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201A -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201A
KR20140142201A KR1020140150888A KR20140150888A KR20140142201A KR 20140142201 A KR20140142201 A KR 20140142201A KR 1020140150888 A KR1020140150888 A KR 1020140150888A KR 20140150888 A KR20140150888 A KR 20140150888A KR 20140142201 A KR20140142201 A KR 2014014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nufacturing
insole
shoe
mod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일
Original Assignee
권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일 filed Critical 권순일
Priority to KR102014015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2201A/ko
Publication of KR2014014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형상을 스캐닝하여 발 형상 및 지상과의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210);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 중 3D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정하고 보완한 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와
상기 측정의 결과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데이터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각 제조 부문의 제조 데이터로 수정, 보완하는 제조데이터 생성부(230);와
상기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수정, 보완된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 각 제조 부문의 제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조데이터 저장부(240);와
상기 제조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제조 데이터를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의 각 제조자에게 유선 및 무선 데이터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제조데이터 전달부(250);와
유선 및 무선 데이터 전달 방식에 의해 전달 받은 제조 데이터를 기반하여,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을 제조하는 부품 제조부(260) ;와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된 라스트,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과 별도 의 작업을 통하여 제조된 갑피를 취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유형에 대응 하는 맞춤형 신발을 최종 완성, 제조하는 최종 조립부(270);와
상기 사업자의 홈 페이지상에서 은행 전산망과 홈 페이지 사이트 사이에서 결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인터넷 결제 시스템부(2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Custom shoes manufacturing system using a 3D printer and 3D scann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은 개인의 활동량에 비례하여 끊임없이 압력을 받는 부위이므로, 체중의 정도, 보행 습관이나 신발 상태 등에 의하여 여러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더욱이 발은 심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어 혈액 순환 장애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부 조화를 일으키기 쉬운 신체적 특성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발끝까지 내려온 혈액이 정맥을 통하여 심장으로 되돌아갈 때는 심장의 힘만으로는 어렵게 됨으로써 신체에 노폐물이 혈액에 의해 이송되어 제거되지 못해 축적되기 쉽고 그 결과로 혈액 순환이 순조롭지 못하여 발이 시리거나 차게 되는 말초 혈액순환의 장애가 발생하여 인체의 각 부위가 고유의 제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함으로써 각종 질환이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람의 생활에서 발 바닥과 가장 오랜 시간동안 맞 닿아 있는 개인의 발 특성에 맞는 신발은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공장에서 대량 생산되어진 평균 사람의 발 모양으로서, 각 개인의 발바닥 특성을 살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발바닥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도 어려워 장기간 사용하면 발가락이나 뒤꿈치 부위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받아 신발이 압축되면서, 압축된 부위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력이 점차로 저하되어 발에 미치는 충격을 제대로 완화시키지 못하여 발이 피곤하고 발바닥 통증을 유발시킨다.
이로부터 착용자의 발과 신발 간의 불 일치함을 해결하고 교정하기 위한 형상화 과정을 거치는 맞춤형 신발이 제안되었는데, 신발 제조에 필수적인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 깔창등 모든 부품을 맞춤식으로 제조해야 하므로 엄청난 비용 과 시간이 소요되어 널리 보급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을 발명하게 된 것이다.
3D 프린터는 1980년대 초에 미국의 3D시스템즈 사에서 플라스틱 액체를 굳혀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프린터를 처음으로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잉크젯 프린터에서 디지털화된 파일이 전송되면 잉크를 종이 표면에 분사하여 2D 이미지(활자나 그림)를 인쇄하는 원리와 같다.
2D 프린터는 앞뒤(x축)와 좌우(y축)으로만 운동하지만, 3D 프린터는 여기에 상하(z축) 운동을 더하여 입력한 3D 도면을 바탕으로 입체 물품을 만들어낸다.
3D 프린터는 본래 기업에서 어떤 물건을 제품화하기 전에 시제품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개발되었다.
