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911A -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 Google Patents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911A
KR20140140911A KR1020130061944A KR20130061944A KR20140140911A KR 20140140911 A KR20140140911 A KR 20140140911A KR 1020130061944 A KR1020130061944 A KR 1020130061944A KR 20130061944 A KR20130061944 A KR 20130061944A KR 20140140911 A KR20140140911 A KR 2014014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t
river
layer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9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순용
유길수
김정단
염경민
염정민
Original Assignee
정순용
유길수
김정단
염경민
염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용, 유길수, 김정단, 염경민, 염정민 filed Critical 정순용
Priority to KR102013006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911A/en
Publication of KR2014014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9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4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horizontal or oblique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ion structure for using riverbed water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water collection structure for using riverbed water comprising: a riverbed embankment traversing under the bottom of a river so as to block and store the riverbed water flowing through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a water collection pit adjacent to a river bank and provided to at least any one side of the riverbed embankment such that the riverbed water stored by the riverbed embankment is introduced into and stored in the water collection pit; and a water storage pit provided at a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water collection p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that the riverbed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on pit can move to the water storage pit through a water transmission path so as to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it,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transmission path is designed to be smooth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ver surface can be maintained in the same state as a natural river and the water can be provided to an irrigation ditch by natural force instead of using any artificial power device such as a pump or the like particularly in a dry season.

Description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본 발명은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갈수기 때 하천 표면수가 부족하여 충분한 용수를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 자연하천을 훼손하지 않는 상태에서 하천 바닥 아래로 흐르는 복류수를 집수하여 원활하게 농업용수 기타 그 밖의 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집수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ation of river water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se in a river when the water surface is insuffici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which can be used as agricultural water or other water for smoothly collecting wat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취입보는 하천에서 필요한 관개용수를 용수로로 도입할 목적으로 하천을 횡단하여 설치하는 시설물로, 갈수시 수위를 높이고자 흙, 목재, 또는 돌 등의 재래보를 만들어 이용되어 왔고, 현재는 큰크리트보가 시공성이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 feeder is a facility installed across a river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necessary irrigation water into a river in a river. It has been used to make conventional beams such as soil, wood, or stone in order to raise the water level in the river. The creep boy is the most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workability.

그러나, 하천은 발원지에서 하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들이 생존하는 연속된 구조로 되어 있음에도, 관개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취입보에 의해 하천의 연속성이 파괴되어 어류 및 기타 생물체의 이동을 방해하여 하천의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아직 종래의 콘크리트 취입보를 대체할 친환경적인 취입보가 개발되지 않고 있으며, 하천환경을 개선하고자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면서 이와 같은 종래의 취입보를 시공하고 있어 자연형 하천 본래의 목적과 크게 어긋나는 실정이다.However, even though rivers have a continuous structure in which a variety of living things from the source to the estuary are alive, the continuity of the rivers is destroyed by the boats installed to secure the irrigation water, which impedes the movement of fishes and other organisms, The ecosystem is severely damaged. Nevertheless, there is no developed eco - friendly intake system to replace the conventional concrete intak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river environment, natural river system is constructed and such conventional intake system is constructed.

이러한 하천의 연속성 두절을 해소하고자 철근 콘크리트 취입보에서는 어도를 설치하지만 그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e continuity problem of the river, it is install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boats, bu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510884호(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공개특허 제10-2005-0005715호(친 환경적인 수중 취입보 및 그 시공방법) 등이 개시되었으나, 전자의 경우 갈수기 때 표면수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는 농업용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취입보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후자의 경우 그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비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들에는 집수한 하천수를 펌핑 등의 인공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용수로에 효율적으로 용수하는 방법 또는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며, 집수한 하천수를 동력의 제공없이 자연력에 의해 용수로에 하천수를 공급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510884 (installation method using natural ston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005715 (environmentally friendly underwater loading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f the amount of surface water is insufficient at the time of drought,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sufficiently perform the role of a feeder for supplying agricultural water and the like. In the latter case,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s do not disclose a method or structure for efficiently supplying water to a watercourse on the premise that the collected water depends on an artificial method such as pumping and the like. It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propose a method of supplying river water to a canal by natural force.

