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626A -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 Google Patents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626A
KR20150000626A KR20130072951A KR20130072951A KR20150000626A KR 20150000626 A KR20150000626 A KR 20150000626A KR 20130072951 A KR20130072951 A KR 20130072951A KR 20130072951 A KR20130072951 A KR 20130072951A KR 20150000626 A KR20150000626 A KR 2015000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ing
user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숙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2013007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626A/ko
Publication of KR2015000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를 공유하는 서버는,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콘텐츠의 캡쳐 화면 및 상기 콘텐츠의 세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부,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링크 정보, 상기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자동 실행된다.

Description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ERVER FOR SHARING CONTENTS}
본 발명은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특정 콘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하는 방법 및 그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과거 TV는 단방향 서비스만을 제공하였던 것에 비해, 최근에 디지털 방송 표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다채널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네트워크 처리 용량의 증가로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셋탑 박스 또는 TV 자체 성능의 향상 및 네트워크 대역폭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과거부터 제공되던 라이브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다양한 주문형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실시간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 이외에도, 게임, 쇼핑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TV와 휴대 단말과의 연결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TV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 정보(상품 정보, 주인공 관련 정보 등)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TV 및 휴대 단말의 연결을 통한 서비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만 할 뿐, TV와 휴대 단말기간 상호 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 행위 없이도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를 TV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으나, 종래의 미러링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고 있는 영상을 단순히 TV를 통해 출력하기만 할 뿐, 이와 연관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변 단말기와 페어링(pairing)되어 콘텐츠를 미러링(mirroring)하는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미러링된 특정 콘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특정 콘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함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및 미러링된 상태에서 공유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공유하는 서버는,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콘텐츠의 캡쳐 화면 및 상기 콘텐츠의 세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부,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링크 정보, 상기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스크립트(script)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자동 실행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콘텐츠 식별부는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콘텐츠 중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의 페어링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페어링 인증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페어링 및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페어링을 위한 인증 요청이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미러링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미러링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미러링하는 콘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하는 방법은 (a)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콘텐츠의 캡쳐 화면 및 상기 콘텐츠의 세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b)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링크 정보, 상기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의 설정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스크립트(script)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자동 실행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페어링 및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페어링을 위한 인증 요청이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미러링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콘텐츠 중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휴대 단말기가 특정 콘텐츠를 제 2 휴대 단말기와 공유하는 방법은 (a) 현재 출력중인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공유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고,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d) 상기 캡쳐된 화면과 상기 입력된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입력된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더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속성 정보 및 태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의 세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추출된 세부 정보를 더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하나 이상 입력하는 입력란,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입력란 및 상기 특정 콘텐츠가 유료인 경우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결제 정보 입력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 상기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및 상기 특정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서비스 서버, 상기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가, 제 1 휴대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된 특정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은 (a)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공유 요청에 따라 전송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 방송 수신 단말기와의 페어링(pairing) 여부 및 미러링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상기 페어링 및 상기 미러링 설정이 확인되면,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특정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페어링 된 방송 수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콘텐츠를 미러링(mirror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콘텐츠의 세부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및 상기 특정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b-1) 특정 서버로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요청하고,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와 페어링되지 않은 경우 (b-2) 상기 특정 서버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간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간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b-3)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와 미러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특정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미러링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pairing)되어 콘텐츠를 미러링(mirroring)하는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미러링된 특정 콘텐츠를 제 2 사용자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 및 미러링된 상태에서 특정 콘텐츠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료 콘텐츠를 공유 시, 콘텐츠 결제 금액에 대하여 일정 비율의 할인을 적용함으로써 콘텐츠 소비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휴대 단말기(11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시스템(100)은 제 1 사용자 단말기(110, 120), 서비스 제공 서버(13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 120, 140, 150)는 휴대 단말기(110, 140)와 방송 수신 단말기(120, 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 1 사용자 단말기(110, 120)를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로, 제 2 사용자 단말기(140, 150)를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로 각각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애플리케이션 설치 요청을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와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은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기와 방송 수신 단말기에 한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와의 페어링을 요청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페어링을 위한 인증을 수행 받을 수 있다.
