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907A -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 - Google Patents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907A
KR20140144907A KR20130067087A KR20130067087A KR20140144907A KR 20140144907 A KR20140144907 A KR 20140144907A KR 20130067087 A KR20130067087 A KR 20130067087A KR 20130067087 A KR20130067087 A KR 20130067087A KR 20140144907 A KR20140144907 A KR 2014014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einforcing
load
couple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0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경민
김정두
김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3006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4907A/en
Publication of KR2014014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9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7/00Details of attaching or adjusting engine beds, frames, or supporting-legs on foundation or base; Attaching non-moving engine parts, e.g. cylinder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with an extended contact area which includes: a pole supporting communication equipment; a pole support unit installed in a supporting means including a surface of a structure on which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being coupled to the pole to enable the pole to be supported by a central region; and a weight reinforc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pole support unit and the other side exten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means while being apart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pole support unit in a predetermined distance.

Description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ed pole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분산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풍압 등의 횡하중에 견딜 수 있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in which a contact area that can withstand lateral loads such as wind pressure is extended.

통신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통신이 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통신용 장비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As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equipment to eliminate blind spots that do not communicate.

일반적인 통신용 장비로는 중계기, 안테나 등이 있으며, 통신용 장비는 통신에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유리하도록 전파를 넓은 범위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건물옥상과 같은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Typical communication equipments include repeaters and antennas, and communication equipments are installed at high positions such as building rooftops where radio wave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wide range so as to send and receive signals necessary for communication.

이러한 통신용 장치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로 하며, 이러한 지지장치로는 전주, 목주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A separate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such a communication device is required. As this supporting device, various types of devices including electric pole and wood can be used.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지지장치의 일 예로,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as an example of a general communication supporting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분산폴 지지장치(100)는, 통신용 장비(10)를 지지하는 폴대(110) 및 폴대(110)를 중앙 영역에서 지지 가능하게 건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바닥을 포함하는 지지수단(미도시)에 설치되며 폴대(110)와 결합되는 폴대지지부(12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a typical distributed pole support apparatus 100 includes a pole 110 supporting a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10 and a base 110 comprising a floor of a structure comprising a building to support the pole 110 in a central region And a pole support 120 installed on the support means (not shown) and coupled with the pole 110.

폴대지지부(120)는 지지장치의 중앙 영역에 폴대(110)를 지지하는 폴대결합부재(111) 및 폴대결합부재(111)의 제1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방향 결합부재(121)와, 제1 방향 결합부재(121)의 가로방향으로 폴대결합부재(111)에 결합되는 제2 방향 결합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 결합부재(121)와 제2 방향 결합부재(123)는 폴대결합부재(111)에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1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pole support 120 includes a pole engaging member 111 for supporting the pole 110 and a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121 for engaging the pole engaging member 111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joining member 123 coupled to the pole engaging member 1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one-way engaging member 121. [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1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means 125 including a bolt to the pole coupling member 111.

체결수단(125)에는 제1 방향 결합부재(1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123)를 폴대결합부재(111)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방향 결합부재(1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123)를 폴대결합부재(11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판 형상으로 마련된 스토퍼(127)와, 체결수단(125)의 양측에서 스토퍼(127)를 체결수단(125)에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The fastening means 125 is provided with a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121 and a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121 so as to firmly engage the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123 with the pole engaging member 111. [ A stopper 127 provided in a plate shape so as to press the member 123 in the direction of the pole engaging member 111 and a nut for fixing the stopper 127 to the engaging means 125 on both sides of the engaging means 125 A coupl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이러한 분산폴 지지장치(100)는 통상 개인, 지방자치단체 등의 소유물인 건물 등의 옥상에 설치되고 옥상 등의 구조물과 접착되거나 고정되지 않고 분산폴 지지장치(100)의 자중에 의해 옥상의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This distributed pole supporting apparatus 100 is usually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or the like belonging to an individual, a local government or the like and is not adhered or fixed to a structure such as a roof or the like, A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분산폴 지지장치(100)는 하중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 중 특히 통신장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풍압을 견디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분산폴 지지장치(100)의 하중을 무한정 증대시키면 집중 하중이 높아져 구주물의 하중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어느 범위 이상으로 증대시킬 수도 없게 된다.Since a general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1 is supported by a load, there is a limit to endure wind pressure that exerts most influence on external equipment, especially communication equipment. For example, if the load of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100 is increased infinitely, the concentrated load becomes high, which affects the load of the sphere water, so that it can not be increased beyond a certain range.

