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039A -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039A
KR20150003039A KR1020130075946A KR20130075946A KR20150003039A KR 20150003039 A KR20150003039 A KR 20150003039A KR 1020130075946 A KR1020130075946 A KR 1020130075946A KR 20130075946 A KR20130075946 A KR 20130075946A KR 20150003039 A KR20150003039 A KR 20150003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image content
imag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2852B1 (ko
Inventor
송학섭
박규태
고성욱
김태호
왕태호
이강록
이용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852B1/ko
Priority to EP14173241.2A priority patent/EP2819423A1/en
Priority to US14/313,352 priority patent/US20150002744A1/en
Priority to CN201410300686.6A priority patent/CN104254013A/zh
Publication of KR2015000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영상 컨텐츠를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수신 장치에서 수신하는 경우, 아날로그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방식, 셋톱박스를 통해 수신하는 방식,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한다. 영상 수신 장치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표시부, 스피커 등을 통해서 출력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수신 받는 과정에서 셋톱 박스 등에 의해 영상 신호가 변형되고 처리되기 때문에, 영상 수신 장치의 사양이 향상되어, 영상 수신 장치가 다양한 부가 정보를 처리하고 이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신 받아 이용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수신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컨텐츠의 상영 중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수신 장치에 구비된 음성 센서, 카메라 등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인터렉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상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가 강제 종료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 실행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구간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 상기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포함하는 영상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상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정보 획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가 강제 종료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 실행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구간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되었을 때,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수신 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중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수신 장치에 구비된 음성 센서, 카메라 등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인터렉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배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배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함께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텐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110)로부터 입력되거나, 안테나,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100)가 셋톱 박스(110)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수신 받는 경우,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사운드 신호 및 영상 신호가 영상 수신 장치(100)에 입력되어 재생된다. 그런데 영상 컨텐츠에 어플리케이션 정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또는 영상 메타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부가 정보는 셋톱 박스(110)에서 모두 처리되고 영상 수신 장치(100)로는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안테나 또는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방송국, 컨텐츠 제공자 등에서 제공하는 영상 컨텐츠 신호의 형식에 따라 부가 정보의 전달이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이 영상 신호 전달 환경에 따라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의 전달 가능 여부가 불분명한 상황에서도,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 받아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영상 컨텐츠의 시간과 연동하여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영상 수신 장치(100)의 활용도 및 수익 모델 수립의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100)는 저장부(210), 수신부(220), 신호 처리부(230), 표시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저장부(210)는 영상 수신 장치(100)의 제어 정보 및 영상 컨텐츠 관련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10)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서,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자기 기록 매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신부(220)는 영상 컨텐츠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부(220)는 예를 들면 셋톱 박스(110, 도 1 참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안테나, 인터넷 망 연결 인터페이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컨텐츠는 예를 들면, 광고 컨텐츠, 방송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등일 수 있다.
신호 처리부(230)는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영상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240) 및 제어부(250)로 제공한다. 신호 처리부(230)는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240)에 표시하기 위해, 소정의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30)는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스케일링, 화질조정처리, 화질개선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신호 처리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컨텐츠를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panel)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영상 수신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영상 수신 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등, 사용자로부터 소리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을 받기 위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영상 수신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 시간 정보 획득부(270),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고 추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는 영상 데이터 내에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2차원 바코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워터마크(Watermark) 등의 형태로 인코딩되어, 영상 데이터의 일부 픽셀들에 기입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픽셀들에 기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고, 디코딩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삽입된 영상 컨텐츠의 상영 중에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복수의 정보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 해당 영상 컨텐츠에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
- 영상 컨텐츠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상 길이 정보
-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구간 정보
- 어플리케이션이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겹쳐서 표시될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레이(overlay) 정보
- 해당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될지 여부를 나타내는 강제 종료 여부 정보
-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서버 주소, 웹 페이지 등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의 상영 중에, 상기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배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요소들이, 영상 컨텐츠의 복수의 프레임들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 및 상기 영상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는 해당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FRAME 1)에 CODE 1으로 삽입되고, 영상 길이 정보는 해당 영상 컨텐츠의 두 번째 프레임(FRAME 2)에 CODE 2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CODE 1 및 CODE 2가 삽입되는 위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미리 결정된 순번의 프레임으로부터 해당 프레임에 삽입된 정보 요소를 추출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첫 번째 프레임(FRAME 1)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추출하고, 두 번째 프레임(FRAME 2)으로부터 영상 길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프레임의 미리 결정된 위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코드들(CODE 1 및 CODE 2)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어느 정보 요소가 몇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210)에 미리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어느 정보 요소가 몇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각 정보 요소를 미리 결정된 순번의 프레임에 각각 삽입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프레임 내의 영역의 크기가 작아져,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삽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질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이용되는 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배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요소들이, 영상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함께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요소들의 삽입 위치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n번째 프레임(FRAME n)에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될 