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087U -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 Google Patents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087U
KR20150000087U KR2020130005310U KR20130005310U KR20150000087U KR 20150000087 U KR20150000087 U KR 20150000087U KR 2020130005310 U KR2020130005310 U KR 2020130005310U KR 20130005310 U KR20130005310 U KR 20130005310U KR 20150000087 U KR20150000087 U KR 201500000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leaning
container
cleaning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3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6206Y1 (en
Inventor
김소희
이수경
최설지
이경호
임종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
Priority to KR2020130005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06Y1/en
Priority to PCT/KR2014/005569 priority patent/WO2014208975A1/en
Publication of KR20150000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0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08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용기 내에 수납된 클리닝 부재가 모두 사용된 경우, 클리닝 부재가 수용된 보조 용기의 교체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기로부터의 클리닝 부재의 취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메인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 부재; 및 캡 부재에 체결되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 부재는 개방된 상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taine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when all the cleaning members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are used, the ease of replacement of the auxiliary container containing the cleaning member is improved and the cleaning member is easily taken out from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assembly comprising: a main container having contents therein and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contents at one end; A cap member detachably fastened to the main container; And a hous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cap member and on which the cleaning member is mounted. Here, the accommodating member is formed at the open top, and includes cover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leaning member to the outside, and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side member.

Description

클리닝 부재 수납 수단을 구비한 용기 조립체{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leaning member housing unit,

본 고안은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출 부재의 주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클리닝 부재의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또한 이 수납 용기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assembly having a storage container for a cleaning member capable of removing the contents remaining around the discharge member and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eplacing the storage container with a new one .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된 화장품 용기 조립체 또는 약품 용기 조립체는 내용물이 담긴 용기 및 용기의 체결부에 체결되는 캡으로 이루어진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osmetic container assemblies or drug container assemblies, generally made of plastic or glass, consist of a container containing contents and a cap which is fastened to a faste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용기 조립체의 용기 내에는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내용물인 화장품 또는 약품이 담겨져 있으며, 사용자가 이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소정 량의 내용물이 용기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 container of the container assembly contains a liquid or cream-like cosmetic or medicine. When the user tilts the container,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ntent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of the container.

사용자가 배출된 내용물을 손으로 덜어내거나 신체의 부위에 바르게 되며, 이후 사용자가 캡을 용기의 체결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와 완전하게 격리시킨다.The user drains the discharged contents by hand or is put on the body part, and then the user completely seals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y joining the cap to the fastening part of the container.

한편, 용기에 장착된 배출 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의 대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나, 그 일부는 용기의 배출 부재 주변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캡을 용기의 체결부에 체결하기 때문에 용기의 배출 부재 주변 및 캡이 잔류물에 의하여 오염되며, 특히 점도를 갖는 내용물에 의하여 용기의 주변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착되어 위생 상의 문제가 야기된다.Meanwhile, most of the content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member mounted on the container are used by the user, but a part thereof remains around the discharge member of the container. In this situation, since the user tightens the cap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member and the cap of the container are contaminated by the residue. Particularly, with the contents having viscosity,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re adsorbed around the container, Problems arise.

이러한 점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캡을 용기의 체결부에 결합하기 전에 잔류 내용물을 휴지나 거즈 등을 이용하여 배출 부재 주변을 닦게 된다. 그러나, 야외 등과 같이 휴지, 거즈 등과 같은 별도의 클리닝 부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내용물이 잔류된 상태에서 캡을 용기에 체결할 수 밖에 없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user wipes the residual contents around the discharge member by using dirt, gauze or the like, before coupling the cap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However, when a separate cleaning member such as a toilet paper, a gauze, or the like is not prepared such as an outdoor, etc., the cap must be fastened to the container in a state where the contents remai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2-0004972호(2012년 6월 12일 출원)호에 개시된, 클리닝 부재를 용기 내부에 포함한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위 출원에 개시된 용기 조립체는 내용물의 잔류를 닦는 것은 유용하지만 클리닝 부재가 소량 포함되어 있거나 여러 개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클리닝 부재를 다 쓰고 난 후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a containe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cleaning member inside a container,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2-0004972 (filed on June 12, 2012) Respectively. However, the container assembly disclosed in the above application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useful to wipe residuals of contents, but it is not easy to replace the cleaning member after the cleaning member is used even if the cleaning member is included in a small amount or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are included.

