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17A -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717A
KR20150000717A KR1020130073185A KR20130073185A KR20150000717A KR 20150000717 A KR20150000717 A KR 20150000717A KR 1020130073185 A KR1020130073185 A KR 1020130073185A KR 20130073185 A KR20130073185 A KR 20130073185A KR 20150000717 A KR20150000717 A KR 2015000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vitamin
regulatory
cell
tg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370B1 (ko
Inventor
조석구
임정연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3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8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를 포함하는, 미분화 T 세포로부터 IL-10 생성 조절 T세포(IL-10 producing 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여 미분화 T세포를 IL-10 생성 조절 T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induction of IL-10 producing regulatory T cell differentiation}
본 발명은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를 포함하는, 미분화 T 세포로부터 IL-10 생성 조절 T세포(IL-10 producing 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분화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루킨-10(IL-10)은 사이토카인 합성 억제제 인자 또는 Cytokine synthesis inhibitory factor (CSIF)로 공지되어 있으며, 조혈세포, 특히 면역 세포의 강력한 면역조절인자이다. IL-10은 활성화 된 helper T cell 2(Th2) 세포, B세포, 각질세포, 단핵구(monocyte) 및 대식세포(macrophage)와 같은 세포에서 생산되며, T 세포, 단핵세포 및 대식세포를 포함하는 다수의 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특히, IL-10은 helper T cell 1(Th1) 세포, 천연 킬러 세포, 단핵구 및 대식세포와 같은 세포의 IL-1, Interferon-γ(IFN-γ), 및 Tumor necrosis factor(TNF)등의 합성을 억제한다.
또한, IL-10은 항원 제시 세포에서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저해함으로써 그 효과를 발휘하며, 단핵구, 대식세포 또는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와 같은 항원 제시 세포들의 항원 제시 기능을 억제한다. 따라서, IL-10은 세포성 면역반응에 대한 실질적인 억제자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등록특허 제 6,670,146호에는 덱사메타손과 비타민 D3를 함께 처리하여 IL-10 생성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것에 관한 개시가 있으나, 이로부터 생성되는 IL-10의 생성량은 명확하지 않다. 이와 같이 IL-10을 생성하는 세포는 면역조절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세포 유도 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종양세포 증식인자 베타(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는 Foxp3+ T세포의 유도와 면역 억제능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절 사이토카인으로서, CD4+CD25- T세포가 TGF-β의 존재하에 억제능을 가진 Foxp3+ T세포로 전환되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IL-10의 생성을 조절하는 T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의 CD4+ T세포에서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로 자극하여 IL-10을 생성하는 조절 T 세포(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FOXP3+ T 세포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TGF-β를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덱사메타손 및 비타민 D3 를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를 함께 처리 했을 경우, 현저히 상승된 분화 유도 효과를 나타내며 IL-10의 생성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분화된 CD4+ T세포에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로 자극함으로써 IL-10 생성 조절 T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새로운 면역조절 세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를 포함하는, 미분화 T 세포로부터 IL-10 생성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체 외에서 미분화 T세포에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L-10 생성 조절 T 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를 포함하는, 미분화 T 세포로부터 IL-10 생성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덱사메타손" 이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을 가지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로서, 내인성 코티솔 효능의 약 25-30배이다. 이는 많은 염증 및 자가면역성 병변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IL-10 생성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덱사메타손은, 이의 염, 용매화물 또는 동등한 활성을 가지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체는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 능력을 나타내는 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독성 에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염은, 당 업계에서 허용되는 비독성 유기 또는 무기 산 부가염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예로는, 덱사메타손의 아세테이트(acetates), 이소니코티네이트(isonicotinates), 포스페이트(phosphates), 소듐 메타설포벤조에이트(sodium metasulfobenzoates), 소듐 포스페이트(sodium phosphates), 헤미숙시네이트(hemisuccinates), 리놀리에이트(linoliates), 팔미테이트(palmitates), 피발레이트(pivalates),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s), 소듐 숙시네이트(sodium succinates), 테부테이트(tebutates), 발러레이트(valerates), 펜프로피오네이트(phenpropionates), 및 트로선데이트(troxundates)를 포함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타민 D3" 는 콜레칼시페롤으로 불리기도 하며,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와 함께 비타민 D로서 총괄적으로 언급된다. 주로 간에서 대사작용이 일어나며, 25-히드록시비타민 D3를 생산하며, 이는 활성 비타민 D 호르몬의 프로호르몬(prohormone)이다. 특히, 비타민 D3는 담즙산의 도움을 받아 칼슘과 인산염의 흡수를 촉진하며, 칼슘결합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여 동물의 골격형성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면역시스템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D3는 상기 덱사메타손 및 후술하는 TGF-β와 함께 IL-10 생성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규명되었다. 바람직하게, 비타민 D3는 활성형 비타민 D3 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α-히드록시콜레칼시페놀, 1α,25-히드록시콜레칼시페놀, 1α,24-디히드록시콜레칼시페놀, 1α,24,25-트리히드록시 콜레칼시페롤 등과 같은 1α-히드록시 비타민 D3 류; 24-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 25-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 24, 25-디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 25, 26-디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 등과 같은 24- 또는 25- 히드록시 비타민 D3 류; 24-옥소콜레칼시페롤, 1α-히드록시-24-옥소콜레칼시페롤, 25-히드록시-24-옥소콜레칼시페롤, 1α,25-히드록시-24-옥소콜레칼시페롤 등과 같은 24-옥소비타민 D3 류; 25-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26,23-락톤, 25-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26,23-퍼옥시락톤, 및 1α, 25-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26,23-락톤, 1α, 25-디히드록시콜레칼시페롤-26,23-퍼옥시락톤 등의 26,23-락톤류의 활성형 비타민 D3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TGF-β" 는 다기능 분비단백질로서, 혈소판이나 태반, 골격 등 여러 조직에서 생산되고 세포의 생장억제, 세포외기질의 생산, 면역능 억제 같은 작용을 한다. 세포독성 T세포, 천연 킬러 세포, 및 마크로파지 등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며, 세포의 형태와 시기에 따라 증식 억제, 전이, 세포사멸, 면역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FOXP3+ T세포의 유도의 면역 억제능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절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TGF-β 는 TGF-β1, TGF-β2, TGF-β3으로 불리는 이소폼(isoform)이 존재하며, 본 발명에서 IL-10 생성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의 TGF-β는 상기 이소폼(isoform)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T 세포" 는 각종 병원체에 대한 생체 방어 시스템으로 면역계에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군의 하나이며, 인체의 흉선에서 생성되며 일련의 분화과정을 거치면서 고유의 특성을 지닌 T세포로 분화하게 된다.
