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070A - 무선랜 연결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연결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070A
KR20140143070A KR20130161561A KR20130161561A KR20140143070A KR 20140143070 A KR20140143070 A KR 20140143070A KR 20130161561 A KR20130161561 A KR 20130161561A KR 20130161561 A KR20130161561 A KR 20130161561A KR 20140143070 A KR20140143070 A KR 20140143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base station
wireless la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준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4014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랜 간 인터워킹 수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이 이종망에서 효율적인 인터워킹을 수행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연결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processing the connection failure of a wireless LAN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랜 간 인터워킹 수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이 이종망에서 효율적인 인터워킹을 수행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dvanced 등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이 하나의 기지국과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따라 기지국의 데이터 처리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서비스 품질을 저해하는 문제점에 따라, 기지국의 데이터 처리량의 일부 또는 전부 분산을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무선 근거리 통신망인 무선랜은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주파수를 활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무선랜의 도입 및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를 무선랜으로 분산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량을 줄이고 사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무선랜을 활용한 인터워킹을 수행함에 있어서, 빠르고 안정적인 이종망 간 접속 절차가 요구된다. 또한, 단말의 데이터 트래픽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무선랜을 통하여 처리할 때, 무선랜과의 연결에 실패하더라도 끊김 없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트래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절차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이 기지국에서 무선랜으로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경우에 무선랜 접속에 실패하더라도 데이터 송수신의 중단없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랜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무선랜과의 연결이 종료되더라도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의 중단 없이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이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이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제어부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송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이 무선랜으로의 인터워킹 시도가 실패하더라도 기존의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의 중단없이 빠르게 통신을 재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은 무선랜과의 접속이 종료되더라도 무선랜 접속 실패 정보를 기지국으로 제공함으로써 무선랜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빠르게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인터워킹을 수행함에 있어서,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워킹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워킹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말이 무선랜으로의 인터워킹 시에 무선랜과의 연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무선랜 연결 실패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무선랜 연결 실패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워킹이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무선랜 접속 장치가 중첩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이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지국과 무선랜을 통해서 분산하여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기지국과 통신 중인 단말이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 트래픽을 무선랜으로 이동시키거나, 무선랜과 통신 중인 단말이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 트래픽을 기지국으로 이동시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운영자와 WLAN의 AP(120)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운영자와의 관계에 따라서 몇 가지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가 WLAN의 AP(120)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두 망 간에는 정보는 교환되지 않으나, 3GPP CN(Core Node)와 WLAN 네트워크 간에는 일정 수준의 통합(integration)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정보 등을 이용한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운영자가 WLAN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와 계약을 체결하여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WLAN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3GPP CN(Core Node)와 WLAN 네트워크 간의 통합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두 망 간에 정보는 교환되지 않는다.
또한, 동일 운영자가 기지국과 WLAN이 결합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3GPP CN(Core Node)와 WLAN 네트워크 간에는 일정 수준의 통합(integration)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두 망 사이에는 정보의 교환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WLAN과 홈 기지국(Home eNB, HeNB) 간의 결합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매크로 셀의 부하를 피하기 위해 가능한 데이터 트래픽을 WLAN으로 오프로드(off-road)시킬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측의 통신 품질은 유지하면서 핫스팟(hotspot) 영역의 WLAN에게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드 시킬 수도 있다.
한편, 위의 여러 가지 경우에 운영주체가 상이하거나 혹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간에 소정의 계약이 맺어진 상태에서, 일정한 영역 내에 이동통신과 WLAN이 공존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단말이 보다 효율적으로 망에 접속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즉, 망을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즉, 단말(121)이 이동통신 기지국(11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망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혹은 WLAN AP(120)와 연결되어 WLAN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의 서비스 지역에 속하는 단말(121, 122) 중 WLAN의 커버리지 밖의 단말(122)은 기지국(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WLAN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단말(121)은 기지국(110) 및 WLAN AP(1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121)은 기지국(110)과 통신을 종료하고 WLAN AP(120)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고, 일부 데이터 트래픽만을 WLAN AP(120)를 통해서 처리할 수도 있다. 그 반대의 경우로 WLAN AP(120)와 통신을 수행하다가 기지국(110)을 통해서 일부 또는 전부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는 기지국(110)의 데이터 부하를 줄이고, 핫 스팟과 같은 지역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분산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통신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Mobility)지원은 필수이다. 이동 지원을 위해 단말은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서빙 셀(serving cell)의 신호 품질과 서빙 셀(serving cell) 주변의 이웃 셀(neighbouring cell)들에 대해서 신호 품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결과는 특별한 조건에 의해서 기지국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은 단말이 리포팅한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말에게 이웃 셀로 핸드 오버하도록 명령하는 방식으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한다.
