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552A -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552A
KR20140137552A KR1020130058128A KR20130058128A KR20140137552A KR 20140137552 A KR20140137552 A KR 20140137552A KR 1020130058128 A KR1020130058128 A KR 1020130058128A KR 20130058128 A KR20130058128 A KR 20130058128A KR 20140137552 A KR20140137552 A KR 20140137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information
terminal
request information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현
Original Assignee
정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현 filed Critical 정석현
Priority to KR102013005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552A/ko
Priority to US14/276,228 priority patent/US20140344920A1/en
Publication of KR2014013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해제 시도의 실패 횟수에 따라 그에 맞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여 단말의 보안성을 제공해주는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ECURITY FUNCTION}
본 발명은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은 단말 보안을 위해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은 잠금 해제 시 필요한 잠금 해제 기준 정보 등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에만 잠금 해제를 시켜준다.
한편, 단말 분실 시, 악의적인 습득자의 경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얻어 악의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 해제 시도의 실패 횟수에 따라 그에 맞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여 단말의 보안성을 제공해주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의 반복 입력에 따라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의 비교가 반복 수행되어 매번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가 발생한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잠금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보안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잠금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과,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해제 시도의 실패 횟수에 따라 그에 맞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여 단말의 보안성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100)은,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0)와, 단말(100)의 단말 상태가 잠금 상태인 경우,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20)와,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130) 등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어부(1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를 위해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COUNT)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술한 제어부(130)는, 횟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정의된 보안 프로세서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를 위해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발생한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를 위해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가 1회 이상 n회 이하인 경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다시 입력하여 잠금 해제를 재시도하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해제 시도 실패 횟수(카운트)와 비교되는 기준 잠금 해제 실패 횟수 n은 시스템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를 위해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즉, 잠금 해제 실패 횟수)가 n회(기준 잠금 해제 실패 횟수)를 초과한 경우, 단말(100)을 초기화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가 m차례 더 발생하면 단말(100)이 초기화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단말(100)이 초기화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한 경우, 본인 인증 절차를 제공하고, 본인 인증에 성공한 경우, 잠금 해제 기준 정보를 알아내거나 재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인 인증 절차는 사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인증 정보와 현재 입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단말(100)의 초기화는, 단말(100)의 메모리,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설정 등 중 하나 이상을 공장 출하 상태 또는 개통 전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거나, 단말(100)의 메모리,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등을 포맷(Format) 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를 위해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가 n회를 초과한 경우, 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한 경우, 본인 인증 절차를 제공하고, 본인 인증에 성공한 경우, 잠금 해제 기준 정보를 알아내거나 재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인 인증 절차는 사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인증 정보와 현재 입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는, 단말(100)의 내장형 또는 외장형 저장장치(메모리, USIM, UICC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음)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지정된 데이터, 지정된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 및 지정된 파일 형식으로 된 데이터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를 위해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가 n회를 초과한 경우, 단말 보안 위급 사항 메시지를 단말(100)의 통신 서비스 업체의 관리 장치(미도시)로 전송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GPS 위치정보, 이동 통신 서비스 정보(예: 기지국 정보, 셀 ID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업체의 관리 장치는, 단말 보안 위급 사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고객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단말 보안 위급 사항 메시지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전송하거나, 단말(100)의 발신 기능 및/또는 수신 기능이 제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이와 비교되는 잠금 해제 요청 정보는, 단말(100)의 모션 센서를 이용한 단말 기울임 정보 등의 모션 정보, 카메라 등을 이용한 얼굴 인식 정보, 서명 필기 정보 등의 서명 정보, 복수의 점을 잇는 패턴 등에 대한 패턴 정보, 개인 식별 정보(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정보, 비밀번호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에 대하여 다시 한번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은,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INF_REF)를 저장하는 단계(S210)와, 잠금 상태인 단말 상태(S220)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INF_REQ)를 입력받는 단계(S230)와,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240)와, 비교 결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S250)와, 비교 결과,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260)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S260 단계에서는,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의 비교 결과 다르다고 판단된 횟수를 의미하는 카운트(COUNT, 초기값=0)를 1 증가시킨다.
전술한 S260 단계 이후, 잠금 해제 요청 정보의 반복 입력(S230)에 따라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 요청 정보의 비교(S240)가 반복 수행되어 매번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가 발생한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S270, S280, S29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S260 단계 이후,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n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70).
