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454A - 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454A
KR20140134454A KR1020130054360A KR20130054360A KR20140134454A KR 20140134454 A KR20140134454 A KR 20140134454A KR 1020130054360 A KR1020130054360 A KR 1020130054360A KR 20130054360 A KR20130054360 A KR 20130054360A KR 20140134454 A KR20140134454 A KR 2014013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abl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oper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텍
Priority to KR102013005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454A/en
Publication of KR2014013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5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rotection case f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mobile terminal operating functions. The protection case includes: a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to protect the mobile terminal; a communication module formed on a side of the body and exchange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 projecto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the communication data to project the control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outside; and a sensing unit which detects a touch motion touching the projected control screen, and generates a touch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ase having a portable terminal op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that provides a convenient use environment for a user i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휴대단말기(Portable terminal)는 개인이 휴대 가능하도록 소형화된 단말기기로서, 서버나 중앙 통신망 등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수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휴대단말기는 종전의 휴대전화(Cell phone)와 같은 초창기 단순한 형태의 것으로부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소형컴퓨터에 통신기능이 추가된 형태를 거쳐, 최근에 개발된 스마트폰(Smart phon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되어왔다. A portable terminal is a miniaturized terminal device which can be connected to a server or a central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 receive various data or process received data. The mobile terminal has a function of ad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o a small computer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from a simple form such as a conventional cell phone (cell phone) to a smart phone It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는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형상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질의 플라스틱이나 그 밖에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The protector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from an external impact.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typ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soft plastic or other elastic material to effectively alleviate the external impact.

한편, 최근 제작되고 있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단말기를 보호하는 기본적인 보호기능 외에도 여타 다양한 종류의 기능이 추가적으로 탑재되고 있다. 적절한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 이를 통해 단말기 및 케이스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6084호에는 문자패드를 구비하여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등에 좀 더 정확하게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휴대폰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recently, a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various other types of functions in addition to basic protection functions for mitigating external shocks to protect the terminal. When appropriate functionality is added, this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case and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user.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16084 discloses a mobile phone case having a character pad to allow a character to be input more accurately to a touch screen of a mobile phone.

그러나, 종래의 추가기능들은 상기와 같이 입력수단을 일부 보완한다거나 예를 들어, 여타 간단한 거치기능을 부가하는 데 그치는 것이 대부분으로 휴대단말기 사용시 이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정도일 뿐이었다. 따라서, 좀 더 편리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충실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dditional functions merely supplement the input mean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or merely add other simple mounting functions, which is merely to indirectly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whe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eet the demands of users who want to create a more convenient use environ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6084호, (2010.10.29), 도면 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6084 (2010.10.29), Drawing 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단말기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equipped with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that provides a convenient use environment for a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에 밀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와 유선데이터 및 무선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신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모듈; 상기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휴대단말기의 조작화면을 상기 몸체 외부로 영사하는 프로젝터; 및 영사된 상기 조작화면을 터치하는 터치모션을 감지하고,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The protection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tects the portable terminal; A communication modu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for exchanging communication data composed of at least one of wired data and wireless data; A projecto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project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projecting an operatio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outside the body;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motion of touching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generating a touch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uch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상기 휴대단말기는 유선데이터통신용 연결포트 및 무선데이터통신용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port for wired data communication and a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a short- Modules. ≪ RTI ID = 0.0 >

상기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와 페어링(Pairing)되어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 may be a Bluetooth interfac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Bluetooth scheme,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Bluetooth module that paired with the wireless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센싱부는 영사된 상기 조작화면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부, 및 상기 비전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모션을 판별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vision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and an imag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vision camera unit to discriminate the touch motion.

상기 비전카메라부는 피사체의 거리 및 위치를 판별 가능한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vision camera unit may include a depth camera capable of determining a distance and a position of a subject.

상기 센싱부는 물체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object.

상기 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굴절되는 굴절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센싱부가 상기 조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ixed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adjusting part whose position relative to the fixing part is adjusted, and a fixing part connecting the fixing part and the adjusting part, And a refraction unit, wherein the projector and the sensing unit may be formed in the regulating unit.

