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012A -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 - Google Patents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012A
KR20140143012A KR1020130064897A KR20130064897A KR20140143012A KR 20140143012 A KR20140143012 A KR 20140143012A KR 1020130064897 A KR1020130064897 A KR 1020130064897A KR 20130064897 A KR20130064897 A KR 20130064897A KR 20140143012 A KR20140143012 A KR 2014014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vehicle
water boat
water
wi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권
Original Assignee
윤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권 filed Critical 윤성권
Priority to KR102013006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3012A/ko
Publication of KR2014014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수상보트를 지붕에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로딩 및 언로딩 함과 아울러 보트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며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자동화 구현하여 용이하게 보트를 로딩, 운송 및 언로딩 할 수 있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은 차량과,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수상보트를 차량의 적재부에 적재하도록 작동하는 로딩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딩수단은 차량에 구비되며 수상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와인딩하는 윈치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에 구비되며 로딩 언로딩 시 수상보트가 구름 운동을 하도록 수상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적재롤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상보트를 지붕에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로딩 및 언로딩 함과 아울러 보트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며,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자동화 구현하여 용이하게 보트를 로딩, 운송 및 언로딩 할 수 있고, 수상보트를 적재한 상태로 안정적인 운송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Vehicle with loading means water boat and water boat camping device}
본 발명은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지붕 위에 수상보트를 적재하도록 로딩 수단을 갖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보트는 소형 경량보트, 윈드서핑 보드의 형태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레저용의 경우 차량을 이용해 강, 호수, 바닷가 등으로 이송하고 있다. 수상보트를 운송하기 위해, 보트전용 트레일러를 사용하거나 비교적 대형 차량의 적재함에 실어 운반하거나 차량 지붕 위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수상보트를 차량에 적재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많고 운전 중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07622호(1998.04.30)에는 자동차 이동용 조립식 소형보트 선좌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선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선좌장치는 선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선체하부 결합구멍(21)에 걸림턱이 있는 결합소켓(20)을 구비하고, 자동차 지붕 양창문 끝에 설치되는 선좌장치 가로보(33) 위에 선좌 받침대(31)가 연결된 선좌 지지대(32)를 구비한다.
선좌장치는 상기 선좌 지지대(32) 중간 적소에는 보트의 결합소켓(20)에 맞추어 결합클립(44)을 형성하며, 화살표 모양을 2등분으로 절개한 형태의 반쪽 화살표 모양의 클립날개를 좌우 대응하게 하여 설치한 결합클립날개가 결합소켓(20)의 걸림턱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같은 방식으로 결합클립날개 걸림턱이 형성된다. 선체(10)는 자동차 지붕 위에 위치한 후 결합클립(44)이 결합소켓(20)에 연결하되 선체(10)를 가볍게 들어 맞추고 눌러주면 결합소켓(20)안으로 결합클립(44)의 날개가 들어가 고정된다.
하지만, 종래의 조립식 선좌장치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보트를 차량의 지붕에 적재 및 하차하는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둘째, 보트의 하차 시 보트가 전복되거나 부딪혀 파손의 염려가 있었다. 셋째, 보트의 하중, 거친 도로의 운행 등의 요인에 의해 보트가 차량 지붕에 탑재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이송이 어렵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07622호(1998.04.30)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상보트를 지붕에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로딩 및 언로딩 함과 아울러 보트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며 상기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자동화 구현하여 용이하게 보트를 로딩, 운송 및 언로딩 할 수 있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은 차량과,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수상보트를 차량의 적재부에 적재하도록 작동하는 로딩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딩수단은 차량에 구비되며 수상보트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와인딩하는 윈치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에 구비되며 로딩 언로딩 시 수상보트가 구름 운동을 하도록 수상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적재롤러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윈치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재롤러보다 하부로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고, 복수의 적재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의 적재부에 구비되며, 전방에 위치한 윈치는 수상보트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와인딩하며, 후방에 위치한 윈치는 수상보트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복수의 적재롤러는 차량 적재부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재롤러로 이루어지며, 수상보트가 언로딩될 때, 차량의 적재부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적재롤러는 수상보트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접촉되고 차량 적재부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적재롤러는 수상보트에 접촉되면서, 수상보트가 차량 적재부로부터 언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적재부에는 적재된 수상보트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윈치와 복수의 적재롤러의 회전축은 폭방향을 향하며, 상기 윈치는 차량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전방 윈치와 차량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후방 윈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적재롤러는 차량 적재부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적재롤러와, 상기 제1 적재롤러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 적재부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적재롤러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적재롤러와 제2 