단말이 이종망(heterogeneous) 네트워크에 대한 측정을 지원할 경우, 기지국 설정에 의해 이종망(heterogeneous) 네트워크의 셀에 대한 측정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종망(heterogeneous) 네트워크에 대한 측정을 inter-RAT(Radio Access Technology) 측정이라고 한다. 여기서, RAT은 3GPP 표준 규격을 따르는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을 포함할 수 있으며, 3GPP2 표준 규격을 따르는 CDMA 2000 시스템 역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이 인터워킹을 수행함에 있어서, 신호 품질을 측정하는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이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WLAN 간에 인터워킹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 예로, WLAN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인터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209)은 기지국(201)이 설정한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한다(S210). 단말(209)은 기지국(201)으로부터 수신된 측정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을 결정하고, 측정을 수행한다(S220). 여기서, 측정 대상은 이종망인 WLAN의 신호 품질이 될 수 있다.
단말(209)은 측정된 신호 품질 정보 및 WLAN 정보 등을 포함하는 측정 리포트를 기지국(201)으로 전송할 수 있다(S230). 즉,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209)은 이에 따라 이종망의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 결과를 보고하게 된다.
일 예를 들어, 기지국(201)이 단말(209)로 전송하는 측정 구성 정보는 아래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s): 단말이 측정해야 할 신호 품질의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입장에서 설정되는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은 각각 intra-frequency measurement object, inter-frequency measurement object 또는 inter-RAT measurement object 중 한 가지일 수 있다. Intra-frequency와 inter-frequency 측정의 경우 측정 대상은 하나의 LTE 캐리어 주파수(LTE carrier frequency)이다.
- 보고 구성(Reporting configuration): 단말이 측정한 결과에 대해서 언제 기지국으로 보고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측정된 결과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특정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보고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 측정 아이덴티티(Measurement identities): 특정 측정 대상(measurement object)과 특정 보고 구성(reporting configuration)을 연결하는 ID 정보를 포함한다.
- 콴티티 구성(Quantity configurations):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과 측정 결과의 필터링을 위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 측정 갭(Measurement gaps): 해당 단말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는 부분으로 순수하게 단말이 신호 품질 측정만 할 수 있도록 할당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기간 동안 Inter-frequency, inter-RAT 측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가 측정 구성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209)은 측정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된 결과를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의 보고 구성(reporting configuration) 정보에 기초하여 보고한다(S230). 단말(209)의 보고동작은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보고 동작을 트리거하는 이벤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벤트 A1: 측정된 서빙셀의 품질이 특정값(threshold)보다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특정값(threshold)은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이벤트 A2: 측정된 서빙셀의 품질이 특정값(threshold)보다 나쁜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특정값(threshold)은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이벤트 A3: 측정된 이웃셀의 품질이 서빙셀의 품질보다 오프셋(offset)값 이상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오프셋(offset) 값은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이벤트 A4: 측정된 이웃셀의 품질이 특정값(threshold)보다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특정값(threshold)은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이벤트 A5: 측정된 서빙셀의 품질이 특정값 1(threshold1)보다 나쁘고, 이웃셀의 품질이 특정값 2(threshold2)보다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특정값 1 및 2(threshold1,2)는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이벤트 A6: 측정된 이웃셀의 품질이 SCell의 품질보다 오프셋(offset) 값 이상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오프셋(offset) 값은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이벤트 B1: 측정된 Inter RAT 이웃셀의 품질이 특정값(threshold)보다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특정값(threshold)은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이벤트 B2: 측정한 서빙셀의 품질이 특정값 1(threshold1)보다 나쁘고, Inter RAT 이웃셀의 품질이 특정값 2(threshold2)보다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특정값 1 및 2(threshold1,2)는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과 무선연결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절차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RRC 연결 재설정 절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는 RRC 연결 상태인 단말이 기지국과의 무선연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고 기지국과의 연결을 복구하기 위한 과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309)은 기지국(301)과의 무선 연결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감지하고, RRC 연결 재설정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301)으로 전송한다(S310).
예를 들어, 단말(309)은 아래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한다.
- RLF(Radio Link Failure)가 감지(detection)되었을 때: 단말은 기지국과의 무선링크에서 RLF가 감지되는 경우에 RLF 처리를 위해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핸드오버 실패가 발생했을 때: 단말은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타켓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핸드오버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복구하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로부터 모빌리티(Mobility)가 실패했을 때: 단말은 다른 RAT로의 이동에 실패한 경우에 이를 복구하고 통신을 재개하기 위해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으로부터 무결성 검사(integrity check) 실패가 발생한 경우: 단말은 PDCP 레이어로부터 무결성 검사 실패가 감지된 경우에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과정이 실패했을 때: 단말은 기지국과의 RRC 연결 재구성 과정 중에 실패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복구하고 통신을 재개하기 위하여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309)은 위의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가 발생하면, 기지국(301)으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310).
