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949A -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949A
KR20140141949A KR1020130063353A KR20130063353A KR20140141949A KR 20140141949 A KR20140141949 A KR 20140141949A KR 1020130063353 A KR1020130063353 A KR 1020130063353A KR 20130063353 A KR20130063353 A KR 20130063353A KR 20140141949 A KR20140141949 A KR 2014014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all
terminal
messa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국용
Original Assignee
최국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국용 filed Critical 최국용
Priority to KR102013006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1949A/en
Publication of KR2014014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9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mmunications system through which a call or text service is executed between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nd to a method of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of the same allowing mobile etiquette to be complied by conveniently transmitting a prior message about whether to send a call or a text message to an opponent terminal before transmitting the call or text message, checking an opponent′s reply thereto, and then transmitting the call or text message; and by conveniently setting and displaying state information on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text message and then shar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with the opponent in real time.

Description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0001]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와 단말기 간의 통화나 문자가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간편하게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한 다음 통화나 문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간편하게 설정하고 표시하여 해당 정보가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all or a letter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for transmitting a call or a text to a terminal It is easy to send, check the answer of the other party, and then make the call or text to be complied with, so that the mobile etiquette is adhered to, and the statu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call or text is easily set and display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information to be shared with other parties in real time so that mobile etiquette is adhered to.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가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다른 상대방에게 전화나 문자 또는 카카오톡과 같은 SNS를 이용한 대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With the spread of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us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ytime and anywhere by using SNS such as phone, text, or KakaoTalk.

그러나, 비즈니스 회의나 미팅 또는 공연관람 등의 중요한 시간에 불시에 걸려오는 통화나 문자로 인해 피해나 불편을 끼치게 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고, 상대방의 중요한 시간에 불시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는 것이 모바일 에티켓에 반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However, there are occasional cases where a call or a character is suddenly disturbed by an unexpected call or a letter at a critical time such as a business meeting, a meeting, or a performance, and it is difficult for a mobile It is recognized that it is against etiquette.

한편, 사용자가 다른 상대방에 대한 모바일 에티켓을 지키기 위해 상대방에게 전화나 문자를 해도 되는지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로 일일이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보내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대방이 전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에 미리 사용자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역시 갖추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ishes to obtain a consent as to whether or not to call or text to the other party in order to protect the mobile etiquette for the other party, it is inconvenient to send a text message separately. Also, there is no system that allows the other party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tate in advance before sending a call or text.

(특허 문헌)(Patent Literature)

등록특허 제10-1216689호(2013. 02. 01. 공고) "SNS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Registration No. 10-1216689 (2013. 02. 01. Announcement) "SN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위 특허문헌을 비롯한 종래의 SNS 관리시스템은 주로 SNS와 같은 커뮤니케이션을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것에만 주안을 두고 있을 뿐, 사용자와 상대방 간 모바일 에티켓을 지킬 수 있게 하는 것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사용자와 상대방이 서로 간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모바일 에티켓을 지킬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nventional SNS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above patent documents mainly focuses on making communication such as SNS easy and easy or making it easy to use, and it is not enough to keep mobile etiquette between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I am not paying attention. Accordingly, a new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ystems and allows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to easily and conveniently maintain the mobile etiquette are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간편하게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한 다음 통화나 문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hich can easily transmit a prelimi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a text can be sent to a counterpart terminal before sending a call or a text, confirm a counterpart's answer thereto, To provide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에는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에는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in which a mobile etiquette is adhered to by allowing a message to be sent as a reply to a call rejection response of the other party to be retransmitted or a contact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a non-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간편하게 설정하고 표시되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mobile etiquette to be adhered to by easily setting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calls or tex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표시하여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하거나 통화나 문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ly arranging and displaying a part of counterparts stored in an address book around a user on a specific screen par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a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상대방에 대해서는 화면부에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a specific user specified by a user to be displayed in a fixed position on the screen unit at all tim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text in a state in which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a counterpart terminal in a counterpart profile displayed on a specific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other party, thereby providing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은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하도록 하는 노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ctionary 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text can be sent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before sending a call or a text message and confirms an answer of the other party to comply with the mobile etiquette And a knock portion to which the knob is attach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크부는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노크전송부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노크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cking unit may include a knock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text can b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knock receiver for confirming a reply to the message or a pre-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크전송부는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크전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크수신부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하는 노크수신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전송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제2노크전송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문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ck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knock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a prelimi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text can b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 knock receiving module for confirming a reply to a pre-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or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sent; A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for confirming a reply or a preliminary mess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ption module and then transmitting a character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send a text message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A second knock transmitting module for re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prompting message transmitting module for confirming an answer of the other party's rejection through the knock receiving module and for transmitting a subsequent contact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설정하는 상태정보설정부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And a status information unit including a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status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표시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가부표시모듈과,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해당 상태의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해제시간표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수신가부설정모듈과,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includes a receiving-side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And a release time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release time of the corresponding state when the terminal is unable to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And a time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크전송부는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문전송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o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ithou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he knock transmitter recommends installa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n invitation message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 invite message to the invite message transmitting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초대문전송모듈은 초대 메시지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앱마켓 또는 홈페이지로 바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hyperlink for enabling an access to an app market or a homepage capable of installing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n an invitation messag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화면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creen setting unit for randomly arranging and displaying a part of counterparts stored in the address book,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을 일정 주기로 교체하는 상대방교체모듈과,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setting unit may include a counterpart replacement module for replacing the counterparts disposed around the user, And a counterpart fixing module for always displaying the specific counterpart in a fixed arrangement around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상태표시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setting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partner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unterpart state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counterpart state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대방 단말기로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먼저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하는 노크단계;를 포함하여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ctionary 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text can be sent to a partner terminal before sending a call or a character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partner terminal, And a knocking step of allowing the user to comply with the mobile etiquet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단계는 노크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크전송단계와, 노크수신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하는 노크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cking step includes a knock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 prelimi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sent to a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knock transmission module, And a knock receiving step of confirming a reply to a pre-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module or a pre-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s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단계는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통화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전송단계와,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문자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단계와,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제2노크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제2노크전송단계와,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안내문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문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cking step may include checking a reply or a mess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iving step, A character transmission step of confirming an answer or a preliminary mess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iving step and then transmitting a character to a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A second knock transmitting step of retransmitting a message as to whether or not a character can be sent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knock transmitting module; and a second knock transmitting step of confirming an answer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iving step, And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later contact message It sha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크단계는 상기 노크전송단계를 통해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초대문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문전송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cking step may include a knock transmitting step of, when a dictionary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not installed with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knock transmitting step And an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n invitation message recommending installa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설정하는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setting step of displaying and sett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는 수신가부설정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수신가부표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가부설정표시단계와, 시간설정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해제시간표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해제시간설정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setting step set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is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text through the reception setting module,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is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e and display module;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release time of the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the call or the text through the release tim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화면설정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setting a screen for displaying a part of counterparts stored in an address book around a user on a specific screen par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im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표시단계는 상대방교체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을 일정 주기로 교체하는 상대방교체단계와, 상대방고정모듈을 통해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setting display step may include displaying a screen on a specific screen portion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unterpart fixing step of constantly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specific counterpart around the user through the counterpart fixing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표시단계는 상대방상태표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상태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setting display step may include displaying the setting screen of the partner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unterpart state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counterpart state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whether the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or whether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간편하게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한 다음 통화나 문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transmit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text message can be sent to a counterpart terminal before sending a call or a text, confirm the counterpart's answer thereto, and then make a call or a character so that the mobile etiquette is adhered to .

본 발명은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에는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에는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at the mobile etiquette is adhered to by allowing a message to be sent to the other party's call rejection reply to be retransmitted, or to send a subsequent contact message to the other party's rejection answer.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간편하게 설정하고 표시되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이 준수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mobile etiquette to be adhered to by simply setting and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표시하여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하거나 통화나 문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arties stored in the address book around the user are randomly arranged and displayed on a specific screen par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think agai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상대방에 대해서는 화면부에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by allowing the specific party designated by the user to be displayed and fixedly displayed on the screen part at all times around the user.

