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581A - 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 Google Patents

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581A
KR20140136581A KR1020130056441A KR20130056441A KR20140136581A KR 20140136581 A KR20140136581 A KR 20140136581A KR 1020130056441 A KR1020130056441 A KR 1020130056441A KR 20130056441 A KR20130056441 A KR 20130056441A KR 20140136581 A KR20140136581 A KR 2014013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y
mat
velcro tape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1290B1 (en
Inventor
권민서
Original Assignee
권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서 filed Critical 권민서
Priority to KR102013005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290B1/en
Publication of KR2014013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2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storage box capable of being utilized as a mat enabling a user to use the toy storage box filled with toys (blocks, marbles, yut and the like) when a user plays with blocks, marbles, yut and the like as a mat; and to keep all the toys after playing by folding the unfolded storage box. The toy storage box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oldable plate having a rectangular bottom plate on the center, a foldable rectangular front plate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a foldable rectangular rear plate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late, and lateral plates formed into an isosceles triangle of which the projected ends are sharp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 mat pl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cloth, fixated by being attached and sew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oldable plate including a central cover unit, front and rear cover units, and lateral cover units covering the top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front and rear plates, both lateral plates, front-lateral cover units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lateral cover units and the lateral ends of the front cover uni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rear-lateral cover units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lateral cover units and the lateral ends of the rear cover uni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and storage-folding members formed on the boundary of the mat plate enabling the toys to be kept by folding the mat plate.

Description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본 발명은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놀이완구 놀이, 공기놀이, 윷놀이 등을 할 경우에 놀이완구(조립식 놀이이완구, 공기, 윷 등)가 채워진 정리함을 매트식으로 펼쳐 놀이를 하게하고, 놀이 후에는 펼쳐진 정리함을 다시 접어 놀이완구들을 빠짐없이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toy settling box having a play m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y toy settable box having a play m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toy settling box having a play mat for allowing play to be unfolded while allowing the play to be unfolded and folding the opened settable box after the play.

일반적으로 조립식 놀이완구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놀이완구들을 서로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조립식 놀이완구는 어린이의 상상력에 따라 조립 및 분해를 통하여 다양한 조형물을 반복적으로 조립해 볼 수 있음과 함께 조형물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어린이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또는 어린이의 유희뿐만 아니라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
In general, the prefabricated play toy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ake an arbitrary prefabricated toy by assembling play toys having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se prefabricated play toys can assemble a variety of sculptures repeatedly through assembly and disassembly according to the imagination of children, and it is possible to raise children's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sculptures, It is also widely used for educational purposes.

이에, 어린이가 가정이나 놀이방 등에서 조립식 놀이완구나 공기 또는 윷을 가지고 놀 경우에는, 놀이완구들을 바닥에 펼쳐 놓고 놀이완구를 조립하면서 놀이를 하고 있다. 특히, 조립식 놀이완구 놀이를 할 경우에는 어린이들이 보관상자에 깊이 들어 있는 놀이완구들을 찾기가 어려워 보관상자에 채워진 놀이완구들을 바닥에 모두 쏟아 놓고 놀이를 하게 된다. Thus, when a child plays with a prefabricated toy or air or a toy in a home or a playroom, the toy is laid out on the floor and the toy is being assembled. In particular, when playing prefabricated play toys, it is difficult for children to find play toys deep in the storage box, so that the play toys filled in the storage box are poured all over the floor.

그리고 조립식 놀이완구의 놀이 후에는, 어린이가 일일이 놀이완구들을 집어 보관상자에 넣어야 함으로써, 어린이가 정리에 피로감을 느끼게 됨에 따라 조립식 놀이완구 놀이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And, after the play of the prefabricated play toy, the child has to pick up the play toy individually and put it in the storage box, so that the child is tired of the arrangement and has a problem to play the prefabricated play toy.

또한 놀이완구를 회수하지 못하고 바닥에 방치시킬 경우에는, 바닥에 방치된 놀이완구를 발로 밟게 됨으로써, 어린이나 보호자에게 상처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toys were left on the floor without being able to collect the toys, the toys were left on the floor, thereby causing injury to the child or the caregiver.