이후, 기지국(301)은 단말(309)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하고(S320),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309)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RRC 아이들(IDLE) 상태로 진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 설정(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등)을 모두 초기화하지는 않는다. 대신에 단말(309)은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시작할 때, SRB0(Signaling Radio Bearer 0)를 제외한 다른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일시 중단(suspend)한다. 그 후,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이 성공하면, 단말은 중단했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들의 사용을 재개(resume)한다.
단말(309)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301)으로 전송한다(S330).
종래 단말과 기지국은 WLAN과의 인터워킹 수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절차 또는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기지국의 오프로딩(off-loading) 명령 또는 단말의 오프로딩 결정에 기초하여 WLAN으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WLAN 접속을 시도했으나 실패하는 경우에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SRB0을 제외한 모든 무선 베어러를 중단하고, SCell을 해제하는 등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WLAN 접속 문제 때문에 중단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말은 기지국의 오프로딩 명령 또는 단말의 오프로딩 결정에 기초하여 WLAN으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WLAN 접속이 실패하는 경우에도 단말은 기지국과의 기존 연결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WLAN 접속 실패를 기지국으로 보고하여, 무선 베어러 중단 또는 SCell 해제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이 WLAN 연결을 시도하여 실패하는 경우에, 단말은 기지국과의 기존 연결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WLAN 접속 실패에 관련된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중단 없이 복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WLAN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WLAN/3GPP Radio inter-working) 절차에 대해서 좀 더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워킹 시나리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409)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지국(401)으로부터 인터워킹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다(S410). 해당 파라미터 정보는 신호 품질 측정에 필요한 측정 정보, RAN(Radio Access Network) 룰(rule) 정보, 정책(Policy) 정보 및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409)은 수신한 파라미터 정보, RAN 룰 및 ANDSF 정보에 기초하여 WLAN으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하고 수행한다(S420). 예를 들어, 단말(409)은 WLAN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측정된 신호 품질이 기준값 이상이고, 측정된 기지국의 신호 품질이 다른 기준값 이하이면 WLAN으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409)이 WLAN AP(402)에 접속 중인 경우에도 신호 품질의 측정 결과 및 RAN 룰 등에 기초하여 기지국(401)으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409)이 기지국(401)과 통신 중인 트래픽 중 일부 또는 전부를 WLAN을 통해서 처리하는 인터워킹을 수행하여 성공한 경우에, 단말(409)은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 트래픽을 WLAN AP(402)로 송수신할 수 있다(S430).
도 4에서는 단말(409)이 오프로딩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워킹의 다른 시나리오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인터워킹 시나리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시나리오에서 단말(509)은 기지국(501)으로부터 측정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측정 결과를 기지국(501)으로 전송한다. 기지국(501)은 단말(509)의 인터워킹을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단말(509)이 WLAN AP(502)로의 오프로딩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다만, 여기서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단말(509)이 WLAN AP(502)로 오프로딩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할 뿐, 단말(509)이 WLAN AP(502)에서 기지국(501)으로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509)은 기지국(501)으로부터 측정(Measurement)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S510). 측정 제어 정보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측정 구성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RAN 룰 정보 및 ANDSF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측정 제어 정보는 기존 RRC 구성(RRC Reconfiguration) 메시지의 MeasConfig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새로운 정보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509)은 수신된 측정 제어 정보를 토대로 WLAN 주파수 및 기지국의 신호 품질 측정을 수행한다(S520). 즉,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신호 품질 측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509)은 신호 품질 측정 결과 및 RAN 룰 또는 ANDSF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 결과 보고 여부를 결정한다(S530).
위에서 설명한, 측정 제어 정보는 WLAN 및 기지국의 신호를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기지국(501)이 단말(509)에게 전송하는 측정 제어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 WLAN 주파수 정보: 측정할 WLAN 주파수(채널)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측정할 WLAN의 SSID 정보를 포함한다.