S270 단계의 판단 결과,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n을 초과하지 않으면, 즉, 카운트가 1 이상 n 이하이면, 그에 맞는 보안 프로세스(예: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다시 입력하여 잠금 해제를 재시도하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280).
S270 단계의 판단 결과, 카운트가 미리 설정된 n을 초과하면, 그에 맞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290).
S290 단계에서의 보안 프로세스는, 일 예로, 단말(100)을 초기화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가 m차례 더 발생하면 단말(100)이 초기화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이거나, 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단말(1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이거나, 단말 보안 위급 사항 메시지를 단말(100)의 통신 서비스 업체의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보안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이 도 2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3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300)은, 잠금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310)와,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보안 프로세서(320) 등을 포함한다.
도 1의 단말(100) 및 도 3의 단말(3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은,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100)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100)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100)의 운영체제는, 데스크 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은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100)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잠금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과,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Web Server)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기록한 다른 컴퓨터 또는 그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웹 서버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된 이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 해제 시도의 실패 횟수에 따라 그에 맞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여 단말의 보안성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기능은, 단말(100)의 분실 시, 분실한 단말(100)을 습득한 사용자가 단말(100)의 잠금 해제를 반복적으로 시도하여, 일정 횟수(n)를 초과하여 실패한 경우에 대하여, 단말 보안성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고,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가 1회 이상 n회 이하인 경우,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다시 입력하여 잠금 해제를 재시도하라는 정보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가 n회를 초과한 경우,
    상기 단말을 초기화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가 m차례 더 발생하면 상기 단말이 초기화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가 n회를 초과한 경우,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다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지정된 데이터, 지정된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 및 지정된 파일 형식으로 된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는,
    모션 정보, 얼굴 인식 정보, 서명 정보, 패턴 정보, PIN 정보, 비밀번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
  7. 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를 위해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의 반복 입력에 따라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의 비교가 반복 수행되어 매번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가 발생한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
  8. 잠금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보안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보안 기능을 갖는 단말.
  9. 단말의 보안 기능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잠금 상태에서,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현재 입력된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는 기능과,
    상기 잠금 해제 기준 정보와 상기 잠금 해제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다르다고 판단된 경우의 횟수에 따라 정의된 보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058128A 2013-05-16 2013-05-23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KR20140137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128A KR20140137552A (ko) 2013-05-23 2013-05-23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US14/276,228 US20140344920A1 (en) 2013-05-16 2014-05-13 Metho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data security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128A KR20140137552A (ko) 2013-05-23 2013-05-23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552A true KR20140137552A (ko) 2014-12-03

Family

ID=5245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128A KR20140137552A (ko) 2013-05-16 2013-05-23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5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91A (ko) * 2015-02-25 2016-09-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 잠금 제어방법
KR20210009984A (ko) * 2019-07-18 2021-01-27 최군돈 휴대 단말기를 활용한 컴퓨터 잠금, 패스워드 보관, 이벤트 경고 및 잠금 해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91A (ko) * 2015-02-25 2016-09-0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노트북 잠금 제어방법
KR20210009984A (ko) * 2019-07-18 2021-01-27 최군돈 휴대 단말기를 활용한 컴퓨터 잠금, 패스워드 보관, 이벤트 경고 및 잠금 해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646B2 (en) Controlling access to resources on a network
US848462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vet an executable program using a model
US9245143B2 (en) Security policy for device data
US10154026B2 (en) Secure remote modification of device credentials using device-generated credentials
US8359008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902984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eting data in a communication device
US201503022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 request in processing environment of trust zone
CN108282453B (zh) 物联网读取装置、安全存取方法以及控制中心设备
CN115001817B (zh) 一种离线的身份识别方法、装置及设备
CN104951714A (zh) 基于系列的设备绑定
US9734310B2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805802B1 (en) NFC-enhanced firmware security
US10251064B1 (en) Unlock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locked state using a 2-dimensional barcode
KR20140137552A (ko) 보안 기능 제공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KR100862742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 방법 및 장치
US10306463B2 (en) Secure data link for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based processor
KR102010764B1 (ko) 스마트폰 인증 기능을 이용한 컴퓨터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38176A1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CN106603625B (zh) 一种数据保护方法及装置
CN112653668B (zh) 数据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EP3926992B1 (en) Electronic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in electronic device
CN112702731A (zh) Sim卡信息的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703447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US20140344920A1 (en) Method, terminal, and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data security service
US11218491B2 (en) Security de-escalation for data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