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413U - Shower chair - Google Patents

Shower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413U
KR20150001413U KR20130008152U KR20130008152U KR20150001413U KR 20150001413 U KR20150001413 U KR 20150001413U KR 20130008152 U KR20130008152 U KR 20130008152U KR 20130008152 U KR20130008152 U KR 20130008152U KR 20150001413 U KR20150001413 U KR 201500014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rest
handle
user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1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8004Y1 (en
Inventor
이인노
Original Assignee
미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키코리아(주) filed Critical 미키코리아(주)
Priority to KR2020130008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004Y1/en
Publication of KR20150001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1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0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61G5/086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folding down backrest, e.g. where the backrest folds down onto the seat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의 폴딩과 각도조절 및 암레스트에 대하여 손잡이의 방향 조절을 통하여 목욕의자를 이용자가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이용 과정에서 용변처리가 가능하면서 휴대와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방에 착좌를 위한 좌판을 고정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이용자의 팔을 편안하게 유지하면서 좌판으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미에 이용자의 등과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장착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중앙에 이용자가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홀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홀 위치의 좌판 저면에 메인프레임 또는 좌판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는 용변용기와, 상기 암레스트의 전방에 설치하여 이용자가 이동하거나 목욕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신체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등받이를 좌판과 밀착되게 접을 수 있으면서 후방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old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backrest and adjustment of the direction of the handle to the armrest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use the bath chair while providing ease of carrying and storage, ;
An armrest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so as to facilitate entrance and exit of the arm to a seat while comfortably holding a user's arm; And a headrest mounted on the backrest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height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the chair comprising:
A toilet sea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 so as to allow a user to see a toilet seat and be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main frame or the seat on the seat bottom at the position of the seat; A handle for holding the user's body in a stable state during a bathing process, and an angle adjuster for folding the backrest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 back so as to adjust the angle backward.

Description

목욕의자{SHOWER CHAIR}Bath chair {SHOWER CHAIR}

본 고안은 목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나 환자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목욕할 수 없는 사람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장소에 제약 없이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도록 개선한 목욕의자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h chair capable of treating a person who is incapable of bathing alone, such as an elderly person or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safely and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 bath chair improved in function.

일반적으로 노약자나 환자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은 사람(이하 '거동불편자'라 함)은 몸의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자신이 스스로 목욕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In general, people such as elderly people, patients 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uncomfortable with the body, so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m to bathe themselves without the help of others.

따라서 건강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 목욕을 할수 밖에 없으나, 이 경우에도 목욕탕의 바닥이나 욕조 내에서 거동불편자가 목욕자세를 취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힘들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장애를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신체의 장애 정도에 따라서는 목욕자세를 취하는 것조차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In this case, it is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for the discomforting person to take a bathing position in the bottom of the bathtub or in the bathtub. In the case of a person with a physical disability, In some cases it is almost impossible to even take a bathing posture.

목욕을 시키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거동불편자가 목욕자세를 용이하게 취하지 못함으로써 목욕을 시키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야기되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혼자서 목욕을 시킬 수 없고 여러 사람의 협력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In the case of a person who gives a bath, the discomfort does not easily take a bath posture, which causes considerable difficulty in taking a bath. In some cases, it is not possible to take a bath alone, and cooperation of several people is inevitably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자에는 거동불편자의 목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목욕용 의자가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예를 도 10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view of these problems, various bath chairs have been proposed in recent years so that bathing of the inconveniences can be easily performe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bath chair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목욕의자(1)는, 원형 파이프를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부에는 좌판(50)을 안착하고 하단에는 발판(40)을 안착하며 저면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구(11)를 형성한 프레임(10)을 구비한다.The bath chair 1 to which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applied is formed by folding the circular pipe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seat plate 5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the foot plate 40 is seated on the lower end, and the pedestal 11 And one frame 10.