본 발명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partner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other par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상대방 단말기로 사전 메시지(노크)를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초대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통화 대신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 또는 추후 연락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한 화면부의 일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상대방들이 배치된 화면부의 일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서 노크단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서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서 화면설정표시단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화면부의 화면전환을 위한 큐브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의 화면부 전환을 위한 위상적 큐브시스템에서 직사각형 화면부가 큐브에 배치된 형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3은 도 12에서 큐브가 하향 회전시 제4화면부가 새로이 화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4는 도 12에서 큐브가 좌향 회전시 제3화면부가 새로이 화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5는 도 12에서 큐브가 좌향 회전시 제3화면부가 새로이 화면에 위치하게 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16은 큐브의 회전에 따라 비가시면의 직사각형 화면부 배치가 어긋나는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17은 큐브의 상하회전에 따라 비가시면의 제3화면부를 재배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8은 큐브의 좌우회전에 따라 비가시면의 제4화면부를 재배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9는 큐브의 상하회전에 따라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를 재배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20은 큐브의 좌우회전에 따라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를 재배치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21은 위상적 큐브시스템에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ssage (knock)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vitation messag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onfirming a reply or a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haracter may be sent instead of a call or a state of retransmitting a contact message in the future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portion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portion in which opponents are arranged around a user,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knocking step in the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formation display setting step in a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setting display step in a unified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ncept of a cube system for screen switching of a screen portion
12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rectangular screen part is arranged in a cube in a topological cube system for switching a scree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urth screen portion is newly positioned on the screen when the cube rotates downward in FIG. 12
FIG. 1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screen portion is newly positioned on the screen when the cube rotates to the left in FIG. 12
FIG. 1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third screen portion is newly positioned on the screen when the cube rotates leftward in FIG. 12
1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rectangular screen portions on the non-
1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rearranging the third screen portion of the non-visible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up-down rotation of the cube
1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rearranging the fourth screen portion of the non-viewing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left-right rotation of the cube
1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rearranging the sixth screen portion of the non-visible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up-down rotation of the cube
20 is a referenc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rearranging the sixth screen portion of the non-viewing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left-right rotation of the cube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in the topological cube system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as other elements, The terms "part,"" module, "and the like denote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은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하도록 하는 노크부(70);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부(810)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설정하는 상태정보설정부(820)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부(80);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화면설정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7,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dictionary 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text message can be sent to a correspondent terminal before sending a call or a text,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810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A status information unit 80 including a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820 for se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status information unit 80 for setting status information on the specific screen unit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 screen setting unit 90 for randomly arranging and displaying the screen.

상기 노크부(70)는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즉,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양해를 구하는 내용을 담은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노크부(70)는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노크전송부(710)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노크수신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knocking unit 70 transmits a preliminary message (that is, a message containing content for obtaining a consent as to whether a call or a text can be sent) to the terminal of the other party before sending a call or text, The knocking unit 70 includes a knock transmitting unit 710 for transmitting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text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a counterpart terminal, And a knock receiving unit 720 for checking a reply to a pre-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or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text sent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transmitted.

상기 노크전송부(710)는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크전송모듈(711)과,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문전송모듈(7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knock transmitting unit 71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dictio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text can b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knock transmitter 710 transmits a dictionary message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knock transmitting module 711 for sending an invitation message for recommending installa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a pre-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ithou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knock transmission module 711 And an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712 for transmitting invitation messages.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은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나 문자를 보내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상대방 프로필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도시된 도면에서는 이와 같은 사전 메시지를 'knock'이라는 용어를 써서 표현하고 있음)를 전송하거나(도 2의 (1) 참조),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나 문자를 보내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에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2의 (2) 참조). 즉,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사용자는 통화나 문자를 보내고자 하는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에 양해를 구할 수 있는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대방에 대한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사전 메시지를 일일이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고 간단한 동작(클릭)만으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의성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The knocking transmission module 71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a preliminary message about whether or not to send a call or a tex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2, the user sends a call or a character A preliminary message (in the drawing, such a dictionary message is referred to as " knocking ") by simply clicking on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icon (See (1) in FIG. 2), or after a user directly inputs a telephone number of a communication target or a target of a text to be sent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dictio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a text message can be easily transmitted by clicking the message ((2) in FIG. 2) Reference). That is, the user can comply with the mobile etiquette for the other party by transmitting a preliminary message to the other party, which is intended to send a call or text, through the knock transmission module 711.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mit only by a simple operation (click) while avoiding the inconvenience of inputting one by one.

상기 초대문전송모듈(712)은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사전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 단말기에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초대문전송모듈(712)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에게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안내(권고)하는 별도의 안내문구가 기재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대한 홍보는 물론 사용자수의 증대를 통해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초대문전송모듈(712)에서 전송되는 초대 메시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앱(app)마켓 또는 홈페이지 등으로 바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함으로써 상대방이 바로(용이하게)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712 transmits an invitation message for recommending installa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ithou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the knock transmission module 711 In the case where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in the correspondent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pre-message through the knock transmission module 711,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712 transmits, Likewise, an invitation message describing a separate announcement for recommending installation of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ereby promoting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ing the communication system to be activate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712 includes a hyperlink for enabling access to an app market or a homepage that can install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he other party can (directly) install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노크수신부(720)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하는 노크수신모듈(721)과,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전송모듈(722)과,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모듈(723)과,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제2노크전송모듈(724)과,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문전송모듈(72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knock receiver 7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firm a reply to a pre-message transmitted from a counterpart terminal or a pre-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transmitted. More specifically, A knock receiving module 721 for confirming a reply to a pre-sent message or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sent from a counterpart terminal can be sent, and a knock receiving module 721 for receiving a reply or a dictionary message from the knock receiver module 721 A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723 for confirming an answer or a preliminary message of the other party via the knock receiving module 721 and transmitting a character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fter confirming the call rejection answer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iving module 721, A second knocking transmission module 724 for retransmitting a message about whether or not it can be sent, a prompting message transmission module 725 for confirming the answer of the other party's rejection via the knocking reception module 721, ).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 전송된 경우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에서는 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도 4의 (1) 참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에서는 이를 즉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4의 (2) 참조). The knock receiving module 72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firm a reply to a pre-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or a pre-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transmitted. As shown in FIG. 4, , The knock receiving module 721 can promptly confirm the response to the messag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knock transmitting module 711 (see (1) in FIG. 4) ) Or a message indicating that a call or text can be sent from the other party terminal is transmitted, the knock receiving module 721 can prompt the user to confirm it immediately (see (2) in FIG. 4).

상기 통화전송모듈(722)은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앞서 도 4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상대방이 통화(또는 문자)를 승낙한 경우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도 4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가 가능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The call transmission module 72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eck the answer or the preliminary mess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ption module 721 and then request the other party's terminal to make a call. As shown in FIG. 4 (1) When the other party accepts a call (or a letter) in response to a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erminal through the knock transmission module 711, the caller clicks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icon () on the screen, (2) of FIG. 4, or when a preliminary 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text can be sent is transmitted as shown in (2) of FIG. 4 is transmitted,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a specific icon So that the terminal can request a call. Thus, the user can easily communicate with the other party's terminal,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상기 문자전송모듈(723)은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앞서 상기 통화전송모듈(722)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 대신에 간편하게 문자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즉, 앞서 상기 도 4에서의 통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대체하거나 또는 병렬적으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위치시키는 것 외에는 상기 통화전송모듈(722)과 동일한 방식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723 is configured to transmit a character to a counterpart terminal after confirming a counterpart's answer or a dictionary message through the knock reception module 721. The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723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all transmission module 722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mit a character to the other terminal instead of a call. That is, other than the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the specific icon of the screen that allows the user to transmit the characters in parallel or replace the specific icon () The description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call transmission module 722.

상기 제2노크전송모듈(724)은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즉, 통화해도 되는지에 대한 양해를 구하는 사전 메시지에 현재 통화가 어렵다는 내용의 통화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 대신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기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상대방이 현재 통화가 어렵다는 내용의 답변을 보내온 경우, 이를 확인한 화면에서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통화 대신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knock transmitting module 724 checks whether the other party's answer to the call rejection through the knock receiving module 721 (i.e., the answer to the call rejecting the current call in difficulty) It is possible to re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whether or not a character may be sent to the next party's terminal. 5, if the other party sends a reply indicating that the current communication is difficult due to a response to the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through the knock transmission module 711, Allows you to resend a message about whether you can send text instead of a call by clicking on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icon (.).

