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279A -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279A
KR20140133279A KR1020130053240A KR20130053240A KR20140133279A KR 20140133279 A KR20140133279 A KR 20140133279A KR 1020130053240 A KR1020130053240 A KR 1020130053240A KR 20130053240 A KR20130053240 A KR 20130053240A KR 20140133279 A KR20140133279 A KR 2014013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ell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channe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186B1 (ko
Inventor
고수민
김은용
맹승주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86B1/ko
Priority to US14/266,116 priority patent/US9848371B2/en
Priority to PCT/KR2014/003912 priority patent/WO2014182006A1/en
Publication of KR2014013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APP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ERVING SUB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ULTIPLE SUBCELLS}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복수의 서브 셀들이 셀 식별자를 공유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셀(Cell)마다 고유한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cation: PCID)를 갖고, 단말이 셀 간을 이동하는 경우 핸드 오버를 통하여 서빙 셀을 변경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하나의 셀 내에 다수 개의 서브 셀들이 존재하고, 상기 서브 셀들이 동일한 셀 식별자를 갖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현재의 서브 셀에서 다른 서브 셀로 이동하더라도 서브 셀들 간의 셀 식별자가 동일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절차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한편,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release-10에서는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nel Status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도입하였다. 상기 CSI-RS는 복조를 위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가 채널 추정에 사용되고 있을 때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 서브셀이 참조 신호(CSI-RS)를 송신하는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 구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 구간 정보를 생성하는 서브셀 참조신호 송신구간 결정부와,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서빙 서브셀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채널 상태 추정부와, 상기 생성된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채널 상태 추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이 서브셀의 참조신호 송신구간과 단말의 채널 추정 보고 구간을 결정하여 이를 각각 서브셀과 단말에게 시그널링하고,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널 추정 정보의 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들을 서브셀 별로 쉽게 분류하여 단말의 서빙 서브셀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서브 셀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해당 서브 셀의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하면 된다. 따라서 어느 서브 셀이 언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말의 복잡도가 감소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셀들의 참조신호 송신구간과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규격을 기준으로 설명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LTE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은 "셀Cell)"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매크로(Macro) 기지국은 "기지국" 또는 "셀"로 약칭될 수 있으며, 상기 매크로 기지국 셀 내에 포함되는 하위 셀을 "서브(Sub) 셀"로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내용을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 셀이 동일한 셀 식별자를 공유하고 있을 때, 특정 단말에 대한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서브 셀이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구간의 정보(이하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서브 셀 별로 결정하여 이를 해당 서브 셀로 알린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이 서브 셀들의 채널 상태를 보고하는 시간 구간의 정보(이하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단말에게 알린다.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수신한 해당 서브 셀들 각각은 해당 참조신호 송신구간에서 참조 신호(Channnel Status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를 송신한다. 그러면, 단말은 서브 셀들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해당 서브 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에게 송신한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점과, 상기 참조 신호 보고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들을 서브셀 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채널 상태 정보들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가 어느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인지를 쉽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서브 셀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해당 서브 셀의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하면 된다. 따라서 어느 서브 셀이 언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말의 복잡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00)이 담당하는 셀에는 복수의 서브셀이 있으며, 도 1에서는 4개의 서브셀들(101, 102, 103, 104)이 있음을 가정하였다. 한편, 서브셀들(101, 102, 103, 104)의 셀 식별자(PCID)는 모두 동일하다. 여기서는 모두 PCID=0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단말(105)은 현재 서브셀(102)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상기 단말(105)이 다른 서브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브셀들(101, 102, 103, 104)의 셀 식별자가 모두 동일하므로 핸드오버가 필요하지는 않으나, 서빙(serving) 서브셀을 스위칭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서브셀들(101, 102, 103, 104)은 단말이 해당 서브셀들(101, 102, 103, 104)의 채널을 추정하여 서빙 서브셀을 결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채널 상태 정보-참조 신호(Channnel Status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이하 "참조 신호"로 약칭한다.)를 송신한다. 단말은 상기 서브셀들(101, 102, 103, 104)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셀들(101, 102, 103, 104)의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한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기지국(100)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단말(105)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105)의 서빙 셀을 결정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서빙 셀 결정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00단계에서 기지국(100)은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여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단말 별로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여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은 서브셀 별로 서로 다른 시간 구간이 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는 서브셀0(101)이 참조 신호를 먼저 송신하고, 서브셀1(102)이 다음 순서로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은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경계 구간에서는 상기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하는 여유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에는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 방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 정보, 또는 채널 상태 보고를 비주기적으로 할 경우라면 비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한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과 채널상태 보고구간의 설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201단계에서 기지국(100)은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해당 서브 셀로 송신한다. 도 2에서는 201a에서 서브셀0(101)으로 송신하고, 201b에서 서브셀1(102)로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상으로는 서로 다른 시점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201a와 201b는 동일한 시점이 될 수 있다. 203단계에서 기지국(100)은 단말(105)에게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송신한다. 참고로 203단계에서는 하나의 단말(105)만이 도시되었으나, 기지국(100)은 기지국(100)이 담당하는 셀 영역 내의 단말들에게 각각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송신할 것이다.