프레임(10)의 후방에는 상부 내측에 등받이(60)를 경사지게 체결한 원통파이프형의 지주프레임(20)을 수직으로 구비하고, 상기 지주프레임(20)의 상부 외측에 고정하고 전,후방으로 회동작동되는 보조시트(70)의 연결간(71)을 걸림부재(72)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받쳐서 지지토록 한다.A cylindrical pipe-shaped support frame 20 is vertically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ame 10 with a backrest 60 inclined inside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support frame 2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0, So that the connecting link 71 of the auxiliary sheet 70 to be operated is supported horizontally by using the engaging member 72. [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삽입체결하고 상향으로 절곡하여 상부에는 수평을 이루는 손잡이(31)(31a)를 다단으로 형성하며 프레임(10)으로 부터 그 간격을 조절토록 하는 팔걸이프레임(30)으로 구성하고 있다.An armrest frame 30 for inserting into the front of the frame 10 and folding upward to form a multitude of horizontal knobs 31 and 31a on the upper portion and adjusting the interval from the frame 10 Respectively.

특허출원 제 10 - 2010 - 0006331 호Patent Application No. 10 - 2010 - 0006331 특허 제 10 - 1140364 - 0000 호Patent No. 10 - 1140364 - 0000 특허 제 10 - 1067983 - 0000 호Patent No. 10 - 1067983 - 0000 실용신안등록 제 20 - 0180448 - 0000 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 - 0180448 - 0000 실용신안등록 제 20 - 0166119 - 0000 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 - 0166119 - 000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목욕의자는, 거동불편자가 앉은 자세를 취하거나 또는 엎드린 자세를 취하면 보조자가 목욕을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목용의자가 없는 상태에서 목욕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쉬우나 여전히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The bath chair to which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is designed to allow the assistant to take a bath when the inconvenience of the patient is in a sitting position or in a prone position so that it is easier to perform bathing without a neck stall, The same problems arise.

거동불편자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는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목욕의자로의 이동과 목욕의자에서의 자세 바꾸기 등이 가능하게 되므로 목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나, 거동불편자가 스스로 움직이는 것이 힘들거나 아예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목욕의자로의 이동과 목욕의자에서의 자세 바꾸기 또는 목욕이 끝난 후 목욕의자를 벗어나는 행위 자체가 힘들기 때문에 여전히 보조자의 힘만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When the discomfort can move by itself, it is possible to provide ease of bath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bathing chair and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thing chair with the help of the assistant, but it is difficult for the discomforting person to move, If it is not possible to move to the bath and change the position in the bath chair or after bathing, the act of escaping the bath chair itself is difficult, so that it still has difficulties to solve everything with the help of the assistant.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착석을 위한 착좌부를 가지는 프레임의 하방에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바퀴를 장착하고, 발판과 등받이, 암레스트 및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휠체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목욕의자가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there has recently been proposed a seat for a chair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wheelchair having a footrest and a backrest, an armrest and a headrest, Is provided.

그러나, 이 역시 착좌부로의 출입이 용이하지 못하고, 등받이와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어려워 이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목욕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프레임에 결합 된 등받이와 헤드레스트가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보관이 어렵고 다른 물품들과의 간섭이 일어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is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get into and out of the seating part,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When the bath chair is not used,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It is difficult to keep it because it keeps its shape, and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interference with other articles.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상방에 착좌를 위한 좌판을 고정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이용자의 팔을 편안하게 유지하면서 좌판으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미에 이용자의 등과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장착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in frame which has a main frame for fixing a seat for seating, And a headrest mounted on the backrest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relative to the backrest, the chair comprising: an armrest rotatably coupled to be rotatable;

상기 좌판의 중앙에 이용자가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홀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홀 위치의 좌판 저면에 메인프레임 또는 좌판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는 용변용기와, 상기 암레스트의 전방에 설치하여 이용자가 이동하거나 목욕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신체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등받이를 좌판과 밀착되게 접을 수 있으면서 후방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자를 더 포함하여;A toilet sea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 so as to allow a user to see a toilet seat and being slidably engaged with the main frame or the seat on the seat bottom at the position of the seat; And an angle adjuster for folding the backrest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 back so that the backrest can be angled backward;

등받이의 폴딩과 각도조절 및 암레스트에 대하여 손잡이의 방향 조절을 통하여 목욕의자를 이용자가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이용 과정에서 용변처리가 가능하면서 휴대와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The fold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backrest and the adjustment of the direction of the handle to the armrest allow the user to use the bath chair comfortably while being able to handle the toilet during the use process, .