또한, 상기의 발명들은 하천의 생태계를 크게 저해하지는 않으나, 여전히 자연하천 그대로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어서, 이에 따른 여러가지의 부작용이 우려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mentioned inventions do not substantially inhibit the ecosystem of the river, they still do not maintain the natural river shape, and thus various side effects are concern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저 취입보로 하천의 바닥 아래에 복류수를 차단하여 저유하고, 집수피트로 저유된 복류수를 저장한 다음, 하천의 경사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진 송수로를 통해 일정거리 하류에 설치된 저수피트로 이송하여, 하천 표면수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위를 유지하는 저수피트의 물을 용수로로 공급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system for a sewer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supplying water of a low water depth to a water channel that is maintained at a relatively higher water level than the surface water level of a river,

또한, 펌프와 같은 인공적인 동력장치를 동원하지 아니하고, 자연력만으로 갈수기에도 원활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집수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water smoothly even when the water is consumed only by natural force without using an artificial power device such as a pump.

또한, 하천의 생태계 연속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집수 구조물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sufficient water without damaging the continuity of the ecosystem of a river.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하천의 투수층에 흐르는 복류수를 차단하여 저유하기 위하여 하천 바닥 아래를 가로지르는 하저 취입보, In order to block and reserve the flowing water in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하천 제방과 인접하고, 상기 하저 취입보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저 취입보에 의해 저유된 복류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집수피트,A water collecting pit which is adjacent to the stream bank and is installed at at least one side of the lower water collecting booth and in which the stored water inflowed by the lower water collecting boat flows and is stored,

상기 집수피트에 대하여 일정거리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피트에 저장된 복류수가 송수로를 통해 이동하여 저장되는 저수피트를 포함하되,And a water pit provided downstream of the water collecting pi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pit is moved and stored through the water channel,

상기 송수로의 경사는 하천의 경사보다 더 완만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channel is designed to be more gentle than the inclination of the river.

이 경우, 상기 하저 취입보는, In this case,

하천의 준설 바닥면에 시공되는 기초 콘크리트와, The foundation concrete that is installed on the dredging floor of the river,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하천의 투수층을 통하여 흐르는 복류수를 차단하는 차수벽과,A waterproof wall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concrete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eight and to block the flow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자갈로 채워져 자갈 사이의 공극에 복류수가 담수되도록 하는 담수층과,A bottom layer filled with gravel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top of the foundation concrete,

상기 담수층 위에 하천 바닥면과 같은 높이로 암석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a surface layer formed by laminating rocks at the same height as the river bottom surface on the fresh water layer.

더불어, 상기 담수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갈을 금속망에 넣어 일정한 구조체를 이루는 게비온(gabion)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fresh water layer may be formed of a gabion constituting a constant structure by putting gravel into a metal net.

또한, 상기 집수피트는, 그 바닥면이 적어도 하천 바닥면보다 낮고, 하저 취입보와 인접한 측벽에는 차수벽에 의해 차단된 복류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담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집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least one inlet port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pit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pit is lower than at least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and the bottom water adjacent to the bottom inlet is introduced by the water wall. And a water collecting pipe installed across the water collecting pipe is connected.

또한, 상기 집수피트와 저수피트를 연결하는 상기 송수로는,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hannel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ng pit and the water storage pit,

하천수가 유입되지 않는 관형(또는 밀폐형), 상부가 개방되어 하천수가 유입될 수 있는 개방형 중 어느 하나이며,A tubular type (or a closed type) in which river water is not introduced, and an open typ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river water can be introduced,

상기 집수피트와 연결되는 일단은 하천 바닥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피트와 연결되는 타단은 하천 바닥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it is located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riv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ater pit is locat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river.

또한, 상기 저수피트에는 제방을 관통하여 제방 너머에 있는 용수로에 저수피트에 저수된 물을 공급하는 용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water pit may be connected to a water pipe passing through the bank and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pit to a water pipe located beyond the bank.

또한, 상기 집수피트 및 저수피트의 상부에는 집수피트와 저수피트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가 더 설치되되,Further, the water collecting pit and the water pit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water collecting pit and the water pit,

상기 덮개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v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또한, 상기 저수피트는, 상기 저수피트의 바닥에는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어 상기 송수로를 통해 이송되는 물의 낙하로 인한 세굴을 방지하는 자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water pit may include a gravel layer stacked at a bottom of the water pit to prevent scouring due to falling of water conveyed through the water channel.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ation of river water,

하천 바닥을 일정 깊이 준설하여 하저 취입보와 집수피트가 설치될 공간을 확보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dredging the bottom of the stream to a certain depth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bottom drawer and the catchment pit;

준설된 바닥면에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performing concrete foundation work on the dredged floor;

제2단계에서 시공된 기초 콘크리트 위에 차수벽을 설치하고, 상기 차수벽의 적어도 일측에 집수피트를 설치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of installing a water wall on the foundation concrete constructed in the second step and installing water collecting pits on at least one side of the water wall;

준설로 패인 공간에 일정 높이 자갈을 적층하여 담수층을 만드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forming a fresh water layer by laminating a certain height of gravel in a dredging hearth space;

