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578A -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578A
KR20140130578A KR20130049001A KR20130049001A KR20140130578A KR 20140130578 A KR20140130578 A KR 20140130578A KR 20130049001 A KR20130049001 A KR 20130049001A KR 20130049001 A KR20130049001 A KR 20130049001A KR 20140130578 A KR20140130578 A KR 2014013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alt
graphene
group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0715B1 (en
Inventor
김일두
신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3004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715B1/en
Publication of KR2014013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5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7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pecifically, to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a composite of carbon nano-fiber including a metal nano-fiber or metal nano-particles and graphene bonded thereto, and to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s a nano-fiber and a graphene bonding layer bond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wherein the nano-fiber is a nano-fib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between a metal or an alloy thereof, or a carbon nano-fiber including at least one type of nano-particles between a metal or an alloy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mposed by using a metal nano-fiber consisting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or a carbon nano-fiber including nano-particles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and a graphene bonding layer bonded thereto so as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the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nano-fiber due to the insertion/taking-out reaction of lithium ions. Furthermor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es a one-dimensional nano-fiber, not a multicrystalline structure, thereby having a high electric conductivity and being stably operated as the expansion of the nano-fiber is suppressed. Moreove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minimizes the growth of SEI film produced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increase of charge transfer resistance due to the SEI film.

Description

나노섬유와 그래핀의 복합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a composite of nanofibers and graphe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금속 나노섬유 또는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섬유와 이에 결착하는 그래핀의 복합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a composite of carbon nanofibers comprising metal nanofibers or metal nanoparticles and graphene bound thereto An active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산화탄소 등 온실 가스의 감소 요구 등으로 인하여 전기 자동차와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 및 에너지 저장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가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the demand for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arbon dioxide due to global warming, a smart grid including electric vehicles 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energy storage functions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In this regard, The secondary batter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torage means.