페어링을 위한 인증의 예로서,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와 연결된 TV 화면에 인증을 위한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이하 'OTP'라 칭함)가 표시되면,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해당 OTP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을 위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페어링을 위한 인증의 예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인증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표시되는 특정 콘텐츠의 스크린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로 전송하는 미러링(mirror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미러링되어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입력되면, 현재 출력중인 화면을 캡쳐하고,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유 요청 입력'은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 중 공유하기 원하는 일부분, 즉,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해당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인 하나 이상의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예를 들어, "이 영상 한번 보세요, ㅇㅇ님의 진로 결정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 등)를 입력할 수 있는 메시지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요청된 콘텐츠가 유료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해당 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결제 정보 입력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후술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결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공유 요청된 콘텐츠의 캡쳐된 화면(이하, '캡쳐 화면'이라 칭함),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공유 요청된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공유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장르, 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뮤직 비디오등) 및 태그 정보(제목, 방송일(개봉일), 제작진, 등장 인물, 배경 장소, URL 주소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세부 정보를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콘텐츠가 제 1 휴대 단말기(110)의 저장소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인 경우,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해당 파일의 속성 정보나 태그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동영상의 제목을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콘텐츠가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영상인 경우,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해당 영상의 URL 주소를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이 입력된 경우,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입력된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미러링 되어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입력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출력중인 화면을 캡쳐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고,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 또는 제 2 휴대 단말기(140)로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는 TV에 내장된 셋탑 박스, TV와 연결된 셋탑 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참고로,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는 제 1 휴대 단말기(110)의 페어링 요청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페어링 인증을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OTP를 수신하여 TV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TV 화면에 표시된 OTP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을 위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페어링을 위한 인증의 예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인증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는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제 1 휴대 단말기(110)의 스크린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수신함으로써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는 제 1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콘텐츠 공유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휴대 단말기(110, 140)와 방송 수신 단말기(120, 150)간 페어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인증된 휴대 단말기 및 방송 수신 단말기에 한해서 페어링이 이루어지도록 페어링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와의 페어링 요청이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OTP를 생성하여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로 전송하고, 이후 제 1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의 페어링을 위한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참고로, 페어링을 위한 인증의 예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인증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제 1 휴대 단말기(110) 또는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캡쳐 화면과 콘텐츠의 세부 정보에 근거하여,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참고로, 콘텐츠의 특정 부분만이 공유 요청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식별된 콘텐츠 중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이하, '공유 부분 정보'라 칭함)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공유 요청된 콘텐츠가 식별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가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링크 정보, 해당 콘텐츠의 세부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및 해당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 2 휴대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는 공유 요청된 콘텐츠가 유료이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 "본 콘텐츠는 유료이며, 공유 요청자가 결제를 완료하셨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공유 요청된 콘텐츠가 유료이고 결제가 미완료된 경우, "본 콘텐츠는 유료이므로 결제가 필요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공유 부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공유 부분 정보를 링크 정보에 포함시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여부,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의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스크립트(script)(이하, '스크립트'라 칭함)를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시켜 제 2 휴대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스크립트는 제 2 휴대 단말기(140)에서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미설치된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가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립트는 제 2 휴대 단말기(140)에서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간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페어링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스크립트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제 2 휴대 단말기(140)가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의 페어링 인증을 요청하도록 하고, 페어링이 완료되면 미러링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미러링 설정'은 추후에 미러링이 수행되기 위한 환경 설정 등의 절차를 미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동일하게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 페어링(pairing)될 수 있으며, 페어링된 상태에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의 페어링 방법은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의 페어링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공유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링크 정보, 해당 콘텐츠의 세부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해당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및 스크립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는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실행될 수 있다.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가 선택되어 상기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미 설치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페어링된 상태가 아니거나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시켜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표시하고, 해당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표시된 콘텐츠에 대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링크 정보에 '공유 부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제 1 휴대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설정한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제 1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콘텐츠 공유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는 TV에 내장된 셋탑 박스, TV와 연결된 셋탑 박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가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페어링되는 방법은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의 페어링 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는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스크린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수신함으로써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페어링 인증부(131), 콘텐츠 식별부(132), 콘텐츠 공유 메시지 생성부(133), 콘텐츠 공유 메시지 전송부(134), 결제 수행부(135)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페어링 인증부(131)는 사용자 단말기(110, 140)와 방송 수신 단말기(120, 150)간의 페어링을 위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 140)로부터 방송 수신 단말기(120, 150)와의 페어링 요청이 수신되면, 페어링 인증부(131)는 OTP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 단말기(120, 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10, 140)로부터 패스워드가 수신되면, 페어링 인증부(131)는 수신된 패스워드와 상기 생성된 OTP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 140)와 방송 수신 단말기(120, 150)로 페어링 성공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페어링을 위한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식별부(132)는 제 1 휴대 단말기(110) 또는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캡쳐 화면과 콘텐츠의 세부 정보에 근거하여,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식별부(132)는 각 콘텐츠의 다양한 이미지와 세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와 연동되어,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캡쳐 화면과 콘텐츠에 대한 세부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참고로, 콘텐츠 식별부(132)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공유 부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공유 메시지 생성부(133)는 콘텐츠 식별부(132)로부터 식별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링크 정보와 해당 콘텐츠의 세부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해당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및 스크립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콘텐츠 공유 메시지 생성부(133)는 콘텐츠 식별부(132)로부터 공유 부분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생성된 공유 부분 정보를 링크 정보에 포함시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공유 메시지 전송부(134)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제 2 휴대 단말기(140)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결제 수행부(135)는 제 1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결제 정보에 근거하여 카드사 서버(미도시), 은행 서버(미도시) 또는 결제 대행사 서버(미도시)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제공부(136)는 사용자 단말기(110, 14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10, 1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서비스 제공 서버(130)를 중심으로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제 1 휴대 단말기(110)와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는 페어링 및 미러링된 상태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제 1 휴대 단말기(110) 또는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수신한다(S301).