또한 놀이완구의 크기 작음에 따라 놀이완구들을 많이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lay toy was lost a lot according to the small size of the play toy.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28311호 "완구의 부품 보관상자"(2003.09.19)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28311 "Parts Storage Box of Toys" (Sep. 19, 200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놀이완구 놀이, 공기놀이, 윷놀이 등을 할 경우에는 놀이완구(조립식 놀이이완구, 공기, 윷 등)들이 채워진 정리함을 매트식으로 펼쳐 놀이를 하게하고, 놀이 후에는 펼쳐진 정리함을 다시 접어 놀이완구들을 빠짐없이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me system for playing prefabricated play toys, air play, and yoghurt, in which a play box (prefabricated pla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lay toy reorganization box that can be used as a play mat to fold out the play toys without fai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리함에 손잡이홀을 더 구비하여 정리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y toy settling box having a play mat, which further comprises a handle hole in the drawer box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the draw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리함의 표면에 한글판, 영문판, 숫자판 등의 문자판을 이탈이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정리함의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표면에 구비된 공을 이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ttaching a dial plate such as a Korean plate, an English plate, and a numeric plate on the surface of a jar such that the dial plate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jar, And to provide a play toy arrangement box serving as a play m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은, 중앙에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이 구비되고, 바닥판의 전방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방판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며, 바닥판의 후방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방판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고, 바닥판의 양측에는 돌출 단부가 뾰족한 이등변삼각형 형상의 양 측판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곡 펼침판과; 상기 절곡 펼침판의 상면에 부착이나 재봉으로 고정되고, 중앙과 전,후방 및 양측에는 상기 바닥판과 전,후방판 및 양 측판의 상면을 가리는 중앙 커버부와 전,후방 커버부 및 양측의 측커버부가 형성되고, 전방의 양측에는 상기 전방 커버부의 측 단부와 측커버부의 전방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측커버부가 형성되며, 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후방 커버부의 측 단부와 상기 측커버부의 후방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측커버부가 형성되는 천이나 유동성을 가진 재질의 매트판과; 상기 매트판의 둘레에 구비되어 매트판을 접어 놀이완구들을 취합되게 보관하는 정리함 접음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ys for organizing play toys, comprising a rectangular bottom plate at the center, a rectangular front plate foldable at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A bending spreader plate having a rectangular rear plate bendable on the rear side of the plate and having both side plates of an isosceles triangle shape having a pointed end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be bendable; A center cover portion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front and rear side plates and both side plates, a front cover portion for covering the front and rear cover portions and both sides A front side cover portion for connecting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cover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a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rear cover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A mat plate of a material having fluidity or a cloth in which a rear side cover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rear side cover portions is formed; A trunk folding means provided around the mat plate for folding the mat plate and storing the toys togeth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의 상기 정리함 접음수단은, 상기 매트판의 상면의 전후방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1,2 벨크로테이프와, 각각의 상기 전방 측커버부 상면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제3,4 벨크로테이프와, 각각의 상기 후방 측커버부 상면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3,4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제5,6 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juncture folding means of the " play toy juncture box serving as a play mat together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velcro tapes provided at the centers of the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 plate, Third and fourth Velcro tape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ttached to the first Velcro tape, and third and fourth Velcro tapes provided at the center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rear- 4 Velcro tape attached to the Velcro t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의 각각의 상기 전방 측커버부의 외측 둘레 단부는 상기 전방 커버부의 측 단부의 전방에서 상기 측커버부의 외측 단부의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게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후방 연결부의 외측 둘레 단부는 상기 후방판의 측 단부의 후방에서 상기 측커버부의 외측 단부의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게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의 바로 전방과 상기 제2 벨크로테이프의 바로 후방에는 손잡이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each of the front cover parts of the " play toy assortment box " in combination with the play ma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near shape so as to linearly connect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ide cover part and the outer end part of the side cover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each of the rear connecting portions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so as to linearly connect between the rear end of the rear cover and the outer end of the side cover portion, And a handle hole is further formed immediately behind the second Velcro t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의 상기 정리함 접음수단은, 상기 매트판과 절곡 펼침판의 외측 둘레의 단부에 다수로 형성되는 줄 관통홀과, 상기 줄 관통홀들에 관통되게 끼워져 당김과 묶음을 통해 상기 매트판과 절곡 펼침판을 정리함으로 접는 둘레 당김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toys folding box combined with a play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like fold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row through holes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t plate and the folding and spreading plate, And a peripheral pulling string which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folded by arranging the mat plate and the bending spread plate through pulling and bund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의 상기 절곡 펼침판은, 외면에 구비되어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면에 구비된 문자판 또는 벨크로테이프가 표면에 구비된 공(5)이 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 부착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lding spreader plate of the "play toy settling box serving as a play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spreader plat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dial 5 provided with a Velcro tape on its attaching surface, And a velcro tape-attached cloth.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조립식 놀이완구 놀이, 공기놀이, 윷놀이 등을 할 경우에는 놀이완구들이 채워진 정리함을 매트식으로 펼쳐 놀이를 하게 함으로써 실내는 물론 야외에서도 놀이완구 놀이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놀이 후에는 펼쳐진 정리함을 다시 접어 놀이완구들을 빠짐없이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이가 정리에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하여 놀이완구 놀이에 흥미를 가지게 하는 효과도 있고, 놀이완구가 바닥에 방치되어 보호자 또는 어린이에게 상처를 주게되는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크기가 작은 놀이완구를 쉽게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버려지는 박스를 이용하여 절곡 펼침판을 제작하고 버려지는 천이나 야외용 돗자리를 이용하여 매트판을 제작한 다음, 절곡 펼침판의 상면에 매트판을 부착 또는 재봉하여 놀이완구 정리함을 완성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nables the play toy to be played not only indoors but also outdoors by letting the play-by-play toy play, the air play, the tune play, etc., . In addition, after the play, it is possible to fold out the unfolded rearrangement box so that the playboy can be fully recovered, so that the child does not feel fatigued in the rearrangement, thereby making the playboy toy interesting and the playboy toy is left on the floor, There is also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cause of injury to a child, and it is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a toy toy having a small size from being easily lost. In addition, a bending spread plate is manufactured by using an abandoned box, a mat plate is manufactured by using an abandoned cloth or an outdoor mat, and then a mat plate is attached or sew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nding spread plate to complete the play toy packing box, It also has the effect of recycling resources.