이와 함께, 위의 선출원에 개시된 용기 조립체는, 용기 내부의 클리닝 부재를 사용하기 위하여, 클리닝 부재를 작은 직경의 구멍을 통해 뽑아 쓰거나 덮개를 착탈하여 빼내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 부재를 구멍을 통해 뽑아 쓸 때 휴지나 거즈가 구멍 내로 말려 들어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클리닝 부재를 하나씩 사용할 때 작은 직경의 구멍을 통하여 클리닝 부재가 용이하게 추출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cleaning member inside the container, the container assembly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cleaning member is pulled out through a small-diameter hole or the cover is detached and remov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leaning member is pulled out through the ho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est or the gauze is entrained into the hole, and when the cleaning member is used one by one, the cleaning member can not be easily extracted through the small-diameter hole.

본 고안은 화장품 또는 약품과 같은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메인 용기의 배출부 주변에 잔류하는 내용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용기와 결합된 보조 용기 내에 클리닝 부재를 수납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메인 용기의 배출 부재 주변의 내용물 잔류물을 닦아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used by the contents remaining arou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containing the liquid or cream-like contents such as cosmetics or medicines. In the auxiliary container combined with the main container, Which is capable of wiping off the contents residues around the discharge member of the main container under any circumstances.

본 고안은 또한 보조 용기 내에 수납된 클리닝 부재가 모두 사용된 경우, 클리닝 부재가 수용된 새로운 보조 용기의 교체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기로부터의 클리닝 부재의 취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taine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when all the cleaning members stor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are used, ease of replacement of a new auxiliary container accommodating the cleaning member is enhanced and removal of the cleaning member from the container is facilitated It has its purpose.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메인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 부재; 및 캡 부재에 체결되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 부재는 개방된 상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ainer hav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contents at one end; A cap member detachably fastened to the main container; And a housing member which is fastened to the cap member and on which the cleaning member is mounted. Here, the accommodating member is formed at the open top, and includes cover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leaning member to the outside, and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side member.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및 메인 용기의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인 용기의 배출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납 부재는 개방된 상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assembly comprising: a main container having contents therein and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at one end; And a housing member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a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o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to seal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and a cleaning member is mounted on the inner space. Here, the accommodating member is formed at the open top, and includes cover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leaning member to the outside, and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side member.

양 실시예에서, 수납 부재에 장착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제 1 커버 및 제 1 커버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커버를 포함하며, 제 1 커버와 제 2 커버에 의하여 수납 부재의 개방된 상단은 일부 개방 또는 완전 밀폐될 수 있다. In both embodiments, the cover means mounted on the receiv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v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and a second cover rotatably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ver, and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So that the open top of the receiving member can be partially open or completely sealed.

특히,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있어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을 1/2씩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have a symmetrical shape so that the open upper end of the housing member is covered by 1/2.

여기서, 커버 수단의 제 2 커버의 에지부에는 돌기부가, 그리고 수납 부재의 상단에는 요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제 2 커버가 회전하여 제 1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납 부재의 에지부에 대응하면, 제 2 커버의 돌기부가 수납 부재의 요부 내에 삽입되어 커버 수단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second cover rotates and rotates about the first cover, so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cover,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ver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to prevent unintended opening of the cover means.

수납 부재에 장착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판형 부재로서, 그 면적은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 면적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납 부재의 상단은 일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cover means mounted on the housing member is a plate-shaped memb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member, and its area is smaller than the open top area of the housing member. With this structure,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member can be kept partially open at all times.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구성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은,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수납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가이드 부재 및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고, 수납 부재의 내부로 위치하여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ember conveying means configured on the side member of the housing member includes a guide member that is disposed on the side member of the housing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member and a guide member that is mounted on the guide member and moves up and down along a slit formed in the side member of the guide member and the housing member ; And a supporting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sliding member and which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member and supports the cleaning member.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는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단위 부재를 포함하되, 상단 및 하단은 2개의 고정구를 통하여 수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수직 부재 및 수직 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수납 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한다.The guide member constituting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includes two unit members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slit formed in the side member of the receiving member.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eiving member through the two fasteners do. Further, the sliding member includes a vertical member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unit members of the guide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and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member through the slit formed in the side member of the receiving member.

