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192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192A
KR20150000192A KR20130072310A KR20130072310A KR20150000192A KR 20150000192 A KR20150000192 A KR 20150000192A KR 20130072310 A KR20130072310 A KR 20130072310A KR 20130072310 A KR20130072310 A KR 20130072310A KR 20150000192 A KR20150000192 A KR 20150000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image
uni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2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도성
박남현
아그르왈 판카즈
뱅글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192A/en
Publication of KR2015000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04N21/4542Blocking scenes or portions of the received content, e.g. censoring sce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signal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signal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processed image signal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user information watching the imag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server managing the user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images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us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o a server. By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w participation of users, provide a service capable of providing individually tailored content, and facilitate two-way communication which is more dynamical compared to a conventional servic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신호의 일례로서 TV 방송신호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채널의 TV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TV 방송신호에 포함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A display device such as a TV displays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In the case of a TV broadcast signal as an example of a video signal, the display device receives a TV broadcast signal of a predetermined channel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content included in the received TV broadcast signal.

종래기술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TV 서비스는, 방송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시청하는 형태였다. 즉, 방송국 혹은 케이블 사업자가 정해 놓은 시간에 맞춰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좀 더 향상된 형태의 서비스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요청하여 시청하는 VoD (Video on Demand) 서비스가 있는 정도에 그친다.The TV service us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form in which the user manually watches the contents unilaterally provided by the broadcasting company. That is, most of the time, the contents are watched according to the time set by the broadcasting station or the cable operator. As a further improved type of service, there is a VoD (Video on Demand) service for requesting and viewing contents desired by a user through a display device.

그러나, 대규모의 데이터가 다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도래하면서, 종래기술과 같이 컨텐츠를 일방적이거나, 단순한 형태의 서비스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TV 시청 환경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점이 많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서비스로서, 단순히 컨텐츠의 장르, 구매방법,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미루어 짐작하는 형태의 서비스만으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개인화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기 어렵다.However, as the environment in which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handled is coming, there is a shortage in satisfying the various demands of the user in the TV viewing environment in which the contents are provided to the user as a one-sided or simple type service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customized personalized contents in a true sense only by services that are known in the art, such as a genre of content, a purchase method, a survey, etc.,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랙티브한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청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are capable of grasping a viewing state of a user by using an interactive means and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corresponding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received video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processed video signal;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the imag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that manag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rver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o the server.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a user viewing the image,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of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하여 블러링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블러링이 수행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blurring of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blurred image to the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n area to perform the blurring according to a setting related to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struc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and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setting related to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us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GUI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및 주변의 사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recognize an objec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body and surrounding objects from the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and determine an area to perform the blurring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다른 이미지로 대체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대체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a portion of the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to be replaced with another imag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egion may transmit information of the replaced image to the server.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신된 외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received external information.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와,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comprising: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Collecting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a video;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collected user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ing the user information.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llect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the step of capturing a picture of the user who views the image using the camera unit,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information of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하여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블러링이 수행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blurring at least a part of an area of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comprises: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blurring may include determining an area in which the blurring i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a setting related to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blurring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disclosure level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user.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rforming of the blurring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GUI on the display unit including information on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및 주변의 사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urring may include det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body of the user and objects around the user from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and performing blurring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mage is displayed.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다른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대체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replacing at least a part of an area of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with another image, To the server.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es receiving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received external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참여를 유발하고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서비스에 비하여 보다 동적이고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can induce user participation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thereby providing more dynamic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onvenience than existing services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시청 환경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촬상한 시청 중인 사용자의 모습의 이미지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블러링된 이미지를 도시하며,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다양한 공개 수준으로 블러링된 이미지의 예들을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show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display device and its view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image of a user who is view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image blurr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9 illustrate examples of images blurred at various levels of disclosure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TV 등과 같이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방송신호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음악, 영화, 스포츠, 사진, 게임, SNS, 뉴스, 건강, 학습 등 다양한 서비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하여 축구경기와 같은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와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4)의 상태 정보(이하, 간략히 '사용자의 정보'라고도 함)를 수집한다. 사용자의 정보는, 예컨대,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4)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이거나, 사용자(4)의 음성, 모션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의 정보(이하, '영상의 정보'라고도 함)와 함께 서버(2)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집된 사용자(4)의 정보를 서버(2)로 전송하기 전에 정보에 대하여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로서는, 예컨대, 사용자(4)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하여 정보의 일부를 필터링하거나, 전송의 효율을 위하여 이미지 인코딩/압축을 수행하거나, 보안을 위하여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show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 may be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 broadcast signal such as a TV. At least one content is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content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 and it may be related to various services such as music, movie, sports, photograph, game, SNS, news, For example, the user can view content such as a soccer game using the display device 1. [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server 2 via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The display device 1 collects status informa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4 who is viewing the content by using various means. The user's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n image of the user 4 viewing the content, or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ice, motion, etc. of the user 4. [ The display device 1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to the server 2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watched cont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 image information "). The display apparatus 1 can perform the preprocessing on the information before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4 to the server 2. [ As a pre-processing, for example, a part of information may be filtered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user 4, image encoding / compression may be performed for transmission efficiency, or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for security.

