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667A -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667A
KR20140140667A KR20130060911A KR20130060911A KR20140140667A KR 20140140667 A KR20140140667 A KR 20140140667A KR 20130060911 A KR20130060911 A KR 20130060911A KR 20130060911 A KR20130060911 A KR 20130060911A KR 20140140667 A KR20140140667 A KR 20140140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ower generation
engine
gen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김재경
오영호
장은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0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667A/ko
Publication of KR2014014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6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8Islanding, i.e. disconnection of local power supply from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전력원을 이용한 융합형 이동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발전부와 전력조정부 및 상기 전력을 현장의 여러 부하에 분배하는 배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력발전부와 전력조정부 및 배전부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을 콘트롤 하는 메인제어부가 구비된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전부는 태양광발전부 및 엔진발전부로 구성하되, 상기 태양광발전부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외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발전부, 전력조정부, 배전부, 및 메인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부하의 고저에 따라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의 전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필요한 장소에 현장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화석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Movable small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두 개의 전력원을 이용한 융합형 이동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광발전과 소형 엔진발전을 서로 융합함과 동시에 현장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건설 현장 등과 같은 곳에서의 여러 부하에 두 개의 전력원을 통한 선택적 또는 병합적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동의 편리성은 물론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화석연료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발전시스템은 전력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한 후, 복잡한 전력 공급 계통을 통해 이 전력을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여러 부하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가정이나 공장 또는 건물 등에 필요한 전력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 발전시스템의 전력 계통은 통상적으로 전력 생산을 담당하는 전력발전부와 전력을 송전하는 송전부 및 전력을 각 부하에 분배하는 배전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 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전력 계통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 발전시스템은 전력발전부(100)와 송전부(110) 및 배전부(120)로 구분되어 지며, 이때 전력은 배전부(120)에서 각 부하(200)에 각각 전달되는 것이다.
전력발전부(100)는 통상적으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화력발전, 수력발전, 원자력발전,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되며, 생산된 전력은 각 전력원의 특성에 따라 송전부(110)와 배전부(1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각 부하에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송전부(110)는 일반적으로 각 전력원의 특성에 맞도록 구축되는 변압기, 인버터(Inverter)/컨버터(Converter), 또는 차단기와 같은 안전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는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및 송전선로(115)를 통해 배전부(120)에 전력을 송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제어부(150)는 전력의 생산, 송전, 및 배전을 통합 콘트롤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에너지 관리시스템인 EMS(Energy Management System)가 구축됨으로써, 각 전력원의 발전 상태와 여러 부하(200)의 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전력 공급이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전력계통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력 발전시스템의 전력 계통은 분산전원이 아닌 중앙전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력 계통은 폐쇄적이고 고정화되어 있는 구조로서, 전력 발전량의 변동이나 실시간 부하 변동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었을 뿐 아니라, 여러 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또한 각종 전력 공급 변동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능형 전력망은 현대화된 전력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력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력발전이나 수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 등 다수의 전력원을 서로 융합하고, 이에 대응하여 여러 부하를 구성하는 수요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전력의 관리, 공급 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능형 전력망에 있어서, 종래의 일반적인 전력원은 대용량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반면에 부하 변동에 따른 응동 특성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급격한 부하 변동이나 전력 공급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대체 전력의 투입이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 발전시스템은 특정 지역에 고정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대용량 전력 공급 시스템으로써, 이동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건설 현장이나 특정 장소에 임의로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건설 현장이나 