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772A -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772A
KR20140139772A KR1020130060257A KR20130060257A KR20140139772A KR 20140139772 A KR20140139772 A KR 20140139772A KR 1020130060257 A KR1020130060257 A KR 1020130060257A KR 20130060257 A KR20130060257 A KR 20130060257A KR 20140139772 A KR20140139772 A KR 2014013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router
control command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배
장용주
차주원
박은호
구세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레스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레스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레스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3006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9772A/ko
Publication of KR2014013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통신단말기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공유기와,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기의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지정된 동작이나 온(on)/오프(off)를 수행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적외선 통신으로 전자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적외선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공유기를 구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반드시 해당 전자기기와 서로 마주보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전자기기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원격으로 대상 전자제품을 온(on)/오프(off)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BY USING WIRE/WIRELESS ROUTER HAVING INFRARED RA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이디에스엘(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브이디에스엘 (VDSL, very high-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의 초고속 통신망이 개발되고 그 사용이 확대되면서 인터넷 접속속도는 급격히 높아졌으며, 인터넷은 그야말로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가정이나 직장의 모든 컴퓨터들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비용 대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이하, '공유기'라 한다)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다.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공유기는 AP(Access Point)라 부르기도 하는데, 공유기가 무선 랜 연결(access)을 위한 거점(point) 역할도 같이 하기 때문이다. 공유기는 사무실 또는 집으로 들어오는 인터넷 라인(IP 회선)에 연결하여 무선신호로 송출하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수십 대의 단말 컴퓨터(혹은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유무선 디바이스)가 하나의 인터넷 라인(IP 회선)을 공유해 동시에 인터넷 서비스를 공유하게 하는 장치로, 표준으로 정의된 사설 IP(Internet Protocol)를 각 PC(Personal Computer)에 나누어주는 네트워크 주소변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방식을 이용해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1은 유무선 공유기의 인터넷 접속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공유기는 내부 컴퓨터들을 네트워크 포트로 각각 연결하고 이를 하나의 고속 통신망과 접속하여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통해 외부 인터넷망과 통신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자체적으로 설정한 사설 IP주소를 통해 각 연결 컴퓨터들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무선 통신이란 케이블 연결없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의 통칭이다. 현대에 들어 사용하는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무선 랜)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전파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전파가 아닌 '빛'을 이용한 무선통신 기술 역시 공존하고 있다. 이를 '광(光) 무선통신'이라고 한다. 광 무선통신에서는 전달매체로서,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을 이용한다.
적외선을 이용하는 광 무선통신은 가시광선에 비해 파장이 길기 때문에 공기 중에 떠도는 미립자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으며, 기기간의 거리가 짧다면 전파에 비해 넓은 대역폭(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을 쉽게 확보할 수 있어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적외선(IR, Infrared Ray) 통신에 있어서, 송수신단 양쪽 기기는 반드시 서로 마주보고 있어야 하며, 적외선 통신이 적용된 대표적인 기기는 전자제품 리모컨인데, TV, 에어컨, 오디오, 비디오, 선풍기, 조명등 등 다양한 전자제품의 리모컨에 적외선 통신이 적용된다.
