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299A -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 Google Patents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299A
KR20150002299A KR1020130075959A KR20130075959A KR20150002299A KR 20150002299 A KR20150002299 A KR 20150002299A KR 1020130075959 A KR1020130075959 A KR 1020130075959A KR 20130075959 A KR20130075959 A KR 20130075959A KR 20150002299 A KR20150002299 A KR 20150002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ght
smoke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2180B1 (en
Inventor
조재철
박범석
신용규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멘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80B1/en
Publication of KR2015000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having a high response speed to a fire.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having one surface attached to the ceiling or wall of a building; and a terminal coupled to the base and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moke chamber installed therein, wherein the smoke chamber includes: a sensor unit having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installed therein and including a light shielding unit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a maze wall formed along the edge thereof; and a cover unit coupled to the sensor unit and having a smoke hole formed therein to introduce smoke into the smoke chamber and block introduction of foreign materials.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lude metal properties by including the cover unit having the smoke hole for introducing smoke into the smoke chamber and blocking introduction of foreign materials to integrate a component used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and a component used for smoke introduction and fire detection, thereby securing durability and improving convenience in manufacture and productivity. Also,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high response speed to a fire by simplifying smoke introduction and discharge paths.

Description

광전식 화재감지기{PHOTOELECTRIC SMOKE DETECTOR}[0001]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0002]

본 발명은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빛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이루어지는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for detecting light scattered by smoke during a fire to generate an alarm.

화재감지기(detector, 火災感知器)는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자동소화설비의 화재를 직접적으로 탐지하는 부품을 말하며,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差動式)감지기와 열의 축적을 이용한 열(熱)감지기가 있다. 공기 팽창과 열의 축적을 동시에 이용한 보상식(補償式)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로 대별되며,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국소 부분을 감지하는 스포트형 감지기와 전체 면적을 감지하는 분포형 감지기로 분류된다. 감지기의 종류는 차동식 스포트형, 차동식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정온식 감지선형, 이온화식, 광전식, 열복합형, 연기 복합형, 열연기 복합형 등이 통용되고 있다.A fire detector is a part that directly detects the fire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o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t is composed of a differential detector using the expansion of air and a heat detector, There is a detector. (Compensation type) which uses air expansion and heat accumulation at the same time, and a smoke detector which detects smoke, and it is classified into a spot type sensor which detects the local portion and a distributed type sensor which detects the whole area according to the sensing method . Detectors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ial type, differential type, fixed type, spot type, temperature type, linear type, ionization type, photo type, thermal type, smoke type, and thermal type. .

감지기에서 받은 신호는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고 있는 수신기에서 받고 더욱이 경보로 해서 벨을 작동함과 동시에 발신기에 의해 소방관서 등에 통보되기 때문에 화재경보설비를 구성하는 기기나 배선의 신뢰성, 보전은 대단히 중요하며 또 대상 건축물 등에 대한 감지기의 설치방법이나 배선의 내열, 내화 등에 관해서는 소방법규에 의해서 상세한 설치기준이 규정되어 있다.The signal received from the detector is received from the receiver operating by the power supply, and furthermore, the bell is activated by the alarm, and the transmitter is informed by the fire department, so reliability and maintenance of the equipment and wiring constituting the fire alarm system are very important In addition, detailed installation standards are specified by the Fire Service Regulations concern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detectors for the target buildings, heat resistance of wiring, and fire resistance.

이 중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LED 등의 발광원과 포토 다이오드 등의 수광기를 조합시키고, 그 사이로 유도된 연기를 검출하는 형태로서, 감광식(感光式)과 광산란식으로 대별된다. 감광식은 연기의 입자에 의하여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도중에서 차단되고, 한편 광산란식은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이 도중에서 산란되기 때문에 광축에서 어떤 각도만큼 떨어진 방향에서도 빛을 관측할 수 있게 된다. 감광식은 연기에 대한 감도가 인간의 눈에 가까운 특징이 있으며, 광산란식은 연기의 색에 의한 감도차가 큰 특징이 있다.Photoelectric fire detectors are classified into photosensitive type and light scattering type in which a light emitting source such as an LED is combined with a light receiving device such as a photodiode, and smoke is induced therebetween. In the photosensitive typ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blocked by the particles of the smoke, while the light scattering formula enables the light to be observed at a certain angle from the optical axis because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scattered on the way. The photosensitive type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sensitivity to smoke is close to the human eye, and the light scattering type has a large sensitivity difference due to the color of smoke.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539호는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발광센서를 통해 빛의 진행파를 생성하고 연기입자에 의해 산란된 빛의 진행파를 수광센서를 통해 센싱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및 센서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빛의 진행파를 산란시키며, 연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개시한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3539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s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nd more specifically, generates a traveling wave of light through a light emission sensor and generates scattered light by smoke particles Discloses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includ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a traveling wave of light through a light receiving sensor and detecting a fire, and a cover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nsor unit for scattering traveling waves of light and inducing a flow of smoke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539호에 따른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의하면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조립성, 견고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감지의 효율성 및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3539, not only the assembling property and robustness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re improved, but also the efficiency and precision of fire detection can be improved.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539호에 따른 '광전식 화재감지기'에서는 방충유닛과 커버유닛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재발생시 및 화재진압시 연기에 대한 응답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539호를 포함하는 종래의 화재감지기에서는 화재에 의한 연기가 케이스의 연기유입홀, 방충망의 통공, 커버유닛의 연기진입홀 및 센서유닛의 벽체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 측으로 진입하였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4단의 유동경로에 의해 화재발생시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 측으로 이동하는 연기의 유입속도와, 화재진압시 화재감지기 내부로부터 빠져나가는 연기의 배출속도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3539, the insectproof unit and the cover unit are separately provided, which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sponsiveness to smoke is reduced when a fire occurs or when a fire is extinguished. That is, in the conventional fire detector including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3539, the smoke caused by the fire passes through the smoke inlet hole of the case, the through hole of the insecting net, the smoke inlet hole of the cover unit and the wall of the sensor unit The flow rate of the smoke moving toward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when the fire occurs and the discharge speed of the smoke escap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e detector during the fire suppression There was a delay problem.