상기 안내문전송모듈(725)은 상기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한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즉, 통화나 문자를 해도 되는지에 대한 양해를 구하는 사전 메시지에 현재 통화는 물론 문자도 어렵다는 내용의 수신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추후 연락 메시지(즉, 추후에 다시 통화나 문자를 하겠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대방이 현재 수신거절 답변을 보내온 경우, 이를 확인한 화면에서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나중에 다시 통화나 문자를 하겠다는 내용의 추후 연락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노크전송모듈(724) 및/또는 안내문전송모듈(725)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 통화 및/또는 문자가 어려운 상대방의 답변에 대해서도 즉각적이고 간편하게 응대하여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할 수 있게 된다.
The announcement transmission module 725 receives the reception rejection answer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ption module 721 (that is, the reception rejection of the fact that the character is hard to speak in addition to the current conversation Answer), and then transmits a subsequent contact message (that is, a message indicating that a call or text will be sent later)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In other words,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if the other party sends a current rejection answer, the user can click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a specific icon () Allow retransmission of contact messages. Thus, the second knocking transmission module 724 and / or the announcement transmission module 725 allow the user to immediately and easily respond to the other party's answers having difficulties in current conversation and / or characters to comply with mobile etiquette .

상기 상태정보부(80)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하고 표시하여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상태정보부(80)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부(810)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설정하는 상태정보설정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us information unit 8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t and display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a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text and share the status information with a counterpart.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810 that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and a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820 that sets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

상기 상태정보표시부(810)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여 상대방이 이와 같은 상태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가부표시모듈(811)과,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해당 상태의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해제시간표시모듈(8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81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text so that the other party can share the status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A display unit 811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is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And an unlock time display module 812 for displaying the unlock time.

상기 수신가부표시모듈(811)은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면부(20)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통화나 문자가 수신 불가능한 상태인지를 화면부(20)에 표시해주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가부표시모듈(811)은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부(20)에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통화나 문자가 수신 불가능한 상태(㉳)인지를 화면부(20)에 표시함으로써,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상대방이 공유하여 사용자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서 뜻하지 않은 통화나 문자로 인해 방해받지 않게 할 수 있다. The reception value display module 811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20 of the display screen. When the user (user terminal)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20 whether the mobile station is capable of receiving a character or is unable to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Referring to FIG. 6, the reception value display module 81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urrent call or a text message on the screen unit 20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use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shared by the other party so that the user can not receive the call or the tex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상기 해제시간표시모듈(812)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 있어 해당 상태의 해제시간(어느 정도의 시간까지 해당 상태가 유지되고 그 이후에 해제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면부(20)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해제시간표시모듈(812)은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 있어 해당 상태가 언제까지 유지되고 어느 시점 이후에 해제되는지에 대한 시간정보(㉴)를 화면부(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언제 해제되는지에 대한 시간정보(㉴)를 상대방이 공유하여 상대방이 사용자의 통화나 문자의 수신불가 상태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text, the cancellation time display module 812 displays the cancella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6, the disarming time display module 812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 time of the user (user terminal) on the screen 20 of the display screen, (㉳), the time information (㉴) about when the state is maintained and released after a certain ti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 so that the user (user terminal) (㉴) about when the unreceivable state (㉳) is released is shared by the other party so that the other party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unreceivable state of the user's call or text It is possible to adhere to one etiquette.

상기 상태정보설정부(820)는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수신가부설정모듈(821)과,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8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820 is configured to set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820 sets a status of the user terminal, And a time setting module 822 for setting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상기 수신가부설정모듈(821)은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신가부설정모듈(821)에서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통화나 문자가 수신 불가능한 상태인지가 설정되면, 해당 정보는 상기 수신가부표시모듈(811)을 통해 화면부(20)에 표시되게 된다. The receiving sub-setting module 821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Is set to be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urrent call or a character or in a state in which a call or a character can not be receive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 through the received current value display module 811.

상기 시간설정모듈(822)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 있어 해당 상태의 (지속 또는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시간설정모듈(822)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지속 또는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면, 해당 정보는 상기 해제시간표시모듈(812)을 통해 화면부(20)에 표시되게 된다.
The time setting module 822 is configured to enable a user to set information on a time (duration or duration) of a corresponding state when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When the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through the release time display module 812, .

상기 화면설정부(90)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표시하여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하거나 통화나 문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화면설정부(90)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을 일정 주기로 교체하는 상대방교체모듈(910)과,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고정모듈(920)과,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상태표시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creen setting unit 90 randomly arranges and displays some of the other parties stored in the address book around the user on the specific screen unit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re- The screen setting unit 90 may set the screen display unit 20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counterpart fixing module 920 for always displaying a fixed position around the user with respect to a specific counterpart and a counterpart fixing module 920 displayed on a specific screen 20 shown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partner terminal, May comprise a person status display module 930 to be display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whether or the cond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mad character.

상기 상대방교체모듈(910)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이 일정 주기로 교체되도록 설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주변에 항상 정해진 상대방들만이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랜덤(random)으로 다양한 상대방들이 일정 주기로 교체되어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도 7에서 중심에 배치된 '명순이')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상대방들을 배치시킴에 있어 상기 상대방교체모듈(910)은 사용자 주변에 항상 정해진 상대방들만이 배치되도록 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대방들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랜덤(random)으로 다양한 상대방들이 일정 주기로 교체되어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화면부(20)를 보면서 새롭게 표시되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거나 또는 이를 기화로 상대방과 통화나 문자를 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대인관계를 재정립하거나 돈독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The counterpart replacement module 910 is configured to set counterparts disposed around the user on a specific screen part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But randomly, various counterparts can be arranged to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7, in order to arrange the parties around the user centered at the center in FIG. 7, the counterpart exchange module 910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unterpart It is possible to randomly arrange various counterparts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unterpart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 is newly displayed while viewing the screen part 20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establish the us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 make him / her feel strong by allowing him or her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erson again or to be able to speak or text with the other person through the vaporization.

상기 상대방고정모듈(920)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 중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상대방에 대해서는 항상 사용자 주변에 고정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즉,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고정모듈(920)을 통해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도록 설정(도 7의 '㉵'표시 참조)하게 되면, 해당 상대방의 경우에는 상기 상대방교체모듈(910)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항상 사용자 주변에 고정배치되어 사용자가 화면부(20)에서 항상 해당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The counterpart fixing module 920 may be arranged to be fixedly displayed on a specific screen part 20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is always fixedly disposed around the user, as the need arises, thereby enhancing user convenience. 7, when the user is set to be always fixedly disposed around the user (refer to '㉵' in FIG. 7) with respect to a specific party through the counterpart fixing module 920, It is always fixed around the user in spite of the operation of the counterpart replacement module 910 so that the user can always check the corresponding counterpart on the screen 20.

상기 상대방상태표시모듈(930)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일 예로, 크기나 색상을 달리하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대방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상대방상태표시모듈(93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표시(㉶)가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그 크기나 색상을 달리하는 등의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대방상태표시모듈(93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가부에 따라 특정 표시(㉶)의 색상을 달리하는 등의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통해 상대방(상대방 단말기)의 상태를 쉽게 인지하여 필요한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할 수 있게 된다.
The counterpart status display module 930 receives whether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partner terminal or the call or character of the partner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other party by displaying it in a different form (for example, a form having a different size or color)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the available state. 7, whe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other party's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partner status display module 930 The user is allowed to select whether or not the specific communica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partner terminal so that the specific communication device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form such that the specific communication device is displayed or not displayed, Intuitive and easy to recognize. Al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is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party's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text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unterpart status display module 930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current stat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by displaying different kinds of colors such as different colors of the specific display.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other party (the other party's terminal) and comply with the necessary mobile etiquet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들간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unified communication among users using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들간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대방 단말기로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먼저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하는 노크단계(S1);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설정하는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S3);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화면설정표시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8 to 10, a method for unified communication between users using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thod of transmitting a call or text to a counterpart terminal before a call or text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 knocking step S1 for transmitting a dictionary message first and confirming a reply of a counterpart to the dictionary message;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setting step (S3) of displaying and sett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And a screen setting display step (S5) of randomly arranging and displaying some of the opponents stored in the address book around the user on the specific screen part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노크단계(S1)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대방 단말기로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먼저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크단계(S1)는 노크전송모듈(711)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크전송단계(S11)와, 노크수신모듈(721)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하는 노크수신단계(S12)와, 상기 노크수신단계(S12)를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통화전송모듈(722)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전송단계(S121)와, 상기 노크수신단계(S12)를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문자전송모듈(723)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단계(S122)와, 상기 노크수신단계(S12)를 통한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제2노크전송모듈(724)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제2노크전송단계(S123)와, 상기 노크수신단계(S12)를 통한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안내문전송모듈(725)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문전송단계(S124)와, 상기 노크전송단계(S11)를 통해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초대문전송모듈(712)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문전송단계(S1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knocking step S1 is a process of transmitting a dictionary 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text message can be sent to a counterpart terminal before a call or text is sent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confirming the counterpart's answer thereto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the knocking step S1 includes a knocking step S11 for transmitting a prelimi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knocking module 711, A knock receiving step (S12) of confirming a reply to a pre-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via the knock receiving module 721 or a pre-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sent; (S12), and then transmits a call requesting a call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through the call transfer module 722 A character transmission step S122 of confirming an answer or a preliminary mess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iving step S121 and then transmitting a character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723, A second knock transmitting step (S123) of confirming an answer of the other party's call rejection through step S12 and then retransmitting a message as to whether a character can b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second knock transmitting module 724, (S124) for confirming an answer to the rejection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receiving step (S12) and transmitting a later contact message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through the announcement transmission module (725) When a pre-message is transmitted to an opposite-party terminal in which the communication system is not installed, a recommendation for installing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n the other-party terminal through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712 It may include a statement sent invitations step (S111) to transmit the message.