따라서, 통신용 지지장치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 method for improving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a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an external force more effectively in a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폴의 하중을 크게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분산폴 지지장치가 설치되는 대상과의 접촉면적을 연장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이고 풍압 등의 횡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분산폴 지지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dispersion pawl supp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apable of withstanding a lateral load such as a loa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는, 통신용 장비를 지지하는 폴대; 상기 통신용 장비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표면을 포함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어며 상기 폴대가 중앙 영역에서 지지되도록 상기 폴대와 결합하는 폴대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폴대지지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폴대지지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멀어지면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하중 보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comprising: a pole supporting a communication device; A pole support unit installed on a support means including a surface of a structure on which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and coupled with the pole so that the pole is supported in a central region; And a load reinforcing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pole supporting portion at one side and extends to contact the supporting means at a distance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pole support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폴대지지부는, 상기 폴대와 결합하기 위해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폴대결합부재; 상기 폴대결합부재의 제1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폴대결합부재에 결합하는 제2 방향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방향 결합부재는 소정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폴대결합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The pole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engaging member located at a central region for engaging with the pole; A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the pole engaging member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pole coupling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use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And can be coupled to the pole coupl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중 보강부는, 일측은 상기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방향 결합부재의 단부측에 돌출된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load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ans protruded on the end side of the first direction joining member and the second direction joining member,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중 보강부는, 상기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방향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결합부재; 및 상기 보강결합부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reinforcing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contact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reinforcing engagement member and contacting the supporting means.

이때, 상기 보강접촉부재는, 상기 보강결합부재의 단일 측 또는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reinforcing contact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a single side or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engagement member.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중 보강부는, 상기 폴대 중심으로부터 둥근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접촉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oad reinforcing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frame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at least one reinforcing contact member so as to maintain a round shape from the center of the p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테두리부재는, 원형, 타원형 또는 부분적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frame membe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partially linear shape.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중 보강부는, 상기 보강접촉부재의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는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상기 지지수단에 대하여 상기 폴대지지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load-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pole supporting portion from slidably mov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ans in a partial region or an entire region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supporting means And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block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중 보강부는 형강류 또는 절곡된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tion steel or a bent plate.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can be understood and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풍압 등의 횡하중에 견딜 수 있고, 기존의 분산폴 지지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분산폴의 하중을 크게 증대시키지 않아 분산폴이 지지되는 구조물에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분산풀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withstand a lateral load such as wind pressure,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Since the load of the dispersion pole is not greatly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ersion-type pulling-support apparatus which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전체의 하중을 절감하면서도 견디는 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재,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oad to be endured while reducing the load of the entire apparatus, and to reduce the material, manufacturing cost, and installation cost,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급속하게 미끄러져 충돌에 의해 전도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분산폴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which can improve reliability and durability and can prevent a phenomenon of sliding rapidly and being conducted by colli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가능한 오뚜기형으로 마련되어 강한 풍압에도 전도가 예방될 수 있는 분산폴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which is provided in a rotatable grasser type and can prevent conduction under strong wind pressur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지지장치의 일 예로,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산폴 지지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산폴 지지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as an example of a general communication supporting device.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viewed from above,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perating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sliding blocking memb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본 발명은 분산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풍압 등의 횡하중에 견딜 수 있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in which a contact area that can withstand lateral loads such as wind pressure is extend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통신용 장비(20)를 지지하는 폴대(210), 폴대(210)를 중앙 영역에서 지지 가능하게 건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바닥을 포함하는 지지수단(21)에 설치되며 폴대(210)와 결합되는 폴대지지부(220) 및 일측은 폴대지지부(220)에 결합되고 타측은 폴대지 중앙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지지수단(21)에 접촉 가능하게 연장된 하중 보강부(230)를 포함한다. 2,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210 supporting a communication device 20, a structure 210 including a pol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ans 21 so as to b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pole sit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ans 21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1, And a load reinforcing portion 230 extended to be contactable with the load support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이 앞쪽으로 좌측이 뒤쪽으로 위치한 제2 방향 결합부재(223)의 중심축 선을 'X'축선 방향으로 정의하고, 우측이 뒤쪽으로 좌측이 앞쪽으로 위치한 제1 방향 결합부재(221)의 중심축선을 'Y'축선 방향으로 정의하고, 'X-Y' 평면의 수직 방향을 'Z' 축선 방향으로 각각 정의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axis line of the second direction joining member 223, which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left side, is defined as the 'X' axis direction, 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XY' plane is defined as a 'Z' axis direction, respectively.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용 장비(20)는 분산폴 지지장치(200)가 지지하는 대상이다. 통신용 장비(20)로는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증폭 또는 정형하거나 또는 그 양자를 모두 수행하여 송출하는 중계기 및 전파를 공중으로 발사하거나 수신하는 도체로 전자파 에너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is an object supported by the distributed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includes a repeater for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in one direction or both directions, amplifying or shaping the signals, or both,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to and from a conductor And the like.

