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798U -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798U
KR20150001798U KR2020130009013U KR20130009013U KR20150001798U KR 20150001798 U KR20150001798 U KR 20150001798U KR 2020130009013 U KR2020130009013 U KR 2020130009013U KR 20130009013 U KR20130009013 U KR 20130009013U KR 20150001798 U KR20150001798 U KR 201500017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unit
power
rechargeable batter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818Y1 (ko
Inventor
강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힐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힐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힐쎈
Priority to KR2020130009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81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air flow regu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기화흡입부; 및 상기 기화흡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화흡입부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을 기화시키는 전기를 공급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흡입부는, 기화된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측과 결합되고 탈,부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액상의 물질이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되는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회전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충전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급전포트를 매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를 충전한 후 기화흡입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PORTABLE LIQUID PHASE EVAPORATION INHALATION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회전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충전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직접 급전포트를 매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를 충전한 후 기화흡입부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기화 대상체(액상의 물질)를 기화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기화 대상체를 함유한 필터를 내장하여, 그 필터 내의 기화 대상체를 기화기를 통해 기화시켜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상 기화 흡입장치 내에는 니코틴 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의 기화 대상체가 수용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액상 기화 흡입장치로는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가 있다.
한편, 최근 금연 보조용으로 담배 잎 가루를 종이로 말아놓은 실제 담배와 유사한 전자 담배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
사용자가 실제 담배를 피울 때처럼 전자 담배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게 되면, 전자 담배의 노출된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불꽃과 유사한 불빛이 발생되고, 전자 담배의 사용자 입 내부의 말단에서는 실제 담배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유사한 연기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담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담배는 신체에 해로운 타르를 함유하지 아니하고, 담배의 유효 성분인 니코틴만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담배 사용의 만족감을 주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해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는 다수 개의 부재로 분할되고, 그 부재 중 제일 앞쪽의 부재 내에 발광 다이오드, 배터리, 회로 기판 및 흡입 감지 스위치가 수용되고, 그 다음 부재 내에 연기 제조 장치가 수용되며, 그 다음 부재 내에 니코틴 액을 함유한 필터가 수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는, 내측에 배터리를 수용하고 있고 상기 배터리에 의해 기화 대상체(액상의 물질 등)에 열을 가하여 액체를 기화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상기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그 수명이 제한적이어서 교체비용도 상당한 부담으로 연계됨은 물론,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폐기 처분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인 경우에도 사용기간에 비례하여 충전이 100% 되지 않게 되고 그 사용시간도 현격한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충전용 배터리를 장시간 이용하는데 제한적이고, 그러한 문제점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충전용 배터리를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거꾸로 놓았을 때 상기 액상 기화 흡입장치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이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작동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회전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충전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직접 급전포트를 매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를 충전한 후 기화흡입부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기화 대상체(액상의 물질)를 기화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거꾸로 놓았을 때 상기 액상 기화 흡입장치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이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액상 기화 흡입부와 동력발생부를 별도로 휴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가 작고 모양이 슬림하며, 기화하여 흡입하기를 원하는 액상의 물질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화흡입부와 동력발생부를 별도로 제작하거나 판매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폭발의 위험이 없는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기화흡입부; 및 상기 기화흡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화흡입부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을 기화시키는 전기를 공급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흡입부는, 기화된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측과 결합되고 탈,부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액상의 물질이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되는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회전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충전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급전포트를 매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를 충전한 후 기화흡입부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는, 사용자의 구강이 접촉되고, 기화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부 마우스피스; 및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와 탈, 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의 직경이 타측의 직경보다 점점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 및 하부 마우스피스는 암나사부 및 수나사부의 결합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하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상에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천공된 공기유도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소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생성된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는 기화기; 상기 기화기 및 수용용기 사이에 위치하고, 수용용기의 상단면을 개방하기 위해 구비되는 관통구; 및 상기 관통구 하부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흡입하기를 원하는 액상의 물질이 포함된 수용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화기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측을 가로지르고, 수용용기의 장축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고정막대; 상기 고정막대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형상으로 구성되고 