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073A -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4073A KR20140144073A KR1020130066079A KR20130066079A KR20140144073A KR 20140144073 A KR20140144073 A KR 20140144073A KR 1020130066079 A KR1020130066079 A KR 1020130066079A KR 20130066079 A KR20130066079 A KR 20130066079A KR 20140144073 A KR20140144073 A KR 20140144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ient
- capture
- content
- session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되는 세션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를 캡처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캡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세션 데이터 및 캡처 데이터를 병합하여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캡처 모듈;을 포함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텐츠 캡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이용할 때, 인터셉트 방식으로 해당 콘텐츠를 캡처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와 캡처된 콘텐츠를 결합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업에서 개인 정보 및 기밀 정보 유출 사고의 발생이 잦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내부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사고의 원인을 분석해보면 관리적 측면인 보안 감사 및 이행 점검 등 관리적 측면의 정보보호 프로세스가 수행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보호 관리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여 조회한 콘텐츠와 함께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즉, 조회자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는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되는 세션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를 캡처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캡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세션 데이터 및 캡처 데이터를 병합한 후,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캡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자를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 및 할당된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한 상기 세션으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저장된 식별자를 매핑시켜 상기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세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된 식별자를 가져와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를 캡처하고,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한 식별자를 매핑시켜 상기 캡처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캡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세션 데이터 및 상기 캡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매개로 결합하여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션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조회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처 데이터는 조회 화면 및 조회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캡처 모듈의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은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캡처 모듈이 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자를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 및 할당된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캡처 모듈이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되는 세션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데이터를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저장된 식별자에 매핑시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때,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를 캡처하고, 캡처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캡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된 식별자에 매핑시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처 모듈이 상기 세션 데이터 및 상기 캡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매개로 병합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션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조회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처 데이터는 조회 화면 및 조회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방식의 캡처 모듈은 서버에 상주하면서, OSI7 레이어의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와 응용 계층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병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 기록 또는 개인 정보 기록을 로깅하기 위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거나 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스위치 등을 통한 네트워크 스니핑 방식과 달리 암호화되어 있는 HTTPS/HTTP의 응답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으며, 특히, 서버(200)의 세션 정보도 같이 저장할 수 있으므로 개인 정보를 열람한 사용자 또는 조회자의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존 시스템의 서버 어플리케이션의 수정이 불필요하여, 각 종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캡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캡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처 모듈의 캡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캡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처 모듈의 캡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캡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캡처 시스템은 클라이언트(100) 및 서버(200)를 포함하며, 서버(200)는 캡처 모듈(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네트워크 상에 위치하는 엔티티로, 클라이언트(100)에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이다. 서버(200)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 등을 저장하여, 서버(200)는 웹 페이지 등에 포함된 혹은 링크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100)에 서비스하기 위한 웹 서버(Web Server) 혹은 WAS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장비를 예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버(200)로부터 콘텐츠를 서비스 받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트랜시버(transceiver)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혹은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을 구비한 모든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클라이언트(100)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PC(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캡처 모듈(300)은 서버(200)에 포함되어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처 모듈(300)은 클라이언트(100)가 서버(2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열람하거나, 혹은,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때, 그 콘텐츠를 캡처하여, 콘텐츠가 포함된 캡처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캡처 모듈(300)은 클라이언트(100)에 대한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세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캡처 데이터와 세션 데이터를 결합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캡처 데이터, 세션 데이터 및 로그 데이터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이 주를 이룬다. 한편, 네트워크는 상기에 제시된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캡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저장 모듈(220) 및 제어 모듈(230)을 포함한다. 특히, 제어 모듈(230)은 캡처 모듈(30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210)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1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통신 모듈(210)은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에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20)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저장 모듈(220)은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모듈(22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20)은 콘텐츠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모듈(220)의 저장 형태는 파일(fil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다.
제어 모듈(230)은 기본적으로, 서비스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서비스 서버(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230)은 운영 체제를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모듈(230)은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제어 모듈(230)은 운영 체제를 저장부(14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셉트 방식의 캡처 모듈(300)은 서버(200)에서 발생하는 HTML, JSP 또는 EXCEL과 같은 서버 출력 컨텐츠 또는 첨부 파일의 모든 원본 데이터를 실시간 로깅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캡처 모듈(300)은 기존의 서버(200)의 제어 모듈(23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서버(200)의 제어 모듈(230) 내에서 필터로 동작하므로 수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 없이 컨텐츠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처 모듈(300)은 네트워크 스니핑 방식과 달리 HTTPS 혹은 HTTP의 응답 컨텐츠를 캡처할 수 있으며, WAS 혹은 WEB 서버의 세션 정보도 같이 저장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를 열람한 사용자 혹은 조회자의 정보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캡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100)는 S310 단계에서 서버(200)에 연결하여 로그인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100)가 서버(200)에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클라이언트(100)는 S320 단계에서 특정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서버(200)에 상주하는 캡처 모듈(300)은 S33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100)에 대한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데이터(예컨대, GUID.log)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100)에 대한 세션 정보는 클라이언트(100)가 접속할 때 생성된 세션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세션 데이터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조회화면: "지원자 이력 조회" 조회자 부서: 인사팀 조회자 성명: 홍길동 조회자 ID: coyote |
이와 같이, 세션 데이터는 조회자 부서, 성명, ID와 같이,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조회 화면과 같이 클라이언트(100) 사용자가 조회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S340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클라이언트(100)가 요청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캡처 모듈(300)은 S35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100)가 요청한 컨텐츠를 캡처하여 캡처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캡처 데이터(예컨대, GUID.data)를 생성하고, 캡처 데이터를 저장한다. 캡처 데이터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조회한 내용 혹은 파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지원자 이력 조회 화면.html => 20140508123445.abcefghijk12345.html 참여자 개인정보 조회 화면.html => 20140508133445.abcefghijk12345.html 신규 입사자 목록.zip => 20140508153445.abcefghijk12345.zip |
이어서, 캡처 모듈(300)은 S360 단계에서 세션 데이터 및 캡처 데이터를 병합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로그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는 예컨대, 다음의 표 3과 같다.