한편, 서버(2)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4)의 정보를 관리한다. 서버(2)는 사용자(4)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수신된 사용자(4)의 이미지에 대하여 디코딩을 수행하거나, 압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는 암호화된 사용자(4)의 정보를 복호화할 수도 있다. 서버(2)는 수신된 사용자(4)의 정보를 분석하여 광고주(3)에게 추천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는 광고 컨텐츠를 결정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신된 영상(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적합한 광고주를 매칭시킬 수 있다. 서버(2)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주(3)에게 제공한다. 서버(2)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광고주(3) 측의 서버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광고주(3)는 제공된 광고 컨텐츠를 활용하여 광고를 한다. 광고주(3)는 광고를 통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얻은 수익의 일부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를 위하여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4)에게 보상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4)는 광고주(3)로부터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쿠폰이나, 바우처(voucher)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2 manag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4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1. [ The server 2 can analyze the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4 and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rver 2 can perform decoding or decompression on the image of the received user 4. In addition, the server 2 may decrypt the information of the encrypted user 4. The server 2 can analyze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4 and determine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recommended to the advertiser 3. [ In determin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the server 2 may match the advertiser suitable for the contents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contents)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1. [ The server 2 provides the 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advertiser 3. The server 2 can transmit the advertisement contents determined as the server on the side of the advertiser 3 connected via the network. The advertiser 3 advertises using the provided advertisement contents. The advertiser 3 can obtain the profit through the advertisement and can compensate the user 4 who provided the information for the advertisement using a part of the obtained profit. For example, the user 4 may be provided with a coupon, a voucher, or the like from which the advertiser 3 can use various goods or servic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4)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자신의 정보를 공개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주(3)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서버(2)를 통하여 얻은 사용자(4)의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한편, 사용자(4)는 정보 제공의 대가로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4)와, 광고주(3)가 보다 능동적으로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4 discloses his / her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content using the display device 1, so that the advertiser 3 can display the display device 1, The user 4 can obtain the profit by advertising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4 obtained through the server 2 while the user 4 can receive the compensation as the price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3)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ervice.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와 그 시청 환경을 도시한다. 사용자(24)가 디스플레이장치(1)를 통하여 축구경기를 시청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카메라(25)로 시청 중인 사용자(24)의 모습을 촬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가 촬상한 시청 중인 사용자(24)의 모습의 이미지(31)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촬상된 이미지(31)를 사용자의 정보로서 서버(2)에 전송한다. 서버(2)는 이미지(31)를 분석하여 추천할 광고 컨텐츠를 광고주(3) 측 서버로 전송한다. 예컨대, 추천되는 광고 컨텐츠는, 축구경기의 시청 중에 사용자(32)가 맥주(33)를 마시는 것, 마시고 있는 맥주(33)는 특정 브랜드인 것, 현재 축구경기를 시청하는 사용자(32)는 남자인 것 등의 사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광고주(3)는 추천된 광고 컨텐츠를 활용하여 광고를 함으로써 이득을 얻고, 그 대가로 사용자(32)에게 쿠폰, 바우처 등의 보상을 제공한다.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2 shows a display device 1 and its viewing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24 views the soccer game through the display device 1. [ The display device 1 captures the image of the user 24 being watched by the camera 25. [ Fig. 3 shows an image 31 of the appearance of the user 24 being watched b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31 to the server 2 as information of the user. The server 2 analyzes the image 31 and transmits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recommended to the server of the advertiser 3 side. For example, the recommended advertisement contents include a user 32 drinking beer 33 during watching a soccer game, a drinking beer 33 being a specific brand, a user 32 watching a current soccer game, And the like. The advertiser 3 obtains a benefit by advertising using the recommended advertisement contents, and in return provides the user 32 with a coupon, a voucher, or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를 통하여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방송 프로그램은 시청자가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예컨대, 해방 방송 프로그램은 여러 출연자들이 댄스 경합을 벌여 그들 중에서 우수자를 뽑는 것일 수 있다. 