가열되어 발열되는 가열코일; 및 상기 고정막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용기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을 흡착하는 섬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내측이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소부 및 동력발생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수용용기를 고정 지지하고, 동력발생부에서 생성된 전류를 기화기의 가열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수용용기의 외벽과 접촉하여 상기 수용용기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편; 및 일단이 상기 지지편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하우징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는 니코틴 액, 주사액, 아로마 등의 각종 향료,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물질, 건강 보조 성분을 포함한 물질 또는 의약 성분을 포함한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회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발생 전원을 평활화하여 DC 레벨로 형성하기 위한 회로가 설계된 PCB 기판으로 구성된 발전모듈부; 상기 발전모듈부에 마련된 정류부를 통과하면서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는 충전배터리; 및 상기 충전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를 상기 연소부에 형성된 가열코일로 전송하는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충전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정도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기화흡입부의 일단이 동력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안착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USB 단자와 연결되어 외부 전력이 충전되도록 하는 급전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작동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회전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충전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또는, 직접 급전포트를 매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를 충전한 후 기화흡입부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기화 대상체(액상의 물질)를 기화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액상 기화 흡입장치를 거꾸로 놓았을 때 상기 액상 기화 흡입장치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이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액상 기화 흡입부와 동력발생부를 별도로 휴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크기가 작고 모양이 슬림하며, 기화하여 흡입하기를 원하는 액상의 물질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기화흡입부와 동력발생부를 별도로 제작하거나 판매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제작 단가가 저렴하고, 폭발의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기화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기화흡입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마우스피스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연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동력발생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동력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실제로 제도된 발전모듈부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도 11(a)는 PCB 기판의 위쪽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11(b)는 PCB 기판의 아래쪽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담배에 관한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을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상의 물질을 기화시켜 흡입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당업자는 용이하게 설계변경하여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기화흡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기화흡입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마우스피스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연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동력발생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동력발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에서 실제로 제도된 발전모듈부를 나타내는 사진으로, 도 11(a)는 PCB 기판의 위쪽을 나타낸 그림이고, 도 11(b)는 PCB 기판의 아래쪽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10)는 기화된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기화흡입부(50) 및 동력발생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기화흡입부(50)는 마우스피스(100a, 100b, 100c), 본체(200) 및 연소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마우스피스(100a, 100b, 100c)는 기화된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마우스피스(100a, 100b, 100c)의 일단(즉, 도면부호 100a의 일단)은 사용자의 구순(口脣)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100a, 100b, 100c)는 하기에서 설명될 본체(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우스피스(100a, 100b, 100c)는 상부 마우스피스(100a) 및 하부 마우스피스(100b,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는 사용자의 구순(口脣)과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고, 기화된 연기가 상기 기화흡입부(50) 외측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는 암나사부(110a), 상부 연기유도로(120a) 및 상부 연기체류공간(13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110a)는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의 하단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110a)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의 수나사부(110b)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 및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기유도로(120a)는 하기에서 설명될 기화기(310)에서 기화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기유도로(120a, 120b, 120c)는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의 가운데 부분이 천공되게 위치하고, 하기에서 설명될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와 연결되는 중공부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연기체류공간(130a)은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연기유도로(120a) 외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연소부(300)에서 기화된 연기가 체류할 수 있고, 또한, 하기에서 설명될 수용용기(330)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이 상기 기화흡입부(5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우스피스(100b, 100c)는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 및 본체(20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연소부(300)에서 기화된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마우스피스(100b, 100c)는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 및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 및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는 일측이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의 일단 내주면과 결합되고, 타측이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의 일단 외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는 수나사부(110b), 제1 하부 연기유도로(120a) 및 제1 연기체류공간(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110b)는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0a)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 및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연기유도로(120a)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 구조의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연소부(300)에서 기화된 연기가 원활하게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로 이동되게 함과 동시에 하기에서 설명될 