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745U -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 Google Patents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745U
KR20150001745U KR2020130008892U KR20130008892U KR20150001745U KR 20150001745 U KR20150001745 U KR 20150001745U KR 2020130008892 U KR2020130008892 U KR 2020130008892U KR 20130008892 U KR20130008892 U KR 20130008892U KR 20150001745 U KR20150001745 U KR 201500017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afety
coupling
coupled
gog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745U/ko
Publication of KR20150001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185Securing goggles or spectacles on helmet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6Helmets with movable or separable chin or jaw guar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eadg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안경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얼굴형에 관계없이 보안경의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한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헬멧과,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경과, 상기 보안경을 헬멧에 탈착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헬멧에 결합된 결합클립;상기 결합클립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고정부;상기 고정부에 축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거리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경은 거리조절부재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A sfety helmet with protective goggle}
본 고안은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얼굴형에 따라 보안경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때, 낙하물, 충돌 그리고 작업자가 추락시 등에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보호장구이다.
특히, 선박건조 현장에서의 작업은 밀폐된 구역 또는 좁은 구역에서 작업이 많이 이루어지는데, 선박건조 현장에서의 안전모는 작업장 위에서 낙하되는 잔해물 등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거나,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던 중 부주의 등으로 추락했을 때, 머리부위에 상해를 받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머리부위에 감전될 우려가 있는 전기공사 작업에서 산업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안경은 직사광선이 내리쪼이는 야외에서 작업을 하거나 실내에서 작업을 할 경우라도 광선에 의해서 눈을 손상시킬 수 있는 용접 등의 작업을 할 때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착용한다.
이러한 보안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빛에 의한 작업자의 눈 손상 외에도, 절단 등의 작업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편이 작업자의 눈으로 튀어 손상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작업 현장에서의 안전모와 보안경은 작업자에에 있어서 필수적인 보호장구인 것이다.
한편, 상기한 안전모와 보안경은 따로 분리되어 보관되고 착용되므로 인한 문제가 있었다.
즉, 안전모와 보안경을 별도로 관리하다가 필요 시마다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여전히 관리의 불편함이 있고, 보안경을 안전모와 구별하여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기도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보안경이 필요 없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안전모만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보안경은 작업자의 주머니에 보관되거나 끈 등을 이용해 작업자의 몸에 휴대 됨으로써 분실의 우려 및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전모에 보안경이 결합되어 있는 보호장구가 개발된 상태이다.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경(10)이 안전모(20)에 고정되어 제공됨으로써, 안전모(20)와 보안경(10)을 각각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보관이나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안경(10)을 분실하거나 빠뜨리고 작업에 임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보안경이 고정된 안전모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안전모(20)에 대한 보안경(10)의 위치 조절이 어려워 작업자에게 최적화된 보호장구 착용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람마다 얼굴의 크기 코의 위치 등이 다른데, 보안경(10)의 위치가 획일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껴 작업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를 야기하였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20-0436144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모 상에서 보안경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헬멧과,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경과, 상기 보안경을 헬멧에 탈착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헬멧에 결합된 결합클립;상기 결합클립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고정부;상기 고정부에 축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거리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경은 거리조절부재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양측이 관통된 제1위치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제1위치조절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리조절부재는 양측이 관통된 제2위치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가 축 결합된 회동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2위치조절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고정볼트가 상기 결합공 및 제2위치조절공을 통과하여 결합됨으로써 거리조절부재가 회동부재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헬멧은 차양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클립은 상,하 방향으로 벌어져 헬멧의 차양에 억지끼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결합부재를 구성하는 각 구성 간에 길이 조절 및 회동이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보안경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얼굴형에 맞게 보안경의 위치를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모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의 보안경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이하, '안전모'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안전모는 보안경의 위치가 간편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안전모는 헬멧(100)과, 보안경(200)과, 결합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헬멧(100)은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며,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헬멧(100)에는 작업자의 머리에 맞게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는 내피가 설치되고, 머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턱끈이 설치된다.
그리고, 헬멧(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1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보안경(200)은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후술하는 결합부재(300)를 통해 헬멧(100)에 결합된다.
이때, 보안경(200)의 상단부에는 결합부재(300)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부(21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결합부재(300)는 헬멧(100)에 보안경(200)을 탈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결합클립(310)과, 고정부(320)와, 회동부재(330)와, 거리조절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클립(310)은 헬멧(100)의 차양(11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텐션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클립(310)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고 벌어지면서 헬멧(100)의 차양(110)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부(320)는 보안경(20))의 높낮이 조절을 하기 위한 구성이며, 결합클립(310)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320)의 상단부는 헬멧(100)의 차양(110) 외측을 향해 절곡 형성된다.
즉, 고정부(320)는 후술하는 회동부재(33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안경(20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320)는 양측을 관통하는 제1위치조절공(321)을 형성한다.
제1위치조절공(321)은 회동부재(330)가 이동되는 경로로서, 고정부(32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다음으로, 회동부재(330)는 고정부(32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고정부(320)의 단부에 축 결합된다.
즉, 회동부재(330)는 보안경(200)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보안경(200)을 내려쓰거나 위로 젖힐 때 고정부(32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부위인 것이다.
이때, 회동부재(330)의 내부에는 거리조절부재(340)가 드나들면서 보안경(200)의 거리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공간은 회동부재(330)의 양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의 형성으로 인해 생긴 공간이다.
한편, 회동부재(330)의 일단부에는 고정부(320)와의 축 결합을 위한 축공(331)이 형성되며, 회동부재(330)의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거리조절부재(3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32)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거리조절부재(340)는 회동부재(330)의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부(320)로부터 보안경(200)의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리조절부재(340)의 단부에는 상기 보안경(200)이 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거리조절부재(340)에는 양측이 관통된 제2위치조절공(34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위치조절공(341)은 거리조절부재(34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전모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헬멧(100)에 결합부재(300)를 이용해 보안경(200)을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결합클립(300)을 상,하 방향으로 벌려 헬멧(100)의 차양(110)에 억지끼움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결합클립(300)에 형성된 고정부(320)의 단부를 양측에서 감싸도록 회동부재(330)의 일단부를 배치시킨다.
이후, 고정볼트(400)를 이용하여 축공(331) 및 제1위치조절공(321)을 통과시킨 후, 너트 체결함으로써 고정부(320)에 회동부재(330)의 결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회동부재(330)의 타단부에 거리조절부재(340)를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보안경(200)이 축 결합된 거리조절부재(340)를 회동부재(330)의 슬라이딩 공간에 삽입시킨다.
이때, 회동부재(330)의 결합공(332)은 거리조절부재(340)의 제2위치조절공(341)에 통하게 배치된다.
이후, 고정볼트(400)를 이용하여 결합공(332) 및 제2위치조절공(341)을 통과하여 너트 체결함으로써 회동부재(330)에 거리조절부재(34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로써, 헬멧(100)에 대한 보안경(200)의 결합이 완료되며, 고정부(320)를 중심으로 회동부재(330)를 상,하 방향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작업자의 눈에 보안경(200)이 대응되거나 벗어나게 된다.
즉, 보안경(200)이 필요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회동부재(330)를 하방으로 내려 작업자의 눈에 보안경(200)이 대응되도록 하고, 보안경(200)이 필요없는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회동부재(33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젖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안경을 착용할 경우에는 보안경의 위치가 작업자의 눈에 정확히 맞아야 한다.
즉, 사람마다 얼굴의 크기 및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눈의 위치도 제각각 다른바, 결합부재(300)의 조절을 통해 보안경(200)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부(320)의 제1위치조절공(321)을 따라 회동부재(330)의 위치를 결정하고, 회동부재(330)의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거리조절부재(340)를 슬라이딩시키면서 고정부(320)에 대한 보안경(200)의 거리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3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음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경(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모는 보안경의 위치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얼굴형에 따라 최적화된 보호 장구를 착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헬멧 110 : 차양
200 : 보안경 210 : 힌지부
300 : 결합부재 310 : 결합클립
320 : 고정부 321 : 제1위치조절공
330 : 회동부재 331 : 축공
332 : 결합공 340 : 거리조절부재
341 : 제2위치조절공 400 : 고정볼트

