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201U - 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 - Google Patents

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201U
KR20150003201U KR2020140001208U KR20140001208U KR20150003201U KR 20150003201 U KR20150003201 U KR 20150003201U KR 2020140001208 U KR2020140001208 U KR 2020140001208U KR 20140001208 U KR20140001208 U KR 20140001208U KR 20150003201 U KR20150003201 U KR 201500032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surface
unit
us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2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대 filed Critical 김영대
Priority to KR2020140001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201U/en
Publication of KR20150003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20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안경식 프롬프터가 제공된다. 상기 안경식 프롬프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면 아래에 위치하는 표시대상물에서 출력된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면의 반대면을 향해 보았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위의 외부 환경이 투시되고, 상기 결합부는 사람의 눈 주변 또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일부분에 결합되고 이러한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ectacle type prompting device is provided. The spectacular type promp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coupling uni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plate includes a display surface, and the display surface displays images, characters, images, and the like output from a display object located below the display surface through light reflec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round the display portion is viewed from the display surface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surface, and the engagement portion is coupled to a part of the article to be worn around the human eye or the head, and in this case, And the display unit is rotated.

Description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의 화면을 반사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안경식 프롬프터{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type prompting device that reflects a screen of a smartphone or a computer and displays the screen to a user, thereby reducing the stress of the user's neck. [0002] USER}

본 고안은 안경식 프롬프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 등에 장착되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웹페이지,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ular type prompt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t for displaying images, web pages, images, and the like output through a screen of a smartphone or a tablet PC through light reflection mounted on an eyeglass frame or the like.

휴대폰은 무선 통신을 서비스하는 통신사들의 가입자망 내에서 단순히 무선통화를 하는 서비스에서 진화하여, 최근에는 영상 및 음악 등의 미디어콘텐츠, 포털 검색, 게임, 사진촬영 등의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까지 발전하게 되었고, 현대인들의 거의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다.The mobile phone has evolved from a service of simply making wireless calls within the subscriber network of communication companies that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Recently, a smart phone having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media contents such as video and music, portal search, game, , And most of the modern people are using smart phones.

스마트폰의 이용이 늘면서 스마트폰과 동일한 기능 또는 확대된 기능을 갖는 태블릿 PC의 이용도 급증하게 되었다.As the us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the use of tablet PCs with the same or expanded functions as those of smartphones has also increased sharply.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는 모두 휴대하여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주로 이동중에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사용할 때,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의 화면에 표시(출력)되는 영상, 웹페이지, 이미지 등을 확인할 때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손에 든 채로 머리를 숙여서 시선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사용하고 있다.Smartphones and tablet PCs are all portable and used mainly on the move. However, when using smartphones and tablet PCs, when viewing images (output), web pages, images, etc. on the screen of a smartphone or tablet PC, the user tilts his head with his smartphone or tablet PC in his hand Facing down, using smartphones and tablet PCs.

이러한 자세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경우 오랜 시간 동안 머리를 숙이게 되므로 목 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의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는 의료 전문가들의 경고가 확산되고 있고, 실제로 목 디스크 또는 허리 디스크 등의 질병이 유발된 사용자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In such a posture, medical experts warn that if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s used, it may cause diseases such as a neck disk and a waist disk because the head is bowed for a long time, and diseases such as a neck disk or a waist disk These are the emerging users.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질병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머리를 숙인 자세가 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시선이 정면을 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시선에 맞도록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높게 들어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세 역시 팔을 높게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를 파지하여야 하므로 어깨 결림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고, 자세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To prevent this disease from happening during the course of using smartphones and tablet PCs, make sure that the user's gaze is facing the front so that it does not lean against the head, and that the smartphone and tablet PC are used higher shall. However, such a posture is also required to grasp a smartphone and a tablet PC with a high arm, which may cause diseases such as shoulder stiffness, and the posture is inconvenient.

이에,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숙이지 않고도 사용자의 시선 아래에 있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쉽게 볼 수 있고, 이러한 과정 중에도 외부 환경을 그대로 투시하여 볼 수 있으므로 이동에 제한이 없도록 한 안경식 프롬프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troduced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has been able to provide a smartphone or a smartphone, which is located below the user's gaze, It was able to easily se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blip PC and to develop a spectacular type prompting device so that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seen through the process even during this process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movement.

이에,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숙이지 않고도 사용자의 시선 아래에 있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쉽게 볼 수 있고, 이러한 과정 중에도 외부 환경을 그대로 투시하여 볼 수 있으므로 이동에 제한이 없도록 한 안경식 프롬프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troduced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has been able to provide a smartphone or a smartphone, which is located below the user's gaze, It was able to easily se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blip PC and to develop a spectacular type prompting device so that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seen through the process even during this process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movement.

