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183A - 모듈러 풍력타워 - Google Patents

모듈러 풍력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183A
KR20150002183A KR1020130075712A KR20130075712A KR20150002183A KR 20150002183 A KR20150002183 A KR 20150002183A KR 1020130075712 A KR1020130075712 A KR 1020130075712A KR 20130075712 A KR20130075712 A KR 20130075712A KR 20150002183 A KR20150002183 A KR 20150002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dule member
polygonal
flange portion
wind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580B1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75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5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다각모듈을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모듈러 풍력타워에 있어서, 상기 다각모듈은, 상기 다각모듈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마다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 모듈부재;와,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적층 될수록 외부노출면의 폭이 좁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 모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듈부재와 제 2 모듈부재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모듈러 풍력타워의 대단면을 형성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모듈러 풍력타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러 풍력타워{MODULAR WIND TOWER}
본 발명은 모듈러 풍력타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모듈부재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모듈러 풍력타워의 대단면을 형성하는 다각모듈을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모듈러 풍력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장치는 육상 또는 해상에 설치되어, 바람의 힘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풍력발전장치는 해상풍력발전장치로 구성된 경우에, 파일과 자켓으로 구성된 하부구조물 상에 지지되며 해상에 위치하는 지지구조물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 상에는 너셀을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는 타워가 설치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블레이드가 너셀에 장착될 수 있다.
최근에, 풍력발전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 풍력타워 요구 직경 또한 대형화되고, 10MW급 풍력발전터빈을 지지하기 위한 풍력타워 하단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8m 정도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원형관 형식은 운송중 제약이 동반되는데, 국내 운반가능한 최대높이는 저상 트레일러 사용시 4.2m이므로 8m에 달하는 풍력타워를 운송하는데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풍력타워 세그먼트를 길이방향으로 쪼개어 운반한 뒤,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모듈러 형식의 풍력타워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모듈러 형식이란, 하나의 제품을 구성하기 위해, 복수의 모듈부재를 미리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하고,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각각의 모듈부재들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계된 구조물을 시공하는 형식을 말한다.
다만, 풍력타워는 하단부에 큰 모멘트 반력이 발생하므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타워의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이 최적 형상이고, 이러한 형상을 갖는 타워를 모듈러 형식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높이별로 모듈을 서로 다른 형상으로 각각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모듈러 형식의 풍력타워는 모듈과 모듈을 결합하기 위한 기존의 연결상세는 볼트의 방향이 단면 내부와 외부를 서로 관통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어, 타워 외부에서의 작업이 동반되어야 하고, 풍력타워의 높이가 높아지거나, 풍력타워가 해상에서 시공할 경우, 타워 외부 작업은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풍력타워는 하단부에 큰 모멘트 반력이 발생하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해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타워의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각각의 모듈부재는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넓은 형태의 사다리꼴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사다리꼴형상의 모듈부재를 제작시 직사각형 강판의 끝단을 절단해야 하므로 직사각형 강판의 모서리 부분의 강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듈러 풍력타워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풍력발전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 풍력타워의 대형화된 요구직경을 충족시키면서도, 운송이 용이한 모듈부재를 활용한 풍력타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적층되는 다각모듈마다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모듈부재를 활용하여, 모듈부재의 대량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여, 풍력타워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 및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풍력타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인접하는 모듈부재의 플랜지부 상호 간을 풍력타워 내부에서 연결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풍력타워를 해상에서 시공하는 경우에도 타워 외부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풍력타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다각모듈을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모듈러 풍력타워에 있어서, 상기 다각모듈은, 상기 다각모듈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마다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 모듈부재;와,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적층 될수록 외부노출면의 폭이 좁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 모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듈부재와 제 2 모듈부재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모듈러 풍력타워의 대단면을 형성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모듈러 풍력타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다각모듈은,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 모듈부재와 상기 제2 모듈부재가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 간의 연결은, 상하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제1 모듈부재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제2 모듈부재의 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모듈부재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은 두 개의 사다리꼴부재의 빗변이 접합되고, 상기 빗변을 기준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은 직사각형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모듈부재와 상기 제2 모듈부재는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부재와 상기 