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545A - Embroidering machine - Google Patents

Embroider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545A
KR20140145545A KR1020140063741A KR20140063741A KR20140145545A KR 20140145545 A KR20140145545 A KR 20140145545A KR 1020140063741 A KR1020140063741 A KR 1020140063741A KR 20140063741 A KR20140063741 A KR 20140063741A KR 20140145545 A KR20140145545 A KR 20140145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tension
upper thread
embroidery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7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겐지 구사카베
Original Assignee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갼다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5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8Thread-tensioning arrangements
    • D05C11/10Guid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embroidering machine which can simplify a thread pathway of a head of the embroidering machine. The embroidering machine includes: an embroidering needle in which an upper thread (28) is inserted; and a thread take-up lever (22) which vertically moves to take up the upper thread (28). The thread take-up lever (22) includes a pressurizing means (a torsion spring (22c)) which imposes pressure on the upper thread (28) to take up the upper thread (28), and takes up the upper thread (28) by upward movements and pressure of the pressurizing means (the torsion spring (22c)).

Description

자수기 {EMBROIDERING MACHINE}Embroidery machine {EMBROIDER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하 요동하여 윗실을 끌어올리는 실채기를 구비하는 자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broidery machine having a thread take-up machine for pulling up the upper thread by pivoting up and down.

종래, 자수기는, 실에 대해서는 굵기, 재질, 색이 다르고, 예를 들어 천인 자수 대상에 대해서는, 두께도 소재도 다르다. 그로 인해, 복수개의 자수 바늘이 배치되는 자수기 헤드에는, 각 자수 바늘의 사도(絲道) 경로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는 고정 텐션부에 더하여, 텐션을 변동 가능한 가변 텐션부가 설치된다.Conventionally, the embroidery machine is different in thickness, material, and color with respect to thread, and thickness and material are different for, for example, embroidery objects. Therefore, in the embroidery head in which a plurality of embroidery needles are arranged, a variable tension section capable of changing the tension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fixed tension section for giving a constant tension to the yarn path of each embroidery needle.

또한, 자수기 헤드는, 윗실이 끊어진 것을 검출하는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 상하 요동하는 실채기, 장력 변동을 흡수하는 토션 스프링 등도 배치되므로, 윗실의 복잡한 사도 경로를 갖는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In addition, the embroidery head has a complicated thread path for the upper thread because a thread breaking detection disk for detecting that the upper thread is broken, a thread take-up for swinging up and down, and a torsion spring for absorbing the tension fluctuation are also dispos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

도 10은 참고 기술에 관한 자수기 헤드(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roidery head 100 according to the reference technique.

도 10에 도시하는 자수기 헤드(100)는, 6세트의 자수 바늘(108) 및 천 누름부(109)를 갖는다. 공급측으로부터 각 자수 바늘(108)에 이어지는 사도 경로는, 순서대로, 제1 고정 텐션부(101), 수동 가변 텐션부(102),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103), 제2 고정 텐션부(104), 토션 스프링(105), 되꺾여 실채기(106), 윗실 로크부(107), 자수 바늘(108)과 같다.The embroidery head 100 shown in Fig. 10 has six sets of embroidery needles 108 and a cloth presser 109. Fig. The needle path leading from the supply side to each embroidery needle 108 includes a first fixed tension portion 101, a manual variable tension portion 102, a yarn breakage detection disc 103, a second fixed tension portion 104, The torsion spring 105, the retracted thread take-up 106, the upper thread lock portion 107, and the embroidery needle 108, respectively.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4558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45585

자수기 헤드는, 도 10에 도시하는 자수기 헤드(100)와 같이, 복수의 텐션부(101, 102, 104),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103)로의 배열, 복수의 되꺾음, 토션 스프링(105)으로의 배열, 실채기(106)로의 배열 등, 매우 많은 굴곡·마찰·회전 저항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n embroidery hea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nsion portions 101, 102, 104, an arrangement in a yarn breakage detection disk 103, a plurality of folds, and a torsion spring 105 as in the case of the embroidery head 100 shown in Fig. A large number of bending, friction, and rotation resistance arise, such as an arrangement of the wirings 106 in the thread take-up 106.

이러한 구성 때문에, 윗실으로의 저항이 증대해 버리고, 텐션 조정 범위가 좁고, 또한, 매우 외란에 약하고, 실 상태의 미소 변화에 과민하게 반응하고, 실 끊어짐이나 자수 품질으로의 영향을 미치기 쉽다. 당연히, 실의 배열 작업도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것으로 되어 있다.Due to such a configuration, the resistance to the upper thread is increased, the tension adjustment range is narrow, the yarn is very disturbed, the yarn is sensitive to minute changes in the yarn state, and the yarn breakage and the embroidery quality are likely to be affected. Naturally, the arrangement of the threads is also very cumbersome and complicated.