여기서,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는 그 양 측면에는 치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의 내측면에는 치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는 치차부로 맞물려 진다.Here, the vertical member of the sliding member is formed with teeth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gear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two unit members of the guide member, and the two unit members of the vertical member and the guide member of the sliding member It is engaged with the gear.

슬라이딩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는 선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다. 또다른 구조의 지지 부재는 평면 형상이 수납 부재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 부재에도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다.The supporting member of the sliding supporting member is a linear member, and a hole is formed at one end,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sli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supporting member of another structure is a member whose planar shape is the same as the plan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The supporting member also has a hol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sli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l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메인 용기의 배출부 주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수납된 클리닝 부재를 이용하여 닦아낼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 조립체를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The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wipe out the contents remaining around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by using the housed cleaning member, and thus the container assembly can be safely stored and used hygienically.

특히, 수납 부재 내에 수용된 클리닝 부재를 슬라이딩 부재를 이용하여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클리닝 부재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클리닝 부재를 모두 사용하고 난 후, 클리닝 부재가 채워진 새로운 수납 부재로 교체하여 클리닝 부재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articularly, by moving the cleaning member housed in the housing member upward by using the sliding member, the user can easily discharge the cleaning member, and after using all the cleaning members, the cleaning member is replaced with a new housing member filled in, The member can be used continuously.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커버 수단의 다른 구조를 도시함.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4의 대응 도면으로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대응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
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member shown in Fig.
Fig. 3 is a corresponding view of Fig. 2,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cover means.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shown in Fig.
Fig. 5 is a corresponding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structure of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Fig.
Figure 6 is a corresponding view of Figure 1, partially exploded view of a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로서, 편의상 수납 부재(200)는 하부에서 본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container member 200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메인 용기(10), 메인 용기(10)의 상부에 체결된 캡 부재(100) 및 캡 부재(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수납 부재(200)를 포함한다.
A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ainer 10, a cap member 100 fastened to the top of the main container 10, and a storage member 200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 member 100 do.

메인 용기(10)In the main container 10,

도 1에서는 편의상 상부 일부만이 도시된 메인 용기(10)는 그 내부 공간에 액상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내용물이 담겨져 있으며, 이 내용물은 메인 용기(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출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FIG. 1, for convenience sake, the main container 10 in which only the upper part is shown is filled with liquid or paste-like contents in its inner space,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art (not show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캡 부재(100)The cap member (100)

메인 용기(1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 부재(100)는 하부 일부에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메인 용기(10)의 배출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배출부를 밀폐/개방시키는 캡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ap member 100 detachably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10 has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form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discharge unit of the main container 10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ap to open the cap.

한편, 캡 부재(10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나선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piral portion 1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cap member 100.

수납 부재(200) The storage member 200,

수납 부재(20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부재로서, 그 내부 공간에는 솜, 거즈 등과 같은 클리닝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될 수 있다.The housing member 200 is a hollow member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ed, and a clea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cotton, gauze and the like can be housed in the inner space.

수납 부재(20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나선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나선부(210)와 캡 부재(100)의 상단부 외주면의 나선부(110)의 결합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는 캡 부재(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spiral portion 21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orage member 200 and the spiral portion 210 of the upper end of the cap member 100 is engaged with the spiral portion 110 of the cap member 100,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ap member 100. As shown in Fig.

여기서,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수평 상태의 격벽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은 캡 부재(100)와 격리, 즉 외부와 격리되며, 따라서 수납 부재(200)를 캡 부재(1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도 클리닝 부재가 오염되지 않는다. Here, a horizontal partition may b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With this structure,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is isolated from the cap member 100, that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so that even when the receiving member 200 is separated from the cap member 100, the cleaning member is not contaminated .