상기 담수층 위에 일정 높이 암석을 적층하여 표면층을 만드는 제5단계; 및A fifth step of laminating a predetermined height of rock on the fresh water layer to form a surface layer; And

상기 집수피트에 대해 일정거리 하류에 저수피트를 설치하고, 저수피트와 집수피트를 연결하는 송수로를 설치하는 제6단계;A sixth step of installing a water storage pit at a certain distance downstream from the water collection pit and providing a water supply path connecting the water storage pit and the water collection p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 표면을 자연천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특히 갈수기에 필요한 용수를 펌프 등의 인위적인 동력장치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연력에 의해 용수로에 용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water to the watercourse by natural force, while keeping the surface of the river in the same state as the natural cloth, without resorting to an artificial power device such as a pu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하저 취입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하저 취입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 구조물의 송수로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집수피트, 송수로, 저수피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의 B_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수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한 블럭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ing the river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wer-floor take-off boat.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ower draw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ater channel of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B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showing one embodiment of water collecting pit, water receiving path, and water pit.
6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Further,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is specification are on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ing the river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은, 하저 취입보(100), 집수피트(200), 저수피트(300) 및 송수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ing the river retur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drawer 100, a water collecting pit 200, a water pit 300, and a water feed passage 50.

도 2a 본 발명에 따른 하저 취입보(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a는 하저 취입보(100)의 다른 실시예이다.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ottom draw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A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ottom drawer 100. FIG.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저 취입보(100)는, 하천의 준설 바닥면에 시공되는 기초 콘크리트(110)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하천의 투수층을 통하여 흐르는 복류수를 차단하는 차수벽(120)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100)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자갈(132)로 채워져 자갈(132) 사이의 공극에 복류수가 담수되도록 하는 담수층(130)과, 상기 담수층 위에 하천 바닥면(40)과 같은 높이로 암석(145)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표면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bottom draw-in ball 100 includes a base concrete 110 to be installed on a dredging floor of a river, A water barrier wall 120 for blocking the flow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and a fresh water layer 130 f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gravel 132 by filling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concrete 100 with the gravel 132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urface layer 140 formed by laminating rocks 145 at the same height as the river bottom surface 40 on the fresh water layer.

종래의 취입보는 통상적으로 보의 높이가 하천의 바닥면(40)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설치되어 보의 높이 만큼 하천수의 수면이 상승하게 된다. 수면이 많이 상승할수록 더 많은 양의 물을 담수하게 되고, 높은 수압으로 보다 용이하게 인접한 경작지(30) 등으로 하천수를 공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취입보는 하천 생태계의 연속성을 저해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보의 상류에는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퇴적되고, 하류에는 보의 높이에 따른 낙차에 의해 세굴 현상이 발생하여 지속적인 보의 유지 보수가 필요하였다. 또한, 하천의 투수층으로 흐르는 복류수를 담수하는 능력이 없어 갈수기 때는 취입보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였다. The height of the beam is usually set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40 of the river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so that the water surface of the river water rises by the height of the beam. As the water level increases, more water is drained, and the river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adjacent cultivating land 30 more easily with a high water pressure.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ake-off bow has a fatal problem that impedes the continuity of the river ecosystem. In the upstream of the beam, sediments are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in the downstream, due to the fall of the beam, . In addition, since it is not capable of desalinating water flowing into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it can not sufficiently perform the role of a catcher when it goes down.

본 발명에 따른 집수 구조물의 하저 취입보(100)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바닥 아래에 시공된다. 먼저 하저 취입보(100)를 시공하기 위하여 하천의 바닥을 일정 깊이로 준설한다. 준설된 바닥면은 바닥 다지기 작업을 거쳐 기초 콘크리트(110)를 타설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으로 바닥의 기초를 시공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가장 시공이 간편한 방법이다. 기초 콘크리트(110)의 상부에 차수벽(120)과 담수층(1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약 2미터 이상의 충분한 폭을 가지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bottom draw-in boat 100 of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 the bottom of the river as shown in FIGS. 2A and 2B. First, the bottom of the river is dredged to a certain depth in order to construct the underwater take-off boat 100. The dredged floor is poured into the foundation concrete 110 through a floor consolidation operation. In addition to pouring concret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foundations of the floor, but it is the most convenient method to install concrete. It is preferable to apply a sufficient width of about 2 meters or more so that the water-receiving wall 120 and the fresh water layer 130 can be installed on the base concrete 110.