본 고안은, 휠체어 타입으로 구성되는 목욕의자의 암레스트에 장착되는 손잡이와 등받이 및 헤드레스트를 각도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목욕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착좌부에 휴대용 변기통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목욕의자는 물론, 근거리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의 활용과 더불어 장소에 관계없이 이동중 대소변의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목욕의자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n angle adjustment of a handle, a backrest, and a headrest mounted on an armrest of a wheelchair-type bath chair to allow a user to freely adjust the angle according to a user's body con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portable toilet seat to the seat part,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bath seat as well as a means for short distance movement, and to easily handle the feces during transportation regardless of the place, It is a design that has various effects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측면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손잡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손잡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자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자를 발췌한 A - 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자를 발췌한 B - B선 단면도.
도 10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showing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3 is a side view of the bath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showing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andle of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ckrest angle adjuster of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 - A of the backrest angle adjuster of the bath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 B of the backrest angle adjuster of the bath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 is a view showing a bath chair to which a conventional technique is applied.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측면 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를 도시한 다른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손잡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손잡이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자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자를 발췌한 A - 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자를 발췌한 B - B선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showing a bath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echnique is applied, FIG. 3 is a side view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bath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of a bath chair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ckrest angle adjuster of a bath chair to which a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angle adjustment of a bath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 - B of the backrest angle adjuster of the bath chai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technique is applied.

통상적인 목욕의자(100)는, 개략 ∩형상으로 구비되는 메인프레임(101)의 상방에 이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좌판(102)을 고정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하방에는 지면과 연접되는 받침대(103)를 결합한다.(도 4 참조)A typical bath chair 100 is configured to fix a seat 102 to allow a user to sit above a main frame 101 provided in an approximate ∩ shape and to hold the seat 102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frame 101, (See Fig. 4).

상기 받침대(103) 대용으로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를 가지는 바퀴(104)를 장착하여 구성하여도 되며, 메인프레임(101)의 전방에는 이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재치 할 수 있도록 발판(105)을 가지는 풋프레임(106)을 더 연결하여도 된다.A wheel 104 having a brake as shown in FIG. 1 may be mounted so as to provide ease of movement in place of the pedestal 103. I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101, A foot frame 106 having a foot plate 105 may be further connected.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상부 양측에는 이용자의 팔을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후미가 메인프레임(101)과 힌지(107) 연결되고 선측에는 착탈수단(108)을 구비하여 좌판(102)으로의 출입이 용이하게 회동 될 수 있도록 한 암레스트(109)가 결합된다.The main frame 101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1 and the hinge 107 so that the back of the main frame 101 can comfortably hold the user's arms. So that the armrest 109 can be rotated easily.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후미에는 이용자의 등과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등받이(110)와 등받이(110)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111)를 장착하여 구성된다.A backrest 110 and a headrest 111 adjustable in height relative to the backrest 110 are mounted on the back of the main frame 101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head.

본 고안에서는 상기 좌판(102)의 중앙에는 이용자가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홀(115)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홀(115) 위치의 좌판(102) 저면에는 메인프레임(101) 또는 좌판(102)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과 이탈되는 용변용기(116)를 포함하고, 상기 암레스트(109)의 전방에 이용자가 이동하거나 목욕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신체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손잡이(1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110)를 좌판(102)과 밀착되게 접을 수 있으면서 후방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각도조절자(1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plate 101 or the seat 10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eat 102 at the position of the seat 115. In the seat 102, And a handle 120 capable of stably holding the body by hand while the user moves or baths in front of the armrest 109, And further includes an angle adjuster 140 which can fold back the seat back 110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 102 and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back.

