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642A -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 - Google Patents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642A
KR20140141642A KR20147028113A KR20147028113A KR20140141642A KR 20140141642 A KR20140141642 A KR 20140141642A KR 20147028113 A KR20147028113 A KR 20147028113A KR 20147028113 A KR20147028113 A KR 20147028113A KR 20140141642 A KR20140141642 A KR 2014014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sleeve
layer
tubular
outer lay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541B1 (ko
Inventor
데이비드 프란시스 피어스
리하트 그라프
토마스 로데
존 데이비드 스토커
티모시 스미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게엠베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게엠베하,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4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068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는 외부 층(110) 및 내부 층(120)을 포함한다. 외부 층(110)은 내부 층(120) 둘레에 배열된다. 외부 층(110)은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내부 층(120)은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 {MULTI-LAYER HEAT SHRINKABLE TUBULAR SLEEVE}
본 발명은, 제 1 항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 제 13 항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포함하는 케이블 단말, 제 14 항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포함하는 케이블 조인트 및 제 15 항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응력 최소화를 위해, 내부 및 외부 전도층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절연체들을 갖는 6 kV 또는 그 초과의 전압 정격(voltage rating)을 에너지 케이블들에 제공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케이블 단말들 또는 케이블 조인트들에서 접속체들을 만들기 위해서, 외부 전도층은 제거되어야 한다. 이는 외부 전도층의 에지에서의 향상된 전기장들의 영역을 만든다.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서, 그 전기장은 방전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감쇄되어야 한다. 전기장의 이러한 감쇄는 전기 응력 제어라 한다.
전기장 구배(grade)를 위해서 적절한 재료 파라미터들, 특히 적합한 전기 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및 유전율(permittivity)을 갖는 열 회복성 관형 슬리브들을 사용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관형 슬리브들이 케이블 단말들 및 케이블 조인트들에 사용된다. 이러한 관형 슬리브들은, 전형적으로, 함께 전기 접속되고 있는 케이블들의 단부들 둘레 위치 내로 수축된다.
이들 제품들의 설치 중, 케이블과 제품 사이에 전기 인터페이스가 만들어진다. 관형 슬리브에 의해 부과되는 반경방향 압력이 증가될 때 전기 인터페이스의 품질이 개선되는 것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케이블들의 발전하고 있는 최적화, 감소하는 벽 두께 및 엄격한 검사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의 추가의 개선을 요구한다.
또한, 응력 제어, 절연 또는 환경적 응력들에 대한 내구성과 같은 수개의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서로의 상부에 수개의 분리된 열 회복성 관형 슬리브를 사용하는 것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케이블 접속체들의 설치 중 추가의 작업 단계들을 요구한다.
EP 1 702 391 B1호는 내부 층, 중간 층 및 외부 층을 갖는 열 수축성 조인팅을 설명한다. 외부 층은 소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US 5,013,894호로부터, 슬리브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인 경로를 연장하는 2 개 또는 그 초과의 기다란 전극들을 갖는 전도성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관형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전극들은 슬리브를 가열 및 수축시키기 위해서 슬리브의 원주 둘레 전극들 사이에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전력 공급원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 1 항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에 의해 성취된다.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포함하는 개선된 케이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이다. 이 목적은 제 13 항에 따른 케이블 단말에 의해 성취된다.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포함하는 개선된 케이블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이다. 이 목적은 제 14 항에 따른 케이블 조인트에 의해 성취된다.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이다. 이 목적은 제 15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는 외부 층 및 내부 층을 포함한다. 외부 층은 내부 층 둘레에 배열되고,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는, 예컨대, 약 90 %의 결정화도를 갖는 폴리옥시메틸렌-동종 중합체(polyoxymethylene-homopolymer), 약 75 %의 결정화도를 갖는 폴리옥시메틸렌-공중합체, 약 75 %의 결정화도를 갖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PTFE), 60 % 내지 80 %의 결정화도를 갖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70 % 내지 80 %의 결정화도를 갖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PP) 또는 70 % 내지 80 %의 결정화도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PE-HD 또는 HDPE)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재료들로 구성된 외부 층은, 내부 층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층은 내부 층의 두께의 10 % 미만의 두께를 포함하며, 예컨대 외부 층은 0.2 mm 이상의 반경 방향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층은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관형 슬리브의 외부 층은, 내부 층 상에 그리고 이에 따라 또한 케이블 인터페이스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기 인터페이스의 품질을 개선한다. 이러한 관형 슬리브의 추가의 이점은, 관형 슬리브의 설치가 종래의 관형 슬리브의 설치에 비해서 추가 작업 단계들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관형 슬리브의 추가의 이점은, 관형 슬리브의 설치가 복잡하지 않고(straight forward) 쉬우며, 높은 설치 신뢰도를 보장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층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내부 층은 또한, 슬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인터페이스 상에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층은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내부 층은, 탄성적으로 슬리브의 외부 층의 팽창 및 회복을 후속하게 할 수 있다.
