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320A - 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 Google Patents

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320A
KR20150000320A KR1020130072627A KR20130072627A KR20150000320A KR 20150000320 A KR20150000320 A KR 20150000320A KR 1020130072627 A KR1020130072627 A KR 1020130072627A KR 20130072627 A KR20130072627 A KR 20130072627A KR 20150000320 A KR20150000320 A KR 2015000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ortions
thickness
width direc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6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1960B1 (en
Inventor
오영석
손정호
이종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960B1/en
Publication of KR2015000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21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2200/00Manufacturing
    • F02F2200/06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structure of an engine block. The wall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comprises: a liner protection part (10) formed on the top en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outer part of a cylinder liner; a body part (20) extended downwards from the liner protection part (10), and has an open bottom center portion penetrated in an axial direction to protect the outer part of a crank; and a pair of leg parts (30)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part (20) to the bottom surface, supporting an engine structure including the surrounding devices such as the crank. A plurality of sections are set from the top end of the body part (20) to the bottom end of the leg parts (30) at certain intervals. The thicknesses of the walls according to each s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service life of the engine block and reduces the material costs by securing enough strength in contrast to a rise in explosive pressure in a combustion chamber, and obtains a lightweight wall in accordance to an optimal wall design; thereby enhancing competition.

Description

엔진블록의 격벽구조{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

본 발명은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와, 크랭크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몸통부 및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통부에서 다리부까지 그 상하단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그 폭 방향을 따르는 격벽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격벽의 최적화 설계에 따라 연소실의 폭발압 상승 대비 충분한 강도 확보 및 소경량의 격벽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엔진블록의 수명 연장 및 재료비 절감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r protecting portion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cylinder liner, and an engine structure including peripheral parts such as a crankcase and a body for protecting and enclosing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rank. A plurality of intervals are set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body to the legs, and the thicknesses of the parti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sufficient strength compared to the explosion pressure ris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o obtain a small and lightweight partition wall according to the optimization design of the partition wall basically so a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prolonging the life of the engine block and reducing the material cost To the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일반적으로 엔진블록은 복수의 실린더가 장착 지지되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말한다.Generally, an engine block refers to a fram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s are mounted and supported.

이러한 엔진블록은 복수의 실린더를 장착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르는 장축방향으로 복수개의 실린더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도록 하는 일체형 주물 구조물로 되어 있다.Such an engine block is a monolithic cast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mounting a plurality of cylinders.

이와 같은, 주물 구조의 엔진블록은 각각의 실린더를 주물 형틀에 배치하여 실리더와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주물 방식으로 제작되며, 여기서 실린더와 크랭크 등을 포함한 주변 장치들을 감싸는 벽체 부분을 격벽이라 한다. The engine block of such a cast structure is manufactured in a casting system in which each cylinder is arranged in a casting mold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ylinder, wherein the wall portion surrounding the cylinder and peripheral devices including the crank is called a bulkhead.

일례로 종래 기술의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전체 엔진블록 형상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 부분만을 감싸는 엔진블록의 일부를 절개하여 된 부분 격벽구조로서, 그 상단에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와, 상기 라이너보호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크랭크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하단 중앙이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개방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양측에서 각각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art, a partition wall structure of an engine block includes a partial partition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an engine block that covers only one cylinder portion is cut out in an entire engine block shape,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ylinder liner is wrapped A body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iner protect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rank through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ank body, And a pair of legs supporting the entire engine structure including the peripheral devic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는 각각의 몸통부 및 다리부 별로 구간을 구획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하는 최적화 설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소실 폭발압의 상승에 따라 격벽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엔진블록의 크기의 비대화 및 질량 증가의 문제점으로 이어지게 된다.However, since the partition structure of such prior art engine blocks has not been designed optimally to divide the sections of each body and leg into different thicknesses,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becomes thicker as the explosion press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creases Resulting in a problem of enlarging the size of the engine block and increasing the mass.

