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816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816A
KR20140141816A KR20130062411A KR20130062411A KR20140141816A KR 20140141816 A KR20140141816 A KR 20140141816A KR 20130062411 A KR20130062411 A KR 20130062411A KR 20130062411 A KR20130062411 A KR 20130062411A KR 20140141816 A KR20140141816 A KR 2014014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hing
diaphragm
tub
clea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주
류두영
정우경
김현숙
서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1816A/ko
Publication of KR2014014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에 발생하는 오염물을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며 누수를 방지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세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이아프램 세척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캐비닛 내부에 터브가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터브 내에 드럼이 설치된다. 드럼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드럼 내의 세탁물이 마찰력 및 원심력에 의해 드럼과 함께 회전하다가 소정의 높이에 이르면, 세탁물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원심력의 합보다 중력이 커지는 때에 세탁물이 낙하한다. 이때, 세탁물에 가해지는 충격이 세탁물을 두드려 빠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것이 드럼 세탁기의 원리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캐비닛 전면에 세탁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다. 세탁 시 세탁에 이용되는 유체가 도어를 통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과 터브를 연결하며, 도어를 밀봉하는 다이아프램이 설치된다. 또한 다이아프램은 세탁 시 드럼 및 터브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굴곡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자체 세척기능이 없는 종래 드럼 세탁기의 다이아프램은 잔류세제찌꺼기, 세탁물 찌꺼기 및 잔류 수분 등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세균에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이아프램에 발생하는 오염물을 세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며 누수를 방지하는 다이아프램 및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세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는 적어도 한쪽 끝이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드럼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세탁수를 퍼올리도록 제 1방향을 향해 연장된 굴곡부를 갖는 제 1날개와 상기 드럼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세탁수를 퍼올리도록 제 2방향을 향해 연장된 굴곡부를 갖는 제 2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드럼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날개를 지지하고, 상기 드럼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날개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다이아프램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서 가깝고,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세탁수가 토출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내경이 상기 베이스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유닛의 회전 중에 세탁수가 상기 세척유닛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세척유닛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개방된 제 1홀, 상기 베이스의 연장부이고, 상기 제 1홀을 통해 상기 세척유닛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다이아프램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상기 드럼의 개구방향으로 쏟아지면서 상기 다이아프램을 세척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향해 개방된 제 2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에 마련된 볼 밸런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볼 밸런서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볼 밸런서에 직접 연결된 복수의 날개와 상기 날개를 지지하면서 상기 볼 밸런서와 마주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제2몸체부를 연결하고, 진동을 줄이기 위해 절곡된 구조를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세척유닛에서 전달된 세탁수가 상기 연결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기에 마련된 세척유닛은 드럼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동력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세척유닛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가 효과적으로 다이아프램에 공급되는 바, 곰팡이와 미생물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세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구동하는 모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에는 개구(12)가 형성된다.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는 전면프레임(10a)에 설치된 도어(5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50)는 드럼(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글라스(52)와 도어글라스(52)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54)를 구비한다.
터브(20)의 전면부와 드럼(3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에 대응하여 드럼의 개구(32)가 형성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60)이 설치된다. 급수관(60)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60)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62)와 연결된다. 세제 공급장치(62)는 연결관(6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6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2)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72)와 배수관(74)이 설치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리프터(36)들이 설치된다.
모터(40)는 터브(20)의 후벽(24)에 장착된다. 모터(40)는 터브(20)에 고정되는 스테이터(42)와 스테이터(42)에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44)를 포함한다. 로터(44)는 스테이터(42)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고, 구동축(46)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축(46)은 모터(40)의 회전력을 드럼(30)에 전달한다. 구동축(46)의 일단은 드럼(30)에 연결되고, 구동축(46)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2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로터(44)에 결합된다.
터브(20)의 후벽(24)에는 구동축(4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0)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8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24)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0)과 구동축(46) 사이에는 구동축(46)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들(82)이 설치된다.