때, 제1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에 해당하는 CODE 1이 삽입되고, 제2 영역에 영상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CODE 2가 삽입되고, 제3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CODE 3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하나의 프레임에만 삽입되거나, 복수의 프레임들에 삽입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몇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는지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몇 번째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210)에 미리 보유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몇 번째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판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복수개의 정보 요소들이 삽입되기 때문에, 동시에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영상 컨텐츠의 상영 초기에 필요한 정보들을 앞쪽 프레임(예를 들면 첫 번째 프레임)에 배치하여, 상영 초기에 그러한 정보들을 모두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는 일부 정보 요소는 도 3에 도시된 방식으로 삽입하고, 일부 정보 요소는 도 4에 도시된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간 정보 획득부(270, 도 2 참조)는 영상 컨텐츠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상영 시간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영상 컨텐츠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 영상 컨텐츠 상영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첫 프레임을 인식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프레임으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첫 프레임을 나타내는 코드가 검출되면, 해당 프레임이 표시되는 시점을 영상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 상영 길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영상 길이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되는 시점에 시작되고,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는 시점에 강제로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가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강제 종료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는 시점에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되거나, 강제 종료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되는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시작되거나,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종료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함께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가 상영되는 동안,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영상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되면, 영상 컨텐츠 화면(510)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화면(520, 530)이 표시된다. 이때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화면들(520, 530)이 선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중 사용자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확대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소정의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영상 컨텐츠 화면(540)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55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되면,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미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되면, 영상 컨텐츠 화면(540)과 미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55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광고 컨텐츠의 상영시간 동안, 해당 광고와 관련된 게임을 실행시키고, 광고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될 때 게임을 종료시키도록 하면, 사용자는 광고 컨텐츠 상영 중에만 해당 게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매우 향상된다. 만약 해당 게임이 사용자에게 소정의 사은품을 제공하거나, 포인트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에게 소정의 혜택을 제공하는 게임이라면, 사용자는 광고 컨텐츠의 상영 시간 동안만 해당 게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때나 해당 게임을 할 수 있는 경우에 비해, 해당 게임 및 광고에 더욱 집중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방송 수신 장치(100)에 구비된 소정의 센서들(예를 들면, 음성 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인터렉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100)에서 자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때문에,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제조사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우선 영상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신호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한다(S602).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소정의 영역에 영상의 일부로서 삽입될 수 있다. 검출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 영상 수신 장치(100)에 의해 디코딩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검출되고 디코딩되면,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S604). 상영 시간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영상 컨텐츠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 영상 컨텐츠 상영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606).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종료가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의 진행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의 단계들(S602, S604, S606)은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나타내는 코드를 영상 데이터로서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광고들이 연속적으로 방영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광고 1의 첫 번째 프레임에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삽입되고, 광고 2의 첫 번째 프레임에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는 각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영상 컨텐츠에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영상 컨텐츠의 상영 동안,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해당 영상 컨텐츠에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없다고 나타내는 경우, 해당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동안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260)는 영상 컨텐츠가 입력되면, 첫 번째 프레임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검출하고 판독하여,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삽입된 경우에만 나머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고 디코딩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고 처리하는 연산량을 감소시키고, 어플리케이션 정보의 처리를 위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검출하여, 영상 컨텐츠의 방영 시작 시점을 알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검출되면, 해당 프레임이 표시되는 시점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간 정보 획득부(270)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검출되면, 해당 프레임이 표시되는 시점에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되었다고 판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가 저장부(21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알 수 있다.
만약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방송 수신 장치(100)에 설치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문의하여, 사용자가 허용하는 경우에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접근할 위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이 저장된 서버 정보, 웹 페이지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영상 컨텐츠의 상영 동안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만 진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가 다시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영상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와 같이 짧은 시간 동안 상영되는 컨텐츠인 경우에는, 해당 영상 컨텐츠의 상영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을 모두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처음으로 영상 수신 장치(100)에 수신되었을 때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만 수행하고, 다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수신되면 영상 수신 장치(100)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삽입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 및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만큼 경과된 시점들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T0)을 나타내는 정보와, 영상 컨텐츠의 특정 시점들(T1, T2)을 나타내는 정보가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들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시작된 후 특정 시점, 또는 특정 프레임이 표시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상영 시간 정보를 이용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시킬 때,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T0 시점에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 0를 실행시키고, T1 시점에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 1을 실행시키고, T2 시점에 어플리케이션의 프로세스 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으로부터 재생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영상 컨텐츠가 수신되면, 영상 컨텐츠에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2).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검출하고 디코딩하여 알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검출된 프레임이 표시되는 시점을 영상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여, 영상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1004).