또한 본 발명은, 정리함에 손잡이홀을 더 구비하여 정리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정리함을 직접 들고 실내 또는 야외에서 장소에 관계없이 조립식 완구블록 놀이를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 knob hole in the rear door, thereby facilitat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rear door, thereby allowing children to play the rear door of the prefabricated toy regardless of the place, indoors or outdoors.

또한 본 발명은, 정리함의 표면에 한글판, 영문판, 숫자판 등의 문자판을 이탈이 가능하게 부착하여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고, 정리함의 외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표면에 부착된 공을 이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공놀이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earning effect can be obtained by attaching a dial plate such as a Korean, English, or numeric plate on the surface of the juncture box in a detachable manner, and a ball having a Velcro tape attached to its surfac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juncture box So that the ball can be play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펼쳐 놀이 매트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접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구성하는 둘레 당김줄을 묶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y toy sett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and used as a play ma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fold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y toy settl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lay toy assort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y toy organ storage box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ripheral pull string constituting a play toy pouch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펼쳐 놀이 매트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접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lay toy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embodiment is unfolded and used as a play ma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ys are completely folded.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은, 펼쳐져 바닥에 깔리고 접혀져 정리함의 외피가 되는 절곡 펼침판(1)과, 상기 절곡 펼침판(1)의 상면에 부착 또는 재봉되는 매트판(2)과, 상기 매트판(2)의 둘레에 구비되어 매트판(2)을 접어 놀이완구들을 취합되게 보관하는 정리함 접음수단을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lding and spreading plate 1 that is unfolded and folded on the floor and folds into a cover of the folding box, And a sorting box folding means provided around the mat plate 2 for folding the mat plate 2 and storing the play toys togeth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곡 펼침판(1)은, 중앙에 구비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전방에 절곡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방판(12)과, 상기 바닥판(11)의 후방에 절곡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방판(13)과, 상기 바닥판(11)의 양측에 절곡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돌출 단부가 뾰족한 2등변 삼각형 형상의 양 측판(14)을 포함한다.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bottom plate 11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rectangular front plate 12 formed to be bendable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11, , A rear plate (13) of a rectangular shape formed to be able to bend at the rear of the bottom plate (11), and a diagonally triangular shape having a protruding end formed to be bendable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both side plates 14 of the base plate 14 are provided.

상기 절곡 펼침판(1)은 제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박스를 만드는 골판지, 종이, 유연성을 가지는 발포수지판, 합성수지판 중 하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 펼침판(1)은 버려지는 박스로도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is made of one of corrugated board, paper, foamed resin plate having flexibility, and synthetic resin plate so that a box can be easily manufactured. Also, since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can be manufactured as a discarded box, the discarded resource can be recycled.