적재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적재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윈치는 제1 적재롤러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후방 윈치는 제2 적재롤러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전방 윈치에 와인딩되는 와이어는 제1 적재롤러를 지나 수상보트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 윈치에 와인딩되는 와이어는 제2 적재롤러를 지나 수상보트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방 윈치와 후방 윈치에는 토션측정장치가 구비되어, 각각 와이어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상보트 캠핑장치는 상부에 둘레를 따라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안착부가 형성된 캠핑 본체와, 상기 단차부에 지지되어 캠핑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상보트와, 상기 캠핑 본체와 수상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수상보트를 캠핑 본체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하는 적재롤러와, 수상보트를 캠핑 본체에 적재하도록 작동하는 로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캠핑 본체와 수상보트의 일 측은 후크부로 결합되고, 캠핑 본체와 수상보트의 사이에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는 수상보트를 지붕에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로딩 및 언로딩 함과 아울러 보트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며,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자동화 구현하여 용이하게 보트를 로딩, 운송 및 언로딩 할 수 있고, 수상보트를 적재한 상태로 안정적인 운송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선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의 언로딩 작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캠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 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 본체와 수상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캠핑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의 언로딩 작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100)은 차량(101)과, 로딩수단(110)으로 이루어지며, 차량(101)은 하부에 바퀴(103)를 구비하며, 적재부(105)가 구비된다. 적재부(105)는 수상보트(120) 등을 적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101)에 구비된다. 적재부(105)는 운전석의 후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1)의 운전석을 덮는 형태로 지붕 상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차량(101)의 좌측이 전방, 우측이 후방이고, 전후방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며, 차량(101)의 바퀴(103) 축과 나란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한다.
상기 적재부(105)는 차량(101)의 지붕 상부에 위치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된 지지부재(1183)와, 지지부재(1183)를 차량(101)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설치부재(1181)로 구성된다. 지지부재(1183)의 상부에는 후술할 복수의 적재롤러가 결합된다. 설치부재(1181)는 폭방향으로 지지부재(1183)의 양측에서 연장되며, 단부가 하향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설치시 차량(101) 지붕의 양단부에 밀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적재부(105)는 별도의 지지부재(1183)와 설치부재(1181)를 구비하지 않고 차량(101)의 지붕 자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딩수단(110)은 차량(101)에 구비되어 수상보트(120)를 차량의 적재부(105)에 적재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로딩수단(110)은 윈치(111, 113)와, 복수의 적재롤러로 이루어진다.
윈치(111, 113)는 차량(101)의 차체 하측에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며, 수상보트(120)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112, 114)를 와인딩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윈치(111, 113)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며, 차량(1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됨과 아울러 후술할 적재롤러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윈치(111, 113)의 회전축은 폭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차량(101)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전방 윈치(111)와 차량(101)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후방 윈치(113)로 이루어진다.
전방에 위치한 윈치(111)는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12)를 와인딩하며, 후방에 위치한 윈치(113)는 수상보트(12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14)를 와인딩하게 된다. 즉, 전방 측 와이어(112)의 일 측은 전방에 위치한 윈치(111)에 연결되고, 타 측은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된다. 아울러, 후방 측 와이어(114)의 일 측은 후방에 위치한 윈치(113)에 연결되고, 타 측은 수상보트(12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수상보트(120)의 전방과 후방 단부에 걸림홈이나 걸림관통공을 형성하고, 와이어(112, 114)의 단부에 걸림고리를 구비하도록 하여 수상보트(120)에 와이어(112, 114)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수상보트(120)를 분리하는 경우, 수상보트(120)로부터 와이어(112, 114)의 단부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측 와이어(112)는 전방 윈치(111)의 동작에 의해 감기거나 풀려져,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와 전방 윈치(111) 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후방 측 와이어(114)는 후방 윈치(113)의 동작에 의해 감기거나 풀려져, 수상보트(120)의 후방 단부와 후방 윈치(113) 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복수의 적재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의 적재부(105)에 구비되며, 로딩 및 언로딩 시 수상보트(120)가 구름 운동을 하도록 수상보트(120)를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적재롤러의 회전축은 폭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윈치(111, 113)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적재롤러(115, 117)는 차량 적재부(105)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이하에서 적재부(105)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적재롤러(115)를 제1 적재롤러라 하고, 적재부(105)의 후방 단부에 구비되는 적재롤러(117)를 제2 적재롤러라 한다.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적재롤러(115)와 제2 적재롤러(117) 사이에 제3 적재롤러(119)가 더 구비된다. 제1 적재롤러(115)는 차량 적재부(105)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고, 제2 적재롤러(117)는 상기 제1 적재롤러(115)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 적재부(105)의 후방 단부에 위치한다. 제3 적재롤러(119)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적재롤러(115)와 제2 적재롤러(117)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적재롤러(115), 제2 적재롤러(117), 제3 적재롤러(119)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로 형성되며, 수상보트(120)는 제1 적재롤러(115), 제2 적재롤러(117), 제3 적재롤러(119) 위에서 구름 접촉을 한다.
