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88U - outdoor table - Google Patents

outdoor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388U
KR20150003388U KR2020140001716U KR20140001716U KR20150003388U KR 20150003388 U KR20150003388 U KR 20150003388U KR 2020140001716 U KR2020140001716 U KR 2020140001716U KR 20140001716 U KR20140001716 U KR 20140001716U KR 20150003388 U KR20150003388 U KR 20150003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rim
top plate
c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7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유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멘션플래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멘션플래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멘션플래닝
Priority to KR2020140001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388U/en
Publication of KR20150003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8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캠핑용의 야외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판이 판체가 하향 절곡되어 판체를 보강토록 되는 테두리벽의 전후로 구멍을 천공하여 구멍을 서로 볼트와 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연장토록 함으로서 테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을 연장하여 사용 가능함과 동시에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판의 테두리벽의 좌우 양측 벽면에도 구멍을 천공하여 걸고리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판의 상면에도 장방형으로 길게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조리용구나 그릇 등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판의 중앙에는 로고 등의 형상으로 배수공을 형성하여 상판에 발생되는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table for camping, in which an upper plate is bent downward to perforate holes in front and rear of a rim wall to reinforce the plate, and the holes are extended by fastening bolts and nuts to each other, So that the table can be extended and used in a stable manne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hole in both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rim of the top plate so as to be able to use hooks, and also to form a long rectangular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so that various cooking utensils, And a drain hol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go or the like at the center so as to easily remove moisture generated on the top plate.

Description

캠핑용 야외테이블{outdoor table}Outdoor table for camping {outdoor table}

본 고안은 캠핑용의 야외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을 다양한 크기로 연장사용이 가능하면서 음식물의 물기제거가 용이하면서 다양한 컵이나 걸이수단을 구비토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table for camping,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table to various sizes,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food and to provide a variety of cups and hanger means for ease of use.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캠핑용의 야외테이블은 절첩되는 다리대가 상판의 좌우변에서 힌지에 의하여 절첩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시 간단하게 접어서 휴대토록 하고 사용시에는 간단하게 펼쳐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The general outdoor camping table for camping is composed of folded legs folded by the hing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y can be easily folded and carried on carrying, and they can be easily used when they are used.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상판에 물기가 발생될 경우에 제거가 용이치 아니하다는 점과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 테이블 연장이 불가능하여 테이블을 서로 밀착해서 사용하는데 이 경우 찌게 등을 놓고 동시에 취식할 경우에 연결부분에 냄비가 놓여질 경우에는 자칫 밀착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쏟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at the table can not be extended when the top plate is wet and the table can not be extended when multiple people use it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When the pot is placed at the connection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ose part is spilled out.

또한 캠핑시 사용하는 컵이나 다양한 그릇 등을 마땅히 놓아둘 곳이 없어서 대부분 빈 코펠에 담아두고 사용하는데, 이렇게 쌓아서 보관하면 그릇이 서로 물려있기 때문에 꺼내어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또한 꺼내는 과정에서 바닥에 떨어지는 등 여러 불편함이 있었다.Also, since there is no place to place cups or various bowls used for camping, they are mostly put into empty coppels. When they are piled up and stacked, they are very uncomfortable to use because they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There were various discomforts such as falling.

KR 100189425 B1KR 100189425 B1 KR 1020010045886 AKR 1020010045886 A KR 2020000009256 UKR 2020000009256 U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판을 서로 연결고정하여 테이블을 연장하여 사용토록 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테이블에 컵이나 다양한 그릇 등을 상판에 장착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lates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to extend the table so that the utilization can be enhanced and the table can be used in a stable manner. In addition, a cup or a variety of vessels are mounted on the top plate to provide ease of use.

이를 위하여 상판의 구조가 판체를 하향절곡되어 판체를 보강토록 되는 테두리벽의 전후로는 구멍을 천공하여 구멍을 서로 볼트와 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연장토록 함으로서 외력에 의하여도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한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 of the upper plate is bent downward to extend the plate by fastening the bolts and nuts to each other by perforating holes at the front and back of the edge wall to reinforce the plate,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by external force.