지지수단(21)은 건축물의 옥상, 꼭대기의 평평한 면 등으로 바닥을 포함하는 평평한 장소이다.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지지수단(21)의 상면에 배치되는데, 시멘트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결합제나 또는 앵커, 못, 볼트, 와이어, 밧줄 등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분산폭 지지장치(200) 그대로 배치된다.The supporting means 21 is a flat place including a floor, such as a roof of a building, a flat surface at the top, and the like. The dispersing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ans 21 and is provided with a coupling device such as cement or adhesive or the like without using coupling means such as anchor, nail, bolt, wire, ).

이하 분산폴 지지장치(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istributed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폴대(210)는 통신용 장비(20)가 결합되도록 폴대지지부(220)에 지지되는 긴 막대를 포함하는 통상 'Z'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폴대(210)는 결합되는 통신용 장비(20)의 소요 높이, 종류 및 무게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재질로 구현되며, 통상의 원형,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의 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le 210 is formed long in the normal 'Z' direction including a long rod supported by the pole support 220 so that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is coupled. The pole 210 may be realized in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quired height, type, weight, etc.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to be coupled, and may be realized as a pipe having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general circle, a square, and the like.

폴대지지부(220)는 지지장치의 중앙 영역에 폴대(210)를 지지하는 폴대결합부재(211) 및 폴대결합부재(211)의 제1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방향 결합부재(221)와, 제1 방향 결합부재(221)의 가로방향으로 폴대결합부재(211)에 결합되는 제2 방향 결합부재(22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3)는 90°방향으로 직교되어 통신용 장비(20) 및 폴대(210)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하여 지지수단(21)에서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The pole support 220 includes a pole engaging member 211 for supporting the pole 210 and a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221 for engaging the pole engaging member 211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223 coupled to the pole engaging member 2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one-way engaging member 221. That is, the first direction join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joining member 223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the 90 占 direction and are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21 by the wind pressure acting on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and the pole 210. [ .

그리고,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3)는 폴대결합부재(211)에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2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may be coupled to the pole coupling member 211 by fastening means 225 including bolts, , But it is not limited to a bolt, and various other known fastening means can be used.

폴대지지부(220)는 폴대(210), 통신용 장비(20) 및 폴대지지부(220)의 자중에 의하여 구조물의 지지수단(21)에 단순하게 접촉되어 지지된다. The pole support 220 is simply hel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ans 21 of the structure by the weight of the pole 210,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and the pole support 220.

예컨대, 분산폴 지지장치가 고정되어 설치되었다가 태풍, 강풍 등의 외력에 의한 풍압으로 인해 파손되는 경우, 분산폴 지지장치가 설치된 구조물도 함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분산폴 지지장치를 지지수단에 자체 하중으로 지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파손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is fixedly installed and is damaged due to wind pressure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a typhoon or a strong wi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is installed is also damag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upport means by its own load is used to minimize or prevent breakage of the structure.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폴대 지지부(220)에 하중 보강부(230)를 부가하여 폴대(210) 및 통신용 장비(20)에 작용하는 풍압을 지지가능하도록 한다.To this end, a load reinforcing portion 230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pole supporting portion 220 to support the wind pressure acting on the pole 210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하중 보강부(230)는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3)에 결합되는 보강결합부재(231)와 보강결합부재(231)에서 연장되는 보강접촉부재(233)로 구성된다. 이때, 하중 보강부의 일측은 제1 방향 결합부재(221)와 제2 방향 결합부재(223)의 단부측에 돌출된 체결수단(225)에 의해 결합되고, 하중 보강부(230)의 타측은 지지수단(21)에 접촉 가능하게 폴대지지부(220)의 중앙 영역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30 includes a reinforcing coupling member 231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and a reinforcing contact member 233 extending from the reinforcing coupling member 231 . One side of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is coupled by a coupling means 225 protruding from an end side of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May extend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pole support 220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the means 21.

하중 보강부(230)가 결합된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보강접촉부재(233)가 폴대지지부(220)의 중앙영역에서부터 반경 방향(도 2에서는 'X'축선 방향 및 'Y'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수단(21)에 접촉되어 폴대(210), 폴대지지부(220) 및 통신용 장비(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The dispersing pole supporting device 200 to which the load reinforcing part 230 is couple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233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rea of the pole supporting part 220 in the X- To have sufficient strength to contact the support means 21 to support the loads of the pole 210, the pole support 220 and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

하중 보강부(230)의 보강결합부재(231)는 체결수단(225)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체결홀(231a)이 형성되어 있고, 폴대지지부(220)에 결합되는 체결수단(225)에는 하중 보강부(2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225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폴대지지부(220)를 관통하는 체결수단(225)이 체결홀(231a)을 관통하여 체결부재(225a)와 결합함으로써 폴대지지부(220)와 하중 보강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coupling member 231 of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3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31a which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means 225 and the coupling means 225 which is coupled to the pole supporting portion 220 And a fastening member 225a including a nut that can firmly support the load reinforcing part 230. [ That is, the fastening means 225 passing through the pole supporting portion 220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231a and is coupled with the fastening member 225a, so that the pole supporting portion 220 and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30 can be combined.