터브(20)와 도어(50) 사이에는 다이아프램(100)이 설치된다. 다이아프램(100)은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와 터브(20)의 개구(22) 사이에 배치되어 전면프레임(10a)의 개구(12)로부터 드럼의 개구(32)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드럼(30)의 회전 시에 전면프레임(10a)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한다. 또 다이아프램(100)의 일부분은 도어(50)와 전면프레임(10a) 사이에 배치되어 터브(20)의 물이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이아프램(10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성형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다이아프램은 터브(20)에서 캐비닛(10)의 전면프레임(10a)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다이아프램(100)과 드럼(30) 사이에는 세척유닛(200)이 설치된다. 세척유닛(200)은 다이아프램(100)에 발생한 오염물을 세척할 뿐만 아니라, 세탁 행정시, 도어(50) 근처의 세탁물에 세탁수가 잘 공급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세척유닛(2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세척유닛(20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세척유닛(200)은 도어(50)와 가까운 드럼(30) 외측에 마련된 볼 밸런서(BALL BALANCER)(300)에 설치 될 수 있다.
볼 밸런서(300)는 드럼(30)과 일체로 회전운동을 하고, 드럼(30)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장치로써, 복수의 강구(鋼球)가 내장되어 있는 링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볼 밸런서(300)는 드럼(30)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에 배치되어 빨랫감이 한쪽으로 쏠렸을 때, 강구들이 반대쪽을 향하게 함으로써 드럼(30)의 균형을 유지하고, 진동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세척유닛(200)을 드럼(30) 또는 볼 밸런서(30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순간접착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바인딩 접착제나 나사를 포함하는 고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100)은 세탁기(1)에 장착되었을 때 캐비닛(10)의 개구(12)와 드럼(30)의 개구(32)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110)를 구비한다. 몸체(110)는 세탁물을 넣고 빼는 통로가 되는 중공부(112)와, 중공부(112)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레부(114)(116)를 포함한다. 도어(50)가 닫혔을 때 도어글라스(52)는 다이아프램(100)의 중공부(112) 내에 수용된다.
몸체(110)는 원통형의 제1몸체부(110a)와 제2몸체부(1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110a)의 전단은 캐비닛(10)의 개구(12)에 결합되고, 제1몸체부(110a)의 후단은 터브(20)의 개구(22)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제2몸체부(110b)는 제1몸체부(11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제2몸체부(110b)의 후단은 터브(20)의 개구(22)에 결합되고, 제2몸체부(110b)의 전단은 제1몸체부(110a)의 후단보다 앞쪽에 위치된다. 이하에서 제1몸체부(110a)의 둘레부(114)는 제1둘레부라 하고, 제2몸체부(110b)의 둘레부(116)는 제2둘레부라 한다.
제1몸체부(110a)의 후단과 제2몸체부(110b)의 전단은 연결부(118)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부(118)는 복수 회 절곡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터브(20)에서 캐비닛(10)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킨다.
제1몸체부(110a)의 전단에는 캐비닛결합부(120)가 마련된다. 캐비닛결합부(120)는 제1둘레부(114)의 반경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캐비닛결합홈(122)과 캐비닛결합홈(122)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와이어홈(124)을 포함한다. 캐비닛결합홈(122)에는 개구(12)를 형성하는 캐비닛(10)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제1와이어홈(124)에는 다이아프램(100)이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126)가 결합된다.
제2몸체부(110b)의 후단에는 터브결합부(130)가 마련된다. 터브결합부(130)는 제2둘레부(116)로부터 터브(20) 쪽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131)와, 제2둘레부(116)로부터 드럼(30) 쪽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132)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131)와 제2플랜지(132) 사이에는 터브결합홈(133)이 형성되고, 제1플랜지(131)의 외면에는 제2와이어홈(134)이 마련된다. 터브결합홈(133)에는 개구(22)를 형성하는 터브(20)의 테두리가 결합된다. 제2와이어홈(134)에는 다이아프램(100)이 터브(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136)가 결합된다.
또 제1몸체부(110a)의 전단에는 립(140)(Lip)이 형성된다. 립(140)은 제1둘레부(114)의 내면(115)으로부터 중공부(112) 쪽으로 돌출되고, 제1둘레부(114)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립(140)의 전면(142)은 도어(50)를 향하고, 전면(142) 뒤의 배면(144)은 드럼(30) 쪽을 향한다. 세탁기(1)의 도어(50)가 닫혔을 때, 립(140)의 전면(142)은 도어글라스(52)에 접촉하여 실링함으로써 물이 도어(50)와 캐비닛(10)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세척유닛(200)은 드럼(30)의 외측에 마련된 볼밸런서(300)에 장착되어 세탁수를 다이아프램(100)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유닛(200)에 유입된 세탁수는 다이아프램(100)을 향해 세척유닛(200)에서 연장된 가이드부(210)를 통해 제2몸체부(110b)에 도입될 수 있다.