또한, 상기 전방 윈치(111)는 제1 적재롤러(115)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후방 윈치(113)는 제2 적재롤러(117)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전방 윈치(111)에 와인딩되는 와이어(112)는 제1 적재롤러(115)를 감싸면서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며, 후방 윈치(113)에 와인딩되는 와이어(114)는 제2 적재롤러(117)를 감싸면서 수상보트(12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100)은 수상보트(120)가 언로딩될 때, 차량의 적재부(105)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적재롤러(115)는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12)에 접촉되고, 차량 적재부(105)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적재롤러(117)는 수상보트(120)에 접촉되면서, 수상보트(120)가 차량 적재부(105)로부터 언로딩된다.
상기 적재부(105)에는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이동수단은 적재부(105)에 적재된 수상보트(12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브라켓(116)과 가압수단(11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116)은 수상보트(120)의 폭방향 양측에 결합되며, 적재부(105)에 구비된 가압수단(118)은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져 수상보트(120)가 차량(101)에 적재된 상태에서 피스톤부가 브라켓(116)을 가압함에 따라 수상보트(120)를 차량(101)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상기 가압수단(118)은 수상보트(120)에 직접 접촉되어 가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방 윈치(111)와 후방 윈치(113)에는 토션측정장치가 구비되어, 각각 와이어(112, 114)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토션측정장치는 각각의 와이어(112, 114)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력측정부를 통해 감지된 각 와이어(112, 114)의 장력에 따라 제어부가 각 전방 윈치(111) 및 후방 윈치(11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상보트(120)에는 측방에 휠부재(121)가 구비되며, 상기 휠부재(121)에 제1 보조바퀴(123)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휠부재(121)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제1 보조바퀴(123)의 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상보트(120)에는 제1 보조바퀴(123)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제2 보조바퀴(125)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들은 경첩에 의한 절곡 수단이 구비되어 수상보트(120)에 접이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보조바퀴(123) 및 제2 보조바퀴(125)는 수상보트(120)의 언로딩 시 지면에 안착되어 구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보조바퀴(125)는 수상보트(120)의 전방으로 구비되켜 캐스터로 하여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2 보조바퀴(125)는 수상보트(120)의 하부에 홈을 형성하고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하고 나사 체결 방식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100)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상보트(120)가 차량(101)에 탑재된 상태에서 언로딩될 때, 전방 윈치(111)는 전방 측 와이어(112)를 풀어 주며, 후방 윈치(113)는 후방 측 와이어(114)는 감도록 작동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보트(120)의 전후방 단부가 적재롤러로부터 전후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보트(120)를 당겨 반대편이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큰 외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수단(118)으로 구성된 이동수단을 이용해 수상보트(120)를 차량(101)의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시켜, 적재롤러로부터 수상보트(12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시켜 돌출 길이를 크게 함으로써 언로딩 작용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수상보트(120)는 하부에 위치한 제2 적재롤러(117) 및 제3 적재롤러(119)에 의해 구름 운동하여 차량(101)의 후방 측을 향해 소정 거리 이동한다. 이와 같이, 수상보트(120)가 소정 거리 차량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이후에 진행될 후방 윈치(113)의 와인딩 시 작동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상보트(120)가 후방으로 이동한 이후에 전방 윈치(111)는 전방 측 와이어(112)를 풀면서 후방 윈치(113)를 와인딩 작동시켜, 수상보트(120)가 제2 적재롤러(117)에 지지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수상보트(120)는 세워진 상태로 차량(101)의 후방 하측에 돌출 구비된 지지 수단(129)의 상부로 놓여진다. 수상보트(120)의 회전 중 전방 측 와이어(112)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전방 윈치(111)의 풀림 속도가 제어된다. 전방 측 와이어(112)의 장력이 유지되므로, 수상보트(120)의 언로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후방으로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수상보트(120)가 지지 수단(129)의 상부로 놓여져 세워진 상태일 때, 수상보트(120)의 하측은 차량(101)의 하측이 후방으로 돌출 구비된 지지 수단(129)의 상부로 놓여져 지지 수단(129)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 지지 수단(129)은 수상보트(120)가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 수단(129)의 단부가 수상보트(120)의 무게 중심보다 전방에 있도록 돌출된 길이를 가진다.