슬리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층의 재료의 주요 부분은 70 % 내지 80 % 의 결정화도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층은 0.94 g/㎤ (입방 센치미터 당 그램) 이상의 밀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외부 층은 내부 층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데 적합하다.
관형 슬리브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층은 공압출에 의해 내부 층 상에 적층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슬리브의 비용 효율적인 제조를 허용한다.
슬리브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 층은 1TΩㆍ㎝(테트라오옴×㎝) 이상의 전기 비저항(electrical resistivity)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외부 층은 전기 절연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층은 600 이상의 비교 트래킹 지수(comparative tracking index)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외부 층은 논 트래킹이며, 습윤 존재시 크리피지 전류들이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 층의 열화(degradation)를 방지한다.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층은 10MΩㆍ㎝(메가오옴×㎝) 내지 1TΩㆍ㎝(테트라오옴×㎝), 바람직하게는 50GΩㆍ㎝(기가오옴×㎝) 내지 1TΩㆍ㎝(테트라오옴×㎝)의 전기 비저항(electrical resistivity)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외부 층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슬리브의 외부 층은 응력 구배성(stress-grading)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층은 10MΩㆍ㎝ 내지 1TΩㆍ㎝, 바람직하게는 50GΩㆍ㎝ 내지 1TΩㆍ㎝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내부 층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비유전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내부 층은 전기 응력 구배성이 있다.
슬리브의 대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층은 100Ωㆍ㎝(오옴×㎝) 미만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내부 층은 전도성이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는 외부 층 둘레에 배열되는 최외각 층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최외각 층은 공압출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최외각 층이 관형 슬리브에 인가된 추가 요구사항들을 만족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최외각 층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최외각 층은 슬리브의 내부 층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외각 층은 1TΩㆍ㎝ 이상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슬리브의 최외각 층은 전기 절연성이 있다.
추가의 개량예에 따르면, 최외각 층은 600 이상의 외부 층은 비교 트래킹 지수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최외각 층은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이며, 습윤 존재시 크리피지 전류들이 발생하는 경우에 최외각 층의 열화의 발생을 방지한다.
대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외각 층은 100Ωㆍ㎝ 미만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슬리브의 최외각 층은 전기 전도성이 있다.
슬리브의 대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는 최내부 층을 포함하며, 내부 층은 최내부 층 둘레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이후, 최내부 층은 관형 슬리브에 적용되는 추가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추가의 개량예에 따르면, 최내부 층은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최내부 층은 탄성적으로 슬리브의 외부 층 및 내부 층의 연장 및 회복을 후속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내부 층은 1TΩㆍ㎝ 이상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최내부 층은 전기 절연성이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내부 층은 10MΩㆍ㎝ 내지 1TΩㆍ㎝, 바람직하게는 50GΩㆍ㎝ 내지 1TΩㆍ㎝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내부 층은 전기 응력 구배성이 있다.
슬리브의 추가의 개량예에 따르면, 외부 층은 관형 슬리브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인 경로를 연장하는 2 개의 기다란 전극들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기다란 전극들은 전극들 및 슬리브의 외부 층을 통해 전류를 구동하여 슬리브의 외부 층을 가열 및 열 수축하도록, 전원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단말은, 전술한 유형의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관형 슬리브는 케이블 단말의 전기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케이블 단말의 전기 접속부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조인트는, 전술한 유형의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후, 관형 슬리브는 케이블 조인트의 전기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케이블 조인트의 전기 인터페이스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은, 관형 슬리브의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공압출하는 단계로서, 외부 층은 내부 층 둘레에 배열되는, 공압출하는 단계, 관형 슬리브 재료를 가교결합하는(cross-linking) 단계, 및 관형 슬리브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방법은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의 간단하며 비용 효율적인 제조 방식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또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인장 시험을 실행하기 위한 개략적 테스트 셋업을 도시한다.