시청자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여러 출연자들의 댄스를 감상하고, 이들 중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출연자에 투표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출연자들의 댄스가 끝나면 특정 포즈를 취하여 자신의 좋고(엄지 손가락을 올리는 것 등) 나쁨(엄지 손가락을 내리는 것 등)의 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여 그 이미지를 방송국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국의 서버는 여러 사용자들의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사용자의 특정 포즈를 담은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들 이미지를 분석한 후 사용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출연자를 우수한 출연자로 선정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follows. A user views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through the display device 1. [ A broadcast program is a program that a viewer can participate in. For example, a liberation broadcast program can be a dance contest among different performers and attracting the best among them. As viewers watch the program, they can enjoy the performances of various performers, and vote for performers who are considered to be excellent. In other words, the user can take a certain pose and mark his / her intention (such as raising the thumb) and bad (the thumb is lowering) after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ers is finished. The display device 1 can capture the image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image to the server of the broadcasting station. The server of the broadcasting station receives an image containing a user's specific pose from the display device 1 of a plurality of users, analyzes the images, and selects the users' favorite performers as excellent performer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를 통하여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방송 프로그램은 어떤 요리 블로거가 자신의 집에서 요리하는 하는 것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예의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시청자가 참여 가능하다. 예컨대, 방송 중에 불에 올려진 냄비가 끓여 넘쳐서 위험한 순간, 요리 블로거는 이를 모르고 있는 경우, 시청하고 있던 어느 사용자가 위험을 알리는 요청을 한다. 위험을 알리는 요청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특정 제스처이거나, 음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시청하던 사용자의 위험을 알리는 요청에 대응하여, 위험 알림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요리 블로거의 집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위험 알림 정보를 전달한다. 요리 블로거의 집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달된 위험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예컨대, 위험 알림 정보를 표시하거나, 그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리 블로거는 위험 알림 정보를 인식하고 냄비의 불을 끔으로써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 follows. A user views a specific broadcast program through the display device 1. [ The program is a program that shows what cooking bloggers do at home cooking. The viewer can participate in the broadcast program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f a cooked blogger is unaware of a dangerous moment when a pot put on fire during the broadcast is boiling over, a user who has watched the request is notified of the danger. The form of the request to notify the risk may vary, be a specific gesture, or be voice. The display device 1 transmits the risk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to notify the user of the risk of the user watching. The server communicates the risk alert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cooking blogger's home.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house of the cooking blogger outputs the delivered danger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isk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r the sound can be output. As a result, cooking bloggers can recognize the danger alert information and prevent the danger by turning off the po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신호수신부(11), 영상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정보수집부(14), 통신부(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영상신호는 일례로서 TV 방송신호일 수 있다. TV 방송신호는 공중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등의 방식으로 방송될 수 있다. TV 방송신호는 복수의 채널을 가진다. 신호수신부(11)는 복수의 채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처리부(12)는 신호수신부(11)에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처리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신호는 예컨대, DVD플레이어, BD플레이어 등의 영상기기로부터 수신되거나, PC로부터 수신되거나,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블루투스, Wi-Fi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거나, USB저장매체와 같은 메모리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signal receiving unit 11, an image processing unit 12, a display unit 13,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 a communication unit 15, and a control unit 16. The signal receiving unit 11 receives a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may be a TV broadcast signal as an example. A TV broadcast signal can be broadcast by a method such as over-the-air broadcast, cable broadcast, satellite broadcast, and the like. A TV broadcast signal has a plurality of channels. The signal receiving unit 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channels selected by the user.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 processe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 so that an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 In another embodiment, the video signal may be received, for example, from a video device such as a DVD player, a BD player, received from a PC, received over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received over a network such as Bluetooth, Wi- Or may be received from a memory such as a USB storage medium.