1980년대 초에 미국의 3D시스템즈 사에서 플라스틱 액체를 굳혀 입체 물품을 만들어 내는 프린터를 처음으로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플라스틱 소재에 국한되었던 초기 단계에서 발전하여 나일론과 금속 소재로 범위가 확장되었고, 산업용 시제품뿐만 아니라 여러 방면에서 상용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유럽항공방위산업체(EADS)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조립 단계를 거치지 않은 완성품으로 인쇄한 바 있으며, 영국의 사우샘프턴대학에서는 시속 160km로 비행하는 무인비행기를 제작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다방면으로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산업계에서의 응용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3D 프린터 기술을 이용하여, 자기 발에 맞는 맞춤식 신발을 만들기 위하여 자기 발에만 맞는 라스트, 갑피, 인솔, 아웃솔, 깔창, 밑창등 필요한 부품들을 제조하고 이를 최종 조립함으로서 목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용 3D 스캐너 혹은 고정용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발의 형상을 스캐닝하여 발 유형 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 발에만 맞는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필요한 부품의 제조 데이터로 활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신발 제조 전 부문에 데이터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일관된 수직형 제조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 하게 됨으로써 개인의 발 형태에 맞는 맞춤 신발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형태에 맞는 적합한 맞춤 형 신발을 추천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형상을 스캐닝하여 발 형상 및 지상과의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210);와
상기 획득된 데이터 중 3D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정하고 보완한 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와
상기 측정의 결과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데이터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각 제조 부문의 제조 데이터로 수정, 보완하는 제조데이터 생성부(230);와
상기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수정, 보완된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각 제조 부문의 제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조데이터 저장부(240);와
상기 제조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제조 데이터를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밑창), 깔창등의 각 제조자에게 유선 및 무선 데이터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제조데이터 전달부(250);와
유선 및 무선 데이터 전달 방식에 의해 전달 받은 제조 데이터를 기반하여,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을 제조하는 부품 제조부(260);와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된 라스트,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과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제조된 갑피를 취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유형에 대응하는 맞춤형 신발을 최종 완성, 제조하는 최종 조립부(270);와
상기 사업자의 인터넷상에서 은행 전산망과 인터넷사이트 사이에서 결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인터넷 결제 시스템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발 유형 정보는 발의 전체적인 형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지만 특히, 발 바닥의 아크(Arc)형태, 발등의 아크(Arc)형태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상기 발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신발에 관한 쇼핑몰 정보를 기록하고 갱신하는 데이터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해당 쇼핑몰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쇼핑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 쇼핑몰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맞춤형 신발에 관한 구매 추천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주문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맞춤형 신발에 대한 구매 및 결제처리를 수행하는 결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상기 측정의 결과로 획득된 제조 데이터를 신발 제조업체에 전송하여 상기 맞춤형 신발의 제작을 의뢰하는 제작 의뢰부; 및 상기 측정 대상자(소비자)가 신발 제작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신발 제조업체에 상기 신발에 대응하는 신발의 제작 지시 명령을 전송하는 제작 지시부;와 아울러 제조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선 혹은 무선, 모바일 통신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상기 맞춤형 신발 제공 시스템에서, 상기 발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맞춤형 신발에 관한 쇼핑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하고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해당 쇼핑몰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쇼핑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온라인 쇼핑몰 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맞춤형 신발에 관한 구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상기 발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발 바닥의 형상을 3D 스캐너로 스캐닝하여 발 유형 정보를 측정하고,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맞춤 형 신발을 손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측정 대상자(소비자)는 상기 시스템에 의하여 맞춤 신발을 구매할 경우 본인의 발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 되어 있으므로 차후에 본인의 구두나, 등산화, 전문 운동화, 골프화, 인-라인 스케이트등 종류를 달리하는 모든 신발의 제조 요구에도 저장된 본인의 제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저렴하게 맞춤형 신발을 제조하고 이를 구입할수 있게 된다.
특히, 아래와 같이 일반 신발과의 비교표에서 보듯이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피혁 구두류, 운동 선수의 전문화, 특대형 및 비정형 신발, 족부 환자의 의료화 등에 응용할 경우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아 래 -
Figure pat0000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신발 제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신발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신발 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품인 라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신발 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품인 라스트의 다양한 디자인별 실물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신체의 다양한 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신발 라스트를 제조하는 3D 프린터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휴대용 3D 스캐너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발 바닥의 형상 및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구매에서 제조까지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홈 페이지 접속 후 주문자의 주문 후 제조까지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휴대용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형상을 스캐닝 하는 실물 사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기계부품을 스캔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데이터의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스캔닝으로 얻은 기계 부품의 데이터에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얻은 후 3D 프린터에서 사용가능한 최종 3D Modeling data의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신발 갑피를 제조하기 위하여 신발 라스트와 결합된 신발 갑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스캔한 발 바닥과 이에 따른 라스트 바닥면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스캔부(210),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 제조 데이터 저장부(230), 제조데이터 생성부(240), 제조데이터 전달부(250), 부품 제조부(260), 최종 조립부(270), 결제 시스템부(280)로 구성된다.
스캔부(210)는 휴대용 3D 스캐너 및 고정식 3D 스캐너(110)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바닥 과 발등 및 접촉면을 포함한 전체 형상을 스캐닝(scanning)한다.