도 1은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의 개략도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관형 슬리브(100)는 외부 층(110) 및 내부 층(120)을 포함한다. 내부 층(120) 및 외부 층(110)은 결합된다. 외부 층(110)은 내부 층(120) 둘레에 배열된다.
관형 슬리브(100)는, 예컨대 전력 케이블용 조인트 또는 단말(termination)에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은, 예컨대 6 kV(킬로볼트) 또는 이를 초과하는 동작 전압(operation voltage)들에 사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력 케이블은 저전압 전력 케이블, 중전압 전력 케이블 또는 42 kV를 초과하는 전압들을 위해 설계되는 고전압 전력 케이블일 수 있다.
관형 슬리브(100)는 전기적으로 함께 접속되고 있는 2 개의 전력 케이블들의 단부들 둘레 위치 내로 수축될 수 있다. 관형 슬리브(100)는 또한 케이블 단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는, 바람직하게는 관형의 단일편(one-piece) 구조이다. 용어 "관형"은 기다란 중공 물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이 물품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둥글거나 난형(oval) 단면의 실질적으로 곧은 슬리브일 수 있지만, 반드시 횡방향 치수의 임의의 특정한 길이방향 윤곽 또는 균일함에 대해 제한할 필요는 없다.
관형 슬리브(100)는 공압출(co-extrusion)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층상 몰딩들이 제외되지는 않으며, 종종 더 복잡한 형상의 물품들을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다. 공압출 또는 몰딩 이후에, 외부 층(110) 및/또는 내부 층(120)을 구성하는 재료는 관형 슬리브(100)를 가열함으로써 가교결합(cross-linked)될 수 있다. 하기 공정 단계에서, 관형 슬리브(100)가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어 관형 슬리브(100)의 나중의 회복을 가능케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외부 층(110)은 전기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재료는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non-tracking)이며 관형 슬리브(100)가 열 수축 또는 회복되는 경우에 내부 층(1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고 이에 따라 또한 관형 슬리브(100)에 배열된 케이블 인터페이스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서, 내부 층(120)은 전기적으로 응력 구배성(electrically stress-grading)인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이 재료가 1TΩㆍ㎝(테트라오옴×센치미터) 이상의 전기 비저항(electrical resistivity)을 포함한다면, 전기 절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따라 외부 층(110)은 1TΩㆍ㎝ 이상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
재료는, 이 재료가 600 이상의 비교 트래킹 지수(comparative tracking index)를 포함한다면,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교 트래킹 지수는 습윤(humidity) 또는 습도(wetness)의 존재하에 크리피지 전류(creepage current)가 발생하는 경우에 재료의 충분히 낮은 열화(low degradation)를 여전히 유발하는 전압 수준을 나타낸다.
이른바, 바로우 공식(Barlow's Formula)(파이프 상에서의 장기간의 정수압 저항(hydrostatic pressure resistance)에 대한 식)을 기초로, 반경 방향 압력(p)은 관형 재료 내의 응력(S)에 비례하며; p=2St/D이고, 여기서, t는 벽 두께, D는 튜브의 직경이다. 응력(S)은 면적 당 힘에 의해 규정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인터페이스 상에 부과되는 압력은 관형 슬리브(100)가 도달할 수 있는 접선방향 힘(tangential force)에 비례한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재료들의 상대적인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냉각 중 힘을 측정하기 위해 관형 슬리브의 링 절단부(cut) 상에서의 단순한 인장 시험이 충분하다.
도 6은 이러한 인장 시험을 실행하기 위해서 개략적인 인장력 측정 셋업(600)을 도시한다. 관형 열 수축 슬리브로부터 절단된 링(610)이 인장 시험기(620)에 투입되며 150℃로 가열되어 열 수축 공정을 시작한다. 인장 시험기(620)에 인가된 힘(630)은 링(610)의 냉각(재결정화) 중 기록된다.
동일한 전체 단면적의 샘플들이 시험되어 서로 비교된다. 냉각 시간 60 분 뒤에 더 높은 힘을 나타내는 샘플이 인터페이스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기에 적합하다.