본 " 조절 T 세포"는 CD4와 CD25가 발현되어 있으며, T 세포의 발생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고,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면역의 항상성을 유지하며 자가면역반응 등을 차단한다. 조절 T 세포는 대부분 CD4+ 세포군에 속해 있으며, forkhead box protein3 (FOXP3)를 발현하는 CD4+CD25+ T 세포, TGF-β를 발현하는 T-helper cell 3(Th3), IL-10을 발현하는 조절 T세포 1(regulatory T cell 1, Tr1)의 세 종류가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IL-10을 발현하는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분화"란 각 단계의 미숙한 세포가 증식분열을 반복해서 기능적 및 형태적으로 성숙한 단계로 진행하는 것으로, "미분화 세포" 란 세포가 미숙한 단계에서 멈추어 아직 분화될 여지를 남겨둔 세포를 말한다.
T 세포의 전구세포가 흉선 안으로 들어가면, 다양한 유전자를 발현시킴으로써 전구세포들이 비만세포(mast cell), 킬러세포, 항원 표현 세포(antigen-presenting cell) 등으로 분화될 수 있다. T 세포는 처음에는 CD4 분자와 CD8 분자를 모두 나타내며, 자가항원 선택과정을 거치면서 세포가 성숙함에 따라 이들 세포는 CD8 분자를 억제하여 보조세포의 기능을 갖는 CD4+ T 세포가 되거나, CD4 분자를 억제하여 세포독성 기능을 가진 CD8+ T세포가 된다. 이 후 항원에 의한 특정 림프구 클론의 자극에 의해 2차 분화가 시작되며, 이 과정은 면역반응과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미분화 T 세포" 란 흉선에서 일정한 형질과 기능을 지닌 세포로 분화되지 못한 T세포를 의미하며, 특히 CD4+ T 세포의 2차 분화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T 세포를 포함한다.
IL-10은 면역세포의 강력한 면역조절인자로서, IL-10의 생성을 촉진하는 조절 T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함으로써, 향후 면역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세포를 이용한 치료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를 일정한 농도로 혼합하여 IL-10의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조절 T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실시예 1 및 2에서는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TGF-β를 함께 처리한 경우, 항 염증 사이토카인인 IL-10의 생성량이 상당히 증가함을 관찰하였으며, 특히 TGF-β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및 덱사메타손과 비타민 D3만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 비해서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상기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상기 덱사메타손의 농도는 10-8 내지 10-9M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농도 범위는 미분화 T 세포의 양, 분화 유도 시간 및 기타 실험 조건 등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상기 비타민 D3의 농도는 10-6 내지 10-8M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농도 범위는 미분화 T 세포의 양, 분화 유도 시간 및 기타 실험 조건 등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보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상기 TGF-β의 농도는 4 내지 6ng/mL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농도 범위는 미분화 T 세포의 양, 분화 유도 시간 및 기타 실험 조건 등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보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은 항-CD28 항체, 항- IFN γ항체 및 항-IL-4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D28은 T세포의 공동자극수용체로서, 항 CD28항체는 공동자극분자의 신호를 전달하여 T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IFN γ는 림프구의 분열이나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이며, IL-4는 naive T 세포의 Th2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본 발명에서 항- IFN γ항체 및/또는 항-IL-4 항체는 T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체" 란 항원성 부위에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CD28, IFN γ, IL-4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단일클론항체, 다클론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에는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인간항체 등의 특수항체도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 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생체 외에서 미분화 T세포에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L-10 생성 조절 T 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조절 T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IL-10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IL-10 생성 조절 T세포(IL-10 producing 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를 높은 효율로 유도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새로운 면역조절 세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DBA1J 마우스의 CD4+ T세포에서, TGF-β 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1번),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를 함께 처리한 경우 (2번), 및 덱사메타손 및 비타민 D3를 처리한 경우, 각각 항염증 사이토카인 IL-10의 생성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DBA1J 마우스의 CD4+ T세포에서, TGF-β 를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1번),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를 함께 처리하거나(2번), 덱사메타손 및 비타민 D3를 처리함으로써(3번) 분화가 유도된 조절 T 세포를 각각 24, 48, 72시간 배양하여 생성되는 IL-10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IL -10 생성 조절 T 세포로의 분화 유도
DBA1J의 비장세포에서 5×105개의 CD4+ T세포를 분리하고, 1μg/mL 농도의 anti-CD3 350ul로 24-웰 플레이트에 코팅한 다음, 항-CD28 항체(BioLegend, 원바이오) 1μg/mL, 항-IFN γ항체(R&D, 웅비메디텍) 5μg/mL, 항-IL-4 항체(R&D, 웅비메디텍) 5μg/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SigmaAldrich, 시그마알드리치코리아) 5x10-8M, 비타민 D3(SigmaAldrich, 시그마알드리치코리아) 10-7M, 및 TGF-β(Peprotech, 페프로텍코리아) 5ng/mL을 처리한 후 2일 동안 배양하여 IL-10 생성 조절 T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DBA1J 마우스는 다른 마우스 계통에 비해 조절 T세포를 유도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면역억제 기능을 가진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중에서, 기존에 Foxp3를 발현하는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TGF-β 처리 조건(1번 조건) 및 IL-10 생성 조절 T 세포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덱사메타손 및 비타민 D3 처리 조건 (3번 조건)과 비교하여, 본 발명과 같이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TGF-β 를 함께 처리 했을 경우(2번 조건) 항 염증 사이토카인 IL-10의 생성이 다른 조건에 비해 상승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표 1 및 도 1 참조).
자극제

