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92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925A
KR20140145925A KR1020130124615A KR20130124615A KR20140145925A KR 20140145925 A KR20140145925 A KR 20140145925A KR 1020130124615 A KR1020130124615 A KR 1020130124615A KR 20130124615 A KR20130124615 A KR 20130124615A KR 20140145925 A KR20140145925 A KR 20140145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hinge member
ope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열
추아영
김나미
김명환
박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4811011.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08406B1/en
Priority to EP21212838.3A priority patent/EP3985336A1/en
Priority to US14/898,081 priority patent/US9709317B2/en
Priority to PCT/KR2014/005270 priority patent/WO2014200321A1/en
Priority to KR1020217038940A priority patent/KR102498975B1/ko
Priority to KR1020157036306A priority patent/KR102245368B1/ko
Priority to KR1020227033787A priority patent/KR102585503B1/ko
Priority to KR1020157036307A priority patent/KR102245369B1/ko
Priority to PCT/KR2014/005268 priority patent/WO2014200320A1/en
Priority to EP14811325.1A priority patent/EP3008407B1/en
Priority to US14/898,373 priority patent/US9651295B2/en
Priority to KR1020217011923A priority patent/KR102334631B1/ko
Priority to KR1020217011924A priority patent/KR102450244B1/ko
Priority to EP18169806.9A priority patent/EP3372927A1/en
Publication of KR2014014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넷과, 상기 제1저장영역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제1저장영역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에 의하여 정의되는 실링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캐비넷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재와, 제2저장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실링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힌지부재의 회전축과 상하 일렬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주된 저장영역 이외의 별도의 저장영역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영역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식품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영역 예를 들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넷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는 캐비넷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가스켓이 구비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동실과 냉장실과 같은 냉장고의 저장영역 이외의 별도의 저장영역(이하 편의상 "보조 저장영역"이라 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저장영역을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기 않고도 접근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 10-2010-0130508호에 의하면, 냉장고의 도어에 보조 저장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보조 도어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도어만을 개폐하여 상기 보조 저장영역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냉장고에서는, 캐비넷과 도어 사이 및 도어와 보조 도어 사이에서 냉기의 누설이 발생한다.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넷과 도어 사이 및 도어와 보조 도어 사이에 각각 가스켓이 사용된다. 따라서, 가스켓으로 실링해야 할 부분이 증가하므로, 그만큼 냉기 손실의 증가 및 이에 따른 소비 전력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캐비넷의 전면, 보조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는, 내외부 온도 차이에 의하여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슬이 맺히는 부분에 히터를 설치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상승하고 도어의 구조가 복잡해 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공개 10-2010-0122155호에 의하면, 보조 저장영역을 캐비넷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나의 도어 만을 사용하는 냉장고를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보조 저장영역이 캐비넷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보조 저장영역과 캐비넷과의 결합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넷과, 상기 제1저장영역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제1저장영역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에 의하여 정의되는 실링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캐비넷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재와, 제2저장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실링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힌지부재의 회전축과 상하 일렬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직선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곡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고정부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3연장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2연장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최외곽 회전 궤적 보다 큰 회전 궤적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의 좌우 방향의 최소 간격보다 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장부는 곡선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연장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는, 상기 가스켓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컨테이너가 열리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릴 수 있는 제한 각도(컨테이너에 대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가 정해지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한 각도를 넘어서 개방되어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제1저장영역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한 각도는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한 각도는 90도 - 1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한 각도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는 간격유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한 