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486U - Card Connector - Google Patents

Card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486U
KR20150002486U KR2020140009297U KR20140009297U KR20150002486U KR 20150002486 U KR20150002486 U KR 20150002486U KR 2020140009297 U KR2020140009297 U KR 2020140009297U KR 20140009297 U KR20140009297 U KR 20140009297U KR 20150002486 U KR20150002486 U KR 201500024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rd
locking
slider
car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2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타카 오코시
준야 츠지
마사아키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07139U external-priority patent/JP3189283U/en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024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8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유지력을 높인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하우징과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의 록킹 요부에 파고들어 트레이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는 후크 스프링과,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배치된 슬라이더와, 수용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회동축을 갖고, 삽입 방향 내측에 슬라이딩한 슬라이더에 제1단이 밀려 회동하여 트레이를 제2단에서 압출하는 이젝트 레버를 구비하고, 후크 스프링이 판재의 전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그 록킹부가 트레이의 측면에 전단면을 향해 록킹 요부에 파고들어 트레이를 록킹하는 것이다.Provided is a card connector that increases the holding power while suppressing enlargement. A hook spring having a housing and a hook portion having a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tray by locking into a locking recess portion of a tra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 slid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space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n eject lever for pivoting the first end of the slider slidably in the insertion direction to push the tray out of the second end, wherein a hook spring is formed by shearing the plate material, To the front end surface and to the locking recess to lock the tray.

Description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Card connector {Card Connector}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나 SIM(가입자 식별모듈)카드 등과 같은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connector into which a card such as a memory card or a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is inserted.

카드 커넥터의 경우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다소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카드가 정상 삽입 위치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해 둘 필요성이 있다.There is a need to maintain the card connector so that the card does not come out from the normal insertion position even if some impact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card is inserted.

특허문헌 1에는 삽입된 카드의 유지부재로서 작용하는 이젝트 플레이트를 하우징의 가이드벽에 따르게 함으로써 유지력을 향상시킨 카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ard connector in which retention force is improved by following an ejection plate serving as a retaining member of an inserted card to a guide wall of the housing.

특개2003-217738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217738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이젝트 플레이트를 하우징의 가이드벽에 따르게 하고 있으나, 충격이 가해진 때에 그 이젝트 플레이트의 계합부가 찌그러지는 방향으로 변형하여 유지력의 더 한층의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유지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대형 유지부재를 필요로 하는 등, 카드 커넥터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lthough the ejection plate is made to follow the guide wall of the housing, when the impact is applie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ejection plate deforms in the collapsed direction, and further improvement of the holding force can not be expected.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holding force, a large holding member is required, which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card connector.

본 고안은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유지력을 높인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d connector with an increased holding power while suppressing enlarg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는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측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된 삽입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 수용 공간에 수용된 삽입체의 록킹 요부에 파고 들어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는 후크 스프링과,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배치된 슬라이더와, 수용 공간 내측에 배치되어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중에 회동축을 갖고, 삽입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한 슬라이더에 제1단이 밀려 회동하여 삽입체를 제2단에서 압출하는 이젝트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 스프링이 판재의 전단 가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의 두께 치수보다도 광폭의 상기 폭방향 치수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housing space in which a housing space for housing an insertion body having a locking recessed portion formed in a widthwise side intersecting with an insertion direction inserted in an insertion direction is formed, A hook spring having a locking part for locking the insertion body by digging into the locking recess of the insertion body; a slider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slidable in the insertion direction, having a pivot shaft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an eject lever for pushing the insert at the second end, wherein the hook spring is formed by a shearing process of the plate material, and the width of the plate material in the width direction Dimensionally.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는 삽입체의 유지를 담당하는 후크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후크 스프링이 전단 가공의 재료로 한 판재의 두께보다도 광폭인 상기 폭 방향의 치수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카드 커넥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후크 스프링의 록킹부가 찌그러지는 일이 없어 소망하는 강고한 유지력이 유지된다.Since the car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hook spring for holding the insert and the hook spring has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which is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late material made of the material for shear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hook spring does not collapse and the desired strong holding force is maintained.

여기서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후크 스프링이 슬라이더와 일체로 전단 가공되어 슬라이더와 함께 슬라이딩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In the car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ok spring is integrally sheared with the slider and slides together with the slider.