특정 장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과 같이, 지역적, 제한적으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소형 엔진이나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전력원을 사용하여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발전시스템 적용이 곤란할 뿐 아니라, 전력 공급의 높은 안전성이나 효율성 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력발전부, 전력조정부, 배전부, 및 메인제어부로 구성하되, 전력발전부로서 태양광발전과 소형 디젤 엔진발전으로 두 개의 전력원을 사용하고, 이때 태양광발전부는 이동 가능한 하우징의 외측 상부면에 설치하며, 엔진발전부는 하우징에 내설함으로써, 부하 변동은 물론 공급 시간에 따라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의 전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현장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화석연료의 사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발전부와 상기 전력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조정하는 전력조정부 및 상기 전력을 현장의 여러 부하에 분배하는 배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력발전부와 전력조정부 및 배전부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을 콘트롤하는 메인제어부가 구비된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전부는 태양광발전부 및 엔진발전부로 구성하되, 상기 태양광발전부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의 외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발전부, 전력조정부, 배전부, 및 메인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부하의 고저에 따라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의 전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조정부는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의 전력을 각각 조정하는 제1전력조정부와 제2전력조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1,2전력조정부를 통해 상기 부하에 전력이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제어부는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가 선택적으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부하가 높아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 중 어느 하나의 전력으로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가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주간에는 부하의 고저에 따라 상기 태양광발전부 및 엔진발전부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야간에는 부하가 높은 경우에만 상기 엔진발전부에 의해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엔진발전부는 100kw ~ 300kw급 소형 디젤엔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원으로 태양광발전과 소형 디젤 엔진발전을 서로 융합하여 수요자의 부하 변동과 공급시간에 대응하여 두 전력원을 선택 또는 병합하여 공급 가능하게 됨으로써, 화석연료 사용의 최소화를 통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이동 설치가 가능하여 현장에 간편하게 설치 후 운영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을 통해 전력 공급의 대응능력과 신뢰성을 향상은 물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력 발전시스템의 개략적인 전력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의 일 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의 일 예의 전력 계통도,
도 5는 주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
도 6은 야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의 일 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의 일 예의 전력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은 전력발전부(20), 전력조정부(60), 배전부(70), 전력 공급을 콘트롤 하는 메인제어부(EMS:Energy Management System)(90), 및 하우징(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전력발전부(20), 전력조정부(60), 배전부(70), 및 메인제어부(EMS:Energy Management System)(90)가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콘테이너(container) 타입의 직사각형 박스(box)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은 전면에 도어(door)가 설치될 수 있으며, 측면에는 환기구(1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0)은 건설 현장 등에 이동 설치가 가능해야 하는 특성상 리프팅(lifting)이나 이동 수단에의 탑재 등이 용이하도록 고정프레임이나 지지프레임 등의 일반적인 보조 구조물들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전력발전부(20)는 전력을 생산하는 부분으로서, 태양광발전부(30)와 엔진발전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태양광발전부(30)는 태양전지(Solar Cell)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측 상부면에 설치된다.
한편 엔진발전부(40)는 소형 디젤엔진(Diesel Engine)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내설되며, 하우징(1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태양광발전부(30)와 서로 융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또는 병합적으로 상호 보완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엔진발전부(40)는 태양광발전부(30)가 자연 친화적인 발전 특성상 특정 시간대 또는 날씨에 따라 발전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전력 발전을 보완함으로써, 대체 전력의 공급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은 야간에는 발전을 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주간의 경우에도 비가 오는 경우에는 발전을 할 수 없는 등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하루 4시간 가량의 발전이 가능한 정도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은 상기와 같은 단점 외에도 급격한 부하 변동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곤란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엔진발전부(40)는 기후 조건이나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필요시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발전의 단점을 적절히 보완함과 동시에 전력 공급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발전은 100kw ~ 300kw급의 소형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0) 내부에는 전력조정부(60)가 설치된다.