상기 절곡 펼침판(1)을 구성하는 바닥판(11)과 전방판(12)의 사이와 바닥판(11)과 후방판(13)의 사이 및 바닥판(11)과 측판(14)의 사이에는, 상기 전방판(12)과 후방판(13) 및 양 측판(14)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접힘부(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front plate 12 constituting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and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3 and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ide plate 14 The folded portion 15 may be formed to easily fold the front plate 12, the rear plate 13, and both the side plates 1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매트판(2)은 상기 절곡 펼침판(1)의 상면에 부착이나 재봉으로 고정되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접착제로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매트판(2)은 펼친 상태에서 매트의 역할을 하고 접었을 때 정리함의 내피의 역할을 한다.Further, the mat plat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nding spreader plate 1 by attaching or sewing, and is attached with an adhesive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mat plate (2) acts as a mat in the unfolded state and serves as an inner skin of the jug when folded.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매트판(2)은 중앙과 전,후방 및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1)과 전,후방판(12)(13) 및 양 측판(14)의 상면을 가리는 중앙 커버부(21)와 전,후방 커버부(22)(23) 및 양측의 측커버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판(2)은 전방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 커버부(22)의 측 단부와 측커버부(24)의 전방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측커버부(25)와, 후방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 커버부(23)의 측 단부와 상기 측커버부(24)의 후방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측커버부(26)를 더 포함한다. The mat plate 2 having such a fun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on the both sides to form a central portion which covers the top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11, the front and rear plates 12, 13, And includes a cover portion 21, front and rear cover portions 22 and 23, and side cover portions 24 on both sides. The mat plate 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includes a front side cover portion 25 connecting between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front cover portion 22 and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ide cover portions 24, And a rear side cover portion 26 formed on both sides and connecting between the side end portions of the rear cover portion 23 and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side cover portions 24. [

상기 매트판(2)은 어린이의 피부가 접촉될 경우에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천이나 유동성을 가진 직물, 부직물, 발포수지 등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트판(2)은 버려지는 천이나 버려지는 야외용 돗자리로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 mat plate 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nonwoven fabric, foamed resin, or the like having cloth or fluidity so as to give a soft feeling when the skin of a child is contacted. Also, since the mat plate 2 can be made of an abandoned cloth or an outdoor mat, the abandoned resources can be recyc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리함 접음수단은 상기 매트판(2)의 상면의 전후방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1,2 벨크로테이프(V1)(V2)와, 각각의 상기 전방 측커버부(25) 상면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V1)에 부착되는 제3,4 벨크로테이프(V3)(V4)와, 각각의 상기 후방 측커버부(26) 상면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3,4 벨크로테이프(V2)(V3)(V4)에 부착되는 제5,6 벨크로테이프(V5)(V6)를 포함한다. The juncture fol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velcro tapes V1 and V2 provided at the centers of the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 plate 2, A third and a fourth velcro tape V3 (V4)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side cover portion 26 and attached to the first Velcro tape V1, And fifth and sixth Velcro tapes V5 and V6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end and attached to the second, third, and fourth Velcro tapes V2 and V3.

상기 제3,4 벨크로테이프(V3)(V4)가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V1)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1 벨크로테이프(V1)는 수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3,4 벨크로테이프(V3)(V4)는 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5,6 벨크로테이프(V5)(V6)가 상기 제2,3,4 벨크로테이프(V2)(V3)(V4)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5,6 벨크로테이프(V5)(V6)는 수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벨크로테이프(V2)는 암 벨크로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Velcro tape V1 is composed of a Velcro tape so that the third and fourth Velcro tape V3 V4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Velcro tape V1 and the Velcro tape V3 ) V4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arm velcro tape. The fifth and sixth Velcro tapes V5 and V6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fth and sixth Velcro tapes V5 and V6 can be attached to the second, third, and fourth Velcro tapes V2 and V3 ) Is made of a Velcro tape and the second Velcro tape (V2) is made of an arm velcro tape.