각도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가 상기 간격유지부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도어는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과,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2힌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힌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재의 회전부가 위치하는 부분을 점유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발포되는 단열재가 삽입되는 통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에는 장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2힌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장착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장착부재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의 전면에는 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개폐부의 사이에는 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영역 및 보조 저장영역을 개폐하기 위해서 하나의 도어 만을 구비한다. 따라서, 2개의 도어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냉기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이슬 맺힘 방지를 위한 히터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저장영역이 캐비넷이 아닌 도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보조 저장영역이 캐비넷의 저장실의 내부로 수용되게 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힌지부재가 가스켓을 관통하지 않으면서도 도어 및 컨테이너의 소망하는 회전 궤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제2힌지부재를 가스켓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스켓의 기능을 충분히 살려 냉기 누설 방지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2힌지부재의 형상에 의하면, 제2힌지부재의 전후방향 길이 등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도, 도어의 단열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힌지부재가 도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에 연결된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하중 및 이에 보관되는 식품의 하중에 의한 상기 컨테이너의 처짐, 제2힌지부재의 제2힌지축의 변형 및 이탈에 의한 컨테이너의 처짐, 제1힌지부재의 제1힌지축과 제2힌지부재의 제2힌지축의 일렬 배치가 어긋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원할하지 못한 도어의 회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 및 컨테이너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단면도로서, 도어만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제2힌지부재의 일실시예들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제2힌지부재의 일실시예들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도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장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개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개폐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개페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컨테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캐비넷(10)의 상부에는 냉장실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넷(100)의 상부에는 도어(20, 21)가 힌지부재(40)(이하 편의상 "제1힌지부재"라 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20, 21)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어(20, 21)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 21)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2)의 형상이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2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넷(10)의 하부에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다른 도어(20a)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롤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넷(10)의 상부에는 냉장실(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실(2)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원리는 냉장실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실과 같은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다른 저장영역에도 적용가능하므로, 이하 냉장실이라는 표현 대신에 "제1저장영역"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상기 제1저장영역(2)과는 다른 저장영역(2)(이하 편의상 "제2저장영역"이라 함)을 정의하는 컨테이너(100)가 구비된다. 컨테이너(100)는 도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캐비넷(10) 및 도어(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도어(20, 21)를 가지며, 우측 도어(20)에 컨테이너(100)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여, 캐비넷(10), 도어(20), 컨테이너(100)의 관계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컨테이너(100)가 캐비넷(10)에 수용된 상태이며, 도어(20)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도어(20) 만을 개방하여 컨테이너(100)에 접근할 수 있고, 도 2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어(20)는 캐비넷(1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20)는 제1힌지부재(40)를 통해서 상기 캐비넷(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부재(40)는 상기 캐비넷(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1힌지부재(40)의 회전축(42)(이하 편의상 "제1회전축")에 대해서 회동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가스켓(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사각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띠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넷(10)를 향해서 회전되어 상기 제1저장영역(2)이 밀폐되면,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부(12)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저장영역(2)에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어(20)에는, 컨테이너(100)가 제2힌지부재(2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축(206)(이하 편의상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20)에 위치하며, 상기 제1힌지부재(40)의 제1회전축(42)와는 별도로 구비된 회전축이다. 즉 상기 제1힌지부재(40)는 캐비넷(10)과 도어(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부재(200)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의 사이에 구비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가스켓(26)에 의하여 정의되는 실링영역의 외부에 제1힌지부재(40)가 위치하며, 상기 실링영역의 내부에 제2힌지부재(200)가 위치한다. 따라서, 컨테이너(100)는 제2힌지부재(200)에 의해 도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따라서 컨테이너(100)는 캐비넷(10)의 제1저장영역(2)내로 수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힌지부재(40)에 의하여 도어(2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도어(20)에 구비된 한 개의 가스켓(26)에 의하여, 제1저장영역(2) 및 컨테이너(100)가 동시에 실링 된다.