또한, 방충유닛과 커버유닛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특히 방충유닛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화재감지기 사용 중 부식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insectproof unit and the cover unit are separately forme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particularly, the insectproof unit is made of metal,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is reduced due to corrosion during use of the fire detector.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539호에 따른 '광전식 화재감지기'에서는 발광센서를 설치하기 위해 한 쌍의 홀더로 발광센서를 감싼 후 발광센서고정부에 홀더를 고정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발광센서와 홀더 사이 및 홀더와 발광센서고정부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가 중첩되어 화재감지기의 설치시 발광센서의 조사각이 조립 공차의 합과 비례하여 서로 어긋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3539, since the light emitting sensor is wrapped with a pair of holders for fixing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holder is fixed to the light emitting sensor holding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tolerances existing between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holder and between the holder and the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section are overlapped and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is shifted from each other in proportion to the sum of the assembly tolerances.

또한, 차광판에 원형 단면을 갖는 곡선부가 형성됨에 따라 설치시간의 경과와 비례하여 곡선부에 먼지나 재와 같은 이물질이 고착되어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 사이에 존재하는 빛의 이동경로가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먼지나 연기 또는 벽체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다시 곡선부에 의해 재반사되는 경우 곡선부에 형성되는 다양한 반사각에 의해 재반사되는 빛의 상당수가 수광센서로 유입됨으로써 특별한 이유없이 발광센서의 광감지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재감지기 마다 응답속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curved portion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light shielding plat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ashes adheres to the curved portion in proportion to the passage of the installation time, so that the light travel path between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becomes narrow When a light reflected by dust, smoke, or a wall portion is reflected again by a curved portion, a considerable number of light reflected by the various reflection angles formed on the curved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light receiving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ponse speed varies depending on the fire detectors.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539호를 포함하여 종래의 화재감지기에서는 일반적으로 화재감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이 하나만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표시등이 화재감지기의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어 모든 방향에서 표시등이 확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ire detector including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3539, there is generally provided only one indicator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fire is detected. Such an indicator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ire detecto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onfirmed.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539호 (등록일: 2010.09.15)(000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3539 (Registered on September 15,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의 유동경로에 금속성을 배제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고 제조의 편의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기의 유입 및 배출경로를 단순화하여 화재에 대한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는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photoelectric type fire extinguishing system capable of securing durability by eliminating metallicity in the flow path of smoke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nd productivity, Detector.

또한, 발광부를 단말기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더라도 작동 여부를 모든 방향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whether or not an operation is performed in all directions even if the light emitting unit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terminal.

이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면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 및 스모크챔버가 설치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모크챔버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발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 및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미로벽을 포함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스모크챔버의 내부로 연기를 유입시키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모크홀이 형성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floor structure comprising: a base having one side attached to a ceiling or a wall surface of a building; And a terminal coupled to the base, the terminal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moke chamber, wherein the smoke chamber is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the light shield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A sensor unit including a labyrinth wall formed along the labyrinth; And a cover unit coupled to the sensor unit and including a smoke hole for introducing smoke into the smoke chamber and for block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moke chamber.

상기 커버유닛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모크홀은 상기 커버유닛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uni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moke hole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unit.

상기 스모크홀은, 상기 커버유닛의 바깥쪽에서 연기의 원주방향 흐름을 유도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흐름망; 및 상기 흐름망의 안쪽에 형성되는 지지망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moke hole comprises: a flow net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duce a circumferential flow of smoke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unit; And a supporting network formed inside the flow network.

상기 커버유닛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cover unit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상기 차광부는, 구획 별 반사각이 일정하도록, 다각형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bar so that the reflection angle of each segment is constant.

상기 차광부의 일측에는, 굴절되는 빛이 흡수되거나 상기 미로벽 측으로 반사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so that light to be refracted is absorbed or reflected to the maze wall side.

상기 센서유닛에는, 상기 발광센서가 삽입되는 제1 발광센서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제1 발광센서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발광센서를 고정하는 제2 발광센서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into which the light emitting sensor is inserted and a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and fixing the light emitting sensor may be formed in the cover unit have.

상기 센서유닛에는, 상기 수광센서가 삽입되는 제1 수광센서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제1 수광센서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광센서를 고정하는 제2 수광센서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into which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inserted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and fixing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formed in the cover unit have.

상기 미로벽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센서유닛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형성되고, 평면도상 단면이 일정하고 상기 센서유닛의 중심 이외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제1 미로플레이트; 및 평면도상 단면이 일정하고 상기 제1 미로플레이트에서 상기 센서유닛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2 미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어 상기 센서유닛 안쪽을 가릴 수 있다.A first labyrinth plate having a plurality of labyrinth walls and repeatedly formed along an edge of the sensor unit, the first labyrinth plate having a flat cross-s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sensor unit; And a second labyrinth plate having a flat cross section and extending inwardly of the sensor unit in the first labyrinth plate, and overlapping each other in a non-contact state to cover the sensor unit.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볼 때, 어느 하나의 상기 미로벽에서 상기 제1 미로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제2 미로플레이트의 후단을 잇는 선은, 뒤쪽에 위치한 다른 상기 미로벽의 상기 제1 미로플레이트의 전단보다 뒤쪽에 위치할 수 있다. A line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labyrinth plate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labyrinth plate in any one of the labyrinth wall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formed in the first labyrinth plate As shown in FIG.