또한, 격벽의 각 요소에 대한 적절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서 연소실 폭발압에 따른 충격 등에 의해 파손의 우려도 있었다.
In addition, proper strength reinforcement for each element of the partition is not made, and there is a fear of damage due to impact due to the explosion press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37521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8-03752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와, 크랭크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몸통부 및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통부에서 다리부까지 그 상하단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그 폭 방향을 따르는 격벽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격벽의 최적화 설계에 따라 연소실의 폭발압 상승 대비 충분한 강도 확보 및 소경량의 격벽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엔진블록의 수명 연장 및 재료비 절감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ner protect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liner protecting portion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cylinder liner, a body portion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rank, A plurality of sec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thicknesses of the parti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It is possible to obtain sufficient strength compared to the explosion pressure rise of the combustion chamber according to the optimization design of the partition wall and to obtain a small and lightweight partition wall as a result of which the engine block is designed to increase the life span of the engine block and reduce the material cos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는 상단에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 상기 라이너보호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크랭크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하단 중앙이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개방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양측에서 각각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서 다리부까지 그 상하단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그 폭 방향을 따르는 격벽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n engine block comprising: a liner protector for covering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cylinder liner; A body extending downwardly of the liner protecting portion and having a lower center opening through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rank; And a pair of le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and supporting the entire engine structure including the crank and the like peripheral device. In the structure of the bulkhead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A plurality of intervals are set at regular intervals over the entire upper and lower ends, and thicknesses of the barrier rib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of the secti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에서 다리부 방향을 따라 제1구간에서 제5구간까지 구획된 것일 수 있다.Further, in the partition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ctions may be divided from the first section to the fifth section along the leg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간 간의 상하 간격은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것일 수 있다.Further, in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of the engine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s between the section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상기 몸통부 상단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 및 각각의 중후부들을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Further, in the partition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tion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section, and both end part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become the large- , And the adjacent por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and rear portions is a pair of middle and rear portions having a median thickness,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the rear and rear portions and the respective rear portions is the thinnest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단 대후부 중 어느 하나의 대후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Further, in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of the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one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opposite end portion so as to penetrate the same along the ax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의 하방인 상기 몸통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그 중 어느 하나의 중후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을 갖는 중공중후부가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 및 각각의 중후부들을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second section may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below the first section and may have a thickness that is the largest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And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and rear portions are a pair of rear and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one of the rear and rear portions is a hollow hollow portion having a hollow portion ,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d each of the rear portions is the thinnest portion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공중후부와 연결되는 상기 대후부에 상기 중공중후부의 중공과 직교되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 및 상기 중공과 일직선상으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Further, in the partition structure of an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hollow rear portion of the hollow rear portion in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llow rear hollow portion,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in a straight lin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3구간은, 상기 제2구간의 하방인 상기 몸통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는 양단의 대후부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다단중후부가 되며, 상기 폭 방향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관통중후부가 되고,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및 각각의 중후부 사이를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third section may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below the second section and may have a thickness that is the largest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And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and rear portions are a pair of rear and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each of the front and rear portions has a multi-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and the respective middle and rear portions has the thinnest thicknes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4구간은, 상기 제3구간의 하방인 상기 다리부의 상단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는 양단의 대후부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동시에 그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다단관통중후부가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를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Further, in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of the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ection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upper end width direction of the leg section below the third section, And the adjoin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and rear portions are a pair of rear and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rear and rear portions has a multi-step thickness At the same time, a multi-stage through-hole having a through-hole penetrating up and down at one side thereof, and the remain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back-to-back and the middle and the backside may be composed of a backsheet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5구간은, 상기 제4구간의 하방인 상기 다리부의 중앙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는 양단의 대후부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다단중후부가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를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Further, in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of the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sec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center width direction of the leg section below the fourth section,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thickest And the adjoin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and rear portions are a pair of rear and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rear and rear portions has a multi-step thickness And the remain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and the rear portions may be formed of a back portion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는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와, 크랭크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몸통부 및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통부에서 다리부까지 그 상하단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그 폭 방향을 따르는 격벽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격벽의 최적화 설계에 따라 연소실의 폭발압 상승 대비 충분한 강도 확보 및 소경량의 격벽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엔진블록의 수명 연장 및 재료비 절감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r protecting portion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er liner, a body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rank, and a crank A plurality of sectio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ver the entir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from the body section to the leg section so that the thicknesses of the parti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optimization design of the partition wall,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against the rise of the explosion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o obtain small and lightweight partition walls. As a result, the life of the engine block can be prolong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E-E선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artition of an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opposite direction of FIG.
3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artition of an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는 상단에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10)와, 상기 라이너보호부(10)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크랭크(미도시)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하단 중앙이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개방된 몸통부(20) 및 상기 몸통부(20)의 양측에서 각각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20)에서 다리부(30)까지 그 상하단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그 폭 방향을 따르는 격벽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1 to 8, a partition structure of an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r protecting portion 10 that cover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cylinder liner and protect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ylinder liner, A body 20 extending downward and opened at its lower center through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rank (not shown), and a body 20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dy 20 to the floor, And a pair of legs 30 supporting the whole of the engine structure including the peripheral device. A plurality of intervals are set at predetermined intervals over the entir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20 to the legs 30 And the thicknesses of the barrier ribs along the width direction ar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ach of the sections.