동일한 단면을 갖는 동일한 베이스 재료의 단일층 슬리브에 비해서 단순한 인장 시험에서, 다중 층의 슬리브가 적어도 25 %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 초과의 힘(630)을 나타낸다면, 다중 층의 슬리브가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환언하면,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은, 관형 슬리브(100)가 내부 층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외부 층을 갖는 관형 슬리브에 의해 부과되는 접촉 압력보다 적어도 25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초과하는 관형 슬리브(100)의 열 수축 이후 접촉 압력을 부과한다면(양자 모두의 관형 슬리브들이 동일한 두께를 포함한다면),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층(110)은 60 % 초과의 결정화도(crystallinity)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용어 "주요 부분"은 외부 층(110)의 재료의 모든 개별 성분들 중에,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가 중량에 의해 가장 큰 성분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 층의 재료의 주요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70 % 내지 80 % 사이의 결정화도를 포함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다. 고밀도 폴리에틸렌들은 폴리올레핀들의 클래스로부터 열 수축성(열 회복성) 열가소성 재료들이다. 높은 결정화도를 갖는 이러한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구성된 관형 슬리브 층은 내부 층 상에 높은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데 적합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외부 층(110)의 재료가 0.94 g/cm3 (입방 센치미터당 그램) 이상의 밀도를 포함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결정화도에 연계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결정화도가 더 높을수록, 밀도가 높아지며, 그 재료로 구성된 관형 슬리브 층에 의해 부과되는 가능한 접촉 압력이 높아진다.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은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외부 층(110)이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실험들이 이러한 놀라운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더 작은 분율(fraction)을 갖는 층 또는 낮은 결정화도를 갖는 재료만을 포함하는 층은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층(120)은 열가소성 응력 구배성(electrically stress-grading) 재료로 구성된다.
재료는, 이 재료가 10MΩㆍ㎝(메가오옴×센치미터) 내지 1TΩㆍ㎝(테트라오옴×센치미터), 바람직하게는 50GΩㆍ㎝(기가오옴×센치미터) 내지 1TΩㆍ㎝의 전기 비저항(electrical resistivity)을 포함한다면, 전기 응력 구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재료는, 이 재료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을 포함한다면, 전기 응력 구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은, 예컨대,
염화 폴리에틸렌: 35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중량 %
열 및 반전도성(thermal and semiconductive) 카본 블랙들: 40 중량 %
항산화제들 및 안정화제들: 4.5 중량%, 및
가교 촉진제(cross-linking promoter)들: 0.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은, 상기 논의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은, 전기적으로 응력 구배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은,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엘라스토머: 55 중량 %,
열 및 반전도성 카본 블랙들: 40 중량 %
항산화제들 및 안정화제들: 4.5 중량%, 및
가교 촉진제들: 0.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의 외부 층(110)은, 전기적으로 응력 구배성이 있으며 내부 층(1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층(110)의 재료는,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은, 전기적으로 응력 구배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층(120)은 상기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은, 열가소성의 전기 절연 및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재료는 관형 슬리브의 내부 층(1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다. 외부 층(110)의 재료는,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은, 예컨대, 상기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은,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이 재료가 100Ωㆍ㎝(오옴×센치미터) 미만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면, 전기 전도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은, 100Ωㆍ㎝미만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한다.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은, 예컨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 % 내지 70 중량 %,
고밀도 폴리에틸렌: 10 중량 % 내지 20 중량 %,
전도성 카본 블랙: 15 중량 % 내지 25 중량 %, 및
방향족 아민 산화 방지제: 1 중량 % 내지 2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의 개별 성분들은 특정 범위들로부터 총 100 %까지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관형 슬리브(200)는 외부 층(210), 내부 층(220) 및 최내부 층(230)을 포함한다. 관형 슬리브(200)의 외부 층(210), 내부 층(220) 및 최내부 층(230)은 결합된다. 내부 층(220)은 최내부 층(230) 둘레에 배열된다. 외부 층(210)은 내부 층(220) 둘레에 배열된다.
관형 슬리브(200)는 바람직하게는 관형의 단일편(one-piece) 구조이다. 용어 "관형"은 기다란 중공 물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이 물품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둥글거나 난형(oval) 단면의 실질적으로 곧은 슬리브일 수 있지만, 반드시 횡방향 치수의 임의의 특정한 길이방향 윤곽 또는 균일함에 대해 제한할 필요는 없다.