하중 보강부(230)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앵글을 포함하는 형강류와 충분한 강도를 갖는 판재를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ad-reinforcing portion 230 preferably bends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including the angl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load and the plate having sufficient strength.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산폴 지지장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viewed from above,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대지지부(220)는 지지장치의 중앙 영역에 폴대를 지지하는 폴대결합부재(211) 및 폴대결합부재(211)의 제1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방향 결합부재(221)와, 제1 방향 결합부재(221)의 가로방향으로 폴대결합부재(211)에 결합되는 제2 방향 결합부재(223)로 구성되며,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3)는 90°방향으로 직교되어 결합된다. 폴대지지부(220)의 각 결합부재(221, 223)에는 보강결합부재(231) 및 보강접촉부재(233)로 구성된 하중 보강부(230)가 결합되어 있다.3, the pole support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engaging member 211 for supporting the pole in a central region of the supporting device, A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a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coupled to the pole coupling member 2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are orthogonally coupled in the 90 占 direction.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30 constituted by the reinforcing fitting member 231 and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233 is coupled to each of the engaging members 221 and 223 of the pole supporting portion 220.

이때,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3)의 가로, 세로, 높이에 관한 스펙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경우, 폴대지지부(220)의 외측 경계를 나타내는 원 'A'는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3)의 외측을 이은 선으로, 상기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분산폴 지지장치의 면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폴대지지부(220)의 외측 경계를 나타내는 원 'B'는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3)에 각각 결합된 하중 보강부(230)의 외측을 이은 선으로, 하중 보강부(230)의 결합으로 분산폴 지지장치의 하중이 가해지는 접촉면적이 종래기술보다 연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pecifications regarding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are the same, the circle 'A' representing the outer boundary of the pole support unit 220 A line connecting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223 can represent an area of a general dispersing pole suppor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The circle 'B' representing the outer boundary of the pole support portion 220 is a line connecting the outer sides of the load reinforcing portions 230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And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230, the contact area where the load of the dispersion pawl support device is applied is long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4에 도시된 실선으로 표시된 분산폴 지지장치(100)는 상기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을 나타낸다.The dispersed pole support apparatus 100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4 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FIG. 1, and the dispersed pole support apparatus 200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sh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하중보강부로 인하여 폴대지지부(220)가 지지수단(21)에 접촉하는 면적의 직설길이가 'B'가 되면서 종래 기술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100)가 지지수단(21)과 접촉되는 면적의 직선길이 'A'에 비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촉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무게중심 'Wb'에서 'B/2'의 우측 지지점까지의 거리가 종래기술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무게중심 'Wa'에서 'A/2'의 우측 지지점까지의 거리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4, 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le supporting portion 2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ing means 21 due to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Can be extended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length 'A' of the area in which the dispersed pole suppor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technique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ans 21. [ That is, due to the increase of the contact area,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Wb' to 'B / 2' of the dispersing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Wa' Is longer than the distance to the right fulcrum of 'A / 2'.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100)에 풍압 'Fa'가 작용하면 무게중심 'Wa'가 A/2의 우측 지지점을 넘어감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100)는 전도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풍력 'Fb' 작용시 무게중심 'Wb'가 B/2의 우측 지지점을 넘어가는 이후부터 전도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wind pressure 'Fa' acts on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the center of gravity 'Wa' exceeds the right support point of A / 2, The dispersed pole support apparatus 100 can be conducted. On the other hand, 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ducted after the center of gravity 'Wb' in the operation of wind force 'Fb' crosses the right support point of B / 2.

이러한 사실로부터, 분산폴 지지장치의 전도를 유발하는 풍압의 크기는 종래기술의 경우 작용되는 'Fa'에 비하여 본 발명에 작용되는 'Fb'가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장치 전체의 하중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아도 종래 기술에 비하여 풍압 등의 횡하중을 견디는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rom this fact, it can be seen that the magnitude of the wind pressure that causes conduction of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Fa' applied in the prior art, that is, the 'Fb' acting o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xample improved against the lateral load such as wind pressure and the lik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without increasing the load of the entire apparatus.