후크 스프링을 슬라이더와 일체로 전단 가공함으로써 부품수가 삭감되고, 또한 후크 스프링을 슬라이더와 별개로 형성한 때의 하우징의 후크 스프링의 유지부도 불필요해져 소형화, 저코스트화에 기여한다.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by shearing the hook spring integrally with the slider, and the holding portion of the hook spring of the housing when the hook spring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lider is unnecessary, contributing to miniaturization and low cost.

더욱이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 자체에 있어서 그 카드 자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삽입체는 카드가 탑재되어 카드와 함께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를 갖고, 상기 카드 트레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카드 트레이에 록킹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드 트레이에 카드를 탑재하여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의 경우, 카드 자체에는 상기 록킹 구조에 관한 고려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카드 트레이를 구비한 타입의 카드 커넥터를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recessed portion in the card itself. Alternatively, the insert may have a card tray on which a card is mounted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card, and a locking recess may be formed in the card tray. In the case of a card connector of the type in which a locking recess is formed in the card tray and the card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by inserting the card into the card tray, consideration of the locking structure is not necessary in the card itself.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 card connector of a type having a card tra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에 의하면,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으며 삽입된 상태의 삽입체의 예기치 못한 빠짐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r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ause enlargement and prevents unexpected disengagement of the inserted insert.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로서의 카드 커넥터의 트레이를 빼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금속쉘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레이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가 압출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가 압출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ard connector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tray of the card connector is pulled out.
Fig. 2 is a plan view of the card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metal shell is removed from the card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card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tray is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 is a plan view of a card connect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y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is being extruded.
5 is a plan view of a card connector showing a state after a tray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is extrud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r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로서의 카드 커넥터의 트레이를 빼낸 상태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ard connector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tray of the card connector is pulled out.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금속쉘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금속쉘의 유무에 관계없이 카드 커넥터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card connector with the metal shell removed from the card connector shown in Fig. 1. Fig. Here, the card connector may be referred to as a card connecto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metal shell is present.

또한 도 3은 트레이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card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tray is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더욱이 도 4, 도 5는 각각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가 압출되는 도중의 상태 및 압출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Figs. 4 and 5 are plan views of the card connector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tra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s being extruded and the state after extrusion. Fig.

이들 도 3 ~ 도5에서 금속쉘(20)은 제거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 3 ~ 도 5에서는 하우징 조립체(10)와 트레이(30)의 위치관계를 알 수 있도록 쌍방이 겹쳐 도시되어 있다.3 to 5, the metal shell 20 is removed. 3 to 5, both are superimposed so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assembly 10 and the tray 30 can be known.

상기 카드 커넥터(1)에는 하우징 조립체(10:도 2참조)와, 금속쉘(20:도 1참조)과, 트레이(30)가 구비되어 있다. 트레이(30)에는 중앙에 큰 개구(31)가 형성되고, 그 개구의 둘레에 지지대(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30)에는 SIM카드(미도시)가 상기 SIM카드 저면의 주위 둘레를 지지대(32)에 올리고, 상기 SIM카드 저면의 중앙 넓은 영역을 개구(31)가 하방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지지된다.The card connector 1 is provided with a housing assembly 10 (see FIG. 2), a metal shell 20 (see FIG. 1), and a tray 30. In the tray 30, a large opening 31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support table 32 is provided around the opening. A SIM card (not shown) lifts the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IM card to the support base 32 and the central area of the SIM card bottom surface is suppor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opening 31 is exposed downward .