여기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에서 다리부 방향을 따라 제1구간(40)에서 제5구간(80)까지 구획되고, 상기 각각의 구간 간의 상하 간격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Here, 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divided from the first section 40 to the fifth section 80 along the leg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section,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sections ar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상기 제1구간(40)은, 상기 몸통부(20) 상단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41)로 되고, 상기 대후부(41)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42)로 되며, 상기 대후부(41)와 중후부(42) 사이 및 각각의 중후부(42)들을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43)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section 40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section 20 and has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20 as the largest thickness 41, The adjacent por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comes a pair of middle and rear portions 42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a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end portion 41 and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42 and the respective middle and rear portions 42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smallest back wall 43 has the thinnest thickness.

여기서, 상기 양단 대후부(41) 중 어느 하나의 대후부(41)에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41a)이 마련되어 있다.In this case, one of the opposite ends 41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4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1a passing through in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구간(50)은, 상기 제1구간(40)의 하방인 상기 몸통부(2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51)로 되고, 상기 대후부(51)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52,53)로 되되, 그 중 어느 하나의 중후부(53)는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53a)을 갖는 중공중후부(53)가 되며, 상기 대후부(51)와 중후부(52) 사이 및 각각의 중후부(52,53)들을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54)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section 50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20 below the first section 40 and has opposite ends 51 having the largest thicknes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 And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s (51) are formed as a pair of middle and rear portions (52, 53)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one of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53) And a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end portion 51 and the rear end portion 52 and between the rear end portions 52 and 53,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composed of a small rear portion 54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여기서, 상기 중공중후부(53)와 연결되는 상기 대후부(51)에는 상기 중공중후부(53)의 중공(53a)과 직교되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51a) 및 상기 중공(53a)과 일직선상으로 연통되는 관통공(51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51a penetrating the hollow rear portion 53 along the axi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ollow 53a of the hollow rear portion 53 and the hollow 53a And a through hole 51b communicating in a straight line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3구간(60)은, 상기 제2구간(50)의 하방인 상기 몸통부(2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61)로 되고, 상기 대후부(61)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62)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62)는 양단의 대후부(61)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다단중후부(62)가 되며, 상기 폭 방향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63a)을 갖는 관통중후부(63)가 되고, 상기 대후부(61)와 중후부(62) 및 각각의 중후부(62) 사이를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64)로 이루어져 있다.The third section 60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20 below the second section 50 and has opposite ends 61 having the thickest thicknes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s 61 are formed as a pair of middle portions 62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each of the middle portions 62 extends toward the rear ends 61 (63) having a through hole (63a) vertically penetrating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61) of the rear end portion (61)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middle portion 62 and each of the middle portions 62 is the thinnest portion 64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그리고, 상기 제4구간(70)은, 상기 제3구간(60)의 하방인 상기 다리부(30)의 상단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71)로 되고, 상기 대후부(71)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72)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72)는 양단의 대후부(71)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동시에 그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72a)을 갖는 다단관통중후부(72)가 되며, 상기 대후부(71)와 중후부(72) 사이를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73)로 이루어져 있다. The fourth section 70 extends along the upper end width direction of the leg section 30 below the third section 60 and has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section 71 And the adjoin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s 71 constitute a pair of the rear portions 72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each of the rear portions 72 has a rear portion 71 at both ends (72) having a through-hole (72a) penetrating vertically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multi-stepped thickness with its thickness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front and rear ends (71, 72) And the remaining portion to be connected is composed of a small rear portion 73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그리고, 상기 제5구간(80)은, 상기 제4구간(70)의 하방인 상기 다리부(30)의 중앙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81)로 되고, 상기 대후부(81)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82)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82)는 양단의 대후부(81)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다단중후부(82)가 되며, 상기 대후부(81)와 중후부(82) 사이를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83)로 이루어져 있다.The fifth section 80 extends along the center width direction of the leg section 30 below the fourth section 70 and has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section 81 And the adjoin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s 81 constitute a pair of rear portions 82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each of the rear portions 82 has a rear portion 81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remain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end portion 81 and the rear end portion 82 is the smallest rear end portion 83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consist of.