한편, 수납 부재(200)의 상단에는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300 또는 30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측면 부재에는 수납 부재(200) 내에서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 또는 400')이 장착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ver member 300 or 300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lean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member 200, and a cleaning member for moving the cleaning member in the housing member 200 Means 400 or 400 'are mounted.

커버 수단(300 또는 300')The cover means 300 or 300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 부재(200)의 사시도로서, 편의상 위에서 설명한 클리닝 부재(C)가 수납 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member 200 shown in Fig. 1,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C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member 200 for convenience.

수납 부재(200)의 개방된 상단에 설치된 커버 수단(300)은 수납 부재(200)의 상단 내면에 고정된 제 1 커버(310) 및 제 1 커버(31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커버(320)를 포함한다. The cover means 300 provided at the open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200 includes a first cover 310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200 and a second cover 310 rotatably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ver 310. [ 2 cover 320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커버(310 및 320)는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며, 수납 부재(200)의 개방된 상단을 1/2씩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부재(200)의 개방된 상단은 제 1 및 제 2 커버(310 및 320)에 의하여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vers 310 and 320 have a symmetrical shape and can cover the open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200 by a half. Thus, the open top of the receiving member 200 can be completely sealed by the first and second covers 310 and 320. [

이러한 구조에서, 제 2 커버(320)는 제 1 커버(310)와 제 2 커버(320)의 경계부(30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버(320)가 경계부(301)를 중심으로 위로 회전할 때, 수납 부재(200)의 상단이 1/2 정도 개방(도면 부호 "201"로 지시됨)되며, 반대로 제 2 커버(320)가 경계부(301)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할 때, 제 2 커버(320)는 수납 부재(200)의 개방 상단은 완전히 밀폐시킨다.In this structure, the second cover 320 can rotate about the boundary 301 between the first cover 310 and the second cover 320. Therefore, when the second cover 320 rotates upward about the boundary 301 as shown in FIG. 2,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200 is opened by about 1/2 (indicated by 201) Conversely, when the second cover 320 rotates downward around the boundary 301, the second cover 320 completely closes the open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200.

여기서, 제 2 커버(320)의 에지부에는 소정의 높이의 돌기부(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 부재(200)의 상단에는 소정 깊이의 요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커버(320)가 제 1 커버(310)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납 부재(200)의 에지부에 대응하면, 제 2 커버(320)의 돌기부(321)가 수납 부재(200)의 요부(201)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 2 커버(320)는 수납 부재(200)의 상단 개방부를 완전하게 밀폐한다.A protrusion 32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t an edge of the second cover 320 and a recess 2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torage member 200. When the second cover 3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ver 310 to correspond to the edge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200, the protrusion 321 of the second cover 320 contacts the edg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201, the second cover 320 completely seals the top opening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200.

도 3은 도 2의 대응 도면으로서, 수납 부재(200)에 장착된 커버 수단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Fig. 3 is a corresponding view of Fig. 2,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cover means mounted on the receiving member 200. Fig. In the meantime,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and 2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3에 도시된 커버 수단(300')은 수납 부재(200)의 개방 상단에 고정된 판형 부재로서, 그 규격(면적)은 수납 부재(200)의 개방 상단의 규격(면적)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의 커버 수단(300')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의 상단 일부(200-1)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개방부(200-1)를 통하여 사용자는 수납 부재(200) 내의 클리닝 부재(C)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The cover means 300 'shown in FIG. 3 is a plate-like member fixed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200, and its standard (area)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size (open area) of the opening top of the receiving member 200. The upper end portion 200-1 of the receiving member 200 is always kept open by the cover means 300 'having such a structure. Through the opening portion 200-1, The cleaning member C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 또는 400')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or 400 '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분리 사시도로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은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410), 가이드 부재(410)에 장착되어 가이드 부재(41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420) 및 슬라이딩 부재(420)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 부재(200)의 내부로 위치하여 클리닝 부재(C)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30)를 포함한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shown in FIGS. 1 and 3.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includes a guide member 410 fixed to a side member of the accommodating member 200, A sliding member 420 mounted on the sliding member 410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member 410 and a sliding member 420 fixed to the sliding member 420 an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00 to support the cleaning member C And a support member 430.