마우스

항- CD28 항체

항- IFN -γ항체

항- IL -4 항체

TGF
덱사메타손
+ 비타민 D 3
1
DBA1J
O O O O -
2 O O O O O
3 O O O - O
실시예 2. IL -10 사이토카인 측정 ( ELISA )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TGF-β 의 처리에 따른 조절 T 세포의 분화조건에서 IL-10 의 생성 정도를 sandwich ELISA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단일클론성 항IL-10항체(R&D, 웅비메디텍) 4μg/mL 으로 4℃에서 밤새 반응시키며, 반응 후 차단용액 (1% BSA/PBST)으로 비 특이적 결합을 차단하였다. IL-10 recombinant (R&D, 웅비메디텍)를 1/2씩 연속 희석하여 standard 로 사용하였으며, 세포배양 상층액을 넣고 실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biotinylated anti-IL-10를 넣어 2시간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으며, 반응 후 4회 세척한 후, ExtraAvidin-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를 희석하여 넣고 실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PNPP/DEA 용액을 넣고 발색하였으며, 발색 후 405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1번, 2번, 3번의 조건대로 생성한 각각의 조절 T 세포를 24, 48, 72시간 배양하여 생성되는 IL-10의 양을 확인한 결과, 2번 조건에서 생성되는 IL-10의 양이 매우 높음을 관찰하였으며, 특히 72시간이 지나면 10000pg/ml 정도의 상당히 높은 농도의 IL-10이 생성되었다(도 2).