이하,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를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강도가 증가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rength is increased when the distributed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is actually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대결합부재(211)를 가로(‘Y’축선 방향), 세로(‘X’축선 방향) 및 높이(‘Z’축선 방향)가 각각 31cm, 31cm 및 30cm(높이 10cm 짜리 3단 적재)로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ole joining member 2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th (Y 'axis direction), a length (' X 'axis direction) and a height It can be realized with 31cm and 30cm (three-tier 10cm height).

이때, 제1 방향 결합부재(221)가 폴대결합부재(211)의 우측 후방부(‘Y’방향의 음(-)방향)에서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10cm, 31cm 및 31cm 인 블록 세 개가 체결수단(225)에 의해 폴대결합부재(211)에 결합되고, 제1 방향 결합부재(221)가 폴대결합부재(211)의 좌측 전방부(‘Y’방향의 양(+)방향)에서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10cm, 31cm 및 31cm 인 블록 세 개가 체결수단(225)에 의해 폴대결합부재(211)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is divided into three blocks each having a width, a length, and a height of 10 cm, 31 cm, and 31 cm, respectively, in the right rear portion (negative direction in the Y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221 is engaged with the pole engaging member 211 by the engaging means 225 so that the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221 is transversely disposed in the left front part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Y' direction) Three blocks each having a length and a height of 10 cm, 31 cm and 31 cm, respectively,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ole coupling member 211 by the fastening means 225.

마찬가지로, 제2 방향 결합부재(223)가 폴대결합부재(211)의 우측 전방부(‘X’방향의 양(+)방향)에서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10cm, 31cm 및 31cm 인 블록 세 개가 체결수단(225)에 의해 폴대결합부재(211)에 결합되고, 제2 방향 결합부재(223)가 폴대결합부재(211)의 좌측 후방부(‘X’방향의 음(-)방향)에서 가로, 세로 및 높이가 각각 10cm, 31cm 및 31cm 인 블록 세 개가 체결수단(225)에 의해 폴대결합부재(211)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Likewise, the second directional joining member 223 is divided into three blocks of 10 cm, 31 cm, and 31 cm in width, height and height, respectively, in the right front part (the positive direction in the 'X'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223 is engaged with the pole engaging member 211 by the engaging means 225 so that the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223 is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left rear portion of the pole engaging member 211 Three blocks each having a length and a height of 10 cm, 31 cm and 31 cm, respectively,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ole coupling member 211 by the fastening means 225.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강도를 종래기술과 비교해보면, 폴대지지부(220)의 ‘X’및 ‘Y’축선 방향의 길이가 각각 가로 90cm (폴대결합부재-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공통임 30cm 1 세트 + 제1방향 결합부재 30cm 2 세트), 세로 31cm, 높이 31cm이다. 여기에, 본 발명에 따른 하중보강부(230)의 보강접촉부재(233)의 길이를 9cm 로 구현하면, 폴대지지부(220)는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9cm 각각 연장되게 된다.4, the strength of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prior art. The strength of the pole supporting unit 220 in the 'X' and the 'Y' Length is 90 cm (pole joint member - 30 cm 1 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 direction + 30 cm 2 set in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31 cm in height, and 31 cm in height. If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233 of the load reinforcing par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9 cm, the pole supporting part 220 is extended 9 cm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thereof.

이러한 실시예에서, 분산폴 지지장치에 외력 중에서도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풍압에 대응한 강도를 고려하도록 한다. 여기서, 폴대(210)는 직경 60.5mm 파이프로 높이 2m이고, 통신용 장비(20)의 외형은 가로 30cm, 높이 80cm, 폭 10cm ㅇ이인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통신용 장비(20)의 무게 10kg, 폴대(210) 무게 19.9kg, 폴대지지부(폴대결합부재+제1 방향 결합부재+제2 방향 결합부재) 무게 240kg으로 분산폴 지지장치의 전체 무게 1566.9kg 을 기준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wind pressure which is most influenced by the external force is considered in the distributed pole supporting apparatus. Here, it is assumed that the pole 210 has a height of 2 m with a diameter of 60.5 mm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is 30 cm wide, 80 cm high, and 10 cm wide. The weight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20, the weight of the pole 210, and the weight of the pole support unit (pole coupling member +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weigh 240kg, As a reference.

강도 계산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분산폴 지지장치가 전도되지 않고 견디는 최대 풍속은 30m/sec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가 전도되지 않고 견디는 최대 풍속은 35m/sec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풍속은 보티트(Beaufort) 풍력계급표에 근거하여 지상 10m에서의 상당풍속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강도가 세진 상위 등급의 바람에도 견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strengt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ximum wind speed of the conventional dispersion pole support device without being conducted is 30 m / sec, while the maximum wind speed with which the dispersion pol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ducted is 35 m / sec. (In this case, the wind speed means a wind speed equivalent to 10 m above the ground based on the Beaufort wind chart.) That is, the dispersion pol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prior art in the upper grade wind Can be tolerated.

