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687A - Assembly drain pipe - Google Patents

Assembly drain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687A
KR20140136687A KR1020130057039A KR20130057039A KR20140136687A KR 20140136687 A KR20140136687 A KR 20140136687A KR 1020130057039 A KR1020130057039 A KR 1020130057039A KR 20130057039 A KR20130057039 A KR 20130057039A KR 20140136687 A KR20140136687 A KR 2014013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fastening
groove
plat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3523B1 (en
Inventor
우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3005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523B1/en
Publication of KR2014013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drain pipe including multiple first coupling plates separ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ed at a predetermined length; multiple coupling plates coupl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s respectively to form an inner flow passage where drain water flows between the first coupling plates; and a fixing unit with coupling keys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o be separated in order to fixat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he prefabricated drain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work efficiency when installing as a base plate, lateral plates, and an upper plate are coupled by the fixing unit and can be easily carried and stored as the volume of the drainpipe can be reduced by separating the plates.

Description

조립식 하수관{Assembly drain pipe}Assembly drain pipe

본 발명은 조립식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하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조립식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ewer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sewer pipe that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a base plate, a side plate, and an upper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low sewage.

하수관이나 도로측구는 주택가 골목, 공장 등을 비롯하여 각종 시설물 주위나 도로변에 소정의 깊이로 매립설치되거나 또는 상부에 지표면을 통하여 흐르는 오수나 빗물의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배수공을 가진 맨홀 뚜껑이 설치된 시설을 말한다.A sewer pipe or a road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manhole cover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so that drainage of sewage or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ground surface can be easily carried out, It refers to installed facilities.

상기 하수관과 도로측구를 시공설치하고자 할 때는, 본체를 먼저 시공형성한 뒤 본체 위에 덮개를 덮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를 시공하고자 할 때는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정한 뒤 소정의 깊이로 굴토하고, 굴토된 바닥에 잡석을 깔아 구배를 맞춘 다음 합판 또는 철판 등으로 형성된 거푸집을 세우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몰탈을 충진 양생시킨 뒤 거푸집을 이형시켜 하수관이나 도로측구 본체를 형성하거나, 또는 양단부에 각각 암수의 결합부를 가지며 소정의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U"형 하수관을 연결조립시켜 도로측구 본체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본체 위에 별도로 제작된 덮개를 덮거나 또는 개방된 상면에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본체와 일체로 된 덮개를 시공형성하게 된다.In order to install the sewer pipe and the road sidewall, the main body is first formed and then covered with a lid or integrally formed. When the main body is to be installed, a position to be installed is firstly selected, The concrete is filled with cement mortar and the cement is filled with cement and the mold is released to form a sewage pipe or a roadside body, A plurality of U-shaped sewage pipes each having a female and male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by connecting and assembling a plurality of " U "sewer pip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id body is formed on the body, So that a li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is form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U"형 하수관의 경우, 공장에서 제작시 단면이 "U"형으로 제작하므로 체적이 비교적 커서 운반이나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U" -type sewage pip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or store since the volume is relatively large since the cross-section is made in the "U" shape at the factory.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하여 하수관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하수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sewer pipe capable of manufacturing a sewer pip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tes to each oth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키가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late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engaging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engaging plates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form an inner flow path; and a second engaging plate having both ends thereof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lates, And a fixing unit provided with a coupling key for mutually fixing the two coupling plates.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삽입바와,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4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4상측 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연장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fixed unit includes a first engaging plate having a first engaging plate and a second engaging plate, the first engaging plate having a first engaging surface and a second engaging plate, A first engag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having a second engag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Wherein the second plat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a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engaging groove A third fastening groov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a fourth fasten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Wherein the engaging key includes an insertion bar extending in paralle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engaging groove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ird engaging grooves, A first elongated bar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 ba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longated groove an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 ba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ourth elongated groove; And a second extending bar extending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ourth upper engagement groove.

