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987A -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987A
KR20140139987A KR1020140064125A KR20140064125A KR20140139987A KR 20140139987 A KR20140139987 A KR 20140139987A KR 1020140064125 A KR1020140064125 A KR 1020140064125A KR 20140064125 A KR20140064125 A KR 20140064125A KR 20140139987 A KR20140139987 A KR 20140139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gateway
meta information
change
particip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석
최순혁
홍수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4/0047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93166A1/ko
Publication of KR2014013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고 제어하기 위한 메타정보 관리 구조와, 이를 이용한 게이트 웨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게이트웨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가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보고가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제 2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의 메타 정보가 상기 제 3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에 참여를 요청하는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GATE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고 제어하기 위한 메타정보 관리 구조와, 이를 이용한 게이트 웨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관련 기술이 보급되면서 가정에도 가전제품 간의 연계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홈(Smart Home) 기술 구축이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홈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른 장치들의 상호동작성(interoperability) 및 관리(management)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유무선 연결성(connectivity)을 지원하는 홈 게이트 웨이(Home Gateway)의 도입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게이트 웨이를 이용할 경우 다양한 제조사의 다양한 가전제품의 제어와 그를 통한 연계 기능의 수행을 위해 플랫폼의 표준화가 바람직하다. 이는 게이트웨이의 메타정보 관리(Metadata Management) 구조가 표준화되어 있어야 서로 다른 제조사의 다양한 장치들 간의 연계 동작이 보장되고, 서비스 개발 또한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외부 장치를 연결하고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메타정보 관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정보 관리 구조를 이용하여 실행에 복수의 장치의 참여 및 제어가 요구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게이트웨이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가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보고가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제 2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의 메타 정보가 상기 제 3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에 참여를 요청하는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은,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가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보고를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제 2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제 3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의 메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에 대한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다 다양하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게이트웨이에서 외부 장치에 대한 다양한 메타정보를 트리 형태로 구성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복수의 장치가 참여하는 서비스의 제어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적용되는 계층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최상위 분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장치 항목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외부 장치가 연결됨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장치 기능 항목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위치 항목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사용자 항목, 서비스 항목, 디바이스 어댑터 항목 및 고객 댁내 장치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서 서로 다른 두 사용자의 서비스가 충돌될 경우 수행되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사용한 원격 도어 제어가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3은 라우터를 통해 외부 장치들이 연결될 때, 도 14는 피투피 방식으로 외부 장치들이 연결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장치 중 하나가 변경되는 과정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에 참여하는 장치가 변경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에 참여하는 장치가 변경되는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홈 게이트웨이(smart home gateway), 또는 고객 댁내 장치(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라 칭할 수도 있으나, 편의상 게이트웨이라 칭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게이트웨이는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설치 장소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에서는 장치들이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방법으로 연계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장치들간의 연결성 및 연계 기능 수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 장치들이 게이트 웨이를 통해 연결되고 이를 통해 제어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게이트 웨이에서는 트리 형태의 메타정보 관리(즉, 메타정보 관리 트리: Metadata Management Tree)를 통하여 연결된 장치의 메타 정보(실행 가능한 기능, 위치, 상태 등)를 공통 관리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메타정보 관리 트리는 일종의 데이터 베이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서비스와 미들웨어 플랫폼(middleware platform)과의 규격화/일반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정의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개발자가 본 발명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를 바탕으로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정보의 구조와 내용을 획득하여 서비스의 개발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적용되는 계층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최상위 계층(layer)으로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서비스가, 중간에는 미들웨어 플랫폼 계층으로 인터페스 및 프로세스와 메타정보 관리 트리가, 최하위 계층에는 드라이버 레이어로 복수의 디바이스 어댑터가 각각 구비된다.