또한, 텐션부[예를 들어, 도 10의 텐션부(101, 102, 104)]가 바늘 끝으로부터 매우 멀고, 또한, 이후 복수의 굴곡 등의 저항이 발생하는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부여한 텐션이 굴곡 등의 되꺾음에 의해 증폭되어 버리므로, 미소 미세한 텐션밖에 부여할 수 없다.Further, since the tension portion (for example, the tension portions 101, 102, 104 in Fig. 10) is located far from the needle tip and thereafter a resistance such as a plurality of bends is generated, So that only micro-fine tension can be given.

본 발명의 목적은, 자수기 헤드의 사도 경로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자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broidery machine which can simplify the apostrophe path of an embroidery head.

본 발명의 자수기는, 윗실이 삽입되는 자수 바늘과, 상하 요동하여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실채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채기는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고, 상하 요동의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윗실을 끌어올린다.The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mbroidery needle into which an upper thread is inserted and a thread take-up unit which vertically swings to pull up the upper thread, and the thread threader has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upper thread in a direction of pulling up the upper thread, And the upper thread is pulled up by the action and the pressing by the pressing means.

또한, 상기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토션 스프링이도록 하면 좋다.In the above-mentioned embroidery machine, the pressing means may be a torsion spring.

또한, 상기 실채기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윗실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부를 더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Fur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tension unit disposed below the thread take-up unit and imparting tension to the upper thread.

또한, 상기 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윗실을 공급측으로부터 상기 실채기측으로 되꺾는 되꺾음 부분에 위치하는 실 끊어짐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하면 좋다.Further, in the above-mentioned embroidery machin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yarn breakage detecting means located at a return portion for returning the upper thread from the feeding side to the yarn feeding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자수기 헤드의 사도 경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apostrophe path of the embroidery he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자수기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실채기를 우측 방향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4b는 토션 스프링 동작 상태의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실채기를 좌측 방향에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B부 확대도.
도 6b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도 5의 B부 확대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디지털 가변 텐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디지털 가변 텐션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의 자수기 헤드의 윗실을 배열한 상태의 사시도.
도 9a는 도 8의 C부 확대도.
도 9b는 도 8의 D부 확대도.
도 9c는 도 8의 E부 확대도.
도 9d는 도 8의 D부 확대도.
도 9e는 도 8의 F부 확대도.
도 10은 참고 기술에 관한 자수기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roidery head of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ad winding machine of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ight direction. Fig.
4A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3;
Figure 4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ure 3 in the torsion spring operating stat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read winding machine of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eft direction.
6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Fig.
FIG. 6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5 with the guide plate removed.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of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of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thread of an embroidery machine head of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8; FIG.
9B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Fig. 9C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 8;
9D i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Fig. 9E is an enlarged view of part F in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roidery head according to the reference techniqu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자수기(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roidery machin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하는 자수기(1)는, 재봉틀 테이블(2)과, 이 재봉틀 테이블(2)의 중앙부에 크게 확대된 자수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The embroidery machine 1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sewing machine table 2 and an embroidery frame 3 largely enlarg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table 2.

자수 프레임(3)의 하측에는, 복수(도 1의 예에서는 4개)의 하방 셔틀부(4)가 설치되어 있다. 자수 프레임(3)은, 자수 매체가 장설된 후, 자수 지시서의 프로그램에 따라 전후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한다.On the lower side of the embroidery frame 3, a plurality of (fou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lower shuttle portions 4 are provided. After the embroidery medium is set, the embroidery frame 3 freely moves forward, backward and leftward and rightward according to the program of the embroidery instruction.

하방 셔틀부(4)에 대응하는 상방의 위치에 복수(도 1의 예에서는 4개)의 후술하는 자수기 헤드(20)가, 재봉틀 아암(6)의 레일 안내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fou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embroidery head 20 described later are held and supported by a rail guide holding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rm 6 at a position above the lower shuttle portion 4 .

자수기(1)의 재봉틀 테이블(2)에는, 문형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다. 이 문형 프레임은, 재봉틀 테이블(2)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기립 설치부[7(7a, 7b)]와, 이들 2개의 기립 설치부(7)를 연결하는 교량부(8)를 갖는다.In the sewing machine table 2 of the embroidery machine 1, a door frame is arranged. The frame has frames 7a and 7b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wing machine table 2 and a bridge portion 8 connecting the two standing portions 7 with each other.

4개의 재봉틀 아암(6)은, 각각 고정부에 의해,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4개의 재봉틀 아암(6)에는, 1개의 주축(9)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The four sewing machine arms 6 are fixed to the bridge portion 8 of the door frame by a fixing portion, respectively. One main spindle 9 is inserted through these four sewing machine arms 6.

주축(9)은 일단부(도 1에서는 좌측 방향의 단부)를 문형 프레임의 한쪽(도 1에서는 좌측 방향)의 기립 설치부[7(7b)]에 축 지지되어 있다. 축 지지된 주축(9)의 일단부에는, 도 1에서는 기립 설치부(7b)의 내부에 숨겨져 보이지 않지만, 풀리가 고정되고, 도시를 생략한 모터의 풀리와의 사이에 벨트가 걸쳐져 있다. 이 모터에 의해 주축(9)은 회전 구동된다.The main shaft 9 is supported at one end (an end portion in the left direction in FIG. 1) by a standing portion 7 (7b) in one side of the frame (left direction in FIG. One end of the spindle 9 which is pivotally supported is not seen hidden in the rising portion 7b in Fig. 1, but a pulley is fixed, and a belt is interposed between the pulley of the motor (not shown). The main shaft 9 is rotationally driven by this motor.