본 고안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면 아래에 위치하는 표시대상물에서 출력된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면의 반대면을 향해 보았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위의 외부 환경이 투시되고, 상기 결합부는 사람의 눈 주변 또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일부분에 결합되고 이러한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식 프롬프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display portion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coupling uni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plate includes a display surface, and the display surface displays images, characters, images, and the like output from a display object located below the display surface through light reflec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round the display portion is viewed from the display surface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surface, and the engagement portion is coupled to a part of the article to be worn around the human eye or the head, and in this case, Wherein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ispla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반사유리일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may be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reflective glass.

상기 안경식 프롬프터는 상기 프롬프터의 일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롬프터 전면에 장착되는 유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ectacular type promp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lored unit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mpting unit using a coupling unit capable of coupling to a part of the prompting unit.

이러한 안경식 프롬프터가 장착된 안경은, 렌즈; 상기 렌즈가 장착되는 부분 및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안경테; 및 상기 렌즈의 앞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경테에 장착된 상기 안경식 프롬프터를 포함한다.The spectacles equipped with such a spectacle type prompter include a lens; An eyeglass frame including a portion where the lens is mounted and a pair of glasses; And the spectacle type prompting device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이와 같은 안경식 프롬프터에 의하면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such a spectacular type prompting device, the user can use a smart phone or the like in a correct postur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결합부의 회전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경식 프롬프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가 일체로 장착된 안경을 도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ectacular type promp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rotation structure of the engaging por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pectacular type prompt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5 shows a spectacle in which a spectacle type promp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tegrall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 및 이를 장착한 안경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pectacular type promp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lasses equipped with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pectacular type promp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은 디스플레이부(110); 및 결합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spectacle type promp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nd an engaging portion 120.

디스플레이부(11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레이트의 형상은 안경의 렌즈가 결합되는 안경테의 렌즈 결합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 타원, 사각, 삼각 등의 형상일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plate may b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ens-engaging portion of the spectacle frame to which the lens of the spectacle is coupled. In this case, the shape may be a circle, an ellipse, a square, a triangle, or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면(111)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display surface 111.

디스플레이면(111)은 디스플레이면(111) 아래에 표시대상물(10)이 위치하는 경우, 표시대상물(10)에서 출력된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표시대상물(1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은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면(111)에 디스플레이 된다.The display surface 111 displays images, characters, images, and the like output from the display object 10 through light reflection when the display object 10 is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surface 111. The display object 1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n this case, images, characters, images, and the like output from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or the tablet PC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111 through reflection of light.

이러한 디스플레이면(111)의 반대면은 빛 반사를 통해 표시대상물(10)에서 출력된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play surface 111 is configured such that images, characters, images, etc. output from the display object 10 through light reflection can not be displayed through light reflection.

한편,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면(111)으로부터 디스플레이면(111)의 반대면을 향해 보았을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주위의 환경이 투시되고, 디스플레이면(111)의 반대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면(111)을 향해 보았을 때 역시 디스플레이부(110)의 주위의 환경이 투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의 구현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반사유리가 이용된다. 일 예로, 상기 반사유리는 최근 대통령 등이 연설 현장에서 이용하는 프롬프트(PROMPTER) 장치에 사용되는 투명의 프롬프터 글래스(PROMPTER GLASS)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10 is viewed from the display surface 111 towar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play surface 111, the environment around the display unit 110 is viewed, The environment around the display unit 110 is also seen when the surface 111 is view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the display unit 110 use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flective glass. For example, the reflective glass may be a transparent PROMPTER GLASS that is used in a PROMPTER apparatus that is recently used by a president or the like at a speech site.

프롬프터 글래스는 코팅된 정도에 따라서 앞에서 오는 빛과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화면 등에서 반사되어 오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Prompitter glass can control the amount of light coming from the front and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from the smartphone or computer screen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ating.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는 사용되는 프롬프터 글래스의 코팅 정도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목적에 따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The spectacular type promp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by varying the degree of coating of the used promoter glass.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면(111)으로부터 디스플레이면(111)의 반대편을 향해 시야가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면(111) 아래에 위치하는 표시대상물(10)에서 출력된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10) 주변의 외부 환경을 디스플레이면(111) 너머로 투시하여 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visual field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surface 111 from the display surface 111,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images, characters, and images output from the display object 10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surface 111 The user can see the external environment around the display unit 110 through the display surface 111 and see the external environment.