그러나 전기 자동차나 스마트 그리드의 원활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기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최소 2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와 출력 밀도, 그리고 장수명 특성이 요구되는데,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경우 에너지 밀도는 충전 일회시의 주행 거리, 출력 밀도는 가속 성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러한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론용량값이 기존의 상용 그래파이트(graphite)의 372mAh/g 보다 높은 실리콘계 합금 혹은 주석계 합금 등 고용량 리튬-합금계 금속 물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재료를 개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고용량 음극활물질로 주목받고 있는 상기 실리콘계 합금, 주석계 합금 등 리튬-합금계 금속 물질은 충전 시 리튬 이온이 Li4.4Si, Li4.4Sn의 금속합금을 형성하면서 전극 물질 부피의 3배 이상으로 과도한 부피 팽창을 일으킬 수 있고, 이는 전극 물질의 붕괴, 용량 감소 및 전지 수명의 단축이라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However, for smooth and efficient use of electric vehicles and smart grids, energy density, power density, and long life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to be at least twice that of convention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s, The driving distance and power density at the moment are closely related to acceler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se characteristics, a method of using a high-capacity lithium-alloy-based metal material such as a silicon-based alloy or a tin-based alloy having a theoretical capacity value higher than 372 mAh / g of conventional graphite, . However, the lithium-alloy-based metal materials such as the silicon-based alloys and the tin-based alloys,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as high-capacity anode active materials, are liable to be excessively increased to three times or more the volume of the electrode material while lithium ions form metal alloys of Li4.4Si and Li4.4Sn Which may lead to volume expansion, which may lead to problems such as collapse of the electrode material, reduction in capacity, and shortening of battery lif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부피팽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최대한 완충시켜 줄 수 있는 나노구조체에 기반을 둔 전극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전극활물질을 나노미터 크기로 만들 경우, 리튬 이온의 상대적인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으므로 높은 출력을 얻기에 용이하며, 또한 나노 물질이 가지고 있는 높은 표면적은 더 많은 전해질과 접촉하게 해주어 빠른 전기화학 반응을 기대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다양한 나노구조체들 중 1차원 형상의 나노섬유로 전극활물질을 구성할 경우, 나노섬유 사이의 넓은 기공이 전극활물질의 팽창에 대한 여유 공간을 제공해 주며, 긴 섬유 축 방향으로 전자를 용이하게 전달하는 동시에 원통형의 표면으로 짧은 리튬이온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음극 소재로 주목을 받아왔다. 하지만, 나노섬유로 음극활물질을 구성하더라도 기존 음극활물질의 부피 팽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며, 또한 음극활물질이 나노구조체로 구성이 되면서 나노구조체의 다결정성으로 인하여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음극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물질이 보다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는 물질로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리튬 이온이 들어오고 나감에 따라서 나노섬유 전극 표면에 원통형으로 성장하는 SEI(Solid electrolyte interphase)막의 형성에 따른 전하이동저항(charge transfer resistance, CTR)의 증가와 그에 따른 성능 열화의 문제가 제기되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nano-structured electrode materials capable of buffering the stress caused by bulk expansion as much as possible. Wh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used in a battery is made into a nanometer siz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lithium ion, so that it is easy to obtain a high output. Further, the high surface area of the nanomaterial makes contact with more electrolyte, Allows you to expect chemical reactions.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mposed of one-dimensional nanofibers among various nanostructures, wide pores between the nanofibers provide space for expansion of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easily transmit electrons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fiber axis At the same time, it has a structure that enables short lithium ion diffusion to the cylindrical surface, and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cathode material. However, even if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mposed of nanofibers, the problem of volume expansion of a conventional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not be fundamentally solved. Also, sinc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mposed of a nanostructure, resistance increases due to polycrystallinity of the nanostructur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metal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the material is limited to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In addition, as the lithium ion enters and leaves, there arises a problem of an increase in charge transfer resistance (CTR) due to the formation of a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film growing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electrod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또는 합급/비합금화(alloying/dealloying) 반응에 의한 나노섬유의 지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고속의 충방전시 나노섬유의 부피가 변화하더라도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또한 나노섬유 표면에 생기는 SEI막의 성장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전하이동저항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a diameter change of nanofibers due to lithium ion insertion / elimination or alloying / dealloying reaction , Has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has a stable structure even when the volume of the nanofiber is changed during high-speed charging and discharging, minimizes the growth of the SEI film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and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an an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은 나노섬유; 및 상기 나노섬유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결착되는 그래핀 결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는,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이거나,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nanofiber; And a graphene binding layer bond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wherein the nanofiber is a nanofiber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or a nanoparticle of at least one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Carbon nanofibers.

여기서,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나노섬유의 원통형 표면에 밀착하여 완전히 감싸고 있는 한 겹 혹은 이들을 다시 추가적으로 감싸는 여러 겹의 그래핀 결착층일 수 있다.Here, the graphene binding layer may be a single lay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nanofiber, or a multiple layer of graphene binding layer which additionally surrounds them.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에 부착되는 전하를 띠는 제1작용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제1작용기의 전하와 반대의 전하를 띠며,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제1작용기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나노섬유에 결착될 수 있다.Wherein the graphene binder layer has a charge opposite to the charge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and the graphene binder layer has a function of binding the first functional group and the second functional group, To the nanofibers.

여기서,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제1작용기의 전하와 반대의 전하를 띠는 제2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raphene binding layer may include a second functional group having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여기서,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단일층 또는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또는 환원산화그래핀(reduced graphene oxide)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graphene binder layer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graphene oxide or reduced graphene oxid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는 그 직경이 30nm 내지 5μ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Here, the diameter of the nanofibers may be in the range of 30 nm to 5 mu m.

여기서, 상기 금속은 준금속, 전이후 금속, 전이 금속, 알칼리 금속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metal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of a metalloid, a post-transition metal, a transition metal, and an alkali metal.