영상처리부(12)는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3)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영상처리부(12)는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예컨대, 모듈레이션, 디모듈레이션, 멀티플렉싱, 디멀티플렉싱, 아날로그-디지털변환, 디지털-아날로그변환, 디코딩, 인코딩, 이미지인핸스먼트, 스케일링 등의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processes the received image signal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13.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performs image processing such as modulation, demodulation, multiplexing, demultiplexing, analog-to-digital conversion, digital-to-analog conversion, decoding, encoding, image enhancement and scaling on the received video signal can do.

디스플레이부(13)는 영상처리부(12)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LCD, PDP, OLED 등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 The display unit 13 can display an image in various ways such as an LCD, a PDP, and an OLED.

정보수집부(14)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수집부(14)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수집부(14)는 이미지 형태의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는 카메라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정보수집부(14)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보수집부(14)는 사용자의 모션, 제스쳐, 포즈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정보수집부(14)는 주위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나, 사물의 근접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 collects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a video.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types of means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 may include a camera unit 25 for capturing an image of the user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of a user in the form of an image. In another embodiment,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 may include a microphone capable of collecting the user's voice.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user's motion, gesture, pose,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ambient brightness, a proximity sensor capable of sensing proximity of objects, and the like.

통신부(15)는 서버(2)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5)와, 원격제어장치(2) 간의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15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 is not limited, and for examp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Wi-Fi, or the like can be used.

제어부(16)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6)는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의 메모리와,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로딩하는 램과 같은 휘발성의 메모리와, 로딩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display device 1 as a whole. The control unit 16 includes a control program,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for storing the control program, a volatile memory such as a RAM for loading at least a part of the control program, and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the loaded control program .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전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부는 영상처리부(12) 혹은 제어부(16)의 일부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처리부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블러링(blurring), 이미지의 일부를 대체하는 마스킹,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 이미지 인코딩, 데이터 압축, 정보의 암호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preprocessor for performing preprocessing on user information. The preprocessing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some function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12 or the control unit 16. The preprocessing unit performs blurring on the captured image for masking the user's privacy, masking for replacing a part of the image, image recognition for recogniz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image encoding, data compression, can do.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S51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TV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방송신호에 포함된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는 축구경기를 보여주거나, 시청자 참여가 가능한 댄스 경연 프로그램, 요리 블로거의 방송 프로그램 등을 보여줄 수 있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 operation S51, the display device 1 displays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 can display an image of a content included in a broadcast signal based on a TV broadcast signal.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 can display a soccer game, a dance contest program in which a viewer can participate, and a broadcasting program of a cooking blogger.

다음으로, 동작 S52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의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카메라(25)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여 이미지를 얻거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거나,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 제스처 혹은 특정 포즈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Next, in operation S52, the display device 1 collects information of the user who watches the image of the content.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can capture an image of a user who views an image of a content by using a camera 25 or the like, obtain an image, receive a user's voice using a microphone, The user's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by detecting the motion, gesture or specific pose of the user.