상기 손잡이(120)는, 암레스트(109)를 구성하는 암레스트파이프(121)의 선단 내경에 인너부싱(122)을 고정하여 인너부싱(122)의 선측이 암레스트파이프(121)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The handle 120 is formed by fixing the inner bushing 122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end of the armrest pipe 121 constituting the armrest 109 so that the side of the inner bushing 122 is located forward of the armrest pipe 121 .

상기 인너부싱(122)은 쿠션을 가지는 손잡이패드(123)을 결합한 개략 ㄱ 형상의 손잡이파이프(124)의 후미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파이프(124)의 내경에는 아우터부싱(125)을 고정하여 인너부싱(122)과 연접되도록 한다.The inner bushing 122 is accommodated in the rear of the roughly shaped handle pipe 124 having the cushioning handle pad 123 coupled thereto and the outer bushing 125 is fix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le pipe 124, Bushing 122 to be connected.

상기 암레스트파이프(121)와 인너부싱(122) 및 손잡이파이프(124)와 아우터부싱(125)의 고정은 리벳이나 무두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유동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fixation of the armrest pipe 121, the inner bushing 122 and the handle pipe 124 and the outer bushing 125 may be accomplished by using conventional fastening means such as rivets, do.

상기 인너부싱(122)과 아우터부싱(125)의 축 중심에서는 결합홀(126)을 형성하여 맴돌이볼트(127)와 너트(128)로 단속하여 암레스트파이프(121)에 대하여 손잡이파이프(124)가 회동 자유롭도록 한다.A coupling hole 126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xis of the inner bushing 122 and the outer bushing 125 and is interrupted by the eddy bolts 127 and the nut 128 to connect the handle pipe 124 to the armrest pipe 121, So that it is free to rotate.

상기 인너부싱(122)의 내부에는 개략 ⊃형상의 스프링(129)을 내장하고, 상기 스프링(129)에는 작동버턴(130)을 결합하여 손잡이파이프(124)의 원주면에 형성하는 위치결정공(131)과 결합 되어 암레스트파이프(121)에 대하여 손잡이파이프(124)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Shaped spring 129 is embedded in the inner bushing 122 and an actuating button 130 is coupled to the spring 129 to form a positioning ho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pipe 124 13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pipe 124 relative to the armrest pipe 121 can be freely determined.

상기 각도조절자(140)는, 메인프레임(101)의 후미에서 상향 돌출되게 고정되는 로어바(141)에 고정되는 로어브라켓(142)과 힌지핀(143)으로 연결되는 가이드관(144)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관(144)에는 등받이(110)의 후미 중간위치에 고정되는 어퍼바(145)에 고정되는 어퍼브라켓(146)과 힌지핀(143)으로 결합 되는 조절바(147)를 삽입하여 캡(148)으로 마감한다.The angle adjuster 140 includes a lower bracket 142 fixed to a lower bar 141 fixed upwardly projecting from the rear of the main frame 101 and a guide pipe 144 connected to the hinge pin 143 An upper bracket 146 fixed to the upper bar 145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backrest 110 and a control bar 147 coupled with the hinge pin 143 are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144, And the cap 148 is closed.

상기 조절바(147)에는 등받이(110)를 좌판(102)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하고 메인프레임(10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조절 가능하도록 긴 길이의 조절홀(149)을 종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절홀(149)에는 가이드관(144)의 상부에서 조절홀(149)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조절수단(150)에 의하여 등받이(110)를 접거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backrest 11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102 and has an adjustment hole 149 having a long length so as to be adjust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01 And the backrest 110 can be folded or adjusted by the adjusting means 150 coupled to the adjusting hole 149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djusting hole 149 at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144 .