한편, 제2힌지부재(200)의 제2회전축(206)은 도어(20)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회전축(206)이 제1회전축(42)과 동축(S)이 아니면,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하고 싶은 경우에도 상기 컨테이너(100)가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축(206)은 제1회전축(42)과 실질적으로 상하 일렬 또는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다.(도 2에서 확대 부분은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의 상관 관계를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회전축(42)과 상기 회전축(206)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컨테이너(100)의 크기(좌우방향 길이(폭) 및 상하방향 길이(높이))는 실질적으로 제1저장영역(2)보다 적어도 크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1저장영역(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깊이(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1저장영역(2)의 깊이의 소정 부분을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도어(20)가 닫히는 경우에, 컨테이너(100)는 제1저장영역(2)에 위치하게 되므로, 캐비넷(10)의 전면부(12)와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 사이에서만 냉기 누설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에 1개의 가스켓(26) 만을 설치하여도 되므로, 냉기가 누설되는 부분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100)을 위한 가스켓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도어(20)를 위한 가스켓(26) 만을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가스켓의 설치로 인한 냉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가 발생하는 부분이 가스켓 설치 부분뿐이므로 히팅을 위한 히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히터의 설치 부분이 적어져서 구조가 간단해 지고 에너지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도어(2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래치(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래치(600)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도어(20)에 결합 된다.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래치(600)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을 해제한다. 상기 래치(600)에 의한,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하여, 손잡이부(22)에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래치(600)는 이미 알려져 있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주된 주제는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부(2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24)에 접근해서,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저장부(24)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를 구비하는 대신에, 컨테이너(100)의 깊이를 크게 하여,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가 점유하는 공간을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어(20)와 컨테이너(100)가 함께 개방된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저장영역(2)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하면, 상기 제1저장영역(2)이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저장영역(1)의 구조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저장실의 구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제1저장영역(2) 내에는 복수 개의 선반(4), 서랍(6)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넷(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장치(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장치(500)는,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넷(1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캐비넷(1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고정장치(500)는 본 실시예의 주된 주제는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제2힌지부재(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어 만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캐비넷(10)에는 제1저장영역(2)이 구비된다. 즉 캐비넷(10)에 의하여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 즉 제1저장영역(2)이 정의된다. 캐비넷(10)에는 상기 제1저장영역(2)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20, 21)가 연결된다. 도 4 및 도 5는 도어(20, 21)가 두 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들 들어 도어가 한 개인 경우에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제1저장영역(2)을 개폐하는 도어(20, 21)가 두 개인 경우에는, 두 개의 도어(20, 21) 중에 한 개 예들 들어 좌측에 설치된 도어(21)의 일단에는 필러(62)가 설치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20, 21)가 두 개인 경우에는 도어(20, 21)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고, 상기 간격을 막기 위하여 필러(62)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필러(62)는 회전 중심(6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좌측의 도어(21)를 개방하게 되면, 필러(62)는 좌측 도어(21)의 내측(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략 상기 좌측 도어(21)에 수직하게 되어, 상기 좌측 도어(2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상기 좌측 도어(21)가 개방된다. 상기 좌측 도어(21)가 닫히면, 필러(62)는 다시 상기 좌측 도어(21)의 외측(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대략 상기 좌측 도어(21)에 평행한 상태가 되어 상기 캐비넷(10)에 접촉하게 된다.(도 4에 도시된 상태임.) 우측 도어(20)의 개폐는 필러(62)와 무관하다. 상기 필러(62)는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며, 본 실시예의 주제는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힌지부재(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캐비넷(10)에는 2개의 도어(20, 21)가 설치된 경우는 좌우측에 각각 컨테이너 및 제2힌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우측 도어(20)에만 컨테이너(100)가 설치된 것을 예들 들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20)에는 제2힌지부재(20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컨테이너(100)가 연결된다. 