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707A -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707A
KR20140136707A KR1020130057093A KR20130057093A KR20140136707A KR 20140136707 A KR20140136707 A KR 20140136707A KR 1020130057093 A KR1020130057093 A KR 1020130057093A KR 20130057093 A KR20130057093 A KR 20130057093A KR 20140136707 A KR20140136707 A KR 20140136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정명원
윤영근
이주환
정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6707A/ko
Priority to US13/937,831 priority patent/US20140349693A1/en
Publication of KR2014013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LINKAGE SERVICE BASED ON MILIMETER WAVE BAND}
본 발명은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이동통신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서비스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부족해지는 추세이고, 군사용으로 사용되던 밀리미터파 대역이 차세대 무선통신용 전파로 각광받고 있으며 밀리미터파 대역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때, 밀리미터파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수의 중계기를 사용하여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8593호(2010.12.31 공개)에는 빌딩이나 건물 내부공간에 구축된 UWB 중계기를 통하여, 일정 거리에 위치한 단말기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다만, 밀리미터파 기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밀리미터파를 이동통신망에 적용하는 구성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밀리미터파를 이동통신망에 적용할 경우,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장해물이 위치하면 반사나 회절에 의하여 감쇄량이 증가하여 통신 연결이 단락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8593호(2010.12.31 공개)에는 "UWB전송방식을 활용한 무선 네트워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동통신망에 적용하더라도 기지국과 이동통신단말 간의 통신 단락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이동통신단말과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신호 세기 이하인 경우,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선택된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통신 신호와는 별도의 신호를 전송하고, 이동통신단말은 별도의 신호를 수신하여 크기별로 정렬하며, 통신 단락이 발생한 경우 정렬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결을 생성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에서 기지국과 연결되는 일 실시예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에서 기지국과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이동통신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Zigbe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이동통신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은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은 이동통신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은 셀(Cell) 상에서 이동체와 교환국 간의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셀 단위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은 이동체와 교환국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 이외에도 착발신 신호 송출, 통화 채널 감시, 자기 진단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담당 셀 구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망은, 주파수 특성상 손실이 크기 때문에 직접파, 반사파, 회절파 중 직접파에 의한 전파 경로만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동통신망으로 사용할 경우, 전파 경로에 장해물이 위치되면 비가시 경로(NLOS: Non Line Of Sight)를 생성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셀룰러 형태의 이동통신망은 하나의 기지국과 복수의 단말이 하나의 셀 안에 존재하고, 복수의 단말은 하나의 셀 내에서 기지국과 통신을 한다. 이때,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다른 셀로 이동할 경우, 일시적으로 2 개의 기지국을 감지하지만, 다른 셀 내에 진입하게 되면 바로 다른 셀 내의 기지국과 통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셀룰러 형태의 이동통신방식을 밀리미터파 대역에 이용할 경우, 하나의 셀 내에서 하나의 기지국만을 감지하므로 비가지 경로에서는 통신 신호가 단락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하나의 이동통신단말이 복수개의 기지국을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비가시 경로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 감지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 바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통신 신호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에서 기지국과 연결되는 일 실시예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100)은 측정부(110), 저장부(120), 선택부(130),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100)은 설정부(150) 및 업데이트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부(110)는 이동통신단말(100)의 배터리 잔여량을 고려하여 측정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측정 주기가 10분이라고 가정하면, 배터리 잔여량이 20% 미만인 경우, 측정 주기를 10분보다 길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측정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측정 주기를 우선으로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주기는 5분, 배터리 잔여량이 50% 미만인 경우 측정 주기는 10분으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측정 주기가 1분이라고 가정하면, 측정부(110)는 디폴트를 무시하고 사용자의 측정 주기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은 이동통신단말(100)로 통신 연결 서비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신호는 통신 신호와는 별도로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에서 이동통신단말(100)의 통신 연결을 위하여 보내는 신호가 A라고 가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은 A 신호와는 별개로 통신 연결 서비스를 위한 B 신호를 이동통신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과 매핑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측정된 신호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크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100)이 A,B,C,D의 기지국을 감지하고, 감지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각각 10, 50, 35, 19라고 가정하자. 이때, 저장부(120)는 B-50, C-35, D-19, A-10으로 매핑하고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고, 또는 A-10, D-19, C-35, B-50으로 매핑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선택부(130)는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한다. 이때, 상술한 예를 다시 인용하면, 선택부(130)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경우 첫 번째 줄에 정렬된 B-50을 선택할 수 있고,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경우 마지막 줄에 정렬된 B-50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부(130)는 이동통신단말(100)과,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신호 세기 이하인 경우,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예를 다시 인용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신호 세기가 30이고, B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29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B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인 29는 기 설정된 신호 세기인 30보다 낮으므로, 선택부(130)는 C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0)는 이동통신단말(100)과 연결된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선택된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한다.