상기 굴절유니트는 상기 고정부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굴절유니트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와 상기 고정부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The refraction unit is slidably inserted into a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regula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refra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센싱부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고정부와 밀착되는 밀착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rojector and the sensing unit may be located on a contact surface where the adjusting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unit.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보호케이스의 조작기능을 통해 휴대단말기와 연계되어 이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조작화면에만 의존할 필요 없이,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편리한 사용환경을 조성 가능한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단말기와 보호케이스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the function of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protection case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can obtain a useful effect that can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provide a convenient use environment without having to rely solely on the operatio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it, there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rotection ca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 몸체의 조절부 동작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주요 구성부간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작동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조작화면 터치과정 및 터치모션의 감지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egulator of the protective case body of FIG. 1.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protective case of FIG. 1. FIG.
4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protective case of Fig.
FIGS. 5 to 9 are views showing details of an operation screen touch process and a touch motion detection proces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 몸체의 조절부 동작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protection case body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휴대단말기(도 4의 A참조)에 밀착되어 휴대단말기(A)를 보호하는 몸체(10), 몸체(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와 유선데이터 및 무선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신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모듈(110), 몸체(10)의 타 측에 형성되고 통신모듈(110)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데이터를 전송받아 휴대단말기(A)의 조작화면을 몸체(10) 외부로 영사하는 프로젝터(210), 및 영사된 조작화면을 터치하는 터치모션을 감지하고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10)에 전송하는 센싱부(2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1 having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A (see FIG. 4) A communication module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for exchanging communication data composed of at least one of wireless data and wireless data, A projector 21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f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projecting an operatio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and a touch motion for touching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And a sensing unit 220 for generating a touch signal and transmitting the touch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즉,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휴대단말기(A)에 밀착되어 휴대단말기(A)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통신모듈(110)을 통해 휴대단말기(A)와 통신데이터를 교환하며, 프로젝터(210) 및 센싱부(220)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A)의 조작화면을 외부로 영사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1 equipp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not only protects the portable terminal A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but also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Data can be exchanged and the operatio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 can be projected to the outside using the projector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and the user can easily sense the touch of the operation screen.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A)와 연계된 조작기능을 확보하여 휴대단말기(A)를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이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아울러, 조작화면을 최적의 위치로 영사시켜 조작이 용이한 편리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고 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A without touching the portable terminal A by securing the operation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and can easi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A,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rotection case.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1 having the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having these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몸체(10)는 휴대단말기(도 4의 A참조)에 밀착되어 휴대단말기(A)를 보호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일종의 케이스 또는 함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몸체(10)의 형상이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다. 몸체(10)는 휴대단말기(A)에 밀착되어 휴대단말기(A)를 보호할 수 있는 한 정형화 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몸체(10)는 연질의 플라스틱이나 합성의 고무재질 또는 그 밖에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rtable terminal (see FIG. 4A)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A,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ase or a housing having a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 However, the shape of the body 10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dy 10 may be deformed into various unformed shapes as long as the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and can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A. [ Th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soft plastic, synthetic rubber, or other elastic material.

몸체(10)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고정부(100)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부(200), 및 고정부(100)와 조절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굴절유니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100)는 수용공간을 통해 휴대단말기(A)를 수용하고 휴대단말기(A)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조절부(200)는 굴절유니트(300)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100)와 분리되어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다. The body 10 includes a fixing part 100 having a receiving space and an adjusting part 200 whose position relative to the fixing part 100 is adjusted as shown in FIG. And a refraction unit 30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200 and 200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xing unit 100 receives the portable terminal A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e adjusting unit 200 is fixed to the fixing unit 300 via the refraction unit 300 100 and can be moved at various angles.

굴절유니트(300)는 고정부(100)와 조절부(200)의 사이를 연결하되 조절부(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각도로 굴절될 수 있으며, 전술한 프로젝터(210) 및 센싱부(220)는 이러한 조절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fracting unit 300 may be bent at various angl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unit 200 while connecting the fixing unit 100 and the adjusting unit 200. The refracting unit 300 may include the projector 210 and the sensing unit 200 220 may be formed in the regulating unit 200.