컨테이너(100)는 제1저장영역(2)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이므로, 캐비넷(10)과 도어(20)의 접촉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부(12)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에만 가스켓(26)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어(20)가 닫혀 있을 때는, 가스켓(26)은 캐비넷(10)의 전면부(12) 및 필러(62)의 전면부에 접촉하여, 제1저장영역(2) 및 컨테이너(100)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힌지부재(200)는 컨테이너(100)를 도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컨테이너(100)의 회전 중심 즉 제2회전축(206)은 상기 도어(20)에 위치한다. 제2힌지부재(200)는, 제2회전축(20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부(210) 및 상기 컨테이너(100)에 고정되는 고정부(20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210)와 상기 고정부(208)를 연결하는 연결부(209)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회전축(206) 또는 상기 회전부(210)는 도어(20)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회전축(206)이 제1회전축(도 2의 42 참조-제1힌지부재의 회전축)과 동축이 아니면,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하고 싶은 경우에도 상기 컨테이너(100)가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축(206)은 제1회전축(도 2의 42)과 실질적으로 상하 일렬 또는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힌지부재(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2힌지부재(200)의 연결부(209)는, 고정부(208) 및 회전부(210)를 연결하는 직선 거리에 대응하는 형상(h1 - 도 4에서 은선으로 표시함)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의 경우에는, 도어(20) 및 컨테이너(100)의 회전 반경에 영향을 미치고, 제2힌지부재(200)가 도어(20)에 부착된 가스켓(26)을 관통하여야 한다. 따라서 가스켓(26)을 관통하지 않으면서 도어(20) 및 컨테이너(100)의 원할한 회전 궤적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2힌지부재(200)의 연결부(209)의 길이는, 고정부(208)와 회전부(210)의 직선 길이(h1)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209)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209)가 고정부(208)와 회전부(210)의 직선 길이(h1)보다 길며, 상기 연결부(209)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힌지부재(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2힌지부재(200)는 상기 회전부(210)에서 상기 도어(2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22)와, 상기 제1연장부(222)에서 상기 고정부(208)로 후방 연장되는 제2연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2힌지부재(200)의 형상을 구성하면, 컨테이너(100)가 제1저장영역(2)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20)의 열리는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부재(200)가 가스켓(26)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스켓(26)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스켓(26)의 기능을 충분히 살려 냉기 누설 방지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22)와 상기 제2연장부(230)의 사이에 제3연장부(22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연장부(224)는 상기 도어(20)의 전면과 대략 평행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연장부(230)를 구비하면, 제1연장부(222)의 길이를 작게 하면서도 상기 제3연장부(230)에 의하여 소망하는 연결부(209)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제3연장부(230)를 구비하면, 제1연장부(222)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소망하는 도어의 최대 개방 각도(컨테이너(100)가 제1저장영역(2)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20)가 최대한 열리는 각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연장부(222)의 길이가 적을수록 도어의 단열성능을 유지하는 것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제1연장부(222)의 길이가 클수록 수용공간(232) 특히 수용공간의 깊이(도어의 두께방향 길이)가 커지므로, 이에 따라 도어(20)의 단열재(256)의 두께(W1)가 작아진다. 따라서 소망하는 단열성능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제1연장부(222)의 길이가 작으면, 도어(20)의 단열재(256)의 두께(W1)가 커지고, 따라서 원하는 단열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제3연장부(230)에 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2힌지부재(200)를 가스켓(26)과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는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도어(2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를 수용하는 소정 공간 즉 수용공간(23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수용공간(232)이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232)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32)은,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가 관통하는 개구부(234)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부(210)는 상기 개구부(234)를 통하여 도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개구부(234)는 상기 가스켓(26)에 의하여 실링되는 영역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수용공간(232)의 내측은 상기 가스켓(26)을 지나쳐 가스켓(26)에 의하여 실링되는 영역의 외측에 대응되는 부분까지 연장되게 하여, 상기 수용공간(232)에서 회동하는 상기 제2힌지부재(200)가 상기 가스켓(26)과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힌지부재(200)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힌지부재(200)는 도어(20) 및 컨테이너(100)의 회전 반경, 가스켓(26)과의 간섭 방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제2힌지부재(200)는 도어(20)의 단열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20)의 열림 정도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2힌지부재(200)의 큰 회전 궤적이 필요하게 되고 그만큼 도어(20)의 두께가 두꺼워져 한다. 