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243A -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243A
KR20140145243A KR20130067130A KR20130067130A KR20140145243A KR 20140145243 A KR20140145243 A KR 20140145243A KR 20130067130 A KR20130067130 A KR 20130067130A KR 20130067130 A KR20130067130 A KR 20130067130A KR 20140145243 A KR20140145243 A KR 20140145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floating
backflow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7502B1 (en
Inventor
한병욱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502B1/en
Publication of KR2014014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2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nsing backflow in a pipe which can sense the backflow of flowing water due to the inner freezing of the pipe and contaminants. The device for sensing backflow in a pipe comprises a floating part which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water and is inserted into the pipe to be slid; and a sensing part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part.

Description

배관 역류 감지 장치{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0001]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0002]

본 발명은 배관 역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의 결빙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유입수가 역류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backflow sen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backflow sensing device capable of sensing reverse flow of inflow water due to icing or contaminants in a pipe.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동주택 등에서는 베란다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에 세탁기의 오수 배출구를 연결하여 세탁 오수를 지하 배수관으로 흘려 보낸다. 이러한 배관은 고층에서부터 저층까지 수직적으로 배열되며, 수평방향으로 굴절되어 지하 배수관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배관의 굴절된 구간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물이 고여 있거나, 오수가 고여 있게 된다. 이렇게 고인 오수 및 물은 동절기 때 결빙되어 지하 배수관으로 흐르는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오수 및 물이 원활하게 지하 배수관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방해하게 된다.Generally, in an apartment or apartment house, a sewage outlet of a washing machine is connected to a pipe installed in a veranda, and washing water is sent to an underground pipe. These pipes are arranged vertically from high to low and are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drain pipes. Thus, in the refracted section of the pipe, water is accumulated or sewage is accumulated to prevent backflow of odor. These stagnant wastewater and water are frozen during the winter months and interfere with the flow of sewage flowing into the underground drain pipe, preventing the sewage and water from flowing smoothly into the under drain pipe.

또한, 오수의 결빙 현상은 오수의 역류현상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며, 이러한 역류현상은 통상 저층 거주자의 배관 내부에 세균 및 곰팡이와 같은 병원균을 번식시키는 환경을 조성하며, 악취를 발생시킴으로써 저층에 거주하는 세대에 큰 불편함을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freezing phenomenon of sewage is a main cause of the backwashing of sewage, and this backwash usually creates an environment for propagating pathogens such as bacteria and fungi in the piping of low-rise residents, It causes great inconvenience to the resident generation.

따라서, 고층의 세대에서부터 흘려 보내는 오수를 통해 저층에 거주하는 세대만이 역류현상의 불편을 겪게 되면서, 저층에 거주하는 세대와 고층의 거주하는 세대간의 불화와 갈등이 야기된다.Therefore, only the households living in the low-rise through the sewage flowing from the high-rise generation suffer the backflow phenomenon, causing discord and conflict between the low-rise generation and the high-rise generation.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 및 구조가 고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8503호는 감지배관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Therefore, various methods and structures have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88503 discloses a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ensing pip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8503호 2009.08.2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8503 2009.08.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 내부의 결빙 또는 오염물질에 의해 유입수가 역류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backflow sensing device capable of sensing the reverse flow of inflow water by freezing or contaminating substances inside a pip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 역류 감지 장치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며 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부 및 상기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ckflow sensor for a pipe, comprising: a floating unit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and slidably inserted into a pipe; .

상기 배관의 내측에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 경로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ement path of the floating portion inside the pipe to limit movement of the floating portion.

상기 플로팅부는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플로팅부가 기준범위 이내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the sensing unit may detect that the floating unit is within a reference range .

상기 플로팅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loating portion slidably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and at least a part of the floating portion penetrates to form a drain hole.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와 중앙에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가 위치하는 태그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태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ensing unit is formed in a ring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ipe, the floating unit includes a ring-shaped rim portion closely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ipe, a tag portion in which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is located at the center,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tag unit.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경음, 경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alarm unit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and generating at least one of tilt and light.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배관 내부에 열을 가하여 상기 배관 내의 결빙을 해소하는 결빙 해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reezing solution dissolving unit for dissipating freezing in the pipe by applying heat to the inside of the pipe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ensing unit.