따라서, 프로젝터(210)로부터 영사된 조작화면은 조절부(20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주변의 다양한 지점에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터치하여 최적의 사용환경에서 휴대단말기(A)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조작화면의 터치과정 및 터치모션의 감지과정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screen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210 can be created at various points around the us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roller 200, and the user can touch the portable terminal A conveniently in an optimal use environment It can be manipulated. The touch process of the operation screen and the sensing process of the touch mo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고정부(100)는 휴대단말기(A) 표면에 밀착되기 위해 휴대단말기(A)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조절부(200)는 그 크기나 형상 등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조절부(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 일 측에 밀착되는 경우 고정부(100)와 일체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몸체(10) 외관을 유려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portable terminal A in order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 On the other h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regulating unit 20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at is, the adjusting uni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siz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ize of the adjusting unit 200. When the fixing unit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xing unit 100 a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Thus, the body 10 can be formed to have a good appearance.

굴절유니트(300)는 예를 들어,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각도로 자유롭게 굴절 가능한 통상의 구즈넥 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굴절유니트(300)는 고정부(10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0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수용부(100a)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굴절유니트(300)가 슬라이딩 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조절부(200)와 고정부(100)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The refraction unit 300 may be, for example, a conventional gooseneck device capable of flexing freely at various angles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elasticity. The refraction unit 300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a formed inside the fixing portion 100, Therefore, sliding movement alo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00a is possible. When the refraction unit 300 is slid and inserted completely as shown in FIG. 1, the regulating unit 200 and the fixing unit 1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러나 굴절유니트(300)가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 굴절유니트(300)는 다관절 링크 장치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와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굴절유니트(300)는 고정부(100) 및 조절부(200)를 서로 연결하고 조절부(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굴절될 수 있는 한 제한 없이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refraction unit 300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refraction unit 300 may be formed by a multi-joint linkage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The refraction unit 3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fixation unit 100 and the adjustment unit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be easily refracte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adjustment unit 200.

이 때, 프로젝터(210) 및 센싱부(220)는 조절부(200)가 고정부(100)와 서로 밀착되는 밀착면상에 위치하여 밀착시 완전히 갈무리될 수 있다. 즉, 프로젝터(210) 및 센싱부(220) 특히, 비전카메라부(221) 및 적외선센서(222)는 조절부(200) 및 굴절유니트(300)의 움직임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되거나, 반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와 조절부(200) 사이의 밀착면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는 것이다. 프로젝터(210), 비전카메라부(221), 적외선센서(222) 등은 모두 외부충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에 민감한 광학기기로서, 이러한 방식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are positioned on the close contact surface where the adjustment unit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unit 100, and can be completely caught when the adjustment unit 200 is closely contacted. That is, the projector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in particular, the vision camera unit 221 and the infrared sensor 222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refraction unit 300, As shown in FIG. 1, it can be completely housed in the clos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xing part 100 and the regulating part 200. The projector 210, the vision camera unit 221, the infrared sensor 222, and the like are all optical devices sensitive to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such as external impact or dust, and can be more effectively protected in this way.

통신모듈(110)은 몸체(10)의 일 측, 예를 들어 고정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휴대단말기(A)와 통신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A)의 유선데이터통신용 연결포트(도 4의 Ab 참조)에 접속되는 접속단자(112), 및 근거리통신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11)은 휴대단말기(A)의 무선데이터통신용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Aa)를 통해 휴대단말기(A)와 무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for example, the fixing portion 100.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s for exchanging communication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112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for wired data communication (see Ab in Fig. 4) of the portable terminal A, Module 111. In one embodiment,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can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in a wireless manner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Aa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

즉, 휴대단말기(A)는 연결포트(Ab) 및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A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통신모듈(110)은 상기 연결포트(Ab)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12), 및 상기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Aa)를 통해 휴대단말기(A)와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1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통신모듈(110)은 휴대단말기(A)와 유선데이터 및 무선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신데이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port Ab and a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Aa,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11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b,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Aa. Through this,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can easily exchange the communication data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wired data.