그런데, 도어(20)의 두께를 키우는 것도 곤란하므로, 상기 도어(20)의 단열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사항을 고려하여, 제2힌지부재(200)의 전체길이를 최소화하면서도 도어(20)의 충분한 회전궤적을 확보하고 도어(20)의 기본적인 단열 두께를 형성하기 위한, 제2힌지부재(200)의 바람직한 형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힌지부재(200)의 제1연장부(222)은 도어(20)의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도어(20)의 내측 또는 제2연장부(230) 방향으로 소정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되는 것이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연장부(222)가 전방으로 수직이 아닌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1연장부(222)가 전체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도 제1연장부(222)의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는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232)와 도어(20)의 전면 사이의 간격(W1)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간격(W1)의 부분에 단열제(256)를 발포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20)의 단열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연장부(222)가 경사지면, 수용공간(W2)와 도어(20)의 측면 사이의 간격(W2)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간격(W2)의 부분에 단열제(256)를 발포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20)의 단열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장부(230)는 곡선부(230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연장부(230)는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만곡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2연장부(230)는 상기 캐비넷(10)의 후방을 향해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곡률 또는 변해가는 곡률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20)가 개방될수록, 제2연장부(230)는 가스켓(26)과 가까워지고, 상기 제2연장부(230)가 상기 가스켓(26)과 간섭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연장부(230)는 가스켓(26)의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장부(230)는 상기 도어(20)가 회전할 때에 상기 가스켓(26)의 궤적(GT-도 6의 일점 쇄선)과 관련하여, 상기 가스켓(26)의 최외곽 궤적에 대응하되, 상기 최외곽 궤적보다 큰 궤적으로 가지도록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연장부(230)는 냉장고의 중심 방향으로 만곡되어, 도어(20)의 회전시에도 상기 도어(20)가 가스켓(26)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장부(222)와 제2연장부(230)의 간격은, 고정부(208)와 회전부(230) 사이의 좌우 방향의 직각 방향의 간격(D)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도 6 참조) 예들 들어, 대략 제1연장부(222)와 제2연장부(230)의 간격 중의 소정 부분은, 고정부(208)와 회전부(230) 사이의 좌우 방향의 최소 간격(D)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힌지부재(200)의 형상은 도어(20)의 개방 각도와 관련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20)가 최대한 열리기 전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200)는 상기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의 일측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20)가 최대한 열리기 전에 상기 제2힌지부재(200)는 상기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의 일측에 접촉하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만 개방하려는 경우에도 컨테이너(100)가 같이 개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어(20)가 열릴 때, 상기 제2힌지부재(200)가 상기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의 일측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하려면, 제2힌지부재(200)의 전후방향 길이 예들 들어 제1연장부(222)의 길이를 길게 하면 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수용공간(232)과 도어(20)의 외면 사이의 간격(W1)이 작아져, 단열 성능의 저하가 우려된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어(20)의 두께를 기존보다 크게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제2힌지부재(200)는 상기 개구부(234)의 일측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의 일측에는 간격유지부(27)가 구비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27)는 가스켓(26)의 일측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20) 만을 열때 상기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점점 커져서 소정 각도가 되면,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가 간격유지부(27)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도어(20)의 열림을 제한하게 된다. 제2힌지부재(200)의 소정 부분이 간격유지부(27)에 접촉할 때에 컨테이너(100)는 여전히 제1저장영역(2)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100)가 제1저장영역(2)에 수용된 상태에서의 도어(20)가 최대한 열리는 한계 각도가 정해진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한계 각도를 도어(20)의 열림각을 "컨테이너(100)에 대한 도어(20)의 최대 열림각"이라고 표현 한다. 컨테이너(100)에 대한 도어(20)의 최대 열림각은,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가 도어(20)의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의 일측에 접촉하기 시작했을 때의 도어 열림각으로 부터 사용자가 도어(20)에 계속 힘을 가하여 결국 컨테이너(100)가 캐비넷(20)의 제1저장공간(2)의 전면으로 돌출하여 이탈되려고 하는 도어 열림각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에 대한 도어(20)의 최대 열림각은 대략 90도 - 110도가 바람직하다.
컨테이너(100)에 대한 도어(20)의 최대 열림각에서 도어(20)를 계속 열게 되면, 컨테이너(100)가 열리게 되므로, 상기 컨테이너(100)를 캐비넷(20)에 록킹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20)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간격유지부(27)는 상기 잠금장치와 같은 캐비넷(20)을 록킹하기 위한 구성이 없을 때에도 가스켓(26)과 도어(20)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가스켓(26)과 상기 도어(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 만을 여는 경우에, 상기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되면, 즉 컨테이너(100)가 열리기 시작하려는 각도가 되면, 상기 도어(20)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가 상기 도어(20)와 캐비넷(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100)가 제1저장영역(2)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20)의 개방각을 한계 각도로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가 상기 도어(20)의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 일측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간격유지부(27) 등과 같은 구성이 없어도 도어(20)와 가스켓(26)가 사용자의 과도한 도어의 개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잠금장치나 상기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고, 컨테이너(100)와 도어(20)가 함께 열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도 컨테이너에 대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은 유지된다. 이때 컨테이너에 대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은 캐비넷에 대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과는 다르며, 따라서 사용자는 컨테이너(100)의 후방으로도 제2저장영역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며, 도어(20)와 제2힌지부재(2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도어(20)와 제2힌지부재(200)의 결합의 기본적 구조를 설명한다.