- 보고 설정 정보: 단말이 WLAN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에 대해서 언제 기지국으로 보고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 WLAN 위치 정보: WLAN AP들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 비콘(Beacon) 메시지 정보: 해당 WLAN AP가 전송하는 비콘(Beacon) 메시지의 주기 및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단말은 해당 비콘 메시지 정보를 통해 정확한 시간에 WLAN 주파수를 스캔하여 WLAN AP로부터 비콘(beacon) 메시지를 바로 수신할 수 있어 WLAN 주파수의 스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측정 제어 정보 또는 측정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보고 설정 정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보고 설정 정보는 측정 결과의 보고 주기 정보와 다음과 같은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측정된 WLAN 품질이 특정값(threshold) 이상인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특정값(threshold)은 보고 설정 정보를 통해 설정되거나,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 측정된 WLAN 품질이 현재 서빙 셀(serving cell) 품질보다 오프 셋(offset) 값 이상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오프셋(offset) 값은 상기 보고 설정 정보를 통해 설정되거나,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 측정된 서빙셀의 품질이 특정값 1(threshold 1)보다 나쁘고, WLAN 품질이 특정값 2(threshold 2)보다 좋은 경우 단말은 해당 측정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특정값 1 및 2(threshold 1 및 2)는 보고 설정 정보를 통해 설정되거나, 단말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단말(509)은 이상에서 설명한 정보에 기초하여 보고 이벤트 트리거 여부를 판단한다(S530). 측정된 기지국 및 WLAN의 신호 품질과 보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측정 결과를 기지국(501)으로 보고하는 이벤트가 트리거되면, 단말(509)은 측정 리포트(측정 보고)를 전송한다(S540).
기지국(501)은 단말(509)로부터 수신한 측정 보고 결과를 토대로 단말(509)의 WLAN 접속을 결정하고, 단말(509)에 제어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WLAN으로의 접속을 명령한다(S550). 제어 명령 신호에는 WLAN 접속 요청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501)이 단말(509)로 전송하는 제어 명령 신호에 포함되는 WLAN 접속 요청 메시지는 WLAN의 채널 정보, SSID 값, 암호화 방식, WEP-Key 등 접속에 필요한 정보와 보고 주기, 보고 내용(SSID, 신호세기, 위치, 채널 load정보 등)등 접속 후 연결 상태 정보 보고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보고될 내용은 단말이 WLAN 스캐닝(Scanning) 과정에서 비콘(Beacon) 메시지나 프로브(Probe) 응답 메시지의 수신을 통해 얻을 수 있다. WLAN 접속 요청 메시지는 해당 단말의 전체 트래픽 또는 특정 트래픽에 대해 WLAN으로 통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특정 트래픽을 WLAN으로 이동시킬 경우 단위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단위일 수 있다. 즉, WLAN 접속 요청 메시지에 drb-identity 또는 eps-bearerIdentity를 포함함으로써, 해당 DRB(Data Radio Bearer)로 통신중인 데이터를 WLAN을 통해 전송하도록 단말에 요청할 수 있다. 복수의 DRB를 WLAN으로 이동시킬 경우 drb-identity의 리스트(list)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술한 트래픽에 대해 WLAN으로 통신하도록 하는 요청은 먼저 단말에 WLAN 접속 요청 메시지를 보내, 단말로부터 해당 WLAN에 성공적으로 접속했다는 메시지를 받은 이 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즉, WLAN 접속 요청과 무선 베어러 단위의 트래픽 WLAN 이동 요청이 두 단계의 스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이 WLAN 접속에 성공한 후, 트래픽 이동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WLAN 연결 접속 요청 메시지는 단말이 이전에 보내온 단말의 WLAN 지원 여부(예를 들어, 2.4GHz 또는 5GHz, 802.11a/b/g/n 등의 정보), 선호도(유저 우선순위 설정 값, 단말 배터리 정보 등)에 따라 단말이 지원 가능한 WLAN 시스템에 대한 정보만 포함해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WLAN 연결 상태 정보는 단말이 WLAN의 비콘(Beacon) 메시지, 프로브(Probe) 응답 메시지 등을 수신하여 얻게 되는 WLAN 신호 세기, WLAN 채널 load 정보, WLAN에 접속중인 단말의 수, 단말 위치 정보 및 쓰루풋(Throughput)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말이 무선랜으로의 인터워킹 시에 무선랜과의 연결 상태 정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 일 예를 들어 설명한 단말의 WLAN으로 오프로딩 절차가 성공하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 WLAN과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단말(609)이 WLAN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오프로딩하는 과정 및 오프로딩 성공 시 연결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기지국(601)은 단말(609)에게 WLA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WLAN 접속 요청 메시지는 이전에 단말(609)이 보내온 WLAN 주파수에 대한 측정 결과 보고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WLAN 접속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RRC 연결 해제(Connection Release), 또는 새로운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전술한 RRC 메시지들에는 WLAN 시스템(일 예로, 802.11a/b/g/n과 같은 타입정보 등)별 또는 WLAN 채널(주파수) 별로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우선순위 정보는 단말(609)이 아이들(IDLE) 상태에서 WLAN에 접속할 때, 해당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서 WLAN 시스템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단말(609)이 기지국(601)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609)이 기지국(601)으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 정보 및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인터워킹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하였다.