서비스는 응용프로그램들을 제어하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와 그 기능이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들웨어 플랫폼 계층의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스는 외부장치와 연결된 디바이스 어댑터와 서비스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미들웨어로, 메타정보 관리 트리를 참조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어댑터는 기능적으로 드라이버 및 시맨틱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드라이버는 서로 다른 다양한 장치들과의 연결성을 제공하고, 시맨틱 변환부는 연결된 장치들로부터 오는 이벤트 관련 신호를 게이트웨이 내부 어플리케이션이 판별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드라이버 레이어 하단에 연결될 장치들의 블록(미도시)에서도 미들웨어 플랫폼과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메타 정보의 정의가 필요한데, 이러한 정의는 상술한 메타정보 관리 트리 구조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된 구조의 형태로 리스트/데이터 베이스로 장치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구체적인 분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최상위 분류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최상위 분류에는 장치(device), 장치 기능(device function), 위치(location), 사용자(user), 서비스(service), 디바이스 어댑터(device adapter), 연결성(connectivity), 고객 댁네 장치(CPE, 즉, 게이트웨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항목은 그 목적에 따라 서비스와 미들웨어 플랫폼간의 상호동작성을 위한 그룹(210)과 각 서비스들 간의 분석/이행을 위한 그룹(2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최상위 트리에 속하는 각 항목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장치 항목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장치(Device)는 실제로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장치 모델(device model)에 대한 분류체계를 다룬다.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는 다시 갈색 가전, 백색 가전, 조명, C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하위 속성으로는 소유자(Owner), 우선순위(Priority), 지원 기능 정의(Supported device function), 클러스터(clust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유자는 제품의 소유자(ownership)를 정의하고, 우선순위는 제품군(예를 들어, TV)에 대해 주/부(primary/secondary) 등의 순위를 정의한다. 또한, 지원 기능 정의는 각 제품군이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정의로 필수(mandatory) 항목만을 지원하는지 선택사양(optional)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각 제품군이 지원하는 기능들 중 어느 기능이 필수인지/선택사양인지 여부는 미리 기능 프로파일 형태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장치별 트리 말단의 지원 기능 정의 항목은 이러한 기능 프로파일을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프로파일의 일례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Funtion Set Get Event Support
start O     M
stop O     M
target temperature O O   M
wind speed O O   M
wind swing O O   M
operation fail     O M
filter change alert     O M
operation mode O O   O
special function O O   O
target humidity O O   O
smart energy operation O O   O
current temperature   O   O
operation status changed     O O
smart meter O O O O
motion detector O O O O
Etc .        
표 1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각 기능에 대하여 설정(set) 가능한 파라미터인지, 값 가져오기(get)가 가능한지, 필수 지원인지 여부가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지원 기능 정의(supported device function)의 속성이 필수라 함은 표 1의 서포트에서 M 항목을 지원한다는 것이고 선택사양이라 함은 서포트에서 O 항목을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장치에 대해서 표 1과 같이 지원 여부가 미리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서비스 개발자에게도 각 장치의 제조사 별로 기능 지원 항목을 모두 조사하고 개발하기는 쉽지 않으므로 이렇게 필수/선택사양 여부가 정의되는 것이 용이하다. 물론, 미들웨어 플랫폼은 서비스와 장치 어탭터의 드라이버 간의 선택사양 항목을 발견할 수 있는, 즉 기능 발견(function discovery)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클러스터(cluster)는 전등과 같이 여러 device가 함께 동작하는 상황을 위해 장치를 미리 클러스터로 분류할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필수/선택사항 여부의 발견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 외부 장치가 연결됨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1) 외부 장치(Device)가 게이트웨이와 연결됨에 따라 메타정보 관리 트리에 해당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장치에 대한 지원 기능 정의(supported device function)의 필수/선택사양 여부도 함께 설정될 수 있다. 2) 서비스는 메타정보 관리 트리로부터 연결된 장치 정보를 읽어와 선택사양인 기능이 있을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한 기능 발견(function discovery)을 수행한다. 3) 이를 위해 따라 서비스는 디바이스 어댑터에 기능 발견 요청(function discovery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디바이스 어댑터는 수신된 메시지를 토대로 연결된 장치의 선택사양 항목을 기능 발견 응답(function discovery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서비스로 회신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장치의 선택사양 항목도 표 1과 유사한 형태로 미리 장치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장치 기능 