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437A - Electronic device having bezeless touch screen and display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having bezeless touch screen and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437A
KR20140139437A KR1020140063450A KR20140063450A KR20140139437A KR 20140139437 A KR20140139437 A KR 20140139437A KR 1020140063450 A KR1020140063450 A KR 1020140063450A KR 20140063450 A KR20140063450 A KR 20140063450A KR 20140139437 A KR20140139437 A KR 20140139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display unit
fastening plate
engaging
scree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1279B1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ublication of KR2014013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4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ezeless touch screen and a display device having a wide display area and facilitating assembly and disassembly.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bezeless touch screen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panel, a display unit, a coupling plate, and a housing. The display unit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uch screen panel. The coupling plate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which fixes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external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coupling unit which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unit and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plate.

Description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HAVING BEZELESS TOUCH SCREEN AND DISPLAY}ELECTRONIC DEVICE HAVING BEZELESS TOUCH SCREEN AND DISPLA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ezelless touch screen and a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zelless touch screen having a wider display area and being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나 도형을 사람의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수단으로 접촉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유닛 위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등으로 접촉된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전기적 신호는 입력 신호로서 이용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touch screen panel is a device for inputting a command of a user by touching a character or a figure displayed on a screen of a display unit with a finger or other contact means of a person, and is attached and used on a display unit. The touch screen panel converts a contact position that is touched by a human finger or the lik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electrical signal is used as an input signal.

터치스크린 패널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패드 및 상기 센서 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포함한다. 센서 패드로 입력된 터치 신호는 복수의 신호 배선을 통하여 터치스크린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로 전달되어 입력 신호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The touch screen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pads formed on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signal wirings connected to the sensor pads. The touch signal input to the sensor pad is transmitted to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through a plurality of signal lines and can be used as an input signal.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탑재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capacitive touch device Fig. 8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panel.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10)는 메인 보드(20)와, 메인 보드(20) 상부에 차례로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30), 터치스크린 패널(40) 및 커버유리(50), 그리고 하우징(60)을 포함한다. 1 to 3, a mobil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ain board 20, a display unit 30, a touch screen panel 40, A cover glass 50, and a housing 60.

여기서, 메인 보드(20)에는 모바일 전자기기(1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자 부품이 탑재되며, 하우징(60)에는 메인 보드(20), 디스플레이 유닛(30), 터치스크린 패널(40) 및 커버유리(50)가 결합 고정된다. The main board 20 is provided with electronic parts required for driving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10. The main body 20 includes a main board 20, a display unit 30, a touch screen panel 40, The glass 50 is engaged and fixed.

한편, 터치스크린 패널(40)은 투명 기판(41)과 투명 기판(41) 위에 차례로 형성된 제1센서 패턴층(42), 제1절연막층(43), 제2센서 패턴층(44) 및 제2절연막층(45)과 금속 배선(46)으로 이루어진다.The touch screen panel 40 includes a first sensor pattern layer 42, a first insulating layer 43, a second sensor pattern layer 44, and a second sensor pattern layer 43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41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41, 2 insulating film layer 45 and a metal wiring 46.

제1센서 패턴층(42)은 투명 기판(41) 위에 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행 단위로 금속 배선(46)과 연결된다.The first sensor pattern layer 42 may be laterally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substrate 41 and connected to the metal wiring 46 on a row-by-row basis.

제2센서 패턴층(44)은 제1절연막층(43) 위에 종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센서 패턴층(42)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센서 패턴층(42)과 교호로 배치된다. 또한, 제2센서 패턴층(44)은 열 단위로 금속 배선(46)과 연결된다.The second sensor pattern layer 4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4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first sensor pattern layer 42 so as not to overlap the first sensor pattern layer 42 . Further, the second sensor pattern layer 44 is connected to the metal wiring 46 on a thermal unit basis.

금속 배선(46)은 터치스크린 패널(40)의 외곽에 형성되며, 터치 접촉 위치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 패널(40)에 사람의 손가락이나 접촉 수단이 접촉되면 제1센서 패턴층(42)과 제2센서 패턴층(44), 및 금속 배선(46)을 통하여 구동 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 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달된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따라 접촉 위치가 파악된다.The metal wiring 46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40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contact position. That is, when a finger or contact means of a human touches the touch screen panel 40, a drive circu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pattern layer 42, the second sensor pattern layer 44, A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is transmitted. Then, the contact position is determined as the change in capacitance transferre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한편, 이러한 금속 배선(46)은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영상을 가리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패널(40)을 디스플레이 유닛(30)보다 크게 함으로써, 금속 배선(46)이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Since the metal wiring 46 covers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30, the metal wiring 46 is arranged outside the display unit 30 by making the touch screen panel 40 larger than the display unit 30 Respectively.