한편,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1나사부재와, 상기 제1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2나사부재와, 상기 제2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4상측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결합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uni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late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abutting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late contacting the second engaging pl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butting surface A first engag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end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having a second engag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Wherein the second plat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plate that contacts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engaging gro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A third fastening groov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Wherein the engagement key includes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engagement grooves, and a second engagement portion having an extension of the first and third engagement grooves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member, A first screw member which is screwed to one end of the extension member so as to be able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first screw member and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engagement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A first engaging member formed on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A second screw member that is screw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member so as to be extended and retrac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fastening groov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fourth upper engagement groove A lock engaged with the fourth side-by-side extension extending direction of the groove may have a second coupling member.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일단이 사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가 마련된 다수의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fixing unit includes a fastening part inserted in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so that one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other one of the fastening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and a fasten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art, And a plurality of fixing bolt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은 상기 내부유로에 유동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차수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fabricated sew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rder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lates so as to prevent the sewage flowing in the internal passag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상기 차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일측면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삽입홈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제1삽입돌기와, 상기 차수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타측면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인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2삽입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삽입돌기를 구비한다.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he auxiliary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he auxiliary plat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Is protrud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first engaging plate on one side of the aberration plate facing the first insert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a first inserting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ng groove, And a second insertion plat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of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ement plate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은 베이스 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및 상측플레이트가 고정유닛에 의해 상호 결합되므로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레이트들을 분리하여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보관 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base plate, the side plate and the upper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xing unit, the assembled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can reduce the volume by separating the plates,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식 하수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ew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fabricated sewer pipe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sewer pi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assembled sewa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하수관(100)이 도시되어 있다. 1 and 2 show a prefabricated sewer pi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조립식 하수관(100)은 제1결합플레이트(210)들, 제2결합플레이트(220)들 , 차수부재(230) 및 고정유닛(24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prefabricated sewer pipe 100 includes first coupling plates 210, second coupling plates 220, an order member 230, and a fixed unit 240.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제2결합플레이트(220)들에 지지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다.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은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접촉돌기(211)가 형성된다. 접촉돌기(211)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coupling plates 210 ar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supported by the second coupling plates 22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engaging plates 210 are formed with contact projections 211 at opposite end portions of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The contact protrusions 211 protru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sid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접촉돌기(211)는 다른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제2결합플레이트(220)가 접촉할 수 있도록 평편한 제1접촉면(214)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접촉돌기(211)의 제1접촉면(214)에는 차수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홈(212)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ct protrusion 211 is provided with a flat first contact surface 214 so that the second engagement plate 220 can contact one side of the contact protrusion 211 opposite to the other first engagement plate 210. At this time, a first insertion groove 212 is formed in the first contact surface 214 of the contact protrusion 211 so that the order member 230 can be inserted. Preferably,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2 extends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또한, 제1결합플레이트(210)는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후술되는 고정유닛(240)의 고정볼트(245)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213)들은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3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bolts 245 of the fixing unit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The through-holes 213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제2결합플레이트(220)들은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를 형성한다. 제2결합플레이트(2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상하면에는 각각 제1결합플레이트(210)들의 접촉돌기(211)에 접할 수 있도록 평편한 제2접촉면(223)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coupling plates 22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upling plates 210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n inne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ewage flows.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A second contact surface 223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rotrusions 211 of the first coupling plates 210.

이때, 제2접촉면(223)에는 차수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삽입홈(221)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second insertion groove 221 is formed in the second contact surface 223 so that the order member 230 can be inserte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1 may be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또한, 제2결합플레이트(220)는 상기 관통구(213)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하면에는 관통구(213)를 관통한 고정볼트(245)의 일단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2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제2결합플레이트(220)를 제작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을 갖는 관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홀(222)을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is formed with threads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one end of a fixing bolt 245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3 can be screw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facing the through- And fastening holes 222 are formed. When the concrete is cured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is manufactured, the coupling hole 222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hollow tube member having a threaded inner peripheral surface.

차수부재(230)는 내부유로에 유동하는 하수가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차수판(231), 제1삽입돌기(232) 및 제2삽입돌기(233)를 구비한다. The auxiliary member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so as to prevent the sewage flowing into the inner channel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232, and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233.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232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233 are formed in the same plane.

차수판(23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차수판(231)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수판(231)은 하수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 레스 스틸이나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rder plate 231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At this time, the pitch plate 231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The water level plate 231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or rubber so as to prevent corrosion by the sewag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수판(231)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접촉돌기(211)와 제2결합플레이트(220)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The order plate 23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to be inserted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s 211 of the first engagement plate 210 and the second engagement plate 220.

제1삽입돌기(232)는 접촉돌기(211)의 제1삽입홈(2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향되는 차수판(231)의 일측면 중앙부분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삽입돌기(232)는 하수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232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2 of the contact protrusion 2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water level plate 231 opposed to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And is protrud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engaging plate 210.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s 232 are preferably extend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so as to block the drainage of sewage.

제2삽입돌기(233)는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제2삽입홈(2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대향되는 차수판(231)의 타측면 중앙부분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2삽입돌기(233)는 하수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23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water level plate 231 opposite to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21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233 are preferably extend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so as to block the outflow of sewag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차수부재(230)는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의 상기공간들에 각각 삽입되므로 내부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수관 부근의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ancillary members 23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into the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wage flowing through the inner channel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고정유닛(240)은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들을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다수의 제1 및 제2체결부(241,242), 다수의 결합키(243)와 고정볼트(245)를 구비한다. The fixed unit 240 separably couple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241 and 242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keys 243 and the fixing bolts 245 .