205단계에서 서브셀0(101)은 상기 수신한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에 따라 자신의 송신 구간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206단계에서 단말(100)은 상기 서브셀0(101)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셀0(101)의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207단계에서 단말(105)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은 상기 203단계에서 수신한 채널상태 보고구간에 따른다.
209단계에서 서브셀1(102)은 상기 수신한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에 따라 자신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210단계에서 단말(100)은 상기 서브셀1(102)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셀1(102)의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211단계에서 단말(100)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100)으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시간은 상기 203단계에서 수신한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에 따른다.
213단계에서 기지국(100)은 상기 단말(105)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한 시간 정보와,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100)의 서빙 서브셀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0)은 상기 200단계에서 생성한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와, 207단계와 211단계에서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들을 서브셀 별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들을 비교하여 최상의 채널 상태를 가지는 서브셀을 서빙 서브셀로 결정할 수 있다.
215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서빙 서브셀 정보를 해당 단말(105)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셀들의 참조신호 송신구간과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서브셀의 개수는 두 개(101, 102)로 가정하였다. 먼저 기지국(100)은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서브 셀 별로 다르게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서로 다른 서브 셀들이 동일한 시간 구간에 참조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여 단말에서 혼란이 없도록 한다. 예들 들어, 도 3에서 참조 번호 351, 355는 서브셀1(102)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이고, 참조 번호 353, 357은 서브셀0(101)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이다. 하나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길이는 소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40ms로 설정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참고로 참조 번호 351과 357은 40ms 중 일부만 도시된 것이다.
한편, 서브셀이 참조신호 송신구간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간격 또한 소정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5ms로 설정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상술한 서브셀의 참조신호 송신 방식에 따라 각 서브셀들은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참조 번호 310은 서브셀0(101)이 참조신호 송신구간(353, 357)에서 정해진 간격(5ms)으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320은 서브셀1(102)이 참조신호 송신구간(351, 355)에서 정해진 간격(5ms)으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지국(100)은 서브 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한 이후,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한다. 이때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경계에서는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하는 여유(margin)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참조 번호 341은 서브셀0(101)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시작 시점이므로 이 구간에서 소정 시간 동안은 채널 추정 보고를 하지 않는 여유(margin)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이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여유 구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단말기는 그 제조사에 따라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해 참조하는 참조 신호의 타이밍이 차이가 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보고한 채널 상태 정보가 가장 최근에 전송된 참조 신호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인지 아니면 그 이전에 전송된 참조 신호에 대한 채널 상태 보고인지가 불명확해질 수 있다. 이는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셀이 달라지는 참조 신호 전송 구간의 경계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이러한 경계에서는 단말이 서브셀1(102)에 대한 채널 상태 보고를 하였는데, 기지국은 서브셀0(101)에 대한 채널 상태 보고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상태 보고구간 설정 시 여유 구간을 설정하면, 어떤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보고인지 여부에 대한 혼동이 생길 소지를 없앨 수 있다.