컨테이너(100)는 제2힌지부재(200)에 의하여 도어(20)에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식품이 보관된다. 따라서, 컨테이너(100)의 하중 및 상기 컨테이너(100)에 보관되는 식품의 하중이 제2힌지부재(200)와 도어(20)의 결합 부분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중에 의하여 컨테이너(100)의 처짐이 발생하거나,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부(210)를 지지하는 부분 등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컨테이너(100)가 제1저장영역(2)에 제대로 안착되지 못할 수 있고, 또한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 중심이 제2회전축(206)과 일렬로 정렬되지 못하여 상기 컨테이너(100)의 회전이 원할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컨테이너(100)의 회전축(206)이 캐비넷(10)에 있지 않고 도어(10)에 있는 구조에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20)의 내측 패널(254)과 외측 패널(252)의 사이에 소정 강도를 가지는 지지부재(260)를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부재(260)가 제2힌지부재(200)의 어느 한 부분에 실질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 패널(254)과 상기 외측 패널(252)의 사이는 단열재(256)를 발포함으로써, 상기 단열재(256)와 상기 지지부재(260)의 결합력(Bonding Force)를 갖도록 하여, 상기 컨테이너(100) 및 식품의 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지지부재의 바람직한 형상은 후술함) 즉 상기 지지부재(26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및 하부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부를 연결하여, 컨테이너(100)와 상기 컨테이너(100)에 보관되는 식품의 하중이 상기 제2힌지부재(200)에 연결된 지지부재(260)를 통하여 도어(20)에 분산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중심이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처짐 등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6)는 상부 및 하부의 제2힌지부재(200)의 어느 한 부분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지지부재(260)는 제2힌지부재(200)뿐만 아니라 제1힌지부재(도 3의 40)의 일부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힌지부재는 도어(2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캐비넷(10)과 도어(2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부 제1힌지부재(40)의 회전부를 지지하는 부분과 상부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부를 지지하는 부분을 연결하고, 연결된 부분을 지지부재(260)에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에 구비되는 제1힌지부재 및 제2힌지부재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컨테이너(100)와 상기 컨테이너(100)에 보관되는 식품의 하중이 상기 제2회전축(206), 상기 지지부재(26) 및 상기 제1회전축(42)을 통해 캐비넷(10)에 전달되게 하여, 컨테이너(100)를 확실하게 도어(20)에 지지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42)과 상기 제2회전축(206)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힌지부재(200)의 일부분을 지지부재(260)에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조립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제2힌지부재(200)를 위한 장착부재(27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상기 지지부재(260)에 장착부재(270)를 결합하고, 상기 장착부재(270)에 제2힌지부재(20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장착부재(270)는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장착부재의 바람직한 형상은 후술함)
한편, 상기 지지부재(260)에 장착부재(270)를 결합하고, 상기 장착부재(270)에 제2힌지부재(200)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브라켓(28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들 들어, 내측 패널(254)에 브라켓(280), 장착부재(270) 및 지지부재(26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단열재(256)를 발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컨테이너(200)가 도어(20)에 결합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컨테이너(100)의 하중 및 이에 보관되는 식품의 하중에 의한 상기 컨테이너(100)의 처짐, 제2힌지축(206)의 변형 및 이탈에 의한 컨테이너(100)의 처짐, 제1힌지축과 제2힌지축(206)의 일렬 배치가 어긋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원할하지 못한 도어(20)의 회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도어(20)의 바람직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도어에 유사하게, 도어(20)는 내측 패널(254)과 외측 패널(252)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패널(254)과 상기 외측 패널(252)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패널(254)과 외측 패널(252)의 사이에는 지지부재(260)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재(260)의 형상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지지부재(260)는 제2힌지부재(200)가 도어(20)에 결합되는 부분을 상하로 점유하는 형상 예를 들어 소정 폭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제 발포시에 발생하는 압력을 고려하여, 지지부재(260)에는 단열재의 발포 압력이 분산되고 단열제와 접합 면적을 늘일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6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60)는 소정 강도를 가지도록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60)의 상부 및 하부에는 대략 수평하게 결합부재(266, 268)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266, 268)는 지지부재(260)에 나사(268a)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66, 268)에 제1힌지부재(40)의 제1회전축(42)이 삽입되는 축공(286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힌지부재(200)의 제2회전축(206)이 삽입되는 축공은 상기 지지부재(260)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지지부재(200)가 아닌 별도의 부재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들 들어, 축공(272a)을 가지는 장착부재(27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재(270)를 상기 지지부재(260)와 결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이렇게 구성하면, 지지부재(260)와 장착부재(270)는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로 내측 패널(254)과 외측 패널(252)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내측 패널(254)과 상기 외측 패널(252)의 사이에서 단열제를 발포할 때, 발포압력에 의하여 제1힌지부재의 축공과 제2힌지부재의 축공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60)의 소정 위치에는 절개부(264)가 구비되어, 상기 절개부(264)에 제2힌지부재(200)가 장착되는 장착부재(27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270)에는 브라켓(28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200)는 상기 브라켓(280)의 개구부(281)를 통하여 상기 장착부재(270)에 결합된다. 