또한,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의 재봉틀 아암(6)이 고정되어 있는 면과 동일면에, 자수기 헤드(20)의 복수의 침봉부를 택일하는 컬러 체인지부(11)가 배치되어 있다. 컬러 체인지부(11)는, 4개의 자수기 헤드(20)를 삽입 관통하고 있는 컬러 체인지축(12)의 축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고 있다.A color change portion 11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needle bar portions of the embroidery head 20 is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urface on which the sewing machine arm 6 of the bridge portion 8 of the door frame is fixed. The color change section 11 controls the axial movement of the color change shaft 12 through which the four embroidery heads 20 are inserted.

또한, 문형 프레임의 교량부(8)의 상면에는, 4개 배열된 자수기 헤드(20)의 배열 폭과 거의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 윗실대(13)가 배치되어 있다. 윗실대(13)는, 평판 형상의 관 적재대(14)와 막대 형상의 실 통과부(15)로 이루어진다.An upper thread base 13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array width of the four arranged embroidery heads 20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ortion 8 of the door frame. The upper thread base 13 is composed of a tabular tubular member 14 and a rod-like thread passing portion 15.

관 적재대(14)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지관(紙管) 등의 관(管)에 권취된 자수에 사용되는 각 색의 윗실이 적재된다. 관으로부터 인출된 실은, 실 통과부(15)에 걸쳐진 후 더 인출되어, 자수기 헤드(20)에 공급된다.An upper thread of each color used for embroidery that is wound around a tube such as a paper tube is loaded on the tube mount 14,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yarn drawn out from the tube is further extended after passing through the yarn passage portion 15 and supplied to the embroidery head 20.

도 2는 자수기 헤드(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roidery head 20.

도 2에 도시하는 자수기 헤드(20)는, 고정 텐션부(21)와, 실채기(22)와, 사도 커버(23)와, 디지털 가변 텐션부(24)와, 윗실 로크부(25)와, 자수 바늘(26)과, 천 누름부(27)를 예를 들어 9세트 각각에 구비한다.The embroidery machine head 20 shown in Fig. 2 includes a fixed tension portion 21, a thread take-up portion 22, an apodo cover 23, a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an upper thread lock portion 25 The embroidery needle 26, and the cloth presser 27, for example, in each of the nine sets.

고정 텐션부(21)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실 통과부(15)로부터 자수기 헤드(20)에 공급되는 윗실(28)이 가압되도록 삽입된다. 고정 텐션부(21)는, 삽입된 윗실(28)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한다.The upper thread 28 supplied to the embroidery head 20 from the thread passing portion 15 shown in Fig. 1 is inserted into the fixed tension portion 21 so as to be pressed. The fixed-tension portion 21 applies a predetermined tension to the inserted upper thread 28.

실채기(22)는, 도 3 및 그 A부 확대도인 도 4a 및 도 4b, 및, 도 5 및 그 B부 확대도인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a)와, 가이드 플레이트(22b)와, 가압 수단의 일례인 토션 스프링(22c)과, 전방 가이드 롤러(22d)와, 후방 가이드 롤러(22e){도 6b[가이드 플레이트(22b)를 제거한 상태의 도 5의 B부 확대도] 참조}를 갖고, 상하 요동하여 윗실(28)을 끌어올린다.The thread take-up unit 22 is provided with a base plate 22a and a base plate 22b as shown in Figs. 4A and 4B which are enlarged views of Fig. 3 and A in Fig. 5 and Figs. 6A and 6B, A guide plate 22b and a torsion spring 22c as an example of a pressing means, a front guide roller 22d and a rear guide roller 22e (see FIG. 5 with the guide plate 22b removed) B portion enlarged view]), and swings up and down to pull the upper thread 28 up.

도 4a, 도 4b,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a)는, 실채기(22)의 자유 단부인 선단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2a)에는, 가이드 홈(22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22f)은, 토션 스프링(22c)의 선단 부분이 우측 방향으로부터 삽입되고, 이 선단 부분을 가이드한다. 그로 인해, 가이드 홈(22f)은, 원호 형상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s. 4A, 4B, 6A and 6B, the base plate 22a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ee end of the thread take-up 22. A guide groove 22f is formed in the base plate 22a. In the guide groove 22f, the tip end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22c is inserted from the right side and guides the tip end portion. Therefore, the guide groove 22f shows an arc shape.

가이드 플레이트(22b)는, 실채기(22)의 자유 단부인 선단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2b)는, 베이스 플레이트(22a)와 대략 동일 형상을 나타내고, 베이스 플레이트(22a)에 대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2a)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The guide plate 22b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free end of the thread take- The guide plate 22b has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base plate 22a and is fixed to the base plate 22a so as to face the base plate 22a.