전력조정부(60)는 태양광발전부(30)에 연결되는 제1전력조정부(61)와 엔진발전부(40)에 연결되는 제2전력조정부(65)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차단기(6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조정부(60)는 태양광발전부(30)와 엔진발전부(4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각 부하(200)에서 요구하는 전력에 대응하도록 전력 특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전력조정부(6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에너지 관리시스템인 메인제어부(EMS:Energy Management System)(90)의 명령에 따라 각 부하(200)에 적절하도록 전력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전력조정부(61)는 태양전지 모듈을 통해 생산되는 전기의 전압이나 전류량 또는 주파수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파워 컨디셔닝 시스템(PCS:Power Conditioning Syste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컨디셔닝 시스템(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은 태양광발전부(30)에서 생산된 전력이 각 부하(200)에 전달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전력 특성을 조정하게 되며, 변압기나, 인버터(inverter) 또는 컨버터(convert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태양광발전은 직류 전력을 생산하게 되고, 또한 다수의 태양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필요한 전압과 전류를 얻는 특성상 설치된 태양전지의 모듈 면적에 따라 전압이나 전류량이 상이한 전력을 생산하게 되므로, 이를 각 부하(200)에서 요구하는 전력 특성에 맞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건설 현장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장비의 가동이나 라이트(light) 등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220V 또는 440V 등의 교류전력이 다양하게 사용되는 반면에 태양광발전은 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전압을 가지는 직류 전력이기 때문에, 제1전력조정부(61)의 파워 컨디셔닝 시스템(PCS:Power Conditioning System)은 이러한 다양한 부하(200) 조건에 대응하여 전력을 승압시키는 변압기나 직류를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 등을 이용하여 부하(200)게 맞게 전력 특성을 변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은 제1전력조정부(61)의 파워 컨디셔닝 시스템(PCS:Power Conditioning System)에 의한 전력 특성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엔진발전부(40)는 엔진 회전수(RPM)에 대응하여 수백 볼트(V)의 교류 전력이 생산될 뿐 아니라, 엔진의 가동 및 제너레이터(generator)를 통해 각 부하(200)에 적절한 전력 생산이 가능하므로, 이때 제2전력조정부(65)는 엔진발전부(40)에 연결되어 엔진발전부(40)에서 생산되는 전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변압기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converter)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배전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현장의 장비나 라이트(light) 등과 같은 각 부하(200)에 대응하여 전력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력의 분배를 위한 메인스위치보드(main switch board)(75)가 설치되며, 또한 차단기, 개폐기, 계기, 릴레이 등의 안전장치(71)가 구비된다.
한편 메인제어부(EMS)(90)는 태양광발전부(30), 엔진발전부(40), 전력조정부(60), 및 배전부(70)에 연결되어 전체 전력계통을 콘트롤 하게 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전력계통에서와 같은 전력 공급 통제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인제어부(90)는 송수신모듈, 전력모니터링부, 전력공급조절부, 안전수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제어부(90)는 송수신모듈을 통해 각 발전부와 전력조정부(60) 및 배전부(7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전송하여 각 발전부의 상태와 발전량, 전력 등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각 부하(200)에 따라 적절하게 전력공급을 콘트롤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력모니터링부는 전력 품질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력량, 전압, 전류 등과 같은 전력 상태와 품질을 감시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게 되고, 전력공급조절부는 이들 전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배전부(7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특정 조건 또는 시기에 따라 조절하여 부하(20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제어부(EMS)(90)는 전력발전부(20)의 각 전력원의 발전 상태와 전력량, 전력품질 등을 고려함과 아울러 각 부하의 공급상태나 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전체적인 전력 공급 및 분배 계통을 콘트롤 함으로써, 전력 공급이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전력계통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메인제어부(EMS)(90)는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각 부하에 대응하는 적절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주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야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의 경우에는 태양광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력발전부(20)의 태양광발전부(30)와 엔진발전부(40)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먼저 메인제어부(90)는 건설 현장에서의 여러 부하에서 요구하는 부하(전력 소요량)를 체크하게 된다.
