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743A -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743A
KR20140145743A KR1020130068243A KR20130068243A KR20140145743A KR 20140145743 A KR20140145743 A KR 20140145743A KR 1020130068243 A KR1020130068243 A KR 1020130068243A KR 20130068243 A KR20130068243 A KR 20130068243A KR 20140145743 A KR20140145743 A KR 20140145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zone
wind
group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466B1 (ko
Inventor
최세휴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6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6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determination or the vari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with height to measure the vertical components of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장치는,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건물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건물 파라미터 산출부; 및 상기 건물에 관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노풍도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GROUND SURFACE ROUGHNESS USING BUILDING PARAMETER}
본 발명은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설계에 있어서 바람의 영향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항목 중 하나이다. 풍속과 같은 바람의 특성은 건설지점의 주변 지역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주변 지역에 의해 풍속이 빨라지는 경우 건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바람이 건물에 가하는 하중을 고려하기 위해, 건축물 설계 시 풍하중을 계산하며, 풍하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설계풍속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설계풍속은 지표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노풍도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건축물 설계 시 주변 지역의 노풍도가 설계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그로 인해 건축물의 안전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역의 노풍도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장치는,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의 개수 또는 건물의 면적을 포함하는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노풍도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각 구역이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대상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에 관한 정보;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에 관한 정보; 및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를 계산하거나,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건물 정보 가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상기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고,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1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에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에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상기 평균값은: 상기 대상 영역 내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를 합산하고, 합산한 값을 상기 대상 영역 내 구역의 개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며, 상기 표준편차값은: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평균값을 감산하여 제곱하고, 제곱한 값을 모든 구역에 대하여 합산하고 상기 대상 영역 내 구역의 개수로 나누어 분산값을 계산하고, 상기 분산값의 제곱근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상기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 또는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건물의 높이가 기 설정된 기준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고, 건물의 높이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작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구역에 대하여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1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각 구역에 대하여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2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각 그룹에 대하여 산출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그룹에 대한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고, 구역의 각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1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며,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3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며, 구역의 제 1 및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3 노풍도는 상기 제 4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치는: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이며, 상기 제 2 기준치는: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방법은,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의 개수 또는 건물의 면적을 포함하는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영역을 기 설정된 면적을 갖는 단위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에 관한 정보;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에 관한 정보; 및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 방법은: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를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단계; 또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1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및 구역 내에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에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 또는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 방법은: 건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건물의 높이가 기 설정된 기준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건물의 높이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작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 구역에 대하여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1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 구역에 대하여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2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각 그룹에 대하여 산출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그룹에 대한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 구역의 각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 및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1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 내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 내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1 및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 또는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3 노풍도는 상기 제 4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치는: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이며, 상기 제 2 기준치는: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의 노풍도를 합리적으로 산정함으로써, 설계풍속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게 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축물의 경제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된 대상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된 대상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가 산정된 목표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나타낸 대상 영역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건축물 설계 시, 바람에 의한 설계하중을 계산하기 위해 설계풍속을 산출한다. 이에 대해, 건축구조기준(KBC) 2009에서 제시하는 설계풍속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위 수학식에서 설계풍속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로서, V0는 지역별 기본풍속이며, Kzr은 풍속고도분포계수이며, Kzt는 지형의 영향를 고려하기 위한 지형계수, Iw는 건물의 중요도계수이다.
풍속고도분포계수(Kzr)는 건물의 건설지점의 노풍도와 그에 따른 대기경계층시작 높이(Zb), 기준경도풍높이(Zg) 및 풍속고도분포지수(α)를 고려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산정된다:
Figure pat00002
또한, 대기경계층시작높이(Zb), 기준경도풍 높이(Zg) 및 풍속고도분포지수(α)는 노풍도에 따라 아래의 표 2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pat00003
건축구조기준(KBC) 2009에서 제시하고 있는 노풍도는 건설지점 주변지역의 지표면 상태에 따라 아래의 표 3과 같이 분류된다.
