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578U - Grating - Google Patents

Gr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578U
KR20150001578U KR20130008523U KR20130008523U KR20150001578U KR 20150001578 U KR20150001578 U KR 20150001578U KR 20130008523 U KR20130008523 U KR 20130008523U KR 20130008523 U KR20130008523 U KR 20130008523U KR 20150001578 U KR20150001578 U KR 201500015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ating
plate
slip prevention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5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7654Y1 (en
Inventor
김재홍
조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메탈
Priority to KR2020130008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54Y1/en
Publication of KR20150001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7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5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8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enhancing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이 상기 프레임에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조시간과 제조비용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한다.The grating includes a frame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disposed inside the frame. The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respectively fitted to the frame, thereby minimizing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It provides a grating that can be maximized.

Description

그레이팅{Grating}Grating

본 고안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공정과 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ting for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costs and securing the safety of pedestrians.

일반적으로 그레이팅(Grating)은 격자 모양의 금속 구조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장이나 각종 시설물의 바닥재 또는 발판으로 사용되며, 도로 상에 설치된 배수구의 덮개로 사용되기도 한다.Generally, a grating means a metal structure in a lattice shape. It is used as a flooring or footing for a factory or various facilities, and is used as a cover for a drainage hole installed on a roa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그레이팅(10)은 장방형 구조의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내측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격벽(12) 및 프레임(11)의 내측에 제1격벽(12)과 교차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격벽(13)을 포함한다.1, the grating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frame 11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a first partition 12 and a frame 11, which are installed laterally inside the frame 11, And a second barrier rib 13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ross the first barrier rib 12.

그러나 이러한 그레이팅(10)의 경우 프레임(11)과 제1격벽(12) 및 제2격벽(13)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제조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을 뿐 아니라 제조시 반드시 용접이 가능한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건비가 증가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grating 10, since the frame 11 is joined to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12 and 13 by welding, the manufacturing time is prolong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labor cost is increased and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또한, 상술한 그레이팅(10)에 의하면 제1격벽(12)과 제2격벽(13)에 의해 형성되는 격자의 폭이 넓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수직하게 설치된 제1격벽(12)과 제2격벽(1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보행자의 신발 등과 접촉되는 면적이 매우 협소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그레이팅(10) 위를 지나가는 보행자가 미끄러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그레이팅(10)은 표면이 매끄러운 금속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레이팅(10)에 물기가 묻어 있을 경우 더욱 미끄러지기 쉬워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According to the grating 10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grating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diaphragms 12 and 13 has a wide width,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rainage is smooth, but the first partition 12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13 are thin, the area of the pedestria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hoes or the like is very narrow, which causes the pedestrian passing over the grating 10 to slip easily. Particularly, since the grating 10 is made of a smooth metal material, when the grating 10 is wet, it is more likely to be slippery.

뿐만 아니라, 넓은 격자 간격으로 인해 카트와 같은 운반수단이나 최근 유행하는 인라인스케이트, 킥보드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격자 사이로 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운반 물품이 파손되거나 사람이 다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wide lattice spacing,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heels of a moving means such as a cart, a recently popular inline skate, a kickboard, and the like may fall into the grids. Therefore,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

한편, 그레이팅(10)이 배수구의 덮개로 사용될 경우에는 격자 사이로 부피가 작은 이물질은 물론 부피가 큰 이물질까지 우수나 오수와 함께 배수구로 유입되어 배수구를 차단하게 되고, 그 결과 배수구에 오수가 고여 부패함으로써 심한 악취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When the grating 10 is used as a lid of a drain hole, not only bulky foreign substances but also bulky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drain hole together with the water or sewage to block the drain hole. As a result, Thereby causing a bad odor.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조공정과 비용을 최소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 가능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ting capable of mass production at a low cost by minimizing a manufacturing process and cost.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행자가 미끄러지거나 운반수단 및 이동수단의 바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동시에 부피가 큰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우수 및 오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a pedestrian from slipping or a wheel of a transportation means and a moving means being taken out, and at the same time filtering a bulky foreign substance to provide a grating capable of smooth drainage of excellent and sewage I have to.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본 고안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은 상기 프레임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ating including a frame and a plurality of partitions disposed inside the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partitions are each fitted to the frame.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격벽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립방지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lat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s, and the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slip prevention part protruding upward.