여기서, 상기 금속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안티모니(Sb), 주석(Sn),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철(Fe), 아연(Zn), 구리(Cu), 리튬(Li), 나트륨(Na)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t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germanium, aluminum, antimony, tin, titanium, vanadium, chromium, cobalt, , One or more of nickel (Ni), manganese (Mn), iron (Fe), zinc (Zn), copper (Cu), lithium (Li) and sodium (Na).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가 탄소 나노섬유인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그 직경이 1nm 내지 1μ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Here, when the nanofiber is a carbon nanofiber, the nanoparticle may have a diameter ranging from 1 nm to 1 μm.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은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노입자 또는 금속염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고,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준비하는 (a) 단계; 상기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상기 나노입자 또는 상기 금속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포함된 고분자 섬유를 형성하는 (b) 단계; 상기 고분자 섬유를 열처리하여 상기 금속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c) 단계; 및 그래핀을 상기 나노섬유에 결착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teps of: (a)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a metal and an alloy thereof is contained in the form of nanoparticles or metal salts, ; (B) electrospinning the solution to form a polymer fiber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nanoparticles or the metal salt; (C) heat-treating the polymer fibers to form nanofibers including the metal or the alloy thereof; And (d) binding graphene to the nanofibers.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금속 또는 합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일 수 있다.Here, the nanofiber may be a carbon nanofiber including the metal or alloy nanoparticles.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일 수 있다.Here, the nanofiber may be a nanofiber composed of the metal or the alloy.

여기서, 상기 (c) 단계에 이어서, (c1) 상기 나노섬유에 전하를 띠는 작용기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llowing the step (c), (c1) a step of attach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a charge to the nanofibers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작용기는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니트릴기, 사이올기, 시안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에스테르기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functional group may be a 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nitrile group, a silyl group, a cyano group, an amino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or an ester group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여기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금속염은 상기 고분자와 혼합되어 상기 용액에 녹을 수 있는 염일 수 있다.In the step (a), when the metal salt is included in the solution, the metal salt may be mixed with the polymer and dissolved in the solution.

여기서, 상기 금속염은 유기산염, 할로겐염, 무기산염, 알콕시염, 설파이드염 또는 아미드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Here, the metal salt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an organic acid salt, a halogen salt, an inorganic acid salt, an alkoxy salt, a sulfide salt or an amide salt.

여기서, 상기 금속염으로 아세테이트염, 클로라이드염, 아세틸아세토네이트염, 나이트레이트염, 메톡시드염, 에톡시드염, 부톡시드염, 이소프로폭시드염, 설파이드염, 옥시트리이소프로폭시드염, 에틸헥사노에이트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염, 부타노에이트염, 에틸아미드염 또는 아미드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tal sal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etate salt, a chloride salt, an acetylacetonate salt, a nitrate salt, a methoxide salt, an ethoxide salt, a butoxide salt, an isopropoxide salt, a sulfide salt, an oxytriisopropoxide salt, Hexanoate salt, cetyl ethylhexanoate salt, butanoate salt, ethylamide salt or amide salt,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여기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금속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안티모니(Sb), 주석(Sn),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철(Fe), 아연(Zn), 구리(Cu), 리튬(Li) 또는 나트륨(Na)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In the step (a), the met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 Ge, Al, Sb, Sn, Ti, A mixture of one or more of Cr, Co, Ni, Mn, Fe, Zn, Cu, Li, .