가이드 부재(410)는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에 수납 부재(20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를 포함한다.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는 소정의 간격(S)을 두고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은 2개의 고정구(403 및 404)를 통하여 수납 부재(2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의 서로 대응하는 내측면에는 전 높이에 걸쳐 치차부(411-1 및 412-1)가 형성되어 있다.The guide member 410 includes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arranged on the side member of the receiving member 20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200. [ The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eiving member 200 through the two fasteners 403 and 404. Here,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are formed with gear teeth 411-1 and 412-1 over their entire height.

한편, 가이드 부재(410)를 구성하는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공간(S; 간격)에 대응하는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는 절개되어 있다. 즉 수납 부재(200)의 측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간격(S)과 동일한 폭의 슬릿(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member of the receiving member 200 corresponding to the space S (interval) between the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constituting the guide member 410 is cut away. A slit (not shown)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interval S between the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슬라이딩 부재(420)는 가이드 부재(410)의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421) 및 수직 부재(421)의 하단에서 연장된 수평 부재(422)를 포함한다.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에는 치차부(42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직 부재(421)는 가이드 부재(410)의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 즉 간격(S) 내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 치차부(421-1)와 가이드 부재(410)의 양 단위 부재(411 및 4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11-1 및 412-1)는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The sliding member 420 includes a vertical member 421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of the guide member 410 and a horizontal member 422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421 do. The vertical member 421 is formed between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of the guide member 410, that is, a gap S ). As a result, the gear teeth 411-1 and 412-1 formed on both side gear teeth 421-1 of the vertical member 421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both unit members 411 and 412 of the guide member 410 And they are in an engaged state with each other.

한편, 이와 같은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의 배치 상태에 따라 수평 부재(422)는 가이드 부재(410)의 2개의 단위 부재(411 및 412) 사이의 간격(S) 및 수납 부재(200)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된다. The horizontal member 42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gap S between the two unit members 411 and 412 of the guide member 41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vertical member 421 of the sliding member 420, (200) through the slit formed in the side member of the receiving member (200).

지지 부재(43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일자형) 부재로서,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지지 부재(430) 상에는 다수의 클리닝 부재(C)가 놓여진다. The supporting member 430 is a line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while being fixed to the horizontal member 422 of the sliding member 420, A plurality of cleaning members C are placed on the cleaning member 430.

여기서, 지지 부재(430)에는 구멍(431)이 형성되며, 이 구멍(431)에는 수평 부재(422)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422-1)가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430)는 가이드 부재(410)를 따르는 슬라이딩 부재(420)의 상향 이동시 슬라이딩 부재(420)와 함께 상향 이동된다. A hole 431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30 and a projection 42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422 is inserted into the hole 431. [ As a result, the support member 430 is moved upward together with the sliding member 420 when the sliding member 420 moves along the guide member 410.

한편,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21-1)와 가이드 부재(410)의 양 단위 부재(411 및 4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11-1 및 412-1)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20)의 자연적이 이동은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슬라이딩 부재(420), 즉 수직 부재(421)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슬라이딩 부재(420) 그리고 지지 부재(430)가 이동한다. .The gears 421-1 and 42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member 421 of the sliding member 420 and the gears 411- 411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unit members 411 and 412 of the guide member 410, 1 and 412-1 remain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420 does not occur, and only when the external force by the user acts on the sliding member 420, that is, the vertical member 421 The sliding member 420 and the supporting member 430 move. .

도 5는 4의 대응 도면으로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Fig. 5 is a corresponding perspective view of Fig. 4, and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structure of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Fig.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은 그 구성 요소, 전체적인 구조 그리고 그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과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shown in FIG. 5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shown in FIG. 4, and its components, overall structure and its function, Only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transfer means 400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shown in Fig. 4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4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과 비교하여,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가장 큰 특징은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결합된 지지 부재(430')가 원판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다. Compared with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shown in FIG. 4, the greatest feature of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shown in FIG. 5 is that the support member 400',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422 of the sliding member 420, (430 ') has a disk shape.