단말(609)은 수신한 WLAN 접속 요청메시지에 따라 WLAN 접속을 시도한다(S610). 예를 들어, 단말(609)은 데이터 트래픽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서 WLAN AP(602)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S610).
단말(609)이 WLAN으로 접속에 성공하는 경우(S620), 단말(609)은 WLAN 연결 상태 관련 정보를 기지국(일 예로, LTE 기지국, 601)에 보고한다(S630, S640, S650).
WLAN 연결 상태 정보 메시지의 전송은 이전에 수신한 WLAN 접속 요청 메시지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고, 이전에 설정된 측정 제어 정보 또는 측정 구성 정보 메시지에 의해서 설정될 수도 있다.
WLAN 연결 상태 정보 메시지는 단말(609)이 WLAN에 접속 중이 경우 다수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WLAN 연결 상태 정보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특정 상황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다. WLAN 연결 상태 정보 메시지는 WLAN 신호 세기, WLAN 채널 load 정보, 단말 위치/속도 정보 및 쓰루풋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WLAN의 품질 상태가 어떤 기준(Thresholds) 값 이상을 보이는 경우 기지국(601)은 단말(609)로 RRC 연결 해제(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을 아이들(IDLE)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단말(609)은 다음의 특정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다시 LTE/UMTS 기지국과 RRC 연결(Connection)을 맺을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단말(609)은 아래 경우가 발생하면, 기지국과 다시 RRC 연결을 형성하고 기지국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 WLAN의 품질이 기준값 이하일 경우: 단말은 WLAN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신호 품질이 기준값 이하일 경우에 다시 기지국으로의 인터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일 예로, 단말은 WLAN의 RCPI(Received Channel Power Indicator), RSNI(Received Signal to Noise Indicator) 등을 기준으로 기지국으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할 수 있다.
- 단말이 특정 속도값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의 이동 속도를 나타낼 수 있는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단말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단말의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기지국으로 인터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이동성 상태 정보의 상태 값이 high mobility state인 경우 기지국과 RRC 연결을 맺고 통신을 재개할 수 있다.
- WLAN의 부하(load)가 특정 기준(Thresholds) 값 이상일 경우: 단말은 WLAN의 부하에 따라서 WLAN의 부하가 특정 기준 값 이상으로 높아지면,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개할 수 있다.
기지국(601)은 전술한 WLAN 연결 상태 정보 메시지를 토대로 단말(609)을 다시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오프로딩(off-loading) 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 및 기지국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인터워킹을 수행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단말이 WLAN으로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WLAN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의 처리 방법에 대해서 각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이 WLAN으로의 인터워킹을 성공하여 통신을 수행 중에 WLAN 연결이 종료/해제되는 경우에 단말의 처리 방법에 대해서 각 실시예에 따라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WLAN으로의 연결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처리하는 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709)은 기지국(701)에서 WLAN으로 인터워킹을 수행함에 있어서, WLAN으로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단말(709)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여 WLAN으로 인터워킹을 결정하거나, 기지국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WLAN으로 인터워킹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단말(709)은 다양한 방법에 따라서 WLAN으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하여 시도할 수 있다.
단말(709) 전술한 방법들에 기초하여 WLAN AP(702)로의 접속을 시도하나, WLAN으로의 연결에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S710).
이 경우, 단말(709)은 WLAN 연결 실패를 감지한다(S720).
단말(709)은 WLAN으로의 연결에 실패가 감지되면,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기지국(701)으로 전송한다(S730).
기지국(701)은 단말(709)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재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재설정 신호를 단말(709)로 전송한다(S740).
각 단계를 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709)은 WLAN 연결 실패가 감지되면, 해당 연결 실패가 다른 RAT로의 접속 실패인지 WLAN으로의 접속 실패 인지를 구분한다. 만약, 단말(709)은 해당 실패가 WLAN으로의 접속 실패로 판단되면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지국(701)에 무선랜 연결 실패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또한, 단말(709)은 RRC 재구성 실패(RRC Reconfiguration Failure)가 발생했을 때, WLAN으로의 접속 실패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하여, WLAN 접속이 실패하는 경우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지국(701)에 무선랜 연결 실패 정보를 전송한다.
전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에 실패한 WLAN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WLAN 채널 정보(WLAN 주파수 정보), 접속에 실패한 트래픽(Traffic) 정보(일 예로, DRB ID 등), 실패이유정보,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무선랜 품질 측정값(RCPI(Received Channel Power Indicator) 정보, RSNI(Received Signal to Noise Indicator) 정보 및 WLAN AP의 상태 정보(일 예로, 부하 정보, WLAN AP에 접속해 있는 단말 수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말(709)로부터 전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한 기지국(701)은 WLAN으로 오프로딩 시키려 했던 트래픽에 대해서 재설정 신호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740). 재설정 신호는 다른(또는 동일한) WLAN AP(702)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정보 또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지국(701)으로의 재접속을 위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구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재설정 신호는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무선랜으로의 인터워킹을 시도한다. 만약, 단말이 무선랜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에, 연결 실패를 감지한다(S810).