상기 단말기의 일측에는 화재감지시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가 부착되는 천장 또는 벽면과 반대쪽으로 상기 단말기의 단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when a fire is detected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and the light emitting unit may protrude further than an end of the terminal opposite to a ceiling or a wall surface to which the base is attached.

본 발명에 의하면, 스모크챔버의 내부로 연기를 유입시키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모크홀이 형성되는 커버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방충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과 연기유입 및 화재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구성을 일체화함에 따라 금속성을 배제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고 제조의 편의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기의 유입 및 배출경로가 단순화됨에 따라 화재에 대한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는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cover unit in which the smoke is introduced into the smoke chamber and the smoke hole for blocking the inflow of the foreign substance is formed, the structure used for insect control and the structure used for smoke inflow and fire detection are integr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electric type fire detector having a fast response speed against a fire, because durability can be ensured by eliminating metallicity,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e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inflow and discharge paths of smoke can be simplified.

또한, 발광부는 베이스가 부착되는 천장 또는 벽면과 반대쪽으로 단말기의 단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부를 단말기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더라도 모든 방향에서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광전식 화재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lso, the light emitting part can protrude more than the end part of the terminal opposite to the ceiling or the wall surface to which the base is attach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capable of easily checking whether the light emitting part is operated in all direction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스모크챔버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센서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커버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스모크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사출금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oke chamber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ensor unit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cover unit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FI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oke chamber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ure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n injection mold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연기의 유동경로에 금속성을 배제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고 제조의 편의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기의 유입 및 배출경로를 단순화하여 화재에 대한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The photovoltaic fir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urability by eliminating metallicity in the flow path of smoke, improve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nd productivity, and simplify the flow of smoke in and out, .

또한, 발광부를 단말기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더라도 작동 여부를 모든 방향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even if the light emitting unit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in all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스모크챔버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센서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커버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스모크챔버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광전식 화재감지기의 사출금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electric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struction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ensor unit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 cover unit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and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and FIG. 8 is a view of an injection mold of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of FIG. 1. Referring to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전식 화재감지기(1)는 화재시 연기에 의해 산란되는 빛을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베이스(1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100)는 일측면이 건축물에 부착되고, 단말기(300)는 베이스(100)의 타측면에 조립된다.1 and 2,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light scattered by smoke during a fire to generate an alarm, and includes a base 100, And a terminal 300. One side of the base 100 is attached to the building, and the terminal 300 is assemb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100.

광전식 화재감지기(1)는 보통 건물의 천장면에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광전식 화재감지기(1)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결합구조에 대한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서 상하 위치를 구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hotovoltaic fire detectors (1) are usually installed in the ceiling of a building. In order to facilitate a quick understanding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a ceiling.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100)는 일측면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단말기 터미널(T)과 결합하는 단자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베이스(100)에는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base 100 is coupled to a ceiling or a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on one side thereof, and terminal portion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to engage with the terminal terminal T. In the base 100, a coupling hol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eiling or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단말기(300)는 인쇄회로기판(P) 및 스모크챔버(500)가 설치되며, 단자부와 접속되는 단말기 터미널(T)이 형성되어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된 베이스(100)와 회전결합된다. 단말기 터미널(T)은 커버플레이트(C)와 결합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P)과 결합되거나, 또는 인쇄회로기판(P)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에 스모크챔버(500)가 설치되는 단말기(300)의 중앙부에는 스모크챔버(500)로 연기가 유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스모크유입홀(310)이 형성된다.The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P and a smoke chamber 500 and a terminal terminal T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formed and rotationally coupled with the base 100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The terminal terminal T may be combined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P in combination with the cover plate C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P. [ A smoke inlet hole 3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erminal 300 in which the smoke chamber 500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smoke is introduced into the smoke chamber 5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모크챔버(500)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광학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센서유닛(510) 및 커버유닛(530)으로 구성된다. 센서유닛(510)과 커버유닛(53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 공간을 암실화하며, 그 사이에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발광센서(S1) 및 수광센서(S2)가 설치된다. 센서유닛(510)과 커버유닛(530)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연기를 감지하게 되는 구성이므로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3, the smoke chamber 500 is constituted by a sensor unit 510 and a cover unit 530 for optically sensing smoke generated in a fire. The sensor unit 510 and the cover unit 5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a light-emitting sensor S1 and a light-receiving sensor S2 for detecting smoke between the spaces. The sensor unit 510 and the cover unit 530 are configured to detect smoke in a state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유닛(510)은 원형의 지지판(511),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 차광부(514) 및 미로벽(5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판(51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면이 인쇄회로기판(P)의 저면과 결합하며, 그 밑면에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 차광부(514) 및 미로벽(515)이 형성된다. 지지판(511)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P)의 체결홀(미도시)에 결합되는 후크(F1)가 마련된다. 후크(F1)는 후술할 러그(F2)와 함께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4, the sensor unit 510 includes a circular support plate 511, a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12, a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3, a light shielding portion 514, 515). The support plate 51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has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 and a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12, a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3, a light shielding portion 514 And a maze wall 515 are formed. A hook F1 coupled to a fastening hole (not show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 is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support plate 511. [ The hook F1 is form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together with the lug F2 to be described late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유닛(530)은 센서유닛(510)과 결합되는 방향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커버판(531), 제2 발광센서고정부(532), 제2 수광센서고정부(533), 차폐벽(534) 및 스모크홀(5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발광센서고정부(532)는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에 대응되는 구성이고, 제2 수광센서고정부(533)는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에 대응되는 구성이다.5, the cover unit 5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the sensor unit 510, and includes a circular cover plate 531, a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unit 532, 2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33, a shielding wall 534 and a smoke hole 535. [ The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32 corresponds to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12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art 533 corresponds to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art 513. [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는 발광센서(S1)가 삽입되어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발광센서(S1)의 외관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발광센서(S1)가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에 삽입되면 발광센서(S1)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중심선이 스모크챔버(500)의 중심축을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센서(S1)는 적외선 다이오드(infrared diode)로 이루어진다.4 to 6,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12 is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so that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inserted to form a wide contact surface. When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12, the center line of the light source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directed to the center axis of the smoke chamber 50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composed of an infrared diode.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는 발광센서(S1)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벽(512a), 발광센서(S1)의 후측에 형성되는 배후벽(512b), 발광센서(S1)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전방벽(512c), 발광센서(S1)가 안착되는 제1 안착부(51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12 includes a side wall 512a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a rear wall 512b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A first front wall 512c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 first seating part 512d on which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seated.