기초 콘크리트(110)의 위에는 차수벽(120)을 설치한다. 차수벽(120)은 주로 철근 콘크리트 재질을 선택하며, 미리 제작된 차수벽 구조물을 기초 콘크리트(110)의 위에 안치할 수도 있고, 기초 콘크리트(110)의 위에서 직접 양생할 수도 있다. 차수벽(1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10)에 넓은 면으로 접촉하는 바닥부(122)와 바닥부(122)에서 연장되어 일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벽체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차수벽(120)의 높이는 차수벽의 상부가 하천의 바닥면보다 높지 않도록 설계하여, 하천수의 흐름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고 어류 등의 생물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갈수기 때 하천의 표면을 흐르는 물이 고갈된 경우에도 하천의 투수층을 따라 복류수가 느린 속도로 흐르는데, 차수벽(120)은 이 복류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담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 concrete wall (120) is install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110). The water barrier wall 120 is mainly made of a reinforced concrete material, and a previously constructed water wall structure may be plac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110 or may be directly cur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110. As shown in FIG. 2A, the water level wall 120 includes a bottom portion 122 contacting the base concrete 110 in a wide plane and a wall portion 121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22 an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eight can do. It is desirable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outlet wall 120 is design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water outlet wall is not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so that the flow of the river water is not impeded and the movement of the organisms such as fish is not obstructed. Even when the water flowing on the surface of the river is depleted at the time of droughts, the dehydrated water flows at a slow rate along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The water wall 120 serves to cut off the flow of the dirty water to desalinate.

기초 콘크리트(100)와 차수벽 바닥부(122)의 위에는 소정 크기의 자갈(132)을 적층하여 담수층(130)을 형성한다. 자갈과 자갈 사이에는 충분한 공극이 존재하므로, 자갈이 적층된 담수층(130)에는 차수벽(120)에 의해 저유된 복류수가 담수된다. 자갈(132)의 크기는 5 내지 10 센티미터 내외의 크기가 바람직하고, 되도록 일정한 크기의 자갈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갈의 크기가 너무 크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자갈 또는 모래가 공극 사이로 침투하여 담수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자갈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도 담수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강한 물살에 유실되는 등의 문제로 담수층(130)의 안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The fresh water layer 130 is formed by laminating gravel 132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foundation concrete 100 and the water wall bottom portion 122. Since there is a sufficient gap between the gravel and the gravel, the gravel-seeped fresh water layer 130 is dewatered by the water wall 120. The size of the gravel 132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5 to 10 centimeters, and it is preferable that gravel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stacked. If the size of the gravel is too large, the relatively small gravel or sand may penetrate into the pores and the efficiency of the fresh water may be lowered. Even if the size of the gravel is too small, the efficiency of the fresh water may decrease, The stability of the fresh water layer 130 may be impaired.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층(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게비온(gabion, 135)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게비온(135)은 자갈(132)을 금속망에 넣은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구조체로 하천 제방이나, 옹벽 등을 시공할 때 많이 사용된다. 담수층(130)을 적층함에 있어서 게비온을 사용하게 되면, 일정한 공극을 유지함과 동시에 담수층(130)이 급류에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취입보(100)의 내구성을 강화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게비온(135)의 틀을 형성하는 금속망은 물속에 잠기게 되므로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로 코팅되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B, some or all of the fresh water layer 130 may be formed as a gabion 135. The Gebion 135 is a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 which the gravel 132 is placed in a metal net, and is used to construct a river bank or a retaining wall. The use of the Gebion in the laminating of the fresh water layer 130 can prevent the fresh water layer 130 from being lost to the torrent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and greatly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take-out boom 100. Since the metal net forming the frame of the gap 135 is submerged in water,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층(130)의 하부는 자갈을 쌓아 형성하고, 상부는 게비온(135)을 적층하는 것이 시공 시간과 단가를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2B,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art of the fresh water layer 130 is formed by stacking gravel and the upper part is formed by laminating the Gebion 135, because the construction time and the unit cost can be reduced.

담수층(130)의 상부에는 표면층(140)을 형성한다. 표면층(140)은 담수층(130)의 자갈(132)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암석(145)을 적층하여 만든다. 하천의 바닥면은 물의 흐름에 저항을 많이 받는데, 특히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려 급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급류에 의해 취입보(100)가 유실되거나 침식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크기가 큰 암석(145)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또한, 크기가 큰 암석(145)을 적층하여 표면층(140)을 형성하면 어류 등의 수중 생물의 안식처를 제공하는 역할도 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표면층(140)을 이루는 암석(145)은 지름이 약 20 내지 30 센티미터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urface layer 140 is formed on the fresh water layer 130. The surface layer 140 is formed by laminating a rock 145 having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the gravel 132 of the fresh water layer 130.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receives a lot of resistance to the flow of water. In order to prevent the torpedo from being lost or eroded by the rapids when the rainfall occurs in the rainy season, .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layer 140 is formed by stacking the rocks 145 having a large siz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esting place for aquatic organisms such as fishes. The rock 145 forming the surface layer 140 preferably has a diameter of about 20 to 30 centimeters or more.