원판 형상의 지지 부재(430')의 직경 및 형상은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단면 직경 및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수납 부재(200) 내의 클리닝 부재(C)는 이러한 지지 부재(430')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The diameter and the shape of the disk-shaped support member 430 'are substantially equal to the cross-sectional diameter and shap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accommodating member 200, 430 '.

물론, 원판 형상의 지지 부재(430')에도 구멍(431')이 형성되며, 이 구멍(431')에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형성된 돌기(422-1)가 삽입됨은 물론이다. Of course, a hole 431 'is also formed in the disk-shaped support member 430', and a protrusion 422-1 formed in the horizontal member 422 of the sliding member 420 is inserted into the hole 431 ' Of course.

여기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지지 부재(430')의 평면 형상은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의 단면 형상에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lan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430 'of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may be different from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기능을 도 1, 도 2 그리고 도 4를 통하여 설명한다. The functions of the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4. FIG.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솜, 거즈와 같은) 클리닝 부재(C)는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에 적층된 상태로 위치하며, 이때 클리닝 부재(C)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지지 부재(430) 상에 위치한다. 2, the cleaning member C (such as a cotton or gauze) is placed in a stacked state in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member (430) of the member transfer means (400).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 부재(200)의 상단에 설치된 커버 수단(300)을 통하여 노출된 클리닝 부재(C)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C)의 사용에 따라 클리닝 부재(C)의 전체 높이가 감소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클리닝 부재(C)를 수납 부재(200)에서 인출하기 어렵게 된다.In this state, the cleaning member C exposed through the cover means 300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200 can be taken out and used by the user. The use of the cleaning member C causes the entire height of the cleaning member C to be reduc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pull the cleaning member C out of the housing member 200. [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의 슬라이딩 부재(420), 즉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를 가이드 부재(410)를 따라 밀어 올리면,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평 부재(422)에 고정된 지지 부재(430) 역시 수납 부재(200)의 내부 공간 내에서 위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지지 부재(430) 상에 위치하는 클리닝 부재(C)도 상향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어려움 없이 클리닝 부재(C)를 수납 부재(200) 내에서 인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user pushes up the sliding member 420 of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that is, the vertical member 421 of the sliding member 420 along the guide member 410, The supporting member 430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422 is also moved up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200 so that the cleaning member C located on the supporting member 430 also moves upward. As a result, the user can pull the cleaning member C in the receiving member 200 without difficulty.

이때, 가이드 부재(410)의 양 단위 부재(411 및 4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치차부(411-1 및 412-1)와 슬라이딩 부재(420)의 수직 부재(42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치차부(421-1)가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420), 즉 지지 부재(430)의 과도한 상향 이동은 억제되며, 또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420), 즉 지지 부재(430)의 자연적인 하향 이동이 억제된다. At this time, the gears 411-1 and 412-1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unit members 411 and 412 of the guide member 410 and the gears 411-1 and 41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member 421 of the sliding member 420 An excessive upward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420, that is, the supporting member 430 is suppressed because the toothed portion 421-1 is engaged with the sliding member 420, that is, the supporting member 430 Lt; RTI ID = 0.0 > downward < / RTI >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430) 상에 위치하는 클리닝 부재(C)의 과도한 상향 이동 및 자연적인 하향 이동이 억제되며, 클리닝 부재(C)는 수납 부재(200) 내에서 사용자가 인출되기 쉬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excessive upward movement and the natural downward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C located on the support member 430 are suppressed, and the cleaning member C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is likely to be drawn out from the storage member 200 .

수납 부재(200) 내의 모든 클리닝 부재(C)가 사용되면, 사용자는 수납 부재(200)를 캡 부재(100)에서 분리한 후, 클리닝 부재가 채워져 있는 새로운 캡 부재를 수납 부재(200)에 체결함으로써 클리닝 부재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When all the cleaning members C in the housing member 200 are used, the user removes the housing member 200 from the cap member 100 and then fastens a new cap member filled with the cleaning member to the housing member 200 So that the cleaning member can be continuously used.

도 6은 도 1의 대응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Figure 6 is a corresponding view of Figure 1,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shown in FIG. 1 to FIG.