제1 안착부(512d)는 적외선 다이오드(S1)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에 삽입된 적외선 다이오드(S1)는 조사방향으로 반원형 단면을 갖는 제1 안착부(512d)와 넓은 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 전방벽(512c)에는 발광센서(S1)의 빛이 스모크챔버(500) 내부공간으로 조사되도록 장공(512i)이 형성된다. 장공(512i)은 안착부쪽이 좁게 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한다.The first seat portion 512d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frared ray diode S1 and the infrared ray diode S1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12 has a first Thereby forming a wide contact surface with the seat portion 512d. A slot 512i is formed in the first front wall 512c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irradia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moke chamber 500. [ The long holes 512i are formed to be narrow at the seating portion to form a step.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 내부의 제1 안착부(512d) 후방에는 발광센서(S1)의 리드선이 측벽(512a), 배후벽(512b) 및 제1 안착부(512d)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격수용부(512e)가 마련된다. 이격수용부(512e)의 지지판(511)에는 적외선 다이오드(S1)의 리드선이 통과하는 한 쌍의 관통홀(512f)이 형성되고, 배후벽(512b)에는 한 쌍의 리드선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격벽(512g)이 마련된다.The lead wire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seating portion 512d inside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12 and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512a, the rear wall 512b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512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512a. A pair of through holes 512f through which lead wires of the infrared ray diode S1 pass ar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511 of the spacing accommodation portion 512e and a pair of lead wires are formed on the rear wall 512b, (512g).

적외선 다이오드(S1)는 렌즈 후방에 원주방향의 돌출부가 마련된다. 제1 안착부(512d)와 이격수용부(512e)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이격수용부(512e)의 내부 측벽(512a)에는 각각 유동방지턱(512h)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의 내부에서 적외선 다이오드(S1)의 전,후 방향 유동이 제한된다.The infrared diode S1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hind the lens. A step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512d and the spacing accommodation part 512e and the flow inhibiting tails 512h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512a of the spacing accommodation part 512e, The forward and backward flow of the infrared diode S1 within the interior of the section 512 is limited.

한편, 제2 발광센서고정부(532)는 커버판(531)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센서유닛(510)과 커버유닛(530)의 결합시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2 발광센서고정부(532)는 제1 안착부(512d)의 반대방향에서 발광센서(S1)의 하측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하는 제2 안착부(532a) 및 장공(512i)에 삽입되는 제2 전방벽(532b)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luminescence sensor fixing part 532 is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531 so that when the sensor unit 510 is coupled with the cover unit 530, . The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32 includes a second seating part 532a which forms a lower flow boundary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eating part 512d and a second seating part 532b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512i 2 front wall 532b.

제2 발광센서고정부(532)가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에 삽입시 발광센서(S1)는 결합과 동시에 유동 및 회전이 방지되어 항상 일정한 조사방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장공(512i)에 삽입되는 제2 전방벽(532b)은 장공(512i)에 대응되어 제2 안착부(532a)쪽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장공(512i)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와 제2 발광센서고정부(532)는 조사방향의 상대유동이 방지된다.When the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12,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prevented from flowing and rot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The second front wall 532b inserted into the long hole 512i corresponds to the long hole 512i so that the second seating portion 532a is narrowly formed, The fixing portion 512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32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irradiation directio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는 수광센서(S2)의 삽입시 수평방향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수광센서(S2)의 외관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수광센서(S2)가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에 삽입되면 수광센서(S2)의 광감지부의 중심선이 스모크챔버(500)의 중심축을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광센서(S2)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로 마련된다.4 to 6,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3 is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so as to prevent the horizontal flow when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is inserted . When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3, the center line of the light sensing portion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faces the central axis of the smoke chamber 500. [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hoto diode.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는 수광센서(S2)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벽(513a), 수광센서(S2)의 후측에 형성되는 배후벽(513b), 수광센서(S2)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3 전방벽(513c), 수광센서(S2)가 삽입되는 센서수용부(513f)와 유입되는 빛의 유입각 및 유입면적을 결정하는 광유입부(513g)를 구획하는 구획격벽(513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3 has a side wall 513a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a rear wall 513b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A third front wall 513c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513f for receiving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and a light inflow portion 513g for determining an inflow angle and an inflow area of the inflow light. (513d).

수광센서(S2)는 외부전자파를 차단하도록 차폐커버가 씌워진다. 차폐커버는 광감지부 및 리드선이 마련되는 상면을 제외한 수광센서(S2)의 전면을 감싸게 된다. 차폐커버의 일측 단부에서 인쇄회로기판(P)에 고정되는 연장부가 리드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is covered with a shielding cover to shield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s. The shielding cover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except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light sensing part and the lead wire are provided. An extension portion fix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 at one end of the shielding cover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ad wire.