2013-05-08, coyote, 홍길동, 인사팀, 지원자이력조회, 20140508123445.abcefghijk12345,html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200)를 통해서 정당한 권한을 가진, 또는 로그인한 사용자가 특정 화면을 조회했다면 그 조회한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하고 그 조회자 정보도 같이 기록한다. 다만, 서버(200)의 경우에는 캡처의 대상인 화면은 OSI 7레이어에서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속하고, 세션 정보는 OSI 7레이어에서 네트워크 레이어에 속한다. 따라서 각 레이어별로 분리되어 있어서 캡처한 화면(캡처 데이터) 및 캡처한 세션 정보(세션 데이터)를 매칭 시킬 방법이 없다. 즉, "지원자 이력 조회 화면.html"을 캡처하여 저장한 캡처 데이터인 '20140508123445.abcefghijk12345.html'과 이 화면을 조회한 '홍길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데이터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왜냐하면, 세션으로부터 세션 정보는 네트워크 계층에서만 얻을 수 있으며, 컨텐츠의 캡처는 응용 계층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캡처 데이터와 세션 데이터를 병합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처 모듈의 캡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회자(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가 서버(2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해당 조회자에 대응하는 세션(session)이 생성되며, 이 세션은 조회자가 로그아웃할 때까지 유지된다. 특히, 세션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클라이언트(100)에 대해 할당된다. 클라이언트(100)가 서버(2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조회자가 특정 컨텐츠(예컨대, 웹 페이지, 파일, 등)를 요청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클라이언트(100)는 특정 컨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예컨대, HTTP request)를 생성하고, 서버(200)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서버(200)의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이때, 캡처 모듈(230)은 제어 모듈(230)로 입력되는 요청 메시지를 중간에서 수신할 수 있다. 캡처 모듈(230)은 S410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예컨대, HTTP request)를 수신하면, 필터콘텍스트(FilterContext)에 대한 메모리 테이블을 생성하여 할당한다. 그런 다음, 캡처 모듈(300)은 S420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예컨대, HTTP request)에 대한 식별자(GUID)를 생성한다. 즉, 각각의 요청마다 제션 정보에 저장된 식별자(GUID)가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된다.
이어서, 캡처 모듈(300)은 S430 단계에서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식별자(GUID)를 설정하고, 이와 함께, 캡처 모듈(300)은 S440 단계에서 메모리 테이블의 필터콘텍스트의 메모리 주소에도 식별자(GUID)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캡처 모듈(300)은 S450 단계에서 세션으로부터 세션 정보를 취득한 후, S460 단계에서 앞서(S440) 요청 메시지 헤더에 설정된 식별자(GUID)를 가져와서 식별자에 매핑시켜 세션 데이터(GUID.log)를 생성한다.