또한 좌우 테두리벽에도 구멍을 천공하여 걸고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용구나 그릇 등을 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판의 좌우변으로는 길게 개구부를 형성하여 걸이 손잡이가 달린 조리용구나 그릇을 걸어둘 수 있도록 하면서 상판의 중앙에는 로고 등을 개구토록 함으로서 상판에 발생되는 물기를 손쉽게 제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rill a hole in the left and right edge walls so that various cooking utensils and utensils can be hooked using hooks, and a long opening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so that a cooking utensil or a bowl And the logo is ope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water generated on the upper plate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상판의 좌우모서리에는 개구홀을 형성하여 컵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urther, an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upper plate so that the cup can be held and fixed.

따라서 기존의 상판구조에서 간단한 구멍만을 천공함으로서 연장고정은 물론 컵의 고정과 다양한 로고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테이블 상판의 물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조리용구나 그릇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drilling only a simple hole in the existing roof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not only extended fixation but also fixation of the cup and various logos, as well as easy removal of the water of the table top plate and easy storage of various types of cooking utensils and bowls .

도 1은 본 고안의 테이블이 연장고정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테이블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수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테이블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테이블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걸고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걸고리가 테이블에 장착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and fixed.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tabl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rain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able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able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of Figure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hooks of Fig. 7 are mounted on the table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상판(10)과 상판(10)에 조립되는 다리대(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판(10)은 판체(11)의 테두리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테두리벽(12)을 형성하고, 테두리벽(12)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다리대가 힌지(21)에 의하여 절첩되도록 하며, 상기 상판(10)의 테두리벽(12)에는 조임홀(13)이 형성되어 또 다른 테이블의 상판(10)의 테두리벽이 밀착되면서 볼트(31)와 조임너트(32)로 구성되는 고정수단(30)으로 조임 연결고정된다.1 to 3,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op plate 10 and a leg plate 20 which is assembled to the top plate 10. The top plate 10 has a frame 11, And the leg wall folded to the inside of the rim wall 12 is folded by the hinge 21. The rim 12 of the upper wall 1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3 And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fixing means 30 composed of the bolt 31 and the tightening nut 32 while the edge wall of the upper plate 10 of another table is closely attached.

이때, 상기 조임홀(13)은 상판(10)의 테두리벽(12) 중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벽면(12a)에 복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여러 개의 조임홀 중 일부 또는 전부에 고정요소(30)를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고정하도록 되며, 고정요소(30)는 볼트(31)와 조임너트(32)의 조임에 의하여 연장된다.The fastening holes 13 are formed in the wall 12a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rim 12 of the upper plate 10 by inserting a plurality of holes into the fastening holes 13, And the fixing element 30 is extended by tightening of the bolt 31 and the tightening nut 32. As shown in Fig.

따라서 여러 개의 테이블을 길게 연장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찌개 등이 조리되어진 냄비를 연결부분에 위치토록 한 상태에서도 쏟아질 위험이 없이 여러 명이 둘러앉아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럴 경우에도 연결된 부위가 고정수단(3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외력에 의하여도 벌어지지 않고 분리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since a plurality of tables can be extended and assembled, it is possible for a plurality of people to sit around and eat food even when the pot having the cooked sauce is placed at the connecting portion without risk of pouring. In this case, Is fixed firmly by the fixing means (30), it is not opened or separated by any external force.

또한, 여러 개의 테이블에 형성된 벽면(12a)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수단(30)이 조금 헐겁게 조임되는 경우에도 벽면(12a)의 상,하 폭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테이블이 서로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ll surfaces 12a formed on the plurality of tables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fixing means 30 is slightly loosened, the tables are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wall surfaces 12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opened.

그리고 상판(10)은 판체(11)의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벽(12)에 의하여 내공간(14)이 형성되는데, 그 내공간에 다리대(20)가 삽입되게 접힘되도록 하면 테이블을 접은 상태에서 다리대(20)가 노출되지 않고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inner space 14 is formed by the rim 12 formed on the rim of the upper plate 10. When the legs 20 are fol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4, The legs 20 are not exposed and the storage volume can be minimized.

이때, 다리대(20)는 상판(10)의 모서리부분에 힌지 고정되어 절첩 작동하는 지지부(22)와 지지부(22)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면서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23)로 이루어지게 형성하면 다리대(20)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받침부(23)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테이블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leg portion 20 is formed by a support portion 22 which is hinged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to be folded and a support portion 23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2, The lower leg 20 is formed in a 'C' shape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3 is stably moun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table is not tilted to one side.