제 2 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가장 큰 특징은, 메인 용기(10)에 캡 부재(100)가 결합되고 캡 부재(100)에 수납 부재(200)가 결합되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캡 부재 없이 수납 부재(200)가 메인 용기(1000)에 바로 결합된다는 것이다.The greatest feature of the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a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cap member 100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 and the storage member 200 is coupled to the cap member 100, The housing member 200 is directly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1000 without a member.

즉, 수납 부재(200)의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210)는 메인 용기(1000)의 상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부(1100)와 나사 결합되며, 따라서 수납 부재(200)는 메인 용기(1000)의 상단부에 체결된다. That is, the spiral portion 21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200 is screwed to the spiral portion 1100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100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메인 용기(1000)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는 수납 부재(20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캡 부재(100)와 동일한 기능, 즉 메인 용기(1000)의 내용물 배출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torage member 200 which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container 100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cap memb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functions to open and close the contents discharge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1000 do.

즉,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수납 부재(2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의 하부에는 수평 상태의 격벽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수납 부재(200)는 내부 공간에 클리닝 부재가 담겨진 상태에서 메인 용기(1000)의 배출부를 개폐시키는 캡의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accommodating member 200 constituting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 horizontal partition is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With this structure, the storage member 200 perform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a discharge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1000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is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한편, 수납 부재(200)의 측면 및 상부면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 및 커버 수단과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400 또는 400') 및 커버 수단(300 또는 300')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200,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400 or 400 ') and cover means (not shown) performing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and the cover means shown in FIGS. 300 or 300 ', respectively.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납 부재(200)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수납 부재의 기능, 즉 클리닝 부재의 보관, 인출 및 교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orage member 200 of this embodiment can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storage member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functions such as storage, withdrawal and replacement of the cleaning memb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1)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및
메인 용기의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인 용기의 배출부를 밀폐시킬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하되,
수납 부재는 개방된 상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A main container hav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contents at one end; And
And a housing member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a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where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to seal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and on which a cleaning member is mounted,
Wherein the housing member comprises cover means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cleaning member formed at the open top, and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member provided at the side member.
내부에 내용물이 담겨지며, 한 단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메인 용기;
한 단부가 메인 용기의 배출부가 형성된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인 용기의 배출부를 밀폐시키는 캡 부재; 및
캡 부재의 다른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내부 공간에는 클리닝 부재가 적재되어 있는 수납 부재를 포함하되,
수납 부재는 개방된 종단에 구성되어 클리닝 부재의 외부 배출을 제어하는 커버 수단 및 측면 부재에 설치되어 클리닝 부재를 이동시키는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A main container hav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contents at one end;
A cap member that is detachably fastened to a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o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to seal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main container; And
And a housing member detachably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ap member and having a cleaning member mounted on the inner space,
Wherein the housing member comprises cover means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cleaning member, and cleaning memb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side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제 1 커버 및 제 1 커버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커버를 포함하여 수납 부재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The cov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ver means includes a first cov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and a second cover rotatably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ver to seal the open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Lt; RTI ID = 0.0 > 1, < / RTI >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있으며,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을 1/2씩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4. The container assembly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have a symmetrical shape and cover the open upper end of the receiving member in half.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커버의 에지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 부재의 상단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제 2 커버가 회전하여 제 1 커버에 대하여 회전하여 수납 부재의 에지부에 대응하면, 제 2 커버의 돌기부가 수납 부재의 요부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second cover rotates and rotates relative to the first cover to correspond to the edge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cover,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housing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 수단은 수납 부재의 상단에 고정된 판형 부재로서, 그 면적은 수납 부재의 개방 상단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The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ver means is a plate-like memb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member, the area of which is smaller than the open top area of the housing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클리닝 부재 이송 수단은,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수납 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부재;
가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가이드 부재 및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슬라이딩 부재에 고정되고, 수납 부재의 내부로 위치하여 클리닝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A guide member arranged on a side member of the housing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member;
A sliding member which is mounted on the guide member and moves up and down along a slit formed in the side member of the guide member and the receiving member; And
And a supporting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sliding member and which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member and supports the cleaning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는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된 2개의 단위 부재를 포함하되, 상단 및 하단은 2개의 고정구를 통하여 수납 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정되며,
슬라이딩 부재는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수직 부재 및 수직 부재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수납 부재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수납 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수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7,
The guide member includes two unit members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slit formed in the side member of the receiving member.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ceiving member through the two fasteners,
The sliding member includes a vertical member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unit members of the guide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and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on member through the slit formed in the side member of the accommodation member Lt; / RTI >
제 8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는 그 양 측면에는 치차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의 내측면에는 치차부가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의 수직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2개의 단위 부재는 치차부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The slide memb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vertical member of the sliding member is formed with teeth on both sides thereof, and a gea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wo unit members of the guide member, Lt; RTI ID = 0.0 > 1, < / RTI > 제 7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선형 부재로서,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The contain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a linear member, and a hole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sli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는 평면 형상이 수납 부재의 내부 공간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부재로서, 일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 내에 슬라이딩 부재의 수평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조립체.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member is a member whose planar shape is the same as the planar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member, in which a hole is formed at one end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sliding member is inserted ≪ / RTI >
KR2020130005310U 2013-06-28 2013-06-28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KR2004862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10U KR200486206Y1 (en) 2013-06-28 2013-06-28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PCT/KR2014/005569 WO2014208975A1 (en) 2013-06-28 2014-06-24 Container assembly having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310U KR200486206Y1 (en) 2013-06-28 2013-06-28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87U true KR20150000087U (en) 2015-01-07
KR200486206Y1 KR200486206Y1 (en) 2018-04-16