상기 결빙 해소부는 상기 배관 내측 또는 외측에 열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배관 내부에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The freezing solution dissolving unit may include a hot wire inside or outside the piping, or may spray hot air inside the piping.

상기 배관의 상기 플로팅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 내부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water block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portion of the pipe to block water flowing into the pipe.

상기 배관의 상기 플로팅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 내부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water block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portion of the pipe to block water flowing into the pipe.

상기 유수차단부는 복수의 차단판이 중첩되어 상기 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조리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block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irrigation portion that overlaps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 of the pipe.

본 발명은 배관으로 역류되는 유입수를 감지하여, 배관내의 결빙을 단시간내 해빙시켜 유입수를 원활하게 지하 배수관으로 흐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nsing the inflow water flowing back to the piping, freezing the ice in the piping in a short time, and allowing the inflow water to smoothly flow into the underground piping.

더불어, 배관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양을 조절 및 차단하여 배관에서 발생하는 역류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piping can be controlled and cut off, thereby suppressing the reverse flow phenomenon occurring in the pip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로팅부를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절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배관 역류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A-A' 단면도 이다.
도 5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를 통해 각층 유수차단부의 제어를 설명을 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차단부의 조리개부 평면도이다.
FIG.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ipe backflow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utaway plan view showing the floating portion of Fig. 1 in more detail.
FIGS. 3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backflow device.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water flow cutoff portion on each layer through the pipe backflow sensing device.
6 is a plan view of a diaphragm portion of the water flow cutoff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complishing the sam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ipe backflow sen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로팅부(200)를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절개 평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ipe backflow sen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utaway plan view illustrating the floating unit 200 of FIG. 1 in more detail.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는 배관(10)의 내측에 고정된 감지부(100)에 플로팅부(2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배관(10)으로 역류되는 유입수를 조기에 감지 할 수 있는 장치이다.Referring to FIG. 1, a pipeline counterflow sens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unit 100 fixed inside a pipeline 10, a floating unit 200 slidably moved, 10) at a high speed.

이러한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어 배관(10)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플로팅부(200) 및 배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플로팅부(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00)를 포함하여, 유입수의 역류현상을 감지 할 수 있고, 역류현상에 대응되는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여, 유입수가 배관(10)의 일단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ipe backflow sensor 1 includes a floating unit 20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pipe 10 and a floating unit 2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ipe 10, The backflow phenomenon of the inflow water can be detected and the inflow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ne end of the pipe 10 by quickly taking 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backflow phenomenon .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배관 역류 감지 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each component of the pipe backflow sensor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배관(10)은 일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지하 배수관과 연결되는 관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10)에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는 감지부(100),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를 포함하는 플로팅부(200), 플로팅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1)와 제2 스토퍼(12), 배관 내의 결빙을 해소하는 결빙 해지부(300) 및 역류의 감지를 알리는 경보부(400)등이 설치 될 수 있다.The pipe 10 may be formed in a through-hole shap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 underground drain pipe. The pipeline 10 includes a sensing unit 100 includ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a floating unit 200 includ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a first stopper 11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loating unit 200, A second stopper 12, an ice-free breakdown unit 300 for removing ice from the piping, and an alarm unit 400 for notifying the detection of backflow.

도면상으로 원통형의 배관(10)이 도시되어 있으나, 배관(10)의 형상이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다. 배관(10)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형인 한 이와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 될 수 있다.Although a cylindrical pipe 10 i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pe of the pipe 10 is not limited thereto. The pipe 10 may be deformed into a different shape as long as it is a through type in which one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are penetrated.

감지부(1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판독하는 것으로서, 배관(10)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0)는 제2 스토퍼(12)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유입수의 유입 또는 역류현상에서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nsing unit 100 reads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closely contacting the inside of the pipe 10.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00 may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12, and may not move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nflow or backward flow of inflow water.