또한, 2000년대 초반까지 적외선 통신기능은 휴대전화에 거의 필수적으로 탑재되기도 했는데, 이를 이용해 휴대전화 간에 주소록이나 사진 등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용도로 자주 쓰였다. 그리고, 적외선 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 중 일부는 리모컨 기능을 구비하여, 리모컨 겸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리모컨 겸용 휴대 단말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49694(이하, 선행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선행문헌에 따른 리모컨 겸용 휴대단말기는 단말에 적외선 통신모듈이 구비되어야 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적외선 수신부를 구비한 전자제품과 서로 마주보고 통신을 수행해야 한다. 도2는 종래 리모컨 겸용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컨 겸용 휴대단말기는 통신할 수 있는 거리가 수 미터 정도로 짧다는 점에서, 기존 리모컨의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49694(발명의 명칭: 리모콘 겸용 휴대폰)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전자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60°회전 가능한 적외선 송신부를 바디 일측에 실장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적외선 통신으로 전자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적외선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공유기를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공유기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예: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데스크탑 컴퓨터 등)는 별도의 적외선 통신모듈을 구비하지 않고도, 리모컨 기능의 소프트웨어(예: 리모컨 어플리케이션)를 실장하는 것으로써, 대상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반드시 해당 전자기기와 서로 마주보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전자기기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원격으로 대상 전자제품을 온(on)/오프(off)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기는 이더넷(Ethernet)을 기반으로 하므로, 동적 DNS 기능과 연동하여 외부에서도 집안 내부의 전자기기를 제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소규모의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기능을 공유기 하나만으로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1은 유무선 공유기의 인터넷 접속을 나타낸 개념도.
도2는 종래 리모컨 겸용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설명한 예시도.
도3은 본발명에 따라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는 원격제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의 블록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통신단말기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공유기와,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기의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지정된 동작이나 온(on)/오프(off)를 수행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유기는, 외부망 또는 통신단말기와의 유선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유선통신부와,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일정 거리 내의 통신단말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과, 상기 통신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환된 코드의 적외선 신호를 발송하는 적외선 송신부와, 몸통 일측에 상기 적외선 송신부를 장착하고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을 검사하는 실효성 검사부와, 상기 실효성 검사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는 IR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외선 송신부는, 적외선 송신부를 360°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공하는 회전 그립부와, 적외선 광을 송출하는 적외선 램프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적외선 송신부의 몸통을 형성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적외선 램프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은,
통신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공유기 측으로, 상기 통신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의 실효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실효성 검사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전자기기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전자기기에서,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하거나 온(on)/오프(off)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이동단말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는 원격제어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시스템은 통신단말기(200), 적외선 송신부를 구비하는 공유기(100), 그리고 적외선 수신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단말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공유기(100)에 접속 가능하고, 단말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자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통신단말기(200)는 상기 공유기(100)에 무선으로 접속하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에서 소정의 웹 서버(400)를 통해 공유기(100)에 접속할 수 있다.
통신단말기(200)는 상기 전자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예: 리모컨 소프트웨어)을 인스톨(install)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예: 리모컨 소프트웨어)의 경우 사용자가 공유기 제조사 서버(미도시)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or 앱스토어(App store))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단말(200) 사용자는 전자기기(300) 제어를 위해 먼저, 앱스토어(App store))로부터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예: 리모컨 소프트웨어)을 실행시키고, 전자기기(300, 예: TV)를 조작하기 위한 명령(예: 채널 업(up) 명령)과 그 외 부가정보(예: 전자기기(300)의 모델명 등)를 입력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예: 리모컨 소프트웨어)은 사용자의 입력을 참조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공유기(100)측으로 발송한다.
상기 제어명령의 패킷 데이터는 헤더(명령구분, 패킷 길이 등을 수록), 전자기기(300)의 모델명 정보, 명령 정보(전자기기(300)에 내려진 사용자의 명령), 체크 섬(패킷 오류검출용)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200)는 휴대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통신단말기(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유기(100)는 상기 통신단말기(200)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적외선 신호를 발신한다.
공유기(100)는 상기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우선,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 검사를 통해 패킷의 오류를 검출한다. 그리고, 실효성 검사 후, 오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을 위한 코드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변환된 코드의 적외선 신호를 전자기기(300, 예: TV))측으로 발신한다.