하우징 조립체(10)와 금속쉘(20)과의 사이에는 트레이(30)가 삽입되는 삽입구(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삽입구(1a)의 안쪽에는 트레이(30)에 재치된 상태의 SIM카드를 받아 들이는 수용 공간(1b;예를 들면 도 2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30)는 하우징 조립체(10)에 대해 화살표A로 나타내는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다. An insertion port 1a through which the tray 30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housing assembly 10 and the metal shell 20. A receiving space 1b (see FIG. 2, for example) for receiving the SIM card placed on the tray 3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port 1a. The tray 30 is inserted in the inserting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ssembly 10.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레이(30) 단일체이거나 혹은 트레이(30)와 상기 트레이(30)에 재치되는 SIM카드를 합친 것이나 본 고안에서 말하는 삽입체의 일예에 상당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a single body of the tray 30 or a combination of the tray 30 and the SIM card placed on the tray 30 or an example of the ins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트레이(30)에는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측면에 록킹 요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조립체(10)에는 후크 스프링(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크 스프링(12)에는 록킹부(121)가 설치되어 있고, 트레이(30)가 수용 공간(1b)에 수용되면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 파고들어 트레이(30)를 록킹한다. 이 록킹에 의해 트레이(30)의 예기치 못한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Further, the tray 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concave portion 33 on th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insertion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A).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assembly 10 is provided with a hook spring 12. When the tray 3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1b, the locking portion 121 of the hook spring 1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recessed portion of the tray 30 33 to lock the tray 30. This locking prevents unexpected disconnection of the tray 30.

본 실시형태에서의 후크 스프링(12)은 후술하는 슬라이더(14)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The hook spring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as a part integral with the slider 14 described later.

또한 하우징 조립체(10)에는 수지제의 하우징(11)과 일체로 성형된 금속제인 복수의 콘택트(13)가 구비되어 있다. 각 콘택트(13)는 회로 기판(미도시)의 표면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접속부(131)를 갖는다. 트레이(30)에 재치된 SIM카드의 하면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담당하는 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13)는 트레이(30)에 재치되어 수용 공간(1b)에 수용된 SIM카드의 하면의 패드에 접촉하고, SIM카드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The housing assembly 10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s 13 made of metal integrally formed with a housing 11 made of resin. Each of the contacts 13 has a board connecting portion 131 that is solder-connected to the surface of a circuit board (not show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M card placed on the tray 30, pads for electrical connection are formed. These contacts 13 are placed on the tray 30 and come into contact with pad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M car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b and are responsible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he SIM card and the circuit board.

또한 상기 하우징 조립체(10)에는 슬라이더(14)와 이젝트 레버(15)가 더욱 구비되어 있다.Further, the housing assembly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lider 14 and an eject lever 15.

슬라이더(1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 스프링(12)과 일체로 형성된 금속부재이며,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에 대해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그 하우징(11)에 지지되어 있다.The slider 14 is a metal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ok spring 12 and extends in the insert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arrow A) so as to be slidable in the insert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 (Not shown).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r of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슬라이더(14)는 후크 스프링(12)과 일체로 금속 판재의 전단 가공 및 펀칭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는 그 전단면을 횡으로 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slider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ok spring 12 by shearing and punching the metal plate and the locking portion 121 of the hook spring 12 has a shape in which its front end face is transversely oriented have.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The description of the card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returned.

트레이(30)에는 슬라이더(14)를 밀어 넣기 위한 외부의 핀(40;도 4, 5참조)이 삽입되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11)에도 그 핀(40)을 받아 들이는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The tray 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34 into which an external pin 40 (see Figs. 4 and 5) for pushing the slider 14 is inserted and a pin 40 And an opening 112 for receiving is formed.

또한 이젝트 레버(15)는 수용 공간(1b)의 내측에 배치되어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부재이며, 그 가운데가 하우징(1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회동축(1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레버(15)는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 내측에 슬라이딩한 슬라이더(14)에 제1단(152)이 밀려 시계 반대 방향(도 4,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고, 트레이(30)를 제2단(153)에서 밀어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The eject lever 15 is a metal membe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b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intersecting the insertion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he center of the eject lever 1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11, (Not shown). The first end 152 of the eject lever 15 is pushed to the slider 14 slid inside the insert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to pivot counterclockwis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shown in Figs. 4 and 5) And pushes the tray 30 out of the second stage 153.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빼내어져 있는 상태의 트레이(30)를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삽입구(1a)에서부터 삽입하고, 수용 공간(1b)에 수용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레버(15)의 제2단(153)이 트레이(30)로 밀려 시계 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하고, 슬라이더(14)를 삽입 방향 앞측(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14)의 움직임에 따라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 파고들어 트레이(30)의 예기치 못한 빠짐을 방지한다.The tray 30 is pulled out from the insertion port 1a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direction of arrow A)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b. 3, the second end 153 of the eject lever 15 is pushed by the tray 30 to rotate clockwis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and the slider 14 is moved forward The direction of arrow B). The locking portion 121 of the hook spring 12 pierces the locking recessed portion 33 of the tray 3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14 to prevent unexpected disconnection of the tray 30.