Figure pat00004
지형계수(Kzt)는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을 고려한 계수로서, 평지와 같이 바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역에서는 1.0으로 설정된다. 하지만, 산, 언덕 및 경사지와 같이 풍속할증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지형계수가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기본풍속(V0)은 설계풍속을 구할 때 기본값으로 적용하는 지역별 풍속으로서, 지표면의 상태가 노풍도 C이고 평탄한 지형의 지상높이 10m에서 10분간 평균풍속의 재현기간 100년에 해당하는 풍속이다. 기본풍속은 건설지점이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다만, 건설지점이 등풍속선 사이에 위치한 경우에는 등풍속선 사이의 값을 보간하여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중요도계수(Iw)는 건축물의 사용년수에 따른 안전율을 나타내는 계수로서, 건물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Figure pat00007
전술한 설계풍속 계산 과정 중, 표 3과 같이 주변 지역의 노풍도를 구분하는 경우, 설계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어 주변 지역의 노풍도가 부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상기 건물에 관한 파라미터에 따라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목표 영역의 노풍도가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산정될 수 있어 건축물의 안전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정보 획득부(111)및 노풍도 산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의 개수 또는 건물의 면적을 포함하는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영역은 노풍도를 산정하고자 하는 영역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표 영역은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목표 영역은 대상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역 중 어느 한 구역이거나, 둘 이상 구역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저장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는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는 상기 대상 영역의 전자지도(digital map), 및 상기 대상 영역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측량 데이터는 지상측량, GPS 측량, 항공사진측량, 레이더(radar) 측량 및 라이더(LiDAR) 측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얻어진 데이터일 수 있으나, 상기 측량 데이터를 얻기 위한 측량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지리정보를 불러와 상기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지리정보는 대상 영역에 위치한 건물에 관한 정보, 예컨대 건물의 위치, 건물의 높이, 건물의 층수, 건물의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통신부(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는 상기 대상 영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 예컨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지리정보를 수신하여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입력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영역에 관한 정보는 입력부(1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된 대상 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된 대상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영역은 설계풍속을 계산할 때 고려하는 영역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영역(20)은 원형의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영역(20)은 기 결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 영역(20)은 건축물의 건설지점을 중심으로 건축물 높이의 40 배와 3 km 중 작은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일 수 있으나, 상기 영역의 모양이나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대상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사각형을 포함한 임의의 다각형의 영역일 수도 있으며, 부채꼴의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3)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영역(20)을 설정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대상 영역(20)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입력부(13)를 통해 건축물의 건설지점을 지정하는 데이터, 예컨대 건설지점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건축물의 높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입력된 건설지점을 중심(21)으로 건축물 높이의 40 배 및 3 km 중 작은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나, 상기 영역의 모양이나 크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의 모양이나 크기는 입력부(1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축물의 건설지점을 지정하는 데이터는 건설지점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로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건설지점의 지번, GPS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상기 대상 영역(20)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영역(20)은 소정의 면적이나 형상을 갖는 단위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각 구역이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대상 영역(20)을 분할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20)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역은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수의 구역 각각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각 구역에 위치한 건물(x)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층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건물의 층수에 기 설정된 높이(예컨대, 3 m)를 곱하여 상기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보 획득부(111)는 건물의 층수에 기 설정된 높이를 곱하는 대신,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를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건물 정보 가공부(1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를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상기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대상 영역(20) 내 각 구역마다, 구역의 면적을 단위면적으로 나누어 얻은 값으로 구역 내 건물의 개수를 나누어,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20) 내 일 구역의 면적이 500 m2이고, 해당 구역 내 건물의 개수가 15 개이며, 단위면적이 100 m2로 설정된 경우, 상기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해당 구역의 건물 파라미터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건물 파라미터 = 구역 내 건물의 개수 ÷ (구역의 면적 / 단위면적) = 15 ÷ 500/100 = 3
다른 예로, 상기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할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상기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대상 영역(20) 내 각 구역마다, 구역 내 건물들의 면적을 합산하고, 구역의 면적을 단위면적으로 나누어 얻은 값으로 상기 합산하여 얻은 값을 나누어, 단위면적당 건물 면적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20) 내 일 구역의 면적이 500 m2이고, 해당 구역 내에 면적이 70 m2인 건물 A와 80 m2인 건물 B와 60 m2인 건물 C가 위치하며, 단위면적이 100 m2인 경우, 상기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해당 구역의 건물 파라미터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건물 파라미터 = 구역 내 건물 면적의 합 ÷ (구역의 면적 / 단위면적) = (70 + 80 + 60) ÷ (500 / 100) = 4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물의 면적은 건물의 건축면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적, 연면적, 대지면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위면적은 100 m2로 설정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그보다 작거나 큰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대상 영역을 구성하는 각 구역의 면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 또는 건물 면적을 산출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건물 파라미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건물 파라미터는 각 구역 내 건물의 개수 또는 건물의 면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표 영역은 대상 영역(20)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목표 영역은 건축물의 건설지점을 중심으로 건축물 높이의 40 배와 3 km 중 작은 길이를 반경으로 하며 중심각이 45°인 부채꼴 형상의 영역일 수 있으나, 상기 영역의 크기나 모양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우선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고, 그러고 나서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기 위해,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1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에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에 제 3 노풍도를 할당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같이,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이 건물의 높이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은 경우, 노풍도는 세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노풍도는 제 3 노풍도로부터 제 1 노풍도로 갈수록 지표면이 거칠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의 