이러한, 감지부(100)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여 무선 정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기준 범위 이내로 플로팅부(200)가 진입하게 되면, 플로팅부(200)의 위치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00 may sens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loating unit 200 when the sensing unit 100 enters the sensing unit 200 within a reference range includ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한편, 플로팅부(200)는 배관(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제1 스토퍼(11)의 일면에 놓여 지며, 제1 스토퍼(11)에서부터 제2 스토퍼(12)까지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감지부(100)에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팅부(200)는 태그부(210),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 테두리부(220), 연결부(230) 및 배수홀(231)을 포함한다.The floating portion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10 and is plac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11. The sliding portion 200 is slidingly moved from the first stopper 11 to the second stopper 12, The mobile station 100 can transmit the radio signal. The floating unit 200 includes a tag unit 210,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a frame unit 220, a connection unit 230, and a drain hole 231.

태그부(210)는 정보를 저장하는 집적회로 및 저장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가 포함된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태그부(210)는 플로팅부(20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의 이동중심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tag unit 210 include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n antenna for wirelessly transmitting stored informatio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tag unit 21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loating unit 200 and serve as a moving center for sliding movement of the floating unit 200.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는 태그부(210)의 중앙에 설치되며, 건식 및 습식 환경에서 감지부(100)에 동일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 하면서도 정보 송신 거리가 짧은 수동형 태그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ag unit 210 and can transmit the same radio frequency signal to the sensing unit 100 in a dry and wet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uses a passive tag method which requires no external power supply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has a short information transmission distance.

그러나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211)가 수동형 태그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211)는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온도에 의한 데이터 교환 및 긴 가독 거리에서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는 능동형 태그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However,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is not limited to the passive tag method.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can be used also as an active tag system capable of data exchange by temperature and data exchange by a long read distanc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11 is used.

테두리부(220)는 배관(10)의 형상과 대응되게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는 공기로 가득 채워져 부력이 조성되어, 오수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220)는 배관(10)내부에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배관(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m portion 220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ipe 10, and the inside is filled with air to form a buoyant force, so that it can easily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ste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im portion 22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pe 10 so as to smoothly move within the pipe 10.

연결부(230)는 태그부(210)와 테두리부(220)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내부는 테두리부(220)와 마찬가지로 공기로 가득 채워져 부력이 조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30) 역시 테두리부(220)와 함께 오수 표면에서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다. 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된 테두리부(220)와 태그부(210)사이에는 배수홀(231)이 형성된다.The connection part 230 connects between the tag part 210 and the frame part 220.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230 may be filled with air in the same manner as the frame part 220, Accordingly, the connection portion 230 can also easily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stewater together with the rim 220. A drainage hole 231 is formed between the rim 220 and the tag 210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230.

여기서, 배수홀(231)은 플로팅부(200)의 테두리부(220)와 태그부(210)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배수홀(231)은 연결부(230)를 경계로 하여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hole 231 may be formed at least partly between the rim portion 220 of the floating portion 200 and the tag portion 210. A plurality of drain holes 231 may be form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230 as a boundary.

이러한 배수홀(231)을 통해 배관(10)의 일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는 플로팅부(20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배관(10) 내부를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The inflow water flowing from one end of the pipe 10 through the drain hole 231 can smoothly flow inside the pipe 10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floating portion 200.

즉, 태그부(210), 테두리부(220) 및 연결부(230)는 물로부터 방수가 가능하며,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 즉, 폴리프로필렌 및 플라스틱 등의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두리부(210) 및 연결부(230)의 부피를 크게 하여 부력의 크기를 크게 조성 함으로써, 오수를 따라 부유할 수 있다.That is, the tag portion 210, the rim portion 220, and the connection portion 230 are preferably formed of any one of materials such as polypropylene, plastic, etc., The volume of the rim portion 2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buoyancy force, so that the floating portion 210 can float along the wastewater.