설정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300) 중 선택된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과의 통신은 대기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예를 다시 인용하면, B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A, C, D 기지국은 통신 대기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160)는 이동통신단말(100)이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부(16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고,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측정된 신호 데이터로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에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가 A-10, B-50, C-35, D-19고, 업데이트부(160)에서 측정한 신호 데이터가 B-89, C-78, D-20, E-33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업데이트부(160)는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와 측정된 신호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측정된 신호 데이터인 B-89, C-78, D-20, E-33로 A-10, B-50, C-35, D-19의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는 덮어쓰기(Overwrite)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부(16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비교할 때, 두 신호 데이터의 차이가 기 설정된 비율 이내이면 업데이트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160)는 두 신호 데이터의 차이가 ±1% 내이면 업데이트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업데이트부(160)는 이동통신단말(100)이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부(16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고,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가 동일할 경우,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40)는 선택된 기지국과의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0)는 업데이트된 신호 중 가장 큰 신호의 크기와,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40)는 가장 큰 신호의 크기가,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보다 큰 경우, 가장 큰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160)에서 A-50, B-24, C-45, D-35로 신호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현재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E-45라고 가정하자. 이때, 선택부(130)는 E-45와 A-50, B-24, C-45, D-35를 비교한다. 선택부(130)의 비교 결과 E-45보다 A-50이 크므로, 연결부(140)는 E와의 연결을 끊고, A와의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30)는 업데이트된 신호 중 가장 큰 신호의 크기와,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40)는 가장 큰 신호의 크기가,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부(160)에서 A-50, B-24, C-45, D-35로 신호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현재 이동통신단말(100)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E-80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선택부(130)는 E-80과 A-50, B-24, C-45, D-35를 비교한다. 선택부(130)의 비교 결과 E-80보다 A-50이 크므로, 연결부(140)는 E-80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고 동작하는 일 실시예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 감지 방법을 도시하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감지 방법을 도시한다. (a)를 참조하면, A 셀의 기지국과 통신하던 단말기가 B 셀의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A 셀과 B 셀의 경계에서 단말기는 순간적으로 A 기지국과 B 기지국에 동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는 B 기지국에만 연결되어 통신하게 된다. 즉, 모든 단말기는 셀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된다. 또한, C 셀과 같이,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장해물이 위치하더라도, VHF나 UHF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는 반사파나 회절파에 의하여 전파 경로가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 감지 방법을 밀리미터파 대역에 적용하게 되면, 장해물이 위치할 경우 반사나 회절에 의한 감쇄로 인하여 전파 경로가 유지될 수 없다.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방법은 셀 영역의 개념을 새로 정의하고 이동통신단말(100)에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100)과 기지국(300(A), 300(B), 300(C), 300(D)) 간에 장해물이 존재하더라도,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감지 방법에서의 셀 영역은 기지국 1 개가 가지는 셀 경계까지의 영역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영역은 이동통신단말(100)을 중심으로 기지국(300(A), 300(B), 300(C), 300(D))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셀 영역이 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100)은 셀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게 되며, 이동통신단말(100)은 항상 주변 기지국(300(A), 300(B), 300(C), 300(D))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레벨을 체크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300(A), 300(B), 300(C), 300(D))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레벨은 A>B=C>D라고 가정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100)은 가장 큰 신호가 수신되는 기지국(300(B))과 연결되며, 기지국(300(B), 300(C), 300(D))은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 만약, 이동통신단말(100)이 이동하면서 기지국(300(B)) 간에 장해물이 위치한다거나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기지국(300(B))과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100)은 그 다음으로 신호 세기가 큰 기지국(300(B), 300(C))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기지국(300(B), 300(C))과 이동통신단말(100) 간에도 장해물이 존재한다거나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100)은 그 다음으로 신호 세기가 큰 기지국(300(D))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300(A), 300(B), 300(C), 300(D))은 통신 신호와는 별기로 고유의 일정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0)은 기지국(300(A), 300(B), 300(C), 300(D))이 송신하는 신호를 체크하고, 체크한 신호를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황 변화에 따라 정보를 계속 갱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에서 기지국과 연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100)은 주변 기지국(300)의 신호 레벨을 체크하고(S4100), 주변 기지국(300)을 수신되는 신호 레벨의 크기 순서로 정렬한다(S4200).