노풍도 구분을 참조하면, 제 1 노풍도는 노풍도 B에 대응하고, 제 2 노풍도는 노풍도 C에 대응하고, 제 3 노풍도는 노풍도 D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치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즉, 평균값 + (계수 × 해당 구역의 표준편차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평균값은 대상 영역(20) 내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를 합산하고, 합산한 값을 상기 대상 영역(20) 내 구역의 개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균값은 대상 영역(20)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부터 산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균값은 대상 영역(20)을 포함하는 더 넓은 영역(예컨대, 구, 시 등에 해당하는 영역)을 구성하는 구역들의 건물 파라미터를 합산한 뒤, 합산하여 얻은 값을 상기 더 넓은 영역 내 구역의 개수로 나누어 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준편차값은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평균값을 감산하여 제곱하고, 제곱한 값을 모든 구역에 대하여 합산하고 상기 대상 영역(20) 내 구역의 개수로 나누어 분산값을 계산한 뒤, 상기 분산값의 제곱근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는 1.96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1.96보다 크거나 작은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대상 영역(20) 내 각 구역의 노풍도가 산정된 경우,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목표 영역 내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노풍도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둘 이상의 노풍도 중에서 등급이 낮은 노풍도가 선택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등급이 높은 노풍도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즉, 거칠기가 가장 낮은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가 산정된 목표 영역(3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노풍도를 구하고자 하는 목표 영역(30)이 상기 대상 영역과 동일한 경우이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목표 영역(30)은 대상 영역의 일부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표 영역(30)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역의 노풍도가 산정된 경우,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목표 영역(30)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인 B와 D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중 등급이 낮은 노풍도인 D를 상기 목표 영역(30)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목표 영역(30)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인 D를 상기 목표 영역(30)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대상 영역 내 건물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나타낸 대상 영역(2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건물의 높이가 기 설정된 기준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고, 건물의 높이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작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준 높이는 30 m이나, 상기 기준 높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30 m보다 더 작거나 큰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나, 그룹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셋 또는 그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룹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기준 높이의 개수 역시 많아질 것이다.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을 높이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한 경우,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각 그룹마다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구역 내 제 1 그룹 건물(·)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 개수를 산출하고, 구역 내 제 2 그룹 건물(x)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구역 내 제 1 그룹 건물(·)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 면적을 산출하고, 구역 내 제 2 그룹 건물(x)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이 건물의 높이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각 그룹에 대하여 산출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그룹별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할 수 있으며, 구역의 그룹별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이 두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구역의 노풍도 산정 시,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1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3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역의 제 1 및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가 산정된 경우, 상기 노풍도 산정부(112)는 제 1 및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즉, 거칠기가 가장 높은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노풍도로부터 제 1 노풍도로 갈수록 지표면이 거칠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과 같은 노풍도 구분의 경우, 제 1 노풍도는 노풍도 A에 대응하고, 제 2 노풍도는 노풍도 B에 대응하고, 제 3 노풍도는 노풍도 C에 대응하고, 제 4 노풍도는 노풍도 D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노풍도를 네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나, 노풍도 등급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넷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준치는,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즉, 제 1 그룹 평균값 + (계수 ×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 표준편차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치는,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즉, 제 2 그룹 평균값 + (계수 ×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 표준편차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계수는 1.96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1.96보다 크거나 작은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정보 획득부(111), 노풍도 산정부(112) 및 건물 정보 가공부(1111)는 노풍도를 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노풍도 산정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예컨대 CPU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풍도를 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상기 저장부(12)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불러와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장치(100)는 출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정된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14)는 소정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예컨대 LCD, PD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풍도 산정 방법(300)은, 대상 영역(20)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31),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 상기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영역(20)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31)는, 상기 대상 영역(20)을 기 설정된 면적을 갖는 단위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영역(20)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역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각 구역의 면적이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는, 저장부(12)에 저장된 대상 영역(20)에 대한 지리정보를 불러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는, 대상 영역(20)에 대한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서버(200)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200)로부터 대상 영역(20)에 대한 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는 입력부(1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영역(20)에 대한 지리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영역(20)에 대한 지리정보는, 상기 대상 영역의 전자지도(digital map), 및 상기 대상 영역을 측량하여 얻은 측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량 데이터는 지상측량, GPS 측량, 항공사진측량, 레이더(radar) 측량 및 라이더(LiDAR) 측량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얻어진 데이터일 수 있으나, 상기 측량 데이터를 얻기 위한 측량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리정보는 대상 영역(20)에 위치한 건물에 관한 정보, 예컨대 건물의 위치, 건물의 높이, 건물의 층수, 건물의 면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2)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층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건물의 층수에 기 설정된 높이(예컨대, 3 m)를 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건물의 층수에 소정의 높이를 곱하는 대신 각 건물의 높이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 