결합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사람의 눈 주변 또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품은 안경 또는 모자일 수 있다. 안경 또는 모자에 결합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120)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engaging portion 12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portion 110 and may be coupled to a part of the article to be worn around the eyes or the head of a person. As an example, the article may be a pair of glasses or a hat. When the engaging portion 120 is engaged with the glasses or the cap, the engaging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도 1 및 도 2에는 결합부의 회전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결합부의 회전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1 and 2 show an example of a rotation structure of a coupling por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rotation structure of a coupling por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120)의 회전 가능한 구조의 일 예로서, 결합부(120)는 플레이트 고정부(121) 및 플레이트 고정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끼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고정부(121)는 저면부에 형성된 끼움홈(121a)에 플레이트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부 둘레를 끼울 수 있는 형태일 수 있고, 끼움부(122)는 플레이트 고정부(121)의 측면부로부터 플레이트 고정부(121)의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는 일측이 오픈되어 있는 끼움링(122a)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끼움링(122a)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형의 끼움링(122a)은 도 2와 같이 안경테(210)의 렌즈 결합부분(211) 사이의 연결부(212)에 끼워질 수 있고, 연결부(212)를 축으로 하여 끼움링(122a)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s an example of the rotatable structure of the engaging portion 120, the engaging portion 120 includes a plate fixing portion 121 and a fitting portion 122 extending from the plate fixing portion 121 ). The plate fix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to fit arou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late-shaped display portion 110 in the fitting groove 121a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plate fixing portion 121, And a fitting ring 122a having one side open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portion toward the rear side of the plate fixing portion 121. [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fitting ring 122a may be circular. In this case, the circular fitting ring 122a can be fit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212 between the lens fitting portions 211 of the spectacle frame 210 as shown in FIG. 2, and the fitting ring 122a Can be rotated. Accordingly, the engaging portion 120 and the display portion 110 may be rotated to adjust the angle.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120')의 회전 가능한 구조의 다른 예로서, 결합부(120')는 플레이트 고정부(121') 및 끼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고정부(121')는 저면부에 형성된 끼움홈(미도시)에 플레이트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부 둘레를 끼울 수 있는 형태일 수 있고, 끼움부(122')는 플레이트 고정부(121')와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끼움부(122')는 'ㄱ'자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고, ??자로 절곡된 형상의 일측 끝단에는 일측이 오픈되어 있는 끼움링(122a')이 형성되고 다른 끝단에는 힌지돌기(122b')가 마련된 제1 힌지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링(122a')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고정부(121')에는 제1 힌지부(122b')와 결합되는 제2 힌지부(121b')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힌지부(121b')에는 상기 힌지돌기(122b')가 결합되는 힌지홈(1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결합부(120')의 경우, 제1 힌지부(122b') 및 제2 힌지부(121b')는 서로 결합되어 플레이트 고정부(121')가 끼움부(122')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는 회전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another example of the rotatable structure of the engaging portion 120 ', the engag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plate fixing portion 121 'and a fitting portion 122'. The plate fix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to be able to fit arou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late-shaped display portion 110 in a fitting groove (not shown)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and the fitting portion 122' 121 ',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tting portion 122 'may have a shape that is bent into a letter' A ', a fitting ring 122a' having one side open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ent shape, A first hinge portion 122b 'provided with a second hinge portion 122b'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fitting ring 122a 'may be circular or rectangular. The plate fixing portion 121 'may have a second hinge portion 121b'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122b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21b' may have the hinge protrusion 122b ' A hinge groove 121b 'may be formed. In the case of this type of engaging portion 120 ', the first hinge portion 122b'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21b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late fixing portion 121' can be rotated from the fitting portion 122 '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can be rotated to adjust the angle.

이러한 결합부(120, 120')의 회전 가능한 구조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The rotatable structure of the coupling portions 120 and 120 'is an exemplary one, but not limited thereto. Any structure can be used to rotate the display portion 11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롬프터는 상기 프롬프터의 일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롬프터 전면에 장착되는 유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romp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lored unit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prompting unit using a coupling unit capable of engaging with a part of the prompting unit.

유색 유닛은 도 1에서 도면부호 120으로 표시된 프롬프터와 동일한 구조이되, 프롬프터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되어 디스플레이부를 가릴 수 있는 부분이 유색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정색, 회색, 남색 등의 색깔로 이루어진 유색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면을 응시할 필요가 없을 때, 예를 들어, 가정에서 앉거나 누운 상태로 본 프롬프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화면만을 보고 싶을 때에는 유색 유닛으로 프롬프터(120)를 가림으로써 스마트폰 화면만을 볼 수 있다. The colored un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prompting unit 120 shown in FIG. 1,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of the prompting unit and hiding the display unit may be made of colored plastic.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need to look at the front of the user by the presence of a portion made of colored plastic material such as black, gray, indigo, etc., for example, When only the screen of the phone is desired to be viewed, only the smartphone screen can be seen by covering the prompting unit 120 with a colored unit.