한편, 상기 제3구간(60) 내지 제5구간(80)의 다단중후부(62,82) 및 다단관통중후부(72)의 제일 얇은 부분이 상기 제1구간(40) 및 제2구간(50)의 중후부(42,52) 두께와 비슷한 두께를 가지며, 양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는 상기 중후부(42,5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The most thin portions of the rear end portions 62 and 82 and the downstream end portion of the multi-step penetrating rear portion 72 of the third section 60 to the fifth section 80 are connected to the first section 40 and the second section 50 having a thickness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42, 52,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42, 52 toward both ends thereof.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는 상기와 같은 각각의 구간 별 두께를 갖도록 주물 형틀의 최적화 설계를 하여 상기 엔진블록 제작시 복수의 실린더를 배치한 후 그 외주부로 일체형 주물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최적화된 격벽을 얻을 수 있게 된다. The partition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having such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optimize the shape of the casting mold so as to have the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sections as described above, so that a plurality of cylinders are dispos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engine block, So that the above-mentioned optimized barrier ribs can be obtained.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블록의 격벽구조는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와, 크랭크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몸통부 및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특히 상기 몸통부에서 다리부까지 그 상하단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그 폭 방향을 따르는 격벽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격벽의 최적화 설계에 따라 연소실의 폭발압 상승 대비 충분한 강도 확보 및 소경량의 격벽을 얻을 수 있게 되면서 그 결과 엔진블록의 수명 연장 및 재료비 절감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structure of the engin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er protecting portion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er liner, a body portion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rank, and an entire engine structure includ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crank A plurality of sec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body to the legs at all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the thicknesses of the parti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spective sections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sufficient strength compared to the explosion pressure rise of the combustion chamber according to the optimization design of the partition basically and to obtain a small and lightweight partition wal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by extending the life of the engine block and reducing the material cost. It will b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of th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chang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라이너보호부 20 : 몸통부
30 : 다리부 40 : 제1구간
41 : 대후부 41a : 관통공
42 : 중후부 43 : 소후부
50 : 제2구간 51 : 대후부
51a : 관통공 51b : 관통공
52 : 중후부 53 : 중공중후부
53a : 중공 54 : 소후부
60 : 제3구간 61 : 대후부
62 : (다단)중후부 63 : 관통중후부
63a : 관통공 64 : 소후부
70 : 제4구간 71 : 대후부
72 : (다단관통)중후부 72a : 관통공
73 : 소후부 80 : 제5구간
81 : 대후부 82 : (다단)중후부
83 : 소후부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 liner protecting part 20: body part
30: leg portion 40: first section
41: large rear portion 41a: through hole
42: Heavy rear part 43: Small rear part
50: second section 51:
51a: Through hole 51b: Through hole
52: Heavy portion 53: Heavy rear portion
53a: hollow 54:
60: third section 61: large-
62: (multi-stage), middle and rear part 63:
63a: Through hole 64: Small end
70: fourth section 71: large-
72: (multi-step penetration) Heavy part 72a: Through hole
73: small rear portion 80: fifth section
81: large rear portion 82: (multistage)
83: Small rear

Claims (10)