센서수용부(513f) 내의 커버판(531)에는 수광센서(S2)의 삽입시 리드선과 연장부가 통과하도록 세 개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측벽(513a)의 상단부 또는 커버판(531)에는 커버판(531)과 수광센서(S2)를 이격시키는 이격턱(513e)이 마련된다.Three through hol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cover plate 531 in the sensor accommodating portion 513f so as to allow the lead wire and the extension portion to pass through when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is inserted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513a or the cover plate 531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step 513e for separating the cover plate 531 from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제3 전방벽(513c)과 구획격벽(513d)은 발광센서(S1)의 빛이 유입되는 제1 광유입홀(513h)과 제2 광유입홀(513i)이 각각 형성된다. 제1 광유입홀(513h)은 광유입부(513g)로 유입되는 빛 중 연기입자에 의한 반사되는 빛 이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제2 광유입홀(513i)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front wall 513c and the partition wall 513d are formed with a first light inlet hole 513h and a second light inlet hole 513i through which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introduced. The first light inlet hole 513h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light inlet hole 513i in order to remove noise other than the light reflected by the smoke particles in the light entering the light inlet 513g.

제2 수광센서고정부(533)는 제1 광유입홀(513h)과 결합하여 원형의 광유입통로를 형성하는 제4 전방벽(533a)과, 수광센서(S2)의 저면과 접촉하여 수광센서(S2)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벽(533b)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33 has a fourth front wall 533a which is coupled with the first light inlet hole 513h and forms a circular light inflow passage and a second front wall 533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And a flow preventive wall 533b for preventing upward and downward flow of the fluid S2.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와 제2 수광센서고정부(533)가 결합되면 수광센서(S2)는 결합과 동시에 유동 및 회전이 방지되어 항상 일정한 감지방향을 유지하게 된다.When the first light-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3 and the second light-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33 are coupled, the light-receiving sensor S2 is prevented from flowing and rot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coupling, thereby always maintaining a constant sensing direc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부(514)는, 발광센서(S1)의 빛이 수광센서(S2)의 광감지부로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제1 발광센서고정부(512)와 제1 수광센서고정부(513) 사이에 개재된다. 차광부(514)는 센서유닛(510)과 커버유닛(530)의 결합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진다.3 and 4, the light-shielding portion 514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12 and a second light-emitting sensor fixing portion 512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emitting sensor S1 is not directly irradiated to the light- 1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3. [ The light shielding portion 51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barrel which is elonga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or unit 510 and the cover unit 530 are coupled.

차광부(514)가 다각형통 형태로 형성되면 발광센서(S1)의 빛이 먼지나 연기 또는 미로벽(515)에 의해 반사된 후 차광부(514) 측으로 향하게 되더라도, 빛이 차광부(514)의 각 면에 의해 일정한 각으로 반사됨으로써 구획 별(면이 하나의 구획을 이룸)로 반사각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차광부(514)에 의해 재반사된 빛이 수광센서(S2)로 진입하려면 특정한 각도로 진입하여야 하므로 재반사된 빛의 수광센서(S2)로의 진입이 어려워지게 된다.Whe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51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barrel, the light is guided to the shielding portion 514 even if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reflected by the dust, the smoke or maze wall 515, So that the angle of reflection is constantly formed in each of the compartments (the surface forms one compartment). Therefore, since th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shielding portion 514 must enter at a specific angle to enter the light-receiving sensor S2, it becomes difficult to enter the light-receiving sensor S2 of the re-reflected light.

또한, 차광부(514)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오목부(H)가 형성된다. 오목부(H)는 차광부(514)를 향해 반사되는 빛을 내측면을 통해 흡수하거나 미로벽(515) 측으로 재반사함으로써 차광부(514)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수광센서(S2)로 진입하는 반사면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오목부(H)는 연기유입시 발광센서(S1)의 빛이 산란되는 스모크챔버(500)의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 concave portion H which is recessed inwar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514. The concave portion H absorbs light reflected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514 through the inner side surface or reflects the reflected light toward the labyrinth wall 515 side so that light reflected by the shielding portion 514 enters the light receiving sensor S2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reflecting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portion H is 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smoke chamber 500 in which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S1 is scattered when the smoke is introduc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로벽(515)은 센서유닛(5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형성되어, 외부의 빛을 차단하여 내부를 암실화하면서 외부의 연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다수개의 미로벽(515)은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어 센서유닛(510)의 안쪽 공간을 가리게 된다.3 and 4, the labyrinth wall 515 is repeated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nsor unit 510 so as to block external light so as to insulate the interior of the labyrinth wall 515, And discharges the inside of the smoke to the outside. The plurality of labyrinth walls 515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ver the inner space of the sensor unit 510.

미로벽(515)은 평면도상 단면이 일정하고 센서유닛(510)의 중심 이외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제1 미로플레이트(515a)와, 제1 미로플레이트(515a)에서 센서유닛(510)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2 미로플레이트(515b)로 구성된다. 즉, 제1 미로플레이트(515a)는 원형 지지판(511)의 가장자리에서 지지판(511)의 접선과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제2 미로플레이트(515b)는 제1 미로플레이트(515a)의 내측면에서 제1 미로플레이트(515a)와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된다.The labyrinth wall 515 has a first labyrinth plate 515a having a flat cross section and orien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sensor unit 510 and a second labyrinth plate 515b extending from the first labyrinth plate 515a to the sensor unit 510, And a second maze plate 515b extending inward of the second maze plate 515b. That is, the first labyrinth plate 515a is formed obliquely to the tangent line of the support plate 511 at the edge of the circular support plate 511, and the second labyrinth plate 515b is form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abyrinth plate 515a 1 labyrinth plate 515a in the opposite direction.