상기 조절수단(150)은, 가이드관(144)의 축 중심(종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공(151)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151)에는 편심된 단속캠(152)을 일체로 형성한 조절레버(153)와 결합된 조절볼트(154)를 결합시키고, 상기 조절볼트(154)에는 조절바(147)의 배면에서 너트(155)를 결합하여 단속한다.The adjusting means 150 includes a control hole 151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center of the guide pipe 144. An eccentric intermittent cam 152 is formed in the control hole 151, And a nut 155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lt 154 at the rear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 147. The adjustment bolt 154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lever 153,

상기 가이드관(144)과 조절레버(153) 사이에는 스페이서(156)를 개재하여 조절레버(153)의 상,하 방향으로 회동에 의하여 단속캠(152)이 단속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속캠(152)의 외부에는 양측에 브리지(157)를 형성하여 조절레버(153)가 조절공(15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너트(155)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가이드(158)를 고정하여 구성한다.The intermittent cam 152 is capable of generating an intermittent force between the guide tube 144 and the control lever 153 by rotating the control lever 153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via the spacer 156, A release prevention guide 158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ittent cam 152 so as to prevent the control lever 153 from rotating with the control bolt 151 and the nut 155, .

상기 가이드관(144)에 형성되는 조절공(151)에는 마감캡(160)을 결합하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내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The finishing cap 151 formed on the guide pipe 144 is coupled to the finishing cap 16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adjusting pipe 151 while preventing the inside from being visually expos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목욕의자(100)의 사용은, 이용자가 목욕의자(100)에 앉고자 할 경우 또는 목욕의자(100)를 벗어나고자 할 경우에는 암레스트(109)를 회동시켜 출입이 자유롭도록 하고, 좌판(102)에 앉은 상태에서 목욕의자(100)를 목적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목욕을 수행하면 된다.The use of the bath chair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is such that when the user wishes to sit on the bath chair 100 or to move out of the bath chair 100, the armrest 109 is rotated The bath chair 100 may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seat 102 so as to be free to enter and leave the bath.

그리고, 일반적인 이동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이용자가 좌판(102)에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면 되며, 이 과정에서 용변이 필요할 경우에는 좌판(102)의 저면에 용변용기(116)를 결합시킨 후 좌판(102)에 형성된 용변홀(115)을 통하여 대소변을 볼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for general mobile use, he or she may move while sitting on the seat 102. When the user needs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102 in this process, the seat 102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eat 102, The user can see the left and right feces through the use hole 115 formed in the main body 102.

목욕 또는 이동 과정에서 이용자의 자세를 편안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암레스트(109)의 전방에 결합 된 손잡이(120)의 위치를 조절하고, 각도조절자(140)를 이용하여 등받이(110)를 각도를 이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절하여 편안한 상태로 사용하면 된다.The position of the knob 12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armrest 109 may be adjusted and the position of the backrest 110 may be adjusted using the angle adjuster 140. [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to the desired shape and use it in a relaxed state.

또한, 목욕의자(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도조절자(140)를 이용하여 등받이(110)를 좌판(102)과 밀착시켜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과 운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bath chair 100 is not used, the angle adjuster 140 is used to bring the backrest 1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 102,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and providing eas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상기 손잡이(120)의 작동은, 손잡이파이프(124)에 형성된 위치결정공(131)과 결합되어 위치결정공(131) 외부로 노출된 작동버턴(130)을 눌러 작동버턴(130)이 손잡이파이프(124)를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잡고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키면 된다.The operation of the handle 120 is performed by pressing an actuating button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ing hole 131 by being engaged with the positioning hole 131 formed in the handle pipe 124, The handle 120 is held in a state of being moved away from the handle 124 and rotated to a desired position.