상단에 실린더라이너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는 라이너보호부;
상기 라이너보호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크랭크의 외주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하단 중앙이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개방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양측에서 각각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 등 주변장치를 포함한 엔진구조물 전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서 다리부까지 그 상하단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그 폭 방향을 따르는 격벽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A liner protecting portion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er liner;
A body extending downwardly of the liner protecting portion and having a lower center opening through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rank; And
A pair of leg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to the floor surface and supporting the entire engine structure including the peripheral device such as the crank;
And an exhaust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engine,
Wherein a plurality of sectio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ver the entir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section to the leg section, and the thicknesses of the parti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간은, 상기 몸통부의 상단부에서 다리부 방향을 따라 제1구간에서 제5구간까지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ections are divided from a first section to a fifth section along a leg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body s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간 간의 상하 간격은 서로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vertical intervals between the respective sections ar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상기 몸통부 상단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 및 각각의 중후부들을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elastic members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being large-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a pair of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large rear portion and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and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each of the large and small rear portions, is a thinnest portion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대후부 중 어느 하나의 대후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one of the opposite end portions and the rear end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is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1구간의 하방인 상기 몸통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그 중 어느 하나의 중후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을 갖는 중공중후부가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 및 각각의 중후부들을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section may include:
Wherein the first section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below the first sectio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become the large rear section having the greatest thickness,
Wherein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a pair of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Wherein one of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is a hollow heavy portion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hollowed inside,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large rear portion and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and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each of the large and small rear portions, is a thinnest portion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중후부와 연결되는 상기 대후부에 상기 중공중후부의 중공과 직교되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공 및 상기 중공과 일직선상으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n the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llow of the hollow rear portion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in a straight lin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간은,
상기 제2구간의 하방인 상기 몸통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는 양단의 대후부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다단중후부가 되며,
상기 폭 방향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관통중후부가 되고,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및 각각의 중후부 사이를 연결하는 폭 방향 중앙 부위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third section,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below the second section, wherein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re a rear portion having the greatest thickness,
Wherein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a pair of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is a multi-stage heavy-weight portion having a multi-stepped thickness, the thickness of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of both ends,
Wherein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is a through-walled portion having through-holes penetrating vertically,
And the remaining portion including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large rear portion, the large rear portion, and each of the large and small rear portions is composed of a smallest thickness portion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구간은,
상기 제3구간의 하방인 상기 다리부의 상단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는 양단의 대후부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동시에 그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다단관통중후부가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를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fourth section,
Extending along an upper end width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under the third section,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being a rear end portion having the greatest thickness,
Wherein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a pair of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has a multi-stepped thickness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of both ends, and a multi-stage through-hole having a through-
And the other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is composed of a front portion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구간은,
상기 제4구간의 하방인 상기 다리부의 중앙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그 폭 방향 양단부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 대후부로 되고,
상기 대후부 사이의 일정간격 이격된 인접부가 중간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중후부로 되되,
상기 각각의 중후부는 양단의 대후부를 향해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다단 두께를 갖는 다단중후부가 되며,
상기 대후부와 중후부 사이를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소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블록의 격벽구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fifth section,
And extending along a center width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below the fourth section,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being a large rear portion having the greatest thickness,
Wherein the adjacent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a pair of middle portions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middle and rear portions is a multi-stage heavy-weight portion having a multi-stepped thickness, the thickness of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of both ends,
And the other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rear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is composed of a front portion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KR1020130072627A 2013-06-24 2013-06-24 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KR101951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27A KR101951960B1 (en) 2013-06-24 2013-06-24 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27A KR101951960B1 (en) 2013-06-24 2013-06-24 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20A true KR20150000320A (en) 2015-01-02
KR101951960B1 KR101951960B1 (en) 2019-02-25

Family

ID=5247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27A KR101951960B1 (en) 2013-06-24 2013-06-24 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9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521U (en) 1996-12-17 1998-09-15 김조권 Glider launch device
JP2007278436A (en) * 2006-04-10 2007-10-25 Toyota Industries Corp Cylinder block fastening structure
KR20130053758A (en) * 2011-11-16 2013-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Engine block structure
KR20130060492A (en) * 2011-11-30 2013-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Engine block with partial curved surf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521U (en) 1996-12-17 1998-09-15 김조권 Glider launch device
JP2007278436A (en) * 2006-04-10 2007-10-25 Toyota Industries Corp Cylinder block fastening structure
KR20130053758A (en) * 2011-11-16 2013-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Engine block structure
KR20130060492A (en) * 2011-11-30 2013-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Engine block with partial curved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960B1 (en) 201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3059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187120B2 (en) Oil pa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698522A1 (en) Cylinder hea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51960B1 (en) Wall structure of engine block
KR20060071216A (en) Oil drain passage structure for a cylinder block and core structure for forming oil drain passage
JP6429364B2 (en) Duct fixing structure in front of vehicle
KR102394867B1 (en) Buried Structure of Cast-Iron Insert for Engine Bed Plate and Method Thereof
EP2981691B1 (en) Oil sump and oil sump arrangement
JP6394899B2 (en) Cylinder block
JP7312704B2 (en) Cylinder hous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5960648B2 (en) Muffler for portable engine
JP6421373B2 (en) Cylinder block
JP6337521B2 (en) Blow-by gas passage structure of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845233B2 (en) Engine head cover structure and suspension structure thereof
JP6677143B2 (en) Cylinder block
WO2021060331A1 (en) Fastening structure
JP2017025799A (en) Cylinder head cov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rrangement structure for hose and wiring harness in cylinder head cov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826389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7109714A (en) Vehicle lower part structure
JP2008144652A (en) Balancer device for engine
JP2021055573A (en) Fastening structure
JP2022090342A (en) Muffler
JP6302304B2 (en) engine
KR20220037092A (en) Gear cover
JPH0639083Y2 (en) Engine damp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