제2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사다리꼴부재는 둘레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과 그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상기 사다리꼴부재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의 합은,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모듈부재와 그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과 그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사다리꼴부재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의 합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듈부재의 둘레방향 단부와, 높이방향 단부에는, 사전에 별도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모듈부재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듈부재의 외면과 어느 일측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지는 내향돌출부를 포함하는 L형부재와, 상기 모듈부재의 일측 단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판형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L형부재와 상기 판형부재는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듈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내향돌출부와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향돌출부는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에서 볼트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듈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내향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랜지부는, 볼트체결, 리벳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모듈부재의 길이방향 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 또는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연속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직플랜지부와,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 방향의 연속적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방향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평플랜지부를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모듈부재와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은 상호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부재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모듈러 풍력타워의 대단면을 형성하는 다각모듈을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풍력발전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 풍력타워의 대형화된 요구직경을 충족시키면서도, 풍력타워의 설치를 위한 모듈부재의 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각모듈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마다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 모듈부재를 활용함으로써, 적층되는 다각모듈마다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모듈부재를 활용하여, 모듈부재의 대량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여, 풍력타워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 및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부재의 플랜지부를 절곡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고, 사전에 공장에서 생산된 플랜지부를 상기 모듈부재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를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에 연결함으로써, 인접한 모듈부재 간의 접합과 적층되는 다각모듈 간의 접합을 위한 시공이 용이해질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플랜지부를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에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에서 연결함으로써, 풍력타워를 해상에서 시공하는 경우에도 타워 외부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풍력타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절곡 전의 제1 모듈부재와 제2 모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절곡 후의 제1 모듈부재와 제2 모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풍력타워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제1 모듈부재와 제2 모듈부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플랜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플랜지부가 설치된 제1 모듈부재 각각과 제2 모듈부재 각각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1 모듈부재와 제2 모듈부재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플랜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플랜지부가 설치된 제1 모듈부재 각각과 제2 모듈부재 각각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풍력타워(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풍력타워(10)는 복수의 모듈부재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대단면을 형성하는 다각모듈(400)을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각모듈(400)은 제1 모듈부재(100)와 제2 모듈부재(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플랜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듈러 풍력타워(10)는 복수의 모듈부재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대단면을 형성하는 다각모듈(400)을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각모듈(400)은 상부에 적층되는 제1 다각모듈(410)과 하부에 적층되는 제2 다각모듈(4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각모듈(400)은, 상기 다각모듈(400)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400)마다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 모듈부재(100)와, 상기 제1 모듈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적층 될수록 외부노출면의 폭이 좁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 모듈부재(200)를 포함하고,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각모듈(400)은,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 모듈부재(100)와 상기 제2 모듈부재(200)가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다각모듈(400)이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시된 다각모듈(400)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고, 풍력타워의 필요높이에 따라, 다각모듈(400)의 적층 개수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각모듈(400)은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 모듈부재(100)와 상기 제2 모듈부재(200)가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되고,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400) 간의 연결은, 상하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제1 모듈부재(10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제2 모듈부재(200)의 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제1 모듈부재(100)와 제2 모듈부재(200)는 제1 모듈부재(100)와 제2 모듈부재(200)의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300)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다.