그리고, 미로벽(515)은 지지판(5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볼 때, 어느 하나의 미로벽(515)에서 제1 미로플레이트(515a)의 후단과 제2 미로플레이트(515b)의 후단을 잇는 선은, 뒤쪽에 위치한 다른 미로벽(515)의 제1 미로플레이트(515a)의 전단보다 뒤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미로플레이트(515a)와 제2 미로플레이트(515b)의 중첩구조에 의해 외부의 빛이 스모크챔버(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maze wall 515 is view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511, the rear end of the first maze plate 515a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maze plate 515a, The line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second maze plate 515b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maze plate 515a of the other maze wall 515 located at the rear side. Such an overlapping structure of the first maze plate 515a and the second maze plate 515b prevents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moke chamber 50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벽(534)은 원형 커버판(5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센서유닛(510)과 커버유닛(530)의 결합시 미로벽(515)을 감싸도록 지지판(511)에 결합된다. 차폐벽(534)과 지지판(511)의 결합을 위해 차폐벽(534)의 상부에는 결합홀(F3)이 형성되고, 지지판(511)의 바깥둘레에는 결합홀(F3)에 삽입되는 러그(F2)가 형성된다. 결합홀(F3) 및 러그(F2)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3, the shielding wall 534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circular cover plate 531, and covers the labyrinth wall 515 when the sensor unit 510 and the cover unit 530 are engaged. Lt; / RTI > A coupling hole F3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hielding wall 534 for coupling the shielding wall 534 and the support plate 511 and a lug F2 inserted in the coupling hole F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plate 511. [ Is formed. The engaging hole F3 and the lug F2 are form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차폐벽(534)에는 스모크챔버(500)의 내부로 연기를 유입시키면서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모크홀(535)이 형성된다. 스모크홀(535)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흐름망(N1)과 흐름망(N1)의 안쪽에 형성되는 지지망(N2)의 결합구조를 통해 마련된다. 지지망(N2)은 수직한 미로벽(515)의 단부와 대응되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The shielding wall 534 is formed with a smoke hole 535 for introducing smoke into the smoke chamber 500 and block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moke chamber 500. The smoke hole 535 is provided through a coupling structure of a flow network N1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upporting network N2 formed inside the flow net N1. The supporting network N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vertical labyrinth wall 515. [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화재발생시 대류현상에 의해 화재감지기(1) 측으로 이동한 연기는 스모크유입홀(310)을 통하여 단말기(300) 내부에 설치된 스모크챔버(500) 주위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유입과 배출이 반복되는 연기는 스모크챔버(500) 주위에서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전식 화재감지기(1)는 흐름망(N1)을 차폐벽(534)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버유닛(530)의 바깥쪽에서 연기의 원주방향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1 and 7, the smoke moving toward the fire detector 1 due to convection when a fire occurs flows into the smoke chamber 500 installed in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smoke inlet hole 310, And the smoke flowing in and out repeatedly flows around the smoke chamber 500. The photoelectric fire detec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circumferential flow of the smoke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unit 530 by forming the flow net N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hielding wall 534 .

종래의 화재감지기는 스모크챔버 주위의 연기가 방향성을 가지지 않고 유동하다가 실내의 대류 흐름에 따라 스모크챔버 내부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재감지기(1)에서는 스모크챔버(500) 주위의 연기가 원주방향을 따라 골처럼 형성된 흐름망(N1)에 의해 원주방향의 방향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연기가 흐르는 일정한 경로가 형성됨에 따라 스모크챔버(500) 내부로의 유입 및 외부로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fire detector, the smoke around the smoke chamber flows without directionality and then flows into or out of the smoke chamber according to the convective flow of the room. On the other hand, in the fire detec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moke around the honeycomb 500 is orien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flow net N1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onstant path through which the smoke flows is formed, so that the inflow into and out of the smoke chamber 500 The discharge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00)의 일측에는 화재감지시 발광하는 발광부(330)가 구비된다. 화재가 감지되면 인쇄회로기판(P)에 연결된 발광체(L)가 점등되며, 발광부(330)는 발광체(L)의 빛이 그 내부를 통해 반사·확산되도록 발광체(L)의 앞쪽에 배치되어 발광체(L)의 빛을 외부로 노출시키게 된다. 발광체(L)는 LED 전구 등이 사용된다.As shown in FIGS. 1 and 7, a light emitting unit 3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300 to emit light when a fire is detected. The light emitting unit L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 is turned on when a fire is detected and the light emitting unit 3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L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L is reflected /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body 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LED bulb or the like is used as the luminous body L.

발광부(330)는 베이스(100)가 부착되는 천장 또는 벽면과 반대쪽으로 단말기(300)의 단부보다 더 돌출된다. 즉, 발광부(330)는 일단이 발광체(L)의 렌즈와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일측이 단말기(300)의 외부로 노출되며, 발광부(330)의 타단부는 단말기(300)의 저면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부(330)를 단말기(300)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해도 모든 방향에서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330 protrudes more than the end portion of the terminal 300 opposite to the ceiling or wall surface to which the base 100 is attached.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3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300 while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3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ens of the light emitting unit L,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ccordingly, even if the light emitting unit 330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light emitting unit 330 is operated in all directions.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유닛(530)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이를 위하여 제1 상부금형(10), 제2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30)이 사용된다.8A and 8B, the cover unit 530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d the first upper mold 10, the second upper mold 20, and the lower mold 30 are used for this purpose .