가이드 플레이트(22b)에도, 가이드 홈(22g)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22g)에는, 토션 스프링(22c)의 선단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22a)의 가이드 홈(22f)측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가이드 홈(22g)도, 토션 스프링(22c)의 선단 부분을 가이드한다. 가이드 홈(22g)도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가이드 홈(22f)과 대향하고 있다.Also in the guide plate 22b, a guide groove 22g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22g, the tip end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22c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groove 22f side of the base plate 22a. The guide groove 22g also guides the tip end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22c. The guide groove 22g also has a circular arc shape and faces the guide groove 22f.

토션 스프링(22c)은, 베이스 플레이트(22a)의 후방측[실채기(22)의 고정 단부측]에 있어서, 실채기(22)의 도시하지 않은 요동 중심축과 토션 스프링(22c)의 안내봉이 평행해지도록 권취되어 있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2c)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2a)의 가이드 홈(22f)과, 가이드 플레이트(22b)의 가이드 홈(22g) 사이에서 윗실(28)이 걸려진다. 이 윗실(28)은, 토션 스프링(22c)에 후방 하방으로부터 걸려지고, 토션 스프링(22c)에 있어서 전방 하방으로 되꺾인다.The torsion spring 22c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plate 22a (the fixed end side of the thread take-up 22) And is wound so as to become parallel. The upper thread 28 is caught in the torsion spring 22c between the guide groove 22f of the base plate 22a and the guide groove 22g of the guide plate 22b. The upper thread 28 is hooked on the torsion spring 22c from the lower rear side, and is bent backward and forward by the torsion spring 22c.

토션 스프링(22c)은,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28)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고, 윗실(28)의 텐션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한다.As shown in Fig. 4A, the torsion spring 22c is arranged so as to press the upper thread 28 in the pulling-up direction, thereby relieving the abrupt fluctuation of the tension of the upper thread 28. [

또한, 토션 스프링(22c)은, 윗실(28)이 하방으로 끌어 당겨지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부분이 가이드(22f, 22g)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When the upper thread 28 is pulled downward, the tip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22c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s 22f and 22g as shown in FIG. 4B.

실채기(22)는, 기본 동작인 상하 요동 동작 중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토션 스프링(22c)에 의한 가압에 의해 윗실(28)을 끌어올린다.The thread take-up unit 22 pulls up the upper thread 28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up-and-down swing operation which is the basic operation and the pressurization by the torsion spring 22c.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가이드 롤러(22d) 및 후방 가이드 롤러(22e)는, 베이스 플레이트(22a)와 가이드 플레이트(22b)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The front guide roller 22d and the rear guide roller 22e are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22a and the guide plate 22b as shown in Fig.

후방 가이드 롤러(22e)는, 후술하는 디지털 가변 텐션부(24)로부터 배열되어, 토션 스프링(22c)에 걸려지는 전방의 윗실(28)을 가이드한다.The rear guide roller 22e is arranged from a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to be described later to guide the front upper thread 28 caught by the torsion spring 22c.

또한, 전방 가이드 롤러(22d)는, 토션 스프링(22c)으로부터 다시, 디지털 가변 텐션부(24)측으로 되꺾인 후의 윗실(28)을 가이드한다.Further, the front guide roller 22d guides the upper thread 28 after the torsion spring 22c returns to the side of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again.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도 커버(23)는, 윗실(28)의 우측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 부분의 전단부에 있어서 직각으로 좌측 방향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나타내고, 실채기(22)의 하방에 있어서 윗실(28)의 사도를 덮는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있어서는, 우측 3개의 사도 커버(2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emale cover 23 is a plate shape protruding forwar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thread 28 and bent in a leftward direction at right angles at the front end of the protruded portion, 22) of the upper thread 28. As shown in Fig. 3 and 5, the right three apical covers 23 are omitted.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가변 텐션부(24)는, 전단부 가이드 플레이트(24a)와,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와, 플로팅 기구의 일례인 플로팅용 종방향 핀(24c) 및 플로팅용 횡방향 핀(24d)과,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과, 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f)과,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와, 베어링(24h)과, 실 끊어짐 검출 센서(24i)와, 실 끊어짐 검출용 슬릿(24j)과, 부시(24k, 24L)와, 구동축(24m)을 갖는다.7A and 7B,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section 24 includes a front end guide plate 24a, a digital tension plate 24b, a floating vertical pin 24c as an example of a floating mechanism, The front thread tension state plate 24e, the rear thread tension state plate 24f, the yarn breakage detecting disc 24g, the bearing 24h, and the yarn breakage A detection sensor 24i, a yarn break detection slit 24j, bushes 24k and 24L, and a drive shaft 24m.

디지털 가변 텐션부(24)는, 실채기(22)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윗실(28)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부의 일례이다. 또한,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 실 끊어짐 검출 센서(24i) 및 실 끊어짐 검출용 슬릿(24j)은, 실 끊어짐 검출 수단의 일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털 가변 텐션부(24)는, 윗실(28)을 공급측으로부터 실채기(22)측으로 되꺾고 있다.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is disposed below the thread take-up portion 22 and is an example of a tension portion for imparting tension to the upper thread 28. [ The yarn breakage detecting disk 24g, yarn breakage detecting sensor 24i and yarn breakage detecting slit 24j are examples of yarn breakage detecting mea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section 24 reverses the upper thread 28 from the supply side to the thread take-up 22 side.