항목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 기능(Device Function)은 장치들의 기능들을 나열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기능들의 조합에 의해 각 장치의 전체 기능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장치 기능의 필수/선택사양 여부 또한 표 1과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장치 기능은 그 하위 항목으로 온, 오프, 표시, 입력, 방송, 웹브라우저, TV 프로그램, 에너지 측정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기능은 게이트웨이에서 제공되는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와 연계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그 예시로 입력(input)의 기본 키 입력의 형태가 추가로 예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위치 항목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스마트 홈 서비스(smart home service)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각 장치의 위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 6과 같은 형태의 분류가 고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위에서 하위로 집의 위치, 실내/외, 층, 방별 분류가 있을 수 있으며 각 방은 이름(name), 공용/개인(common/personal) 공간 여부, 소유자(owner, 또는 사용자) 등에 대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분류 체계는 특정 위치/공간의 장치를 일괄로 제어하는 경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사용자 항목, 서비스 항목, 디바이스 어댑터 항목 및 고객 댁내 장치의 하위 구성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ser), 서비스(service), 디바이스 어댑터(device adapter) 및 CPE 정보 등이 제공되는 경우, 게이트 웨이 상에서 동작하는 독립된 서비스들이 동시에 실행될 때 자원의 공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우선순위, 소유자, 알림, 충돌 방지절차 등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게이트웨이에서 상술한 메타정보 관리 트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능들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에서 서로 다른 두 사용자의 서비스가 충돌될 경우 수행되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A 사용자의 단말기(1110)와 B 사용자의 단말기(1140) 및 TV(1130)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1120)에 등록을 마치고 연결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즉, 상술한 기능 발견 등의 절차를 통하여 각 장치의 정보가 이미 게이트웨이(1120)의 메타정보 관리 트리에 등록된 상황을 가정한다. 장치간 연결 및 메시지 교환에 대하여, TV(1130)는 게이트웨이(1120)와 직접 유/무선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들(1110, 1140)의 경우 로컬(Local)에서는 직접 게이트웨이와 연결될 수도 있고, 리모트(remote) 상황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게이트웨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A 사용자의 우선 순위가 B 사용자의 우선순위보다 높은 것으로 가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1) A 사용자가 단말기(1110)를 통해 TV(1130)에 대한 예약 녹화(예를 들어, 2013.5.28 11시 채널 200번, 1시간 프로그램)를 게이트웨이(1120)에 요청할 수 있다. 2) 그에 따라 게이트웨이(1120)는 메타정보 관리 트리에서 장치, 장치 기능, 위치, 사용자, 서비스 항목 등을 참조하여 TV(1130)에 예약 녹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1120)는 사용자 항목에서 A 사용자의 우선 순위를 조회하고, 위치 항목에서 TV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는 장치 기능 항목에서 TV(1130)가 예약 녹화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서 녹화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서 예약 녹화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3) 한편, B 사용자도 단말기(1140)를 통해 TV(1130)에 대한 예약 녹화(예를 들어, 2013.5.28 10시 채널 210번, 2시간 프로그램)를 게이트웨이(1120)에 요청할 수 있다. 4) 게이트웨이는 B 사용자가 요청한 예약 녹화가 A 사용자가 요청한 예약 녹화와 시간대가 겹치고 채널이 상이한 경우, 메타정보 관리 트리에 등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내용을 B 사용자의 단말(1140)에 전송할 수 있다. 5) A 사용자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바, B 사용자는 A 사용자에게 예약 녹화의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요청하고, 6) A 사용자는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정보를 바탕으로 한 B 사용자의 요청 사항을 게이트웨이(1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7) 그에 따라 A 사용자는 수락/거절 등의 결정 사항을 B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8) B 사용자는 A사용자로부터 수락/거절 등의 결정 사항을 수신할 수 있다. 9) 만일, A 사용자가 수락한 경우 다시 B 사용자가 희망하는 예약 녹화 요청이 게이트웨이(1120)에 전송되고, 10) 게이트웨이(1120)는 TV(1130)로 B 사용자의 예약 녹화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 9) 및 10) 단계가 없이도 A 사용자의 수락만으로 B 사용자가 3) 단계에서 요청한 정보에 따라 예약 녹화가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수행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사용한 원격 도어 제어가 수행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사용되는데, 그 중 하나(1221)는 사용자의 가정에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1223)는 사용자의 사무실에 구비되며, 서로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현관 도어락 시스템(1210)은 가정 게이트웨이(1221)와 연결되며, 도어벨, 도어 잠금 장치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단말기(1230)은 사무실 게이트웨이(1223)와 로컬로 