제1 상부금형(10) 및 제2 상부금형(20)은 커버유닛(53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대응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제1 상부금형(10) 및 제2 상부금형(20) 각각은 평면도상 반원의 용기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상부금형(10)과 제2 상부금형(20)은 대체로,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개구된 원형용기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econd upper mold 20 are for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cover unit 530 and correspond to 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econd upper mold 20. Accordingly, Each of the dies 20 is formed into a semicircular container shape in plan view. That is, 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econd upper mold 20 are gene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container opened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1 상부금형(10)과 제2 상부금형(20)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제1 리브(11)와 제2 리브(21)가 각각 형성된다. 제1 리브(11) 및 제2 리브(21)는 상,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형성되고,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리브(11) 및 제2 리브(21)에 의하여 흐름망(N1)이 형성된다.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econd upper mold 20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 first rib 11 and a second rib 21 protruding in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first rib 11 and the second rib 21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all of them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The flow ribs N1 are formed by the first ribs 11 and the second ribs 21.

하부금형(30)은 커버유닛(530)의 내측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체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금형(30)의 테두리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리브(31)가 형성된다. 제3 리브(31)는 하부금형(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형성된다. 이러한 제3 리브(31)에 의하여 지지망(N2)이 형성된다.The lower mold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s means for forming the inner shape of the cover unit 530. A third rib 31 protruding out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rim of the lower mold 30. The third ribs 31 are repeated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mold 30. The supporting ribs N2 are formed by the third ribs 31.

커버유닛(530)의 제조를 위하여, 우선 제1 상부금형(10)과 제2 상부금형(20)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하부금형(30)이 삽입되고, 제1 상부금형(10) 및 제2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이 이루는 공간 사이로 커버유닛(530)을 구성하기 위한 재료가 주입되어 사출성형된다.The lower mold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econd upper mold 20 while 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econd upper mold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upper mold 20 and the lower mold 30 are injected and injection molded.

냉각에 의하여 제1 상부금형(10), 제2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30) 내부에서 커버유닛(530)의 성형이 완료되면 제1 상부금형(10)과 제2 상부금형(20)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고 하부금형(30)은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금형에서 커버유닛(530)이 배출된다. 이와 같은 금형구조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격자형태의 흐름망(N1)과 지지망(N2)이 일체로 형성된 커버유닛(53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When the molding of the cover unit 530 in the first upper mold 10, the second upper mold 20 and the lower mold 30 is completed by cooling, the first upper mold 10 and the second upper mold 20 Is horizontally spaced apart and the lower mold 30 is slid downward to release the cover unit 530 from the mold. By such a mold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cover unit 530 in which the flow net N1 in a lattice form and the support net N2 ar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스모크챔버(500)의 내부로 연기를 유입시키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모크홀(535)이 형성되는 커버유닛(530)을 구비함으로써 방충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과 연기유입 및 화재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구성을 일체화함에 따라 금속성을 배제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고 제조의 편의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기의 유입 및 배출경로가 단순화됨에 따라 화재에 대한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는 광전식 화재감지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ver unit 530 in which a smoke hole 535 for introducing smoke into the inside of the smoke chamber 500 and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s provided, By integrating the components used for sensing, it is possible to eliminate durability by eliminating metallicity, to improve manufacturing convenience and productivity, and to simplify the inflow and outflow paths of smoke, the photoelectric fire The detector 1 can be provided.

또한, 발광부(330)는 베이스(100)가 부착되는 천장 또는 벽면과 반대쪽으로 단말기(300)의 단부보다 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발광부(330)를 단말기(300)의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더라도 모든 방향에서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광전식 화재감지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light emitting unit 330 may further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terminal 300 opposite to the ceiling or wall surface to which the base 100 is attach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330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hotovoltaic fire detector 1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fire detector 1 is enabl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광전식 화재감지기 100 :베이스
300 : 단말기 500 : 스모크챔버
310 : 스모크유입홀 510 : 센서유닛
330 : 발광부 511 : 지지판
530 : 커버유닛 512 : 제1 발광센서고정부
531 : 커버판 513 : 제1 수광센서고정부
532 : 제2 발광센서고정부 514 : 차광부
533 : 제2 수광센서고정부 515 : 미로벽
534 : 차폐벽 S1 : 발광센서
535 : 스모크홀 S2 : 수광센서
1: photoelectric fire detector 100: base
300: Terminal 500: Smoke chamber
310: Smoke inlet hole 510: Sensor unit
330: light emitting portion 511:
530: cover unit 512: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unit
531: cover plate 513: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section
532: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514: Light shielding part
533: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515: maze wall
534: Shielding wall S1: Light emitting sensor
535: Smoke hole S2: Light receiving sensor

Claims (11)