전방 윈치(111)가 전방 측 와이어(112)를 계속 풀어 수상보트(120)는 차량(101)의 하측 지지 수단에 지지된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가 후방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뒤집혀 지면에 안착된다. 이후에, 수상보트(120)에 구비된 휠부재(121)에 보조바퀴(123, 125)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수상보트(120)의 로딩 작업은 전술한 언로딩 작업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캠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 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캠핑 본체와 수상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캠핑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상보트 캠핑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 일부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서, 복수의 윈치와 와이어의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상보트 캠핑장치는 크게 캠핑 본체(1210)와, 수상보트(120)로 이루어지며, 차량 등에 적재되어 이송 가능하며 차량으로부터 분리 시 별도의 독립된 거주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캠핑 본체(1210)는 차량에 별도로 탑재되거나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차량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상보트(120)는 캠핑 본체(1210)로부터 로딩 및 언로딩되는 것으로서, 수상보트(120)를 캠핑 본체(1210)에 적재하도록 작동하는 로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딩수단은 전술한 실시 예의 윈치와 와이어의 작동 구조에 의해 동일하게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상보트(120)와 캠핑 본체(121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캠핑 본체(12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침대 등과 같은 캠핑을 위한 각종 시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측에는 창문(1011)이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캠핑 본체(1210)의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단차부(1012)가 형성되고, 단차부(1012)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안착부(1013)가 형성된다. 캠핑 본체(1210)의 후방측에는 적재롤러(117)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적재롤러(117)는 캠핑 본체(1210)와 수상보트(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수상보트(120)를 캠핑 본체(1210)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캠핑 본체(1210)의 상부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400)가 수용되기 위한 탄성 부재 안착부(1014)가 형성되고, 단차부(1012)의 전방으로부터 안착부(1013)를 향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015)을 구비한다.경사면(1015)은 수상보트(120)가 적재롤러(117) 측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수상보트(120)의 내측면이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적재롤러(117)의 양측으로 캠핑 본체(1210)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수상보트를 양측방에서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출부가 구비된다.
수상보트(120)는 일측이 개구되고 내측으로 요입된 보트(Boat) 형상으로서, 개구된 측이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캠핑 본체(12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수상보트(120)의 개구된 측의 테두리는 캠핑 본체(1210)에 형성된 단차부(1012)에 지지되어 캠핑 본체(121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캠핑 본체(1210)의 전방에는 후크부(300)가 결합된다. 후크부(300)는 캠핑 본체(1210)의 전방에 결합된 브라켓(301)과, 브라켓(3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302)와, 레버(3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상보트(120)의 전방에 형성된 돌기(1201)에 걸리는 고리(303)로 이루어진다. 고리(303)를 돌기(1201)에 건 상태에서 레버(302)를 당겨 수상보트(120)는 캠핑 본체(1210)에 간결하게 체결되며, 레버(302)를 반대로 풀어 수상보트(120)와 캠핑 본체(1210) 간의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캠핑 본체(1210)의 후방에 전방과 동일하게 또 하나의 후크부(300')가 결합되고, 수상보트(120)의 후방에도 후크부(300')에 대응되는 돌기(1201')가 형성된다.