상판(10)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하여 테두리벽(12)이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벽면(12a)과 양측면에 형성되는 벽면(12b)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판(10)에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리대(20)는 상판(10)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변에 대응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late 1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so that the rim wall 12 is composed of a wall surface 12a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 wall surface 1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im 12, Preferably, the legs 20 to be mounted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s facing each other in the upper plate 10. [

다리대(20)는 양측 또는 4방으로 절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다리대(20)가 테두리벽(12)에 의하여 벌어짐 각도가 제한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leg base 20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that is folded on both sides or into four chambers so that the leg base 20 is stably supported while being restricted by the rim 12.

그리고 상판(10)의 테두리벽(12) 중 양측면에 형성되는 벽면(12a)에 장착구멍(15)을 형성하면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조리용구나 그릇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When a mounting hole 15 is formed in a wall surface 12a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im 12 of the upper plate 10, a cooking utensil or a bowl used for cooking food can be hooked and stored.

장착구멍(15)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16)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조리용구나 그릇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hooking holes 16 are fixed to the mounting hole 15, so that a cooking utensil or a bowl can be hooked and stored.

걸고리(16)는 상판(10)의 테두리벽(12)에 형성된 장착구멍(15)에 삽입되게 끼움부(16a)가 형성되고, 걸고리(16)가 장착구멍(15)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테두리벽(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조리용구 등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부(16b)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끼움부(16a)는 이중 절곡부를 형성하면서 끼움부(16a)와 걸이부(16b)의 경계 부분에 지지면(16c)을 형성하여 지지면(16c)이 테두리벽(12)의 외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hook 16 is formed with a fitting portion 16a so as to be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15 formed in the rim wall 12 of the upper plate 10. When the hook 16 is fit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hole 15 The hook portion 16b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rim wall 12 so that the cooking utensil can be held by being hooked. At this time, the fitting portion 16a forms a double bend,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surface 16c is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of the edge portion 16b so that the support surface 16c is stably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wall 12. [

그리고 상판(10)은 상면(10a)의 테두리부분에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17)를 형성하면 조리용구의 손잡이 부분이나 코펠 그릇의 손잡이 부분, 또는 집게나 행주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용도의 걸이구로 사용할 수 있다.The top plate 10 can be held by holding a handle of a cooking utensil, a handle of a cooking utensil, or a tongue or a dish when the opening 17 formed as a long rectangular shape is formed on the rim of the upper surface 10a. It can be used as a hanger for applications.

한편, 상판의 중앙에는 다양한 디자인 무늬나 도안 및 로고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배수공(18)을 형성하면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에 상판에 발생되는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rain hole 18 is formed while maintaining various design patterns, designs, and logo shapes at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moisture generated in the upper plate can be easily removed when food is consumed.

배수공(18)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의 상면(10a)을 다공판의 형태로 여러 개의 구멍을 형성하면 테이블을 경량으로 제작 가능하면서도 상판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더욱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upper plate 10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holes in the form of a perforated plate, the table 18 can be made light in weight and the water generated in the upper plate can be more easily Can be removed.

이때, 상판을 다공판으로 형성하면서 그 중앙에는 다양한 디자인 무늬나 도안 및 로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면체로 구성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may be formed as a perforated plate, and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may be formed of a bevel having various design patterns, designs, and logos,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판의 모서리에 개구홀(19)을 형성하면 컵을 끼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개구홀(19)의 위치는 상판(10)의 상면(10a) 중 서로 대칭되는 모서리에 개구홀을 형성함으로써 컵에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도 쏟아짐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The opening hole 19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upper plate 10 by forming an opening hole at a corner symmetrical to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upper plate 10 The cup can be safely stored without pouring even when the drink is contained.