따라서, 플로팅부(200)는 오수의 상승에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을 할Therefore, the floating portion 200 can be easi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of the wastewater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제1 스토퍼(11) 및 제2 스토퍼(1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1) 및 제2 스토퍼(12)는 배관(10)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경로의 양단부에 적어도 하나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관(10) 내부에서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며, 플로팅부(200)가 배관(10)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loating portion 200 can be limited by the first stopper 11 and the second stopper 12. [ At least one of the first stopper 11 and the second stopper 1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ipe 10 at both ends of the sliding movement path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loating part 200 inside the pipe 1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ating portion 200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10.

한편, 결빙 해지부(300)는 배관(10)의 내측의 말단부 및 배관(10)의 외측에 열선을 포함하거나 열풍을 분사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eeze breaking unit 300 may include a device capable of containing hot air or spraying hot air on the inner end of the pipe 10 and the outside of the pipe 10.

여기서, 열선을 포함하는 장치 및 열풍을 분사할 수 있는 장치는 배관(10)내의 오수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해빙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열선이 매입된 히터 등으로 형성되어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화시키도록 형성되거나, 팬이나 덕트 등을 포함하여 가열된 공기를 결빙된 부분에 주입시켜 결빙을 해지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apparatus including the hot wire and the apparatus capable of spraying the hot air are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the wastewater in the pipe 10 or freezing the water in the pipe 10. For example, it is formed by a heater embedded with hot wire, Or may be formed so as to blow freezing by injecting heated air including a fan or a duct into a frozen portion.

이러한 결빙 해지부(300)는 감지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작동되어 배관(10)내의 결빙된 부분을 해소함으로써, 배관(10)의 일단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 및 배관(10)내 고여있는 오수를 지하 배수관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The freeze cancellation unit 300 is operated through a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to eliminate the frozen part in the pipe 10 so that the inflow water flowing from the one end of the pipe 10 and the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pipe 10, My running sewage can flow smoothly to the underground drain pipe.

또한, 역류의 감지를 경보 하는 경보부(400)는 감지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 신호를 통해 경음 및 경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켜, 배관(10)의 사용자에게 배관(10)내의 역류현상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경보부(400)는 도면상으로 경보부(400)에서 발생되는 경음을 단시간 내 증폭시켜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배관(10) 내측에 도시 되었을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경음, 경음 및 경광의 혼합 장치를 배관(10)의 내측 또는 외측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unit 400 that alerts the detection of the backflow generates at least one of the tilt and the light by using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unit 100, thereby causing the user of the piping 10 to perform the backflow phenomenon in the piping 10 Can be informed. The alarm unit 400 is shown on the inside of the pipe 10 in order to notify the user of the amplification of the trueness generated in the alarm unit 400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ight mixing device can be installed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pipe 10 and used.

이와 같은, 경보부(400) 및 결빙 해지부(300)의 동작을 위한 감지부(100) 및 플로팅부(200)간에 무선 주파수 통신 및 유입수의 역류에 따른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As for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loating unit 200 due to th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the flow of influent water between the sensing unit 100 and the floating unit 200 for the operation of the alarm unit 400 and the freezing unit 3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배관 역류 감지 장치(1)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to 4, the operation of the pipe backflow sensor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하, 명세서상에서 기준범위라 함은 배관(10)내의 유입수의 역류현상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일정 범위를 의미하며, 플로팅부(200)와 감지부(100)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reference range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certain range in which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nflow water in the pipeline 10 has a reverse flow phenomenon, and may be determ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floating unit 200 and the sensing unit 1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ave.

이러한 역류현상의 여부는 플로팅부(200)의 이동가능 거리(L1) 내에서 기준범위 이내(L2)의 거리 값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거리 값은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배관(10)의 설치 장소 및 배관(10)의 주위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Whether or not the backflow phenomenon occurs can be determined as a distance value within the reference range L2 within the movable distance L1 of the floating unit 200. [ It is to be noted that the distance valu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value and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pipe 1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ipe 10. [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배관 역류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A-A' 단면도 이다.3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A-A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ipeline backflow device of FIG.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의 유입수(화살표 참조)는 배관(10)의 개구된 일단면으로 유입되어, 지하 배수관(P)으로 배출될 수 있다.3, the external inflow water (see arrow) flows into the open end surface of the pipe 1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underground water pipe P.