캠핑 본체(1210)와 수상보트(120)의 사이에 탄성 부재(400)가 구비된다. 탄성 부재(400)는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00)는 수상보트(12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수상보트(120)를 캠핑 본체(1210)의 상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탄성을 제공한다. 상기 후크부(30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면, 수상보트(120)는 탄성 부재(400)의 복원력에 의해 캠핑 본체(1210)로부터 자동으로 상부로 들어 올려지고, 수상보트(120)가 단차부(1012)로부터 경사면(1015)을 타고 미끄러져 전방 부분이 들어 올려지고, 전술한 윈치 및 와이어의 작동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상보트(120)에는 보조 바퀴(123)가 결합되며, 보조 바퀴(123)는 수상보트(120)의 측면에 경첩(1231)을 통해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수상보트(120)가 캠핑 본체(1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조 바퀴(123)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수상보트(120)가 캠핑 본체(1210)로부터 회전되어 상하 방향이 바뀌면 경첩(1231)을 접어 보조 바퀴(123)가 지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101 : 차량 110 : 로딩수단
111 : 전방 윈치 113 : 후방 윈치
112 : 전방 측 와이어 114 : 후방 측 와이어
115 : 제1 적재롤러 117 : 제2 적재롤러
119 : 제3 적재롤러 120 : 수상보트

Claims (7)

  1. 차량(101)과, 상기 차량(101)에 구비되어 수상보트(120)를 차량의 적재부(105)에 적재하도록 작동하는 로딩수단(1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딩수단(110)은 차량(101)에 구비되며 수상보트(120)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112)(114)를 와인딩하는 윈치(111)(113)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에 구비되며 로딩 언로딩 시 수상보트(120)가 구름 접촉을 하도록 수상보트(1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적재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111)(113)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재롤러보다 하부로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되고, 복수의 적재롤러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의 적재부(105)에 구비되며; 전방에 위치한 윈치(111)는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12)를 와인딩하며, 후방에 위치한 윈치(113)는 수상보트(12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14)를 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재롤러는 차량 적재부(105)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재롤러(115)(117)로 이루어지며; 수상보트(120)가 언로딩될 때, 차량의 적재부(105)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적재롤러(115)는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112)에 접촉되고 차량 적재부(105)의 후방 단부에 구비된 적재롤러(117)는 수상보트(120)에 접촉되면서, 수상보트(120)가 차량 적재부(105)로부터 언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111)(113)와 복수의 적재롤러의 회전축은 폭방향을 향하며; 상기 윈치(111)(113)는 차량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전방 윈치(111)와 차량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후방 윈치(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적재롤러는 차량 적재부(105)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적재롤러(115)와, 상기 제1 적재롤러(115)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량 적재부(105)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2 적재롤러(117)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적재롤러(115)와 제2 적재롤러(117)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적재롤러(119)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윈치(111)는 제1 적재롤러(115)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후방 윈치(113)는 제2 적재롤러(117)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전방 윈치(111)에 와인딩되는 와이어(112)는 제1 적재롤러(115)를 지나 수상보트(120)의 전방 단부에 연결되고, 후방 윈치(113)에 와인딩되는 와이어(114)는 제2 적재롤러(117)를 지나 수상보트(12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 윈치(111)와 후방 윈치(113)에는 토션측정장치가 구비되어, 각각 와이어(112)(114)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100).
  5. 상부에 둘레를 따라 단차부(1012)가 형성된 캠핑 본체(1210)와, 상기 단차부(1012)에 지지되어 캠핑 본체(1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상보트(120)와, 상기 캠핑 본체(1210)와 수상보트(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수상보트(120)를 캠핑 본체(1210)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하는 적재롤러(117)를 포함하며; 상기 캠핑 본체(1210)와 수상보트(120)의 일 측은 후크부(30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보트 캠핑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 본체(1210)와 수상보트(120)의 사이 전방 측에 탄성 부재(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보트 캠핑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 본체(1210)에 단차부(1012)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안착부(1013)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13)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101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보트 캠핑장치.
KR1020130064897A 2013-06-05 2013-06-05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 KR201401430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897A KR20140143012A (ko) 2013-06-05 2013-06-05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897A KR20140143012A (ko) 2013-06-05 2013-06-05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012A true KR20140143012A (ko) 2014-12-15

Family

ID=5246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897A KR20140143012A (ko) 2013-06-05 2013-06-05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0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5647B2 (en) Adaptation of a front winch device on a vehicle to raise a load to the rear of a vehicle
US8132997B2 (en) Lift apparatus mountable on a vehicle
CA2517628C (en) Apparatus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motorcycles and other cargo into transporting vehicles
US6616396B2 (en) Power ramp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s and method of use
US20150132090A1 (en) Cargo Carrier Systems for Passenger Trucks
US2822100A (en) Boat trailer
US4034879A (en) Device for loading and carrying boats on top of vehicles
US7143713B1 (en) Carrier for personal watercraft
US5154564A (en) Portable launcher-unloader for boat trailers
US6029598A (en) Trailerable houseboat/camper with removable pontoons
US5332249A (en) Trailer device
US9011073B2 (en) Truck loading device
US10293889B2 (en) Automatic watercraft cover
US9315139B2 (en) Spring-biased boat trailer winch stand
US11407361B2 (en) Side folding tow behind motorcycle transporter
US8322964B2 (en) Load hauling all terrain vehicle
US4790713A (en) Articulated motorcycle carrier
US3069038A (en) Boat trailer unloader
CA2271604C (en) Trailer and loading device
US5152657A (en) Boat trailer attachment
KR20140125570A (ko)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KR20140143012A (ko)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및 수상보트 캠핑장치
US5460472A (en) Cartop hoist and carrier
US6106215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storing vehicles
AU2002300918B2 (en) Load securing apparatu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