직접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1) 방문자가 집 현관의 도어벨을 누름에 따라 게이트웨이(1221)에서는 서비스 계층(어플리케이션)으로 메타정보 관리 트리에 저장된 도어락 시스템(1210)에 대한 장치, 위치 및 서비스 정보가 전달된다. 2) 그에 따라 게이트웨이(1221)는 장치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동작시킬 수 있다. 3) 또한, 게이트웨이(1221)는 사용자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한다. 4) 그 결과, 게이트웨이(1221)는 사용자의 위치가 사무실로 확인되면 고객 댁네 장치(CPE) 항목 및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무실에 구비된 게이트웨이(1223)와 서비스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5) 사무실에 구비된 게이트웨이(1223)는 장치 항목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230)를 호출하고, 6) 디바이스 어댑터 항목의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1210)와 단말기(1230)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확인하여 최적의 동영상 코덱을 결정할 수 있다. 7) 이후 장치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가정 게이트웨이(1221)는 현관 카메라의 화면과 음성을 사무실 게이트웨이(1223)로 전달하여 사용자와 방문자가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8) 여기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문열림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가정 게이트웨이(1221)는 장치 및 장치 기능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해제하고 카메라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게이트웨이를 기반으로 복수의 장치가 하나의 서비스 실행에 관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기가 연동되어 동작하는 상황에서 일부 장치가 다른 장치로 대체가 요구될 때의 서비스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서비스의 제어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행되나, 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장치들간의 직접적인 데이터 교환은 라우터(Router)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고 피투피(P2P: Peer-to-Peer) 방식으로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라우터는 그 명칭과 관계없이, 둘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유/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식과 종류에도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3은 라우터를 통해 외부 장치들이 연결될 때, 도 14는 피투피 방식으로 외부 장치들이 연결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에 참여하는 장치 중 하나가 변경되는 과정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장치 1(Device 1) 및 장치 2(Device 2)를 통해 하나의 서비스가 실행되던 중, 장치 2가 장치 3(Device 3)으로 대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서비스의 주체(즉, 서비스의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실행 중 제어를 수행하는 마스터 장치)는 장치 1인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장치 1 및 장치 2는 각각 라우터(Router)와 게이트웨이(Gateway) 모두에 연결된 상황이며, 기 설정된 절차에 따라 서비스가 개시(standard service session start)되면 장치 1과 장치 2는 라우터를 통해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교환한다.
특정 서비스가 실행됨에 따라, 장치 1과 장치 2는 이에 대한 사항(즉, 메타 정보)을 게이트웨이로 보고한다(①, ②) . 이때 ② 과정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서비스와 연계된 모든 장치가 게이트웨이로 보고를 수행할 수도 있고, 마스터 장치(즉, 장치 1)가 다른 장치(즉, 장치 2)의 정보까지 함께 게이트웨이로 보고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고되는 메타 정보(meta data)는 세션 상태(Session state), 연결명(Connectivity name),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Connectivity service category), 채널(Channel), 서비스 컨텐츠(Service contents), 장치 타입(Device type), 장치 주소(Device address), 장치 역할(Device rol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중 장치 타입, 장치 주소, 장치 역할은 게이트웨이에서 이미 보유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정보들은 상술한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형태로 게이트웨이에서 관리될 수 있다.
이후, 장치 3이 켜지커나 특정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게이트웨이로 보고할 ㅅ수 있다(③). 여기서 보고되는 메타 정보에는 연결 능력(Connectivity capability), 연결 서비스 능력(Connectivity service capability), 장치 타입(Device type), 장치 주소(Device address), 장치 역할(Device rol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역시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형태로 게이트웨이에서 관리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③ 과정에서 보고된 메타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실행중인 서비스 중 장치 3으로 전환가능한 서비스의 항목을 선정할 수 있다(④).
선정된 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는 장치 3으로 보고될 수 있다(⑤). 여기서 보고되는 메타 정보에는 연결 이름,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채널, 장치 타입, 장치 주소, 장치 역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치 3에서 서비스에 참여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⑥). 예를 들어, 장치 3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메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결정을 도울 수 있다.