다만, 모듈부재 상호 간의 연결과 적층되는 다각모듈(400)의 상하방향의 연결은 하기되는 플랜지부(300)의 다양한 실시예의 연결 및 용접접합, 리벳체결, 볼트체결 등 통상적인 다양한 연결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재(100)는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400)마다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재(100)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은 두 개의 사다리꼴부재(110)의 빗변이 접합되고, 상기 빗변을 기준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듈부재(200)는 제1 모듈부재(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재(100) 사이에 하나의 제2 모듈부재(200)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모듈부재(100)의 사이에 복수개의 제2 모듈부재(20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모듈부재(200)는 상부에 적층 될수록 외부노출면의 폭이 좁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제2 모듈부재(210)의 외부노출면의 폭은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 제2 모듈부재(220)의 외부노출면의 폭보다 좁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듈부재(200)의 외부노출면은 직사각형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상부 제2 모듈부재(210)의 외부노출면의 폭은 하부 제2 모듈부재(220)의 외부노출면의 폭보다 좁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부재(100)와 상기 제2 모듈부재(200)는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부재(200)와 상기 제2 모듈부재(200)의 둘레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사다리꼴부재(110)는 둘레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 제2 모듈부재(210)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221)과 그 양단에 배치되는 제1 모듈부재(100)의 사다리꼴부재(110)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111)의 합은, 하부에 적층되는 하부 제2 모듈부재(220)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222)과 그 양단에 배치되는 제1 모듈부재(100)의 사다리꼴부재(110)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112)의 합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각모듈(410)의 하부단면과 제2 다각모듈(420)의 상부단면은 일치되어, 다각모듈(400)을 적층하여 모듈러 풍력타워(10)를 형성시 다각모듈(400)의 연속적인 적층이 가능할 수 있다.
플랜지부(300)는 모듈부재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모듈부재의 둘레방향 단부와, 높이방향 단부에는, 사전에 별도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300)가 상기 모듈부재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300)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300)와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00)는 볼트체결, 리벳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모듈부재의 길이방향 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 또는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300)는 상기 모듈부재의 외면과 어느 일측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지는 내향돌출부(311)를 포함하는 L형부재(310)와, 상기 모듈부재의 일측 단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판형부재(320)로 마련되고, 상기 L형부재(310)와 상기 판형부재(320)는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듈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300)의 상기 내향돌출부(311)와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300)의 내향돌출부(311)는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내부에서 볼트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300)는, 상기 모듈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내향돌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랜지부(300)의 상기 내향돌출부(311)와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300)의 내향돌출부(311)는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내부에서 볼트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300)는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연속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양단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플랜지부(300)와,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 방향의 연속적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방향의 양단부에서 내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평플랜지부(300)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00)는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연속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내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플랜지부(300)로 구비되어 인접하는 수직플랜지부(300)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 방향의 연속적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방향 단부에는, 사전에 별도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플랜지부(300)가 설치되고, 플랜지부(300)가 상기 모듈부재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300)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플랜지부(300)와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내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00)는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연속적인 결합을 위해 사전에 별도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플랜지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300)가 상기 모듈부재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300)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플랜지부(300)와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10)의 내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 방향의 연속적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내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플랜지부(300)가 구비되고, 인접하는 수평플랜지부(3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모듈부재와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400)은 플랜지부(300)를 포함하지 않고 상호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도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모듈러 풍력타워
100: 제1 모듈부재
110: 사다리꼴부재
111: 사다리꼴부재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
112: 사다리꼴부재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
200: 제2 모듈부재
210: 상부 제2 모듈부재
211: 상부 제2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
220: 하부 제2 모듈부재
221: 하부 제2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
300: 플랜지부
310: L형부재
311: 내향돌출부
320: 판형부재
400: 다각모듈
410: 제1 다각모듈
420: 제2 다각모듈

Claims (11)

  1. 복수의 다각모듈을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형성한 모듈러 풍력타워에 있어서,
    상기 다각모듈은,
    상기 다각모듈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마다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제1 모듈부재;와,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에 적층 될수록 외부노출면의 폭이 좁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 모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듈부재와 제 2 모듈부재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모듈러 풍력타워의 대단면을 형성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모듈러 풍력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모듈은,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 모듈부재와 상기 제2 모듈부재가 교대로 배치되어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 간의 연결은, 상하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제1 모듈부재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제2 모듈부재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부재는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은 두 개의 사다리꼴부재의 빗변이 접합되고, 상기 빗변을 기준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은 직사각형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부재와 상기 제2 모듈부재는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모듈부재와 상기 제2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사다리꼴부재는 둘레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과 그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상기 사다리꼴부재의 외부노출면의 하부폭의 합은,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 모듈부재와 그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모듈부재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과 그 양단에 배치되는 상기 사다리꼴부재의 외부노출면의 상부폭의 합과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 단부와, 높이방향 단부에는, 사전에 별도로 제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모듈부재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모듈부재의 외면과 어느 일측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지는 내향돌출부를 포함하는 L형부재와, 상기 모듈부재의 일측 단부의 내면에 배치되는 판형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L형부재와 상기 판형부재는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듈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내향돌출부와 인접하는 상기 모듈부재의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향돌출부는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에서 볼트체결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모듈부재의 일측 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다각 모듈러 풍력타워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내향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볼트체결, 리벳체결 또는 용접에 의해 상기 모듈부재의 길이방향 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 또는 부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의 연속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둘레방향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직플랜지부와,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 방향의 연속적 결합을 위해, 상기 모듈부재의 높이방향의 양단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수평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모듈부재와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다각모듈은 상호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풍력타워.