아울러 각각의 상기 전방 측커버부(25)의 외측 둘레 단부는 상기 전방 커버부(22)의 측 단부의 전방에서 상기 측커버부(24)의 외측 단부의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게 직선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상기 전방 측커버부(25)의 외측 단부를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전방판(12)과 전방 커버부(22)의 전방에 손잡이홀(3)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후방 측커버부(26)의 외측 둘레 단부도 상기 후방판(13)의 측 단부의 후방에서 상기 측커버부(24)의 외측 단부의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게 직선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상기 후방 측커버부(26)의 외측 둘레 단부를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후방판(13)과 후방 커버부(23)의 후방에 손잡이홀(3)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portions of the front cover portion 25 is linearly formed so as to linearly connect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ront cover portion 22 and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side cover portion 24 The reason for forming the outside end portion of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25 in a straight line is to form the handle hole 3 in front of the front plate 12 and the front cover portion 22.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rear cover portions 26 are also formed linearly so as to linearly connect between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side cover portions 24 and the outer end portions of the side cover portions 24, The reason for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rear cover portion 26 in a straight line is to form the handle hole 3 in the rear of the rear cover 13 and the rear cover portion 23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전방 커버부(22)의 전방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V1)의 바로 전방에는 전방 커버부(22)와 전방판(12)을 관통하는 손잡이홀(3)이 더 형성되고, 상기 후방 커버부(23)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기 제2 벨크로테이프(V2)의 바로 후방에는 후방 커버부(23)와 후방판(13)을 관통하는 손잡이홀(3)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3)을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handle hole 3 passing through the front cover part 22 and the front plate 12 is formed immediately in front of the first Velcro tape V1 form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part 22, A knob hole 3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rear cover part 23 and immediately behind the second Velcro tape V2 to pass through the rear cover part 23 and the rear plate 13. And is formed as a long hole so that the hand can enter the handle hole 3. [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놀이완구들 채워진 정리함을 사용하여 조립식 놀이완구 놀이나 공기놀이, 윷놀이 등의 놀이완구 놀이를 할 경우에는, 절곡 펼침판(1)과 매트판(2)을 펼치고 놀이완구들을 매트판(2)의 중앙에 펼쳐놓는다. As shown in FIGS. 1 to 5, when playing a play toy such as a pre-assembled play toy game, air play, and a tune game using the jungle box filled with play toys, the bending spread plate 1 and the mat plate 2 ) And spread the play toys in the center of the mat plate (2).

그리고 어린이가 상기 전방 커버부(22) 또는 후방 커버부(23)의 상부에 앉은 상태에서 놀이완구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And the child can sit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cover part 22 or the rear cover part 23 to play the play toy.

따라서 상기와 같이 놀이완구들이 채워진 정리함을 매트식으로 펼쳐 놀이를 하게 함으로써 실내는 물론 야외에서도 조립식 놀이완구 놀이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lay the prefabricated play toy in the indoor as well as the outdoor environment by letting the play box to be opened by spreading the filled up box in a mat manner.

그리고, 놀이완구 놀이를 끝낸 후에는, 어린이가 매트판(2)의 상부에 펼쳐진 놀이완구들을 매트판(2)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커버부(21)의 상부로 취합한다. Then, after finishing the play of the play toy, the child assembles the play toys spread on the upper part of the mat plate 2 to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cover part 2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t plate 2.

다음 상기 후방판(13)과 후방 커버부(23)를 접어 세우고 양 측판(14) 중 하나의 측판(14)을 세우면서, 양측의 후방 측커버부(26) 중 하나의 후방 측커버부(26)의 중앙을 접어 후방 측커버부(26)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위치된 제6 벨크로테이프(V6)를 상기 후방 커버부(23)의 구비되는 제2 벨크로테이프(V2)에 부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하나의 측판(14)을 세우면서, 다른 하나의 후방 측커버부(26)를 접어 후방 측커버부(26)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위치된 제5 벨크로테이프(V5)를 상기 후방 커버부(23)의 구비되는 제2 벨크로테이프(V2)에 부착한다.The rear plate 13 and the rear cover portion 23 are folded up and one of the side plates 14 of the both side plates 14 is raised so that the rear cover portion 26 of one of the rear side cover portions 26 The sixth Velcro tape V6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rear cover part 26 is attached to the second Velcro tape V2 of the rear cover part 23 . The other one of the side plates 14 is raised and the other one of the rear cover parts 26 is folded so that the fifth velcro tape V5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rear side cover part 26, Is attached to the second Velcro tape (V2) provided on the rear cover part (23).

다음 상기 전방판(12)과 전방 커버부(22)을 접어 세우면서 양측의 전방 측커버부(25)의 중앙을 함께 접어 양측의 전방 측커버부(25)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위치된 제3,4 벨크로테이프(V3)(V4)를 상기 제5,6 벨크로테이프(V5)(V6)에 부착한 후, 세워진 상기 전방판(12)과 전방 커버부(22)를 눌러 제3,4 벨크로테이프(V3)(V4)에 전방 커버부(22)의 전방에 위치된 제1 벨크로테이프(V1)를 부착함으로써, 놀이완구들을 정리함에 취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ront plate 12 and the front cover 22 are folded together and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25 on both sides is folded together so that the front cover 12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front cover 25 on both sides The third and fourth Velcro tapes V3 and V4 are attached to the fifth and sixth Velcro tapes V5 and V6 and then the front plate 12 and the front cover part 22, By attaching the first Velcro tape (V1)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part (22) to the Velcro tape (V3) (V4), the play toys can be collected and stor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놀이 후에는 펼쳐진 정리함을 다시 접으면서 놀이완구들을 빠짐없이 회수함으로써 어린이가 정리에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하여 놀이완구 놀이에 흥미를 가지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after the play as described abov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lay toy is withdrawn completely without collapsing the unfolded open box so that the child does not feel fatigue in the clearance, thereby making the play toy interesting.