사용자가 장치 3의 서비스 참여(즉, 장치 2 대신 장치 3이 참여)를 결정함에 따라, 게이트웨이로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가 장치 3에서 전달될 수 있다(⑦). 이때, 서비스 변경 요청 메시지에는 연결 이름,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채널, 장치 타입, 장치 주소, 장치 역할 등의 메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게이트웨이는 해당 서비스 항목에 연결된 장치 1 및 장치 2에 서비스 설정(configuration)을 변경할 수 있도록 제어 명령(control command)을 전달할 수 있다(⑧, ⑨). 이때, 제어 명령에는 연결 이름,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대상 장치 주소(Target device addres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장치 1 및 장치 2 사이의 서비스 세션이 중단되고, 장치 3이 장치 2 대신 서비스 실행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 도 14의 경우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각 장치들간에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직접 교환되는 점 외에는 도 13의 과정과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과정들에서 각 메타 정보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연결 이름(Connectivity name) : WiFi, WiFi Direct,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 Bluetooth, Bluetooth LE(Low Energy), 등
-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Connectivity service category) : Miracast, DLNA, A2DP(Advance Audio Distribution Profile) 등
- 서비스 컨텐츠(Service contents) :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스크린 등
- 장치 타입(Device type) : TV, 이동 단말기, 네트워크 접속 저장소(NAS: Network Attached Storage) 등
- 장치 역할(Device role) : 소스/싱크(source/sink),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디지털 미디어 서버(DMS: digital media server),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MP: digital media player),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MR: digital media renderer), 디지털 미디어 제어기(DMC: digital media controller) 등
- 세션 상태(Session state) : 실행중(ongoing), 만료(expire) 등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장치 변경 절차를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에 참여하는 장치가 변경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5에서는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이 거실 TV를 통해 미러링(mirroring)되던 중, 사용자가 단말기와 함께 침실로 이동함에 따라 침실 TV를 통해 미러링이 속행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여기서 미러링이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그대로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다양한 프로토콜(예를 들어, 미라캐스트, DLNA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거실 TV, 침실 TV 및 단말기는 이미 게이트웨이에 등록되어 연결 중이거나 언제든지 연결이 가능한 상황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미러링 서비스가 시작되어 단말기의 화면이 거실 TV로 미러링될 수 있다(①).
그에 따라 단말기는 미러링 서비스에 관련된 메타 정보(예를 들어, 세션 상태, 연결명,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서비스 컨텐츠, 채널, 장치 타입, 장치 주소, 장치 역할 등)을 게이트웨이로 보고할 수 있다(②).
미러링 진행 중, 사용자가 단말기와 함께 침실로 이동할 수 있다(③).
침실로 이동한 사용자가 침실 TV를 켬에 따라(④), 침실 TV는 게이트웨이로 전원이 켜진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⑤).
게이트웨이는 자신에 연결 중인 다른 사용자의 단말이 없는 경우 집에는 해당 사용자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침실 TV가 켜진것은 사용자가 침실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는 침실 TV의 기능(device function)을 초기 연결시 획득하여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거실 TV에서 침실 TV로 전환이 가능한 서비스를 추출하여 그에 관련된 메타 정보를 침실 TV로 전송할 수 있다(⑥).
침실 TV는 수신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행중인 미러링 서비스의 출력 장치를 거실 TV에서 침실 TV로 변경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⑦).
여기서 사용자가 침실 TV로의 변경을 선택하는 경우, 침실 TV는 게이트웨이로 미러링 변경 요청(mirroring scene change request) 메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⑧).
게이트웨이는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기에 미러링 변경 명령(mirroring scene change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⑨). 이때, 미러링 변경 명령 메시지에는 거실 TV의 역할이 침실 TV로 대체됨을 지시하기 위하여 침실 TV의 주소, 타입, 능력 등의 메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미러링 변경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침실 TV로 미러링 서비스의 출력 장치를 변경할 수 있다(⑩).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거실 TV에서 침실 TV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단말기는 게이트웨이로 미러링 전환 완료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⑪).
전환 완료가 보고됨에 따라, 게이트웨이는 거실 TV로 전원을 끌 것을 지시할 수 있다(⑫). 이때, 거실 TV는 바로 꺼질 수도 있고, 꺼짐 예고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거실 TV가 꺼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 서비스에 참여하는 장치가 변경되는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저장소(NAS: Network Attached Storage)에 저장된 컨텐츠가 무선 공유기(AP)를 통해 거실 TV로 전송되어 재생(즉, 공유: share scene)되던 중, 사용자가 침실로 이동함에 따라 침실 TV를 해당 컨텐츠의 재생이 속행되는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블루투스 헤드폰을 착용하고 있으며, 거실 TV 및 침실 TV 모두와 페어링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이어폰이 거실 TV와 연결되어 거실 TV의 음향이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출력되고 있으며, NAS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가 AP를 통해 거실 TV로 전송됨에 따라 해당 컨텐츠가 거실 TV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①).