이로써, 휴대단말기(A)의 동작정보, 조작화면 변환정보 등이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에 즉각적으로 전송되고, 영사된 조작화면의 터치신호가 휴대단말기(A)로 전송되어 상호간에 편리하게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u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e operation screen convers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1 equipp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and the touch signal of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So that mutual conveni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Aa)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111)은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단말기(A)와 페어링(Pairing) 되어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The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Aa is a Bluetooth interfa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Bluetooth method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is a Bluetooth module for pair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through the Bluetooth interface .

이 때,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이라 함은 ISM(Industrial, Scientific & Medical) 대역의 주파수를 통신 주파수로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일종이며, 통신 주체 중 하나와 다른 하나가 각각 마스터(Master) 및 슬레이브(Slave)의 관계를 유지하는 페어링(Pairing) 프로세스를 통해 무선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방식을 말한다. 근거리통신모듈(111)은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Aa)를 통해 상기 블루투스 방식으로 휴대단말기(A)와 페어링되고, 이를 통해 통신데이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luetooth system is a typ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frequency of the Industrial, Scientific & Medical (ISM) band as a communication frequency. One of the communication bodies and the other is a master, Refers to a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wireless data is exchanged through a pairing process of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of a slave (slav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is pair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 Aa and can exchange communication data with ease.

한편, 몸체(10)에는 통신모듈(110)과 연결되는 제어부(12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모듈(110)이 전송받은 통신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로젝터(21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센싱부(220)가 감지한 터치모션을 디지털화된 전기신호의 형태로 전송 받아 다시 통신모듈(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MCU(Micro Controller Unit)와 같은 칩 형태의 소형화된 연산장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Meanwhile, the body 10 may include a controller 12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a power source 130 for supplying power. The control unit 120 analyzes the communication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ereby driving the projector 2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the touch mo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22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n the form of a digitized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 unit 120 may be a miniature computation device in the form of a chip such as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전원부(130)는 제어부(120)에 연결되어 통신모듈(110), 프로젝터(210), 센싱부(220) 등을 구동하는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30)는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나 소모후 교체 가능한 일반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전원부(130)는 구동전력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supplies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e projector 210, the sensing unit 220, and the like.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formed of a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be charged or discharged, or a general battery that can be replaced after consum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wer supply unit 13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can easily supply driving power.

이하, 통신모듈(110), 제어부(120), 프로젝터(210), 센싱부(220), 및 전원부(130) 등 각 구성부 상호간의 관계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e control unit 120, the projector 210, the sensing unit 2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주요 구성부간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of the protective case of FIG. 1. FIG.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통신모듈(110)은 근거리통신모듈(111)및 접속단자(1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A)와 통신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데이터는 접속단자(112)와 연결포트(Ab) 사이에서 전송되는 유선데이터, 및 근거리통신모듈(111)과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Aa) 사이에서 전송되는 무선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A)와 통신모듈(110)은 통신데이터의 교환을 통해 유선 및 무선 방식 어느 것으로도 서로 용이하게 통신할 수 있다.3,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exchange communication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using at least on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12. Such communication data may be at least one of wired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112 and the connection port Ab and wireless data transmitted between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1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Aa, The portable terminal A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can easi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wired and wireless manner through exchange of communication data.

통신모듈(110)을 통해 교환된 데이터는 제어부(120)에 전송된다. 제어부(120)는 전송된 통신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이를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는 프로젝터(210)로 전송되어 프로젝터(210)를 구동한다.The data exchang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The control unit 120 analyzes the transmitted communication data and performs a process of convert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210 to drive the projector 210.

프로젝터(210)는 영상표시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재생된 영상을 대물렌즈 등을 통해 확대된 상태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프로젝터(210)의 구성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프로젝터(210)는 조작화면을 용이하게 영사할 수 있는 한 이와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제어부(120)로부터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프로젝터(210)는 그에 대응하는 조작화면을 외부로 영사하며, 이러한 영상은 영사된 방향이나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물체와의 거리 등 위치관계에 따라 그 크기가 적절히 변화할 수 있다.The projector 210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reproduced image in an enlarged state through an objective lens or the lik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jector 210 need not be so limited. The projector 210 can be modified in any number of ways as long as it can easily project an operation screen. When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20, the projector 210 project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screen to the outside, and this image is appropriately siz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such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is projected, It can change.