그러면, 손잡이파이프(124)를 회동시키면 손잡이파이프(124)에 형성된 다른 위치결정공(131)과 작동버턴(130)이 만나면 스프링(129)이 미는 힘에 의하여 작동버턴(130)이 위치결정공(131)과 결합 되므로 손잡이(120)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handle pipe 124 rotates, when the other positioning hole 131 formed in the handle pipe 124 and the actuating button 130 meet,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129 causes the actuating button 130 to move The handle 120 can be changed in direction.

즉, 목욕의자(100)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손잡이(120)를 종 방향으로 위치시켜 암레스(109) 만을 사용하는 형태 또는, 암레스트(109)의 내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회동시켜 손잡이(120)를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사용자의 몸이 목욕의자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bath chair 100, the handle 120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armrests 109 are used alone, or the armrests 109 are rotat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armrests 109, Can be held by the user and can be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prevents the user's body from escaping from the bath chair.

상기 각도조절자(140)의 작동은, 조절레버(153)를 가이드관(144)의 아래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단속캠(152)이 스페이서(156)의 표면을 눌러 조절볼트(154)가 당겨지게 되므로 결국에는 조절볼트(154)와 너트(155)가 조절바(147)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므로 가이드관(144)에 대하여 조절바(147)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므로 등받이(110)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angle adjuster 140 is controlled such that when the adjustment lever 153 is positioned below the guide tube 144, the intermittent cam 152 presses the surface of the spacer 156 to pull the adjustment bolt 154 The adjusting bolt 154 and the nut 155 strongly press the adjusting bar 147 so that the adjusting bar 147 can not move with respect to the guide pipe 144. Therefore, .

그리고, 조절레버(153)를 가이드관(144)의 윗 방향으로 위치시키면 단속캠(152)과 스페이서(156)가 연접되지 않게 되므로 조절볼트(154)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조절바(147)를 가이드관(144)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므로 이때 등받이(110)를 잡고 전방으로 폴딩 시키거나 메인프레임(101)에 대하여 필요한 각도로 조절한 후, 다시 조절레버(153)를 아래 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절볼트(154)와 너트(155)에 의하여 조절바(147)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므로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djusting lever 153 is positioned above the guide tube 144, the intermittent cam 152 and the spacer 156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adjusting bolt 154 can move freely, The backrest 110 can be folded forward or adjusted to a required ang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01 and then the adjustment lever 153 can be moved backward The adjusting bolt 154 and the nut 155 prevent the adjusting bar 147 from moving.

이러한 본 고안은 등받이의 폴딩과 각도조절 및 암레스트에 대하여 손잡이의 방향 조절을 통하여 목욕의자를 이용자가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이용 과정에서 용변처리가 가능하면서 휴대와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Such a design allows the user to comfortably use the bath chair by adjusting the folding and angle of the backrest and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handle to the armrest, while being able to handle the toilet in the use process, It has various advantages.

100; 목욕의자 101; 메인프레임
102; 좌판 109; 암레스트
115; 용변홀 116; 용변용기
120; 손잡이 121; 암레스트파이프
122; 인너부싱 124; 손잡이파이프
125; 아우터부싱 127; 맴돌이볼트
129; 스프링 130; 작동버턴
131; 위치결정공 140; 각도조절자
141; 로어바 144; 가이드관
147; 조절바 149; 조절홀
150; 조절수단 151; 조절공
152; 단속캠 153; 조절레버
156; 스페이서 158; 풀림방지가이드
100; Bath chair 101; Mainframe
102; Seat plate 109; Arm rest
115; A toilet hole 116; Container
120; Handle 121; Armrest pipe
122; Inner bushing 124; Handle pipe
125; Outer bushing 127; Eddy bolt
129; Spring 130; Operation button
131; Positioning holes 140; Angle adjuster
141; Lower bar 144; Guide tube
147; Control bar 149; Adjustment hole
150; Adjusting means 151; Regulator
152; Intermittent cam 153; Adjustment lever
156; Spacers 158; Anti-loosening guide

Claims (4)