Claims (4)

  1.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헬멧과,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경과, 상기 보안경을 헬멧에 탈착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헬멧에 결합된 결합클립;
    상기 결합클립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축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부재 내부로 슬라이딩 되면서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거리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경은 거리조절부재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측이 관통된 제1위치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제1위치조절공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부재는 양측이 관통된 제2위치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거리조절부재가 축 결합된 회동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제2위치조절공에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고정볼트가 상기 결합공 및 제2위치조절공을 통과하여 결합됨으로써 거리조절부재가 회동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은 차양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클립은 상,하 방향으로 벌어져 헬멧의 차양에 억지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KR2020130008892U 2013-10-30 2013-10-30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KR201500017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892U KR20150001745U (ko) 2013-10-30 2013-10-30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892U KR20150001745U (ko) 2013-10-30 2013-10-30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45U true KR20150001745U (ko) 2015-05-08

Family

ID=5343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892U KR20150001745U (ko) 2013-10-30 2013-10-30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7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4507A1 (en) 2017-02-24 2018-08-30 Andrew Greene A spectacle mounting for a visor on a helm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4507A1 (en) 2017-02-24 2018-08-30 Andrew Greene A spectacle mounting for a visor on a helm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162B2 (en) Hinge coupling structure for welding mask, face shield and safety helmet
US8291513B2 (en) Counter balanced, hands free, self positioning, protective shield
US8434168B2 (en) Weight balancing face shield
US10736782B2 (en) Face protector
US8321962B2 (en) Adapter system for coupling a protective mask to a helmet
KR101372886B1 (ko) 안전모 착탈용 보안경
CN104684426A (zh) 细长引导件和能够可移除地安装到其上的护目镜
US20070016997A1 (en)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KR101599974B1 (ko) 다기능 안전모
US20180280197A1 (en) Head worn devices having a variable shade component and fixed shade component, and methods of operation
CA3041584A1 (en) Head worn devices having a variable shade component and fixed shade component, and methods of operation
US20160286889A1 (en) Protective glasses for fitting on a protective helmet, and protective helmet provided with the protective glasses
KR20150001745U (ko) 보안경이 구비된 안전모
KR101879792B1 (ko) 김서림 방지 및 호흡개선용 보호구
WO2015034575A1 (en) Face protector lens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0441735Y1 (ko)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1129717B1 (ko) 용접면 부착용 안전모
AU2010100565A4 (en) Helmet
KR101247917B1 (ko) 차양기능을 갖는 안전모의 보안경
CN204092331U (zh) 一种适合电力系统维护中使用的电焊面罩
EP2848234A1 (en) Welding helmet equipped with light switching window
KR200415206Y1 (ko) 용접마스크
CN107397626A (zh) 一种焊接面罩
KR101701794B1 (ko) 안경을 장착할 수 있는 보안경
RU104064U1 (ru)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варщ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