이를 통해, 발 바닥과 발등 및 접촉면을 포함한 발 전체 형상과 치수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 한다.
일반적으로 3D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닝은 제품의 역 설계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작업이며 현재에는 대개는 점으로서 표현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3D 프린터에서 맞춤 신발을 만들려면 3D Modeling data가 있어야 한다.
3D 프린터는 상기의 점으로서 표현된 데이터로는 제품으로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수정작업이 필요하다.
현재 3D 스캐너를 이용한 스캐닝은 문화재 복원이나 신발 등의 원래 가지고 있던 디자인 에서 약간 수정하려고 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는 상기 획득된 데이터 중 잘못된 부분은 삭제하고 3D 프린터를 포맷시키기 위하여 꼭 필요한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의 점으로 표현된 데이터는 3D 디자이너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서 우선 면으로서 모델링을 한다.
즉, 3D 디자이너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서 상기의 점으로 표현된 데이터의 모든 면과 면을 막아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만든다.
상기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에 수치 데이터를 결합하여 최종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만든다.
제조데이터 생성부(240)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에 저장된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맞춤 신발 제조에 필요한 부품별로 데이터를 수정, 보완하여 각 부품별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한다.
이때,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우선 발의 형태에 따른 신발 라스트가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는 최초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디자이너의 모델링 작업을 신발 라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한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3D 프린터에 포맷하면 바로 신발 라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신발 라스트가 준비되면 이에 따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부품이 필요 하다.
갑피를 제외한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부품 제조 데이터는 상기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에서 접합 공차 및 디자인별로 설계된 기존 데이터를 가감하여 각각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하게 된다. 갑피를 제조하기 위한 갑피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하기 위하여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위의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는 신발의 설계 및 제조를 위한 3차원 데이터로서 가죽이나 천 같은 2차원의 부품들을 붙여서 3차원의 제품을 생산하는 신발 갑피의 제조 특성상 신발 갑피의 제조를 위한 2차원 데이터와 호환성을 제공해야 하며, 가죽이나 천 같은 2차원의 부품들을 붙여서 3차원의 제품을 생산하는 갑피 제조 데이터는 디자인별로 미리 준비된 가죽이나 천 같은 2차원의 기존의 제조 데이터에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적용하여 생성한다.
제조데이터 저장부(230)는 상기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수정, 보완된 신발 라스트,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의 각 제조 부문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저장한다.
제조데이터 전달부(250)는 제조지시에 의하여 제조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 부품별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각 부품 제조업자에게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전송된다.
부품 제조부(260)는 제조데이터 전달부(250)를 통하여 전달된 부품별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이용하여 3D 프린터를 포맷시켜 부품을 제조한다. 이때 부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자는 가정 부업의 형태나 소규모의 가내 공업 형태로 3D 프린터를 보유하고 각자 맡은 부품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최종 조립부(270)는 부품 제조부(260)로부터 인수한 각 부품과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제조된 갑피를 최종 조립하여 신발을 완성한다.
갑피는 피혁이나, 인조 피혁이 주로 사용되고 다양한 디자인에 따른 제조 패턴이 다양하고 가죽이나 천 같은 천연재료를 주로 사용하므로 이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는 없다.
이와같은 이유로 갑피의 제조업자에게는 갑피 제조를 위한 제조 데이터만을 전송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결제 시스템부(280)은 온라인 쇼핑몰을 포함한 자금 결제시스템으로 고객의 주문 결재등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구매자는 자신의 발 정보를 스캔한 후, 자신의 발 정보에 대한 고유번호를 부여 받음과 동시에 회원에 가입하는 절차를 거쳐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신발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우선 발의 형태에 따른 신발 라스트가 필요하다.
신발 라스트가 준비되면 이에 따른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부품이 필요하다.
갑피를 제외한 신발 라스트,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 , 깔창등의 재료는 플라스틱이나, 천연고무, 합성 고무등의 원료가 사용되므로 이의 제조에는 금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금형의 제조에는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맞춤 신발 제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맞춤 신발 제조에 있어서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고, 상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한 3D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3은, 신발 제조에 있어서 가징 중요한 부품인 라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신발 제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품인 라스트의 다양한 디자인별 실물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라스트는 신발(구두)의 뼈대로 구두의 가장 기본인 형태를 이루게 한다.
영어의 고어인 'laest'에서 온 말로 '발자국'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라스트는 신발 기획의 시작점으로 착화감, 신발의 치수와 형태를 결정짓는다.