이때 요구되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아 태양광발전만으로 부하 수요를 충당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태양광발전부(30) 및 엔진발전부(40)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동시에 배전부(70)로 송전하고, 배전부(70)에서 각 부하 요건에 대응하여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요구되는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태양광발전에 의해서만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엔진발전의 가동을 중지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간의 경우에는 태양광발전이 곤란하므로, 엔진발전부(4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부하가 높은 경우에는 엔진발전부(40)를 통해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엔진발전부(40)를 정지하고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야간의 경우 부하가 낮을 때에는 건설 현장의 다른 보조 전력 공급원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엔진발전을 정지시켜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급격한 부하 변동의 경우에는 시기와 부하 크기에 대응하여 엔진발전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제어부(90)에 의해 두 개의 전력원을 서로 융합함과 동시에 전력조정부(60)와 배전부(70)의 제어를 통해 각 부하에 대응하는 적절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여 수요자의 부하 변동은 물론 공급 시간에 따라 상기 태양광발전부(30)와 엔진발전부(40)의 전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화석연료의 사용이 최소화되도록 할 뿐 아니라, 전력 공급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동 설치가 가능하여 건설 현장 등과 같은 특정 지역에 전력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2 : 도어
15 : 환기구 20,100 : 전력발전부
30 : 태양광발전부 40 : 엔진발전부
60 : 전력조정부 61 : 제1전력조정부
65 : 제2전력조정부 67 : 차단기
70,120 : 배전부 71 : 안전장치
75 : 메인스위치보드 90,150 : 메인제어부
110 : 송전부 115 : 송전선로
200 : 부하

Claims (5)

  1.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발전부와 상기 전력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조정하는 전력조정부 및 상기 전력을 현장의 여러 부하에 분배하는 배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력발전부와 전력조정부 및 배전부를 제어하여 전력 공급을 콘트롤하는 메인제어부가 구비된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전부는 태양광발전부 및 엔진발전부로 구성하되,
    상기 태양광발전부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의 외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발전부, 전력조정부, 배전부, 및 메인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부하의 고저에 따라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의 전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부는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의 전력을 각각 조정하는 제1전력조정부와 제2전력조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1,2전력조정부를 통해 상기 부하에 전력이 분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가 선택적으로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부하가 높아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 중 어느 하나의 전력으로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태양광발전부와 엔진발전부가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주간에는 부하의 고저에 따라 상기 태양광발전부 및 엔진발전부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야간에는 부하가 높은 경우에만 상기 엔진발전부에 의해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발전부는 100kw ~ 300kw급 소형 디젤엔진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KR20130060911A 2013-05-29 2013-05-29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KR201401406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911A KR20140140667A (ko) 2013-05-29 2013-05-29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911A KR20140140667A (ko) 2013-05-29 2013-05-29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667A true KR20140140667A (ko) 2014-12-10

Family

ID=5245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0911A KR20140140667A (ko) 2013-05-29 2013-05-29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066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554U (ko) * 1990-01-12 1991-09-20
KR20070119108A (ko) * 2006-06-14 2007-12-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전기설비 통합 시스템
KR101262126B1 (ko) * 2010-11-29 2013-05-14 주식회사 준성이엔알 소규모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2554U (ko) * 1990-01-12 1991-09-20
KR20070119108A (ko) * 2006-06-14 2007-12-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전기설비 통합 시스템
KR101262126B1 (ko) * 2010-11-29 2013-05-14 주식회사 준성이엔알 소규모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rkar et al. Optim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lar PV-wind-biogas-VRFB storage integrated smart hybrid microgrid for ensuring zero loss of power supply probability
EP2216546B1 (en) Production system for electric energy and hydrogen
US84665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pole distributed solar power generation
KR102261258B1 (ko) 양방향 저장 및 재생 가능한 전력 변환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Zhao et al. Three representative island microgrids in the East China Sea: Key technologies and experiences
KR101469904B1 (ko) 에너지 저장장치가 구성된 태양광 발전 설비의 통합전력제어반 모드 제어시스템
Reina et al. Simulation of a microgrid for a non-interconnected zone that integrates renewable energies
KR20140138425A (ko) 소형 엔진발전을 이용한 융합형 발전시스템
Yokoyama et al. A national project on optimal control and demonstration of the Japanese smart grid for massive integration of photovoltaic systems
CN104617602A (zh) 水光互补协调控制系统
KR20140140667A (ko) 이동 소형 발전시스템
Adouane et al. Monitoring and smart management for hybrid plants (photovoltaic–generator) in Ghardaia
Shalwala PV integration into distribution networks in Saudi Arabia
JP2012228090A (ja) 地域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70000563A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테스트 장치
Kalani et al. Controlling the energy supply and demand of grid-connected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considering real-time electricity prices to develop more sustainable and smarter cities
US20160268810A1 (en) Pylon based power management system
US20230231386A1 (en) Solar-energy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with integrated load management
KR101342515B1 (ko)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의 출력 변동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211006583U (zh) 一种水光互补联合发电装置
KR20220162528A (ko) 전력 변환 장치를 관제하는 관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Kerber et al. Decentralized voltage control in 20 kV distribution grids by controlling reactive power of inverters
CN208797596U (zh) 一种模块化移动式充电站
AU2019202170A1 (en) A solar array assembly
Bhatia Micro grid control and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