이때, 유입수는 중력방향으로 하강하며, 플로팅부(200)의 배수홀(231)을통과 하면서 플로팅부(200)를 중력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테두리부(220)를 특별한 저항없이 제1 스토퍼(11)의 일 측면에 놓여 지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low water descends in the gravity direction, and the floating unit 200 is slid in the gravity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231 of the floating unit 200, so that the rim 220 can be moved to the first stopper 11). ≪ / RTI >

이러한 경우에 플로팅부(200)는 감지부(100)와 기준범위 이외의 거리가 유지되면서, 감지부(100)는 플로팅부(200)로부터 역류현상의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없거나 역류현상의 비 발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while the distance from the sensing unit 100 to the sensing unit 100 is maintained, the sensing unit 100 can not receive information on the backflow phenomenon from the floating unit 200,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can be received.

아울러, 결빙 해소부(300) 및 경보부(400)도 역류현상의 비 발생에 대응되는 정보를 수신하며,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freeze resolution unit 300 and the alarm unit 400 also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n-occurrence of the backflow phenomenon, and can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배관(10)이 굴절되어 지하 배수관(P)과 연결된 배관(10) 굴절된 구간에 오수가 결빙되면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유입수(화살표 참조)는 지하 배수관(P)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할 수 있다.4, the inflow water (see arrows) continuously flowing from the outside when the sewage is frozen in the section where the pipe 10 is refracted and the pipe 10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water pipe P is defrosted, ) And can flow backward.

이때, 물보다 비중이 작은 플로팅부(200)는 슬라이딩 이동의 중심인 태그부(210)를 중심으로 오수의 상승에 따라 감지부(10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제2의 스토퍼(12)에 제한 될 때까지 상승 이동을 하게 되면서, 기준범위 이내(L2)로 진입할 수 있다. 즉, 플로팅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은 오수의 상승과 함께 상승하며, 오수의 하강과 함께 하강된다. 오수의 상승에 따라 플로팅부(200)가 기준범위 이내(L2)로 진입하게 되면, 감지부(100)는 플로팅부(200)로 부터 역류현상의 발생에 관한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loating part 200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is limited to the second stopper 1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ng part 100 is positioned with the rising of the wastewater around the tag part 210 which is the center of the sliding movement (L2), while moving up to the reference range (L2). That i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loating unit 200 rises with the rising of the wastewater, and falls along with the falling of the wastewater. The sensing unit 100 may receive the sensing signal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he backflow phenomenon from the floating unit 200 when the floating unit 200 enters the reference range L2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wastewater.

아울러, 결빙 해소부(300) 및 경보부(400)도 역류현상의 발생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결빙 해소부(300)는 결빙을 해소 시키는 동작이 발생될 수 있으며, 경보부(400)는 경음 및 경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freeze removing unit 300 and the alarm unit 400 can also be operated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backflow phenomenon. Here, the freeze-removing unit 300 may generate an action to remove ice, and the alarm unit 400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tilt and light.

따라서, 경보부(400)를 통해 배관(10)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유입수의 역류상황을 경보함으로써, 배관(10)사용자가 일정시간 배관(10)으로 유입수를 유입시키지 않도록 하여 오배수가 배관(10)의 개구부로 토출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larming situation of the inflow water is informed to all the users who use the piping 10 through the alarm unit 400, so that the user of the piping 10 can prevent the inflow water from flowing into the piping 10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port.

또한, 결빙 해지부(300)의 작동을 통해 오배수를 역류시키는 주된 원인인 오수의 결빙을 해소시켜, 배관(10)의 개구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를 지하 배수관(P)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freezing of the wastewater, which is a main cause of the reverse flow of the waste water, can be elimin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reezing / breaking unit 300, so that the inflow water flowing in the opening of the pipe 10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underground pipe P .