라스트는 신체의 다양한 발 형태와 같이 길이, 폭, 모양이 천차만별이며, 이 라스트 모양에 따라 구두코가 뾰족하거나, 둥근 모양이 되기도 한다.
보통 일반 신발의 경우는 표준화 된 족형을 그대로 사용한 제품군이기에 발 볼이 좁거나 뒷굼치등이 불편하기 마련이다.
발 형에 맞지 않는 신발(구두)은 발가락을 변형시키고 통증을 유발하며 무릎, 허리 관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발 형에 부합하는 라스트로 맞춤 제작을 하면 발 변형과 통증이 악화되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을 가진다.
도 5는, 신체의 다양한 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람 얼굴이 모두 다르듯이 사람의 발 모양도 제 각각이기 때문에 각각의 모양에 맞는 신발 및 구두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발 형태에 맞는 라스트를 만들어 신발 및 구두를 제작하는 방법이 최선이다.
도 6은, 신발 라스트를 제조하는 3D 프린터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3D 스캐너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발의 형상 및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발의 형상 및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의 흐름은 스캔부(240), 데이터 저장부(241), 제조데이터 생성부(242), 제조데이터 저장부(242), 제조 데이터 전달부(244)를 포함한다.
상기 스캔부(240)는 휴대용 3D 스캐너 및 고정식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발 형상을 스캐닝(scanning)하여 발의 형상 및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상기 스캔부(240)는 상기 측정 대상자(소비자) 의 발바닥 형상을 스캐닝함으로써, 발의 형상 및 접촉면에 관한 360도 각도의 형상과 수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휴대용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발 형상 및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실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스캔부(240)의 기술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 저장부(241)는 상기 스캔부(240)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 유형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스캔부(240)에 의해 획득된 중 잘못된 부분은 삭제하고 3D 프린터를 포맷시키기 위하여 꼭 필요한 데이터를 보완한 후 보완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상기의 점으로 표현된 데이터는 3D 디자이너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서 우선 면으로서 모델링을 한다.
3D 디자이너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서 상기의 점으로 표현된 데이터의 모든 면과 면을 막아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만든다.
최 우선적으로 이때 만들어진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는 신발 라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사용된다.
제조데이터 생성부(242)는 데이터베이스부(241)에 저장된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이용하여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부품 제조를 위한 각각의 3D Modeling data (Solid data)를 생성한다.
제조데이터 저장부(243)는 상기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수정, 보완된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각 제조 부문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저장한다.
제조 데이터 전달부(244)는 제조데이터 저장부(243)에 저장된 각 제조 부문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제조지시에 의하여 각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부품 제조업자에게 전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정보 스캔에서에서 구매까지의 흐름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승인에 의하여 스캔 (410)이 시작되고 스캔 작업이 완료됨과 함께 측정자의 발 정보에 고유 번호를 부여한다.
회원 가입(420)은, 이때, 측정자의 발 정보를 홈 페이지상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기 앞서 상기 부여한 측정자의 발 정보와 대응하는 회원 가입을 하게 된다.
홈 페이지의 저장 공간에는, 회원 정보와 회원의 고유번호( 발 정보 )가 같이 저장된다.
이후 온라인 쇼핑몰이 구축되어있는 홈 페이지에 접속한 후 맞춤형 신발 주문(430)을 하면 구매 의사 확인 과정(440)을 거쳐 승인할 경우 ( 450의 "예" 방향, ) 최종 결제(450)을 거쳐 거래가 완료되는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은 신발의 종류별, 디자인별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어 구매자는 신발의 종류별, 디자인별로 선택하여 구매 주문을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에서 홈 페이지 접속 후 주문자의 주문에서 제조까지의 시스템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스캔 단계(310)에서 상기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는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바닥 형상을 스캐닝하여 발의 형상 및 접촉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고유번호 부여 단계(320)에서 상기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대응하는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회원가입 단계(330)에서는 상기 고유번호 부여 단계(320)에서 부여한 고유번호를 기반으로 회원 가입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홈 페이지 접속 단계(340)에서는 회원가입 단계(330)에서 부여한 고유번호와 함께 그 회원에 대한 발 형상 데이터를 홈 페이지 저장부(36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측정 대상자(소비자)가 상기 신발에 대한 주문을 허용하는 경우 제품 주문 단계(350)에서 상기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은 상기 신발 제조업체에 신발의 제작 지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발 제조업체는 상기 제작을 허용한 맞춤형 신발을 제작하여 상기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배송지로 배송할 수 있다.