센싱부(220)는 비전카메라부(221)를 통해 영사된 조작화면을 촬영하는 동시에 조작화면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모션을 판별하여, 이에 대응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한다. 터치신호는 제어부(120) 및 통신모듈(110)을 거쳐 휴대단말기(A)로 전송되어 휴대단말기(A)를 직접 터치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휴대단말기(A)를 동작시킬 수 있다. 센싱부(220)는 프로젝터(210)로부터 영사된 조작화면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부(221), 비전카메라부(221)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터치모션을 판별하는 영상분석부(223)를 포함하며, 물체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20 photographs the operation screen projected through the vision camera unit 221 and at the same time discriminates the touch motion of the user who touches a specific area of the operation screen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touch signal. The touc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via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can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A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portable terminal A is directly touched. The sensing unit 220 includes a vision camera unit 221 that photographs an operation screen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210, an image analysis unit 223 that analyzes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vision camera unit 221, And an infrared sensor 222 for sensing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object.

적외선센서(222)는 예를 들어, 피사체를 향해 적외선광을 방사하는 발광부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센서 주변의 넓은 영역으로 적외선 광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터치모션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센싱부(220)는 비전카메라부(221)를 이용한 영상촬영 및 분석과정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모션감지과정을 서로 보완적으로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모션을 더욱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infrared sensor 222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infrared light toward a subjec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The infrared sensor 222 forms infrared light in a wide area around the sensor, It may be formed to detect motion. That is, the sensing unit 220 can discriminate the touch motion of the user more precisely by complementarily using the image sensing and analysis process using the vision camera unit 221 and the motion sensing process using the infrared sensor .

이 때, 비전카메라부(221)는 피사체의 위치뿐만 아니라 거리까지 판별 가능한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깊이 카메라는, 예를 들어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카메라 렌즈에 결상된 동일물체의 영상변화나, 초음파 또는 적외선광 등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도달하는 시간차(Time Of Flight) 등을 계산하여 거리를 판별하는 것일 수 있다. 센싱부(220)는 이러한 깊이 카메라가 포함된 비전카메라부(221)를 통해 영사된 조작화면까지의 거리 및 사용자의 터치모션이 발생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ision camera unit 221 may include a depth camera capable of discriminating not only the position of the subject but also the distance. For example, the depth camera calculates a time difference (Time Of Flight) or the like when an image change of the same object imaged on a camera lens dispos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each other, or ultrasound or infrared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ubject, It may be to discriminate. The sensing unit 220 can easily measure the distance to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and the distance to the point where the user's touch motion occurs through the vision camera unit 221 including the depth camera.

또한 필요한 경우, 전술한 적외선센서(222)를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로 활용하여 영사된 조작화면까지의 거리나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역시 용이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distance to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or the distance to the point where the user touches by utilizing the infrared sensor 222 as a proximity sensor.

영상분석부(223)는 비전카메라부(221) 및 적외선센서(222)와 연결되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영사된 조작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모션을 판별한다. 터치모션이 판별되면 영상분석부(223)는 그에 상응하는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10)에 전송한다. 영상분석부(223)는 예를 들어, 데이터 연산 및 처리능력을 갖는 연산회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특히, 그래픽 처리능력이 강화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영상분석부(223)는 조절부(도 1 및 도 2의 200 참조)내측에 삽입되어 비전카메라부(221), 적외선센서(222), 및 프로젝터(210) 등과 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image analyzer 223 is connected to the vision camera unit 221 and the infrared sensor 222 to analyze the photographed image data and discriminates the touch motion on the operation screen projected by the user's touch. If the touch motion is determined, the image analyzer 223 generates a corresponding touch signal and transmits the touch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e image analyzing unit 223 may be, for example, an arithmetic circuit having data processing and processing capability, and in particular, a processor including an enhanced graphics processing capability. The image analyzing unit 223 may be inserted inside the adjusting unit 200 (see FIG. 1 and FIG. 2) to be easily connected to the vision camera unit 221, the infrared sensor 222, and the projector 210.