하저 취입보(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차수벽(120)에 의해 저유되고, 담수층(130)에 저장된 복류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집수피트(200)가 설치된다. 집수피트(200)는 충분한 물을 저장하는 공간부를 가지도록 바닥면(220)과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피트(200)는 하저 취입보(100)와 제방(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집수피트(200)의 측벽에는 담수층(130)에 저장된 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210)가 형성된다. One or both sides of the bottom draw-in ball 100 are provided with water collecting pits 200 which are stored by the water wall 120 and in which the fresh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layer 130 flows and is stored.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220 and side walls so as to have a space portion for storing sufficient water. As shown in FIG. 1,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draw-in ball 100 and the bank 10. At least one inlet 210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to allow the water stored in the fresh water layer 130 to flow easily.

유입구(210)의 크기는 제한이 없으나,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유입구를 크게 형성하되, 유입구(210)로 담수층(130)의 자갈(132)이 쏟아져 들어오거나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유입구(210)에 인접한 곳에는 게비온(135)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피트(200)로 보다 원활하게 물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유입구(210)에 집수관(250)을 결합할 수 있다. 집수관(250)은 일단이 유입구(210)에 연결되고, 담수층(130)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집수관(250)의 표면에는 다수의 유공(251)을 형성하여 담수층(130)과 접촉하는 넓은 표면을 통해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let port 210 is not limited in size but may be formed relatively large in order to smooth the inflow of water. The inlet port 210 may be formed in the inlet port 210 to prevent the gravel 132 of the fresh water layer 130 from pouring in, 21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llecting pipe 250 may be coupled to the inlet 210 to allow water to flow more smoothly into the collecting pit 200. The collector pipe 250 is connected to the inlet 210 at one end and is installed across the fresh water layer 130. A plurality of holes 251 ar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collector pipe 250, Wa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a large contact surface.

집수피트(200)의 바닥면(220)이 깊을수록 담수에는 유리하나, 시공상의 난점이 발생하므로, 비교적 충분한 양의 물이 집수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가지도록 집수피트(200)를 시공한다. 다만, 집수피트(200)의 바닥면(220)은 적어도 하천 바닥면(40)보다는 충분히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is deeper, glass is formed in the fresh water and difficulties in the construction work occur. Therefore,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is constructed so as to have a depth enough to collec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is at least sufficiently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40 of the river.

집수피트(200)의 상부면은 개방된 형태도 무방하지만, 하천수의 수위가 높아져 집수피트로 하천수가 월류하여 유입되는 경우에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가 가능한 덮개(240)를 설치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may be opened, but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is increased to flow the water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it, the lid 240 can be opened or closed to prevent foreign matter .

덮개(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40)를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상부면에 손잡이(242)가 형성되고, 하천수가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구멍(2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240)의 재질은 콘크리트, 금속,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lid 240 is formed with a handle 242 on its upper surface to easily receive the lid 240, and a plurality of holes 241 are preferably formed to allow the river water to flow easily Do. The cover 24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oncrete, metal, and synthetic resin.

집수피트(200)에 유입된 복류수는 집수피트(200)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송수로(50)를 통하여 저수피트(300)로 이송된다. 집수피트(200)와 송수로(50)의 사이에는 개폐장치(230, 예를 들어 수문)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장치(23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갈수기 때에는 물의 양이 풍부하지 못하므로, 개폐장치(230)를 닫아 집수피트(200)의 수위를 상승시켜 충분한 물이 집수되로록 한 다음, 물이 필요한 때에 개폐장치(230)를 개방하여 용수로(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reaches a certain height, the water flows into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and is conveyed to the water storing pit (300) through the water sending path (50). An opening / closing device 230 (for example, a water gat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50. The opening / closing device 230 can be controll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 opening / closing device 230 is closed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is raised so that sufficient water is collected. Then, when the water is require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230 is opened, (20).

송수로(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밀폐된 관형의 밀폐형(도 4의 (a)와 (b))과, 상부(51)가 열린 개방형(도 4의 (c)) 중 어떤 형태도 선택이 가능하며, 도 4의 (d)와 같이 기본적으로 관형을 가지되, 상부에 다수개의 유입구(52)가 형성되는 반밀폐형도 채택될 수 있다.4, the water feed path 50 includes a tubular closed type (FIGS. 4A and 4B) sealed from the outside and an open type (FIG. 4C) Any shape can be selected and a semi-closed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inflow openings 52 are formed at the upper part, as shown in FIG. 4 (d), can be adopted.