특히, 세척유닛(200)으로부터 전달된 세탁수는, 절곡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곰팡이나 세균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연결부(118)까지 도달할 수 있어, 다이아프램(100)의 구석진 곳까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세척유닛(200)에 유입된 세탁수는 제1몸체부(110a)를 포함하여, 다이아프램(100) 전체를 세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유닛(200)은 중심부가 뚫려 있는 도넛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세척유닛(200)은 복수의 제 1날개(202a)와 복수의 제 2날개(202b),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를 지지하면서 드럼(30)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203),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를 지지하면서 베이스(203)와 마주하는 커버(201)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유닛(200)은 드럼(3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수를 퍼올리도록 제 1방향(A)을 향해 연장된 굴곡부를 갖는 제 1날개(202a)와 드럼(3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세탁수를 퍼올리도록 제 2방향(B)을 향해 연장된 굴곡부를 갖는 제 2날개(2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가 굴곡부를 가짐으로써, 세척유닛(200) 내로 유입된 세탁수를 세척유닛(200)의 일정 높이까지 끌어올려 다이아프램(100)의 상 하측에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는 서로 등을 맞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가 각각 다른 방향(A,B)을 향해 연장된 구조를 갖는 이유는 세척유닛(200)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세탁수가 세척유닛(200) 내로 잘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에 마련된 굴곡부의 굽은 정도는 날개(202a,202b)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세탁수가 다이아프램(100)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커버(201)의 내경이 베이스(203)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세척유닛(200)은 제 1홀(204), 제 2홀(205) 및 가이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홀(204)은 베이스(203)와 커버(201) 사이에 형성되고, 세척유닛(200)의 회전 중에 세탁수가 세척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세척유닛(200)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개방된다.
가이드부(210)는 베이스(203)의 연장부이고, 제 1홀(204)을 통해 세척유닛(200)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다이아프램(100)에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제 2홀(205)은 가이드부(210)와 커버(201) 사이에 형성되고,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드럼(30)의 개구방향으로 쏟아지면서 다이아프램(100)을 세척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100)을 향해 개방된다.
제 1홀(204)을 통해 세탁수가 세척유닛(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탁수는 주로 제 1홀(204)을 통해 세척유닛(200) 내부로 유입되나, 제 2홀(205)을 통해 세척유닛(20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홀(204) 양쪽에는 블럭(206)이 배치될 수 있다. 블럭(206)은 베이스(203)와 커버(201) 사이에 위치하고,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에 의해 형성되는 막힌 공간이다.
제 1홀(204)과 블럭(206)은 세탁유닛(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가며 배치될 수 있다.
세탁수가 세척유닛(200)으로부터 다이아프램(100)을 향해 토출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면 커버(201)의 내경이 베이스(203)의 내경보다 큰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커버(201)의 내경과 베이스(203)의 내경이 같거나, 베이스(203)의 내경이 더 클 수 있다.
세척유닛(200)의 형태는 도넛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세척유닛(200)의 구성요소(201,202a,202b,203)는 각각의 구성요소(201,202a,202b,203)가 사출성형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형성된 각각의 구성요소(201,202a,202b,203)가 조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유닛(200a)은 드럼(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202), 날개(202)를 지지하고, 드럼(30)에 연결된 베이스(203)와 날개(202)를 지지하고 베이스(203)와 마주하는 커버(20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3)에는 세탁수가 다이아프램(100)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베이스(203)의 중심부에서 가깝고, 커버(201)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유닛(200a)의 날개(202)는 적어도 한쪽 끝이 곡선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곡선형태의 날개(202)를 갖는 세척유닛(200a)은 굴곡된 말단 부분이 일종의 갈고리 역할을 하여 세탁수를 일정높이까지 효과적으로 퍼 올릴 수 있다.
복수의 날개(202)는 세척유닛(200a)의 반경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세척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202c)는 직선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날개(202c)는 드럼(3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세척유닛(200b)은 날개(202c)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세탁유닛(200,200a,200b)은 볼 밸런서(300)에 직접 연결된 날개(202,202a,202b,20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유닛(200,200a,200b)은 볼밸런서(300)에 직접 연결된 날개(202,202a,202b,202c)를 지지하고, 볼밸런서(300)와 마주하는 커버(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마련된 다이아프램이 세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에는 도 3에 도시된 세척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다.
세탁기 자체의 세척을 위해서 일정량의 세탁수가 터브(20)에 공급되는데, 이때 세탁수는 세척유닛(200)의 하측 날개가 담길 수 있을 정도까지 공급될 수 있다.