수용용기(330)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이 상기 기화흡입부(50)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기체류공간(130b)은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된 부분으로,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의 내주면과 상기 제1 하부 연기유도로(120a) 외주면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기체류공간(130b)은 상기 기화기(310)에서 연소된 연기가 일정 기간동안 체류함과 동시에 수용용기(330)에서 유출된 액상의 물질이 체류할 수 있어 상기 액상의 물질이 상기 기화흡입부(50) 외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10)에서 상기 기화흡입부(50)는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 및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를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 및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를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100a) 및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를 끼움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는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와 하기에서 설명될 본체(20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 및 본체(200)는 나사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하부 마우스피스(100b)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수나사부(216)에 의해 상기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40c)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0)는 하우징(210) 및 고정클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내측이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공된 내측에 연소부(30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수나사부(216), 고정홈(미도시) 및 공기유도로(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216)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 외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하부 마우스피스(100c)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40c)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미도시)은 상기 하우징(210)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하우징(210) 내주면에 일정 깊이의 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고정막대(312)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로(218)는 상기 하우징(210) 하측의 중공된 부분으로, 사용자가 공기 흡입을 하는 경우에 상기 공기유도로(218)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210)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도로(218)는 내측이 중공된 형상이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구성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유도로(218)를 통해 원활하게 상기 하우징(21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20)은 하기에서 설명될 수용용기(330)를 고정 지지하고, 동력발생부(400)에서 생성된 전류와 기화기(310)의 가열코일(31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20)은 상기 본체(200)의 양측에 대칭되게 위치하여 수용용기(330)의 양측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220)은 지지편(226) 및 고정편(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226)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일측면이 하기에서 설명될 수용용기(330)의 외벽과 접촉하여 상기 수용용기(33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226)은 다수개의 고정구멍(2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멍(228)은 상기 지지편(226)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천공되고, 상기 고정구멍(228) 내측으로 가열코일(314)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멍(228)은 상기 수용용기(330)를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관통된 가열코일(314)을 고정하고, 하기에서 설명될 동력발생부(400)에서 공급되는 전기가 상기 가열코일(314)과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멍(228) 중 어느 하나는 하기에서 설명될 관통구(320)가 상기 하우징(210) 내측에서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320)의 일측과 타측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고정편(222)은 일단이 상기 지지편(226)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10)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22)은 상기 지지편(226)을 상기 하우징(210) 내측 중공부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수용용기(330)가 상기 하우징(210) 내측에 안전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22)은 상단면 일측에 통기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홀(224)은 상기 고정편(222)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200) 하부에 형성된 공기유도로(218)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연소부(300)로 이동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소부(300)는 상기 하우징(210) 내측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액상의 물질이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연소부(300)는 기화기(310), 관통구(320) 및 수용용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화기(310)는 하기에서 설명될 동력발생부(400)에서 생성된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기화기(310)는 고정막대(312), 가열코일(314) 및 섬유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막대(312)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10)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막대(312)는 수용용기(330)의 장축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통기홀(224)과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막대(312)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고정홈의 일측과 타측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열코일(314)은 전하의 흐름에 의해 가열되어 발열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막대(312)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코일(314)은 전기저항이 큰 물질이면 어떠한 공지의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가열코일(314)은 전하의 흐름에 의해 가열되어 발열되고, 액상의 물질을 기화시키는 에너지(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열코일(314)은 상기 고정막대(312)의 외주면을 감싸는 나선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가열코일(314)의 양단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고정클립(220)의 고정구멍(228)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가열코일(314)의 양단은 하기에서 설명될 동력발생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섬유부(316)는 상기 고정막대(31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섬유부(316)는 수용용기(330)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어 상기 섬유부(316)에 흡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섬유부(316)에 흡착된 액상의 물질은 상기 가열코일(314)의 발열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 상기 연소된 기체는 사용자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마우스피스(100a, 100b, 100c)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구강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섬유부(316)는 스테인리스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가열에 의해서도 섬유부(316)의 불순물이 발생되지 않게 스테인리스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320)는 상기 기화기(310)와 수용용기(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320)는 액상의 물질이 수용된 수용용기(330)의 상단면을 개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10)에서, 액상의 물질이 수용된 수용용기(330)는 액상의 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가 