전단부 가이드 플레이트(24a)는,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단부 가이드 플레이트(24a)는, 후술하는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에 있어서 실채기(22)측에 상방으로 되꺾여 다시 실채기(22)에 있어서 하방으로 되꺾인 후의 윗실(28)에 대해,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와의 사이에 사도를 형성한다.The front end guide plate 24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The front end guide plate 24a is provided on the upper thread 28 after being bent upward by the thread take-up 22 side and then downward by the thread take-up 22 on the thread breakage detecting disk 24g described later, An apostrophe is formed between it and 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는, 후술하는 부시(24k, 24L)의 내측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미동하는 구동축(24m)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축(24m)은, 예를 들어 전자 솔레노이드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미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는, 전후 방향으로 미동하고, 후방에 배치된 후술하는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 및 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f)에 의한 윗실(28)의 끼움 지지력을 조정한다.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is disposed inside the bushes 24k and 24L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connected to a driving shaft 24m which is f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drive shaft 24m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solenoid. As a result, 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front thread tension plate 24e and the rear thread tension plate 24f,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just the bearing capacity.

플로팅용 종방향 핀(24c)은,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플로팅용 횡방향 핀(24d)은, 후술하는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The floating longitudinal pin 24c is supported by a digital tension plate 24b. 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lateral fins 24d are supported by a front thread tension state plate 24e described later.

이들 플로팅용 종방향 핀(24c)과 플로팅용 횡방향 핀(24d)이 점 접촉함으로써,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가 기울어도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에 기울기가 발생하여 텐션 조정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기구로서는,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과 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f)의 평행도를 조정하는 것이면 되고, 상술한 플로팅용 종방향 핀(24c) 및 플로팅용 횡방향 핀(24d)을 사용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is tilted, a tilt is generated in the front section tension plate 24e, thereby causing an error in the tension adjustment Can be prevented. The floating mechanism may be any one that adjusts the degree of parallelism between the front portion tension plate 24e and the rear portion tension plate 24f. The floating longitudinal pin 24c and the floating lateral pin 24d are used.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 및 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f)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에 의해 끼움 지지력이 조정된다. 또한,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과 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f)은, 윗실(28)을, 고정 텐션부(21)로부터 공급되어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에 있어서 되꺾이기 전후의 양쪽에서 끼움 지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force of 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is adjusted by the front-side thread tension state plate 24e and the rear-side thread tension state plate 24f. The front thread tension state plate 24e and the rear thread tension state plate 24f are provided so that the upper thread 28 is fed back from the fixed tension unit 21 to the yarn break detection disc 24g Respectively.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는, 윗실(28)이 권취되므로, 윗실(28)이 공급되면 베어링(24h) 내를 회전하고, 나아가서는,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와 함께 구동축(24m)과 동축 상에 형성된 실 끊어짐 검출용 슬릿(24j)을 회전시키지만, 비동축 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 실 끊어짐 검출 센서(24i) 및 실 끊어짐 검출용 슬릿(24j)의 3개를 일례로 하는 실 끊어짐 검출 수단은, 디지털 가변 텐션부(24)와는 이격된 부분에 있어서, 윗실(28)을 공급측으로부터 실채기(22)측으로 되꺾는 되꺾음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The yarn breakage detecting disc 24g rotates in the bearing 24h when the upper thread 28 is fed and further rotates together with the yarn breakage detecting disc 24g along with the drive shaft 24m The yarn break detection slit 24j formed on the coaxial phase is rota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dispose it on the non-coaxial axis. The yarn breakage detecting means including three yarn breakage detecting discs 24g, yarn breakage detecting sensors 24i and yarn breakage detecting slits 24j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section 24 , The upper thread 28 may be located at the return portion that returns the upper thread 28 from the supply side to the thread take-up 22 side.

실 끊어짐 검출 센서(24i)는, 실 끊어짐 검출용 슬릿(24j)의 회전을 검출하는 광학식의 센서이며, 인코더를 구성한다.The yarn breakage detection sensor 24i is an optical sensor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yarn break detection slit 24j and constitutes an encoder.

부시(24k, 24L)는, 구동축(24m)과 자수기(20)의 본체측의 케이싱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The bushes 24k and 24L are provided between the drive shaft 24m and the casing of the main body of the embroidery machine 20. [

윗실 로크부(25)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취하고, 폐쇄 위치에 있어서 윗실(28)을 고정한다.The upper thread lock portion 25 takes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and fixes the upper thread 28 in the closed position.

자수 바늘(26)은, 천 누름부(27)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자수 대상인 예를 들어 천을 관통하도록 상하 이동한다.The embroidery needle 26 is moved up and down so as to penetrate, for example, cloth, which is the object of embroidery held by the cloth presser 27.