또한, 이러한 금속 배선(46)은 외부에 노출 시에 심미감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패널(40)을 모바일 전자기기에 실장 시 해당 금속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베젤(Bezel)을 'A' 영역에 추가로 형성해주어야만 한다. 베젤은 배선을 가리기 위하여 유색 잉크, 일례로 흑색 잉크를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베젤이 없거나 좁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현하기 어렵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의 금속 배선까지 고려하는 경우, 베젤 영역(A)은 더 커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이러한 베젤은 동일한 사이즈의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하는 문제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10)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한 심미감도 떨어뜨릴 수 있다.The bezel for preventing the metal wiring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touch screen panel 40 is mounted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is called a ' A 'region. The bezel is generally formed by applying a colored ink, for example, a black ink, in order to cover the wiring. Therefore, in a conventi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display area without a bezel exposed to the outside or a narrow display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metal wiring of the display unit 30, the bezel area A has to be larger. However, such a bezel not only causes a problem of reducing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displayed in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of the same size, but also reduces the aesthetic sensitivity of the display portion of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10 as a whole.

한편, 터치스크린 패널(40)의 금속 배선의 배치를 무시하더라도, 터치스크린 패널(40)과 하우징(60)의 접합 부위에 의해 베젤이 넓게 형성될 수 밖에 없었다. 즉, 터치스크린 패널(40)은 터치스크린 패널(40)의 테두리 하단부가 하우징(60)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61)의 상면에 테이프 방식 또는 에폭시를 이용한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테이프 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은 접합 부위의 면적에 따라 접합력이 결정된다. 터치스크린 패널(40)과 하우징(60)이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수준의 접합력을 가지려면, 베젤 영역과 유사하거나 이보다 큰 면적의 접합 면적이 필요했다. 또한, 테이프 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에 의해 결합된 터치스크린 패널(40)과 하우징(60)은 접합 후 분리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소비자)의 요구에 의한 교체 및 수리 시에 해당 부품을 교체 및 수리하기가 쉽지가 않아 교체비 및 공임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disposition of the metal wiring of the touch screen panel 40 is neglected, the bezel has to be formed broadly due to the bonding portion between the touch screen panel 40 and the housing 60. That is, the touch screen panel 4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61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60 by thermally welding using a tape type or epoxy. In such a tape type or heat fusion type method, the bonding force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bonding site. In order for the touch screen panel 40 and the housing 60 to have the required level of bonding strength, a bonding area of an area similar to or larger than the bezel area was required. Further, since the touch screen panel 40 and the housing 60, which are coupled by the tape method or the heat welding method, can not be separated after bonding, defects may occur in the assembling process, It is not easy to replace and repair the parts at the time of repair, which causes a problem of increase in replacement cost and labor cost.