관형 슬리브(200)는 공압출(co-extrusion)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층상 몰딩들이 제외되지는 않으며, 종종 더 복잡한 형상의 관형 슬리브들을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200)의 외부 층(210)은, 전기 절연 및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이며 관형 슬리브(200)의 내부 층(2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층(210)의 재료는,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외부 층(210)은, 예컨대,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층(220)은 전기 절연성인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내부 층(220)은,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고무: 40 중량 % 내지 50 중량 %,
폴리이소부틸렌: 10 중량 % 내지 20 중량 %,
충전재: 25 중량 % 내지 40 중량 %,
공정 보조제(process aid)들: 2 중량 % 내지 5 중량 %,
안정화제들: 3 중량 % 내지 7 중량 %, 및
가교제들: 3 중량 % 내지 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내부 층(220)의 재료의 개별 성분들은, 특정의 범위들로부터 총 100%까지 선택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최내부 층(230)은 전기적으로 응력 구배성인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최내부 층(230)은, 예컨대, 상기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200)의 외부 층(210)은, 전기 절연 및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이며 내부 층(2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층(210)의 재료는,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층(210)은, 예컨대, 상기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200)의 내부 층(220) 및 관형 슬리브(200)의 최내부 층(230) 양자 모두는, 전기 절연성인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내부 층(220) 및 최내부 층(230)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내부 층(220) 및/또는 최내부 층(230)은, 예컨대, 상기 개시된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200)의 내부 층(22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를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관형 슬리브(300)는 외부 층(310), 내부 층(320) 및 최외각 층(330)을 포함한다.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 외부 층(310) 및 내부 층(320)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관형의 단일편 구조이다. 최외각 층(330)은 외부 층(310) 둘레에 배열된다. 외부 층(310)은 내부 층(320) 둘레에 배열된다.
다시, 용어 "관형"은 기다란 중공 물품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이 물품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둥글거나 난형(oval) 단면의 실질적으로 곧은 슬리브일 수 있지만, 반드시 횡방향 치수들의 임의의 특정한 길이방향 윤곽 또는 균일함에 대해 제한할 필요는 없다. 관형 슬리브(300)는 공압출(co-extrusion)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층상 몰딩들이 제외되지는 않는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은, 전기 전도성인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최외각 층(330)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외부 층(310)은, 전기 절연성이 있으며 내부 층(3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외부 층(310)의 재료는,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20)은, 전기 응력 구배성인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20)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은 전기 절연성이 있으며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인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은, 예컨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60 중량 % 내지 70 중량 %,
충전재: 30 중량 % 내지 40 중량 %, 및
안정화제들: 1 중량 % 내지 2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성분들은 특정의 범위들로부터 총 100%까지 선택될 수 있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외부 층(310)은, 전기 절연성이 있으며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외부 층(310)의 재료는,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외부 층(310)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외부 층(3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20)은, 전기 응력 구배성인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20)은, 예컨대, 상기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은, 전기 절연성이 있으며 전기적으로 논 트래킹인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제 9 실시예의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3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외부 층(310)은, 전기 절연성이 있으며 내부 층(320) 상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외부 층(310)의 재료는,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외부 층(310)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제 8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1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20)은, 전기 응력 구배성인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한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300)의 내부 층(320)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의 내부 층(120)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 200, 300)들은, 하나 이상의 층 각각이 열 회복성 다중 층들로 각각 구성된다. 각각의 관형 슬리브(100, 200, 300)들의 다양한 층들은, 관형 슬리브(100, 200, 300)들 내에서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관형 슬리브(100, 200, 300) 각각은,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며, 이 층은, 각각의 관형 슬리브(100, 200, 300)의 내측방에, 그리고 이에 따라 또한 관형 슬리브(100, 200, 300)가 장착되는 전기 케이블 액세서리의 전기 인터페이스 상에, 추가로 위치된 다른 층들에 향상된 접촉 압력을 부과한다. 전기 케이블 액세서리는, 케이블 단말 또는 조인트 또는 스플리스일 수 있다. 향상된 회복력은, 이 힘이 훨씬 더 신뢰가능한 전기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때문에 중요하다.
도 4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또는 최외각 층(410)만을 도시한다. 관형 슬리브(400)는 게다가, 도 1의 관형 슬리브(100)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은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에 해당한다. 또한, 관형 슬리브(400)는, 도 2의 관형 슬리브(200)로서 개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은 관형 슬리브(200)의 외부 층(210)에 해당한다. 관형 슬리브(400)는, 또한 도 3의 관형 슬리브(300)로서 개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은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에 해당한다.
외부 층(410)은 열 수축성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은, 제 1 플랜지(403) 및 제 2 플랜지(404)를 포함한다. 플랜지(403, 404)들 각각은, 관형 슬리브(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플랜지(403, 404)들은, 양자 모두가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의 외주 상에 배열된다. 제 1 플랜지(403) 및 제 2 플랜지(404)는,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의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들에 배치된다.