밀폐형의 경우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하천의 물이 풍부한 경우에는 개방형 보다 물의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역으로 개방형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많다. 반밀폐형은 밀폐형과 개방형의 단점을 어느 정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개방형의 경우에는 상부면(51)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게비온 등을 적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losed ty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but when the water is abundant in the river, the water transportation efficiency is lower than that of the open type. Conversely, the open type is likely to introduce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Semi-closed type can alleviate the disadvantages of closed type and open type to some extent. In the case of the open type,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stacking Gebion or the like so that foreign matter does not flow through the upper surface 51.

송수로(50)의 경사는 하천의 바닥면(40)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집수된 복류수를 펌프 등의 인공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력에 의해 용수로(20)에 물을 공급함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류에서는 집수피트(300)에 집수된 물의 수면이 하천의 바닥면보다 높지 않지만, 하류에서는 저수피트에 저장된 물의 수면이 훨씬 높아질 수 있다. 즉, 송수로(50)의 경사를 하천의 바닥면(40)의 경사보다 완만하게 하면, 상대적으로 하류에 있는 저수피트의 수면을 하천 바닥면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이는 하천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취입보를 설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집수피트(300)의 높아진 수위(H)만큼 인접한 용수로에 자연력만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channel 50 should be designed to be gentl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40 of the stream.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channel 20 by the natural force without using an artificial device such as a pump by using the collected water. 3,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pit 300 is not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in the upstream, but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pit can be much higher in the downstream. That is, when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supply path 50 is made gentl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40 of the river,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pit which is relatively downstream can be made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at provided with the take-in boom having the take- It becomes easy to supply water to the adjacent waterway only by natural force by the elevated water level H of the water collecting pit 300.

송수로(50)를 통해 이송된 물은 저수피트(300)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저수피트(300)는 집수피트(200)와 마찬가지로 바닥면(320)과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집수피트(200)의 바닥면(220)은 하천 바닥면(40)보다 충분히 낮게 형성됨에 비하여 저수피트(300)의 바닥면(320)은 하천 바닥면(40)과 유사한 높이이거나, 하천 바닥면(40)보다 높은 위치도 무관하다. 저수피트(300)의 바닥면(320)에는 송수로(5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낙하로 인해 저수피트(300)의 바닥면(320)을 침식시키거나 세굴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두께의 자갈층(32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갈층(325)의 높이는 대략 20 ~ 30 센티미터 정도이면 충분하다. 저수피트(300)의 상부에도 집수피트(200)에서와 마찬가지로 덮개(240)가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conveyed through the water channel (50) is moved to the water storage pit (300) and stored. Like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the water pit 300 includes a bottom surface 320 and side walls having a constant height. The bottom surface 220 of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is formed to be sufficiently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40 of the river while the bottom surface 320 of the water pit 300 is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river bottom surface 40, And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position 40 is also irrelevant. The bottom surface 320 of the water retention pit 300 is provided with a gravel layer having a constant thickness for eroding the bottom surface 320 of the water retention pit 300 or preventing the scouring action due to the falling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channel 50. [ (325). The height of the gravel layer 325 is preferably about 20 to 30 cm. The lid 2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torage pit 300 as well as the water collection pit 200.

저수피트(300)에는 제방(10)을 관통하여 제방(10) 너머에 있는 용수로(20)에 저수피트(300)에 저수된 물을 공급하는 용수관(340)이 연결된다. 용수관(340)과 저수피트(300)의 사이에는 개폐장치(330)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용수로(3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A water pipe 340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it 300 is connected to the water channel 20 passing through the bank 10 and beyond the bank 10. [ An opening / closing device 330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pipe 340 and the water storage pit 30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pipe 30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하천 바닥을 일정 깊이 준설하여 하저 취입보(100)와 집수피트(200)가 설치될 공간을 확보하는 제1단계(S10)와, 준설된 바닥면에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하는 제2단계(S20), 제2단계에서 시공된 기초 콘크리트(110) 위에 차수벽(120)을 설치하고, 상기 차수벽(110)의 적어도 일측에 집수피트(300)를 설치하는 제3단계(S30), 준설로 패인 공간에 일정 높이 자갈(132)을 적층하여 담수층(130)을 만드는 제4단계(S40), 상기 담수층(130) 위에 일정 높이 암석(145)을 적층하여 표면층(140)을 만드는 제5단계(S50) 및 상기 집수피트(200)에 대해 일정거리 하류에 저수피트(300)를 설치하고, 저수피트(300)와 집수피트(200)를 연결하는 송수로(50)를 설치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ing the river retur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 of securing a space for installing the bottom draw-in ball 100 and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by dredging the bottom of the river to a certain depth, The concrete wall 110 is formed on the foundation concrete 110 constructed in the second step and the water collecting pit 30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water wall 110. [ A fourth step S40 of forming a fresh water layer 130 by laminating constant height gravel 132 in the dredged passageway space, a third step S30 of setting a predetermined height rock 145 on the fresh water layer 130, A fifth step S50 of forming a surface layer 140 by laminating the water pit 300 and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on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and the water pit 300 at a certain distance downstream from the water collecting pit 200, And a sixth step (S60) of installing a water line (50) for connection.