이 경우, 상기 슬립방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천공되는 십자홀의 주변 모서리 부분이 상방으로 융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slip prevention por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cross hole formed in the plate is protruded upward.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슬립방지부보다 낮게 돌출 형성되는 슬립방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lip prevention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so as to protrude lower than the slip prevention portions.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에 다수의 격벽이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종래 용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respectively fitted and coupled to the fram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welding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또한, 격벽 사이에 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써 보행자의 발이나 운반수단의 바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레이트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슬립방지부에 의해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parti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t of the pedestrian or the wheel of the vehicle from falling off, and also prevent the slip of the pedestrian by the slip prevention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plate.

아울러, 플레이트에 비교적 작은 크기의 십자홀과 배수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부피가 큰 이물질의 유입이 제한됨으로써 배수구가 막혀 우수나 오수가 범람하거나 이물질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relatively small cross holes and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restrict the inflow of bulky foreign substances, thereby preventing the drain hole from clogging and preventing the flooded sewage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corrup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그레이팅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레이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그레이팅의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grating shown in Figure 2;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레이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그레이팅의 측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t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ating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grating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00)은 프레임(110)과 격벽(120)을 포함한다.2 to 4, a grating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10 and a partition 120.

프레임(110)은 격벽(120)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장방형 구조를 가진다.The frame 110 has a rectangular structure for fixing the barrier ribs 120 in a predetermined shape.

이 경우, 프레임(110)은 제1프레임부재(111)와 제2프레임부재(11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부재(111)의 양단에는 조립홈(111a)이 요입 형성되고, 제2프레임부재(112)의 양단에는 조립돌기(112a)가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조립돌기(112a)가 조립홈(111a)에 끼워져 제1프레임부재(111)와 제2프레임부재(112)가 서로 용접됨으로써 장방형 구조의 프레임(110)을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the frame 110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frame member 11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12. Concretely, an assembly groove 111a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member 111, and an assembling protrusion 112a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frame member 112. The assembling protrusion 112a The first frame member 11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12 are welded to each other to form a frame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한편, 제1프레임부재(111)에는 격벽(120)의 설치를 위한 조립홀(111b)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meantime, the first frame member 111 is formed with an assembly hole 111b for installing the barrier ribs 120 at regular interval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참고적으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의 일측에 대해서만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였으나, 도면 부호를 붙이지 않은 타측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only one side of a frame is denoted by a reference numeral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other side without reference numerals is also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격벽(120)은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직하게 설치된다.The barrier ribs 120 are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0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구체적으로, 격벽(120)의 양단에는 프레임(110)의 제2프레임부재(112)와 마찬가지로 양단에 조립돌기(120a)가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조립돌기(120a)가 앞서 설명한 제1프레임부재(111)의 조립홀(111b)에 삽입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격벽(120)과 프레임(110)이 종래와 같이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격벽(120)의 조립돌기(120a)가 제1프레임부재(111)의 조립홀(111b)에 끼움 결합되어 격벽(120)과 프레임(110)이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제조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한 쌍의 제1프레임부재(111) 사이에 격벽(120)과 제2프레임부재(112)를 순차적으로 끼운 후 제1프레임부재(111)와 제2프레임부재(112)의 연결 부분만 용접하면 되기 때문에 용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sembly legs 120a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partition 120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frame member 112 of the frame 110. The assembly projections 120a are engaged with the first frame member 120 111 into the assembly hole 111b.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ribs 120 and the frame 110 are not joined to each other by welding, but the assembly projections 120a of the barrier ribs 120 are connected to the assembly holes 111b of the first frame member 111, So that the partition 120 and the frame 110 are easily assembled to minimiz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The partition member 120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12 are sequentially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rame members 111 and the first frame member 111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12 Since only the connecting portion is welded,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welding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이 경우, 격벽(120)의 설치 개수 및 두께는 프레임(110)의 크기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and thickness of the partition 12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frame 110 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outside.