제1체결부(241)는 제1접촉면(214)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외측면인 폭방향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접촉면(21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251)과, 제1체결홈(251)의 단부에 연통되며, 제1체결홈(251)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252)을 갖는다.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241 is formed on both widthwis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first engagement plate 210 exten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contact surface 214 and is formed so as to be away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214 A first fastening groove 25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251 communicating with the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251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251 252).

제1체결홈(251)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제2체결홈(252)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때, 제1체결홈(251)의 단부는 제2체결홈(252)의 중앙부분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engagement groove 251 is formed to ope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cond engagement plate 220 and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252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ngagement plate 2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251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252.

상기 제1 및 제2체결홈(251,252)은 다수개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상호 대향되는 양측면에 형성되되,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251 and 25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that are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Respectively.

제2체결부(242)는 제2접촉면(223)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유로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부로 좌우측면 중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마련된다. 제2체결부(242)는 제2접촉면(223)으로부터 머어지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3체결홈(253)과, 제3체결홈(253)의 단부에 연통되며, 제3체결홈(253)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254)을 갖는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4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second contact surface 223 an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42 has a third fastening groove 253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as to be slid from the second contact surface 223 and a third fastening groove 253 communicating with the end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253, And a fourth engaging groove 254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254.

제3체결홈(253)은 결합키(2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홈(251)에 대향되는 위치의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형성되며, 제1결합플레이트(210)에 대향되는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4체결홈(254)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되, 제3체결홈(253)의 단부가 중앙부분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rd engagement groove 253 is formed in the second engagement plate 22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251 so that the engagement key 243 can be inserted,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fastening groove 254 exte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astening plate 220 and the end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253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er portion.

상기 제3 및 제4체결홈(253,254)은 다수개가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상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되,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grooves 253 and 254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and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결합키(243)는 제1 및 제2체결부(241,24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삽입바(255)와 제1 및 제2연장바(256,257)를 구비한다. The coupling key 243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241 and 242 and includes an insertion bar 255 and first and second extension bars 256 and 257.

삽입바(255)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삽입바(255)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길이의 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ertion bar 255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grooves 251 and 253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grooves 251 and 253.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bar 255 extend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third engagement grooves 251 and 253.

제1연장바(256)는 제2체결홈(2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바(255)의 일단에 형성되되, 제2체결홈(25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연장바(256)는 제2체결홈(25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삽입바(255)의 일단부가 연장된다. The first extension bar 25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bar 255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52 and has a first coupling plate 210 )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extension bar 256 extend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 engagement groove 252, and one end of the insertion bar 255 extends from the center portion.

제2연장바(257)는 제4체결홈(2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바(255)의 타단에 형성되되, 제4체결홈(254)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2연장바(257)는 제4체결홈(254)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삽입바(255)의 타단부가 연장된다. 이때, 결합키(243)는 제1 및 제2체결부(241,242)에 결합시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가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extension bar 257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bar 255 so that the second extension bar 257 can be inserted into the fourth coupling groove 254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extension bar 257 extend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ourth engagement groove 254, and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bar 255 extends from the center portion. At this time, the coupling key 243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can exe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coupling key 243 is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241 and 242 .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결합키(243)는 다수개가 제1 내지 제4체결홈(251,252,253,254)들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를 상호 고정시킨다. A plurality of coupling keys 24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coupled to the first to fourth coupling grooves 251, 252, 253, and 254, respectively, to fix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to each other.

고정볼트(245)는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관통구(213)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일단이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체결홀(222)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분(258)과, 체결부분(258)의 타단에 형성되어 체결부분(258)이 제1결합플레이트(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헤드부분(259)을 구비한다. The fastening bolt 245 has a fastening part 258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13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210 and having one end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222 of the second fastening plate 220, And a head portion 259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258 to prevent the fastening portion 258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late 210.

체결부분(258)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헤드부분(259)은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관통구(213)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245)는 다수개가 관통구(213)들에 각각 삽입되어 제2결합플레이트(220)에 체결된다. The head portion 259 is formed to have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3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258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13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10. [ . A plurality of fixing bolts 245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213 and fastened to the second coupling plate 220.