밀폐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관통구(320)가 상기 수용용기(330)의 상단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용기(330)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과 섬유부(316)가 물질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구(320)는 상기 수용용기(330)의 상단면을 용이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하부에 관통편(322)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관통편(322)은 일정 간격 돌출되게 구성하여 상기 수용용기(330)의 상단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330)는 상기 하우징(21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용기(330) 내부에는 액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카트리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흡입하기를 원하는 액상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트리지는 니코틴 액을 수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니코틴 액 대신 주사액, 아로마 등의 각종 향료,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물질, 건강 보조 성분을 포함한 물질, 의약 성분을 포함한 물질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된 액상의 물질들은 상기 기화기(310)에서 기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상기 기화흡입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화흡입부(5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10)는 기화기(310)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화기(310)가 가열되어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는 구성인데,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이러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상기 기화흡입부(50)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회전레버(420)의 회전력에 의해 충전배터리(490)를 충전하거나, 또는, 직접 급전포트(450)를 매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490)를 충전한 후 기화흡입부(50)로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기화 대상체(액상의 물질)를 기화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400)는 케이스(410), 회전레버(420), 발전기(430), 발전모듈부(440), 충전배터리(490), 급전포트(450), 안착포트(460), 도선(432) 및 모드 스위치(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10)는 내측에 수용되는 발전기(430), 발전모듈부(440), 충전배터리(490) 등의 구성요소를 외부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420)는 상기 충전배터리(490)가 방전되어 상기 충전배터리(490)를 충전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420)는 수동으로 직접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렇게 생성된 전기는 충전배터리(490)에 충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420)는 상기 케이스(410)의 일측과 축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발전기(430)와 연결되고, 일단에는 손잡이(422)가 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420)는 일단에 손잡이(422)가 축 결합됨으로써, 상기 동력발생부(400)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22)를 잡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상기 회전레버(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420)는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용이하게 접철하거나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4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시에는 손잡이 장착홈(424)에서 상기 손잡이(422)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회전레버(420)를 360ㅀ 회전시켜 발전기(430)를 구동시키고, 비 사용시에는 손잡이(422)를 상기 케이스(410)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 장착홈(424)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레버(420)는 발전기(430)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하거나, 다수개의 회전력 전달기어(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회전레버(420)가 상기 발전기(430)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회전레버(420)와 발전기(430) 사이에 회전력 전달기어(미도시)를 구비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구성도 용이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발전기(430)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로, 상기 회전레버(420)의 회전운동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을 인가받고 소정의 전원을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발전기(430)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발전모듈부(440)는 상기 발전기(430)에서 발생된 발생 전원을 평활화하여 DC 레벨로 형성하기 위한 회로가 설계된 PCB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전기(430)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상기 발전모듈부(440)에 마련된 정류부를 통과하면서 정류된 후 하기에서 설명될 충전배터리(490)에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충전배터리(490)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정도는 표시될 수 있도록 케이스(410)의 외측면에는 충전표시부(4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표시부(480)는 다수의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데, PCB 기판에 마련된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충전배터리(490)에 충전된 전력에 해당하는 LED 램프가 점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충전배터리(490)에 충전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발전모듈부(440)에 마련된 스위치가 동작되어 더 이상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배터리(490)는 상기 발전모듈부(440)에 마련된 정류부를 통과하면서 정류된 전력이 저장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충전배터리(490)는 회전레버(420)를 회전시켜 발전기(430)에서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급전포트(450)를 통하여 외부 전력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전포트(450)는 USB 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 전력이 충전배터리(49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안착포트(460)는 상기 기화흡입부(50)의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화흡입부(50)는 상기 안착포트(460)를 통하여 상기 동력발생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동력발생부(400)의 충전배터리(490)에 저장된 전류는 상기 안착포트를 통하여 상기 기화흡입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안착포트는 상기 기화흡입부의 일단이 끼움 결합되거나 나사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포트(460)에 의해 기화흡입부(50) 및 동력발생부(400)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선(432)은 충전배터리(490)에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를 상기 연소부(300)에 형성된 가열코일(314)로 전송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선(430)은 일측이 상기 충전배터리(4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수용용기(330)의 외벽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편(226) 및 하우징(210)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선(432)은 상기 지지편(226) 및 하우징(210)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편(226)에 형성된 고정구멍(228)을 관통하여 연장된 가열코일(314)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도선(420) 및 가열코일(314)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동력발생부(400)에서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는 전기적인 단락(short) 없이 기화흡입부(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스위치(470)는 상기 충전배터리(490)에 충전된 전류가 상기 기화흡입부(50)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전기적인 개폐작용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배터리(490)에 저장된 전류는 사용자가 상기 모드 스위치(470)를 ON/OFF 함으로써, 상기 안착포트(460)를 통해 상기 기화흡입부(50)로 출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100a, 100b, 100c; 마우스피스