한편, 최근에는 형합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및 터치스크린 패널을 하우징에 기구적으로 끼워 넣은 방식도 등장하고 있으나, 이 역시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존재하는 금속 배선 영역을 가리기 위한 베젤 영역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a display unit and a touch screen panel are mechanically inserted into a housing in consideration of mold-type integration. However, a bezel region for covering a metal wiring region existing in a touch screen panel or a display unit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zelless touch screen having a wider display area and being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display.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체결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creen panel, A display unit provided below the touch screen panel; A fastening plate provided below the display unit; And a housing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closely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engaging plat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displa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단차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및 외측면을 밀착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late has a rim extending and projecting outwardly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a stepped relation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are tightly fixed can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으로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rim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m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coupl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이고,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mber is a bolt, and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with a thread to screw the bol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ard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be close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ar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메인 기판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ard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astening plate, a second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main boar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por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rim portion, and an engaging proj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substrate may further be provided below the fastening plate or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astening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substrate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or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may be close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ubstrate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보다 작은 면적의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hol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부에는 커버유리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유리는 상기 제1결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glas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cover glass may be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탑재한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의 전자기기에서 베젤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기기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전자기기에서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bezelless touch screen and a display unit can be realized. Since the display unit can be extended to a region where a bezel is formed in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A wider display area can be realized in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size as tha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of Fi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재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by the coupling member, so that assembly and disassembly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모바일 전자기기에 탑재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upling of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3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mounted on a conventional mobile electronic devic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touch screen panel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panel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coupl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pl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components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components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pl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coupl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분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touch screen panel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7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coupl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10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 디스플레이 유닛(300), 체결 플레이트(400) 그리고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7, an electronic device 100 equipped with a bezelless touch screen and a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panel 200, a display unit 300, a fastening plate 400, And may include a housing 500.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기판(210), 기판(2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 패드(220), 센서 패드(22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신호 배선(230), 구동장치(240) 및 신호 배선(230)과 구동장치(240)를 연결하는 회로 기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touch screen panel 200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210, a plurality of sensor pads 220 formed on the substrate 210, a plurality of sensor pads 220, And a circuit board 250 connecting the driving device 240 and the signal line 230 to the driving device 240. The driving device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gnal lines 230,

기판(210)은 투명한 소재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substrate 210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film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the like.

그리고, 각 신호 배선(230)은 한 쪽 끝이 센서 패드(2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은 기판(210)의 아래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을 수 있다.Each signal line 23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or pad 220 and the other end extended to the lower edge of the substrate 210.

센서 패드(220)는 인접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신호 배선(230)의 선폭은 수~수십 마이크로 미터 수준으로 상당히 좁게 이루어져 센서 패드(220)의 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 패드(220)와 신호 배선(230)은 ITO(indium-tin-oxide), ATO(Antimony Tin Oxide), IZO(indium-zinc-oxide), CNT(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영상은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통해 왜곡 또는 가려짐이 없이 표시될 수 있다.The sensor pads 220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djacent matrices and the line width of the signal lines 230 may be located between the rows of the sensor pads 220, The sensor pads 220 and the signal wires 2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antimony tin oxide (ATO), indium zinc-oxide (IZO), carbon nanotube (CNT), graphene It can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300 can be displayed without being distorted or blocked through the touch screen panel 200. [

센서 패드(220)와 신호 배선(230)은 투명한 절연판(260)으로 덮일 수 있으며, 투명한 절연판(260)은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or pad 220 and the signal wiring 230 may be covered with a transparent insulating plate 260 and the transparent insulating plate 260 may be made of a glass material.

센서 패드(220)와 신호 배선(230)은 투명한 절연판(260)에 직접 패터닝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명한 절연판(260), 센서 패드(220) 및 신호 배선(230)이 일체형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기판(210)은 생략될 수 있다.The sensor pad 220 and the signal wiring 230 may be directly patterned on the transparent insulating plate 260. In this case, since the transparent insulating plate 260, the sensor pad 220 and the signal wiring 230 are integrally formed, (210) may be omitted.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240)는 인쇄 회로 기판이나 가요성 회로 필름과 같은 회로 기판(250) 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210) 또는 투명한 절연판(260)의 일부에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구동장치(240)는 터치 검출부(241), 터치 정보 처리부(242), 메모리(243) 및 제어부(244)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직접회로(IC)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검출부(241), 터치 정보 처리부(242), 메모리(243), 제어부(244)는 각각 분리되거나,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240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panel 200 may be formed on a circuit board 250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circuit film but is not limited to the substrate 210 or the transparent insulating plate 260, As shown in FIG. The driving unit 240 may include a touch detection unit 241, a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2, a memory 243 and a control unit 244 and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integrated circuit (IC) chips. The touch detection unit 241, 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2, the memory 243, and the control unit 244 may be separated, or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터치 검출부(241)는 센서 패드(220) 및 신호 배선(230)과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와 복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44)로부터 신호를 받아 터치 검출을 위한 회로들을 구동하고, 터치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검출부(241)는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패드(220)의 전압 변화의 차이를 변환, 증폭 또는 디지털화하여 메모리(243)에 기억시킬 수 있다.The touch detection unit 241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connected to the sensor pad 220 and the signal line 230. The touch detection unit 241 receives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244 to drive circuits for touch detection, Th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sult can be outputted. The touch detection unit 241 may include an amplifi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The touch detection unit 241 may convert, amplify, or digitize the voltage change of the sensor pad 220 and store the converted difference in the memory 243.

