진 물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테두리 단턱(M)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의 단턱(M)은 상판 테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윗면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rame step (M)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table (B) to prevent falling of an object placed on the upper plate table, the step (M) of the frame projecting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table A height adjustable table.
KR2020140001816U 2014-03-06 2014-03-06 Table KR2015000342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16U KR20150003423U (en) 2014-03-06 2014-03-06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816U KR20150003423U (en) 2014-03-06 2014-03-06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23U true KR20150003423U (en) 2015-09-16

Family

ID=5434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816U KR20150003423U (en) 2014-03-06 2014-03-06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2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1998B1 (en) Table and mounting combination
USD724418S1 (en) Reinforcing bar support for bond beam blocks
US7111564B2 (en) Combination frame structure for table combination table using combination frame structure
US20140360411A1 (en) Desk stand
KR20180097589A (en) Folding bed base
AU2011264061A1 (en) Sales table
US10750884B2 (en) Skateboard stand
JP2008119072A (en) Shelf device of desk with lifting and lowering top panel
WO2017188854A1 (en) Easel
KR101747884B1 (en) Sectional flat bench
JP2009189265A (en) Apparatus for playing game by pet
KR20150003420U (en) Table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able
US20160256884A1 (en) Painting Jig Assembly
KR20150003423U (en) Table
RU2614967C1 (en) Easel
KR20160072596A (en) Table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moving table
JP6608859B2 (en) Arched concrete base
KR20150003422U (en) Table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able
KR20150003421U (en) Table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able
JP4648490B1 (en) Desk with chair storage
RU167716U1 (en) EASEL
CN205214763U (en) Foldable double -layer bed
KR20150001666U (en) Table being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moving table
JP5622329B2 (en) Lifting table
JP3078603U (en) Storage for stackable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