상기 노크전송단계(S11)는 앞서의 도 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나 문자를 보내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상대방 프로필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도시된 도면에서는 이와 같은 사전 메시지를 'knock'이라는 용어를 써서 표현하고 있음)를 전송하거나(도 2의 (1) 참조),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나 문자를 보내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에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이다(도 2의 (2) 참조).The knocking transmission step S11 is a step in which,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the user clicks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icon ()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er profile screen, (See (1) in FIG. 2), or a user can easily send a call or a text message to the user (in the drawing, such a dictionary message is expressed by using the term 'knock') A step of transmitting a dictio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easily transmitted by clicking on a specific area or a specific icon (?) After directly inputting the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to which the user terminal intends to send a call or a character (See (2) in Fig. 2).

상기 노크수신단계(S12)는 앞서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기 노크전송단계(S11)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 전송된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도 4의 (1) 참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이를 즉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도 4의 (2) 참조). As shown in FIG. 4, when the answer to the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knock transmitting step S11 is transmitted, the knock receiving step S12 (See (1) in FIG. 4), or when a dictionary 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text can be sent from the other terminal is transmitted,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message (see (2) in FIG.

상기 통화전송단계(S121)는 앞서의 도 4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상기 노크전송단계(S11)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상대방이 통화(또는 문자)를 승낙한 경우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도 4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As shown in (1) of FIG. 4, the call forwarding step S121 is a step in which the other party sends a call (or a character) to the other party in response to a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erminal through the knocking transmission step S11 If the user agrees, the user can request a call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by clicking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by clicking a specific icon (). Alternatively, as shown in (2) of FIG. 4, When a dictionary message is transmitted, the user can request a call to the other terminal by clicking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a specific icon ().

상기 문자전송단계(S122)는 앞서 상기 도 4에서의 통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대체하거나 또는 병렬적으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The character transmission step S122 may be a specific area of a screen for allowing a user to request a call in advance or replacing a specific icon or a specific icon on the screen, The user can click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a specific icon to transmit characters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상기 제2노크전송단계(S123)는 앞서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크전송단계(S11)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상대방이 현재 통화가 어렵다는 내용의 답변을 보내온 경우, 이를 확인한 화면에서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통화 대신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게 하는 단계이다.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knocking step (S123) may include answering the pre-messag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knock transmitting step (S11) When the message is sent, it is a step of retransmitting a message about whether a character can be sent instead of a call by clicking on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a specific icon () on the confirmed screen.

상기 안내문전송단계(S124)는 앞서의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노크전송단계(S11)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상대방이 현재 수신거절 답변을 보내온 경우, 이를 확인한 화면에서 화면의 특정 영역이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나중에 다시 통화나 문자를 하겠다는 내용의 추후 연락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5, in step S124, when the recipient sends a current rejection answer in response to a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the knocking step S11, In the screen confirming this, a specific area of the screen or a specific icon () is clicked, so that a later contact message indicating that a call or a letter will be made later can be retransmitted.

상기 초대문전송단계(S111)는 상기 노크전송단계(S11)를 통해 사전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 단말기에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에게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안내(권고)하는 별도의 안내문구가 기재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에 대한 홍보는 물론 사용자수의 증대를 통해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활성화될 수 있게 하는 단계이다. In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step S111, when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in the correspondent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advance message through the knock transmission step S11, as shown in FIG. 3, The invitation message describing the installa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so tha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can be activated throug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as well as the promo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S3)는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설정하는 과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S3)는 수신가부설정모듈(82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수신가부표시모듈(811)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가부설정표시단계(S31)와, 시간설정모듈(82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해제시간표시모듈(812)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해제시간설정표시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e information display setting step S3 is a step of displaying and sett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text.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display setting step S3 set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through the receiving side setting module 821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ing side displaying module 811 (S31)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is able to receive a text, and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text via the time setting module 822 (S32)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release time of the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through the release time display module 812 Can.

상기 수신가부설정표시단계(S31)는 상기 수신가부설정모듈(821)에서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통화나 문자가 수신 불가능한 상태인지가 설정되면, 해당 정보는 상기 수신가부표시모듈(811)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부(20)에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통화나 문자가 수신 불가능한 상태(㉳)인지를 화면부(20)에 표시되게 되는 단계이다(도 6 참조). In the step S31 of displaying the incoming call set-up, if the incoming call setting module 821 determines that the user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urrent call or a characte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20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user through the reception module 811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user terminal) can receive the current call or the text (㉲) And whether or not it is impossible (㉳) is displayed on the screen 20 (refer to Fig. 6).

상기 해제시간설정표시단계(S32)는 상기 시간설정모듈(822)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지속 또는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가 설정되면, 해당 정보는 상기 해제시간표시모듈(812)을 통해 사용자(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 있어 해당 상태가 언제까지 유지되고 어느 시점 이후에 해제되는지에 대한 시간정보(㉴)를 화면부(20)에 표시되게 되는 단계이다(도 6 참조). If the time setting module 822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is unable to receive a call or a text message, the information on the ti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user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the current call or the text through the display module 812, the time information (㉴) about when the corresponding state is maintained and which time is later releas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 (refer to Fig. 6).

상기 화면설정표시단계(S5)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과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설정표시단계(S5)는 상대방교체모듈(9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을 일정 주기로 교체하는 상대방교체단계(S51)와, 상대방고정모듈(920)을 통해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고정단계(S52)와, 상대방상태표시모듈(93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상태표시단계(S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creen setting display step S5 is a process of randomly arranging and displaying some of the counterparts stored in the address book around the user on the specific screen part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s shown in FIG. 10, the screen setting display step S5 is a step of displaying a screen setting display step (S5) of displaying a screen on a display screen of a user terminal through a counterpart replacement module 910, A counterpart fixing step S52 for causing the counterpart fixing module 920 to constantly display and display a predetermined counterpart around the user via the counterpart fixing module 920,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partner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20 shown on the screen That status, or can include a party state display step (S53) to be display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whether or the condi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call or letter from the other terminal.

상기 상대방교체단계(S51)는 앞서의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도 7에서 중심에 배치된 '명순이')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상대방들을 배치시킴에 있어 상기 상대방교체모듈(910)을 통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정해진 상대방들만이 배치되도록 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상대방들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랜덤(random)으로 다양한 상대방들이 일정 주기로 교체되어 배치될 수 있게 하는 단계로,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화면부(20)를 보면서 새롭게 표시되는 상대방과의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거나 또는 이를 기화로 상대방과 통화나 문자를 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대인관계를 재정립하거나 돈독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7, the counterpart replacing step S51 is performed in order to place the counterparts around the user centered on the ' So that various counterparts can be randomly repl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ased on information about counterpart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without allowing only predetermined counterparts to be always disposed around the user through the counterpart 910, This allows the user to rethink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displayed while viewing the corresponding screen 20, or re-establish the us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making it possible for him or her to call or text with the partner Or provide an opportunity to make it stronger.

상기 상대방고정단계(S52)는 앞서의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고정모듈(920)을 통해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도록 설정(도 7의 '㉵'표시 참조)하게 되면, 해당 상대방의 경우에는 상기 상대방교체단계(S51)의 과정에도 불구하고 항상 사용자 주변에 고정배치되어 사용자가 화면부(20)에서 항상 해당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In the counterpart fixing step S52,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7, the user is set to be fixedly disposed around the user with respect to a specific counterpart through the counterpart fixing module 920 (' In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party, it is always fixed around the user regardless of the process of the counterpart replacement step S51 so that the user can always check the corresponding party on the screen 20.