또한, 터치 정보 처리부(242)는 메모리(243)에 기억된 디지털 전압을 처리하여 터치 여부, 터치 면적 및 터치 좌표 등의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2 may process the digital voltage stored in the memory 243 to generat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touch state, touch area and touch coordinates.

그리고, 제어부(244)는 터치 검출부(241) 및 터치 정보 처리부(242)를 제어하고,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펌 웨어를 통해 정해진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4 controls the touch detection unit 241 and the touch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2 and may include a micro control unit (MCU) have.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신호 배선(230)이 투명하기 때문에, 신호 배선(230)의 위치와 상관없이 신호 배선을 가리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신호 배선(230)이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영상을 가리지 않고, 육안으로 거의 식별이 되지 않아 베젤이 없는, 즉, 베젤리스(Bezeless)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signal wiring 230 of the touch screen panel 200 is transparent, a structure for covering the signal wiring is not requir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ignal wiring 230. In other words, the touch screen pane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gnal wiring 230 does not cover the image of the display unit 300, is hardly recognized by the naked eye, and is not provided with a bezel, You can implement panels.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기본적으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패널이 탑재된다. 본 발명에서,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전술한 형태의 터치스크린 패널(200)뿐만 아니라, 공지된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모든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bezeless touch screen pan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zeless touch screen panel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touch screen panel 200 of the above-described type, but also to all the bezeless touch screen panels which can be realized by a known technique.

이하에서는, 전자기기(100)에 탑재된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connection of component parts mounted on the electronic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의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하부에는 체결 플레이트(40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 패널(200), 디스플레이 유닛(300) 및 체결 플레이트(400)는 하우징(50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7, a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below the touch screen panel 20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astening plate 400 is provided below the display unit 300 . The touch screen panel 200, the display unit 300, and the fastening plate 4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500.

하우징(500)은 제1결합부(510) 및 제2결합부(520)를 가질 수 있다. 제1결합부(510)는 하우징(500)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부(520)는 하우징(500)의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제1결합부(5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체결 플레이트(4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520)는 제1결합부(510)에 단차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40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과 디스플레이 유닛(300)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며 하우징(500)과 결합된다. 체결 플레이트(4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편의상 체결 플레이트(400)와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두께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체결 플레이트는 터치 스프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housing 500 may have a first coupling portion 5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520. The first coupling portion 510 may b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00 and closely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touch screen panel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20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0 and may be coupled to the engaging plate 4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20 may be stepped 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0. The fastening plate 400 stably accommodates the touch screen panel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and is coupled to the housing 500. The fastening plate 400 may be made of metal. 7, the fastening plate 400 is substantially the same thickness as the touch screen panel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but the fastening plate is smaller than the touch screen panel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Thickness.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테두리부(41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410)에는, 테두리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관통공(42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관통공(420)은 테두리부(4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10, the fastening plate 400 includes a rim 4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display unit 300, and a fastening plate 400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te 400, Lt; / RTI >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42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410 in the rim 410.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420 may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m 410.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얹혀지는 부분이 채워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 플레이트(40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300)보다 작은 면적의 홀(4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홀(430)은 체결 플레이트(4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430)은 디스플레이 유닛(300)과 후술할 메인 기판(9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체결 플레이트(400)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전자기기(100)의 무게를 줄이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the fastening plate 40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on which the display unit 300 is placed is fill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0 (b), the fastening plate 400 may further include a hole 430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display unit 300. The holes 430 may be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plate 400. The hole 430 may provide a spac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300 and a main substrate 9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reduce the weight of the fastening plate 400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Effect can also be provided.