프롬프터에 유색 유닛을 결합하는 방식은 본 예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The manner in which the colored unit is coupled to the promp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의 사용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경식 프롬프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spectacled boos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pectacular type prompting apparatus shown in Fig.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은 안경테(210)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안경테(210)에 결합된 안경식 프롬프터(100)을 안경테(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회전된 안경식 프롬프터(100)의 디스플레이면(111) 아래로 표시대상물(10)(예를 들면,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의 액정 부분을 대향시킨다. 이때, 사용자의 시선은 디스플레이면(111)을 바라보고 있다. 이는 도 4에 잘 나타나 있다.The spectacular boost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pectacle frame 21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pectacle frame 100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210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pectacle frame 210 The liquid crystal portion of the display object 10 (for example,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s made to face below the display surface 111 of the rotated spectacle type prompter 100. At this time, the user's gaze is looking at the display surface 111. This is well illustrated in FIG.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표시대상물(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은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면(111)에 표시되고, 시선이 디스플레이면(111)을 향하여 있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면(111)에 표시된 내용이 보여지게 된다. 이와 함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하므로 디스플레이면(111)에 표시된 내용이 겹쳐지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의 외부의 환경도 투시하여 볼 수 이다.Characters, images, and the like output from the display object 10 in the state of FIG. 4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111 through light reflectio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111 ) Is displayed.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unit 110 is transparent, the user can see the environment outside the display unit 110 in a form in which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111 overlap.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시선은 정면을 바라보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숙이지 않고도 안경식 프롬프터(100)을 통해 사용자의 시선 아래에 있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쉽게 볼 수 있고, 이러한 과정 중에도 외부 환경을 그대로 투시하여 볼 수 있으므로 이동에 제한이 없다.When the spectacle type promp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user's gaze is maintained in a front view, and the user can look through the spectacles' You can easily se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C, and you can see the external environment as it is during this process.

따라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등의 단말기를 휴대하여 영화, 웹페이지, 사진 등을 보는 과정에서 오랜 시간 머리를 숙인 채로 스마트폰 또는 태브릿 PC 등의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목 디스크 또는 허리 디스크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s used to hold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while staying at a head for a long time while viewing a movie, a web page, And the lik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은 사람의 눈 주변 또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므로 안경 또는 모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단한 결합구조를 가지므로 안경에 장착되는 경우 안경테의 형태에 제한 없이 다양한 안경테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모자에 장착되는 경우 모자챙 부분에 간단히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은 안경 사용자 및 안경 미사용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Also, since the spectacular boost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that can be coupled to an article to be worn around the eyes of a person or on the head, it can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glasses or a hat, Therefore, when the spectacle frame is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spectacle frames without limitation of the form of the spectacle frame. Therefore, the spectacle type boos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spectacle user and a non-spectacle user.

이상의 설명에서 참조된 안경식 프롬프터(100)의 결합부(120)의 형태 중 도 3과 같은 결합부(120)의 형태를 갖는 경우, 모자의 모자챙 부분에 장착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shape of the engaging portion 120 of the spectacular booster 100 referenc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may be useful to attach it to the cap portion of the cap.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가 일체로 장착된 안경을 도시한다.FIG. 5 shows a spectacle in which a spectacle type promp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tegrally.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은 안경테(210)에 일체로 장착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안경식 프롬프터(100)이 안경테(210)에 일체로 장착된 안경(200)이 잘 나타나 있다.Meanwhile, the spectacular prompt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lly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210. FIG. 5 clearly shows the spectacles 200 in which the spectacles booster 100 is mounted integrally with the spectacle frame 210.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안경(200)은 안경테(210)에서 렌즈가 장착되는 부분들(211)을 연결하는 연결부(212)에 제1 힌지부(310)를 마련하고, 안경식 프롬프터(100)의 결합부(120)는 플레이트 고정부(121)에 제2 힌지부(320)를 마련하고, 제1 힌지부(310) 및 제2 힌지부(320)를 힌지핀(330)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경식 프롬프터(100)은 힌지핀(33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the glasses 200 include a first hinge part 310 provided at a connection part 212 connecting the lens mount parts 211 of the spectacle frame 210, And the first hinge unit 310 and the second hinge unit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pin 330. The first hinge unit 310 and the second hinge unit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pin 330, . Accordingly, the spectacle type prompting apparatus 100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pin 330 as an axis.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이 장착된 안경(200)의 사용 형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식 프롬프터(100)의 사용 과정과 동일 및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use of the spectacles 200 equipped with the spectacles boost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use of the spectacles boos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색 유닛, 안경식 프롬프터의 디스플레이부 및 안경의 렌즈부는 다양한 색깔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of the colored unit, the spectacle-type prompter, and the lens unit of the glasse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colors.