이하, 윗실(28)의 배열에 대해, 도 8 및 도 9a∼도 9e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점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thread 2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A to 9E. The description of the poi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도 9a는 도 8의 C부 확대도이며, 도 9b 및 도 9d는 도 8의 D부 확대도이며, 도 9c는 도 8의 E부 확대도이며, 도 9e는 도 8의 F부 확대도이다.Fig. 9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8, Figs. 9B and 9D are enlarged views of a portion D in Fig. 8, Fig. 9C is an enlarged view of an E portion in Fig. 8, .

먼저,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28)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실 통과부(15)로부터 고정 텐션부(21)에 공급되고, 일정한 텐션이 부여된다. 그리고, 윗실(28)은, 고정 텐션부(21)로부터 그대로 하방으로 연장된다[윗실(28-1)].First, as shown in Fig. 9A, the upper thread 28 is supplied to the fixed tension portion 21 from the thread passing portion 15 shown in Fig. 1, for example, and a certain tension is applied. The upper thread 28 extends downward from the fixed tension portion 21 as it is (upper thread 28-1).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28-1)은, 디지털 가변 텐션부(24)에 있어서, 도 7b에 도시하는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e)과 후방부 실 텐션 상태판(24f) 사이에서 실 끊어짐을 검출됨과 함께,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 구동축(24m) 등에 의해 텐션이 조정되고, 실채기(22)측으로 되꺾인다[윗실(28-2)].Next, as shown in Fig. 9B, the upper thread 28-1 is held in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by the front side yarn tension plate 24e and the rear yarn tension plate 26b shown in Fig. The tension is adjusted by 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the drive shaft 24m, and so on, and is returned to the thread take-up 22 side (upper thread 28-2).

도 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28-2)은, 실채기(22)의 베이스 플레이트(22a)의 가이드 홈(22f)과 가이드 플레이트(22b)의 가이드 홈(22g)에 삽입되는 토션 스프링(22c)의 선단 부분에 걸려져 되꺾이고, 다시 디지털 가변 텐션부(24)측으로 연장된다[윗실(28-3)].The upper thread 28-2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2f of the base plate 22a of the thread take-up unit 22 and the guide groove 22g of the guide plate 22b, (Upper thread 28-3), and is further extended toward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side.

도 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채기(22)로부터 되꺾인 윗실(28-3)은, 전단부 가이드 플레이트(24a)와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24b) 사이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된다[윗실(28-4)].9D, the bent upper thread 28-3 from the thread take-up unit 22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ront end guide plate 24a and the digital tension plate 24b -4)].

도 9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28-4)은, 윗실 로크부(25)에 고정되고, 자수 바늘(26)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하방 셔틀부(4)에 공급된다.9E, the upper thread 28-4 is fixed to the upper thread lock portion 25, and is supplied to the lower shuttle portion 4 shown in Fig. 1 by the embroidery needle 26. As shown in Fig.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윗실(28)을 공급측으로부터 실채기(22)측으로 되꺾는 텐션부[디지털 가변 텐션부(24)]는, 윗실(28)에 텐션을 부여하지 않는 부재, 혹은, 윗실(28)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는 부재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되꺾음부가 가변 텐션부를 겸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윗실(28)의 굴곡 횟수를 줄여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바늘 끝의 부근에 있어서 윗실(28)의 굴곡 등에 의한 텐션의 증폭을 억제하여 정확하게 텐션을 조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nsion portion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for returning the upper thread 28 from the supply side to the thread take-up 22 side is a member which does not apply tension to the upper thread 28,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upper thread 28 to a member for imparting a constant tension to the upper thread 28.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wind portion also serves as the variable tension portion,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of the upper thread 28 can be reduced, Tension can be accurately adjusted by suppressing the amplification of the tension due to bending of the upper thread 28 in the vicinity of the needle tip.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텐션부[디지털 가변 텐션부(24)]가 실 끊어짐 검출 수단을 갖지만, 도 10에 도시하는 참고 기술과 같이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103)를 별개의 부재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다. 단, 사도 경로의 간소화의 관점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nsion change portion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has the yarn breakage detection means, but the yarn breakage detection disk 103 is arranged as a separate member as in the reference technique shown in Fig. 10 It is also possible.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simplification of the apostolic path, it is preferable to emplo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그 밖에,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자수기 헤드(20)의 윗실(28)의 배열은,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멍으로의 실 삽입 작업을 배제하고, 홈으로 끌어들이는 가압 작업에 의해 실 세트 작업을 완료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지만, 텐션부 등의 각 부의 배치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thread 28 of the embroidery machine head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uch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workability, the thread insertion operation into the hole is eliminated,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seal set operation by the operation. However, the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of each section such as the tension section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자수기(1)에서는, 자수기 헤드(20)의 실채기(22)는, 윗실(28)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22c)]을 갖고, 상하 요동의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가압 수단[토션 스프링(22c)]에 의한 가압에 의해 윗실(28)을 끌어올린다.In the embroidery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thread take-up 22 of the embroidery head 20 has a pressing means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22c) for pressing the upper thread 28 in the pulling-up direction , The upper thread 28 is pulled up by the action of the upward and downward rocking motion and the pressing by the pressing means (the torsion spring 22c).