다음으로, 동작 S5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와 함께 서버(2)로 전송한다.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컨텐츠의 이름, ID, 장르, 내용요약, 채널번호, 방송국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에 대하여 전처리를 수행하고, 전처리가 수행된 사용자의 정보를 서버(2)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전처리로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정보의 필터링,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에 대한 블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in operation S53, the display device 1 transmits the collected user information to the server 2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displayed image may include the name of the content, the ID, the genre, the content summary, the channel number, the name of the broadcast station, and the like as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content. The display apparatus 1 can perform preprocessing on collected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 information of the user who has been preprocessed to the server 2.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may perform filtering of information for protecting the privacy of the user as a pre-processing, specifically, blurring the image of the user's image.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32)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31)에 대하여 블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촬상된 이미지(31)의 일부에 대하여 블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해 블러링된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몇 몇 영역(62 내지 64)을 제외하고, 이미지(61)의 나머지 부분(65)에 대한 블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62), 디스플레이장치(1) 앞에 놓인 탁자 위의 맥주병(63) 및 주변의 일부 사물(64)은 보여주고, 소파에서 시청 중인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한 나머지 배경 부분(65)은 블러링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한 나머지 배경 부분(65)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인식될 수 없도록 해당 부분(65)을 흐리게 하는 방법으로 블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블러링되는 흐린 부분(65)을 도시의 편의상 해칭으로 표현하였음을 주지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device 1 may perform blurring on the image 31 that has taken the image of the user 32 watching the image. The display device 1 can perform blurring on a part of the captured image 31. [ 6 shows an image blurred b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device 1 may perform blurring on the remaining portion 65 of the image 61, except for some regions 62-64.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 may display a portion 62 of the user's body, a beer bottle 63 on the table in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 and some of the surrounding objects 64, Lt; / RTI > and the remaining background portion 65 including < / RTI > The display device 1 may perform blurring in such a manner as to blur the portion 65 so that the contents of the remaining background portion 65 including the face of the user can not be specifically recogniz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blurred portion 65 in FIG. 6 is represented by hatching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에 따라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많이 공개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의 범위는 작아지고,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적게 공개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의 범위는 커진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해 다양한 공개 수준으로 블러링된 이미지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블러링된 이미지(71)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72), 탁자 위의 맥주병(73) 및 주변의 일부 사물(7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75)이 블러링된다. 도 8에 도시된 블러링된 이미지(81)에는, 사용자의 얼굴(82) 및 탁자 위의 일부 사물(83)만이 블러링되고, 나머지 부분(84)은 모두 공개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블러링된 이미지(71)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이, 도 8에 도시된 블러링된 이미지(81)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보다 낮은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이미지(91)는 블러링되는 부분없이 모든 영역(92)을 공개한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이 가장 높다.The display device 1 can determine an area where blurring will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tting regarding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information. Specifically, when the user is set to disclos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the range of the area to be blurred becomes small, and when the user is set to make his or her information less visible, the range of the blurring area It grows. Figures 7-9 illustrate examples of images blurred at various levels of disclosure by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lurred image 71 shown in Fig. 7, the remaining portion 75 is blurred except for a portion 72 of the user's body, a beer bottle 73 on the table, and some objects 74 surrounding it. In the blurred image 81 shown in Fig. 8, only the face 82 of the user and some objects 83 on the table are blurred, and the remaining portions 84 are all revealed. That is, the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information in the blurred image 71 shown in Fig. 7 is lower than the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information in the blurred image 81 shown in Fig.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91 shown in Fig. 9 shows a case where all the regions 92 are disclosed without blurred portions, in which case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information is the highest.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블러링되는 이미지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명령수신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명령수신부(17)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리모컨으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컨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신호수신부를 포함하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구비하는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블러링되는 이미지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 시, 사용자가 공개될 영역과, 블러링할 영역을 미리 알 수 있도록 이미지(71 내지 91)를 보여줄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can perform settings relat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information in the image blurr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n instruction receiving unit 17 capable of receiving a user's command. The command receiving unit 17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a remote control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or a panel unit having at least one button for receiving a command of the user. The display device 1 can display the images 71 to 91 so that the user can know in advance the area to be opened and the area to be blurred when setting the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s information in the image to be blurred.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의 설정은, 단계적으로 미리 정해진 복수의 공개 수준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단계의 공개 수준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10% 공개(도 7 참조), 40% 공개(도 8 참조) 및 전부 공개(도 9 참조)와 같이, 3단계의 공개 수준을 미리 정해두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정보의 공개 수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76 내지 96)는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정보(77 내지 97)와, 선택 여부 항목(78 내지 98)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개 수준에 관한 정보(77 내지 97)를 참조하여 선택 여부 항목(78 내지 98)을 눌러 원하는 공개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개 수준에 따라 블러링을 수행한다.The setting of the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information can be done by the user selecting the level of disclosur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levels of disclosure. For example, three levels of disclosure levels may be predetermined, such as 10% disclosure (see FIG. 7), 40% disclosure (see FIG. 8), and full disclosure . The display device 1 can display the GUI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set the disclosure level of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7 to 9, the GUIs 76 to 96 may include information 77-97 about the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information and selection items 78-98.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disclosure level by pressing the selection items 78 to 98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77 to 97 about the disclosure level. The display device 1 performs blurr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closure selected by the user.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71 내지 79)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및 주변의 사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72, 73 등)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recognizes an object 72, 73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user's body and surrounding objects from the images 71 to 79 of the user's image, The area to be blurred can be determined.