한편, 그레이팅(100)은 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30)는 보행자의 발이나 운반수단의 바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격벽(120) 사이에 설치된다.Meanwhile, the grat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plate 130. The plate 130 is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s 120 to prevent the foot of the pedestrian or the wheels of the transportation means from coming off.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30)는 양측단부가 절곡된 ㄷ자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이와 같이 절곡된 양측단부가 격벽(120)과 인접하는 격벽의 내측 상단에 각각 용접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프레임(110)의 좌우 최외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의 경우 격벽(120)과 제2프레임부재(112) 사이에 설치됨은 물론이다.Specifically, the plate 130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U-shaped bent at its both ends, and the bent ends are welded to an inner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adjacent to the partition 120 to be fix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late disposed on the outermost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110 is installed between the partition 120 and the second frame member 112.

이러한 플레이트(130)의 설치시에는 플레이트(130)와 프레임(110) 및 격벽(12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여 보행자가 걸리지 않도록 플레이트(130)와 프레임(110) 및 격벽(120)의 상면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late 130 is installe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30, the frame 110, and the barrier rib 120 is formed so as to prevent a step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plate 130 and the frame 110 and the barrier rib 120, It is preferable to make them coincide.

한편, 플레이트(130)에는 슬립방지부(131)가 형성된다. 슬립방지부(131)는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130)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a slip prevention part 131 is formed on the plate 130. The slip prevention portion 131 is provided to prevent slippage of the pedestrian and protru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plate 130. [

구체적으로, 슬립방지부(131)는 플레이트(130)에 천공된 십자홀(132)의 주변 모서리 부분이 상방으로 융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플레이트(130)에서 십자홀(132)의 천공으로 발생하는 4개의 모서리 부분을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보행자의 신발 등이 걸려 슬립(slip)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has a shape in which the peripheral edge portion of the cross hole 132 formed in the plate 130 is protruded upward. That is, the four corner portions generated by the perforation of the crosshole 132 in the plate 130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a round manner, so that the footwear of the pedestrian is hooked so as to prevent the slip phenomenon.

이 경우, 슬립방지부(131)의 돌출 높이는 1~2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슬립방지부(131)의 돌출 높이가 1mm 미만이면 슬립 방지 기능이 저하되고, 2mm 초과이면 슬립방지부(131)가 신발의 밑창 등에 박혀 보행자의 움직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is preferably about 1 to 2 mm. This is because, if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is less than 1 mm, the slip prevention function is deteriorated. If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is more than 2 mm,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is stuck to the foot of the shoe and hinders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립방지부(131)를 십자형으로 돌출 설계하면 슬립방지부(131)를 이루는 4개의 모서리가 각각 전후좌우방향으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의 진행방향에 무관하게 슬립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립방지부(131)를 형성하기 위해 천공된 십자홀(132)로 인해 우수나 오수의 유입시 부피가 큰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차단되므로 배수구의 원활한 배수에도 기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is designed to protrude in a cross shape, the four corners of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can provide frictional force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volume is effectively blocked by the inflow of rainwater or wastewater due to the cross hole 132 formed to form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it can contribute to smooth drainage of the drainage port.

한편, 슬립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130)의 양측단부에는 슬립방지돌기(133)가 추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30)의 양측단부에 우수나 오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홀(13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배수홀(134)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립방지돌기(133)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slip phenomenon more effectively, slip prevention protrusions 133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130. [ Specifically, drain holes 13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1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slip prevention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in hole 134 133 protrude upward.