도 11은, 휴대용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바닥 형상을 스캐닝 하는 실물 사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은,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예를들어, 기계부품을 스캔닝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데이터의 사례로서 발을 스캐닝하였을 때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우선 실존하는 제품, Scanning 하고자 하는 제품을 휴대용 3D Scanner로 스캔을 하면 다음과 같이 점으로서 표현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점으로 표현된 데이터는 그 모양 그대로 제품을 생산할 수 없으며 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하여는 데이터 수정이나 편집이 필요하다.
3D 디자이너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서 끊어진 모든 면과 면을 막아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만드는 모델링 작업을 해야 한다.
도 13은, 스캔닝으로 얻은 예를들어, 기계부품의 데이터에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얻은 데이터의 사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3D 디자이너의 모델링 작업을 통해서 끊어진 모든 면과 면을 막아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만든 최종 3D Modeling data(Solid data)이며, 이러한 모델링 작업을 해야만이 3D 프린터로 제품 생산이 가능한 것이며, 3D 프린터로 생산 가능한 맞춤형 신발의 각 부품 제조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도 14는, 신발 갑피를 제조하기 위하여 신발 라스트와 결합된 신발 갑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종래의 신발은 대개 갑피라고 하는 신발제조용 갑피 (30)을 충분한 여유를 두고 절단하여 소정 형상으로 제조한 후, 대략 도14의 C선 을 따라 Taxon이라고 불리는 인솔(60;insole)을 내부에 배치하고, 신발제조용 갑피(30)의 하단부(34) 내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이 인솔(50)을 감싸도록 갑피(30) 의 하단부(34)를 안쪽으로 접어서 인솔(60)과 접합시키게 된다. 실제 공정에서는, 하단부(34)의 일부를 알맞게 절단하거나 갈아내어 접혀진 면이 울퉁불퉁하지 않도록 고르게 한 다음, 접합공정이 실시된다. 이 때, 갑피(30)의 하단부(34)는 인솔(60)과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상당한 부분이 접혀야 하는데, 도14의 C로 표시된 선이 접힘선을 나타내며, CH는 접혀지는 갑피(30)의 높이이고 LH는 갑피(30)의 두께이다.
이에 따라, 갑피(30)는 인솔(60)과 함께 일체로 되어 도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가 폐쇄된 신발형태가 된다. 그 다음, 갑피(30)과 인솔(60)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의 아랫면과 외측면을 각각 아웃솔(40)의 윗면 및 내측면과 접합시키는 공정을 거쳐 신발제조가 완료된다. 한편, 이렇게 제조가 완료된 후에는 인솔(60) 위에 별도의 깔창(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갑피(30)와 인솔(60)을 함께 봉제하여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제조시 이 라스트(20)를 이용하여 갑피(30)를 고정한 채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갑피 제조를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는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에 상기의 갑피(30)의 높이 수치 및 갑피(30)의 두께를 적용하여 수정하여 생성하게 된다.
도 15는, 스캔한 발 바닥과 이에 따른 라스트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발 스캔 형상(90)대로 맞춤 신발을 제조하기 위하여 신발의 종류, 디자인에 따른 갑피(30)의 두께 및 신발 디자인에 따라 라스트의 형상(80)을 결정하게 되고 이 정보를 기본으로 라스트 (20), 갑피(30), 아웃솔(40), 깔창(50), 인솔(60), 밑창(70) 제조를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데이터의 수정, 보완 및 저장과 전달등 모든 작업은 컴퓨터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와같은 모든 작업을 콘트롤하는 운영 체제를 홈페이지에 구축하여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다.
홈페이지에 구축된 상기 운영체제는 데이터의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상의 수집, 수정, 보완 및 저장과 전달등 모든 행위를 콘트롤한다.