이와 같은 경보부(400) 및 결빙 해지부(300)를 통해 배관(10)을 사용하는 모든 세대의 거주자들이 역류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참여할 수 있다.Residents of all households using the piping 10 through the alarm unit 400 and the freezing unit 300 can participate to suppress the backflow phenomenon.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배관(10)으로부터 오배수의 역류현상 억제하는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 method for suppressing the reverse flow phenomenon of the water from the pip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를 통해 각층 유수 차단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차단부의 조리개부(500) 평면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water blocking portion in each layer through the pipe backflow sensing device 1, and FIG. 6 is a plan view of the diaphragm 500 of the water flow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배관(10)내부에 있는 I/O 인터페이스(A), 건물(B) 외부에 위치한 중앙 관제 제어부(C) 및 건물(B)의 각층에 위치하는 각층 제어부(B1~Bn) 등을 통해 각층의 배관에 위치한 유수 차단부의 제어를 설명할 수 있다.5, the I / O interface A in the piping 10, the central control unit C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B, and the layer control units B1 to Bn ) Can be used to explain the control of the flow blocking part located in the piping of each layer.

I/O 인터페이스(A)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1)를 통해 입력된 역류 현상의 정보를 중앙 관제 제어부(C) 및 각층 제어부(B1~Bn)로 송신할 수 있다.The I / O interface A can transmit information of the backflow phenomenon inputted through the pipeline backflow sensor 1 to the central control unit C and the floor controllers B1 to Bn.

중앙 관제 제어부(C)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1)와 각층의 제어부(B1~Bn)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I/O 인터페이스(A)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각층 제어부(B1~Bn)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오류로부터 건물(B)의 n층의 제어부(Bn)에서 I/0 인터페이스(A)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여 n층의 제어부(Bn)가 동작하지 않을 시, 중앙 관제 제어부(C)에서 개별적으로 n층의 제어부(Bn)로 정보를 송신하여, n층의 제어부(Bn)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unit C is a device for confirm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ckflow sensor 1 and the control units B1 to Bn of the respective layers and transmit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 / O interface A to the control units B1- Bn).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Bn of the nth layer of the building B does not receive the information of the I / 0 interface A from any error and the control unit Bn of the nth layer does not operate, the central control unit C, the information can be individual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ction Bn of the n-layer, and the control section Bn of the n-layer can be operated.

이러한 제어방법은 중앙 관제실에 설치된 기존 망 즉, 인터폰 등의 통신망으로 사용하여 통신망의 재구축에 사용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is control method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 existing network installed in the central control room, that is, an interphon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reconstruc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도면상으로 중앙 관제 제어부(C)는 정보를 건물(B)의 각층에 위치하는 각층 제어부(B1~Bn)로만 송신할 수 있게 도시되어 있으나, 각층 제어부(B1~Bn)로만 전송할 수 있도록 한정될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각측의 차단판 제어부(D1~Dn)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central control unit C is shown to be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ly to the respective layer controllers B1 to Bn located on the respective layers of the building B, but it can be transmitted only to the respective layer controllers B1 to Bn But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blocking plate control units D1 to Dn on each side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와 같이 정보를 수신한 각층 제어부(B1~Bn)는 각층의 차단판 제어부(D1~Dn)를 제어하여, 유수 차단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유수 차단부와 10m 내외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노드로 구성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 가능하면서 주파수 호핑 방식을 취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있다.Each layer controller B1 to Bn receiving the information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blocking unit by controlling the blocking plate control units D1 to Dn of the respective layers, For example, there is a Bluetooth (Bluetooth) which can use the ISM frequency band while taking a frequency hopping scheme.

이러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배관(10)의 플로팅부(200)의 상부에 형성된 유수 차단부의 조리개부(500)를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By using such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control the diaphragm portion 500 of the water b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portion 200 of the pipe 10.