여기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아크릴산(PA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닐렌이소프탈라마이드(poly(m)-phenylene isophthalamide, PMIA), 폴리에틸아민(PE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BT), 폴리설폰(PSF), 폴리에테레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부티랄레신(poly-vinyl butyral resin, PVB), 폴리비닐에스터(PVE), 폴리페로세실디틸실란(polyferrocenyldimethylsilane, PFDMS), 폴리이미드, 폴리피롤(poly-pyrrole-2,5-diyl(p-nitrobenylidene), PPy),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아크릴아민(PAM),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s, PLLA/PD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베타하이드록시알카노아트(poly-β-hydroxyalkanoates, PHA), 폴리부틸렌 써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에티르 우레탄 우레아(poly-ether urethane urea, PEUU),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키틴, 덱스트란, DNA, 콜라겐, 젤라틴, 레시틴, 피브로인(SF), 제인(CASP) 또는 글루텐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poly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cetate (PVAc),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vinyl alcohol (PVA), polyethylene oxide (PEO),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acrylic acid (PC), polyphenylene isophthalamide (PMIA), polyethylamine (PEI),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trimethylene tetra phthalate (PTT), polybut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BT), polysulfone (PSF),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styrene (P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urethane, polyvinyl butyral- vinyl butyral resin, PVB, polyvinyl ester (PVE), polyferrocenyldimethylsilane (PFDMS), polyimide, poly-pyrrole-2,5-diyl (p-nitrobenylidene) Methylene (POM), polyethyleneimine (PEI), polyacrylamines (PAM) (PEG), polylactides (PLLA / PDLA), polycaprolactone (PCL), polyglycolic acid (PGA), poly-beta-hydroxyalkanoates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ether urethane urea (PEUU), polyvinyl chloride (PVC), chitin, dextran, DNA, collagen, gelatin, lecithin, fibroin SF), jane (CASP), or gluten,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여기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용액에 대한 상기 금속염의 비율은 0.5wt% 내지 90wt%의 범위일 수 있다.In the step (a), if the solution contains a metal salt, the ratio of the metal salt to the solution may range from 0.5 wt% to 90 wt%.

여기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금속염과 상기 고분자의 중량비는 5 : 1 내지 1 : 5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In the step (a), when the metal salt is contained in the solution, the weight ratio of the metal salt and the polymer may be in the range of 5: 1 to 1: 5.

여기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용액의 용매는 상기 금속염 및 상기 고분자가 용해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In the step (a), when the metal salt is contained in the solution, the solvent of the solution may be one in which the metal salt and the polymer are soluble.

여기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아세트산,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ropanol),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파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또는 톨루엔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acetamide (DMAc), acetone, tetrahydrofuran, water, acetic acid, hexafluoroisopropanol, methanol, ethanol, propanol, chloroform, dichloro And may be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methane, tetrahydrofuran, formic acid, 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isopropanol or toluene.

여기서, 상기 (b)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을 5kV내지 20kV의 양극 전압을 가한 금속 바늘을 사용하여 분당 5㎕ 내지 100㎕의 비율로 방사할 수 있다.Here, in the step (b), the solution may be spun at a rate of 5 μl to 100 μl per minute using a metal needle having an anode voltage of 5 kV to 20 kV applied thereto.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tep (c) may be performed through heat treatment in a reducing atmosphere.

여기서, 상기 열처리는 150°C 내지 1500°C의 온도 및 불활성 분위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heat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1500 ° C and an inert atmosphere.

여기서, 상기 열처리에 있어서 불활성 기체에 수소를 혼합하여 상기 고분자 및 상기 금속염을 탈산화(deoxydation)시킬 수 있다.In the heat treatment, the polymer and the metal salt may be deoxidized by mixing hydrogen with an inert gas.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100°C 내지 110°C 온도의 진공 혹은 대기에서 건조하여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c1) 단계; 150°C 내지 400°C의 온도에서 상기 고분자를 안정화(stabilization)시키는 (c2) 단계; 400°C 내지 700°C의 온도 및 불활성 기체 혹은 수소를 포함하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상기 고분자 및 상기 금속염을 탈산화시키는 (c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tep (c) may include: (c1) drying the solvent in a vacuum or air atmosphere at a temperature of 100 ° C to 110 ° C to evaporate the solvent; Stabilizing the polymer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400 ° C (c2); (C3) deoxidizing the polymer and the metal salt at a temperature of 400 ° C to 700 ° C and a reducing atmosphere containing an inert gas or hydrogen.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가 탄소 나노섬유인 경우, 상기 (c3) 단계에 이어서, (c4) 500°C 내지 1500°C의 불활성 기체에서 상기 고분자를 탄화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If the nanofiber is a carbon nanofiber, the step (c3) may be followed by (c4) carbonizing the polymer in an inert gas at 500 ° C to 1500 ° C.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전하를 가지는 그래핀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tep (d) may be performed using graphen having a charge.