상기 전자기기(300)는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기(10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 지정된 동작(예: 채널 업(up))이나 온(on)/오프(off)를 수행한다. 전자기기(300)는 리모컨으로 제어 가능한 TV, 에어컨, 오디오, 비디오, 선풍기, 조명등 등이 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10)는 유선통신부(110), 와이파이(WiFi) 모듈(120), IR(Infrared Ray) 송신부(130, or 적외선 송신부), 제어부(140), 안테나(150), 입출력 포트(160), 메모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선통신부(110)는 외부망(예: 인터넷 망) 또는 통신단말기와의 유선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유선통신부(110)는 상기 공유기(100)와 통신단말기 (200)의 유선통신 연결을 제어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웹 서버(400)의 접속을 위한 외부망(예: 인터넷 망)과 공유기(100)의 유선통신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120)은 와이파이(무선 프로토콜)를 지원하는 일정 거리 내의 통신단말(200) 측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칩(chip)이다.
상기 제어부(140)는 통상적으로 유무선 공유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유선통신부(110), 와이파이(WiFi) 모듈(120), IR송신부(130), 입출력 포트(160), 메모리(170)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단말기(200)의 제어명령을 적외선(IR, Infrared Ray) 코드로 변환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우선,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 검사를 통해 패킷의 오류를 검출한다. 그리고, 실효성 검사에서 오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을 위한 코드로 변환한다.
제어부(140)는 실효성 검사부(142)와 IR(Infrared Ray) 변환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효성 검사부(142)는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을 검사하고, 상기 IR변환부(146)는 상기 실효성 검사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을 위한 코드로 변환한다.
상기 IR(Infrared Ray) 송신부(130, 이하, '적외선 송신부(130)'라 한다)는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제어명령이 적외선 통신을 위한 코드로 변환되면, 변환된 코드의 적외선 신호를 전자기기(300)측으로 발송한다. 적외선 송신부(1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회전 가능한 원통형으로서, 상기 안테나(150)의 몸통 일측에 구비된다. 원통형의 적외선 송신부(130)는 또한, 공유기(100)의 바디부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송신부(130)는 고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향방향을 달리하는 다수 개의 적외선 송신모듈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고정식의 경우, 상기 다수 개의 적외선 송신모듈이 각기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공유기(100)의 바디부와 적외선 송신부(130)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송신부(1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그립부(132), 적외선 램프(134), 커버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그립부(132)는 360°회전하는 적외선 송신부(130)의 손잡이로서, 사용자는 회전 그립부(132)를 쥐고 적외선 송신부(130)를 360°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램프(134)는 적외선 광을 송출한다.
상기 커버부(136)는 적외선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적외선 송신부(130)의 몸통을 형성한다. 커버부(136)는 원통형 몸통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적외선 램프(134)를 포함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적외선 램프(134)를 보호한다.
상기 안테나(150)는 몸통 일측에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를 장착하고, 와이파이(무선 프로토콜)를 지원하는 일정 거리 내의 통신단말(200) 측과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안테나(150)는 와이파이 무선신호를 공기 중으로 송출하고 일정 거리내 통신단말(200)의 발신신호를 수집한다.