이러한 홈페이지에 구축된 상기 운영체계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 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홈페이지에 구축된 상기 운영체제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신발외의 의복, 모자등 여러 가지로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 라스트 30: 갑피 34; 하단부 40: 아웃솔 50: 깔창 60: 인솔
70: 밑창 80: 라스트 형상 90: 발 스캔 형상
210: 스캔부 220: 데이터베이스 저장부 230: 제조데이터 저장부
240: 데이터베이스부 250: 데이터베이스 전달부 260: 부품제조부
270: 최종 조립부 280 : 결제시스템부
240: 스캔부 241: 데이터 저장부 242: 제조데이터 생성부
243: 제조데이터 저장부 244: 제조데이터 전달부
310: 스캔 단계 320: 고유번호 부여 단계 330: 회원가입 단계
340: 홈 페이지 접속 단계 350: 제품주문 단계 360: 온라인 쇼핑몰(홈페이지) 데이터 저장 단계
410: 발바닥 형상 스캐닝 단계 420: 발 유형 정보 측정 단계
430: 맞춤형 신발 주문 단계 440: 구매의사 확인단계 450: 결제처리단계

Claims (13)

  1. 휴대용 3D 스캐너 및 고정식 3D 스캐너(110)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바닥 과 발등 및 접촉면을 포함한 전체 형상을 스캐닝(scanning)하여 발의 전체 형상과 수치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210);와
    3D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3D 프린터가 인식하게 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한 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에 저장된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맞춤 신발 제조에 필요한 각 부품별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제조 데이터 생성부(240);와
    상기 제조 데이터 생성부에서 3D 모델링 작업을 통하여 변환된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등 각 제조 부문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저장하는 제조 데이터 저장부(230);와
    제조 지시에 의하여 제조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 부품별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각 부품 제조업자에게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 전달 장치를 통하여 전달하는 제조 데이터 전달부(250);와
    제조데이터 전달부(250)를 통하여 전달된 각 부품별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3D 프린터에 포맷하여 해당 부품을 제조하는 부품 제조부(260);와
    부품 제조부(260)로부터 인수한 각 부품과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제조된 갑피를 최종 조립하여 신발을 완성하는 최종 조립부(270);와
    홈 페이지상 구축된 자금 결제시스템으로 고객의 주문과 결재등 업무를 수행하는 결제 시스템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형상을 스캐닝하여 발의 형상 및 접촉면 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캔부(210)는, 휴대용 3D 스캐너 혹은 고정식 3D 스캐너로 발 형상을 스캐닝하여 발 형태, 크기 및 맞춤 신발 제조에 필요한 발에 대한 모든 데이터와 수치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발 유형 정보는 상기 발 바닥의 아크(Arc) 형태, 발 등의 아크(Arc)형태의 치수 및 각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획득된 발 유형 데이터를 수정, 보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220)는 상기 스캔부(210)에서 획득된 정보는 3D 프린터를 포맷하기 불 완전한 3D data로써 3D 프린터를 작동하는데 불 필요한 3D data의 삭제, 수정함과 동시에 3D 프린터를 작동하도록 상기 불 완전한 3D data를 수정, 보완, 변환하는 모든 3D Modeling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의 결과로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데이터를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 깔창등 각 부품의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생성하는 제조데이터 생성부는
    일차로, 상기 측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최우선적으로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유형에 대응하는 라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고,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라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라스트 제조 데이터 생성부;와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깔창을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 (Solid data)로 변환하는 깔창 제조 데이터 생성부;와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신발 갑피를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신발 갑피 제조 데이터 생성부;와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인솔(중창)을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인솔(중창) 제조 데이터 생성부;와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아웃솔 및 밑창을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아웃솔 및 밑창 제조 3D Modeling data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품별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라스트, 신발 갑피,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 깔창등의 각 제조자에게 유선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조 데이터 전달부는,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청구항 제3항에서 최종 생성된 라스트 제조를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 신발 갑피 제조를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 아웃솔 및 밑창 제조를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 인솔(중창) 제조를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 깔창 제조를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서 제조업자가 보유하는 3D 프린터 및 기존에 사용중인 제조기계 및 수단에서 포맷 가능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이며,
    상호간 유선 및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의 홈 페이지상에서 은행 전산망과 홈 페이지 사이트 사이에서 결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인터넷 결제 시스템부는
    상기 ?춤 신발을 원하는 구매자가 접속 할수 있는 홈 페이지 접속부;와
    상기 홈 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신발의 종류, 디자인을 결정할 수 있는 구매 시스템부;와
    구매 신청 완료와 함께 선택한 신발의 제조를 지시하는 제조 지시부;와