이와 같은 과정은 모두 전원부(130)에서 제공된 전력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전원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탈식 또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변압기나 어댑터 등을 통해 외부전력을 직접 공급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전원부(130)에 어댑터 등이 포함되는 경우, 몸체(도 1의 10 참조) 일 측에는 전력케이블이 결합되는 단자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ll of these processes are performed based on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unit 130. The power source unit 130 may be a removable or rechargeable battery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supply external power through a transformer, an adapter, or the like. When an adapter or the like is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unit 130, a terminal to which a power cable is coupled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ee 10 in FIG. 1).

전술한 터치모션은 비전카메라부(221)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영상데이터의 보정 및 변환 등의 처리작업을 거쳐 판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호케이스의 동작과정, 터치과정 및 터치모션의 감지과정 각각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touch mo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vision camera unit 221, and can be discriminated through 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correction and conversion of image data.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the touch process, and the touch motion detection process of the protective cas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작동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조작화면 터치과정 및 터치모션의 감지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들이다.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protective case of FIG. 1, and FIGS. 5 to 9 are views showing details of a touch screen operation process and a touch motion detection process.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몸체(10)가 고정부(100), 굴절유니트(300), 및 조절부(200)로 구성되어 조절부(200)가 고정부(100) 주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210)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210)로부터 영사된 조작화면(B')이 적절한 위치에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4,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1 having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having a fixing part 100, a refraction unit 300, (200) so that the regulating part (200) can freely move around the fixing part (100). The projector 210 can be oriented in a specific direction and the operation screen B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210 can be genera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이 때, 영사된 조작화면(B')은 휴대단말기(A)에 표시된 조작화면(B)과 동일한 화면이되 그 크기는 확대된 것일 수 있다. 비전카메라부(221) 및 적외선센서(222)를 포함하는 센싱부(220)는 영사된 조작화면(B') 상에서 이루어지는 터치모션을 판별하고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10)에 전송한다. At this time,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is the same screen as the operation screen B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A, and its size may be enlarged. The sensing unit 220 including the vision camera unit 221 and the infrared sensor 222 determines the touch motion on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and generates a touch signal to transm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한편, 휴대단말기(A)는 통신모듈(110)과 페어링 등의 접속과정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속단자(112)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A)가 몸체(10) 특히, 고정부(100) 내측에 삽입되면, 휴대단말기(A)의 연결포트(Ab)는 접속단자(112)에 결합된다. 근거리통신모듈(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Aa)를 통해 휴대단말기(A)와 페어링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A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rough a connection process such as a pairing,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112 by wire. The connection port Ab of the portable terminal A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2 when the portable terminal A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may be pair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A via the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Aa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상태로 사용자는 영사된 조작화면(B')을 터치하여 휴대단말기(A)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영사된 조작화면(B')은 휴대단말기(A)의 조작화면(B)에 비해 확대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기 용이한 지점에 영사된 조작화면(B')을 자유로이 생성하여 편리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고 이를 통해 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A by touching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is enlarged a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screen B of the portable terminal A, and for example, a user with poor eyesight can easily use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In addition, the user can freely create an operation screen B 'projected at an easy-to-use point, thereby creating a convenient use environment and thereby maximizing utiliz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rotection case.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터치모션의 판별 또는 감지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전카메라부(도 4의 221 참조)가 영사된 조작화면(B')을 촬영한다. 이 때, 영사된 조작화면(B') 상에 휴대단말기(도 4의 A 참조)의 조작화면(도 4의 B 참조)과 동일한 메뉴(B1, B2, B3)가 표시될 수 있다. 5 to 9, the process of discriminating or sensing touch motions may be performed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5, the vision camera section (see 221 in Fig. 4) photographs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 At this time, the same menus (B1, B2, B3) as the operatio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see FIG. 4A) (see FIG. 4B) can be displayed on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