상기 입출력 포트(Input/Output Port, 160)는 상기 제어부(140)에서 일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준비된 포트로서,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이하, 'GPIO포트'라 한다)포트를 포함하며, GPIO포트를 통한 전기적 신호의 입출력으로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입출력 단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 포트(160)의 GPIO 포트는 하드웨어적으로는 단순히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와 제어부(140)를 연결하여 제어부(140)에서 전송되는 신호가 적외선 송신부(13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렇게 GPIO 포트에 의해,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와 제어부(140)의 연결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웹 페이지(400) 혹은 통신단말기(200)의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흔히 사용하는 리모컨에서 내보내는 신호를 공유기(100)를 통해 내보낼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기 통신단말기(200)와 공유기(100) 간에 TCP/IP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 사전에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메모리(170)는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예: 제어명령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 사용자는 전자기기(300) 제어를 위해 먼저, 앱스토어(App store))로부터 다운로드한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전자기기(300, 예: TV)와 그 모델명을 선택하고, 조작하기 위한 명령(예: 채널 업(up) 명령) 등을 입력한다. (S10) 사용자의 선택과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공유기(100) 측으로 발송한다.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한 공유기(100)는 우선,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 검사를 통해 제어명령의 패킷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S20) 그리고, 실효성 검사에서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을 위한 코드로 변환한다. (S30)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를 통해, 전자기기(300, 예: TV))측으로 발신한다. (S40)
상기 전자기기(300)는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공유기(100)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 지정된 동작(예: 채널 업(up))을 수행한다. (S50)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로서, 원격지(예: 사무실)의 사용자가 소정의 웹 서버(400)를 통해 공유기(100)에 접속하여 가전제품(예: 에어컨)을 제어하는 동작 예에 관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사에서 근무 중인 단말(200) 사용자는 자택의 에어컨(300)을 끄기 위해 먼저, 앱스토어(App store))로부터 다운로드한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전자기기(300)의 종류(예: 에어컨)와 그 모델명을 선택하고, 상기 공유기(100)의 주소(예: IP주소(118.33.23.11) 혹은 도메인 주소(http://smart.myzio.co.kr))와 적용할 명령(예: 전원오프(power off) 명령) 등을 입력한다.(S10) 사용자의 선택과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웹 서버(400) 측으로 발송한다. 그리고, 제어명령을 수신한 웹 서버(400)는 상기 주소(예: 118.33.23.11 혹은 http://smart.myzio.co. kr)의 공유기(100)로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이후,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한 공유기(100)는 우선,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 검사를 통해 제어명령의 패킷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S20) 그리고, 실효성 검사에서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을 위한 코드로 변환한다. (S30)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를 통해, 에어컨(300)측으로 송출한다. (S40)
상기 에어컨(300)은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공유기(100)의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라 지정된 동작(예: 전원오프(power off))을 수행하게 된다. (S50)
본 발명의 사용자는 상기 공유기(100)를 이용하여, 나아가 동적 DNS(Dynamic DNS(Domain Name Server))를 통해 외부에서 집안 내부의 기기를 제어하는 소규모 홈네트워크(Home network)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기(100)는 이더넷(Ethernet)을 기반으로 하므로, 동적 DNS 기능과 연동하여 외부에서도 전자기기(300)의 제어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소규모의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기능을 공유기 하나만으로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동작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 예들이 상기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나 제어부(14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서령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소(미도시)에 저장되고, 상기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나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외선 통신으로 전자제품을 원격 제어하는 적외선 통신기능을 구비하는 공유기를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공유기(100)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200, 예: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데스크탑 컴퓨터 등)는 별도의 적외선 통신모듈을 구비하지 않고도, 리모컨 기능의 소프트웨어(예: 리모컨 어플리케이션)를 실장하는 것으로써, 대상 전자기기(300)를 원격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반드시 해당 전자기기(300)와 서로 마주보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전자기기(300)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원격으로 대상 전자제품을 온(on)/오프(off)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기(100)는 이더넷(Ethernet)을 기반으로 하므로, 동적 DNS 기능과 연동하여 외부에서도 집안 내부의 전자기기(300)를 제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소규모의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기능을 공유기 하나만으로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100 : 유무선 공유기
110 : 유선통신부 120 : 와이파이(WiFi) 모듈
130 : 적외선 송신부 132 : 회전 그립부
134 : 적외선 램프 136 : 커버부
140 : 제어부 142 : 실효성 검사부
146 : IR변환부 150 : 안테나
160 : 입출력 포트 170 : 메모리
200 : 통신단말기 300 : 전자기기

Claims (9)

  1.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통신단말기(200)와;
    상기 통신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공유기(100)와;
    적외선 수신부를 통해 상기 공유기의 적외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지정된 동작이나 온(on)/오프(off)를 수행하는 전자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100)는,