참고로, 콘텐츠 공유 요청은 캡쳐 화면, 하나 이상의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공유 요청된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 및 공유 요청된 콘텐츠의 세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301 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캡쳐 화면과 콘텐츠의 세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식별한다(S302).
참고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공유 부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302 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S302에서 식별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링크 정보와 해당 콘텐츠의 세부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해당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및 스크립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한다(S303).
참고로,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공유 부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링크 정보에 공유 부분 정보를 포함시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S303 후,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제 2 휴대 단말기(140)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전송한다(S304).
S304 후, 제 2 휴대 단말기(14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제 2 휴대 단말기(140)로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제 2 휴대 단말기(14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S305).
만일 S304 후, 제 2 휴대 단말기(140)로부터 제 2방송 수신 단말기(150)와의 페어링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전술한 페어링 과정을 통해서 제 2 휴대 단말기(140)와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간의 페어링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S306).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4의 콘텐츠 공유 과정은 제 1 휴대 단말기(1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제 1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120)와 페어링 및 미러링된 상태이다.
이하, 제 1 휴대 단말기(110)를 중심으로 도 4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미러링되어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S401).
참고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 중 공유하기 원하는 일부분, 즉,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S401 후,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현재 출력중인 화면을 캡쳐하고,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터페이스를 표시한다(S402).
참고로, S402에서 표시된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입력란 및 공유 요청된 콘텐츠가 유료인 경우 해당 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 정보 입력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S403 이전에 결제 요청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S402 후,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S401에서 캡쳐된 화면, 공유 요청된 콘텐츠의 세부 정보, 하나 이상의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공유 요청된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S403).
참고로, S401에서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이 입력된 경우,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입력된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시켜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5a 및 도 5b의 콘텐츠 공유 과정은 제 2 휴대 단말기(14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제 2 사용자 단말기 (140)를 중심으로 도 5a 및 도 5b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한다(S501).
참고로, 콘텐츠 공유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링크 정보와 해당 콘텐츠의 세부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해당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및 스크립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S501 후,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스크립트를 실행시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S502).
S502의 확인 결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S503).
S503의 확인 결과,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 페어링 및 미러링이 설정된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표시하고, 해당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 콘텐츠를 요청한다(S504).
참고로, 링크 정보에 '공유 부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S504 후,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표시된 콘텐츠에 대한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S505).
참고로, S504에서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요청한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S502의 확인 결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애플리케이션 설치 요청을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한 후, S503을 수행한다(S506).
S503의 확인 결과,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 페어링된 상태가 아니거나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페어링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방법으로 페어링을 위한 인증이 완료되어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 페어링되면, 미러링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미러링 설정을 완료하고 S504를 수행한다(507).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휴대 단말기(11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미러링되어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제 1 휴대 단말기(110)는 현재 출력중인 화면을 캡쳐하고,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60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를 공유할 대상인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이동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610),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입력란(620) 및 유료 콘텐츠를 결제하기 위한 결제 정보 입력란(63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콘텐츠 공유 요청 버튼(650)을 선택하기 전, 결제 요청 버튼(640)이 선택되어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가 선행될 수 있으며, 유료 콘텐츠를 공유 시 결제 금액이 일정 비율로 할인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휴대 단말기(14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휴대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공유가 요청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콘텐츠 공유 메시지(700)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공유 메시지(700)는 공유 요청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링크 정보(710)와 해당 콘텐츠의 세부 정보(720),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730) 및 해당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링크 정보(710)가 선택되면, 제 2 휴대 단말기(140)는 스크립트를 실행시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150)와의 페어링 여부 및 미러링을 위한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이후의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작은 화면을 통해 재생되는 특정 콘텐츠를 TV로 미러링하여 시청하던 중, 지인과 해당 콘텐츠를 공유하기 원하는 경우, 본 발명은 지인의 휴대 단말기로 해당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인 역시 휴대 단말기의 작은 화면이 아닌 미러링된 TV를 통해 해당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콘텐츠 공유 시스템
110 : 제 1 휴대 단말기
120 :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
130 : 서비스 제공 서버
131 : 페어링 인증부
132 : 콘텐츠 식별부
133 : 콘텐츠 공유 메시지 생성부
134 : 콘텐츠 공유 메시지 전송부
135 : 결제 수행부
136 :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140 : 제 2 휴대 단말기
150 : 제 2 방송 수신 단말기

Claims (18)

  1. 콘텐츠를 공유하는 서버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콘텐츠의 캡쳐 화면 및 상기 콘텐츠의 세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식별부;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링크 정보, 상기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 설정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스크립트(script)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자동 실행되는,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부는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콘텐츠 중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부;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의 페어링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페어링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페어링 인증부;
    를 더 포함하는,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페어링 및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페어링을 위한 인증 요청이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미러링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미러링하는 것인, 서버.