이 경우, 슬립방지돌기(133)는 슬립방지부(131)에 비해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단이 플레이트(130)의 상벽 또는 그 직하방까지 돌출 형성된다. 즉, 슬립방지돌기(133)는 보행자의 신발 등에서 슬립방지부(131)와 접촉되지 않는 다른 면에 마찰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보행자의 슬립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In this case,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133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slip prevention portion 131, and preferably, the upper end protrudes up to the upper wall of the plate 130 or directly below. In other words,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 133 functions to prevent the slip of the pedestrian more effectively by additionally providing a frictional force to the other surface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slip prevention part 131 in the footwear of the pedestrian.

이상에서 설명한 프레임(110)과, 격벽(120) 및 플레이트(13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금속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스틸을 사용한다.The material of the frame 110, the barrier ribs 120 and the plate 130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metal materials can be used. Preferably,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is used.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그레이팅 110 : 프레임
111 : 제1프레임부재 111a : 조립홈
111b : 조립홀 112 : 제2프레임부재
112a : 조립돌기 120 : 격벽
120a : 조립돌기 130 : 플레이트
131 : 슬립방지부 132 : 십자홀
133 : 슬립방지돌기 134 : 배수홀
100: Grating 110: Frame
111: first frame member 111a:
111b: Assembly hole 112: Second frame member
112a: Assembly projections 120:
120a: Assembly protrusion 130: Plate
131: slip prevention part 132: cross hole
133: Slip prevention projection 134: Drain hole

Claims (4)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은 상기 프레임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A grating including a frame and a plurality of partitions provided inside the frame,
Wherein the plurality of partitions are each fitted to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벽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슬립방지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lip prevention part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천공되는 십자홀의 주변 모서리 부분이 상방으로 융기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lip prevention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a peripheral edge portion of a cross hole formed in the plate is protruded upwar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슬립방지부보다 낮게 돌출 형성되는 슬립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slip prevention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so as to protrude lower than the slip prevention portions.
KR2020130008523U 2013-10-16 2013-10-16 Grating KR20047765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523U KR200477654Y1 (en) 2013-10-16 2013-10-16 Gr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523U KR200477654Y1 (en) 2013-10-16 2013-10-16 Gr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78U true KR20150001578U (en) 2015-04-24
KR200477654Y1 KR200477654Y1 (en) 2015-07-07

Family

ID=5303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523U KR200477654Y1 (en) 2013-10-16 2013-10-16 Gr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5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70B1 (en) * 2022-08-22 2022-12-27 장종호 Grating for su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10B1 (en) * 2019-02-28 2019-05-22 권정호 Steel grating with improved light transmittance and dur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729A (en) * 1997-03-27 1998-11-05 김이성 Lattice structures
KR101155531B1 (en) * 2011-10-31 2012-06-18 이치원 Gra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70B1 (en) * 2022-08-22 2022-12-27 장종호 Grating for s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54Y1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934B1 (en) Steel greating
US6908256B1 (en) Drainage grate assembly
US7066685B2 (en) Drainage grate
KR200477654Y1 (en) Grating
KR200495132Y1 (en) Grating cover for drain
KR101432673B1 (en) Grating high rigidity for load
US20090011167A1 (en) Modular Mat
KR101497927B1 (en) Grating
KR101955193B1 (en) Grating fixing device
KR200446077Y1 (en) nonskid steel plate grating
KR102335040B1 (en) Grating of non-slip type
KR101916353B1 (en) Grating manhole
KR101814101B1 (en) Grating for drainage
KR101341349B1 (en) A steel grating
WO2006080810A1 (en) A grating using press process and method thereof
JP5372591B2 (en) Grating
KR101693331B1 (en) Multipurpose Steel Pallets
KR102328440B1 (en) Drainage with grating bar
KR20180000870U (en) Non-slip member for grating
KR101250507B1 (en) The roof-fixing frame for an arkade constructure
KR20110007013U (en) Grating for drainage
KR102329296B1 (en) Garbage Blocking Grating
JP3151326U (en) Groove cover
KR20170141161A (en) Grating for drainage
KR102428894B1 (en) Grating Module for Preventing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