그로 인해, 가압 수단[토션 스프링(22c)]과 실채기(22)를 일체화함으로써, 가압 수단을 실채기(22)와는 별개의 부재로 배치하는 경우보다도 윗실(28)의 굴곡 횟수를 줄여, 윗실(28)의 복잡한 배열을 회피할 수 있다.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of the upper thread 28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ressing means is arranged as a member separate from the thread take-up unit 22 by integrating the pressing means (the torsion spring 22c) and the thread tak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complicated arrangement of the second electrode 28.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수기 헤드(20)의 사도 경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ostrophe path of the embroidery head 20 can be simplified.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22c) 및 디지털 가변 텐션부(24) 등의 각 부를 자수 바늘(26)에 근접시켜, 윗실(28)의 굴곡에 의한 텐션의 증폭을 억제하여 텐션 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사도 경로의 간소화나, 도 10에 도시하는 복수의 고정 텐션부(101, 104) 중 실채기(106)측의 고정 텐션(104)에 상당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는 등, 윗실(28)의 굴곡·마찰·회전 저항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실이 끊어지기 어려워지고, 그 결과, 자수기 헤드(20), 나아가서는 자수기(1)의 가동률이 향상되고, 또한, 외란에 강해진다. 따라서, 자수 품질이 향상됨과 함께 안정된다.As a result, the torsion spring 22c and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are brought close to the embroidery needle 26 so that the amplification of the tension due to the bending of the upper thread 28 can be suppressed, have. It is also possible to simplify the above-described oblique path and to omit the fixed tension 104 on the side of the thread take-up 106 among the plurality of fixed tension portions 101 and 104 shown in Fig. 10, Friction, and rotation resistance of the embroidery machine 20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operating rate of the embroidery machine head 20, and hence the embroidery machine 1, is improved, and the machine becomes strong against disturbance. Therefore, the embroidery quality is improved and stabilized.

나아가서는, 실채기(22)에 윗실(28)을 배열함으로써 토션 스프링(22c)으로의 배열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등, 작업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이에 수반하여, 자수 생산에 있어서의 준비 시간 비율을 줄이는 것도 가능해져, 자수기(1)의 가동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Further, the arrangement of the upper thread 28 to the torsion spring 22c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by the thread take-up unit 22,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workabilit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eparation time ratio in the embroidery production,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embroidery machine 1 can be lengthened, so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텐션부의 일례인 디지털 가변 텐션부(24)는, 실채기(22)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윗실(28)을 공급측으로부터 실채기(22)측으로 되꺾음과 함께, 윗실(28)에 텐션을 부여한다. 그로 인해, 바늘 끝의 부근에 있어서 윗실(28)의 굴곡 등에 의한 텐션의 증폭을 억제하여 정확하게 텐션을 조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which is an example of the tension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thread take-up portion 22, and for example, the upper thread 28 is bent back from the supply side to the thread take- Tension is given to the upper thread 28 together. Therefore, the tension can be accurately adjusted by suppressing the amplification of the tension due to the bending of the upper thread 28 in the vicinity of the needle tip.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텐션부의 일례로서 디지털 가변 텐션부(24)를 채용함으로써, 생산 효율 향상, 사전 준비의 효율화, 품질 유지·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작업자의 오퍼레이션 레벨에 품질 등이 좌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employing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as an example of the tension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dvance preparation,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fluenc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 끊어짐 검출 수단[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24g), 실 끊어짐 검출 센서(24i) 및 실 끊어짐 검출용 슬릿(24j)]을 갖는다. 그로 인해, 윗실(28)의 굴곡 횟수를 줄여, 사도 경로를 한층 더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 끊어짐 검출 수단은, 디지털 가변 텐션부(24)와 별개의 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라도 윗실(28)의 되꺾음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자수기(1)를 간소화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yarn breakage detecting means (yarn breakage detecting disc 24g, yarn breakage detecting sensor 24i and yarn breakage detecting slit 24j) is provided. Therefore, the number of times of bending of the upper thread 28 can be reduced, and the apostrophe path can be further simplified. The yarn breakage detecting means can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digital variable tension portion 24. Even in this case, the yarn breakage detecting means can be dispos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upper thread 28 to simplify the embroidery machine 1 similarly .