상기 장착부재(270) 및 브라켓(280)은 소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상기 장착부재는(270)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상기 브라켓(280)은 스틸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260)의 상부에 직접 제1힌지부재(40)의 제1회전축(42)이 삽입되는 축공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260)에 제1힌지부재(40)의 제1회전축(42)을 위한 축공(또는 제1힌지부재에 축공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회전축) 및 제2힌지부재(200)의 제2회전축(206)을 위한 축공(또는 제2힌지부재에 축공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회전축)을 같이 구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도, 제1회전축(42)의 축공과 제2회전축(206)의 축공은 모두 지지부재(260)에 구비되므로, 내측 패널(254)과 외측 패널(252)의 사이에 단열제를 발포할 때 발포압력에 의하여 제1회전축(42)의 축공과 제2회전축(206)의 축공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1힌지부재(40)의 제1회전축(42)이 삽입되는 축공과 제2힌지부재(200)의 제2회전축(206)이 삽입되는 축공은, 상기 지지부재(260)이 아닌 별도의 부재에 형성시켜, 상기 지지부재(260)와 결합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여, 장착부재(27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착부재(270)는 기본적으로 제2힌지부재(200)가 장착되는 안착부(272)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272)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의 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200)가 상기 안착부(272)에 조립할 때 조립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재(270)는 도어(20)의 수용공간(23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72)의 소정 위치에는 제2힌지부재(200)의 제2회전축(206)이 삽입되는 축공(272a)이 구비된다. 상기 축공(278)에는 원통 형상의 부시(272b)가 구비되어, 상기 부시(272b)에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제2회전축(206)이 삽입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회전축(206)이 제2힌지부재(200)에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축(206)에 대응하는 축공(272a)이 안착부(272)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안착부(272)에 제2힌지축(206)이 구비되고, 제2힌지부재(200)에 이에 대응하는 축공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안착부(272)의 전방에는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도 7 참조)에 대응하는 개구부(271)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격벽(27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부(272)의 좌우측에는 지지부재(260)와 결합되는 결합부(27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76)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구멍(276a)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260)에는 이에 대응하는 구멍(268a)이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재(270) 및 상기 지지부재(260)는 나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도어(20)의 개폐시에 상기 개구부(2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29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20)가 개방된 경우에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는 냉장고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 상기 개구부(234)를 통하여 이물질 등이 들어갈 수 있고 미관상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개폐부재(29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부재(290)는 도어(20)의 수용공간(232)의 개구부(23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294)를 포함한다. 상기 개페부(294)의 일측에는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292)가 연결된다. 상기 개폐부(294)의 형상은 대략 상기 개구부(2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294)는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20)가 개방될 때는 상기 개폐부(294)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294)가 펼쳐져서 상기 도어(20)의 개구부(234)를 막는다.(도 7 참조) 상기 도어(20)가 닫힐 때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200)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294)가 압축되어 상기 도어(20)의 개구부(234)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한편, 상기 개폐부재(290)는 상기 도어(20)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상기 도어(20)에 하우징(300)을 결합시키고, 상기 하우징(300)에 상기 개폐부재(290)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300)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어(20)의 내측 패널(254)에 결합되는 브라켓(280)(도 7 참조)을 하우징(300)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개폐부재(290) 및 상기 하우징(300)의 보다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개폐부재(290)의 개폐부(294)의 전면에는 리브(29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294a)는 폭이 좁은 띠 형상으로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형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294a)는 개폐부(294)가 제2힌지부재(200)와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개폐부(294)가 제2힌지부재(200)와 마찰력에 의하여 도어(20)의 개구부(234)의 내측이 아닌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부재(200)는 개폐부(294)의 리브(294a)와 선접촉하므로, 개폐부(294a) 전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294)는 결합부(292)에 대하여 내측으로 즉 상기 개폐부(294a)가 접혀지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94)와 상기 결합부(292)의 연결부위(개폐부재의 후면)에는 리브(294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294)가 제2힌지부재(200)에 의하여 접혀질 때, 상기 리브(294b)에 의하여 상기 리브(294b)가 형성된 연결부위에서 접혀지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294b)에 의하여, 개폐부(294)가 접힌 후 다시 복귀할 때 복원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결합부(292)의 상하부에는 상기 개폐부(294) 방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연결부(292a)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292a)에 조립공(292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공(292b)에 상기 하우징(300)의 후크(310)가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290)가 상기 하우징(3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제2힌지부재(200)의 고정부(208)의 형상 및 컨테이너(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어(20)에는 지지부재(260)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260)에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부(210)가 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부재(200)의 고정부(208)는 소정 강도는 가지는 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컨테이너(100)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바스켓(12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스켓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110)의 소정 위치에 홈(112)을 구비하고, 상기 홈(112)에 제2힌지부재(200)의 고정부(208)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제2힌지부재(200)을 나사(110a)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부재(200)는 대략 판상의 부재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2힌지부재(200)의 회전부에는 제2회전축(206)이 구비될 수 있다. 제2힌지부재(200)의 고정부(208)는 다른 부위보다 넓은 면적을 사용하여, 컨테이너(100)의 프레임(110)과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에서는 제2힌지부재(200)의 고정부(208)가 수직 방향으로 판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제2힌지부재(200)의 고정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판상으로 구성하며, 굽힘 하중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캐비넷 20: 도어