단말이 기지국에서 WLAN AP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하는 방법은 앞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이 인터워킹을 결정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기지국은 단말의 일부 또는 전체 트래픽에 대해 WLAN으로의 오프로딩(offloading 또는 Steering)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기지국의 요청 메시지는 이전에 단말로부터 수신한 WLAN 측정 리포트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WLAN 측정 리포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WLAN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WLAN 채널 정보(WLAN 주파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정보는 이전에 측정 관련 설정을 위해 전송되었을 수도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하는 WLAN 오프로딩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은 WLAN AP에 접속을 시도한다. 만약, WLAN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지국에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S820).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일 예로, 새롭게 정의되는 RRC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연결에 실패한 WLAN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WLAN 채널 정보(WLAN 주파수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일 예로, DRB ID 등), 실패이유정보,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품질 측정값(RCPI(Received Channel Power Indicator), RSNI(Received Signal to Noise Indicator)) 정보, WLAN AP 상태 정보(일 예로, 부하 정보, AP에 접속해 있는 단말 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에 WLAN 오프로딩(offloading)을 시도했던 트래픽에 대해서 재설정 신호를 수신한다(S830).
전술한 트래픽은 무선 베어러 단위일 수 있으므로, 해당 무선 베어러 재설정 메시지 일 수도 있다. 재설정 신호는 해당 단말에게 다른 WLAN 접속을 요청하는 것일 수도 있고,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지국으로의 재연결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재설정 신호는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WLAN으로의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한다(S910).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단말의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상기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상기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한 이후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한다(S920). 재설정 신호는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 생성된 재설정 신호를 전송한다(S930). 기지국은 재설정 신호에 포함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단말을 연결에 실패한 WLAN AP로 재접속하도록 제어하거나, 다른 WLAN AP로 재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WLAN으로 인터워킹을 중지하고,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은 WLAN에 연결 시도가 실패하더라도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SRB0을 제외한 시그널링 무선베어러 중단 및 SCell 해제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중단없이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WLAN으로의 연결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RRC 연결 재설정 절차중 일부만을 수행하여 처리하는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신호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9)은 기지국(1001)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또는 단말(1009)의 결정에 따라서 WLAN AP(1002)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한다.
단말(1009)은 WLAN AP(1002)로의 연결을 시도하고, 해당 WLAN AP(1002)로의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S1010), WLAN 연결 실패를 감지한다(S1020).
단말(1009) WLAN 연결 실패가 감지되면, 기지국(1001)으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단말(1009)이 기지국(1001)과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100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1040). 이 과정을 통해서 기지국(1001)과 단말(1009)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단, 전술한 상위계층 시그널링(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기지국(1001)과 단말(1009)은 RRC 연결 재설정 과정 시작 시, SRB0을 제외한 무선 베어러를 중단하거나, SCell을 해제하는 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1001)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서 WLAN 연결에 실패한 트래픽을 기존 WLAN AP(1002) 또는 다른 WLAN AP 또는 기지국(1001)을 통해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1009)은 기지국(1001)과의 RRC 연결 재설정이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5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무선랜 연결 실패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에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일 예로,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는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재설정 원인 필드에 wLANFailure(1100) 정보 요소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가 WLAN 연결 실패에 의해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에서 전술한 초기화 과정을 제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더라도 무선 베어러를 중단하거나 SCell을 해제하는 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단말은 중단없이 통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무선랜으로의 접속에 실패하는 경우에 무선랜 연결 실패를 감지한다(S1210).