    외부망 또는 통신단말기와의 유선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유선통신부(110)와;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일정 거리 내의 통신단말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120)과;
    상기 통신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변환된 코드의 적외선 신호를 발송하는 적외선 송신부(130)와;
    몸통 일측에 상기 적외선 송신부를 장착하고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100)는,
    상기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을 검사하고,
    상기 실효성 검사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고,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상기 변환된 코드의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단말기(20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실효성을 검사하는 실효성 검사부(142)와;
    상기 실효성 검사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는 IR변환부(1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는,
    360°회전 가능한 원통형으로서, 상기 안테나(150)의 몸통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는,
    적외선 송신부를 360°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공하는 회전 그립부(132)와;
    적외선 광을 송출하는 적외선 램프(134)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적외선 송신부(130)의 몸통을 형성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적외선 램프를 보호하는 커버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부(130)는,
    각기 다른 방향을 지향하며 공유기(100)의 바디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적외선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8. 통신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공유기(100) 측으로, 상기 통신단말기(200)의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의 실효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실효성 검사에서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를 통해 전자기기(300) 측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전자기기(300)에서,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하거나 온(on)/오프(off)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100)는,
    외부망 또는 통신단말기와의 유선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유선통신부(110)와;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일정 거리 내의 통신단말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WiFi) 모듈(120)과;
    상기 통신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적외선 코드로 변환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변환된 코드의 적외선 신호를 발송하는 적외선 송신부(130)와;
    몸통 일측에 상기 적외선 송신부를 장착하고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안테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
KR1020130060257A 2013-05-28 2013-05-28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KR20140139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57A KR20140139772A (ko) 2013-05-28 2013-05-28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257A KR20140139772A (ko) 2013-05-28 2013-05-28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72A true KR20140139772A (ko) 2014-12-08

Family

ID=5245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257A KR20140139772A (ko) 2013-05-28 2013-05-28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97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57B1 (ko) * 2016-12-01 2017-04-06 주식회사 우리 개인용 무선 공유기의 접속제어 장치
WO2017090900A1 (ko) * 2015-11-25 2017-06-01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전력 소비의 시계열적 변화를 활용하여 적외선 원격 제어의 동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900A1 (ko) * 2015-11-25 2017-06-01 주식회사 스마트올웨이즈온 전력 소비의 시계열적 변화를 활용하여 적외선 원격 제어의 동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23957B1 (ko) * 2016-12-01 2017-04-06 주식회사 우리 개인용 무선 공유기의 접속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0121B2 (en) LED lighting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figuration method
US9596716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smart device management method using LED lighting devices
US9892634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US2016013202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smart home products
CN105792208A (zh) 一种控制设备接入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WO2015051675A1 (zh) 网络接入设备管理方法和装置
US201502454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zigbee wireless lighting
JP7410219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US10101771B2 (en) Remote control docking station and system
CN103260257A (zh) 自动建立Wi-Fi Display连接实现屏幕共享的方法和系统
CN102946447A (zh) 一种工业设备远程数据传输系统及方法
US9270571B2 (en) Router collaboration
CN102437975A (zh) 一种基于arm9的家庭智能网关系统
Rathod et al. Wireless automation using ZigBee protocols
US9933763B1 (en) Control system for providing cloud based commands to control operation of internet connected devices
KR20140139772A (ko)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CN108829481A (zh) 基于控制电子设备的遥控器界面的呈现方法
CN102647802A (zh) 一种无线数据共享的方法及实现共享的终端
CN104167088A (zh) 家用电器远程控制的方法及系统
Sanyal et al. An experience of implementing IPv6 based data retrieval syste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7359882A (zh) 一种双频无线路由器及其数据传输方法
CN203800954U (zh) 一种带无线视频监控功能的路由器
KR101905422B1 (ko) 와이파이 기반 사물인터넷 단말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044359B2 (ja) 車両装置と携帯端末との動作適合化方法、車両装置と携帯端末とを備える車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情報センタ
CN104780216A (zh) 一种无互联网连接的设备上传数据到互联网服务器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