여기서 상기 후크 스프링(12)은 전단 가공에 의해 상기 후크 스프링(12)을 형성하는 기초가 된 판재의 두께 치수보다 폭이 넓은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의 치수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크 스프링(12)은 기초가 된 판재의 면을 상하 방향을 향하게 하여 전단 가공으로 형성된 전단면을 트레이(30)의 측면을 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는 트레이(30)측에 돌출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0)에 파고든다. 이 때문에 상기 록킹부(121)는 강체(剛體)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트레이(30)가 빠지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부(121)가 찌그러지는 듯한 변형이 방지되어, 소망하는 유지력이 유지되며, 트레이(30)의 강고한 빠짐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Here, the hook spring 12 has a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intersecting the insertion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A) which is wid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plate material on which the hook spring 12 is formed by shearing. Specifically, the hook spring 12 is dir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ray 30 with the front end surface formed by the front end processing with the surface of the plate material as the base facing up and down. The locking portion 121 of the hook spring 12 protrudes toward the tray 30 and fits into the locking recess 30 of the tray 30. Therefore, the locking portion 121 functions as a rigid body. Therefore, even if the tray 30 is impa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y 30 is pulled out, the locking portion 121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so that the desired holding force can be maintained and the tray 30 can be prevented from dropping off strongly.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30)의 관통공(34)에서부터 핀(40)을 꼽고 핀(40)으로 슬라이더(14)를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해당 슬라이더(14)로 이젝트 레버(15)의 제1단(152)이 밀린다. 그러면 이젝트 레버(15)가 시계 반대 방향(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단(153)에서 트레이를 삽입 방향 앞측(화살표 B방향)으로 민다. 그리고 트레이(30)가 삽입 방향 앞측(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크 스프링(12)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하여 상기 록킹부(121)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서 빠지고, 상기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를 거쳐 트레이(30)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까지 압출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까지 압출된 후에는 손톱 등을 트레이(30)에 걸어 트레이(30)가 끌려서 빼내어진다.4, when the pin 40 is inserted from the through hole 34 of the tray 30 and the slider 14 is pushed inward by the pin 40 in the insert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arrow A), the slider 14 The first end 152 of the eject lever 15 is pushed. Then, the eject lever 1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to push the tray from the second end 153 in the insertion direction front side (arrow B direction). 4, the locking portion 121 is moved to the locking recessed portion 33 of the tray 30, and the tray 30 is moved forward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direction of arrow B), and the hook spring 12 is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FIG. And the tray 30 is extrud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 via the state shown in Fig. 5, the nail or the like is hooked on the tray 30 and the tray 30 is pulled out.

그리고 상기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에서 SIM카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카드 커넥터(1)에는 SIM카드를 올려놓은 상태의 트레이(30)가 삽입된다. 다만, 본 고안은 SIM카드 이외의 메모리 카드를 트레이에 올려 삽입하는 카드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card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SIM card is not shown, the tray 30 with the SIM card placed on the card connector 1 is inser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rd connector for inserting a memory card other than a SIM card into a tray.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는 전단면을 트레이(30)의 측면을 향해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 파고 들어가지만,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 전단면은 반드시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를 향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록킹부(121)의 둘레가 휨 가공되어 전단면이 하방 등의 다른 방향을 향해도 좋다. 혹은 전단면에 스웨지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록킹부(121)를 형성해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portion 121 of the hook spring 12 penetrates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tray 30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tray 30 into the locking recess 33 of the tray 30, The front end face of the portion 121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face the locking recessed portion 33 of the tray 30. For example, the periphery of the locking portion 121 may be bent and the front end face may be directed to another direction such as downward. Alternatively, the locking portion 121 may be formed by performing swaging or the like on the front end fac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후크 스프링(12)은 슬라이더(14)와 일체로 가공되어 있으나, 상기 후크 스프링(12)은 슬라이더(14)와 별개로 형성되어 하우징(11) 등에 지지된 것이어도 좋다. 다만 일체 또는 별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후크 스프링은 판재의 전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그 판재의 두께 치수보다도 광폭인 폭방향의 치수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hook spring 1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er 14, but the hook spring 12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slider 14 and supported on the housing 11 or the like. The hook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shearing of the plate material and has a shape having a width dimension wid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plate material.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는 SIM카드를 트레이(30)에 올려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이지만,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를 트레이없이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그 경우는 그 카드 자체에 록킹 요부가 설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The card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ype of card connector in which a SIM card is inserted into the tray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rd connector of a type in which a card such as a memory card is inserted without a tray . In that case, however, it is necessary that the card itself has a locking recess.