그리고 상기와 같이 놀이완구들 빠짐없이 회수하여 보관함으로써, 놀이완구가 바닥에 방치되어 보호자 또는 어린이에게 상처를 주게 되는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놀이완구들 빠짐없이 회수하여 보관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놀이완구를 쉽게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collecting and storing the play toy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ause that the play toy is left on the floor and hurts the caregiver or the chil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y toy, which is small in size, from being easily lost by collecting and storing the play toy.

또한 상기 정리함의 상부에 손잡이홀(3)을 구비함으로써 정리함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린이들이 정리함을 직접 들고 실내 또는 야외에서 장소에 관계없이 조립식 완구블록 놀이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Also, since the handle hole 3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box,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arrying of the sorting box. Therefor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hildren can play the assembled toy blocks regardless of the place, indoors or outdoors, directly by the user.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y toy settl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As shown in FIG. 6, it is presumed that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y toy settl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plaything settable box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절곡 펼침판(1)의 외면에 구비되어 문자판(4) 또는 벨크로테이프(V)가 표면에 구비된 공(5)이 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 부착천(C)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lay toy organizing box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all 5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nding spread plate 1 and having a dial 4 or a Velcro tape V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velcro tape adhering cloth (C) to be attached thereto.

상기 벨크로테이프 부착천(C)은 절곡 펼침판(1)의 외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고정되거나 재봉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부착면에 벨크로테이프가 형성된 한글판, 영문판, 숫자판 등의 문자판(4)을 이탈이 가능하게 부착하여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벨크로테이프 부착천(C)은 정리함을 세운 상태에서 벨크로테이프가 표면에 부착된 공(5)을 이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공놀이도 가능하게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The velcro tape-attached cloth C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by an adhesive and is fixed or sewed to be fixed. The velcro tape-attached cloth C is separated from the dial plate 4 such as a Korean, So that the learn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velcro tape-attached cloth (C) has a merit that the velcro tape can detachably attach the ball (5) attached to the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jellyfish is kept uprigh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구성하는 둘레 당김줄을 묶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lay toy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y toy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ripheral pull string constituting a play toy pouch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구성하는 정리함 접음수단과 손잡이홀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모든 구성을 포함함을 전제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e organizing folder folding means and the handle hole constituting the play toy organizing box of the first embodiment Premis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을 구성하는 정리함 접음수단은, 상기 매트판(2)과 절곡 펼침판(1)의 외측 둘레의 단부에 다수로 형성되는 줄 관통홀(H)과, 상기 줄 관통홀들에 관통되게 끼워져 당김과 묶음을 통해 상기 매트판(2)과 절곡 펼침판(1)을 정리함으로 접는 둘레 당김줄(W)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놀이완구 정리함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손잡이홀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상기 줄 관통홀(H)은 사용중 줄 관통홀(H)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일렛을 이용하여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jug folding means constituting the play toy jugging box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ug folding means constituting the play toy jugging box comprises a plurality of row through holes H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t plate 2 and the bending spread plate 1 And a peripheral pulling cord W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holes and is folded by arranging the mat plate 2 and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through pulling and bundling. The play toy settable box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form the handle hole of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ole is formed by using an eyelet to prevent the through-hole H from being damaged during use.

따라서 놀이완구 놀이를 끝낸 후에 놀이완구들을 정리할 경우에는, 어린이가 매트판(2)의 상부에 펼쳐진 놀이완구들을 매트판(2)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커버부(21)의 상부로 취합한다.Therefore, when the play toys are to be sorted out after the playing of the play toy, the child assembles the play toys spread on the top of the mat plate 2 to the top of the center cover portion 2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t plate 2.