세션은 예컨대, <표 1>과 같은 클라이언트(100) 혹은 조회자에 대한 정보인 세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캡처 모듈(300)은 세션으로부터 클라이언트(100)의 세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세션은 네트워크 계층에서만 접근할 수 있고, 응용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에 접근할 수는 없다. 즉, 캡처 모듈(300)이 접근 가능한 데이터 영역은 오직 요청 메시지의 헤더뿐이다. 따라서 세션 정보를 획득한 캡처 모듈(300)은 요청 메시지 헤더에 설정된 식별자(GUID)를 가져와서 식별자에 매핑시켜 세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서버(200)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HTTP response)를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230)이 통신 모듈(210)을 통해 컨텐츠를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한다. 이때, 캡처 모듈(300)은 요청 메시지에는 접근할 수 없어, 식별자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캡처 모듈(300)은 S470 단계에서 앞서(S130) 필터콘텍스트(FilterContext)에 할당된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한 식별자를 가져와서, S480 단계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캡처하여 캡처된 컨텐츠와 식별자를 매핑하여 캡처 데이터(GUID.data)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캡처 모듈(300)은 S490 단계에서 식별자(GUID)를 매개로 캡처 데이터(GUID.data)와 세션 데이터(GUID.log)를 병합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한다. 로그 데이터의 예는 앞서 표 3에서 설명된 바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방식의 캡처 모듈(300)은 서버(200)에 상주하면서, OSI7 레이어의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와 응용 계층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은 캡처 모듈(300)이라는 에이전트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회 정보를 캡처하는 것으로, 응답 메시지로서 출력되는 데이터 자체(예를 들어, HTML file)을 캡처하여 저장함으로써 내부 관리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캡처 데이터에는 사용자의 IP, 이름, 접속 시간, 피조회자 정보 등이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은 출력되는 모든 정보를 다 저장할 수도 있고, 필터링하여 특정 정보만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접속 기록 또는 개인 정보 기록을 로깅하기 위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거나 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스위치 등을 통한 네트워크 스니핑 방식과 달리 암호화되어 있는 HTTPS/HTTP의 응답 컨텐츠를 캡처할 수 있으며, 서버(200)의 세션 정보도 같이 저장할 수 있으므로 개인 정보를 열람한 사용자/조회자의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기존 시스템의 서버 어플리케이션의 수정이 불필요하여, 각 종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 조회 여부를 포함한 내부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에이전트에 의해 응답 메시지로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캡처하여 캡처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메모리에서 차지하는 용량이 적으며, 시스템에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캡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클라이언트
200: 서버
210: 통신 모듈
220: 저장 모듈
230: 제어 모듈
300: 캡처 모듈
200: 서버
210: 통신 모듈
220: 저장 모듈
230: 제어 모듈
300: 캡처 모듈
Claims (10)
-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되는 세션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를 캡처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캡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세션 데이터 및 캡처 데이터를 병합한 후,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캡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자를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 및 할당된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한 상기 세션으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저장된 식별자를 매핑시켜 상기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세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된 식별자를 가져와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를 캡처하고,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한 식별자를 매핑시켜 상기 캡처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캡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세션 데이터 및 상기 캡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매개로 결합하여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조회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데이터는
조회 화면 및 조회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장치. - 캡처 모듈의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캡처 모듈이 식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자를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 및 할당된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캡처 모듈이 상기 클라이언트에 할당되는 세션으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데이터를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에 저장된 식별자에 매핑시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때, 상기 캡처 모듈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를 캡처하고, 캡처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캡처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된 식별자에 매핑시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캡처 모듈이 상기 세션 데이터 및 상기 캡처 데이터를 상기 식별자를 매개로 병합하여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클라이언트의 사용자가 조회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 데이터는
조회 화면 및 조회한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079A KR20140144073A (ko) | 2013-06-10 | 2013-06-10 |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079A KR20140144073A (ko) | 2013-06-10 | 2013-06-10 |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4073A true KR20140144073A (ko) | 2014-12-18 |
Family
ID=5267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6079A KR20140144073A (ko) | 2013-06-10 | 2013-06-10 |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4407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6233A (ko) * | 2019-09-25 | 2021-04-02 | 쿠팡 주식회사 | 중앙 집중식 물류 모니터링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
2013
- 2013-06-10 KR KR1020130066079A patent/KR201401440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6233A (ko) * | 2019-09-25 | 2021-04-02 | 쿠팡 주식회사 | 중앙 집중식 물류 모니터링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KR20210095835A (ko) * | 2019-09-25 | 2021-08-03 | 쿠팡 주식회사 | 중앙 집중식 물류 모니터링을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
US11361396B2 (en) | 2019-09-25 | 2022-06-14 | Coupang Corp. |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centralized logics monitor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842617B (zh) | 广告拦截方法、装置和存储介质 | |
CN110958218B (zh) | 基于多网通信的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 |
KR101437364B1 (ko) |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 |
US9185077B2 (en) | Isolation proxy server system | |
WO2017041562A1 (zh) | 一种识别终端设备用户身份的方法和装置 | |
EP305994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video surveillance content adaptation, and central server and device | |
CN107124281A (zh) | 一种数据保全方法和相关系统 | |
CN104158818A (zh) | 一种单点登录方法及系统 | |
CN105391979B (zh) | 一种业务处理的方法和装置 | |
WO2016165505A1 (zh) | 连接控制方法及装置 | |
CN104038917A (zh) | 终端漫游认证的方法及装置 | |
CN113132170A (zh) | 数据管理方法及系统、关联子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 |
CN113038192B (zh) |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
CN110290161A (zh) | 一种拓扑隐藏方法、节点、功能实体和计算机存储介质 | |
CN114928641A (zh) | 基于云应用的数据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CN104750723A (zh) | 文件共享方法、系统、浏览器及服务器 | |
CN106027354B (zh) | Vpn客户端的回流方法及装置 | |
US11700568B2 (en) | Dynamic mapping of nodes responsible for monitoring traffic of an evolved packet core | |
KR20140036886A (ko) | 메타 정보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 |
CN103685179B (zh) | 一种内容压缩方法、装置及系统 | |
CN109299048A (zh) | 处理数据以及发布数据的方法 | |
US10129320B2 (en) | QoS improv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
KR20140144073A (ko) | 콘텐츠 캡처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 |
CN106656936B (zh) | 一种访问控制方法、prp实体、pdp实体和pep实体 | |
CN106612307B (zh) | 一种永远在线业务的实现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