    대금 지불 및 배송을 가능케 하는 자금 결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측정 대상자(소비자)의 발 바닥과 발등 및 접촉면을 포함한 전체 형상을 스캐닝(scanning)하여 발의 전체 형상과 수치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스포츠 과학 전문가들과 의사들이 합작으로 개발한 발바닥 스캐닝 프로그램, 예를 들어 'OpenGo' 와 비슷한 어플리케이션 솔루션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제조데이터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는 신발의 설계 및 제조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단계인 신발 라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3차원 데이터로서, 가죽이나 천 같은 2차원의 부품들을 붙여서 3차원의 제품을 생산하는 신발 갑피의 제조 특성상 신발 갑피의 제조를 위한 2차원 데이터와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모든 3D Modeling 작업을 포함하고, 라스트 제조에 있어 CAD/CAM에 기반을 둔 CNC장비로 제조하는 기존의 제조 방식 및 제조 기계에 의한 제조 데이터와도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제조데이터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는 신발의 설계 및 제조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단계인 신발 라스트를 제조하기 위한 3차원 데이터로서, 각각 인솔(중창), 아웃솔 및 밑창, 깔창의 제조를 위한 데이터와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모든 3D Modeling 작업을 포함하고, 각각 기존의 제조 방식 및 제조 기계에 의한 제조 데이터와도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갑피 제조를 위한 신발 갑피 제조 데이터 생성부;는
    실제 신발 제조 공정에서는, 하단부(34)의 일부를 알맞게 절단하거나 갈아내어 접혀진 면이 울퉁불퉁하지 않도록 고르게 한 다음, 접합공정이 실시된다. 이때, 갑피(30)의 하단부(34)는 인솔(60)과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상당한 부분이 접혀야 하는데, 도14의 C로 표시된 선이 접힘선을 나타내며, CH는 접혀지는 갑피(30)의 높이이다. 따라서, 신발 제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에 상기 접혀지는 갑피(30)의 높이인 CH의 수치 및 갑피(30)의 두께와 디자인별 전체적인 갑피(30)의 변동 수치를 적용하여 갑피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아웃솔 및 밑창을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아웃솔 및 밑창 제조 3D Modeling data 생성부;는
    신발 제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에 갑피(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아웃솔 및 밑창의 두께 수치 및 디자인별 전체적인 아웃솔 및 밑창의 변동 수치를 적용하여 아웃솔 및 밑창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깔창을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깔창 제조 3D Modeling data 생성부;는
    신발 제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에 깔창의 두께 수치 및 갑피(30)의 두께를 고려하여 디자인별 전체적인 깔창의 변동 수치를 적용하여 깔창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13. 제4항에 있어서,
    이때, 보완된 데이터를 기본으로, 인솔(중창)을 제조하기 위한 3D Modeling data(Solid data)로 변환하는 인솔(중창) 제조 3D Modeling data 생성부;는
    신발 제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신발 라스트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에 갑피(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인솔(중창)의 두께 수치 및 디자인별 전체적인 인솔(중창)의 변동 수치를 적용하여 인솔(중창) 제조 3D Modeling data(Solid data)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KR1020140150888A 2014-11-03 2014-11-03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KR20140142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88A KR20140142201A (ko) 2014-11-03 2014-11-03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888A KR20140142201A (ko) 2014-11-03 2014-11-03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201A true KR20140142201A (ko) 2014-12-11

Family

ID=5245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888A KR20140142201A (ko) 2014-11-03 2014-11-03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2201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21B1 (ko) * 2015-03-18 2016-06-2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대규모 3d 프린팅 플랫폼
KR20160090622A (ko) * 2015-01-22 2016-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물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86382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 스마트카 디자인/프린팅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80052447A (ko) * 2016-11-10 2018-05-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견갑골 고정 베개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727B1 (ko) 2017-01-11 2018-06-05 한국신발피혁연구원 3d 프린팅 기반 무금형 신발 제조방법
JPWO2017078168A1 (ja) * 2015-11-06 2018-08-23 株式会社ドリーム・ジーピー 木型の作製方法
KR101943796B1 (ko) * 2018-07-04 2019-01-29 이상주 전력 계통 기기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952112B1 (ko) * 2017-10-11 2019-02-26 주식회사 넥스컴스 3d 스캐너를 이용한 안경 주문방법
KR20200023856A (ko) * 2018-08-27 2020-03-06 곽현호 위상최적설계 기법을 접목시킨 맞춤형 압력분산 깔창 제조 시스템
WO2020167090A1 (ko) * 2019-02-15 2020-08-20 윤대영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장갑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장갑 제조 방법
KR20200127845A (ko) * 2019-05-03 2020-11-11 최혁 맞춤 신발 제작용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102185955B1 (ko) 2019-10-01 2020-1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을 이용한 입체 형상물의 제조 방법
KR20210024927A (ko) * 2019-08-26 2021-03-08 최아로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발 주문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N112617809A (zh) * 2020-12-24 2021-04-09 新拓三维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足印面积计算方法及其系统