단말은 무선랜 연결 실패가 감지되면, 기지국으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S1220). 또한,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일 예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일 수 있으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WLAN 연결 실패로 인해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RRC 연결 재설정 요청(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의 re-establishment cause 필드에 WLAN 접속 실패를 의미하는 지시 정보(Indication)을 포함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전송 단계 이후에, 기지국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여(S1230),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한다(S1240). 다만, 본 실시예에서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 베어러 중단 또는 SCell 해제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 시작 시 무선 베어러를 중단(suspend)시키거나, SCell을 해제(Release)하는 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WLAN으로 오프로딩 시키려 했던 트래픽에 대한 재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230). 재설정 신호는 다른(또는 동일한) WLAN AP로의 접속요청, 또는 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위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가 완료되면,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기지국이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한다(S1310). 일 예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요청하는 정보와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 단계 이후에, 단말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고(S1330), 이를 단말로 전송한다(S1330). 재설정 신호는 다른(또는 동일한) WLAN AP로의 접속요청, 또는 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위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과정 시작 시 무선 베어러를 중단(suspend)시키거나, SCell을 해제(Release)하는 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불필요한 동작을 감소시키고 데이터 송수신의 중단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WLAN으로의 연결 중 접속이 종료/중단 되는 경우 RRC 연결 절차를 통해서 처리하는 방법.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위계층 시그널링 전송 단계 이후에, 기지국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1409) 기지국(1401)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또는 단말의 결정에 따라서 WLAN으로의 인터워킹을 결정한다. 단말(1409)은 결정에 따라서 WLAN AP(1402)에 접속 시도하여 성공한다(S1410). 단말(1409)은 데이터 트래픽의 일부 또는 전부를 WLAN AP(1402)를 통해서 처리한다. 만약, 단말(1409)이 데이터 트래픽의 전부를 WLAN을 통해서 처리하는 경우, 기지국(1401)은 RRC 연결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S1420). 다른 예로, S1420단계는 기지국(1401)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S1410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단말(1409)은 WLAN AP(1402)와 접속을 시도하고, WLAN AP 연결이 성공하기 전에 또는 동시에 기지국(1401)으로부터 RRC 연결 해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1409)이 데이터 트래픽의 일부만을 WLAN을 통해서 처리하는 경우에는 기지국(1401)은 S1420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1409)이 WLAN을 통해서 통신을 수행 중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서 WLAN에 접속이 중단 또는 종료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단말(1409)은 이를 감지한다(S1430, S1440). 일 예를 들어, WLAN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는 단말(1409)이 이동하여 WLAN AP(1402)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WLAN AP(1402)의 부하가 증가하여 단말(1409)의 데이터 트래픽을 모두 처리할 수 없는 경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실패 원인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1409)은 무선랜 연결 실패가 감지되면, 기지국(1401)으로 RRC 연결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S1450). 일 예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이거나,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일 수 있다.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는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또는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의 접속 원인(cause) 필드로 WLAN 연결 실패를 나타내는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401)은 단말(1409)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1409)과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Establishment)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1409)로 RRC 연결 셋업(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S1460). RRC 연결 셋업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1409)은 기지국(1401)으로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가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에도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경우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1401)은 단말(1409)과 RRC 연결이 완료되면, 단말(1409)에게 WLAN으로 오프로딩(offloading) 시키려 했던 트래픽에 대해서 재설정하는 재설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재설정 신호는 다른(또는 동일한) WLAN AP로의 접속요청, 또는 기지국으로의 재접속을 위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구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무선랜 연결 실패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15를 참조하면, 전술한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일 예로, RRC 연결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RRC 연결 요청 메시지는 WLAN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설정 원인 필드에 wLANFailure(1500) 정보 요소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RRC 연결 요청 메시지가 WLAN 연결 실패에 의해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RRc 연결 절차를 완료한 후에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전송 단계 이후에, 기지국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한다(S1610).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과 아이들 상태에 있다.
단말은 무선랜 연결 실패가 감지되면,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620). 일 예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수 있으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는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의 wLANFailure 정보요소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S1630).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RRC 연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여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고, RRC 연결 절차가 완료되면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랜을 통해서 처리하던 트래픽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재설정 신호를 수신한다(S1640). 재설정 신호는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 단계 이후에, 단말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이 기지국과 아이들 상태에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한다(S1710). 일 예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수 있으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는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의 wLANFailure 정보요소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S1720).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RRC 연결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여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고, RRC 연결 절차가 완료되면 단말로부터 RRC 연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로 전송할 무선랜을 통해서 처리하던 트래픽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재설정 신호를 생성한다(S1730). 재설정 신호는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생성된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한다(S1740). 기지국은 재설정 신호에 따라서 단말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무선랜으로의 접속이 실패하거나, 무선랜과의 접속 중에 종료 또는 중단되어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에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각 실시예에 따라서,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새롭게 정의된 무선랜 연결 실패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무선랜 연결 실패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인터워킹을 제어하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과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거나, 초기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불필요한 중단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지 않고 연결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WLAN 접속 실패를 보고함으로써, 단말의 다른 데이터 송수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지국이 빠르게 해당 트래픽의 연결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이 모두 수행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1800)은 제어부(1810), 송신부(1820) 및 수신부(18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1800)은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제어부(1810)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송신부(1820) 및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8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기지국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10)는 기지국과 RRC 연결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기지국으로의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고, 기지국과 연결을 복구하는데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820)와 수신부(18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재설정 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또한, 메시지, 데이터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송신부(1820)가 전송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무선랜 연결 실패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및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수신부(1830)가 수신하는 재설정 신호는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900)은 수신부(1910), 제어부(1920) 및 송신부(19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900)은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함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1910)와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920) 및 재설정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1930)를 포함한다.