상기 상대방상태표시단계(S53)는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상대방상태표시모듈(93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20)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표시(㉶)가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그 크기를 달리하는 등의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가부에 따라 특정 표시(㉶)의 색상을 달리하는 등의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대방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직관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7, the counterpart status display step S53 may display the counterpart status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20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unterpart status display module 930, A specific indication is displayed or not displayed or a different size is display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display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Or whether or not the current stat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urrent stat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is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So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is displayed as a call or a character So that it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whether or not it can be received.

참고로, 본 발명의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은 화면부(20)의 화면전환을 위한 특유의 위상적 큐브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데,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구현되는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화면부(20)가 사용자의 터치 등과 같은 조작에 따라 화면전환될 시에 특유의 위상적 큐브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체감 있게 화면이 전환되는 효과(도11 참조)를 갖도록 함에 있어 특히, 정사각형 형태가 아닌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화면부가 큐브의 어느 방향의 회전에도 전자기기 화면에 정위치되어 보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도 추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unique topological cube system for screen switching of the screen unit 20.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n order to have the effect of switching the screen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refer to FIG. 11) using a topological cube system peculiar to the screen 20 of the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screen is switch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uch as a user's touch, The screen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instead of a shape can be seen to be position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in any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ub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상기 위상적 큐브시스템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회전하며, 육면을 갖는 큐브(10); 상기 큐브(10)의 각 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부(20); 상기 큐브(10)의 회전에 따라 전자기기의 화면(50)에 보이지 않는 큐브(10)의 비가시면의 화면부(20)를 재배치시키는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pological cube system includes a cube (10) having a top, a bottom, and a left, A rectangular screen 20 formed on one side of each side of the cube 10; And a control unit 30 that relocates the screen 20 of the cube 10 invisible to the screen 50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상기 큐브(10)는 육면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상하좌우 회전할 수 있는 입체적 형상의 구성으로, 일반적으로는 정사각형의 육면을 갖는 정육면체 형상의 큐브가 적용될 수 있으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이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4:3비율 또는 16:9비율 등)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기 큐브(10)의 형상을 정육면체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cube 10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can be rota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 hexahedral shape. In general, a cubic cube having a square hexahedral shape can be applied, but a portable smart The display screen 50 of the apparatus is mostly rectangular in shape (such as a 4: 3 ratio or a 16: 9 ratio) rather than a square.

상기 화면부(20)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에 실제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50)상에서 볼 수 있는 가시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앞서 본 바와 같이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이 직사각형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상기 화면부(20)는 화면(50) 비율에 부합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큐브(10)의 각 면의 일측에 형성되게 된다. 일 예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큐브(10)에 대해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상기 화면부(20)는, 전자기기의 화면(50)에 현재 보이는 큐브의 가시면(이는, 전자기기의 화면(50)에 보이는 큐브의 면을 지칭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화면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가시면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비가시면(이는, 상기 가시면을 제외한 전자기기의 화면(50)에는 보이지 않는 나머지 큐브의 5개면을 지칭함)의 제2, 3, 4 및 5화면부(220,230,240,250)는 상기 제1화면부(210)가 가시면에 형성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비가시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creen unit 20 is a part corresponding to a visible area that is actually located on the display screen 50 of a portable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can be viewed on the display screen 50 by the user, Since the display screen 50 of the portable smart device has a rectangular shape, the screen 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50 ratio, and one side of each side of the cube 10 As shown in Fig. 12, the screen 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with respect to the cube 10 formed in the shape of a cube may be a screen of a cube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50 of the electronic device, (Not shown) located on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kirt, respectively, with reference to a first screen portion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creen 50 of the electronic devic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screen portions 220, 230, 240, and 250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are formed on the skirts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In the same position as the position at which it is formed.

즉, 상기 제1화면부(210)가 큐브(10) 가시면의 좌측에 접하면서 상(▲), 하(▽), 좌(◁), 우(▶)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시면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비가시면의 제2, 3, 4 및 5화면부(220,230,240,250) 역시 각각의 비가시면의 좌측에 접하면서 제1화면부(210)의 상(▲), 하(▽), 좌(◁), 우(▶) 위치와 동일한 상(▲), 하(▽), 좌(◁), 우(▶) 위치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50)에 보이던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가 상하좌우 어느 쪽으로 회전하더라도 새로이 전자기기의 화면(50)에 위치하게 될 제2, 3, 4 및 5화면부(220,230,240,250) 중 어느 것이라도 화면(50)에 정위치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first screen unit 210 touches the left side of the cube 10, the upper (), lower (), left (), and right ()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screen portions 220, 230, 240, and 250 corresponding to the left side, right side, upper side, and lower side of the screen are also tilted to the left side of each non- ()), Left (◁), and right (▶) positions, which are the same as the up (), down (), left () and right () In this case, even i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of the observer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50 by the user's operation is rotated to any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the second, third, 4, and 5 screen portions 220, 230, 240, and 250 are positioned on the screen 50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일 예로, 도13을 참조하여, 현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 상에 제1화면부(2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하향 회전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현재 화면(50) 상에 위치한 큐브(10)의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하향 회전하게 되면서 새로이 화면(50)에 위치하게 될 종래 가시면의 상측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4화면부(240)는, 이미 비가시면의 좌측에 접하면서 그 상(▲), 하(▽), 좌(◁), 우(▶) 위치가 기존 제1화면부(210)의 상(▲), 하(▽), 좌(◁), 우(▶)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큐브(10)의 하향 회전과 함께 바로 디스플레이 화면(50) 상에 정위치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도14를 참조하여, 현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 상에 제1화면부(2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좌향 회전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현재 화면(50) 상에 위치한 큐브(10)의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향 회전하게 되면서 새로이 화면(50)에 위치하게 될 종래 가시면의 우측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3화면부(230)는, 이미 비가시면의 좌측에 접하면서 그 상(▲), 하(▽), 좌(◁), 우(▶) 위치가 기존 제1화면부(210)의 상(▲), 하(▽), 좌(◁), 우(▶)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큐브(10)의 좌향 회전과 함께 바로 디스플레이 화면(50) 상에 정위치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cube 10 rotates downward by the user's operation while the first screen unit 21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50 of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of the cube 10 located on the screen 50 is rotated downward by the user's manipulation so that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of the cube 1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ntional screen, 4 screen 240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non-visible surface so that the upper (), lower (), left (), and right () The position of the cube 10 can be directly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50 together with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cube 10 because the cube 10 is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left, 14, when the first display unit 21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50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ube 10 rotates leftward by the user's operation,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of the cube 10 located on the screen 50 is rotated to the left by the user's operation and the second screen portion 210 of the cube 10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ventional screen, 3 screen 230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non-visible surface and the upper (), lower (), left (), and right () The cube 10 can be positively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50 together with the leftward rotation of the cube 10 because the cube 10 is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left,