다음 절곡 펼침판(1)의 전후방 둘레에 위치된 둘레 당김줄(W)을 당기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정리함이 접혀 지면서, 매트판(2)의 상부 중앙에 취합된 놀이완구들을 정리함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둘레 당김줄(W)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묶어 내부에 채워지는 놀이완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peripheral pulling string W position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next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is pulled, as shown in Fig. 8, the opened jig folds and the play toys collec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mat plate 2 And can be stored in the cleanup box. 9,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side of the play toy, which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play toy.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놀이 후에는 펼쳐진 정리함을 다시 접으면서 놀이완구들을 빠짐없이 회수함으로써 어린이가 정리에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하여 놀이완구 놀이에 흥미를 가지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after the play as described above, it is advantageous to allow the child to feel the fatigue in the rearrangement by withdrawing the play toys unfolded while folding the unfolded rearrangement box, thereby making the play toys interest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절곡 펼침판
11 : 바닥판
12 : 전방판
13 : 후방판
14 : 측판
15 : 접힘부
2 : 매트판
21 : 중앙 커버부
22 : 전방 커버부
23 : 후방 커버부
24 : 측커버부
25 : 전방 측커버부
26 : 후방 측커버부
3 : 손잡이홀
4 : 문자판
5 : 공
V1 ~ V6 : 제1 벨크로테이프 ~ 제6 벨크로테이프
H : 줄 관통홀
W : 둘레 당김줄
C : 벨크로테이프 부착천
1: Bending spread plate
11: bottom plate
12: front plate
13: After door plate
14: shroud
15:
2: mat plate
21: center cover portion
22: Front cover part
23: rear cover portion
24: side cover portion
25: front side cover portion
26: rear side cover portion
3: Handle hole
4: Dial
5: Ball
V1 ~ V6: 1st Velcro Tape ~ 6th Velcro Tape
H: Through-hole
W: Perimeter draw
C: Cloth with Velcro tape

Claims (5)

중앙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11)이 구비되고, 바닥판(11)의 전방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방판(12)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며, 바닥판(11)의 후방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방판(13)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고, 바닥판(11)의 양측에는 돌출 단부가 뾰족한 이등변삼각형 형상의 양 측판(14)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곡 펼침판(1)과;
상기 절곡 펼침판(1)의 상면에 부착이나 재봉으로 고정되고, 중앙과 전,후방 및 양측에는 상기 바닥판(11)과 전,후방판(12)(13) 및 양 측판(14)의 상면을 가리는 중앙 커버부(21)와 전,후방 커버부(22)(23) 및 양측의 측커버부(24)가 형성되고, 전방의 양측에는 상기 전방 커버부(22)의 측 단부와 측커버부(24)의 전방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측커버부(25)가 형성되며, 후방의 양측에는 상기 후방 커버부(23)의 측 단부와 상기 측커버부(24)의 후방 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측커버부(26)가 형성되는 천이나 유동성을 가진 재질의 매트판(2)과;
상기 매트판(2)의 둘레에 구비되어 매트판(2)을 접어 놀이완구들을 취합되게 보관하는 정리함 접음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And a rectangular front plate 12 is bendable at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11. A rear rectangular plate 12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ttom plate 11, A folding and spreading plate 1 on which both side plates 14 of an isosceles triangle shape having a projecting end poin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so as to be foldable;
The front and rear plates 12 and 13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14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by attaching or sewing, The front and rear cover portions 22 and 23 and both side cover portions 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portion 22 and the front cover portion 22, Side cover portion 25 connecting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rear cover portion 23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ide cover portion 2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A mat plate (2) made of a cloth or fluid having a rear side cover (26) for connecting the rear cover (26);
A trunk folding means provided around the mat plate 2 for folding the mat plate 2 to store play toys together;
A play toy organizer combined with a play mat characterized by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함 접음수단은,
상기 매트판(2)의 상면의 전후방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제1,2 벨크로테이프(V1)(V2)와,
각각의 상기 전방 측커버부(25) 상면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V1)에 부착되는 제3,4 벨크로테이프(V3)(V4)와,
각각의 상기 후방 측커버부(26) 상면의 외측 둘레 단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제2,3,4 벨크로테이프(V2)(V3)(V4)에 부착되는 제5,6 벨크로테이프(V5)(V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unk folding means includes:
First and second velcro tapes V1 and V2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t plate 2,
A third and a fourth velcro tape V3 (V4)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ront cover parts 25 and attached to the first Velcro tape V1,
A fifth and sixth Velcro tapes V5 and V6 attached to the second, third, and fourth Velcro tapes V2, V3, and V4,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center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rear cover parts 26, (V6)
A play toy organizer combined with a play mat characterized by including.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방 측커버부(25)의 외측 둘레 단부는 상기 전방 커버부(22)의 측 단부의 전방에서 상기 측커버부(24)의 외측 단부의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게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후방 연결부의 외측 둘레 단부는 상기 후방판(13)의 측 단부의 후방에서 상기 측커버부(24)의 외측 단부의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게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벨크로테이프(V1)의 바로 전방과 상기 제2 벨크로테이프(V2)의 바로 후방에는 손잡이홀(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front cover portions 25 is linearly formed so as to linearly connect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side cover portions of the front cover portion 22 and the outer end portions of the side cover portions 24,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s of the rear connecting portions is linearly formed so as to linearly connect between the rear end of the rear cover 13 and the outer end of the side cover 24,
Wherein a handle hole (3) is further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Velcro tape (V1) and immediately behind the second Velcro tape (V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함 접음수단은,
상기 매트판(2)과 절곡 펼침판(1)의 외측 둘레의 단부에 다수로 형성되는 줄 관통홀(H)과,
상기 줄 관통홀(H)들에 관통되게 끼워져 당김과 묶음을 통해 상기 매트판(2)과 절곡 펼침판(1)을 정리함으로 접는 둘레 당김줄(W)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unk fold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row through holes H formed at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mat plate 2 and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And is wound around the string through holes H so as to be folded and pulled together to form a folding string W which is folded by arranging the mat plate 2 and the bending and spreading plate 1,
A play toy organizer combined with a play mat characterized by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펼침판(1)은,
외면에 구비되어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면에 구비된 문자판(4) 또는 벨크로테이프가 표면에 구비된 공(5)이 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 부착천(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nding spreader plate (1)
And a velcro tape cloth (C)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which a velcro tape is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dial (4) or a hole (5) on which a velcro tape is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play mat comprising a play mat.
KR1020130056441A 2013-05-20 2013-05-20 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KR101471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41A KR101471290B1 (en) 2013-05-20 2013-05-20 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41A KR101471290B1 (en) 2013-05-20 2013-05-20 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581A true KR20140136581A (en) 2014-12-01
KR101471290B1 KR101471290B1 (en) 2014-12-10