그리고,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상부에는 커버유리(6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유리(600),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유리(600), 터치스크린 패널(200), 디스플레이 유닛(300) 및 체결 플레이트(400)를 통칭하여 ‘디스플레이 장치(800)’라 칭하기로 한다.The cover glass 6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200 and the cover glass 600, the touch screen panel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may have the same size. Hereinafter, the cover glass 600, the touch screen panel 200, the display unit 300, and the fastening plate 400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isplay device 8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하우징(5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체결 플레이트(400)의 테두리부(410)가 제1결합부(510)에 걸리게 되면서 하우징(5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에 의해 체결 플레이트(400)의 테두리부(410)의 상면 및 외측면은 제2결합부(520)에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커버유리(600),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제1결합부(5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510)의 상측에는 터치스크린 패널(200) 및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그 상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결합부는 터치스크린 패널(200) 또는 커버유리(600)의 상측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800 can be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500 and the display device 800 can prevent the edge portion 410 of the fastening plate 400 from being caught by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0, 500).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portion 410 of the fastening plate 400 can be tightly fix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20 and the cover glass 600 and the touch screen panel 200, (300) may be clos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10). On the other hand,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touch screen panel 200 and the display unit 300 from being separated in the upper direction may be add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unit 510. In one example,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may cover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200 or the cover glass 600.

제1결합부(510)의 하측면에는 테두리부(410)에 형성된 제1관통공(420)에 대응되는 체결홈(5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공(420)으로는 체결홈(511)에 체결되도록 결합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700)는 볼트일 수 있으며, 체결홈(511)에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groove 5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420 formed in the rim portion 4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10. In the first through hole 420, The coupling member 7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511 so as to be coupled. Here, the coupling member 700 may be a bolt, and a thread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groove 511 to screw the bolt.

결합부재(70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800)는 하우징(5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구적인 결합 형태는 디스플레이 장치(800)와 하우징(500)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80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500 by means of the coupling member 700 such that the mechanical coupling can facilitat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display device 800 and the housing 500 Convenience can be provided.

체결 플레이트(400)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900)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500)의 제2결합부(520)는 메인 기판(900)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520 of the housing 500 may be close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ard 900. In this case, .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하부에 체결 플레이트(400)가 마련되는 경우,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 플레이트(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포함된 브래킷일 수 있다. When the fastening plate 400 is provided below the display unit 30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plate 400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300. For example, the fastening plate 400 may be a bracket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영역에 대한 간섭이 없이 제한된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표시영역을 최대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전자기기에서 베젤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기기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전자기기에서 보다 넓은 표시영역이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isplay area in the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That is, since the display unit can be extended to a region where a bezel is formed in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a wider display area can be realized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size as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한편, 하우징(500)은, 하우징(5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housing 500 may have a sectional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500.

즉,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500a)의 외측면(501a)은 굴곡지도록 형성되거나, 도 8의 (b) 및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500b,500c)의 외측면(501b,501c)이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외측면의 경사도를 조절하거나 굴곡을 줄 경우, 사용자가 표시영역을 바라보았을 때, 전자기기의 외곽라인에 의해 하우징이 차지하는 폭 면적이 시각적으로 작아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기기에서 표시영역을 더 넓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8 (a), the outer surface 501a of the housing 500a may be curved or the housing 500b and 500c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S. 8 (b) and 8 (c) The outer side surfaces 501b and 501c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In this way, when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s adjusted or bent, the area occupied by the housing by the outlin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visually reduced when the user looks at the display area, Can make the display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feel wider.

그리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300a)은 터치스크린 패널(20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300a)은 가장자리에 베젤영역(B)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디스플레이 유닛(300a)의 표시영역(C)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00a)의 베젤영역(B)은 하우징(500)의 제1결합부(510)에 형성되는 단차(512)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유닛(300a)의 베젤영역(B)을 가리기 위하여 유색 잉크를 도포하는 등의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display unit 300a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area than the touch screen panel 20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300a may have a bezel area B at the edge, and the touch screen panel 20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C of the display unit 300a. The bezel region B of the display unit 300a may correspond to the step 512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0 of the housing 500. [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omit the process such as coating the colored ink to cover the bezel area B of the display unit 300a. As a result,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alize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process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components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100)에서는 메인 기판(1900)이 디스플레이 유닛(1300) 및 체결 플레이트(140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1400)는 디스플레이 유닛(1300)과 별도로 제작되는 별도품일 수 있다.11, in the electronic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ard 19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1300 and the fastening plate 1400. [ In this case, the fastening plate 1400 may be a separate product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1300.