방법(300)은,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를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 방법(300)은,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물의 면적은 건물의 건축면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적, 연면적, 대지면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1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및 구역 내에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에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같이,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을 높이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지 않은 경우, 노풍도는 세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노풍도는 제 3 노풍도로부터 제 1 노풍도로 갈수록 지표면이 거칠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의 노풍도 구분을 참조하면, 제 1 노풍도는 노풍도 B에 대응하고, 제 2 노풍도는 노풍도 C에 대응하고, 제 3 노풍도는 노풍도 D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즉, 평균값 + (계수 × 해당 구역의 표준편차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계수는 1.96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각 구역의 노풍도가 산정되면,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목표 영역 내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노풍도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노풍도 중에서 등급이 낮은 노풍도가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선택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등급이 높은 노풍도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즉, 거칠기가 가장 낮은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은 높이에 따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 그룹마다 건물 파라미터가 산출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풍도 산정 방법(300)은 건물의 높이에 따라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물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건물의 높이가 기 설정된 기준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건물의 높이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작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높이는 30 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보다 작거나 큰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 구역에 대하여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1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 구역에 대하여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2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나, 그룹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셋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역마다 각 그룹별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가 산출되면,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각 그룹에 대하여 산출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그룹에 대한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20) 내 건물들이 높이에 따라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1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및 구역 내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및 구역 내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구역의 각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가 제 1 노풍도로 산정되고,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가 제 4 노풍도로 산정된 경우, 해당 구역의 노풍도는 두 노풍도 중에서 더 높은 등급을 갖는 제 1 노풍도로 산정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를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S33)는,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를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내지 제 4 노풍도는 제 4 노풍도로부터 제 1 노풍도로 갈수록 지표면이 거칠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3과 같은 노풍도 구분의 경우, 제 1 노풍도는 노풍도 A에 대응하고, 제 2 노풍도는 노풍도 B에 대응하고, 제 3 노풍도는 노풍도 C에 대응하고, 제 4 노풍도는 노풍도 D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노풍도를 네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나, 노풍도 등급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넷보다 많거나 적을 수도 있다.
상기 제 1 기준치는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즉, 제 1 그룹 평균값 + (계수 ×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 표준편차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치는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즉, 제 2 그룹 평균값 + (계수 ×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 표준편차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수는 1.96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1.96보다 크거나 작은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풍도 산정 방법(300)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10: 통신부
11: 처리부
12: 저장부
13: 입력부
14: 출력부
100: 노풍도 산정 장치
111: 정보 획득부
1111: 건물 정보 가공부
112: 노풍도 산정부

Claims (28)

  1.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및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의 개수 또는 건물의 면적을 포함하는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노풍도 산정부;
    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각 구역이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상기 대상 영역을 분할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부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에 관한 정보;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에 관한 정보; 및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를 계산하거나,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건물 정보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상기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고,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1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에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에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은 노풍도 산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인 노풍도 산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값은:
    상기 대상 영역 내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를 합산하고,
    합산한 값을 상기 대상 영역 내 구역의 개수로 나눔으로써 산출되며,
    상기 표준편차값은: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로부터 상기 평균값을 감산하여 제곱하고,
    제곱한 값을 모든 구역에 대하여 합산하고 상기 대상 영역 내 구역의 개수로 나누어 분산값을 계산하고,
    상기 분산값의 제곱근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되는 노풍도 산정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상기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 또는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
    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건물의 높이가 기 설정된 기준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고,
    건물의 높이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작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구역에 대하여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1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각 구역에 대하여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2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각 그룹에 대하여 산출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그룹에 대한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고, 구역의 각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노풍도 산정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풍도 산정부는: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1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며,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3 노풍도를 할당하고,
    구역 내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며,
    구역의 제 1 및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3 노풍도는 상기 제 4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은 노풍도 산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치는: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이며,
    상기 제 2 기준치는: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인 노풍도 산정 장치.