상기 언급된 결합키(243) 및 고정볼트(245)에 의해 다수의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들이 결합되어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레이트들을 분리하여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이나 보관 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are coupled by the coupling key 243 and the fixing bolt 245 described above to form an internal flow path through which sewage flows, And the volume can be reduced by separating the plates,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carry or store.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키(310)가 도시되어 있다. 3, a combining key 3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previous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결합키(310)는 연장부재(311), 제1나사부재(312), 제1결합부재(313), 제2나사부재(314), 제2결합부재(31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upling key 310 includes an extension member 311, a first screw member 312, a first coupling member 313, a second screw member 314, and a second coupling member 315 do.

연장부재(311)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된 중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파이프 형으로 형성된다. 연장부재(311)는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3체결홈(251,253)의 폭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elongated member 311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engagement grooves 251 and 253 and is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t the center por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crew members 312 and 314 can be screw- And a threaded hollow is formed in a pipe shape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xtension member 311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third engagement grooves 251 and 253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ird engagement grooves 251 and 253.

이때,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연장부재(311)로부터 돌출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연장부재(311)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하방향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crew members 312 and 314 protrude from the extending member 311 when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crew members 312 and 314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311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they are preferably form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나사부재(312)는 제1체결홈(25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체결홈(251)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연장부재(31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나사부재(312)는 연장부재(31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연장부재(31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신축된다. The first screw member 31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25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251 and has one end fixed to one end of the extending member 311 And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threadably engaged. Since the first screw member 312 is screwed to one end of the extension member 311, the first screw member 312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member 31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제1결합부재(313)는 제1나사부재(312)의 타단에 연장되며, 제2체결홈(2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체결홈(25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1결합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결합부재(313)는 제2체결홈(25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제1나사부재(312)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The first engaging member 313 is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crew member 312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25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252, (210). At this time, the first engaging member 313 extend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25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crew member 312 is connected at the center portion.

제2나사부재(314)는 제3체결홈(2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3체결홈(253)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연장부재(311)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나사부재(314)는 연장부재(311)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연장부재(31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신축된다. The second screw member 314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rd engagement groove 253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engagement groove 253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311 And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threadably engaged. Since the second screw member 314 is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311, the second screw member 314 is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member 31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제2결합부재(315)는 제2나사부재(314)의 타단에 연장되며, 제4체결홈(2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4체결홈(254)의 연장방향과 나란하도록 제2결합플레이트(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2결합부재(315)는 제2체결홈(252)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중앙부분에서 제2나사부재(314)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The second engaging member 315 extends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crew member 314 and is inserted into the fourth engaging groove 254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ourth engaging groove 254, (220). At this time, the second engaging member 315 extend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25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crew member 314 is connected at the center portion.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311)의 양단부에 각각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나사결합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연장부재(31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의 두께나 차수판(231)의 두께에 따라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의 연장부재(311)에 대한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체결홈(251,252,253,254)에 결합키(310)를 삽입한 다음 제1 및 제2나사부재(312,314)가 연장부재(311)로 인입되도록 상기 연장부재(311)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210,220)가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second screw members 312 and 314 are respectively screwed to both ends of the extension member 311,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member 311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The length of the ex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crew members 312 and 314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member 31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and the thickness of the water plate 231. After the coupling key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o fourth coupling grooves 251, 252, 253 and 254, the extension member 311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crew members 312 and 314 are drawn into the extension member 311 The pressing force may be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210 and 2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조립식 하수관
210: 제1결합플레이트
214: 제1접촉면
220: 제2결합플레이트
223: 제2접촉면
230: 차수부재
231: 차수판
232: 제1삽입돌기
233: 제2삽입돌기
240: 고정유닛
241: 제1체결부
242: 제2체결부
243: 결합키
245: 고정볼트
100: Prefabricated sewer pipe
210: first engaging plate
214: first contact surface
220: second engaging plate
223: second contact surface
230:
231: Order plate
232: first insertion projection
233: second insertion projection
240: fixed unit
241:
242:
243: Join key
245: Fixing Bolt