다음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S1006).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는, 저장부(21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 수 있다.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08).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프레임들에서 획득하여,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의 위치를 획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S1010).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에 대해 문의하여, 사용자가 허용하는 경우에만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영상 길이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영상 길이 정보에 나타난 시간에 도달하면,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었다는 것을 다음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알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80)는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강제 종료시키거나, 종료시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해당 광고가 종료되면 해당 광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영상 컨텐츠가 수신되면, 영상 컨텐츠에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2).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검출하고 디코딩하여 알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검출된 프레임이 표시되는 시점을 영상 시작 시점으로 판단하여, 영상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1104).
다음으로,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1106).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S1108),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지 여부가 판단된다(S1110).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작 시점에 대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영상 길이 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다음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지 여부는,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가 강제 종료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강제 종료된다(S1112).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가 강제 종료할 것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더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계속 실행된다(S1114).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영상 컨텐츠 화면과 함께 표시되는 방식이 오버레이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오버레이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컨텐츠가 상영되는 동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화면(APP)이 영상 컨텐츠의 화면 상에 겹쳐지게 표시된다. 만약 오버레이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 하지 않을 것을 나타내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의 화면과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별개의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자기 기록 매체, ROM, RAM, CD-ROM,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상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인,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가 강제 종료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 실행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구간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8.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검출부;
    상기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포함하는 영상 수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상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 획득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수신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영상 수신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인, 영상 수신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가 강제 종료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 실행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시키는, 영상 수신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위치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구간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영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버레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수신 장치.
  15.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되었을 때,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에 삽입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영상 컨텐츠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첫 번째 프레임에 삽입되는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 및
    상기 영상 컨텐츠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상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시작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삽입 여부 정보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에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는 광고 컨텐츠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이 종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강제 종료 여부 정보가 강제 종료할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상영 시간이 종료되면, 실행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075946A 2013-06-28 2013-06-28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52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946A KR101522852B1 (ko) 2013-06-28 2013-06-28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14173241.2A EP2819423A1 (en) 2013-06-28 2014-06-20 Image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providing image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US14/313,352 US20150002744A1 (en) 2013-06-28 2014-06-24 Image receiving apparatus, method of providing image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CN201410300686.6A CN104254013A (zh) 2013-06-28 2014-06-27 图像接收设备以及提供图像内容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946A KR101522852B1 (ko) 2013-06-28 2013-06-28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39A true KR20150003039A (ko) 2015-01-08
KR101522852B1 KR101522852B1 (ko) 2015-05-27

Family

ID=5122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946A KR101522852B1 (ko) 2013-06-28 2013-06-28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02744A1 (ko)
EP (1) EP2819423A1 (ko)
KR (1) KR101522852B1 (ko)
CN (1) CN104254013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25533T2 (de) * 1996-08-30 2004-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igitales Rundfunksystem, digitale Rundfunkvorrichtung und Empfänger dafür
US20010003212A1 (en) * 1999-10-29 2001-06-07 Jerilyn L. Marler Identifying ancillar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audio/video program
US8095948B2 (en) * 2001-03-09 2012-01-1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for interactive television
WO2005104558A1 (en) * 2004-04-21 2005-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broadcast playback device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0130347A (ja) * 2008-11-27 2010-06-10 Sony Corp 録画装置、及び録画方法
JP5498179B2 (ja) * 2010-01-25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22479B1 (ko) * 2010-06-21 201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 매체,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US20120050619A1 (en) * 2010-08-30 2012-03-01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54013A (zh) 2014-12-31
EP2819423A1 (en) 2014-12-31
KR101522852B1 (ko) 2015-05-27
US20150002744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0892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supplemental media on a second screen
JP6260663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連動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
CA2822055C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providing device, providing method, programs, and broadcasting system
US8966564B2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providing device, providing method, programs, and broadcasting system
NL2006978C2 (en) Rendering device with content substitution.
EP2773108B1 (en)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202596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voice conversion method thereof
KR20150104358A (ko) 서버 장치 및 그의 핑거프린트 전송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장치
KR20180083132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007818A1 (en) Provisioning interactive video content from a video on-demand (vod) server
KR101522852B1 (ko) 영상 수신 장치,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300294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3526969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laying substitutional advertis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37852B1 (ko) Tv를 통한 영상 광고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779557B2 (ja) 映像復号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016720B2 (ja) Ip放送受信装置
CN117882386A (zh) 显示设备和显示设备的控制方法
KR20110112535A (ko) 영상 인지 광고 장치 및 영상 인지 광고 장치에서의 광고 콘텐츠 제공 방법
WO2014159416A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supplemental media on a second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