26: 가스켓 40: 제1힌지부재
100: 컨테이너 200: 제2힌지부재

Claims (34)

  1.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넷과;
    상기 제1저장영역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제1저장영역을 실링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가스켓에 의하여 정의되는 실링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캐비넷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재와;
    제2저장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실링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힌지부재의 회전축과 상하 일렬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제2힌지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재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직선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곡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고정부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3연장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2연장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가스켓의 최외곽 회전 궤적 보다 큰 회전 궤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의 사이의 간격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의 좌우 방향의 최소 간격보다 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는 곡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장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는, 상기 가스켓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도어가 열리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렸을 때, 상기 컨테이너가 열리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제1저장영역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최대한 열릴 수 있는 제한 각도(컨테이너에 대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가 정해지며, 상기 도어가 상기 제한 각도를 넘어서 개방되어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제1저장영역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한 각도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각도는 90도 - 1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각도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가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는 간격유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한 각도에서, 상기 제2힌지부재가 상기 간격유지부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과,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의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재의 회전부가 위치하는 부분을 점유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발포되는 단열재가 삽입되는 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장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2힌지부재의 일부는 상기 장착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제2힌지부재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장착부재의 사이에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전면에는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개폐부의 사이에는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124615A 2013-06-14 2013-10-18 냉장고 KR20140145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11011.7A EP3008406B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EP21212838.3A EP3985336A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US14/898,081 US9709317B2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PCT/KR2014/005270 WO2014200321A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KR1020217038940A KR102498975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57036306A KR102245368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27033787A KR102585503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157036307A KR102245369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PCT/KR2014/005268 WO2014200320A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EP14811325.1A EP3008407B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US14/898,373 US9651295B2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KR1020217011923A KR102334631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KR1020217011924A KR102450244B1 (ko) 2013-06-14 2014-06-16 냉장고
EP18169806.9A EP3372927A1 (en) 2013-06-14 2014-06-1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251 2013-06-14
KR1020130068251 2013-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925A true KR20140145925A (ko) 2014-12-24

Family

ID=5267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615A KR20140145925A (ko) 2013-06-14 2013-10-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59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00A1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600A1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232144A4 (en) * 2016-01-05 2018-09-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451332B2 (en) 2016-01-05 2019-10-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859307B2 (en) 2016-01-05 2020-12-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68B1 (ko) 냉장고
EP2370765B1 (en)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50233629A1 (en) Refrigerator
US20110023527A1 (en) Refrigerator
US20110023528A1 (en) Refrigerator
US20130264931A1 (en) Refrigerator
KR20100046921A (ko) 냉장고
US9568239B2 (en) Refrigerator
US20210262722A1 (en) Refrigerator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32608A (ko) 냉장고
KR20140145925A (ko) 냉장고
KR101437987B1 (ko) 내부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EP4296596A1 (en) Refrigerator
KR102377308B1 (ko) 냉장고
KR20090040948A (ko) 냉장고
KR20230116579A (ko) 냉장고
KR20240001019A (ko) 냉장고
WO2021142519A1 (en) Endcap assembly for a door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KR101771593B1 (ko) 냉장고
JP2010107067A (ja) 冷蔵庫
AU2013369277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two freezing compar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