전처리의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얼굴 부분 대신에, 다른 이미지를 대체하는 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킹으로 대체되는 다른 이미지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아바타의 이미지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reprocessing, the display device 1 may perform masking replacing another image in place of the face portion of the user, in order to protect the user's privacy. Other images replaced with masking may be images of avatars preset by the user.

디스플레이장치(1)는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의 설정 시,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받을 수 있는 보상의 내용에 관한 정보(79 내지 99)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보상의 내용에 관한 정보(79 내지 99)는 돌비 서브우퍼, 야구 경기 티겟 등을 나타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can display information 79-99 on the content of compensation that the user can receive by disclosing his / her information when setting the disclosure level of the user's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79-99 about the content of the reward may indicate a Dolby subwoofer, a baseball game ticket, or the like.

디스플레이장치(1)는 서버(2)로부터 외부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외부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정보는,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리 블로거의 예에서와 같이, 다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달된 위험 알림 정보일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1 can receive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 and output the received external information. The external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the risk alert information delivered at the request of another user, as in the example of a cook blogger, as described abov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버(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2)는 통신부(21), 저장부(22) 및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한다. 저장부(22)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정보와, 추천될 광고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3)는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주(3)에게 추천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 컨텐츠의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23)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의 정보를 광고주(3)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rv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 a storage unit 22, and a control unit 23. The communication unit 21 communicates with the display device 1 via a network. The storage unit 22 stores information on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 and information on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be recommended. The control unit 23 determines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recommended to the advertiser 3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isplay device 1, and outputs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s. The control unit 23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server of the advertiser 3.

제어부(23)는 분석모듈(231), 매칭모듈(232) 및 관리모듈(233)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모듈(231)은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광고 컨텐츠의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분석모듈(231)은 이미지 형태의 사용자의 정보에 대하여, 이미지 인식을 수행하여, 이미지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광고 컨텐츠의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분석모듈(231)은 인식된 오브젝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특성을 분류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 may include an analysis module 231, a matching module 232, and a management module 233. The analysis module 231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 and extracts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advertisement contents. The analysis module 231 performs image recognition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user, recognizes the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and extracts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s. The analysis module 231 can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gnized object,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and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매칭모듈(232)은 분석모듈(231)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에 매칭되는 추천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매칭모듈(232)은 분석모듈(231)에 의해 인식된 오브젝트의 특성과, 특성의 분류를 참조하여 추천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 작업을 통해 도출된 추천할 광고 컨텐츠의 정보는 편집, 가공 등을 통해 소정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The matching module 232 can determine the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recommended to match the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analysis module 231. The matching module 232 may perform matching of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recommended with referenc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recognized by the analysis module 231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The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be recommended derived through the matching operation can be converted into data of a predetermined type through editing, processing, or the like.