CZ309231B6 (cs) * 2016-07-29 2022-06-08 Univerzita Tomáše Bati ve Zlíně Způsob výroby customizované obuvi
US11504888B2 (en) 2016-11-28 2022-11-22 Adidas Ag Methods for producing sporting goods
KR20220170407A (ko) 2021-06-22 2022-12-30 (주)이에스제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족부 3d 모델링을 통한 수제화 주문 및 제공 시스템
KR20230134340A (ko) 2022-03-14 2023-09-21 박보현 3d 풋스캐너와 cnc공작기를 이용한 ai기반 풋 라스트 생산방식의 신발주문제조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622A (ko) * 2015-01-22 2016-08-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물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3221B1 (ko) * 2015-03-18 2016-06-2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대규모 3d 프린팅 플랫폼
WO2016186382A1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 스마트카 디자인/프린팅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60135068A (ko) * 2015-05-15 2016-11-24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무인 스마트카 디자인/프린팅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JPWO2017078168A1 (ja) * 2015-11-06 2018-08-23 株式会社ドリーム・ジーピー 木型の作製方法
CN108471841A (zh) * 2015-11-06 2018-08-31 梦想Gp株式会社 木模的制作方法
CZ309231B6 (cs) * 2016-07-29 2022-06-08 Univerzita Tomáše Bati ve Zlíně Způsob výroby customizované obuvi
KR20180052447A (ko) * 2016-11-10 2018-05-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견갑골 고정 베개 및 그 제조방법
US11504888B2 (en) 2016-11-28 2022-11-22 Adidas Ag Methods for producing sporting goods
KR101864727B1 (ko) 2017-01-11 2018-06-05 한국신발피혁연구원 3d 프린팅 기반 무금형 신발 제조방법
KR101952112B1 (ko) * 2017-10-11 2019-02-26 주식회사 넥스컴스 3d 스캐너를 이용한 안경 주문방법
KR101943796B1 (ko) * 2018-07-04 2019-01-29 이상주 전력 계통 기기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200023856A (ko) * 2018-08-27 2020-03-06 곽현호 위상최적설계 기법을 접목시킨 맞춤형 압력분산 깔창 제조 시스템
WO2020167090A1 (ko) * 2019-02-15 2020-08-20 윤대영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장갑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장갑 제조 방법
KR20200127845A (ko) * 2019-05-03 2020-11-11 최혁 맞춤 신발 제작용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20210024927A (ko) * 2019-08-26 2021-03-08 최아로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문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발 주문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185955B1 (ko) 2019-10-01 2020-1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팅을 이용한 입체 형상물의 제조 방법
CN112617809A (zh) * 2020-12-24 2021-04-09 新拓三维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足印面积计算方法及其系统
CN112617809B (zh) * 2020-12-24 2024-05-24 新拓三维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足印面积计算方法及其系统
KR20220170407A (ko) 2021-06-22 2022-12-30 (주)이에스제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족부 3d 모델링을 통한 수제화 주문 및 제공 시스템
KR20230134340A (ko) 2022-03-14 2023-09-21 박보현 3d 풋스캐너와 cnc공작기를 이용한 ai기반 풋 라스트 생산방식의 신발주문제조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2201A (ko) 3d 프린터 및 3d 스캐너를 이용한 맞춤 신발 제조 시스템
US20200143558A1 (en) Extended reality system
US1028291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assisted operation
AU2017281414B2 (en) System for customized manufacture of wearable or medical products
US10119814B2 (en) Determining a size of an item based on comparisons of dimensional and stretch data
KR102369750B1 (ko) 신발류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CN109219835A (zh) 三维打印的定制可穿戴物件的生成
US201002930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itting and sizing recommendations
US201501656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of multi-property anatomically customized devices
US20160334780A1 (en) Mass customized manufacture of a wearable article
KR102415338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alles et al. Delivering personalised insoles to the high street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CN204132561U (zh) 三维足部扫描装置
CN102224513A (zh) 用于鞋类的定制制造的高效方法和系统
CN111316311A (zh) 用户定制型鞋楦提供系统及其方法
JP2023071642A (ja) 自動買い物アシスタントを用いて個人の嗜好に合った買い物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方法
Gong et al. [Retracted] Application Analysis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Design Field: Taking Shoe Design as an Example
Cheng et al. Design of three-dimensional Voronoi strut midsoles driven by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KR101280559B1 (ko) 맞춤형 깔창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7194765A (zh) 一种试鞋系统
Lin et al. Innovation and ergonomics consideration for female footwear design
US10624424B2 (en) Foot measuring machine with user interfac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16209370A (zh) 脚形状确定数据生成方法、制鞋方法、成品鞋检索方法、定制鞋制造支持系统以及成品鞋检索系统
JPWO2019171426A1 (ja) 靴スペーサー設計システム
KR20230134340A (ko) 3d 풋스캐너와 cnc공작기를 이용한 ai기반 풋 라스트 생산방식의 신발주문제조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