한편, 도14에 도시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큐브(10)의 육면은 정사각형 형태를 취하는 반면에 화면(50) 비율에 맞게 각 화면부(20)는 직사각형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화면부(210)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제3화면부(23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이격되게 되고, 이러한 이격된 간격이 큐브(10)의 회전에 따른 화면전환시 사용자의 눈에 보이도록 놔두는 것은 자칫 본 발명의 큐브시스템을 이용한 화면전환에 있어 사용자의 심미감이나 앱 등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여지도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화면부인접배치모듈(330)을 통해, 상기 큐브(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시면이 상하좌우 어느 쪽으로 회전하더라도 전자기기 화면(50)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화면부(20)를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의 회전방향 반대측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시켜, 큐브(10)의 회전에 따른 화면전환시 전자기기 화면(50)에는 항상 화면부(20)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 상에 제1화면부(2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좌향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 제어부(30)는 화면부인접배치모듈(330)을 통해 상기 제1화면부(210)가 좌향 회전하게 되면서 새로이 화면(50)에 위치하게 될 제3화면부(230)를 상기 제1화면부(210)의 우측 모서리에 맞닿도록 배치(ⓐ방향)시킴으로써, 제1화면부(210)의 좌향 회전시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제1화면부(210)의 우측 모서리에 바로 제3화면부(230)가 인접하여 나타나게 되므로 큐브(10)의 회전에 따른 화면전환시 전자기기 화면(50)에는 항상 화면부(20)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14, since the cube 10 has a square shape, the screen 20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50, The first screen unit 210 and the third screen unit 230 located on the right side thereo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paced intervals are displayed on the user's eye at the time of screen switch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 The control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a user from feeling aesthetically pleasing or complicated by the cub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portion of the cube surface newly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regardless of whether the window is rotated up or down or left or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through the screen adjacency placement module 330 20 are arranged adjacently to the opposite side edges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bserver so that the screen portion 20 is alway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at the time of screen switch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when the cube 10 rotates to the left by the user's operation while the first screen unit 21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50 of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third screen unit 230 to be positioned on the screen 50 while rotating the first screen unit 210 to the left through the screen adjacent arrangement module 330, The right side edge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that is visible on the screen 50 at the time of the leftward rotation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is directly disposed on the right side edge of the third screen portion 210 The screen unit 20 can be alway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at the time of screen switch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큐브(10)의 회전에 따라 전자기기의 화면(50)에 보이지 않는 큐브(10)의 비가시면의 화면부(20)를 재배치시키는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큐브(10)의 각 면에 배치되는 상기 화면부(20)는 각종 전자기기 화면(50)의 직사각형 비율에 대응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큐브(10)의 상하좌우 회전에 따라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에 보이지 않는 큐브(10)의 비가시면에 위치하는 화면부(20)는 큐브(10)의 회전 이후 그 배치가 어긋나게 된다. 일 예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브(10)의 가시면에 위치하는 제1화면부(210)가 디스플레이 화면(50)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큐브(10)의 하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1화면부(210)는 하면의 비가시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종래 큐브(10) 상면의 비가시면에 위치하던 제4화면부(240)가 화면(50)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종래 제1화면부(210)의 우측면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3화면부(230)는 큐브(10)의 하향 회전에 따라 종래 화면부 상측(▲)이 회전 이후에는 좌측에, 종래 화면부 우측(▶)이 회전 이후에는 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등 그 배치가 어긋나게 되고, 만약 이 상태에서 다시 큐브(10)를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하좌우가 어긋나 있는 상태의 제3화면부(230)가 디스플레이 화면(50)에 나타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큐브(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비가시면의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부(20)를 재배치시킴으로써, 큐브(10)의 어느 방향의 회전에도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부(20)가 전자기기 화면(50)에 정위치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가시면의 상하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비가시면의 제2 및 3화면부(220,230)를 가시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재배치시키는 좌우비가시면배치모듈(310)과, 상기 가시면의 좌우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비가시면의 제4 및 5화면부(240,250)를 가시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재배치시키는 상하비가시면배치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rearranges the screen 20 of the cube 10 invisible on the screen 50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creen 20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cube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ratio of the various electronic apparatus screens 50, The screen 20 located on the non-visible side of the cube 10, which is not visible on the display screen 50 of the apparatus, is shifted from its position after the cube 10 rotat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when the first screen unit 210 positioned at the skirt of the cube 1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50, the cube 10 is moved downward The first screen unit 210 moves to the non-visible side of the lower surface according to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cube 10 and the fourth screen unit 240, which was located on the non- The third screen portion 230 of the non-viewing screen, which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ventional first screen portion 2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portion 50 according to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cube 10, And the upper right side (▶) of the conventional screen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fter the rotation, and if the cube 10 is rotated to the left again in this state,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re shifted The third screen 230 in a state of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50 A problem arises.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by rearranging the rectangular screen portion 20 of the non-viewing surface through the control portion 3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ube 10, So that the screen 20 of the form can be seen i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For this purpose,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second and third screen units 220 and 23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screen, The top and bottom raindrops 310 and 310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when the fourth and fifth screen portions 240 and 25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kyscraper,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a surface placement module 320.

상기 좌우비가시면배치모듈(310)은 현재 기기의 화면(50)에 보이는 상기 가시면의 상하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비가시면의 제2 및 3화면부(220,230)를 가시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재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재 기기의 화면(50)에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가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터치 등)에 의해 큐브(10)를 하향 회전시키는 경우, 종래 제1화면부(210)의 우측면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3화면부(230)가 큐브(10)의 하향 회전에 따라 ①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화면 배치가 달라지게(어긋나게)되는 것(종래 화면부 상측(▲)이 회전 이후에는 좌측에, 종래 화면부 우측(▶)이 회전 이후에는 상측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상기 좌우비가시면배치모듈(310)에서 즉시 이를 감지하고 큐브(10)의 회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3화면부(230)를 ①방향의 반대방향인 ②방향으로 회전시켜 재배치시킴으로써, 큐브(10)의 회전 이후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3화면부(230)의 화면 배치는 여전히 화면(50)을 기준으로 상하좌우가 정확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화면배치가 정위치된 상기 제3화면부(230)가 디스플레이 화면(50)에 나타나 항상 올바른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경우 종래 제1화면부(210)의 좌측면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2화면부(220) 역시 동일한 원리로 상기 좌우비가시면배치모듈(310)에 의해 재배치되게 된다. When the left and right parts are not visible, the placement module 310 moves the second and third screen parts 220 and 23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screen, The first screen 210 of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50 of the present apparatus. In this case, the user can perform operations When the cube 10 is rotated downward by the rotation of the cube 10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cube 10, the third screen portion 230 of the non-view surface, which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The previous screen portion ()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fter the rotation of the conventional screen portion, and the conventional screen portion right side ()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fter rotation), and the screen arrangement is changed If left to right, the placement module 310 immediately After the rotation of the cube 10 is sensed and the third screen 2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2 opposite to the direction 1 to be rearranged to be visible on the screen 50 after the rotation of the cube 10, The screen arrangement of the third screen unit 230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50 still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are accurate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screen 50, The third screen 230 on which the screen layout is position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50 so that the correct screen can always be displayed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second screen portion 220 on the left side of the conventional first screen portion 210 is also rearranged by the left and right non-visible side placement module 310 on the same principle.

상기 상하비가시면배치모듈(320)은 상기 가시면의 좌우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비가시면의 제4 및 5화면부(240,250)를 가시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재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재 기기의 화면(50)에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가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터치 등)에 의해 큐브(10)를 좌향 회전시키는 경우, 종래 제1화면부(210)의 상측면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4화면부(240)가 큐브(10)의 좌향 회전에 따라 ③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화면 배치가 달라지게(어긋나게)되는 것(종래 화면부 상측(▲)이 회전 이후에는 우측에, 종래 화면부 우측(▶)이 회전 이후에는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상기 상하비가시면배치모듈(320)에서 즉시 이를 감지하고 큐브(10)의 회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4화면부(240)를 ③방향의 반대방향인 ④방향으로 회전시켜 재배치시킴으로써, 큐브(10)의 회전 이후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4화면부(240)의 화면 배치는 여전히 화면(50)을 기준으로 상하좌우가 정확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하향 회전하게 되면 화면배치가 정위치된 상기 제4화면부(240)가 디스플레이 화면(50)에 나타나 항상 올바른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경우 종래 제1화면부(210)의 하측면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5화면부(250) 역시 동일한 원리로 상기 상하비가시면배치모듈(320)에 의해 재배치되게 된다. When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not visible, the placement module 320 rotates and rotates the fourth and fifth screen parts 240 and 250, which ar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cree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creen, 18, the cube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50 of the current device by the user's operation (touch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of the screen is visible. The fourth screen unit 240 on the non-view surface, which wa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creen unit 210 in the related art, is rotated in the thi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ft rotation of the cube 10, (I.e., when the upper side () of the conventional screen portion is rotated to the right side and the conventional screen portion () is positioned to the lower side after the rotation) The rotation of the cube 10 is detected The fourth screen 24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④ opposite to the ③ direction to rearrange the fourth screen 240 so that the fourth screen 240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50 after the rotation of the cube 10, Since the screen arrangement of the screen unit 240 still maintains th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rranged positions on the screen 50, when the cube 10 is rotated downward by the user's operation, The fourth screen 240 appears on the display screen 50 so that a correct screen can always be seen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fifth screen portion 250 on the lower side of the conventional first screen portion 210 is also rearranged by the upper and lower non-visible side placement module 320 on the same principle.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큐브(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시면이 상하좌우 어느 쪽으로 회전하더라도 전자기기 화면(50)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화면부(20)를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의 회전방향 반대측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시켜 큐브(10)의 회전에 따른 화면전환시 전자기기 화면(50)에는 항상 화면부(20)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화면부인접배치모듈(3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display unit 20 of the cube surface to be newly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regardless of whether the screen is rotated up, down, left, or right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cube 10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is arrang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opposite side edge of the first screen unit 210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en so that the screen unit 20 can be always displayed on the screen 50 when the screen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ary proximity placement module 330.