관리모듈(233)은 공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한다. 관리모듈(233)은 사용자의 공개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할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주(3)의 서버에 제공한 이력에 관한 정보도 관리한다. 관리모듈(233)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의 정보와, 이력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22)에 저장될 수 있다.The management module 233 manag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who provided the public information. The management module 233 determines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recommended by using the publ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lso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providing the determined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server of the advertiser 3. [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naged by the management module 233 and the history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 [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 디스플레이장치
2: 서버
11: 신호수신부
12: 신호처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통신부
15: 정보수집부
16: 제어부
17: 명령수신부
1: Display device
2: Server
11: Signal receiving section
12: Signal processor
13:
14:
15: Information collecting section
16:
17: Command receiver

Claims (18)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received video sig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processed video signal;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the imag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that manage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rv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o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는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ncludes a camera unit for capturing an image of a user viewing the image,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information of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하여 블러링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블러링이 수행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auses blurring to be performed on at least a part of an area of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and controls to transmit information of the blurred image to the serv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 area to perform the blurring according to a setting related to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instruc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Wherein the controller performs a setting related to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user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comma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GUI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및 주변의 사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n objec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body of the user and objects around the user from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and determines an area to perform the blurring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다른 이미지로 대체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대체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auses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to be replaced with another image and controls at least a part of the area to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replaced image to th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신된 외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server,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received external informa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와, 상기 수집된 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Collecting information of a user viewing a video;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user to a server manag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llecting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nd taking a picture of a user viewing the video using a camera unit,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information of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하여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블러링이 수행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blurring on at least a portion of an area of an image of the user's image,
Wherein the transmitting comprises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blurred image to the serv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에 따라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blurring includes determining an area in which the blurring i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a setting related to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blurring further comprises performing a setting related to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an instruction of the us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의 공개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erforming of the blurring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a GUI on the display unit including information on a level of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of the us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및 주변의 사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상기 블러링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blurring may include detect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body of the user and objects around the user from an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and performing blurring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모습을 촬상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다른 이미지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대체된 이미지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replac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mage of the image of the user with another image,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comprises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replaced image of the at least a part of the area to the ser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외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received external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KR20130072310A 2013-06-24 2013-06-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001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310A KR20150000192A (en) 2013-06-24 2013-06-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2310A KR20150000192A (en) 2013-06-24 2013-06-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92A true KR20150000192A (en) 2015-01-02

Family

ID=5247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2310A KR20150000192A (en) 2013-06-24 2013-06-2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1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0088B2 (en) 2019-12-23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onymi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0088B2 (en) 2019-12-23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onym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8841B2 (en) Inhibiting display of advertisements with age-inappropriate content
JP4281819B2 (en) Captured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viewing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viewing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captured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viewing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JP4576570B1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20140059576A1 (en) Media engagement factors
TWI527442B (en) Information extra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therefor
US20130010209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apparatus, television receiver,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20051208A (en) Method for gesture recognition using an object in multimedia device device and thereof
CN108701438A (en) The brightness management of high dynamic range displays
US201200600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ersonalized media content embedding images of multiple users
KR20090121016A (en) Viewer response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KR101128695B1 (en) An Intelligent Broadcasting Receiv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EP257535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512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ptimized viewing conditions in multimedia device
US9894416B2 (en) Video reception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video reception system
KR20150000192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9199B1 (en) Movie managing server, movie 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ter information using thereof
KR102199568B1 (en) Electr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339445B2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2014060642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KR20160061019A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2030584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personalized media content
KR20160055525A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172766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44861A (en) Smart display
KR20150068347A (en) Smart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