그리고, 메인 기판(1900)에는 체결 플레이트(1400)에 형성된 제1관통공(1420)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18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1700)가 제1관통공(1420) 및 제2관통공(1810)으로 삽입되어 제1결합부(1510)의 체결홈(1511)에 체결될 수 있다. A second through hole 18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420 formed in the fastening plate 1400 may be formed on the main substrate 1900. The coupling member 17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42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810 and may be fastened to the coupling groove 1511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10. [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체결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2 and FIG. 13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upl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plate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2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100)에서는, 체결 플레이트(2400)의 테두리부(2410)의 외측면에 테두리부(2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2420)이 형성될 수 있다. 12 and 14, in the electronic device 2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preferably,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420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2410 and 2420 can be formed.

그리고, 하우징(2500)의 제2결합부(2520)의 내측면에는 수용홈(242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52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2521) 및 수용홈(2420)의 개수는 하우징(2500)과 체결 플레이트(2400)의 체결 강도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An engaging projection 25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520 of the housing 2500 to engage with the receiving recess 2420. The number of the engaging projections 2521 and the receiving grooves 2420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astening strength between the housing 2500 and the fastening plate 2400.

결합돌기(2521)는, 하우징(25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체결 플레이트(24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면이 굴곡지거나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s 252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is bent or inclined so that the fastening plate 2400 can be easily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500.

또한, 체결 플레이트(240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보다 작은 면적으로 홀(24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240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체결 플레이트(240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에 포함되는 브래킷일 수 있다.Further, the fastening plate 2400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hole 2430 with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2300. The fastening plate 2400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300, for example, the fastening plate 2400 may be a bracket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300.

그리고, 메인 기판(2900)은 체결 플레이트(24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2500)의 제2결합부(2520)는 메인 기판(2900)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The main board 2900 may be provided under the fastening plate 2400. In this cas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520 of the housing 2500 can be close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ard 2900 have.

한편,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2900)은 디스플레이 유닛(2300) 및 체결 플레이트(2400)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2400)는 디스플레이 유닛(2300)과 별도로 제작되는 별도품일 수 있다.13, the main substrate 29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2300 and the fastening plate 24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astening plate 2400 may be a separate product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2300.

그리고, 체결 플레이트(2400)의 수용홈(24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521)는 제2결합부(2520)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25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520 so as to be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2420 of the coupling plate 2400.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스크린 패널(220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은 가장자리에 베젤영역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패널(2200)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touch screen panel 220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have a bezel area at the edge, and the touch screen panel 220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부품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s.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coupling components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3100)의 하우징(3500)의 제1결합부(3510) 및 제2결합부(3520)는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engaging portion 351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520 of the housing 3500 of the electronic device 3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the same width.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3800)는 도 7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유리(3600), 터치스크린 패널(3200), 디스플레이 유닛(3300) 및 체결 플레이트(3400)를 통칭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 체결 플레이트(3400)는 생략될 수 있다.Further, the display device 380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Here, the display device 3800 collectively refers to the cover glass 3600, the touch screen panel 3200, the display unit 3300 and the fastening plate 34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The plate 3400 may be omitted.

또한, 체결 플레이트(3400)의 외측면에는 체결 플레이트(3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3420)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3520)의 내측면에는 수용홈(342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5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플레이트(3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체결 플레이트(3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300)에 포함되는 브래킷일 수도 있다.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34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late 34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34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 engaging projection 3521 which engages with the groove 342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fastening plate 3400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3300, for example, the fastening plate 3400 may be a bracket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3300. [

그리고, 체결 플레이트(3400)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39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3500)의 제2결합부(3520)는 메인 기판(3900)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520 of the housing 3500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ard 3900 have.