  6. 서버가,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콘텐츠의 캡쳐 화면 및 상기 콘텐츠의 세부 정보 중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를 식별하는 단계;
    (b)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링크 정보, 상기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 주변 사용자 단말기와의 페어링 및 미러링의 설정 여부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스크립트(script)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성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립트는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자동 실행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페어링 및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페어링을 위한 인증 요청이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미러링의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콘텐츠 중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공유할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8. 제 1 휴대 단말기가 특정 콘텐츠를 제 2 휴대 단말기와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현재 출력중인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공유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공유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출력 중인 특정 콘텐츠의 화면을 캡쳐하고, 콘텐츠 공유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d) 상기 캡쳐된 화면과 상기 입력된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입력된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더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속성 정보 및 태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콘텐츠의 세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추출된 세부 정보를 더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하나 이상 입력하는 입력란,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입력란 및 상기 특정 콘텐츠가 유료인 경우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결제 정보 입력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의 정보, 상기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및 상기 특정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시켜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전송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콘텐츠 공유 요청을 서비스 서버, 상기 제 1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제 2 휴대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 2 휴대 단말기가, 제 1 휴대 단말기로부터 공유 요청된 특정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공유 요청에 따라 전송된 콘텐츠 공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 방송 수신 단말기와의 페어링(pairing) 여부 및 미러링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단계;
    (c)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상기 페어링 및 상기 미러링 설정이 확인되면,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특정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상기 페어링 된 방송 수신 단말기와 상기 특정 콘텐츠를 미러링(mirror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콘텐츠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콘텐츠의 세부 정보, 공유 요청자의 메시지 및 상기 특정 콘텐츠의 유료 여부와 결제 완료 여부에 따른 결제 관련 안내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b-1) 특정 서버로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요청하고,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와 페어링되지 않은 경우,
    (b-2) 상기 특정 서버로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간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간 미러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b-3)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와 미러링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특정 콘텐츠의 공유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미러링하는, 콘텐츠 공유 방법.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130072951A 2013-06-25 2013-06-25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KR20150000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951A KR20150000626A (ko) 2013-06-25 2013-06-25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951A KR20150000626A (ko) 2013-06-25 2013-06-25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26A true KR20150000626A (ko) 2015-01-05

Family

ID=5247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2951A KR20150000626A (ko) 2013-06-25 2013-06-25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6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99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daption
JP5905392B2 (ja) オンライ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による自動メディア資産アップデート
US87761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protocols
US9681089B2 (en) Method for capturing content provided on TV screen and connecting contents with social service by using seco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KR101852893B1 (ko) 정보 푸시 방법, 기기, 및 시스템
US9736541B1 (en) Pairing a set-top box and personal computing device using a visual code
US1110712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US9942594B2 (en) Mobile virtual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service
KR20130009745A (ko) 인터넷 상에서 컨텐츠를 공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805207B1 (en) Sharing TV content with friends
US9038102B1 (en) Cable television system with integrated social streaming
US11663825B2 (en) Addressable image object
CN104363509B (zh) 一种视频转换方法、装置、播放系统及终端
KR20150072209A (ko) 멀티스크린 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수신방법 및 그 시스템
US86215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scription data
KR20140123523A (ko) 인터넷 액세스에 의해 또는 인터넷 액세스 없이 디지털 tv 수신기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포터블 장치로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WO2016184288A1 (zh) 一种广告投放方法、装置及系统
KR101335506B1 (ko) 메신저 서비스 연동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5163138B (zh) 视频网关ca认证方法及系统
KR101561586B1 (ko) 이중 인증을 통한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00626A (ko)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WO2017197817A1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服务器
KR101294147B1 (ko) 타 서비스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96774B1 (ko)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서버
KR20130078033A (ko) 인기 어플리케이션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