이러한 강도계산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구조물인 옥상을 이루는 콘크리트 바닥으로 이루어진 지지수단(21)에 별도의 접착제, 못, 앵커, 밧줄 등의 접착 내지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고 분산폴 지지장치(200) 자체의 하중만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강도 계산을 수행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is strength calculation does not include the adhesive or fixing means such as a separate adhesive, nail, anchor, or rope to the support means 21 made of a concrete floor constituting a roof, which is a normal structure, ) Is assumed to act only on its own weight, and strength calculation is performed.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500)는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통신용 장비(20)를 지지하는 폴대(210), 폴대(210)를 중앙 영역에서 지지 가능하게 건물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바닥을 포함하는 지지수단(21)에 설치되며 폴대(210)와 결합되는 폴대지지부(220) 및 일측은 폴대지지부(220)에 결합되고 타측은 폴대지 중앙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지지수단(21)에 접촉 가능하게 연장된 하중 보강부(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210 supporting a communication device 20, a pole 210, (220), which is mounted on a support means (21) including a bottom of a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ably supportable structure at the center of the pole, and which is coupled to the pole (210) And a load reinforcing portion (530) extending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means (21) so as to be away from the reg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부(530)는 제1 방향 결합부재(221) 및 제2 방향 결합부재(225)에 결합되는 보강결합부재(531)와 보강결합부재(231)의 양 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보강접촉부재(533)로 구성된다. 이때, 하중 보강부(530)의 일측은 제1 방향 결합부재(221)와 제2 방향 결합부재(223)의 단부측에 돌출된 체결수단(225)에 의해 결합되고, 하중 보강부(530)의 타측은 지지수단(21)에 접촉 가능하게 폴대지지부(220)의 중앙 영역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5,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5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coupling member 531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5, And a pair of reinforcing contact members 533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ember 231, respectively. One side of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530 is coupled by the coupling means 225 protruding from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The other side of the pole support 220 may extend away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pole support 220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support means 21.

이와 같이, 보강접촉부재(533)를 보강결합부재(531)의 양 측에서 연장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경우, 분산폴 지지장치(500)의 자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pair of reinforcing contact members 533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connecting member 531, the weight of the dispersing pole supporting apparatus 50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600)는 상기 도 2에서 상술한 분산폴 지지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다만 하중 보강부(630)의 형태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과 구별된다. 이하,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2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except that the load reinforcing member 630 The shape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embodiments as shown in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부(630)는 보강결합부재(631), 보강결합부재(631)의 양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접촉부재(633) 및 보강접촉부재(633)의 외측에 결합된 외측테두리부재(635)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6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coupling member 631, a pair of reinforcing contact members 633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coupling member 631, And an outer rim member 635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633. [

외측테두리부재(635)는 폴대(210)를 중심으로 둥근 형상을 유지하도록 보강접촉부재(633)의 외측에 결합되며, 이러한 외측테두리부재(635)는 완전한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부분적 직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The outer frame member 635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633 so as to maintain a round shape around the pole 210. The outer frame member 635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ellipse, .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operating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실선으로 표시된 분산폴 지지장치(100)는 상기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분산폴 지지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을 나타낸다.The dispersed pole support apparatus 100 indicated by the solid line shown in FIG. 7 is in accordance with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FIG. 1, and the dispersed pole support apparatus 200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sh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7에 도시된 분산폴 지지장치(600)에서 외력 'Fk1'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테두리부재(635)가 없다면 해당 분산폴 지지장치(600)는 전도될 수 있으나, 외측테두리부재(635)로 인하여 전도될 정도의 크기 이상의 외력기 가해지더라도 분산폴 지지장치(600)는 외력이 적게 작용하는 방향인 우측 'Rk1'방향 또는 좌측 'Rk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분산폴 지지장치(600)의 회전력에 의해 풍압이 작용하는 면적이 감소할 수 있어 분산폴 지지장치는 전도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external force 'Fk1' is applied to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600 shown in FIG. 7,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600 can be conducted without the outer frame member 635, The dispersing pole supporting apparatus 600 rotates in the right side 'Rk1' direction or in the left side 'Rk2'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less effective. The area where the wind pressure acts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600 may be reduced, so that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apparatus may not be conducted.

예컨대, 분산폴 지지장치(600)가 회전운동을 하거나 또는 이동하게 되면 동일한 외력이 가해지는 환경이라도 실제로 분산폴 지지장치(600)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감소되거나 힘이 가해지는 면적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즉, 외력이 작용하면 분산폴 지지장치(600)는 보다 적은 힘이 작용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작용하는 외력인 풍압도 작용하는 방향이 항상 일정한 방향은 아니기 때문이다.For example, even if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600 is rotated or moved, even if the sam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iz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600 is reduced or the size of the area Can be reduced.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600 tends to move to a side where less force is appli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wind pressure, which is an external force acting, is not always constant.