상방에 착좌를 위한 좌판을 고정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이용자의 팔을 편안하게 유지하면서 좌판으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암레스트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미에 이용자의 등과 머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장착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대하여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중앙에 이용자가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홀을 형성하고, 상기 용변홀 위치의 좌판 저면에 메인프레임 또는 좌판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는 용변용기와;
상기 암레스트의 전방에 설치하여 이용자가 이동하거나 목욕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잡고 신체를 안정되게 유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등받이를 좌판과 밀착되게 접을 수 있으면서 후방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의자.
A main frame fixing a seat for seating above;
An armrest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frame so as to facilitate entrance and exit of the arm to the seat while comfortably holding the arm of the user;
A backrest mounted on the back of the main frame so as to support the user's back and head;
A chair for a bath comprising a headrest which is adjustable in height relative to the backrest, the chair comprising:
A toilet bowl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at so as to allow a user to see a toilet seat and being slidab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at at the position of the sea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
A handl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armrest to stably hold the user's body while the user moves or baths;
Further comprising an angle adjuster that allows the backrest to be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 back so that the backrest can be angled back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암레스트를 구성하는 암레스트파이프의 선단 내경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손잡이패드을 결합한 손잡이파이프의 후미에 수용되는 인너부싱과;
상기 손잡이파이프 내경에 고정하여 인너부싱과 연접되는 아우터부싱과;
상기 인너부싱과 아우터부싱의 축 중심에 형성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인너부싱과 아우터부싱을 단속하여 암레스트파이프에 대하여 손잡이파이프가 회동하게 하는 맴돌이볼트와 너트;
상기 인너부싱의 내부에 내장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결합 되어 손잡이파이프에 형성하는 위치결정공과 위치결정을 수행하는 작동버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의자.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handle includes an inner bushing which is fixed to an inner diameter of a leading end of an armrest pipe constituting an armrest and is forwardly projected and accommodated in a rear portion of a handle pipe to which a handle pad is coupled;
An outer bushing fix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andle pipe and connected to the inner bush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axial center of the inner bushing and the outer bushing;
An eddy bolt and a nut interlocking the inner bushing and the outer bush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to rotate the handle pipe relative to the armrest pipe;
A spring embedded in the inner bushing;
And an actuating button coupled to the spring to perform a positioning hole formed in the handle pipe and a positioning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자는, 메인프레임의 후미의 로어바에 고정되는 로어브라켓과 연결되는 가이드관과;
등받이의 후미 중간위치에 고정되는 어퍼바와 결합되어 가이드관에 삽입되는 조절바와;
상기 조절바에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는 조절홀과;
상기 가이드관의 상부에 구비하여 조절홀과 직각방향으로 결합 되어 등받이를 접거나 각도조절을 선택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의자.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angle adjuster includes: a guide pipe connected to a lower bracket fixed to a lower bar at the rear of the main frame;
An adjustable bar coupled to an upper bar fixed to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backrest and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An adjusting hole extending longitudinally in the adjusting bar;
And a regulating mean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tube and coupled to the regulating ho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gulating hole so as to fold the backrest or to adjust the ang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가이드관의 축 중심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절공과;
상기 편심된 단속캠을 일체로 형성한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어 조절공에 삽입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바의 배면에서 조절볼트의 후미와 결합 되는 너트와;
상기 가이드관과 조절레버 사이에 개재하여 단속캠이 단속 힘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스페이서와;
양측에 브리지를 형성하여 조절레버가 조절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너트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속캠의 외부에 고정되는 풀림방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의자.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adjusting means comprises: an adjusting hol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center of the guide tube;
An adjusting lev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eccentric intermittent cam;
An adjustment bolt coupled to the adjustment lever and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hole;
A nut coupled to the rear of the adjustment bolt at the back of the adjustment bar;
A spacer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tube and the control lever to cause the intermittent cam to generate an intermittent force;
And a release preventing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cam so that the control lever is rotated around the control hole to prevent the control lever from being loosened with the nut.
KR2020130008152U 2013-10-02 2013-10-02 Shower chair KR2004780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52U KR200478004Y1 (en) 2013-10-02 2013-10-02 Shower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52U KR200478004Y1 (en) 2013-10-02 2013-10-02 Shower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13U true KR20150001413U (en) 2015-04-10
KR200478004Y1 KR200478004Y1 (en) 2015-08-27