촬영된 영상은 전술한 깊이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링등을 통해 그 생성된 지점까지의 거리가 판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가 판별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전체가 하나의 평면으로 파악되며, 영사된 조작화면(B')은 적절한 간격으로 나누어진 그리드(C)에 의해 복수의 셀(D)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셀(D)은 그 크기가 메뉴(B1, B2, B3)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그리드(C) 및 셀(D)의 크기는 판별된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값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드(C) 및 셀(D)의 크기는 예를 들어, 거리 값에 대응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과정 등을 통해 적절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The distance to the generated poin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depth camera or the infrared sensor ring described above. 6, the entire image is grasped as one plane, and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ells D by a grid C divided at appropriate intervals, . Each of the cells D may be set in advance to correspond to the sizes of the menus B1, B2 and B3 and the sizes of the grid C and the cell D may be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determined distance Can be applied. The sizes of the grid C and the cell D can be set to appropriate sizes, for example, by a calibr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value.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메뉴(B1, B2, B3) 중 하나를 터치한다. 영사된 조작화면(B')은 확대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뉴(B1, B2, B3) 역시 확대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메뉴(B3)를 매우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user touches one of the menus B1, B2, and B3 as shown in FIG.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B 'may be enlarged, and accordingly, the menus B1, B2, and B3 may also be displayed in an enlarged state.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menu B3.

메뉴(B3)가 선택됨과 동시에, 영상분석부(도 3의 223 참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뉴(B3)가 포함된 셀(D)을 인식하여 터치모션을 감지하고 터치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특정 메뉴(B3)를 지시하는 지시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일 수 있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내부에서 그 외곽선만이 표시되도록 그 영상정보가 변환될 수 있으며, 영상분석부(223)는 이러한 영상정보의 처리 및 분석을 통해 특정 위치(예를 들어, 도시된 손의 손가락 끝부분일 수 있다)만을 터치모션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영상분석부(223)는 모션인식 기법이나, 음영대비 등을 통한 영상정보의 보정기법 등을 통해 터치모션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The menu B3 is selected and the image analysis unit 223 of FIG. 3 recognizes the cell D containing the menu B3 as shown in FIG. 8, detects the touch motion, . At this time, the indicat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s hand) indicating the specific menu B3 can be transformed so that only the outline thereof is displayed inside the cell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image analyzing unit 223 (For example, the fingertip portion of the hand shown) through the processing and analysis of such image information. The image analyzer 223 can easily discriminate the touch motion through a motion recognition technique, a correction technique of image information through shadow contrast, and the like.

이러한 과정을 통해 터치모션이 판별되면, 영상분석부(223)는 통신모듈(110)을 통해 휴대단말기에 터치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로써, 휴대단말기가 터치신호를 인식하여 작동상태가 변화되고, 변화된 화면은 즉각적으로 다시 영사된 조작화면(B') 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피드백 작용을 통해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If the touch motion is determined through this process, the image analyzer 223 transmits a touch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 Thus,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es the touch signal and changes its operating state, and the changed screen is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operation screen B 'again projected. Such a feedback operation allow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easily operated.

한편, 각각의 셀(D)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서브셀(D')들의 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전술한 터치모션은 이러한 서브셀(D')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활성화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브셀(D')들을 이용하면 좀 더 크기가 작은 메뉴나 문자판 등도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ach cell D may be represented by a set of relatively small sub-cells D 'as shown in FIG. The above-described touch motion can be achieved by activating one or more of these sub-cells D '. By using these sub-cells D ', it is possible to easily touch a smaller menu or a dial.

이러한 과정을 통해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편리한 사용환경을 조성하여 단말기 및 보호케이스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process,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asily operated, and the user can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protection case by creating a convenient use environment optimized for the user.