제 1 플랜지(403)에 제 1 와이어(401)가 매립된다. 제 2 플랜지(404)에 제 2 와이어(402)가 매립된다. 제 1 와이어(401) 및 제 2 와이어(402)는, 양자 모두 전기 전도성이 있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power source)이 제 1 와이어(401)와 제 2 와이어(40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제 1 와이어(401) 및 제 2 와이어(402)에 접속될 수 있다. 와이어(401, 402)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와이어(401, 402)들 사이에서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한다. 전류는, 관형 슬리브(400)의 외부 층(410)이 열 회복 및 열 수축하게 하는 열을 발생시킨다. 제 1 플랜지(403) 및 제 2 플랜지(404)에 매립된 제 1 와이어(401) 및 제 2 와이어(402)는, 이에 따라 관형 슬리브(400)를 열 수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관형 슬리브(100, 200, 300)들에는 도 4에 도시된 관형 슬리브(400)와 같은 와이어들이 장비될 수 있다.
도 5는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 슬리브(5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관형 슬리브(500)는 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이다. 도 5는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만을 도시한다. 관형 슬리브(500)는 도 1에 도시된 관형 슬리브(100)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은 관형 슬리브(100)의 외부 층(110)에 해당한다. 또한, 관형 슬리브(500)는 도 2의 관형 슬리브(200)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의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은 도 2의 관형 슬리브(200)의 외부 층(210)에 해당한다. 또한, 도 5의 관형 슬리브(500)는 도 3의 관형 슬리브(300)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은 관형 슬리브(300)의 최외각 층(330)에 해당한다.
외부 층(510)은 열 수축성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외부 층(510)은 제 1 플랜지(505), 제 2 플랜지(506), 제 3 플랜지(507) 및 제 4 플랜지(508)를 포함한다. 플랜지(505, 506, 507, 508)들 각각은 외부 층(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모든 플랜지(505, 506, 507, 508)들은 외부 층(510)의 외주 상에 배열된다. 제 1 플랜지(505) 및 제 3 플랜지(507)는 앞뒤로(one after another)로 배열되며 제 1 노치(511)에 의해 분리된다. 제 2 플랜지(506) 및 제 4 플랜지(508)는 길이 방향으로 앞뒤로 배열되며, 제 2 노치(512)에 의해 분리된다. 제 1 플랜지(505) 및 제 3 플랜지(507)는 제 2 플랜지(506) 및 제 4 플랜지(508)에 대해 외부 층(510)의 반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 상에 배열된다.
제 1 플랜지(505)는 제 1 와이어(501)를 포함한다. 제 2 플랜지(506)는 제 2 와이어(502)를 포함한다. 제 3 플랜지(507)는 제 3 와이어(503)를 포함한다. 제 4 플랜지(508)는 제 4 와이어(504)를 포함한다. 각각의 와이어(501, 502, 503, 504)는 각각의 플랜지(505, 506, 507, 508)에 매립되며, 각각의 플랜지(505, 506, 507, 508)와 동일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와이어(501)와 제 2 와이어(50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전원(520)이 제 1 와이어(501) 및 제 2 와이어(5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와이어(501)와 제 2 와이어(50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을 통해 제 1 와이어(501)와 제 2 와이어(502)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하며, 이에 의해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을 열 수축시키는 열을 발생시킨다.