120a, 120b, 120c; 연기유도로 130a, 130b, 130c; 연기체류공간
200; 본체 210; 하우징
218; 공기유도로 432; 도선
220; 고정클립 222; 고정편
224; 통기홀 226; 지지편
228; 고정구멍 300; 연소부
310; 기화기 312; 고정막대
314; 가열코일 316; 섬유부
320; 관통구 322; 관통편
330; 수용용기 400; 동력발생부
410; 케이스 420; 회전레버
422; 손잡이 424; 손잡이 장착홈
430; 발전기 440; 발전모듈부
450; 급전포트 460; 안착포트
480; 충전표시부 490; 충전배터리

Claims (13)

  1.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기화흡입부; 및
    상기 기화흡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화흡입부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을 기화시키는 전기를 공급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흡입부는,
    기화된 연기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일측과 결합되고 탈,부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액상의 물질이 열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되는 연소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회전레버의 회전력에 의해 충전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급전포트를 매개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배터리를 충전한 후 기화흡입부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사용자의 구강이 접촉되고, 기화된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부 마우스피스; 및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와 탈, 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측의 직경이 타측의 직경보다 점점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하부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우스피스 및 하부 마우스피스는 암나사부 및 수나사부의 결합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 위치하고, 외주면상에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천공된 공기유도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생성된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액상의 물질이 기화되는 기화기;
    상기 기화기 및 수용용기 사이에 위치하고, 수용용기의 상단면을 개방하기 위해 구비되는 관통구; 및
    상기 관통구 하부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흡입하기를 원하는 액상의 물질이 포함된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측을 가로지르고, 수용용기의 장축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고정막대;
    상기 고정막대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형상으로 구성되고 가열되어 발열되는 가열코일; 및
    상기 고정막대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용기 내측에 수용된 액상의 물질을 흡착하는 섬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이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소부 및 동력발생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수용용기를 고정 지지하고, 동력발생부에서 생성된 전류를 기화기의 가열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수용용기의 외벽과 접촉하여 상기 수용용기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편; 및
    일단이 상기 지지편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하우징 외주면에 고정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는 니코틴 액, 주사액, 아로마 등의 각종 향료,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물질, 건강 보조 성분을 포함한 물질 또는 의약 성분을 포함한 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회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소정의 전기적 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기적 에너지를 평활화하여 DC 레벨로 형성하기 위한 회로가 설계된 PCB 기판으로 구성된 발전모듈부;
    상기 발전모듈부에 마련된 정류부를 통과하면서 정류된 전력이 저장되는 충전배터리; 및
    상기 충전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적 에너지를 상기 연소부에 형성된 가열코일로 전송하는 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충전배터리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정도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기화흡입부의 일단이 동력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안착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USB 단자와 연결되어 외부 전력이 충전되도록 하는 급전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KR2020130009013U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KR200477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013U KR200477818Y1 (ko)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013U KR200477818Y1 (ko)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98U true KR20150001798U (ko) 2015-05-11
KR200477818Y1 KR200477818Y1 (ko) 2015-07-27

Family

ID=5343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013U KR200477818Y1 (ko) 2013-11-01 2013-11-01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8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079029U (zh) 2016-09-09 2017-04-1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雾化器
KR102419143B1 (ko) * 2020-05-08 2022-07-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발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8887B1 (ko) * 2020-08-25 2023-02-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94Y1 (ko) * 2009-10-01 2011-12-29 윤홍선 전자담배
KR20110006928U (ko) * 2011-06-10 2011-07-07 남동환 전자담배
KR101183157B1 (ko) * 2012-01-18 2012-09-14 주식회사 시그닛코리아 전자담배
KR20130084789A (ko) * 2012-01-18 2013-07-26 이영인 전자담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818Y1 (ko) 201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32600A1 (en) High frequency polarization aerosol generator
RU27161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и способы созда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301549B2 (en) Electronic cigarette device, electronic cigarette and atomization device thereof
US10874146B2 (en) Electronic device for tobacco
KR101184758B1 (ko) 누설 방지를 위한 전자담배의 카트리지
JP2023082144A (ja) エアロゾル送達装置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な電源
KR101486294B1 (ko) 전자 담배
KR101222528B1 (ko) 전자담배
US10524518B1 (en) Dual coil vaporizer inhalation cartridge for high viscosity oil or resin
CA3115795A1 (en) Connectors for forming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interchangeable units in an aerosol delivery system
WO2014020953A1 (ja) 無煙喫煙治具
EP2732713A1 (en) Electronic cigarette with multiple tastes
EP2878214A1 (en)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electronic cigarette
KR20210054072A (ko) 에어로졸 공급 시스템
US20140196716A1 (en) Electronic Cigarette Device and Electronic Cigarette Thereof
US200903020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aporizing Volatile Material
WO2014153782A1 (zh) 电子烟
JP2011087569A (ja) 電子タバコ、および充電ユニット
WO2013113174A1 (zh) 一种电子仿真烟及其雾化器、充电器
JP2013150593A (ja) 無煙喫煙治具
KR20130084789A (ko) 전자담배
US11375752B1 (en) Portable electronic vaporizer having removably attachable vaporization module and device, removably attachable base portion, and method
KR200477818Y1 (ko) 휴대용 액상 기화 흡입장치
KR200452359Y1 (ko) 전자담배
KR20160026464A (ko) 자력 체결 구조의 전자담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