나아가, 무선 통신을 통해 배관(10)을 사용하는 모든 세대의 거주자들이 역류현상의 억제를 위해 참여하게 되면서, 역류현상이 신속하게 제거되어, 역류현상으로 피해를 입은 거주자가 사라질 수 있는 효과 발생 될 수 있다. 또한, 고층의 세대와 저층의 세대간의 불화 및 갈등이 사라지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Further, residents of all the households using the piping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participate in the control of the backflow phenomenon, so that the backflow phenomenon is quickly eliminated, and the effect of the backflow phenomenon is eliminated . Also, the discordance and conflict between the high-rise generation and the low-rise generation may disappear.

도 6의 유수 차단부의 조리개부(500)는 조리개의 테두리부(510) 및 차단판(520)을 포함하며, 배관(10)의 플로팅부(200) 상부에 형성되어 배관(10)의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차단판(520)은 외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개구부(50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배관(10)내부로 흐르는 유입수의 유입 및 배관(10) 내부로부터 오수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다.6 includes a diaphragm 510 and a blocking plate 520 and is formed on the floating portion 200 of the pipe 10 so that the passage of the pipe 10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shutoff plate 520 is controlled through an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 so that the size of the opening 501 can be adjusted so that inflow of inflow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piping 10 and discharge of the inside of the piping 10 can be blocked .

또한, 차단판(520)은 조리개의 테두리부(510)로부터 좌우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개구부(501)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단판(520)은 일단부를 향해 너비가 점점 좁아지는 칼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개의 테두리부(51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하나와 다른 하나가 적어도 일부분 서로 중첩될 수 있다.나아가, 중첩된 차단판(520)의 사이에 물이 닿으면 차단판(520)간의 인력이 더욱 크게 형성되어 차단판(520)간 중첩된 부분이 더욱 조밀하게 중첩되어 중첩된 틈 사이로 유입수가 새지 않도록 고무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locking plate 520 can vary the size of the opening 501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iaphragm 510 from the left and right. The blocking plate 5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lade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one end and may b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edge 510 of the diaphragm, When the water contacts between the overlapped blocking plates 520,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blocking plates 520 is formed to be larger, so that the overlapped portions between the blocking plates 520 are more densely overlapped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such as rubber to prevent inflow water from leaking through the overlapping gaps.

한편, 조리개의 테두리부(510)는 각층 건물의 배수관 및 배관(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배수관 및 배관(10)의 상부 표면과 평행하게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 배수관 및 배관(10)과 조리개의 테두리부(510) 틈 사이로 유입수가 유통되지 않을 수 있다.The rim 510 of the diaphragm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rain pipe and the pipe 10 of each building and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 pip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ipe 10, 10 and the edge portion 510 of the diaphragm may not flow.

더욱이, 조리개의 테두리부(510)의 내부에는 차단판(520)이 원활하게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roller may be included in the rim 510 to allow the blocking plate 520 to smoothly slide left and righ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can understand what you can do.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배관 역류 감지 장치 10: 배관
11: 제1 스토퍼 12: 제2 스토퍼
100: 감지부 200: 플로팅부
210: 태그부 211: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220: 테두리부 230: 연결부
231: 배수홀 300: 결빙 해소부
400: 경보부 500: 조리개부
510: 조리개의 테두리부 520: 차단판
L1: 플로팅부의 이동가능 거리 L2: 기준범위 이내
1: piping backflow sensing device 10: piping
11: first stopper 12: second stopper
100: sensing unit 200:
210: tag unit 211: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220: rim 230: connection
231: Drain hole 300:
400: alarm unit 500:
510: rim portion 520: shield plate
L1: Movable distance of the floating part L2: Within the reference range