상기 여유 구간은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에서 복수 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첫 번째 여유 구간(341)의 시작 시점을 여유 구간(341)의 시작 시점으로 하고, 여유 구간(341)의 길이는 5ms로 설정하였다. 한편, 두 번째 여유 구간(343)은 상기 첫 번째 여유 구간(341)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20ms로 설정한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단말 별로 채널 상태 보고를 수행하는 방식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별로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단말 별로 채널 상태 보고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A에 대해서는 긴 주기로 주기적인 채널 상태 보고를 하도록 하고, 단말 B에 대해서는 짧은 주기로 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를 하도록 하고, 단말 C에 대해서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시그널링이 있는 경우에 비주기적으로 채널 상태 보고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말 D에 대해서는, 단말 D가 서브셀 간 경계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긴 주기로 주기적인 채널 상태 보고를 하도록 하고, 단말 D가 서브셀 간 경계 지역에 가까이 있을 때에는 기지국 별도의 시그널링을 보내 비주기적으로 채널 상태 보고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서브셀 간 경계 지역 근처에 있는 단말은, 서브셀 간 경계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단말보다, 채널 정보를 자주 보고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 별 채널 상태 보고 방식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로 송신하는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401단계에서 기지국은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단말 별로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한다.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과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는 방식은 상기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403단계에서 기지국은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각 서브셀들에게 송신하고,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각 단말들에게 송신한다. 405단계에서 기지국은 특정 단말로부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서브셀이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에서 송신한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이 해당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생성한 정보이다.
407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서빙 서브셀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채널 상태 정보들 각각의 수신 시간 정보와, 상기 401단계에서 설정한 각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이용하여,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들이 어느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인지를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들을 비교하여 최상의 채널 상태를 가지는 서브셀을 서빙 서브셀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409단계에서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서빙 서브셀의 정보를 해당 단말로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서브셀 참조신호 송신구간 결정부(501)는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여 이를 채널상태 보고구간 결정부(503), 송수신부(507), 서빙 서브셀 결정부(505)로 전달한다.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결정부(503)는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단말 별로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여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송수신부(507)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는 단말들 별로 채널 상태를 보고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 정보, 또는 채널 상태 보고를 비주기적으로 할 경우라면 비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한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부(507)는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각 서브셀들에게 송신하고,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각 단말들에게 송신한다. 이후, 특정 단말로부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서빙 서브셀 결정부(505)로 전달한다.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서브셀이 상기 참조신호 송신구간에서 송신한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이 해당 서브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생성한 정보이다.
서빙 서브셀 결정부(505)는 상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서빙 서브셀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채널 상태 정보들 각각의 수신 시간 정보와,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이용하여,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들이 어느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인지를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들을 비교하여 최상의 채널 상태를 가지는 서브셀을 서빙 서브셀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601단계에서 단말은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603단계에서 서브셀들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는 기지국에서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설정한 것이고, 상기 서브 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소정 여유(margin) 구간 동안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는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 정보 또는 비주기적 보고를 위한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60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서브셀들로부터 수신한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607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609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서브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서빙 서브셀은 기지국에서 상기 서브셀 별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과 기지국에서 설정한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와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한 단말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송수신부(703)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705)로 전달하고, 서브셀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채널 상태 추정부(701)로 전달한다.
제어부(705)는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에 따라 채널 상태 추정부(701)를 제어하여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도록 채널 상태 추정부(701)를 제어한다.
채널 상태 추정부(701)는 상기 제어부(705)의 제어에 따라 채널상태 보고구간에서 상기 서브셀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셀의 채널을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송수신부(703)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상기 복수의 서브셀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단말에 대한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여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 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소정 여유(margin) 구간 동안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에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 정보 또는 비주기적 보고를 위한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설정하여 상기 서브셀 별로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생성하는 서브셀 참조신호 송신구간 결정부와,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를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으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셀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서브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상기 채널 상태 정보의 수신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서빙 서브셀 결정부를 포함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서브셀 참조신호 송신구간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상기 복수의 서브셀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설정하여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채널상태 보고구간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결정부는,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을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결정부는,
    상기 서브 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소정 여유(margin) 구간 동안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결정부는,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에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 정보 또는 비주기적 보고를 위한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의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은,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의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은,
    상기 서브 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소정 여유(margin) 구간 동안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설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의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는,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 정보 또는 비주기적 보고를 위한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의 방법.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브 셀들 중 단말의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채널 상태 추정부와,
    상기 생성된 채널 상태 정보를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채널 상태 추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은,
    상기 복수의 서브셀들 각각의 참조신호 송신구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은,
    상기 서브 셀 별 참조신호 송신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소정 여유(margin) 구간 동안 상기 단말이 채널 상태 보고를 하지 않도록 설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 보고구간 정보는,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의 주기 정보 또는 비주기적 보고를 위한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서브 셀을 결정하는 상기 단말 장치.