이와 같이, 하중 보강부(640)에 외측테두리부재(635)를 더 포함하게 되면, 외측테두리부재(635)의 작용에 의하여 분산폴 지지장치는 방향이 변동하는 외력(풍압)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In this way, by further including the outer frame member 635 in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640, 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can more effectively cope with the external force (wind pressure) in which the direction changes due to the action of the outer frame member 635 have.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보강부의 보강접촉부재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결합부재의 양 측단에 연결된 2개의 한 쌍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보강접촉부재를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강접촉부재의 길이는 폴대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시킬 수 있다.Further,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of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wo pair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and engaging member as shown in Figs. 5 to 7, and may include three or more reinforcing contact members It can be configured as a pair. Further,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can be further extended radially outward around the pole.

한편, 풍압과 같은 외력이 분산폴 지지장치에 작용하는 경우 분산폴 지지장치가 지지수단과의 마찰력이 적으면 지지수단의 상부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이러한 슬라이딩 동작에서 발생하는 가속력에 의하여 소정의 걸림턱 등에 걸리면서 걸림턱이 지지대로 작용하여 넘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슬리이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슬라이딩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wind pressure acts on the dispersing pole supporting device, the dispersing pole supporting device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ans if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upporting means is small. There may occur a phenomenon that the latching jaw acts as a support and falls because it is caught by a predetermined latching jaw or the lik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liding block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such a sliding phenomenon.

도 8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분산폴 지지장치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a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sliding blocking member. Fig.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800)의 하중보강부(830)는 보강결합부재(831), 보강접촉부재(833) 및 슬라이딩저지부재(835)를 포함할 수 있다.8, the load reinforcing portion 830 of 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device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coupling member 831, a reinforcing contact member 833, and a sliding blocking member 835. [ . ≪ / RTI >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21)과 접촉되는 모든 보강접촉부재(833)의 하측면에 지지수단(21)에 대한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저지부재(83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저지부재(835)는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고무와 같은 재질, 요철 형상 등의 공지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8 (a), a sliding blocking member 835 for preventing sliding of the supporting means 2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all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s 833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means 21 . The sliding blocking member 835 is used for preventing a latching phenomenon, and various known materials such as a thin rubber-like material, a concavo-convex shape and the like can be used.

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접촉부재(833)의 일부에만 슬라이딩저지부재(83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 방향 결합부재(223)에 결합된 보강접촉부재(833)에의 하측에만 슬라이딩저지부재(835)가 결합되고, 제1 방향 결합부재(221)에 결합된 보강접촉부재(833)에의 하측에는 별도의 슬라이딩저지부재를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보강접촉부재에만 슬라이딩저재부재를 결합하게 되면, 일부 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외력(풍력)에 대한 분산폴 지지장치의 방향 변경이 가능케 하면서 분산폴 지지장치에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 및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8 (b), the sliding blocking member 835 can be engaged only with a part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833. That is, only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833 coupled to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223 is engaged with the sliding blocking member 835, and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833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221 And a separate sliding blocking member may not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By engaging the sliding bearing member only with a part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ersion pole support device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wind force) by making it possible to slide in a certain direction, Can be reduced.

이는, 외력에 의해 마찰력이 다른 쪽에서 지지되는 경우 마찰력이 적은 쪽으로 분산폴 지지장치가 회전하려는 특성을 이용하여 풍력이 분산폴 지지장치에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frictional force is supported on the other side by the external force, the area in which the wind force contacts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can be reduc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rotates toward the low frictional force.

이러한 슬라이딩저지부재는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보강부 보강접촉부재의 하축 일부 또는 전부, 외측테부리부재의 하측 전부 또는 일부에 결합시켜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Such a sliding blocking member may be combined with a part or all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reinforcing portion reinforcing contac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and all or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outer side bobbin member to achieve the same effect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산폴 지지장치는 간단하고 편리하게 풍압 등의 횡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기존의 분산폴 지지장치에도 하중 보강부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고, 분산폴의 하중을 크게 증대시키지 않아 분산폴이 지지되는 구조물에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conveniently withstand a lateral load such as wind pressure, and can be easily applied by including a load reinforcing portion in a conventional dispersion pole supporting apparatus, So that damage to the structure supported by the dispersion pawl can be prevented.