Claims (6)

  1. 덱사메타손, 비타민 D3, 및 종양세포 증식인자 베타(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를 포함하는, 미분화 T 세포로부터 IL-10 생성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사메타손의 농도는 10-8 내지 10-9M 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D3의 농도는 10-6 내지 10-8M 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GF-β의 농도는 4 내지 6 ng/mL 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항-CD28 항체, 항- IFN γ항체 및 항-IL-4 항체로 이루어진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6. 생체 외에서 미분화 T세포에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L-10 생성 조절 T 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
KR1020130073185A 2013-06-25 2013-06-25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KR10151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185A KR101518370B1 (ko) 2013-06-25 2013-06-25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185A KR101518370B1 (ko) 2013-06-25 2013-06-25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17A true KR20150000717A (ko) 2015-01-05
KR101518370B1 KR101518370B1 (ko) 2015-05-07

Family

ID=5247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185A KR101518370B1 (ko) 2013-06-25 2013-06-25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117A (ja) 2015-03-05 2018-05-24 オークランド ユニサービシズ リミテッドAuckland Uniservices Limited 眼科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0146B2 (en) * 2000-10-04 2003-12-30 Schering Corporation Regulatory T cells; methods
EP2593114B1 (en) * 2010-07-02 2018-01-10 Mesoblast, Inc. Cells expressing stro-1 bright for treating graft versus host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370B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ello et al. Immunosenescence and its hallmarks: how to oppose aging strategically? A review of potential op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Piccinni et al. Cytokines, hormones and cellular regulatory mechanisms favoring successful reproduction
Blanco et al. Dendritic cells and cytokines in human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s
Ariza et al. Targeting IL-17 in psoriasis: from cutaneous immunobiology to clinical application
Wang et al. Tim-3-Galectin-9 pathway involves the suppression induced by CD4+ CD25+ regulatory T cells
Druckmann et al. Progesterone and the immunology of pregnancy
Li et al. Functions of Vγ4 T cells and dendritic epidermal T cells on skin wound healing
Snapper et al.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is required for secretion of IgG of all subclasses by LPS-activated murine B cells in vitro.
Goto et al. Murine NKT cells produce Th17 cytokine interleukin-22
Wu et al. JAK1-STAT3 blockade by JAK inhibitor SHR0302 attenuates inflammatory responses of adjuvant-induced arthritis rats and decreases Th17 and total B cells
Ziblat et al. Interleukin (IL)-23 stimulates IFN-γ secretion by CD56bright natural killer cells and enhances IL-18-driven dendritic cells activation
Henry et al. Type 2 cytokine responses: regulating immunity to helminth parasites and allergic inflammation
KR101656104B1 (ko) Pias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akatori et al. New complexities in helper T cell fate determin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autoimmune diseases
Rangel-Santos et al. Immunosuppresive role of principal toxin (crotoxin) of Crotalus durissus terrificus venom
Stanbery et al. TSLP, IL-33, and IL-25: Not just for allergy and helminth infection
Kusters et al. Cytokines and immune responses in murine atherosclerosis
Ogawa et al. A dual role of activin A in regulating immunoglobulin production of B cells
Goriely et al. The interleukin-12 family: new players in transplantation immunity?
Zaghi et al. Innate immune responses in the outcome of haploidentical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o cure hematologic malignancies
Chen et al. Human Vγ9Vδ2-T cells synergize CD4+ T follicular helper cells to produce influenza virus-specific antibody
KR101518370B1 (ko) Il-10 생성 조절 t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Candore et al. The effect of age on mitogen responsive T cell precursors in human beings is completely restored by interleukin-2
Wang et al. Th17 cells and IL-17A in ischemic stroke
Deryckx et al. Immunoregulatory functions of paf-acether. VIII. Inhibition of IL-4-induced human IgE synthesis in vi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