Family

ID=5214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310U KR200486206Y1 (en) 2013-06-28 2013-06-28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6206Y1 (en)
WO (1) WO201420897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281B1 (en) * 2014-03-13 2018-08-29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Light emitt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81U (en) * 1986-05-15 1987-11-25
KR940003345B1 (en) * 1991-12-28 1994-04-20 삼성전기 주식회사 U.p.s.
KR200400633Y1 (en) * 2005-08-12 2005-11-08 코스코인터내셔날 주식회사 Mineral water cap keeping compressed tissue and mineral water container having the mineral water ca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005Y1 (en) * 1992-07-24 1994-06-17 장해룡 Container for liquid
KR200395866Y1 (en) * 2005-06-21 2005-09-14 김석화 Drink container adding compressed tissue
KR20110137945A (en) * 2010-06-18 2011-12-26 (주) 사운드웨이브 Sanitary beverage bott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81U (en) * 1986-05-15 1987-11-25
KR940003345B1 (en) * 1991-12-28 1994-04-20 삼성전기 주식회사 U.p.s.
KR200400633Y1 (en) * 2005-08-12 2005-11-08 코스코인터내셔날 주식회사 Mineral water cap keeping compressed tissue and mineral water container having the mineral water c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975A1 (en) 2014-12-31
KR200486206Y1 (en)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2082B2 (en) Waste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storing waste
KR10223714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ed to, sanitary containers
JP2016520497A5 (en)
KR200486206Y1 (en)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CN112135783A (en) Dentifrice dispenser
KR101636268B1 (en) The container contain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ES2748855T3 (en) Liquid container
JP2011234763A (en) Cosmetic container
EP2762046A1 (en) Bottle body structure
US20130299521A1 (en) Viscous material container assembly
KR101467545B1 (en) refill type sheet package, lid for refill type cartridge and refill type sheet catrage
KR20140075226A (en) Cosmetic containers having a massage ball
KR101190041B1 (en) Cosmetic case
CN106307970B (en) Glass powder box
JP5684603B2 (en) Granule storage container
JP2010275003A (en) Liquid pack container and liquid pouring-out container
JP6329809B2 (en) Cosmetic container
KR200466321Y1 (en) Roll-on type cosmetic container which has a massage function
KR20120002277U (en) Discharge equipment of tube case containing make up brush
JP5555556B2 (en) Cosmetic container
KR20170115904A (en) Cosmetics Container with Spatula
KR20130007276U (en) Container assembly with means for accommodating cleaning member
KR200475974Y1 (en) A Rotaing Cosmetic Compact Container
KR200479403Y1 (en) Cosmetic Container
KR20150087036A (en) Cosmetic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