일측면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 및 스모크챔버가 설치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모크챔버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발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차광부 및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미로벽을 포함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스모크챔버의 내부로 연기를 유입시키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모크홀이 형성되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A base to which one side is attached to the ceiling or wall of the building; And
And a terminal coupled to the base and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moke chamber,
The smoke chamber includes:
A sensor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sensor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a light shield form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sensor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a labyrinth wall formed along the edge; And
And a cover unit coupled to the sensor unit and including a smoke hole for introducing smoke into the smoke chamber and block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smok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모크홀은 상기 커버유닛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un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moke hol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모크홀은,
상기 커버유닛의 바깥쪽에서 연기의 원주방향 흐름을 유도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흐름망; 및
상기 흐름망의 안쪽에 형성되는 지지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bove-
A flow net formed circumferentially to induce a circumferential flow of smoke from the outside of the cover unit; And
And a support network formed inside the flow networ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ver unit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구획 별 반사각이 일정하도록, 다각형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Wherein a polygonal barrel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bar so that the angle of reflection of each zone is consta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의 일측에는,
굴절되는 빛이 흡수되거나 상기 미로벽 측으로 반사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6. The method of claim 5,
On one side of the light-shielding portion,
Wherein a concav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refracted light is absorbed or reflected toward the maze wall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에는, 상기 발광센서가 삽입되는 제1 발광센서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제1 발광센서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발광센서를 고정하는 제2 발광센서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emitting-sensor fixing portion into which the light-emitting sensor is inserted,
Wherein the cover unit is formed with a second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emitting sensor fixing part to fix the light emitting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에는, 상기 수광센서가 삽입되는 제1 수광센서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에는, 상기 제1 수광센서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광센서를 고정하는 제2 수광센서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into which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inserted,
Wherein the cover unit is provided with a second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light receiving sensor fixing portion and fixing the light receiving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로벽은,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센서유닛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 형성되고,
평면도상 단면이 일정하고 상기 센서유닛의 중심 이외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제1 미로플레이트; 및
평면도상 단면이 일정하고 상기 제1 미로플레이트에서 상기 센서유닛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2 미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중첩되어 상기 센서유닛 안쪽을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byrinth wall
Wherein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are repeatedly formed along an edge of the sensor unit,
A first labyrinth plate having a flat cross-section and orien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other than the center of the sensor unit; And
And a second labyrinth plate having a flat cross-section and extending inwardly of the sensor unit at the first labyrinth plate,
And the sensor unit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ensor unit is not closely contact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sensor unit.
제9항에 있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볼 때, 어느 하나의 상기 미로벽에서 상기 제1 미로플레이트의 후단과 상기 제2 미로플레이트의 후단을 잇는 선은, 뒤쪽에 위치한 다른 상기 미로벽의 상기 제1 미로플레이트의 전단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 line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first labyrinth plate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labyrinth plate in any one of the labyrinth wall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formed in the first labyrinth plate Is positione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fire detector.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일측에는 화재감지시 발광하는 발광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가 부착되는 천장 또는 벽면과 반대쪽으로 상기 단말기의 단부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when a fire is detecte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Wherein the light emitting part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terminal opposite to a ceiling or a wall surface to which the base is attached.
KR20130075959A 2013-06-28 2013-06-28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KR101482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959A KR101482180B1 (en) 2013-06-28 2013-06-28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959A KR101482180B1 (en) 2013-06-28 2013-06-28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99A true KR20150002299A (en) 2015-01-07
KR101482180B1 KR101482180B1 (en) 2015-01-13

Family

ID=5247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959A KR101482180B1 (en) 2013-06-28 2013-06-28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18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02A1 (en) * 2016-09-26 2018-03-29 이병권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having double-bulkhead darkroom structure
JP2020091927A (en) * 2015-10-28 2020-06-11 ホーチキ株式会社 Alarm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2330913A (en) * 2019-08-02 2021-02-05 杭州海康消防科技有限公司 Smoke alarm
TWI722368B (en) * 2018-01-17 2021-03-2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Smoke detector
GB2597713A (en) * 2020-07-30 2022-02-09 Fireangel Safety Tech Limited Smoke alarm
KR20230096640A (en) 2021-12-23 2023-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moke based on multiple wavelength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761B1 (en) 2018-05-16 2020-02-26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Hybrid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and smoke detection method using light scattering and photosensitive effect
KR102593012B1 (en) 2022-11-29 2023-10-23 김세환 Photoelectric fire det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dark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4423B2 (en) 2002-01-11 2007-06-20 ホーチキ株式会社 Scattered smoke detector
KR200352650Y1 (en) * 2004-03-22 2004-06-05 이종길 A structure of a sensing device for smoke
JP2011044104A (en) * 2009-08-24 2011-03-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Smoke detector
JP5154528B2 (en) * 2009-09-30 2013-02-27 能美防災株式会社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1927A (en) * 2015-10-28 2020-06-11 ホーチキ株式会社 Alarm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056502A1 (en) * 2016-09-26 2018-03-29 이병권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having double-bulkhead darkroom structure
CN110168322A (en) * 2016-09-26 2019-08-23 李炳权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with double next door darkroom structures
US11380178B2 (en) 2016-09-26 2022-07-05 Byung Kwon Lee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having double-bulkhead darkroom structure
TWI722368B (en) * 2018-01-17 2021-03-21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Smoke detector
CN112330913A (en) * 2019-08-02 2021-02-05 杭州海康消防科技有限公司 Smoke alarm
GB2597713A (en) * 2020-07-30 2022-02-09 Fireangel Safety Tech Limited Smoke alarm
KR20230096640A (en) 2021-12-23 2023-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moke based on multiple wavelengt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180B1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180B1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US9098988B2 (en) Integrated smoke cell
TWI439968B (en) Fire detector
JP5942139B2 (en) Fire detector
WO2012176028A1 (en) Fire detector
US11761890B2 (en) Fire detection device
JP2021144746A (en) Alarm device
US11915569B2 (en) Smoke detector
JP6957273B2 (en) Scattered light detector
JP5145162B2 (en) smoke detector
JP2009245110A (en) Combination smoke and heat detector
JP2009245088A (en) Fire detector and protective cover for fire detector
JP5133157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2016115062A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6470559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5038112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6470558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JP5237004B2 (e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CN111080960A (en) Smoke detection device with light guide scattering structure
WO2023132014A1 (en) Fire detection device
JP6827828B2 (en) Fire detector
KR102561893B1 (en) Dual optical smoke detector
JP7128664B2 (en) sensor
JP2010238087A (en) Photoelectric smoke sensor
CN117242505A (en) Fire disaster det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