Claims (10)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되며 배관의 내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로팅부;
상기 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위치를 인식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A floating portion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a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pipe;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ip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내측에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 경로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formed at both ends of a path of movement of the floating portion inside the pipe to limit movement of the float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는 내부에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인식 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 리더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플로팅부가 기준범위 이내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 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capable of recognizing 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ipe backflow sensing unit that detects that the floating unit is within a reference range, Sensing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며,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어 배수홀이 형성된 배관 역류 감지 장치.The backflow detection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floating portion slidably moves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pipe, and at least a part of the pipe extends through the drain ho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부는 상기 배관의 내측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와 중앙에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가 위치하는 태그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태그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Th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nsing unit is formed in a ring shap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ipe, and the floating unit includes a ring-shaped rim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pip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rim portion and the tag por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 받아 경음, 경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tilt and a light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배관 내부에 열을 가하여 상기 배관 내의 결빙을 해소하는 결빙 해소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3. The pipe backflow senso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freezing solution removing unit for removing heat in the pipe by applying heat to the inside of the pipe when a sensing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ensing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빙 해소부는 상기 배관 내측 또는 외측에 열선을 포함하거나, 상기 배관 내부에 열풍을 분사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The pipe backflow sens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reeze-free part includes a hot wire inside or outside the pipe, or injects hot air into the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상기 플로팅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관 내부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수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감지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water block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portion of the pipe to block water flowing into the pip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차단부는 복수의 차단판이 중첩되어 상기 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조리개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역류 잠지 장치.10. The pipeline backflow shutoff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water flow cutoff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rrigation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passage of the pipe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KR20130067130A 2013-06-12 2013-06-12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KR1014875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30A KR101487502B1 (en) 2013-06-12 2013-06-12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130A KR101487502B1 (en) 2013-06-12 2013-06-12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43A true KR20140145243A (en) 2014-12-23
KR101487502B1 KR101487502B1 (en) 2015-01-29

Family

ID=5259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130A KR101487502B1 (en) 2013-06-12 2013-06-12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5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03B1 (en) * 2020-04-07 2020-10-05 (주)에이티씨 Active odor intercep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71B1 (en) * 2015-11-17 2016-05-18 주식회사 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To prevent back flow of sewage piping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KR101984359B1 (en) * 2016-04-28 2019-09-03 (주)송웅피엔텍 Material for water treatment removal fluorine and water trea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861Y1 (en) * 1996-12-10 2000-10-02 정몽규 Apparatus of oil level checking
JP2006098109A (en) * 2004-09-28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 level of bathtub detection device
KR20060114770A (en) * 2005-05-02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Chemical solution storage apparatus having light detect sensor system and metal can
KR101314342B1 (en) * 2011-09-05 2013-10-04 손호인 Drainpipe's freeze and burst preven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03B1 (en) * 2020-04-07 2020-10-05 (주)에이티씨 Active odor intercep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502B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894B2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324228B2 (en) Pipe system, and pipe flow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487502B1 (en) Apparatus of sensing backflow in plumbing
CN103890284A (en) Building water safety device
US10535246B2 (en) Sewer alarm apparatus having a probe
US11371235B2 (en) Partial blockage detection using backwater valve
US20160069048A1 (en) Water flow control and supply system
CN108168786A (en) A kind of smart home water leakage monitoring system
US10677494B2 (en)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heaters
CN106123354B (en) Flow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water mixer and water leakage monitoring method based on flow monitoring system
CN114207400A (en) Leak detector system
WO2015181411A1 (en) System for saving wa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latter
JP2019206894A (en) Drainage system
JP2014074970A (en) Device for giving notification of liquid leakage from tank
KR101577963B1 (en) Plumbing leak detection device
CN203190588U (en) Air conditioner drainage system
US20170067232A1 (en) Water flow control and supply system
KR101990147B1 (en) Digital air vent system for staem
JP2022100842A (en) Piping, piping system, installation method of piping, and detection method of pipe clogging or overflowed liquid
US20210404166A1 (en) Controlling a vacuum valve in a sewage pit
CN215341345U (en) Pipeline blockage alarm
KR20210052352A (en) Auto flushing apparatus for freezing protection
CN209856538U (en) PVC drainage pipe with leak protection detects function
JP2021143846A (en) Backflow detection device and backflow detection system
KR20230138975A (en) rain drain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