그리고 나서, 이동통신단말(100)은 가장 큰 신호 레벨을 가지는 기지국과 통신을 연결하고(S4300), 통신이 종료되기 전까지는(S4400) 지속적으로 주변 기지국(300)의 신호 레벨을 체크한다(S4500). 또한, 이동통신단말(100)은 주변 기지국(300)을 신호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새로 체크한 데이터와 기존의 데이터를 비교하여(S4600) 변동이 발생한 경우 새로 체크한 데이터를 신규 데이터로 확보하고, 기존의 데이터는 삭제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100)은 신규 데이터의 가장 큰 신호를 가지는 기지국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만약, 새로 체크한 데이터와 기존의 확보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동이 없으면 기존의 확보한 데이터를 유지하며, 현재 기지국과의 연결도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알고리즘은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4400).
이와 같은 도 4의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6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6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한다(S5100).
그리고 나서, 이동통신단말은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매핑하여 저장한다(S5200).
여기서, 이동통신단말은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한다(S5300).
마지막으로, 이동통신단말은 선택된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목록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이동통신단말에서 실행되는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는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크기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과의 통신은 대기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신호 세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측정된 신호 데이터로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신호 중 가장 큰 신호의 크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가장 큰 신호의 크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가장 큰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신호 중 가장 큰 신호의 크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가장 큰 신호의 크기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한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신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상기 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지국과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상기 통신 연결 서비스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신호는 통신 신호와는 별도로 상기 이동통신단말로 전송되는 신호인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11.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된 신호의 크기에 기초한 신호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연결된 기지국 간의 신호 세기가 기 설정된 신호 세기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기지국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이동통신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과 연결된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저장된 신호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인,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이동통신단말.
  13.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이동통신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이동통신단말은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제공 방법.
KR1020130057093A 2013-05-21 2013-05-21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136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93A KR20140136707A (ko) 2013-05-21 2013-05-21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US13/937,831 US20140349693A1 (en) 2013-05-21 2013-07-09 Method of providing millimeter wave band-based communication connec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93A KR20140136707A (ko) 2013-05-21 2013-05-21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07A true KR20140136707A (ko) 2014-12-01

Family

ID=5193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093A KR20140136707A (ko) 2013-05-21 2013-05-21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49693A1 (ko)
KR (1) KR201401367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6399B2 (en) * 2014-08-21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Circuit switched fall back redirection across mobile switching center pools
EP3200498B1 (en) 2014-09-23 2020-0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m configur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11178646B2 (en) * 2016-04-19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ference signal based narrowband channel measurement and CQI report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0460B2 (en) * 2009-06-26 2012-10-16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s for measur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measurement devices,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744439B2 (en) * 2011-10-07 2014-06-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initiation of connections within a network
US9241248B2 (en) * 2012-02-29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Modified present signal mode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49693A1 (en)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4280A (zh) 具有移动基站的蜂窝通信系统和用于与其结合的方法和装置
US11743777B2 (en) Flexible quality of service framework for diverse networks
US20060182062A1 (en) Method for inter-frequency handover
BR112012010029A2 (pt) método e sistema para obter um esquema de implementação de pontos de acesso a rede de área local sem fio
AU2013305803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selective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related methods
US11818593B2 (en) Central cloud server and edge devices assisted high speed low-latency wireless connectivity
CN103795455A (zh) 一种适用于卫星数据采集系统的用户综合加权接入方法
US711071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n adaptiv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aruthirathanaworakun et al. Opportunistic primary-secondary spectrum sharing with a rotating radar
CN105578489B (zh) 非对称上行载波聚合中辅载波的测量方法及装置
KR20140136707A (ko) 밀리미터파 대역 기반 통신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EP3017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witching communications from a first channel to a second channel of higher-frequency
CN113840298A (zh) 基站的组网架构、通信控制方法及设备
CN110351792A (zh) 一种在触发小区切换的过程中确定目标小区的方法及设备
US20230254747A1 (en) mmWAVE TO WI-FI CONTROL SIGNAL OFFLOADING IN THE EVENT OF FADING IN THE mmWAVE SYSTEM
KR201901018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adhakrishna et al. Study of Obstacles Effect on Mobile Network and WLAN Signal Strength
CG et al. A novel hybrid UE selection scheme for efficient data offloading using D2D communication
CN106304227A (zh) 一种卫星通讯链路的接入方法及接入终端
US20230239039A1 (en) Method for accessing satellit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5315985A (zh) 一种信道测量方法及其装置
CN112449398B (zh) 一种路径选择方法和核心网设备
Chebil et al. Investigation of path loss models for mobile communications in Malaysia
CN107205283B (zh) 一种回程通道的建立方法及装置
Passos et al. Robust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s and Networks for Smart 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