10: 상판 10a: 상판
11: 판체 12: 테두리벽
12a: 벽면 12b: 벽면
13: 조임홀 14: 내공간
15: 장착구멍 16: 걸고리
16a: 끼움부 16b: 걸이부
16c: 지지면 17: 개구부
18: 배수공 19: 개구홀
20: 다리대 21: 힌지
22: 지지부 23: 받침부
30: 고정요소 31: 볼트
32: 조임너트
10: top plate 10a: top plate
11: plate body 12: rim wall
12a: wall surface 12b: wall surface
13: Fastening hole 14: My space
15: Mounting hole 16: Hook
16a: fitting portion 16b:
16c: support surface 17: opening
18: drain hole 19: opening hole
20: Leg 21: Hinge
22: support part 23:
30: Fixing element 31: Bolt
32: Fastening nut

Claims (7)

상판(10)과, 상판(10)에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리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10)은 판체(11)의 테두리가 하향 절곡되어 판체를 보강토록 테두리벽(12)이 형성되며, 테두리벽(12)에는 조임홀(13)이 천공되어 고정요소(30)의 조임에 의하여 여러 개의 테이블을 연장하여 사용하면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캠핑용 야외테이블.The upper plate 10 includes a top plate 10 and a leg plate 20 which is foldably mounted on the top plate 10. The top plate 10 is formed by bending the edge of the plate 11 downward, And a fastening hole (13) is formed in the rim wall (12) so that the plurality of tables are extended by tightening the fastening elements (30) and are not arbitrarily separa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판체(11)의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벽(12)에 의하여 내공간(14)이 형성되어 그 내공간에 다리대(20)가 삽입되게 접힘되어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야외테이블.The upper plate (1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space (14) is formed by a rim wall (12) formed on a rim of the plate body (11) So that the volume can be minimiz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테두리벽(12)에 장착구멍(15)이 형성되어 조리용구나 그릇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야외테이블.The outdoor table for camp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plate (10) has a mounting hole (15) formed in the rim wall (12) so that a cooking utensil or a bowl can be hung and stor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테두리벽(12)의 장착구멍(15)에 삽입되는 끼움부(16a)와 테두리벽(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이부(16b)를 갖는 걸고리(16)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야외테이블.The upper plate 10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upper plate 10 has a fitting portion 16a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5 of the rim wall 12 and a rim portion 16b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im wall 12 And a hook (16) having a hook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상면(10a)의 테두리부분에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조리용구나 그릇 등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야외테이블.The cooking stov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plate (10) has an opening (17)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a rim of the upper surface (10a) so that a cooking utensil or a bowl can be hung and stored Outdoor table for camp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상면(10a)에 복수의 배수공(18)이 형성되어 상판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야외테이블.The outdoor table for camp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lurality of drain holes (18)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0a) of the upper plate (10) to easily remove moisture generated in the upper pla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상면(10a)의 모서리 부분에 컵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개구홀(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야외테이블.The outdoor table for camp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op plate (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ole (19) for fixing a cup to an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10a).
KR2020140001716U 2014-03-04 2014-03-04 outdoor table KR2015000338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16U KR20150003388U (en) 2014-03-04 2014-03-04 outdoor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16U KR20150003388U (en) 2014-03-04 2014-03-04 outdoor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88U true KR20150003388U (en) 2015-09-14

Family

ID=5434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716U KR20150003388U (en) 2014-03-04 2014-03-04 outdoor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388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093A (en)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레마 Multi-table for camping that can be assembled and expanded and deform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093A (en)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레마 Multi-table for camping that can be assembled and expanded and deform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571B1 (en) Foldable dish rack
USD863873S1 (en) Food processor container
JP3184147U (en) Cooking pan with lid underlay means
US7086099B2 (en) Sink cover and work surface
JP5975695B2 (en) Kitchen sink and system kitchen
JP6054619B2 (en) Sink sink
KR200475324Y1 (en) Shelf for kitchen
KR20150003388U (en) outdoor table
KR101005917B1 (en) Can-teen
US7588153B2 (en) Utensil organizer
JP5177723B1 (en) Triangle corner with Gotoku-shaped stand
KR20100006522U (en) Shlef for drying dishes
KR200301372Y1 (en) Handl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ooking vessel
KR20070008789A (en) Chopping board hanger unit
KR20150004092U (en) A lid of vessel for cooking
JP5886131B2 (en) grill
KR101323635B1 (en) Structure of a vessel have multi-use
CN211703996U (en) Bowl basket structure
KR200377376Y1 (en) Shelf for Kitchen
KR20190103546A (en) Shelf type Kitchen utensils hanger
KR200383579Y1 (en) Stainless vessel for kitchen
KR200443182Y1 (en) Shelf for Kitchen
JPH10179432A (en) Stand for pot lid
JP3122914U (en) Onion stand
KR200311603Y1 (en) A dining table having receipt box of menu board and bill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