  15.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의 개수 또는 건물의 면적을 포함하는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대상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영역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영역을 기 설정된 면적을 갖는 단위구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 내 건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에 관한 정보;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에 관한 정보; 및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높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를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개수를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단계; 또는
    각 구역에 포함된 건물의 면적을 기반으로 각 구역의 단위면적당 건물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건물 파라미터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1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에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및
    구역 내에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에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은 노풍도 산정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에 대한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인 노풍도 산정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 또는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
    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23. 제 15 항에 있어서,
    건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을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건물의 높이가 기 설정된 기준 높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1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건물의 높이가 상기 기준 높이보다 작은 경우, 해당 건물을 제 2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그룹에 대하여 구역 내 해당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 구역에 대하여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1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각 구역에 대하여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하여 제 2 건물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각 그룹에 대하여 산출된 건물 파라미터에 따라 각 그룹에 대한 구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
    구역의 각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 및
    각 구역의 노풍도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풍도 산정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를 산정하는 단계는: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1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가 제 1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 내 제 1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1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2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가 제 2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3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 내 제 2 그룹에 속하는 건물이 없는 경우, 해당 구역의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로 제 4 노풍도를 할당하는 단계;
    구역의 제 1 및 제 2 그룹에 대한 노풍도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노풍도를 해당 구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영역 내 각 구역의 노풍도 중에서 최빈수에 해당하는 노풍도, 또는 등급이 가장 낮은 노풍도를 상기 목표 영역의 노풍도로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풍도는 상기 제 2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2 노풍도는 상기 제 3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고, 상기 제 3 노풍도는 상기 제 4 노풍도보다 지표면의 거칠기가 더 높은 노풍도 산정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치는: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1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1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이며,
    상기 제 2 기준치는: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표준편차값에 기 설정된 계수를 곱한 값과, 구역의 제 2 그룹 건물에 기초한 제 2 건물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합산한 값인 노풍도 산정 방법.
  28.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 1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풍도 산정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30068243A 2013-06-14 2013-06-14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243A KR101512466B1 (ko) 2013-06-14 2013-06-14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243A KR101512466B1 (ko) 2013-06-14 2013-06-14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743A true KR20140145743A (ko) 2014-12-24
KR101512466B1 KR101512466B1 (ko) 2015-04-16

Family

ID=5267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243A KR101512466B1 (ko) 2013-06-14 2013-06-14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4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466B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706B1 (ko)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440459B1 (ko)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4710B1 (ko)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설계풍속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2466B1 (ko)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622356B1 (ko) 경사도를 이용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512463B1 (ko) 건물 파라미터를 이용한 설계풍속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4713B1 (ko) 지표면 높이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2461B1 (ko) 회귀분석을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2458B1 (ko) 밀집도 분석을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657636B1 (ko) 정점과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이용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621862B1 (ko) 정점과 구조물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이용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586018B1 (ko)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512455B1 (ko) 밀집도 분석 및 건물 개수를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2453B1 (ko) 밀집도 분석을 이용한 설계풍속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657638B1 (ko)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471957B1 (ko) 지형계수를 고려한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626501B1 (ko) 풍하중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514711B1 (ko) 용도지역을 이용한 노풍도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9072B1 (ko) 표본 수집을 통한 설계풍속 산정 장치 및 방법
KR101513185B1 (ko) 풍하중 계산을 위한 정점높이 산정 장치 및 방법
KR20140105264A (ko) 회귀분석을 이용한 지표면 조도 산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