Claims (6)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한 복수의 제1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 사이에 하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들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결합키가 마련된 고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late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engaging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engaging plates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form an inner channel through which sewage flows between the first engaging plates;
And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ix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2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 삽입바와,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연장바와, 상기 제4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바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4상측 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연장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unit
A first engagement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late contacting the second engagement plate and a second engagement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A first fasten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Wherein the second engaging plat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second engaging surface of the second plate contacting the first engaging plate, A third fasten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ct surface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having a fourth fastening groove,
The coupling key includes an insertion bar extending in paralle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groove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grooves, A first elongated bar extending in parallel with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fastening groove and a second elongated ba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ba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ourth fastening groove, And a second extension bar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second extension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제1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상기 제1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체결홈을 갖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접촉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제2접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체결홈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체결홈의 단부에 연통되며,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체결홈을 갖는 제2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키는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1나사부재와,
상기 제1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재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3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3체결홈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제2나사부재와,
상기 제2나사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4상측 체결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체결홈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unit
A first engagement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tact surface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late contacting the second engagement plate, A first fasten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having a second fasten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groove;
Wherein the second engaging plat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second engaging surface of the second plate contacting the first engaging plate, A third fasten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ct surface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a second fasten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an end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ird fastening groov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astening portion having a fourth fastening groove,
The combining key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engagement grooves,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being screwed to one end of the extending member so as to be able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fastening grooves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member, An elongated first screw member,
A first engaging member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crew member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are screwed to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so as to be able to be expanded and contract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third fastening grooves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member, An elongated second screw member,
And a second engaging member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screw member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ourth engag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ourth upper engag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일단이 사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분이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분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분이 마련된 다수의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unit
A fastening portion inserted in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so that one end thereof is fastened to the other one of the fastening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and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from being detached from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l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로에 유동하는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차수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prevent the sewage flowing in the internal passag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결합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차수판과,
상기 차수판에 대향되는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일측면에, 상기 제1결합플레이트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삽입홈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연장된 제1삽입돌기와,
상기 차수판에 대향된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홈에 대향되는 상기 차수판의 타측면에, 상기 제2결합플레이트에 인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2삽입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삽입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수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bove-
An auxiliary plat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he auxiliary plat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And a second insertion plat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aeration plate opposite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opposite to the aeration plate,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in an adjacent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level plate opposite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opposed to the water level plate, And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extend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insertion groove.

KR1020130057039A 2013-05-21 2013-05-21 Assembly drain pipe KR101573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39A KR101573523B1 (en) 2013-05-21 2013-05-21 Assembly drain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39A KR101573523B1 (en) 2013-05-21 2013-05-21 Assembly drain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687A true KR20140136687A (en) 2014-12-01
KR101573523B1 KR101573523B1 (en) 2015-12-01

Family

ID=5245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039A KR101573523B1 (en) 2013-05-21 2013-05-21 Assembly drain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5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06B1 (en) * 2015-10-20 2016-12-30 주식회사 티씨케이 Top ring for ingot growth device
KR20190088369A (en) 2018-01-18 2019-07-26 김성우 Guitar-type musical instrument
CN110565775A (en) * 2019-08-22 2019-12-13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drainage method of corrugated pipe drainage ditc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4595B2 (en) 1999-01-28 2003-01-08 株式会社カイエーテクノ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culvert block and prefabricated culvert block
KR200260045Y1 (en) 2001-09-10 2002-01-10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Assembly structure of concrete sewage box
KR200387868Y1 (en) 2005-04-08 2005-06-28 주식회사 삼호 피 시 Fabricated pc culvert reinforced with socket and brack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06B1 (en) * 2015-10-20 2016-12-30 주식회사 티씨케이 Top ring for ingot growth device
KR20190088369A (en) 2018-01-18 2019-07-26 김성우 Guitar-type musical instrument
CN110565775A (en) * 2019-08-22 2019-12-13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drainage method of corrugated pipe drainage d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523B1 (en)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04478A (en) Draining metal fitting, drainage block, and installation method of drainage block having draining metal fitting
KR101573523B1 (en) Assembly drain pipe
US11987938B2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100786978B1 (en) System for installing a wall body of a water pipe
KR20150001401A (en) Prefabricated water channel for protecting modification
KR200346948Y1 (en) Drainpipe fixing sleeve
KR101248434B1 (en) Strand device, strand setting method and block coupling structure of prefab water-storage tank
JP6045418B2 (en) Drainage sleeve installation jig
KR102506679B1 (en) Binding device for eurofoam
KR100451145B1 (en) slide type drain sleeve for abreast wall
KR100646039B1 (en) A wall separating a sink-hole
KR102506680B1 (en) Formwork provided with euroform fastener type wella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684059B1 (en) Assembly structure of board keeping off wat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080030812A (en) Rubber connctor for manhole and form of construction work
KR200338276Y1 (en) The waterway device by land development
KR200311577Y1 (en) A drain for draining
KR200356481Y1 (en) A wall separating a sink-hole
KR200167575Y1 (en) Corner overflow structure
JP6921371B2 (en) Gradient drain
KR100709573B1 (en) Structure for coupling drainpipes
KR101796825B1 (en) A wall plate assembly using concrete block
KR200277682Y1 (en) slide type drain sleeve for abreast wall
KR200374685Y1 (en) Assembly structure of board keeping off water for concrete construction
KR100679058B1 (en) A sleeve for fixing a pipe
KR101719066B1 (en) Connecting member for drain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