또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3900)은 디스플레이 유닛(3300) 및 체결 플레이트(3400)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3400)는 디스플레이 유닛(300)과 별도로 제작되는 별도품일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플레이트(3400)의 수용홈(34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3521)는 제2결합부(3520)의 내측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16, the main substrate 39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3300 and the fastening plate 3400. In this case, the fastening plate 340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300 It can be a separate product to be produced. The engaging protrusion 35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5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eceiving groove 3420 of the engaging plate 3400.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제2결합부의 결합돌기는 체결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플레이트는 수용홈이 그 하측면에 형성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플레이트의 구조 변경 없이 하우징의 결합돌기만으로 체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rojections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may be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lower side of the engaging plate. In this case, the fastening plate may have the receiving groove formed on its lower side or may be omit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astening plate can be fastened only by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housing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lat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1100,2100,3100: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200,2200,3200: 터치스크린 패널
300,300a,1300,2300,3300: 디스플레이 유닛
400,1400,2400,340: 체결 플레이트
410,2410: 테두리부
420,1420: 제1관통공
430,2430: 홀
500,2500,3500: 하우징
511,1511: 체결홈
510,1510,3510: 제1결합부
520,1520,2520,3520: 제2결합부
600,3600: 커버유리
700,1700: 결합부재
800,3800: 디스플레이 장치
900,1900,2900,3900: 메인 기판
1810: 제2관통공
2420,3420: 수용홈
2521,3521: 결합돌기
100,1100,2100,3100: Electronic device with bezelless touch screen and display
200, 2200, 3200: Touch screen panel
300, 300a, 1300, 2300, 3300:
400, 1400, 2400, 340: fastening plate
410, 2410:
420, 1420: first through hole
430, 2430: hole
500, 2500, 3500: Housing
511, 1511: fastening groove
510, 1510, 3510:
520, 1520, 2520, 3520:
600, 3600: cover glass
700, 1700:
800,3800: Display device
900, 1900, 2900, 3900: Main substrate
1810: Second through hole
2420,3420: Receiving groove
2521, 3521:

Claims (13)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체결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ouch screen panel;
A display unit provided below the touch screen panel;
A fastening plate provided below the display unit; And
A bezelless touch screen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for closely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engaging plate,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가지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단차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및 외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plate has a frame portion extending and protruded outwardly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so as to closely fix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frame portion,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으로는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rim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portion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rim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one through hol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볼트이고,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볼트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a bolt, and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with threads so that the bolt is screwed into the engag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main board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close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메인 기판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of claim 3,
A main board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astening plate, a second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main board, and the engag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And the fastening groove is fastened to the bezelless touch screen and th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테두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portion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rim portion and an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rim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One electronic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main board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or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asten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late,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groove.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ezelless touch screen and a displ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메인 기판이 더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메인 기판의 외측면까지 밀착 고정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 main board is further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astening plate or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tight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ard, Electron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보다 작은 면적의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ole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at of the display unit is further formed on the fasten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부에는 커버유리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유리는 상기 제1결합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ver glass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cover glass is closely fixed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인 베젤리스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using has a sectional shape that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KR1020140063450A 2013-05-27 2014-05-27 Electronic device having bezeless touch screen and display KR1016212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964 2013-05-27
KR20130059964 2013-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437A true KR20140139437A (en) 2014-12-05
KR101621279B1 KR101621279B1 (en) 2016-05-17

Family

ID=5245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450A KR101621279B1 (en) 2013-05-27 2014-05-27 Electronic device having bezeless touch screen and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2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5418A (en) * 2015-04-24 2015-08-12 南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Display device for train and mounting method thereof
WO2017146449A1 (en) * 2016-02-22 2017-08-31 주식회사 파트론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package
US10649256B2 (en) 2016-12-28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el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8666B2 (en) * 2011-05-04 2015-09-08 Apple Inc.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5418A (en) * 2015-04-24 2015-08-12 南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Display device for train and mounting method thereof
WO2017146449A1 (en) * 2016-02-22 2017-08-31 주식회사 파트론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package
US10649256B2 (en) 2016-12-28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el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279B1 (en)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293B1 (en) Touch Screen Panel
JP6163191B2 (en) Electrode sheet for pressure detection and pressure detection module including the same
JP6622917B2 (en) Electrode sheet and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pressure to which temperature compensation is applied
JP6527343B2 (en) Touch input device
KR101905789B1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8593413B2 (e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KR102058699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ouch and bending sensing function
TWI559192B (en)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ig method thereof
US20120146921A1 (en) Touch screen panel
US20120127095A1 (en) Flat panel display with an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KR20100084252A (en) Touch screen panel
KR20140064259A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1022143B1 (en) Touch Screen Panel
US20170242543A1 (en) Display device
KR100978249B1 (en) Touch panel with multi touch area
KR20160088546A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KR101621279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bezeless touch screen and display
KR102262553B1 (en) Touch panel
KR20140095895A (en) Touch Screen Panel
TWI584166B (en) Touch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50057323A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area
KR102237964B1 (en) Electrod members, touch window with the same and display with the same
TWI501295B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748173B1 (en) Touch detecting apparatus
JP6695505B2 (en) Display oper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