또한, 장치 전체의 하중을 절감하면서도 견디는 하중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재 및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급속하게 미끄러져 충돌에 의해 전도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오뚝이처럼 마련되어 강한 풍압에도 전도가 예방될 수 있는 분산폴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oad to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entire apparatus while reducing the load of the entire apparatus, to improve the economical efficiency by reducing the material and manufacturing cost and the installation cost,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durabil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onduction and to provide a dispersed pole supporting device which is provided as a rotatable stump so that conduction can be prevented even under strong wind pressur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통신용 장비를 지지하는 폴대;
상기 통신용 장비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표면을 포함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어며 상기 폴대가 중앙 영역에서 지지되도록 상기 폴대와 결합하는 폴대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폴대지지부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폴대지지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멀어지면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는 하중 보강부를 포함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A pole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A pole support unit installed on a support means including a surface of a structure on which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s installed and coupled with the pole so that the pole is supported in a central region; And
And a load reinforcing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pol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extended away from the central region of the pole support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support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지지부는,
상기 폴대와 결합하기 위해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폴대결합부재;
상기 폴대결합부재의 제1 방향으로 결합하는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폴대결합부재에 결합하는 제2 방향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방향 결합부재는 소정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폴대결합부재에 결합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e support portion
A pole engaging member located at a central region for engaging with the pole;
A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engaged with the pole engaging member in a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pole coupling member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and the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engage with the pole engaging member using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부는,
일측은 상기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방향 결합부재의 단부측에 돌출된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ad-
Wherein the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means protruded on the end side of the first direction engaging member and the second direction engaging member and the other side is capable of contacting with the supporting mea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부는,
상기 제1 방향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방향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결합부재; 및
상기 보강결합부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ad-
At least one reinforcing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direction coupling member and the second direction coupling member; And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contact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reinforcing engagement member and contacting the supporting mea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접촉부재는,
상기 보강결합부재의 단일 측 또는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contact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a single side or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engagement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부는,
상기 폴대 중심으로부터 둥근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접촉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테두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ad-
Further comprising an outer rim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at least one reinforcing contact member to maintain a rounded shape from the pole cen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테두리부재는,
원형, 타원형 또는 부분적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uter frame member comprises:
Shaped, partially or rectilinearly extending in contact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부는,
상기 보강접촉부재의 상기 지지수단에 접촉하는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상기 지지수단에 대하여 상기 폴대지지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ad-
Further comprising a sliding blocking member for preventing a sliding movement of the pole support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ans in a partial region or an entire region of the reinforcing contact member contacting the supporting means, Pole suppo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보강부는,
형강류 또는 절곡된 판재를 포함하는, 접촉 면적을 연장한 분산폴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
A distributed pawl support device with a contact area extended, comprising a cross-section or a bent plate.
KR20130067087A 2013-06-12 2013-06-12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 KR201401449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87A KR20140144907A (en) 2013-06-12 2013-06-12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087A KR20140144907A (en) 2013-06-12 2013-06-12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907A true KR20140144907A (en) 2014-12-22

Family

ID=5267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087A KR20140144907A (en) 2013-06-12 2013-06-12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490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50B1 (en) 2016-05-17 2016-09-23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Safety against overtuning of communications equipment
KR20210085111A (en)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Wind reinforcement solution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50B1 (en) 2016-05-17 2016-09-23 제일정보기술 주식회사 Safety against overtuning of communications equipment
KR20210085111A (en)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앤 Wind reinforcement solution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4907A (en) Distribution Pole Supporting Device able to extend the Contact Area
CN210598351U (en) Novel three-pipe communication tower
CN101599579A (en) High cross polarization ratio antenna and dual-polarization radiating unit thereof
US9714520B1 (en) Direct anchorage termination for pole reinforcement
KR101537532B1 (en) Device for supporting antenna
CN203760631U (en) Structure of rocket type antenna
EP2388878B1 (en) Transmission line tower
US11619062B2 (en) Utility structure with retractable mast
CN104389862A (en) Outdoor AP embracing fixer
KR200493810Y1 (en) Pole support module with ability of directional extention for commucation equipment
US11767683B2 (en) Self supporting tilt over mast
CN110460979B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acker-reclaimer
CN211556099U (en) Omnidirectional antenna with multidirectional angle adjustment
CN202422882U (en) Wind deflection preventing diagonal insulator hardware
CN205713405U (en) Novel guy steel tower
CN201620631U (en) Tower body adjusting device of a lifting tower
CN104895391A (en) External inserted cross arm connecting device for steel pipe rods
CN211572849U (en) Movable branch cross arm for iron tower
CN204590744U (en) A kind of triangular platform and single-pipe tower
JP6121584B1 (en) Support column reinforcement member
KR101234357B1 (en) Assembling type an electric pole using pipes
CN205212992U (en) Open -air non -maintaining pin -connected panel wireless network relay
CN216446635U (en) Signal tower stabilising arrangement
CN220451528U (en) Building surface communication tower
KR101075374B1 (en) Antenna supporting device to install additional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