거실 TV는 그에 따라 컨텐츠 재생에 관련된 메타 정보(예를 들어, 세션 상태, 연결명,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서비스 컨텐츠, 채널, 장치 타입, 장치 주소, 장치 역할 등)와 장치 연결 상태 정보(즉, 블루투스 헤드폰에 대한 장치 타입, 연결명,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장치 주소, 장치 역할 등)을 게이트웨이로 보고할 수 있다(②).
컨텐츠 재생 중,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폰을 착용한 상태로 침실로 이동할 수 있다(③).
침실로 이동한 사용자가 침실 TV를 켬에 따라(④), 침실 TV는 게이트웨이로 전원이 켜짐을 보고할 수 있다(⑤).
그에 따라 게이트웨이는 사용자가 침실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는 침실 TV의 기능(device function)을 초기 연결시 획득하여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거실 TV에서 침실 TV로 전환이 가능한 서비스를 추출하여 그에 관련된 메타 정보를 침실 TV로 전송할 수 있다(⑥).
침실 TV는 수신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행중인 컨텐츠 공유 서비스의 출력 장치를 거실 TV에서 침실 TV로 변경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⑦).
여기서 사용자가 침실 TV로의 변경을 선택하는 경우, 침실 TV는 게이트웨이로 공유 변경 요청(share scene change request) 메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⑧).
게이트웨이는 요청 메시지에 따라 NAS와 침실 TV에 공유 변경 명령(share scene change command)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⑨). 이때, NAS로 전송되는 공유 변경 명령 메시지에는 침실 TV의 주소, 타입, 능력 등의 메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침실 TV로 전송되는 공유 변경 명령 메시지에는 블루투스 헤드폰에 대한 연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미러링 변경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NAS는 침실 TV로 공유 서비스의 출력 장치를 변경할 수 있다(⑩). 또한, 침실 TV는 블루투스 헤드폰과 페어링되어 음향이 블루투스 헤드폰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⑪). 이때, 블루투스 헤드폰은 거실 TV와 페어링이 해제될 수 있다.
거실 TV에서 침실 TV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침실 TV는 게이트웨이로 공유 전환 완료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⑫).
전환 완료가 보고됨에 따라, 게이트웨이는 거실 TV로 전원을 끌 것을 지시할 수 있다(⑬). 전술한 바와 같이, 거실 TV는 바로 꺼질 수도 있고, 꺼짐 예고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경우 거실 TV가 꺼질 수 있다.
상술한 도 16에 의하면, 게이트웨이가 직접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다른 장치를 통해 페어링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해다 서비스에 참여하는 복수의 장치에 대한 일괄적 서비스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이동은 기존에 동작중인 장치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새로이 전원이 들어온 장치가 있는지 여부로 판단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모션 센서나 카메라 등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장치를 통한 방법에도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의 기구적 구성을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게이트웨이(100)는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게이트웨이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게이트웨이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게이트웨이(100)와 외부장치, 게이트웨이(100)와 다른 게이트웨이(100) 사이, 또는 게이트웨이(100)와 다른 게이트웨이(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광 출력부(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게이트웨이(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게이트웨이(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장치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게이트웨이(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게이트웨이(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 및 상술한 메타정보 관리 트리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다른 적어도 일부는, 게이트웨이(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의 유/무선 연결성 제공, 주변의 연결 가능한 장치 탐지 및 등록)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게이트웨이(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게이트웨이(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게이트웨이(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메타정보 관리 트리의 항목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7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게이트웨이(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외부장치와 무선통신부(110) 또는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데이터 경로를 설립하고, 이를 통하여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소정의 등록절차에 따라 외부 장치의 정보를 읽어와 메모리(170)의 메타정보 관리 트리에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전달되면 해당 서비스의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메타정보 관리 트리로부터 획득하고, 필요한 절차(예를 들어, 상술한 충돌 해결 절차, 사용자 위치 탐지에 따른 다른 게이트웨이와의 연동 동작 등)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외부 장치들로부터 실행중인 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보고 받고, 다른 외부 장치가 켜지면 켜진 외부 장치로 실행중인 서비스를 전환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환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켜진 외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특정 서비스가 실행되는 장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가 새로이 켜졌는지 여부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른 정보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게이트웨이(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통신부(110)와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경로를 제공하는 공통의 목적으로 사용될 때 "통신부"라 통칭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게이트웨이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가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보고가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제 2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의 메타 정보가 상기 제 3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에 참여를 요청하는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의 메타 정보는,