1 카드 커넥터
1a 삽입구
1b 수용공간
10 하우징 조립체
11 하우징
12 후크 스프링
13 콘택트
14 슬라이더
15 이젝트 레버
20 금속쉘
30 트레이
31 개구
32 지지대
33 록킹 요부
34 관통공
40 핀
112 개구
121 록킹부
151 회동축
152 제1단
153 제2단
1 card connector
1a insertion hole
1b accommodation space
10 housing assembly
11 Housing
12 Hook spring
13 Contacts
14 sliders
15 Eject lever
20 metal shell
30 trays
31 opening
32 support
33 Locking Rest
34 through hole
40 pin
112 opening
121 locking part
151 times coaxial
152 First Stage
153 second stage

Claims (3)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측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된 삽입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삽입체의 상기 록킹 요부에 파고 들어 상기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는 후크 스프링;
상기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배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측에 배치되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중에 회동축을 갖고, 삽입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한 슬라이더에 제1단이 밀려 회동하여 상기 삽입체를 제2단에서 압출하는 이젝트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 스프링이 판재의 전단 가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재의 두께 치수보다도 광폭의 상기 폭방향 치수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A card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n insertion body having a locking recess formed in a widthwise side thereof intersecting with the insertion direction inserted in an insertion direction,
housing;
A hook spring having a locking portion for engaging the locking recessed portion of the insert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lock the insert;
A slider slidably dispos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And
And an eject lever which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s a pivot shaft in the middle thereof and which pushes the first end against the slider slid inward in the inserting direction to push out the insert at the second end,
Wherein the hook spring is formed by shearing the plate member and has the width dimension larg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plat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스프링이 상기 슬라이더와 일체로 전단 가공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슬라이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ook spring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lider so as to be slid together with the slider.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가 탑재되어 상기 카드와 함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를 갖고, 상기 카드 트레이에 상기 록킹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nsertion body has a card tray on which a card is mounted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ogether with the card, and the locking recess is formed in the card tray.
KR2020140009297U 2013-12-17 2014-12-16 Card Connector KR20150002486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07139U JP3189283U (en) 2013-12-17 Card connector
JPJP-U-2013-007139 2013-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86U true KR20150002486U (en) 2015-06-25

Family

ID=5351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297U KR20150002486U (en) 2013-12-17 2014-12-16 Card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02486U (en)
TW (1) TWM511146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6368B (en) * 2016-02-01 2019-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Electric coupler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11146U (en) 2015-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495B2 (en) Push-push card connector
US8597038B2 (en) Connector
US7220138B2 (en) Card connector
US8858257B2 (en) Card edge connector having ejector with hidden lump portion
US20150011118A1 (en) Connector
US8328567B1 (en) Card edge connector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9270042B2 (en) Card connector
JP2015011841A (en) Card connector and contact
JP4630204B2 (en) Card connector
US20110136360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717359B2 (en) Card connector
US8851911B2 (en) Card connector
JP2007287438A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US8303322B1 (en) Card connector anti-misinserting a micro SD card
US20110189875A1 (en) Push-push card connector
JP2007287589A (en) Electrical connector
US7824199B2 (en) Connector
KR20150002486U (en) Card Connector
US20120238114A1 (en) Card Connector
JP5904340B2 (en) Card connector
JP3189283U (en) Card connector
JP2015185422A (en) card connector
JP4596825B2 (en) Memory card socket
US20090053918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an insulative housing integrally molded with a shell
JP3191082U (en) Connector and eject j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