상기의 각 단계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각 단계의 시공순서는 바뀔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이 상기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steps are not necessarily performed sequentially. In some cases, the construction order of each step may be chang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rder.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제방 20 : 용수로
25 : 수문 30 : 경작지
40 : 하천 바닥면 50 : 송수로
100 : 하저 취입보 110 : 기초 콘크리트
120 : 차수벽 130 : 담수층
140 : 표면층 200 : 집수피트
210 : 유입구 240 : 덮개
300 : 저수피트 325 : 자갈층
340 : 용수관
10: levee 20: waterway
25: Hydrology 30: Cultivated land
40: bottom of stream 50: water channel
100: Lower bottom drawer 110: Foundation concrete
120: water level wall 130: fresh water level
140: surface layer 200: collecting pit
210: inlet 240: cover
300: Water pit 325: Gravel layer
340: Water pipe

Claims (9)

하천의 투수층에 흐르는 복류수를 차단하여 저유하기 위하여 하천 바닥 아래를 가로지르는 하저 취입보,
하천 제방과 인접하고, 상기 하저 취입보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저 취입보에 의해 저유된 복류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집수피트,
상기 집수피트에 대하여 일정거리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피트에 저장된 복류수가 송수로를 통해 이동하여 저장되는 저수피트를 포함하되,
상기 송수로의 경사는 하천의 경사보다 더 완만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In order to block and reserve the flowing water in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A water collecting pit which is adjacent to the stream bank and is installed at at least one side of the lower water collecting booth and in which the stored water inflowed by the lower water collecting boat flows and is stored,
And a water pit provided downstream of the water collecting pi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collecting pit is moved and stored through the water channel,
Wherein the slope of the water channel is designed to be more gentle than the slope of the stre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저 취입보는,
하천의 준설 바닥면에 시공되는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하천의 투수층을 통하여 흐르는 복류수를 차단하는 차수벽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일정 높이만큼 자갈로 채워져 자갈 사이의 공극에 복류수가 담수되도록 하는 담수층과,
상기 담수층 위에 하천 바닥면과 같은 높이로 암석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The foundation concrete that is installed on the dredging floor of the river,
A waterproof wall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concrete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eight and to block the flow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permeable layer of the river,
A bottom layer filled with gravel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top of the foundation concrete,
And a surface layer formed by laminating rocks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eam on the fresh water lay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자갈을 금속망에 넣어 일정한 구조체를 이루는 게비온(gabion)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part or all of the fresh water layer is made of a gabion which forms gabbles into a metal net to form a consta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피트는,
그 바닥면이 적어도 하천 바닥면보다 낮고, 하저 취입보와 인접한 측벽에는 차수벽에 의해 차단된 복류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담수층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집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ollecting pit includes:
Wherein at least one inlet port through which bottom water blocked by the water wall flows i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wall of the bottom wall adjacent to the bottom drawbridge and at least one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bottom wall is lower than at least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r, The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ation of the river wa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피트와 저수피트를 연결하는 상기 송수로는,
하천수가 유입되지 않는 관형(또는 밀폐형), 상부가 개방되어 하천수가 유입될 수 있는 개방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집수피트와 연결되는 일단은 하천 바닥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피트와 연결되는 타단은 하천 바닥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collecting pit and the water storage pit includes:
A tubular type (or a closed type) in which river water is not introduced, and an open type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river water can be introduced,
Wherein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it is located lower than the bottom of the riv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ater pit is located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피트에는 제방을 관통하여 제방 너머에 있는 용수로에 저수피트에 저수된 물을 공급하는 용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ter pipe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pit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channel passing through the bank and beyond the b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피트 및 저수피트의 상부에는 집수피트와 저수피트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가 더 설치되되,
상기 덮개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collecting pit and the water catching pit are further provided with a cover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atching pit and the water pit,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li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피트는,
상기 저수피트의 바닥에는 일정한 두께로 적층되어 상기 송수로를 통해 이송되는 물의 낙하로 인한 세굴을 방지하는 자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ter-
And a gravel layer stacked at a bottom of the water pit to prevent scouring due to falling of water conveyed through the water channel.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천 바닥을 일정 깊이 준설하여 하저 취입보와 집수피트가 설치될 공간을 확보하는 제1단계;
준설된 바닥면에 콘크리트 기초공사를 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 시공된 기초 콘크리트 위에 차수벽을 설치하고, 상기 차수벽의 적어도 일측에 집수피트를 설치하는 제3단계;
준설로 패인 공간에 일정 높이 자갈을 적층하여 담수층을 만드는 제4단계;
상기 담수층 위에 일정 높이 암석을 적층하여 표면층을 만드는 제5단계; 및
상기 집수피트에 대해 일정거리 하류에 저수피트를 설치하고, 저수피트와 집수피트를 연결하는 송수로를 설치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의 시공방법.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water collecting structure for utilization of a river effluent,
A first step of dredging the bottom of the stream to a certain depth to sec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bottom drawer and the catchment pit;
A second step of performing concrete foundation work on the dredged floor;
A third step of installing a water wall on the foundation concrete constructed in the second step and installing water collecting pits on at least one side of the water wall;
A fourth step of forming a fresh water layer by laminating a certain height of gravel in a dredging hearth space;
A fifth step of laminating a predetermined height of rock on the fresh water layer to form a surface layer; And
A sixth step of installing a water storage pit at a certain distance downstream from the water collection pit and providing a water supply path connecting the water storage pit and the water collection pit;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KR1020130061944A 2013-05-30 2013-05-30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KR201401409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944A KR20140140911A (en) 2013-05-30 2013-05-30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944A KR20140140911A (en) 2013-05-30 2013-05-30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403A Division KR20150051947A (en) 2015-03-02 2015-03-02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11A true KR20140140911A (en) 2014-12-10