Family

ID=5302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52U KR200478004Y1 (en) 2013-10-02 2013-10-02 Shower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04Y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845A (en) * 2019-01-16 2019-05-10 广东大洋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folding wheel chair vehicle
CN110338690A (en) * 2019-07-30 2019-10-18 常州市钱璟康复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hower chairs
JP2020168306A (en) * 2019-04-05 2020-10-15 スズキ株式会社 Electric vehicle
KR20200121353A (en) * 2019-03-12 2020-10-23 차영철 Wheelchair and headrest
KR20220000223U (en) * 2020-07-17 2022-01-25 노순희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KR20230117797A (en)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safety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1449A (en) * 2015-12-07 2016-03-23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Multifunctional nursing bath chair
KR102038996B1 (en) 2018-01-30 2019-10-31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A bath chair
KR102263612B1 (en) * 2019-12-04 2021-06-10 파프리 주식회사 Toilet assist
KR102597869B1 (en) * 2022-02-03 2023-11-03 (주)조은케어 Toilet device with safety seat
KR20240044836A (en) 2022-09-29 2024-04-05 이재완 Bath wheelchair for people with mobility difficulti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19Y1 (en) 1999-07-27 2000-02-15 최보아 Bathing/excreting chair capable of deploying and moving
KR101057449B1 (en) 2009-10-09 2011-08-18 김한주 Multifunctional chair for the disabled
KR101310841B1 (en) 2012-03-29 2013-09-25 미키코리아(주) Armrest for electric wheel chai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0845A (en) * 2019-01-16 2019-05-10 广东大洋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folding wheel chair vehicle
KR20200121353A (en) * 2019-03-12 2020-10-23 차영철 Wheelchair and headrest
JP2020168306A (en) * 2019-04-05 2020-10-15 スズキ株式会社 Electric vehicle
CN110338690A (en) * 2019-07-30 2019-10-18 常州市钱璟康复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hower chairs
CN110338690B (en) * 2019-07-30 2024-05-28 常州市钱璟康复股份有限公司 Shower chair
KR20220000223U (en) * 2020-07-17 2022-01-25 노순희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KR20230117797A (en) * 2022-02-03 2023-08-10 (주)조은케어 safety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004Y1 (en)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004Y1 (en) Shower chair
US20110258771A1 (en) Seat tilt mechanism for chairs us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KR101908213B1 (en) Bath chair with shower supporting stand for the handicapped
US10813505B2 (en) Bathing auxiliary chair
KR20160125037A (en) Bath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KR102402692B1 (en) Multifunctional walking car
JP7475247B2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KR102362427B1 (en) The transportable toilet bowl for patient
JP3226653U (en) Transfer assistance chair
KR200495017Y1 (en)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JP3825633B2 (en) Toilet handle rail support
US10542848B1 (en) Bathing auxiliary chair
KR102435107B1 (en) A toilet stool subsidiary apparatus for the old and the infirm
KR101953467B1 (en) Toilet assembly for correction posture fixtaion
KR20210136361A (en) The transportable toilet bowl for patient
JP7084599B2 (en) A chair with a sitting / standing assist device and a sitting / standing assist function
KR20020083786A (en) a chair
JP2000232995A (en) System chair for helping
JPH02111367A (en) Chair for stool and toilet stool
KR200408128Y1 (en) Tilting device for wheelchair
CN210019167U (en) Auxiliary device
KR102152141B1 (en) Bath chair with detachable chest support
KR20100003781U (en) Toilet bowl
JP2811296B2 (en) Handicapped person
KR200406015Y1 (en) Armrest assembly for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