KR1020130053240A 2013-05-10 2013-05-10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96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40A KR101966186B1 (ko) 2013-05-10 2013-05-10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US14/266,116 US9848371B2 (en) 2013-05-10 2014-04-30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rving sub-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ultiple sub-cell
PCT/KR2014/003912 WO2014182006A1 (en) 2013-05-10 2014-05-02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rving sub-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multiple sub-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40A KR101966186B1 (ko) 2013-05-10 2013-05-10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279A true KR20140133279A (ko) 2014-11-19
KR101966186B1 KR101966186B1 (ko) 2019-04-05

Family

ID=5186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240A KR101966186B1 (ko) 2013-05-10 2013-05-10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48371B2 (ko)
KR (1) KR101966186B1 (ko)
WO (1) WO2014182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36700B (zh) * 2016-05-13 2018-09-21 諾基亞科技公司 用於授權輔助接取中未授權副服務區檢測、量測及啟動之最大時間技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6214A1 (en) * 2007-12-18 200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amble design method for reducing overhead during handover in hierarchical cellular system
US20100177683A1 (en) * 2009-01-15 2010-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arching
US20100177688A1 (en) * 2007-05-25 2010-07-15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US20110183669A1 (en) * 2008-09-30 2011-07-28 Muhammad Kazmi Methods and Arrangments for Dynamically Adjusting the Rate of Sub Cell Searching in 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Reception, Comp, Cells
US20140094384A1 (en) * 2011-07-15 2014-04-03 Georgetown University Stromal antigen 2 (stag2) composition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27B1 (ko) * 2006-12-27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FI20085375A0 (fi) * 2008-04-25 2008-04-25 Nokia Siemens Networks Oy Hajautettu antennijärjestelmä tietoliikenneverkossa
US8548479B2 (en) * 2008-08-28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ter-work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18580B2 (ja) 2009-08-27 2012-04-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移動局、移動通信方法及び測定方法
US20110103247A1 (en) * 2009-11-02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us reporting
US9185570B2 (en) 2010-05-18 2015-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hannel measurement in a distributed multi-node system
PL2603987T3 (pl) 2010-08-11 2021-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rządzenie i sposób przesyłania i odbierania sygnałów w systemie łączności komórkowej
US9426703B2 (en) * 2011-02-11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on and operation of macro node and remote radio head deployme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WO2013100516A1 (en) * 2011-12-26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form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operative multi-point scheme
US9154267B2 (en) * 2012-07-02 2015-10-06 Intel Corporation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mechanism for intracel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7688A1 (en) * 2007-05-25 2010-07-15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US20090156214A1 (en) * 2007-12-18 200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amble design method for reducing overhead during handover in hierarchical cellular system
US20110183669A1 (en) * 2008-09-30 2011-07-28 Muhammad Kazmi Methods and Arrangments for Dynamically Adjusting the Rate of Sub Cell Searching in 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Reception, Comp, Cells
US20100177683A1 (en) * 2009-01-15 2010-07-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earching
US20140094384A1 (en) * 2011-07-15 2014-04-03 Georgetown University Stromal antigen 2 (stag2) composition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5850A1 (en) 2014-11-13
US9848371B2 (en) 2017-12-19
KR101966186B1 (ko) 2019-04-05
WO2014182006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2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ell aggregation
EP3713281B1 (en) Measurement methods, csi-rs resource shar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16119325A1 (zh) Csi测量及反馈方法、csi测量及反馈系统和基站
CN110475262B (zh) 一种准共址信息的配置方法、网络设备及用户设备
EP29410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mmon signal
EP2978259A1 (en) D2d switchover method, system, and device
AU2019234146B2 (en) Beam reporting configuration for serving frequency measurements
EP2664176B1 (en) Terminal measurement configuration in carrier aggregation
US10368276B2 (en) Cell handover method, base station, and control node
EP3393170B1 (en)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CN114071611A (zh) 测量上报方法、装置及设备
US20190230546A1 (en) User equipment and transmission method
US1131741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3197210B1 (en) Quick transmission point handover method and handover device
CN107395534B (zh) 移动性管理的方法和设备
TW201815194A (zh) 通訊方法、終端裝置和網路裝置
CN106550411B (zh) 一种邻区配置方法及装置
US112592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synchronization sequenc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966186B1 (ko) 다중 서브 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서브 셀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211612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during a transition phase when a wireless device transitions between operational scenarios
CN114080028A (zh) 处理方法、配置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