Family

ID=5245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944A KR20140140911A (en) 2013-05-30 2013-05-30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091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585B1 (en) * 2020-02-11 2021-04-19 이창만 Underground intake weir for hydropower generation
CN114000565A (en) * 2021-10-20 2022-02-01 中国矿业大学 Three-dimensional water storage system for internally-discharged strip mine and arrangement method
KR20220161607A (en) * 2021-05-27 2022-12-07 (주)인텔리지오 Water permeable filling module and air backwash system hav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585B1 (en) * 2020-02-11 2021-04-19 이창만 Underground intake weir for hydropower generation
KR20210102118A (en) * 2020-02-11 2021-08-19 이창만 Underground intake weir for hydropower generation
KR20220161607A (en) * 2021-05-27 2022-12-07 (주)인텔리지오 Water permeable filling module and air backwash system having the same
CN114000565A (en) * 2021-10-20 2022-02-01 中国矿业大学 Three-dimensional water storage system for internally-discharged strip mine and arrange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30830C (en) Technology for repairing basement of lake steep bank inshore water area
JP2006144539A (en) Underwater ecosystem restoration method in river management
JP6532278B2 (en) Method for regenerating sphagnum wetland and regeneration base
KR20140140911A (en)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WO2024174557A1 (en) System for rapid desalination of sandy soil blown into dike at estuary before planting green plants
CN102031768A (en) Novel farmland waterlogging prevention and treatment device and applied technology thereof
CN207160128U (en) A kind of large-scale seawater intake strucure of box culvert-type and constructing structure
KR101367848B1 (en) System for accelerating salt removal by artificial water supply and method for accelerating salt using the same
JP2008115545A (en) River flow leveling method
CN211734926U (en) Quick drainage system in sponge city ground
CN112194254A (en) Near-natural estuary wetland construction method with uniform water distribution
CN108951540B (en) Algae collecting, blocking and guiding enclosure system
KR20150051947A (en) Water-reserving structure for using underground water
JPH11229450A (en) Water reservation method
CN211080123U (en) Ecological bank slope protection device in river lake
CN211621506U (en) Combined ecological drainage channel structure
KR101447614B1 (en) Eco-friendly fish way block structure
CN204849894U (en) Municipal administration rainwater retaining system
CN211646256U (en) Bank protection structure of river channel
KR100515189B1 (en) The facility of river in the civil center and method restoration of it
De Bruin et al. A simple start with far‐reaching consequences
KR20110117857A (en) Multistage weir having rapids and puddles for an ecological riv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rapids and puddles
CN105804005B (en) A kind of wall-hanging eco-concrete dyk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18508480U (en) Retaining wall with water storage function
JP4611366B2 (en) Water-saving type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for paddy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