제어부(1920)는 단말로부터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20)는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이 수신되면, 단말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20)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신부(1910)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수신부(1910)는 단말로부터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의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무선랜 연결 실패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및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송신부(1930)는 단말에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송신부(1930)는 단말로 재설정 신호를 전송한다. 재설정 신호는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이 무선랜으로의 인터워킹 시도가 실패하더라도 기존의 기지국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의 중단 없이 빠르게 통신을 재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은 무선랜과의 접속이 종료되더라도 무선랜 접속 실패 정보를 기지국으로 제공함으로써 무선랜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을 빠르게 기지국을 통해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단말이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 전송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 전송 단계 이후에,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상기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상기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상기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무선랜 연결 실패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및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신호는,
    상기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상기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상기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기지국이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상기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상기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무선랜 연결 실패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및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신호는,
    상기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상기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상기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3.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더 수행하는 단말.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 절차를 더 수행하는 단말.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상기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상기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상기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단말.
  17. 제 13항에 있어서,
    무선랜 연결 실패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및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신호는,
    상기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상기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상기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9. 단말의 무선랜과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인터워킹을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무선랜 연결 실패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무선랜과의 연결 실패를 제어하기 위한 재설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재설정 신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의 무선 베어러 및 셀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기지국.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과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기지국.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접속 실패 무선랜 AP(Access Point)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채널 정보, 실패한 트래픽 정보, 실패 이유 정보, 단말 이동성 상태(Mobility state) 정보, 상기 무선랜 품질 측정 정보 및 상기 무선랜 AP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무선랜 연결 실패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셋업 완료 메시지 및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신호는,
    상기 무선랜으로의 재접속 요청 정보, 상기 무선랜 연결에 실패한 무선 베어러 재구성 정보,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 정보 및 상기 기지국으로의 접속 요청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KR20130161561A 2013-06-05 2013-12-23 무선랜 연결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43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762 2013-06-05
KR20130064762 2013-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070A true KR20140143070A (ko) 2014-12-15

Family

ID=5246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1561A KR20140143070A (ko) 2013-06-05 2013-12-23 무선랜 연결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0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1519A (zh) * 2017-06-14 2020-01-03 富士通株式会社 波束失败恢复请求的传输资源配置装置、波束失败请求的响应装置、方法及通信系统
CN112075120A (zh) * 2018-08-30 2020-12-11 株式会社Kt 用于处理非许可频带中的信道接入故障的方法和设备
CN114208286A (zh) * 2019-08-14 2022-03-18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1519A (zh) * 2017-06-14 2020-01-03 富士通株式会社 波束失败恢复请求的传输资源配置装置、波束失败请求的响应装置、方法及通信系统
CN110651519B (zh) * 2017-06-14 2023-09-08 富士通株式会社 波束失败恢复请求的传输资源配置装置、波束失败请求的响应装置、方法及通信系统
CN112075120A (zh) * 2018-08-30 2020-12-11 株式会社Kt 用于处理非许可频带中的信道接入故障的方法和设备
US20210235500A1 (en) * 2018-08-30 2021-07-29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hannel access failure in unlicensed band
US11503641B2 (en) * 2018-08-30 2022-11-15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hannel access failure in unlicensed band
CN114208286A (zh) * 2019-08-14 2022-03-18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309B1 (ko) 스몰 셀 환경에서의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756675B2 (en) Method by which terminal for supporting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recovers when radio link failure has occurred and device for same
EP3666034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beam recovery
US10736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T release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32277B1 (ko)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상황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095004A1 (en) Rrc re-establishment on secondary enodeb for dual connectivity
KR20150144320A (ko) Ue 개시 scell 접속 확립
US110064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WLAN radio resources
WO2016186958A1 (en) Techniques for managing communication links of a plurality of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WO2020197469A1 (en) User equipment,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KR20170114258A (ko)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그 장치
US11546818B2 (en) Cell reselection control method
JP2018525921A (ja) 端末がwlan測定を実行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20232448A1 (en) User equipment for communication over a cellular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a user equipment for communication over a cellular network
WO2014023016A1 (zh) 移动性控制的方法和装置
KR20140105357A (ko) 무선랜 연결 상태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106769A1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KR102002203B1 (ko) Wlan 무선자원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43070A (ko) 무선랜 연결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10278101B2 (en) Cell discovery method and apparatus
US11172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laring RLF
KR20140148286A (ko) 무선랜 접속 실패 정보 보고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06368A (ko) 이종망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20240107416A1 (en) Relay ue admission and cell change when protocol state is idle or inactive
KR101985991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