KR1020130075712A 2013-06-28 2013-06-28 모듈러 풍력타워 KR10204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12A KR102045580B1 (ko) 2013-06-28 2013-06-28 모듈러 풍력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12A KR102045580B1 (ko) 2013-06-28 2013-06-28 모듈러 풍력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83A true KR20150002183A (ko) 2015-01-07
KR102045580B1 KR102045580B1 (ko) 2019-11-15

Family

ID=5247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712A KR102045580B1 (ko) 2013-06-28 2013-06-28 모듈러 풍력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461A1 (en) * 2020-10-24 2022-04-28 Okurogullari Aydin Modular wind to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641A (ko) * 2008-02-06 2010-11-03 아이비 안드레센 인더스트리 에이에스 타워 요소
JP4746959B2 (ja) * 2005-10-26 2011-08-1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塔状構造物
KR20120084674A (ko) * 2011-01-19 2012-07-30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모듈식 타워 및 그 조립방법
JP2012527549A (ja) * 2009-05-19 2012-11-08 パカダール エス.エー. 風車用支持構造物及び支持構造物の架設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6959B2 (ja) * 2005-10-26 2011-08-1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塔状構造物
KR20100117641A (ko) * 2008-02-06 2010-11-03 아이비 안드레센 인더스트리 에이에스 타워 요소
JP2012527549A (ja) * 2009-05-19 2012-11-08 パカダール エス.エー. 風車用支持構造物及び支持構造物の架設方法
KR20120084674A (ko) * 2011-01-19 2012-07-30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모듈식 타워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461A1 (en) * 2020-10-24 2022-04-28 Okurogullari Aydin Modular wind t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580B1 (ko) 201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019B1 (ko) 모듈러 풍력타워
JP4708365B2 (ja) 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に使用する予備製作された金属壁部品および風力タービン用タワーの構築方法
US10041269B2 (en) Wind turbine tower section, wind turbine tower and assembly method
CN101855416B (zh) 塔结构及其组装方法
US9394715B2 (en) Lattice tower covering for a wind turbine
EP2884202A1 (en) Supporting device for solar panel
US9951972B2 (en) Fixing metal bracket and solar battery system
KR102075170B1 (ko) 파형모듈 풍력발전타워
KR20170012450A (ko) 광전지 디바이스가 제공된 패널
EP2834434B1 (en) Tower structure
US11499528B2 (en) Wind turbine mast section, wind turbine mast and assembly method
KR20150002183A (ko) 모듈러 풍력타워
CN107849864A (zh) 风力发电设备的塔
EP3239406B1 (en)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 structure
JP4659072B2 (ja) 太陽電池の据え付け構造および据え付け方法
KR102016285B1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연결구조
EP2545231B1 (en) A corner connection, in particular for a wind turbine tower
US11781526B2 (en) Wind turbine mast section, wind turbine mast and assembly method
US20120198696A1 (en) Solar string assembly process
US20220090580A1 (en)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tower segments of a tower of a wind power installation, tower segment, part of a tower, tower, wind power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80061922A (ko) 파이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플랫폼 고정식 풍력 발전 플랜트.
JP568461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架台
KR101954806B1 (ko) 고정 플레이트를 이용한 플랫폼 고정식 풍력 발전 플랜트.
KR101188523B1 (ko) 태양전지 패널 적층용 파렛트
EP2138781A1 (en) Photovoltaic solar generator and method of install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