    연결 명,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채널, 서비스 컨텐츠, 장치 타입, 장치 주소 및 장치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 타입, 상기 장치 주소 및 상기 장치 역할을 기 설정된 구조의 트리로 관리하며,
    상기 트리는 미들웨어 플랫폼 계층에서 관리되고 서비스 계층에서 참조되는, 게이트웨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로 상기 변경 명령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변경 명령은 상기 제 3 장치의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장치의 메타 정보는,
    상기 제 3 장치의 연결 명,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장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명령은,
    상기 제 1 장치에 상기 제 2 장치의 역할을 상기 제 3 장치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게이트웨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에 제 4 장치가 더 참여하고, 상기 제 4 장치가 상기 제 2 장치에만 연결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장치에 상기 제 4 장치와 연결할 것을 지시하는, 게이트웨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고는,
    상기 제 3 장치의 파워 온 상태를 지시하는, 게이트웨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로 상기 변경 명령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변경 명령은 파워 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상기 변경 명령에 따른 서비스 변경이 완료됨을 지시하는 제 3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 명령이 상기 제 2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9.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 1 장치 및 제 2 장치가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보고를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제 2 보고가 수신되면, 상기 제 3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중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의 메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 중 특정 서비스에 대한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장치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의 메타 정보는,
    연결 명,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채널, 서비스 컨텐츠, 장치 타입, 장치 주소 및 장치 역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타입, 상기 장치 주소 및 상기 장치 역할은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기 설정된 구조의 트리로 관리되며,
    상기 트리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미들웨어 플랫폼 계층에서 관리되고 서비스 계층에서 참조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장치로 상기 제 3 장치의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변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장치의 메타 정보는,
    상기 제 3 장치의 연결 명, 연결 서비스 카테고리, 장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장치로 파워 오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오프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장치로부터 상기 변경 명령에 따른 서비스 변경이 완료됨을 지시하는 제 3 보고가 수신되면 수행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고는,
    상기 제 3 장치의 파워 온 상태를 지시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장치에 상기 제 2 장치의 역할을 상기 제 3 장치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에 제 4 장치가 더 참여하고, 상기 제 4 장치가 상기 제 2 장치에만 연결된 경우,
    상기 제 3 장치에 상기 제 4 장치와 연결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제어방법.
KR1020140064125A 2013-05-28 2014-05-28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9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4777 WO2014193166A1 (ko) 2013-05-28 2014-05-28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8171P 2013-05-28 2013-05-28
US61/828,171 2013-05-28
US201361833902P 2013-06-11 2013-06-11
US61/833,902 2013-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987A true KR20140139987A (ko) 2014-12-08

Family

ID=5245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125A KR20140139987A (ko) 2013-05-28 2014-05-28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99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8923A1 (en) Voice-controlled media play in smart media environment
US20240121133A1 (en) Wireless internet of things, climate control and smart home system
EP3455721B1 (en) Media transfer among media output devices
CN107204903B (zh) 智能家居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25225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JP6502330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プロファイル間コミッショニ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204440045U (zh) 一种多功能智能家居系统
KR102025754B1 (ko)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
WO2017197187A1 (en) Media transfer among media output devices
CN105471686A (zh) 终端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4320494A (zh) 一种基于云技术及物联网技术的智能家居门铃系统
WO2016169231A1 (zh) 一种基于蓝牙组建稳态微微网的方法及其系统
MX2012013518A (es) Estacion de acoplamiento con ruta de comunicacion redundante.
US89661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of diverse devices
CN104158711A (zh) 用于移动电话和upnp控制点整合的方法和系统
CN104426726A (zh) 一种保护用户隐私和信息安全的智能家居系统
CN104394052A (zh) 一种模块化、多业务、综合接入的物联网统一通信平台
KR101884259B1 (ko)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202223A (zh) 一种模块化、多业务、综合接入的物联网统一通信平台
KR20140139986A (ko)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2471A (ko)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KR102219982B1 (ko)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9987A (ko)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CN104853318A (zh) 移动装置、显示装置及使用其的多媒体输出方法
CN102281313B (zh) 一种访问个人网设备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