이상,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0: 몸체 100: 고정부
100a: 수용부 110: 통신모듈
111: 근거리통신모듈 112: 접속단자
120: 제어부 130: 전원부
200: 조절부 210: 프로젝터
220: 센싱부 221: 비전카메라부
222: 적외선센서 223: 영상분석부
300: 굴절유니트
A: 휴대단말기 Aa: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
Ab: 연결포트 B, B': 조작화면
B1, B2, B3: 메뉴 C: 그리드
D: 셀 D': 서브셀
1: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equipped with a portable terminal operation function
10: Body 100:
100a: receiving portion 110: communication module
111: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12: Connection terminal
120: control unit 130:
200: regulator 210: projector
220: sensing unit 221: vision camera unit
222: Infrared sensor 223: Image analysis unit
300: refraction unit
A: mobile terminal Aa: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Ab: Connection port B, B ': Operation screen
B1, B2, B3: Menu C: Grid
D: cell D ': sub cell

Claims (9)

휴대단말기에 밀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보호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와 유선데이터 및 무선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신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모듈;
상기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통신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통신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휴대단말기의 조작화면을 상기 몸체 외부로 영사하는 프로젝터; 및
영사된 상기 조작화면을 터치하는 터치모션을 감지하고, 터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A body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A communication modu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for exchanging communication data composed of at least one of wired data and wireless data;
A communication modu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 project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data and projecting an operation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out of the body; And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motion of touching the projected operation screen and generating a touch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touch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유선데이터통신용 연결포트 및 무선데이터통신용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연결포트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와 통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port for wired data communication and a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와 페어링(Pairing)되어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인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rt range wireless interface is a Bluetooth interfac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Bluetooth system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a Bluetooth module for paired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interface, Terminal protection c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영사된 상기 조작화면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부, 및
상기 비전카메라부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모션을 판별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vision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operation screen projected,
And an image analyzer for analyz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vision camera and determining the touch mo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카메라부는 피사체의 거리 및 위치를 판별 가능한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ision camera unit includes a depth camera capable of determining a distance and a position of a subjec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물체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n infrared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and a movement of an obje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 표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굴절되는 굴절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센싱부가 상기 조절부에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fixed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 adjustment portion whose position relative to the fixed portion is adjusted, and
And a refraction unit that connects between the fixing unit and the adjustment unit and is refrac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unit,
The projector, and the sensing unit are formed in the controll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유니트는 상기 고정부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굴절유니트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와 상기 고정부가 서로 밀착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fraction unit is slidably inserted into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regulating unit and the fixing uni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refra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uni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및 상기 센싱부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고정부와 밀착되는 밀착면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 조작기능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jector and the sensing unit have a function of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 unit being located on a close contact surface where the control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unit.
KR1020130054360A 2013-05-14 2013-05-14 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 KR201401344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60A KR20140134454A (en) 2013-05-14 2013-05-14 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60A KR20140134454A (en) 2013-05-14 2013-05-14 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54A true KR20140134454A (en) 2014-11-24

Family

ID=5245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360A KR20140134454A (en) 2013-05-14 2013-05-14 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4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9422B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US20060209013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machine connected to a display by line of vision
KR101313106B1 (en) Thimble-type mediated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thimble gesture using the device
CN103324309A (en) Wearable computer
KR20170050954A (en)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 same
US10261327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JP2010528397A (en) Fingertip mouse and base
JP6719418B2 (en) Electronics
CN104298340A (e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597971B (en) A kind of wearable computer
JP6439448B2 (en) Display system, program,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KR20160039589A (en) Wireless space control device using finger sensing method
CN203490651U (en) Wearable computer
JP6270557B2 (en) Information input / out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 output method
GB2418974A (en) Data input from the relative position of devices on respective hands of a user
KR20140134454A (en) Protective case having function of operating portable terminal
KR101415931B1 (en) Headset with recognition of gesture
JP6717393B2 (en) Electronics
CN116648926A (en) System with peripheral device having magnetic field tracking
CN106325542A (en) Mouse with keyboard projection function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KR20110118357A (en) Portable mouse
US11940293B2 (en) Finger devices with self-mixing interferometric proximity sensors
US11983337B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mouse with strain sensor for click and continuous analog input
KR20170139743A (en) SmartPhone case that use touch function as click button and that act mouse
TWI495903B (en) Three dimension contactless controllable glasses-like cell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