상기 화면부인접배치모듈(330)은 큐브(10)의 회전시 전자기기 화면(50)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화면부(20)를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의 회전방향 반대측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배치시켜 큐브(10)의 회전에 따른 화면전환시 전자기기 화면(50)에는 항상 화면부(20)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큐브(10)의 육면은 정사각형 형태를 취하는 반면에 화면(50) 비율에 맞게 각 화면부(20)는 직사각형 형태를 취하고 있는 연유로, 일 예로 상기 제1화면부(210)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제3화면부(23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이격되게 되고, 이러한 이격된 간격이 큐브(10)의 회전에 따른 화면전환시 사용자의 눈에 보이도록 놔두는 것이 본 시스템의 미감이나 기능을 저하시키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상기 화면부인접배치모듈(330)을 통해 보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 예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50) 상에 제1화면부(2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좌향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 제어부(30)는 화면부인접배치모듈(330)을 통해 상기 제1화면부(210)가 좌향 회전하게 되면서 새로이 화면(50)에 위치하게 될 제3화면부(230)를 상기 제1화면부(210)의 우측 모서리에 맞닿도록 배치(ⓐ방향)시킴으로써, 제1화면부(210) 우측 모서리에 바로 제3화면부(230)가 인접하여 나타나게 하여 (정육면체의 큐브(10)와 직사각형 형태의 화면부(20)와의 형태적,구조적 차이에도 불구하고)큐브(10)의 회전에 따른 화면전환시 전자기기 화면(50)에는 항상 화면부(20)가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큐브(10)가 우향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면부인접배치모듈(330)은 상기 제1화면부(210)가 우향 회전하게 되면서 새로이 화면(50)에 위치하게 될 제2화면부(220)를 상기 제1화면부(210)의 좌측 모서리에 맞닿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The screen adjacency placement module 330 moves the screen portion 20 of the cube surface newly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in th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screen 20 can be alway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at the time of screen switch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be 10. As described above, the cube 10 has a square shape, while each screen 20 has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50 ratio. For example,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and the third screen 230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cube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eterioration in the aesthetics or the function of the system, so that it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e screen adjacent arrangement module 3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When the cube 10 is rotated to the left by the user's operation while the first screen unit 210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50 of the display unit 50, The first screen unit 210, The third screen 230 to be positioned on the screen 5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right edge of the first screen 210 in a direction The third screen 230 is directly adjacent to the corner of the cube 10 in spite of the difference in morphology and structure between the cube 10 and the rectangular screen 20, The screen unit 20 can be alway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device screen 50 at the time of switching. When the cube 10 rotates to the right, the screen adjacency placement module 330 determines whether the cube 10 is rotated to the right by rotating the first screen unit 210 to the right or to the second screen unit 220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eft edge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한편, 상기 화면부(20)는 전자기기의 화면(50)에 보이는 큐브(10)의 가시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화면부(210)를 기준으로, 상기 가시면의 반대측(배면측)에 위치하는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260)는 도12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화면부(210)와는 상하 반대로 형성 즉, 제6화면부(260)의 화면은 상측(▲)이 아래로, 하측(▽)이 위로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큐브(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6화면부(260)가 상기 가시면의 반대측(배면측)에서 전자기기의 화면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인접한 면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상기 제6화면부(260)의 화면 배치를 재배치시켜 회전 이후 즉, 기존 가시면의 배면이 아닌 새로운 가시면의 상하좌우 인접면에 위치하게 되는 종래 제6화면부(260)의 화면배치가 새로이 가시면에 위치하게 되는 화면부의 화면과 동일한 배치를 갖출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0)는 현재 화면(50)에 보이는 가시면의 상하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반대측(배면측)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260)가 전자기기의 화면(50)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 제6화면부(26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재배치시키는 제1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40)과, 현재 화면(50)에 보이는 가시면의 좌우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반대측(배면측)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260)가 전자기기의 화면(50)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 제6화면부(260)를 상하 반전시켜 재배치시키는 제2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unit 2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back side) of the screen with respect to the first screen unit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cube 10 shown in the screen 50 of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sixth screen 260 of the non-viewing surface is formed in the upside or the downside of the first screen 21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at is,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sixth screen unit 260 to move from the opposite side (back side) of the screen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screen arrangement of the sixth screen unit 260 is rearranged so that the screen of the sixth screen unit 260 is rotated, that is, The screen layout of the conventional sixth screen portion 260 located on the upper, lower, left, It makes it possible to equip the same arrangement and the screen display portion is located at the go.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sixth screen unit 260 of the non-view surface,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rear sid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50, A first opposite side non-view side placement module 340 for laterally moving and rearranging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when moving to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cube surface to be newly viewed, When the sixth screen unit 260 on the opposite side (rear side) of the screen is moved to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cube surface newly displayed on the screen 50 of the electronic apparatus, the sixth screen unit 260 is moved up and down And a second opposite side non-visible side placement module 350 that reverses and relocates.

상기 제1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40)은 현재 화면(50)에 보이는 가시면의 상하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반대측(배면측)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260)가 전자기기의 화면(50)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 제6화면부(26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재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재 기기의 화면(50)에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가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터치 등)에 의해 큐브(10)를 하향 회전시키는 경우, 종래 제1화면부(210)의 반대측 배면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260)가 큐브(10)의 하향 회전에 따라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의 상측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40)에서 즉시 이를 감지하고 큐브(10)의 회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6화면부(260)를 좌측방향으로 측방향 이동(ⓑ방향)시켜 재배치시킴으로써, 큐브(10)의 회전 이후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의 상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종래 제6화면부(260)의 화면 배치는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 화면부의 화면배치와 동일하게 배치되므로,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다시 하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화면배치가 정위치된 종래 제6화면부(260)(새로이 배치된 상태 기준으로는 제4화면부(240)임)가 디스플레이 화면(50)에 나타나 항상 올바른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큐브(10)가 상향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40)은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6화면부(260)를 재배치시키게 된다. The first opposite side non-visible side placement module 340 displays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of the non-viewing side,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back sid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pward and downward rotation of the screen shown in the current screen 50, The sixth screen unit 260 is moved and rearranged by moving the sixth screen unit 260 to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cube surface new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 For example, When the cube 10 is rotated downward by a user's operation (touch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of the observer is visible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creen portion 210, When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of the non-viewing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kirt to be newly displayed on the screen 50 according to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cube 10, the first opposite side non- And after the rotation of the cube 10 is completed, The conventional sixth screen portion 260 which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kirt to be newly visible on the screen 50 after the rotation of the cube 10 by rearranging the side portions 260 in the leftward direction The cube 10 is arran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creen arrangement of the screen portion when it is newly displayed on the screen 50. When the cube 10 is rotated downward again by the user's operation, The second screen 260 (the fourth screen 240 as a newly arranged status reference) appears on the display screen 50 so that the correct screen can always be seen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cube 10 rotates upward, the first opposite side nonvisible placement module 340 rearranges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on the same principle.