드럼(30)에 장착된 세척유닛(200)은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세척유닛(200)의 제 1날개(202a)와 제 2날개(202b)는 제 1홀(204)을 통해 세척유닛(200)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를 퍼올린다.
퍼올려진 세탁수는 중력에 의해 세척유닛(200)의 중심 방향으로 쏠리고, 결국 가이드부(210)를 따라 제 2홀(205)을 통해 드럼의 개구(32) 방향으로 쏟아지게 된다.
드럼의 개구(32) 방향으로 쏟아진 세탁수는 터브(20)에 결합하여 개구(12)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다이아프램(100)으로 공급되고, 이에 의해 다이아프램(100)이 세척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 10 : 캐비닛
10a : 전면프레임 12 : 개구
20 : 터브(TUB) 24 : 터브의 후벽
30 : 드럼 32 : 드럼의 개구
34 : 통공 36 : 리프터
40 : 모터 42 : 스테이터
44 : 로터 46 : 구동축
50 : 도어 52 : 도어글라스
54 : 도어프레임 60 : 급수관
62 : 세제 공급장치 64 : 연결관
72 : 배수펌프 74 : 배수관
80 : 베어링 하우징 82 : 베어링
100 : 다이아프램 200(200a,200b) : 세척유닛
201 : 커버(COVER) 202(202c) : 날개
202a : 제 1날개 202b : 제 2날개
203 : 베이스(BASE) 204 : 제 1홀
205 : 제 2홀 206 : 블럭(BLOCK)
210 : 가이드부 300 : 볼 밸런서(BALL BALANCER)
110a : 제1몸체부 110b : 제2몸체부
118 : 연결부

Claims (12)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드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며 누수를 방지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이용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세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적어도 한쪽 끝이 곡선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드럼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세탁수를 퍼올리도록 제 1방향을 향해 연장된 굴곡부를 갖는 제 1날개;와
    상기 드럼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세탁수를 퍼올리도록 제 2방향을 향해 연장된 굴곡부를 갖는 제 2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날개는 상기 드럼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날개를 지지하고, 상기 드럼에 연결된 베이스;와
    상기 날개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다이아프램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에서 가깝고, 상기 커버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세탁수가 토출될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내경이 상기 베이스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유닛의 회전 중에 세탁수가 상기 세척유닛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세척유닛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개방된 제 1홀;
    상기 베이스의 연장부이고, 상기 제 1홀을 통해 상기 세척유닛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다이아프램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상기 드럼의 개구방향으로 쏟아지면서 상기 다이아프램을 세척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향해 개방된 제 2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에 마련된 볼 밸런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볼 밸런서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볼 밸런서에 직접 연결된 복수의 날개;와
    상기 날개를 지지하면서 상기 볼 밸런서와 마주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제2몸체부를 연결하고, 진동을 줄이기 위해 절곡된 구조를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유닛에서 전달된 세탁수가 상기 연결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30062411A 2013-05-31 2013-05-31 세탁기 KR20140141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411A KR20140141816A (ko) 2013-05-31 2013-05-31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2411A KR20140141816A (ko) 2013-05-31 2013-05-31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816A true KR20140141816A (ko) 2014-12-11

Family

ID=5245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2411A KR20140141816A (ko) 2013-05-31 2013-05-31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18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277B1 (ko) 드럼세탁기
EP2772582B1 (en) Washing machine
US9422657B2 (en) Washing machine
KR101646315B1 (ko) 세탁기
KR20160029389A (ko) 세탁기
EP3613892B1 (en) Laundry apparatus
US10344420B2 (en) Washing machine
EP2391762B1 (en) Laundry machine
US20230323588A1 (en) Washing machine
KR20080002475A (ko)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JP2018015252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1818438B (zh) 洗涤装置
EP2708630B1 (en) Drum Washing Machine
KR100826206B1 (ko) 드럼세탁기
US11479899B2 (en) Washing machine
KR20140141816A (ko) 세탁기
CN109518401A (zh) 洗衣机组件
US20060005583A1 (en) Drum washing machine
CN105937133B (zh) 滚筒型洗衣机
KR102493160B1 (ko) 세탁기
US11168429B2 (en) Laundry apparatus
US20090126416A1 (en) Structure of driving unit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for commerical use
KR102493161B1 (ko) 세탁기
KR102598162B1 (ko) 세탁기
JP2017221356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