Family

ID=5245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441A KR101471290B1 (en) 2013-05-20 2013-05-20 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29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34B1 (en) * 2015-03-13 2015-05-27 한현정 Floor mats with augmented reality marker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that include it
KR200488109Y1 (en) * 2017-08-01 2018-12-13 주식회사 엔씨엘 Mat assembly
CN109153478A (en) * 2016-04-18 2019-01-04 本杰明·班农 Sack for belongings
CN111939573A (en) * 2020-08-21 2020-11-17 上海厚际信息科技有限公司 Online game box for children's intelligence trai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5680A1 (en) * 2017-01-19 2018-07-26 임성묵 Foldable textile product and method for fabricating foldable textile product
KR101974361B1 (en) * 2018-12-21 2019-05-02 임성묵 Origami textile goo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830U (en) * 2002-06-18 2002-12-26 株式会社スーパープランニング Full flat bag
KR200449758Y1 (en) * 2008-06-30 2010-08-06 성윤정 Educational toy
KR20110002728A (en) * 2009-07-02 2011-01-10 라귀복 Mat being usable as a basket
JP2011147634A (en) * 2010-01-22 2011-08-04 Marusho Endo Co Ltd Folding and squeezing assembling ba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34B1 (en) * 2015-03-13 2015-05-27 한현정 Floor mats with augmented reality marker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that include it
WO2016148461A3 (en) * 2015-03-13 2016-11-17 한현정 Floor mat having augmented reality marker printed thereon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including same
CN109153478A (en) * 2016-04-18 2019-01-04 本杰明·班农 Sack for belongings
KR200488109Y1 (en) * 2017-08-01 2018-12-13 주식회사 엔씨엘 Mat assembly
CN111939573A (en) * 2020-08-21 2020-11-17 上海厚际信息科技有限公司 Online game box for children's intelligence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290B1 (en)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290B1 (en) Toy Storage box being able to use mat
US4372077A (en) Combined book, flannelboard and hand puppet
US7798163B2 (en) Auxiliary modeling structure for playhouse
US4911670A (en) Educational doll kit
KR101241724B1 (en) Fold installation Child mat Playing Apparatus
US10433662B2 (en) Blanket-based structures
US1087207A (en) Designing apparatus.
US2754550A (en) Toy si-ielters
US20090294075A1 (en) Play structure assembly comprising connectable sheet panels
CN102058981A (en) Detachable plush toy
US898350A (en) Game apparatus.
KR200475050Y1 (en) Play tool for improving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learning ability
US4921461A (en) Hairdressing toy
US20100104222A1 (en) Convertible Carrying Apparatus
US20020072042A1 (en) Learning kit for three-dimensional play
CN208001810U (en) Quick disassembled type Pet combined room
EP2095856B1 (en) A playhouse having an auxiliary modeling structure
JP3575684B2 (en) Learning tool for three-dimensional play
KR200466379Y1 (en) The Associated study board to use the state art cards
US20230141115A1 (en) Modular Block System
Lacome Walking through the jungle
US20160151717A1 (en) Reconfigurable Plush Toy
WO2001066211A1 (en) Baby picture book
JP3024205U (en) Assembled dust box
JPH022335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