또한, 유색 유닛, 안경식 프롬프터의 디스플레이부 및 안경의 렌즈부로 오목렌즈 또는 볼록 렌즈 등을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반사 화면은 확대하고, 전면의 시야는 근시 또는 원시인 사람을 위하여 시력 보정 효과까지 가져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urther, by using a concave lens, a convex lens or the like as the display unit of the colored unit, the spectacle-type promptor, and the lens unit of the spectacles, the reflection screen from the smart phone or the computer is enlarged, Of the population.

Claims (5)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면 아래에 위치하는 표시대상물에서 출력된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면의 반대면을 향해 보았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위의 외부 환경이 투시되고,
상기 결합부는 사람의 눈 주변 또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일부분에 결합되고 이러한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에 결합가능한 프롬프터.
At least on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nd a coupling uni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The plate comprising a display surface,
Wherein the display surface displays images, characters, images, and the like output from a display object located below the display surface through light reflec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around the display unit is viewed from the display surface towar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play surface,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article to be worn around or around the eyes of a person and in which case the coupl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isplay portion.
A combinable spectro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반사유리인,
안경에 결합가능한 프롬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flective glass,
A combinable spectro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롬프터의 일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롬프터 전면에 장착되는 유색 유닛을 더 포함하는, 안경에 결합가능한 프롬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lored unit mounted on the front of the prompter using a coupling portion capable of binding to a portion of the prompter.
렌즈;
상기 렌즈가 장착되는 부분 및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안경테; 및
상기 렌즈의 앞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경테에 장착된 프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롬프터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안경테의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면 아래에 위치하는 표시대상물에서 기록 또는 출력된 영상, 문자, 이미지 등을 빛 반사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면의 반대면을 향해 보았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위의 외부 환경이 투시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롬프터가 장착된 안경.
lens;
An eyeglass frame including a portion where the lens is mounted and a pair of glasses; And
And a preamplifier mounted on the spectacle frame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The above-
At least on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nd a coupling part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display part and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 part of the spectacle frame,
Wherein the display surface displays images, characters, images or the like recorded or output from a display object located below the display surface through light reflec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around the display unit is viewed from the display surface towar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play surface,
And the coupling par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isplay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반사유리인, 프롬프터가 장착된 안경.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 translucent or semi-transparent reflective glass.



KR2020140001208U 2014-02-18 2014-02-18 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 KR2015000320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08U KR20150003201U (en) 2014-02-18 2014-02-18 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08U KR20150003201U (en) 2014-02-18 2014-02-18 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01U true KR20150003201U (en) 2015-08-26

Family

ID=54338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208U KR20150003201U (en) 2014-02-18 2014-02-18 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201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6079A (en) * 2021-12-16 2022-04-1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6079A (en) * 2021-12-16 2022-04-1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3880B2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 output mechanism
US10466487B2 (en) Releasably attachabl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yewear
US201803654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wearable computing device
JP6035415B2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
EP3072009B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2020523628A (en) Detachabl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yewear
US20130235331A1 (en) Eyeglass frame with input and output functionality
CN104969115A (en) Modular frame construction for head mountable dispaly
CN104160320A (en) Wearable device assembly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JP2012520487A (en) Visor type head-up display
JP2023126207A (en) Display and vision correction system with removable lens
US20160170206A1 (en) Glass opacity shift based on determined characteristics
TWI689751B (en) Releasably attachabl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eyewear
KR102614047B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20180017803A1 (en) Accessory and lens system
CN109239924A (en) A kind of augmented reality eyeglass device
KR20150003201U (en) An eyeglasses prompter apparatus for reducing the stress of a neck of a user by displaying a reflected screen of smart phone or computer to the user
US20230094153A1 (en) Ophthalmic lens assembly
US11960150B2 (en) Pinhole glasses
CN207718078U (en) A kind of wear-type wireless video eyeglass that can install eyeglass additional
KR20170127718A (en) Glasses support and the glasses having the same
CN205379442U (en) Novel vision training spectacle frame
KR20190120635A (en) Glasses for improving concentration
JP2012150417A (en) Bifocal farsighted eye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