상기 제2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50)은 현재 화면(50)에 보이는 가시면의 좌우회전에 따라 가시면의 반대측(배면측)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260)가 전자기기의 화면(50)에 새로이 보이게 되는 큐브면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 제6화면부(260)를 상하 반전시켜 재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일 예로,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재 기기의 화면(50)에 상기 가시면의 제1화면부(210)가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터치 등)에 의해 큐브(10)를 좌향 회전시키는 경우, 종래 제1화면부(210)의 반대측 배면에 위치하던 비가시면의 제6화면부(260)가 큐브(10)의 좌향 회전에 따라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의 우측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2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50)에서 즉시 이를 감지하고 큐브(10)의 회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6화면부(260)의 화면을 상하 반전(ⓒ방향)시켜 재배치시킴으로써, 큐브(10)의 회전 이후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의 우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종래 제6화면부(260)의 화면 배치는 새로이 화면(50)에 보이게 되는 가시면 화면부의 화면배치와 동일하게 배치되므로, 이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큐브(10)가 다시 좌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화면배치가 정위치된 종래 제6화면부(260)(새로이 배치된 상태 기준으로는 제3화면부(230)임)가 디스플레이 화면(50)에 나타나 항상 올바른 화면이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큐브(10)가 우향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350)은 동일한 원리로 상기 제6화면부(260)를 재배치시키게 된다.
The second opposite side non-view side placement module 3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of the non-viewing side which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back side) of the skirt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kirt visible on the current screen 50,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is vertically inverted and relocated when moved to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cube surface newly displayed on the screen 50.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0, When the cube 10 is rotated to the left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touch or the like) while the first screen 210 of the screen is being viewed, When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of the cube 10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that is newly displayed on the screen 50 according to the left rotation of the cube 10, After the rotation of the cube 10 is completed, the sixth screen portion 2 The arrangement of the screen of the conventional sixth screen portion 260 which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that is newly visible on the screen 50 after the rotation of the cube 10 is rearranged by vertically inverting When the cube 10 is rotated to the left again by the user's operatio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conventional sixth screen unit 260 (FIG. The third screen 230 is a newly arranged status referen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50 so that a correct screen can always be displayed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cube 10 rotates to the right, the second opposite side nonvisible placement module 350 relocates the sixth screen portion 260 on the same principl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70: 노크부 710: 노크전송부
711: 노크전송모듈 712: 초대문전송모듈
720: 노크수신부 721: 노크수신모듈
722: 통화전송모듈 723: 문자전송모듈
724: 제2노크전송모듈 725: 안내문전송모듈
80: 상태정보부 810: 상태정보표시부
811: 수신가부표시모듈 812: 해제시간표시모듈
820: 상태정보설정부 821: 수신가부설정모듈
822: 시간설정모듈 90: 화면설정부
910: 상대방교체모듈 920: 상대방고정모듈
930: 상대방상태표시모듈
10: 큐브 20: 화면부
210: 제1화면부 220: 제2화면부
230: 제3화면부 240: 제4화면부
250: 제5화면부 260: 제6화면부
270: 회전제어영역 280: 큐브전개도아이콘
30: 제어부 310: 좌우비가시면배치모듈
320: 상하비가시면배치모듈 330: 화면부인접배치모듈
340: 제1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 350: 제2반대측비가시면배치모듈
360: 큐브회전제어모듈 370: 전개도화면전환모듈
50: 화면
70: Knock section 710: Knock transfer section
711: knock transmission module 712: invitation door transmission module
720: Knock receiving section 721: Knock receiving module
722: a call transmission module 723: a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724: second knock transmission module 725: announcement transmission module
80: status information section 810: status information display section
811: Receive-side display module 812: Release time display module
820: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821: Receive value setting module
822: Time setting module 90: Screen setting section
910: counterpart replacement module 920: counterpart fixing module
930: counterpart status display module
10: Cube 20:
210: first screen part 220: second screen part
230: third screen part 240: fourth screen part
250: fifth screen portion 260: sixth screen portion
270: rotation control area 280: cube development icon
30: control unit 310:
320: Upside down Unlit if placement module 330:
340: first opposite side non-visible side placement module 350: second opposite side non-
360: Cube rotation control module 370: Development view screen switching module
50: Screen

Claims (19)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하도록 하는 노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And a knock unit for transmitting a preliminary message indicating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sent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before sending a call or a character, and allowing the other party's answer to be confirmed to comply with the mobile etiquette Communic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부는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노크전송부와,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노크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ocking unit may include a knock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text can b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 response to a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knock receiver for allowing the user to check a dictionary message for the u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전송부는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크전송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노크수신부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하는 노크수신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전송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제2노크전송모듈과, 상기 노크수신모듈을 통한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상대방 단말기에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문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knock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knock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a prelimi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sent to the counterpart terminal,
The knock receiver includes a knock receiving module for confirming a reply to a pre-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or a pre-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transmitted, A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for confirming a reply or a mess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iving module and transmitting a character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 second knock transmitting module for confirming the answer of the call rejection of the other party's terminal and retransmitting a message as to whether a character can be sent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And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A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부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설정하는 상태정보설정부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And a status information unit including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and a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표시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가부표시모듈과,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해당 상태의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해제시간표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수신가부설정모듈과,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는 시간설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module includes a receiving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and a status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status of the status when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And a release time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The status information setting unit is configured to se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user terminal can not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And a time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time of the communic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전송부는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문전송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knock transmitter further includes an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invitation message recommending installa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terminal withou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A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대문전송모듈은 초대 메시지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앱마켓 또는 홈페이지로 바로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includes a hyperlink that allows the invitation message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 app market or a homepage where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can be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화면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And a screen setting unit for randomly arranging and displaying some of the other parties stored in the address book around the user on a specific screen par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을 일정 주기로 교체하는 상대방교체모듈과,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creen setting unit includes a counterpart replacement module for replacing the counterparts disposed around the user on a specific screen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counterpart fixing module for always displaying the counterparts fixedly arranged around the user, And a modu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상태표시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creen setting unit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partner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unterpart status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counterpart status display module.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대방 단말기로 통화나 문자를 보내기 전,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먼저 전송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답변을 확인하는 노크단계;를 포함하여 모바일 에티켓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And a knocking step of first transmitting a dictionary message about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sent to a counterpart terminal before a call or a character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confirming the counterpart's answer thereto, Said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단계는 노크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크전송단계와, 노크수신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전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나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사전 메시지를 확인하는 노크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knocking step may include a knock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a preliminary message as to whether a call or a character can be sent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the knock transmitting module, a knock transmitting step of receiving a response to the dictionary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And a knock receiving step of confirming a preliminary message as to whether a transmitted call or a text can be se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단계는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통화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화를 요청하는 통화전송단계와,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답변이나 사전 메시지를 확인한 다음 문자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단계와,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통화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제2노크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문자를 보내도 되는지에 대한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제2노크전송단계와, 상기 노크수신단계를 통한 상대방의 수신거절 답변을 확인한 다음 안내문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추후 연락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문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knocking step includes a call transmission step of confirming a reply or a message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iving step and then requesting the other party's terminal to make a call through the call transmission module; A character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character to a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next character transmission module; a message inquiring whether a character is allowed to be sent to a counterpart terminal through a second knock transmission module after confirming a counterpart's call rejection answer through the knock reception step; And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step of confirming the reception rejection answer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knock reception step and then transmitting a subsequent contact message to the other party's terminal through the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Wa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단계는 상기 노크전송단계를 통해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상대방 단말기에 사전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초대문전송모듈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에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의 설치를 권고하는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초대문전송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knocking step may include an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n invitation message for recommending installation of the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to the other terminal through the invit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when a pre-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 transmission step.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상태정보를 표시하고 설정하는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tate information display setting step of displaying and setting state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a call or a charact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표시설정단계는 수신가부설정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수신가부표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신가부설정표시단계와, 시간설정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고 해제시간표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가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의 해제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해제시간설정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setting step may se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through the receiving side setting module and may receive a call or a character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ceiving side display module And a time setting module for setting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user terminal is unable to receive a call or a text through the time setting module, And a canceling time setting display step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canceling time of a state in which a call or a character can not be receiv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주소록에 저장된 상대방들 중 일부를 랜덤으로 배치하여 표시하는 화면설정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screen setting display step of randomly arranging and displaying a part of the counterparts stored in the address book around the user on a specific screen par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표시단계는 상대방교체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사용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배치되는 상대방들을 일정 주기로 교체하는 상대방교체단계와, 상대방고정모듈을 통해 특정 상대방에 대해 사용자 주변에 항상 고정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creen setting display step may include a counter replacing step of replacing the counterparts disposed in the periphery around the user on a specific screen por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unterpart replacement module at regular intervals, And a counterpart fixing step of causing the counterpart to always be fixedly displayed around the user.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설정표시단계는 상대방상태표시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보이는 특정 화면부에 표시되는 상대방 프로필에서 상대방 단말기에 통합 커뮤니케이션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통화나 문자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가부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상대방상태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creen setting display step may display whether or not a unified commun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partner terminal or a call or text of the partner terminal in the partner profile displayed on the specific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other party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the present status.
KR1020130063353A 2013-06-03 2013-06-03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1419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53A KR20140141949A (en) 2013-06-03 2013-06-03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53A KR20140141949A (en) 2013-06-03 2013-06-03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49A true KR20140141949A (en) 2014-12-11

Family

ID=5245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53A KR20140141949A (en) 2013-06-03 2013-06-03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19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237A1 (en) * 2017-09-07 2019-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237A1 (en) * 2017-09-07 2019-03-14 삼성전자 주식회사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4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issed calls on mobile terminal
US983618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TWI445384B (en) Method,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US9386428B2 (en) Call forwar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147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e information
JP43951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group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2149911A1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four-side touch screen
JP5278024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82455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813784C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visual voice mail messages
KR2013013745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677229B (en) Mobile terminal and its touch operation method
CN110300187A (en) A kind of remote assistance method and terminal, server and system of cross-terminal
US20180146501A1 (en) Mobile Terminals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CN109040981B (en) Message send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CN105224210A (en) A kind of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control screen display direction thereof
KR20140141949A (en) A Combin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4967754B (en) Many intelligent terminal's communications connect control method and system
KR20050012618A (en) Mobile communicator displaying transceiving message simultaneously and message display method using it
JP2016090825A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9900426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cessor for the same
KR20160001150A (en) Method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call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KR2014011187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29746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752143B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o instant messaging software voice c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