제 1 노치(511) 및 제 2 노치(512)는, 전원(520)이 제 1 와이어(501) 및 제 2 와이어(502)에 접속될 때, 제 3 와이어(503) 및 제 4 와이어(504)를 통해 또한 전류들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제 1 와이어(501)와 제 2 와이어(502) 사이에 전류를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와이어(501)와 제 2 와이어(502) 사이에 배열된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의 일 부분만을 열 수축시킨다. 제 3 와이어(503)와 제 4 와이어(504) 사이에 배열된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의 일부는 팽창을 유지하며 수축하지 않는다. 관형 슬리브(500)의 그 부분을 수축시키기 위해서, 관형 슬리브(500)의 외부 층(510)을 통해 제 3 와이어(503)와 제 4 와이어(504) 사이에 전류를 구동하도록 전원(520)이 제 3 와이어(503) 및 제 4 와이어(504)에 접속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관형 슬리브(500)는, 도 4에 도시된 관형 슬리브(400)로서 제조될 수 있다. 하기 제조 단계에서, 제 1 노치(511) 및 제 2 노치(512)는 제 1 와이어(501)와 제 3 와이어(503)를 분리시키고 그리고 제 2 와이어(502)와 제 4 와이어(504)를 분리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외부 층(110, 210, 310) 및 내부 층(120, 220, 320)을 포함하는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로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내부 층(120, 220, 320) 둘레에 배열되며,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층(120, 220, 320)은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60 % 초과의 결정화도를 갖는 부분적으로 결정성 열가소성 재료의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층(120, 220, 32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의 재료의 주요 부분은 70 % 내지 90 % 의 결정화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0.94 g/㎤ 이상의 밀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1TΩㆍ㎝ 이상의 전기 비저항(electrical resistivit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600 이상의 비교 트래킹 지수(comparative tracking index)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10MΩㆍ㎝ 내지 1TΩㆍ㎝, 바람직하게는 50GΩㆍ㎝ 내지 1TΩㆍ㎝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비유전율(relative permittivity)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층(120, 220, 320)은 10MΩㆍ㎝ 내지 1TΩㆍ㎝, 바람직하게는 50GΩㆍ㎝ 내지 1TΩㆍ㎝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내부 층(120, 220, 320)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비유전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층(120, 220, 320)은 100Ωㆍ㎝ 미만의 전기 비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슬리브(300)는 외부 층(310) 둘레에 배열되는 최외각 층(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300).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슬리브(200)는 최내부 층(23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층(220)은 최내부 층(230) 둘레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20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층(410, 510)은 관형 슬리브(400, 500)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인 경로를 연장하는 2 개 이상의 기다란 전극(401, 402, 501, 502, 503, 504)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 슬리브(400, 50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말.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조인트.
  15.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의 내부 층(120, 220, 320) 및 외부 층(110, 210, 310)을 공압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외부 층(110, 210, 310)은 내부 층(120, 220, 320) 둘레에 배열되는, 공압출하는 단계,
    상기 관형 슬리브 재료를 가교결합하는(cross-linking) 단계, 및
    상기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100, 200, 300, 400, 500)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47028113A 2012-03-06 2013-02-27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 KR10188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8265.4 2012-03-06
EP12158265.4A EP2636519B1 (en) 2012-03-06 2012-03-06 Multi-layer heat-shrinkable tubular sleeve
PCT/EP2013/053890 WO2013131789A1 (en) 2012-03-06 2013-02-27 Multi-layer heat shrinkable tubular slee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642A true KR20140141642A (ko) 2014-12-10
KR101880541B1 KR101880541B1 (ko) 2018-07-20

Family

ID=4784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113A KR101880541B1 (ko) 2012-03-06 2013-02-27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882369B2 (ko)
EP (1) EP2636519B1 (ko)
KR (1) KR101880541B1 (ko)
CN (1) CN104169075B (ko)
AU (1) AU2013229710B2 (ko)
BR (1) BR112014021985B1 (ko)
CA (1) CA2866457C (ko)
CL (1) CL2014002349A1 (ko)
DK (1) DK2636519T3 (ko)
ES (1) ES2524407T3 (ko)
MX (1) MX2014010706A (ko)
MY (1) MY175874A (ko)
NZ (1) NZ630748A (ko)
PL (1) PL2636519T3 (ko)
PT (1) PT2636519E (ko)
RU (1) RU2620360C2 (ko)
WO (1) WO2013131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42A1 (ko) * 2018-11-07 2020-05-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케이블 중간접속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7227B1 (en) 2012-12-21 2017-03-01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Multi-layer heat-shrinkable tubular sleeve with stress control elements
RU170498U1 (ru) * 2016-05-18 2017-04-26 Талгат Вилевич Галиуллин Многослойное полимерное противокоррозионное покрытие
CN107706847A (zh) * 2017-10-12 2018-02-16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扣搭式管线防护罩
USD847747S1 (en) * 2017-10-25 2019-05-07 Atl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CN109103839A (zh) * 2018-08-22 2018-12-28 国网天津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直流电缆耐压试验的过渡软接头
CN109514827B (zh) * 2018-10-27 2021-10-08 江阴标榜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管路系统用多层管的生产工艺
EP3702152A1 (en) * 2019-02-26 2020-09-02 Nexans A multilayer heat-shrinkable tube, a cable join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same
EP4098434A1 (en) * 2021-05-31 2022-12-07 ContiTech Techno-Chemie GmbH Alternative subprocess for taping wrapped silicon hoses and hose manufactured thereb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1304A (en) * 1979-04-19 1981-02-17 Raychem Corporation Heat-recoverable articles and their use
US20030204006A1 (en) * 2002-04-26 2003-10-30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Flame-retardant heat-shrinkable tub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70128925A1 (en) * 2003-11-20 2007-06-07 Bernd Graeve Heat-shrink tube
US20080248226A1 (en) * 2007-03-07 2008-10-0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ulti-layer tub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286A (en) * 1974-09-27 1978-04-18 Raychem Corporation Heat-recoverable sealing article with self-contained heating means and method of sealing a splice therewith
US4163117A (en) * 1978-04-19 1979-07-31 Raychem Corporation Heat-recoverable articles and their use
DE3307567A1 (de) * 1983-03-03 1984-09-0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Waermeerholbarer gegenstand
DE3853564T2 (de) 1987-09-09 1996-01-18 Raychem Ltd Leitfähiger Kunststoffartikel.