1 : 자수기(재봉틀)
2 : 재봉틀 테이블
3 : 자수 프레임
4 : 하방 셔틀부
6 : 재봉틀 아암
7(7a, 7b) : 기립 설치부
8 : 교량부
9 : 주축
11 : 컬러 체인지부
12 : 컬러 체인지축
13 : 윗실대
14 : 관 적재대
15 : 실 통과부
20 : 자수기 헤드
21 : 고정 텐션부
22 : 실채기
22a : 베이스 플레이트
22b : 가이드 플레이트
22c : 토션 스프링(가압 수단)
22d : 전방 가이드 롤러
22e : 후방 가이드 롤러
22f, 22g : 가이드 홈
23 : 사도 커버
24 : 디지털 가변 텐션부
24a : 전단부 가이드 플레이트
24b : 디지털 텐션 플레이트
24c : 플로팅용 종방향 핀
24d : 플로팅용 횡방향 핀
24e : 전방부 실 텐션 상태판
24f : 후방부 실 텐션 상태판
24g : 실 끊어짐 검출 디스크
24h : 베어링
24i : 실 끊어짐 검출 센서
24j : 실 끊어짐 검출용 슬릿
24k, 24L : 부시
24m : 구동축
25 : 윗실 로크부
26 : 자수 바늘
27 : 천 누름부
28 : 윗실
1: embroidery machine (sewing machine)
2: Sewing machine table
3: Embroidery frame
4: Lower shuttle portion
6: sewing machine arm
7 (7a, 7b): standing up part
8: Bridge section
9:
11: Color change section
12: Color change axis
13: upper thread
14: tube rack
15:
20: Embroidery Head
21: Fixed tension part
22: Threading
22a: base plate
22b: guide plate
22c: Torsion spring (pressing means)
22d: front guide roller
22e: rear guide roller
22f, 22g: guide groove
23: Apostle Cover
24: Digital Variable Tension Unit
24a: front end guide plate
24b: Digital tension plate
24c: longitudinal pin for floating
24d: Horizontal pin for floating
24e: front side tension tension plate
24f: rear-side thread tension plate
24g: yarn break detection disc
24h: Bearing
24i: yarn break detection sensor
24j: Slit for yarn break detection
24k, 24L: Bush
24m: drive shaft
25: upper thread lock portion
26: embroidery needle
27:
28: upper thread

Claims (4)

윗실이 삽입되는 자수 바늘과,
상하 요동하여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실채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채기는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고, 상하 요동의 상방측으로의 동작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에 의해 상기 윗실을 끌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
An embroidery needle into which an upper thread is inserted,
And a thread take-up unit that moves up and down to pull up the upper thread,
Wherein said thread winding machine has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said upper thread in a direction of pulling up said thread pulling means causes said upper thread to be pulled up by the action of said upper and lower shaking motion and said press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The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a torsion spr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채기보다도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윗실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The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portion disposed below the thread take-up portion and imparting tension to the upper threa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을 공급측으로부터 상기 실채기측으로 되꺾는 되꺾음 부분에 위치하는 실 끊어짐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The embroidery machine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yarn breakage detecting means located at a return portion for returning the upper thread from the feeding side to the thread take-up side.
KR1020140063741A 2013-06-13 2014-05-27 Embroidering machine KR2014014554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4256 2013-06-13
JP2013124256A JP6210746B2 (en) 2013-06-13 2013-06-13 Embroidery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545A true KR20140145545A (en) 2014-12-23

Family

ID=5222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741A KR20140145545A (en) 2013-06-13 2014-05-27 Embroider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0746B2 (en)
KR (1) KR20140145545A (en)
CN (1) CN104233664A (en)
HK (1) HK120290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8707A (en) 2015-02-27 2016-09-05 Candart株式会社 Embroidery machine
GB201615290D0 (en) 2016-09-08 2016-10-26 Soederberg Ramon Improved branch cutter
CN114525634B (en) * 2022-02-21 2023-04-07 南通佳利园纺织品有限公司 Thread passing device in embroidery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610B2 (en) * 1995-03-30 2004-09-02 ジューキ株式会社 Needle thread balance of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JPH09327585A (en) * 1996-06-13 1997-12-22 Nippon Denpa Kk Thread breakage detector for sewing machine
JP2002045585A (en) * 2000-08-01 2002-02-12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Embroidery sewing machine
JP2003033589A (en) * 2001-07-23 2003-02-04 Brother Ind Ltd Multi-needle embroidering machine
JP2005137515A (en) * 2003-11-05 2005-06-02 Nippon Denpa Kk Embroider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2904A1 (en) 2015-10-09
JP2015000084A (en) 2015-01-05
JP6210746B2 (en) 2017-10-11
CN104233664A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4611B2 (en) Sewing machine
US8651035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KR20140145545A (en) Embroidering machine
US8893631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6045392B2 (en) sewing machine
JP6185295B2 (en) Embroidery machine
JPH11333182A (en) Thread draw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2008259571A (en) Sewing machine
JP3729717B2 (en) Double chain stitch machine
JP2008036341A (en) Sewing machine
JP6626715B2 (en) sewing machine
JP2005334234A (en) Cylinder type valance stitch sewing machine
CN206814986U (en) Sewing machine
TWI228161B (en) Needle thread guide device for double ring stitch sewing machine
US1017164A (en) Sewing-machine.
JP4920954B2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
JP3570764B2 (en) Lock sewing machine
JP4196378B2 (en) Sewing machine needle receiver
JP2010035990A (en) Fabric pressing member for embroidery sewing machine
KR20160105302A (en) Embroidering machine
JP6335045B2 (en) Delivery arm type sewing machine
JP7070471B2 (en) Presser device
JP2018149020A (e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680014A (en) Blind-stitch sewing-machine.
US1342800A (en) Thread-controlling mechanism for sewing-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