DE58909543D1 (de) * 1988-07-13 1996-02-08 Kabelmetal Electro Gmbh Langgestreckter Formstrang
ZA924207B (en) * 1991-07-02 1993-03-31 Minnesota Mining & Mfg Heat recoverable tubular stress control element
US6005191A (en) * 1996-05-02 1999-12-21 Parker-Hannifin Corporation Heat-shrinkable jacket for EMI shield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1304A (en) * 1979-04-19 1981-02-17 Raychem Corporation Heat-recoverable articles and their use
US20030204006A1 (en) * 2002-04-26 2003-10-30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Flame-retardant heat-shrinkable tub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70128925A1 (en) * 2003-11-20 2007-06-07 Bernd Graeve Heat-shrink tube
US20080248226A1 (en) * 2007-03-07 2008-10-0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ulti-layer tub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6242A1 (ko) * 2018-11-07 2020-05-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케이블 중간접속구조
US11476595B2 (en) 2018-11-07 2022-10-18 Ls Cable & System Ltd. Power cable intermediate connec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5874A (en) 2020-07-14
CN104169075B (zh) 2016-09-28
BR112014021985B1 (pt) 2021-01-12
EP2636519B1 (en) 2014-10-08
DK2636519T3 (en) 2015-01-05
CA2866457A1 (en) 2013-09-12
US9882369B2 (en) 2018-01-30
PL2636519T3 (pl) 2015-03-31
EP2636519A1 (en) 2013-09-11
WO2013131789A1 (en) 2013-09-12
PT2636519E (pt) 2014-12-03
CL2014002349A1 (es) 2015-02-27
KR101880541B1 (ko) 2018-07-20
AU2013229710B2 (en) 2016-11-17
RU2014140196A (ru) 2016-04-20
RU2620360C2 (ru) 2017-05-25
MX2014010706A (es) 2015-04-14
AU2013229710A1 (en) 2014-10-23
US20150027578A1 (en) 2015-01-29
ES2524407T3 (es) 2014-12-09
CA2866457C (en) 2019-07-02
CN104169075A (zh) 2014-11-26
NZ630748A (en)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541B1 (ko) 다중 층의 열 수축성 관형 슬리브
US4390745A (en) Enclosures for electrical apparatus, cable and enclosure combinations, and kits and methods for their construction
JP6197033B2 (ja) 空間電荷トラップ層を包含するデバイス
US20100193235A1 (en) Splice assembly with shield sock
CN101902024A (zh) 用于hvdc缆线的具有阻性场分级材料的柔性接头及其与hvdc缆线连接的方法
EP2747227A1 (en) Multi-layer heat-shrinkable tubular sleeve with stress control elements
CN106463942B (zh) 用于高功率线缆的电场控制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625952B1 (ko) 이종 도체 접합부를 포함하는 전력케이블, 이종 도체 접합방법 및 이종 도체 전력케이블 중간접속함
KR20180095642A (ko) 중간- 및 고-전압 전기 케이블
DK2963654T3 (en) Field Grading Impact
EP2752448A1 (en) Field grading layer
GB2042818A (en) Enclosed for electrical apparatus
KR102378680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AU2016423482B2 (en) Joint fo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s
EP3446385A1 (en) Multiple stress control device for cable accessories and methods and systems including same
JPH0419678B2 (ko)
JP2022187103A (ja) 電力ケーブルの終端構造、筒ユニット、及び筒部品
US20170236620A1 (en) Method for preparing an HVDC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