여기서, 상기 전하를 가지는 그래핀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또는 전하를 띠는 작용기가 부착된 그래핀 중 하나 혹은 그 혼합물일 수 있다.Here, the graphen having the charge may be one of graphene oxide or graphene with charged functional groups, or a mixture thereof.

여기서, 상기 그래핀이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인 경우, 상기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은 그래핀을 강산성 용액에서 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Here, when the graphene oxide is graphene oxide, the graphene oxide may be formed by oxidizing graphene in a strongly acidic solution.

여기서, 상기 그래핀이 전하를 띠는 작용기가 부착된 그래핀인 경우, 상기 작용기는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니트릴기, 사이올기, 시안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에스테르기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When the graphene is a graphene with charged functional groups attached thereto, the functional group may be substituted with at least one of a 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nitrile group, a silyl group, a cyano group, an amino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d an ester group Or more.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된 금속 나노섬유 또는 금속 또는 그 합금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섬유 및 이에 결착하는 그래핀 결착층을 이용하여 음극활물질을 구성함으로써,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또는 합급/비합금화(alloying/dealloying) 반응에 의한 나노섬유의 지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다결정 구조가 아닌 1차원 형상의 나노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나노섬유의 팽창이 억제되어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나노섬유 표면에 생기는 SEI막의 성장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전하이동저항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using the metal nanofiber composed of the metal or the alloy or the carbon nanofiber including the nanoparticles of the metal or the alloy and the graphene binder layer bound thereto, Which has a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the diameter change of the nanofibers due to desorption or alloying / dealloying reaction and has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by using the one-dimensional nanofiber which is not a polycrystalline structure, Discloses an an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stably operate by suppressing expansion and minimize the growth of an SEI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a nanofiber,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an increase in charge transfer resistance .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이 결착되고 금속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 음극활물질의 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이 결착되고 금속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 음극활물질의 제조 공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화에 적합하지 않은 고분자를 사용하고 열처리를 통해 탄소를 제거하여 제조한 금속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화에 적합한 고분자를 사용하고 금속염을 나노섬유 내부에서 결정 성장시켜 제조한 금속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화에 적합한 고분자와 실리콘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제조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핀 산화물 2ml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래핀 산화물이 결착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핀 산화물 4ml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래핀 산화물이 결착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핀 산화물 2ml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래핀 산화물이 결착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핀 산화물 4ml를 사용하여 제조한 그래핀 산화물이 결착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작용기가 부착되고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 및 이에 결착된 그래핀 산화물의 복합체에 대한 라만(Raman) 분광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그래핀 산화물이 결착되고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 음극활물질 및 비교예로서 제조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 음극활물질의 100 사이클 충방전 용량 특성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로서 제조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 전극활물질의 전압 특성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산화물이 결착된 실리콘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 전극활물질의 전압 특성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그래핀 산화물 결착에 따른 SEI막 저항 및 CTR의 특성 변화 그래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arbon nanofiber anode activ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graphene oxide is bound and metal nanoparticles are incorporated. FIG.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arbon nanofiber anode active material in which graphene oxide is bound and metal nanoparticles are incorpo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a metal nanofiber prepared by removing carbon by heat treatment using a polymer which is not suitable for carbo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a carbon nanofiber including metal nanoparticles produced by crystal growth of a metal salt in a nanofiber using a polymer suitable for carbo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polymer and silicon nanoparticles suitable for carbon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photograph of a carbon nanofiber including silicon nanoparticl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bound with graphene oxide prepared using 2 ml of graphene 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bound with graphene oxide prepared using 4 ml of graphene 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image of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bound with graphene oxide prepared using 2 ml of graphene 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photograph of a carbon nanofiber including graphene oxide-bound silicon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4 ml of graphene 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Raman spectroscopy graph of a complex of carbon nanofibers and graphene oxide bound with functional groups and silicon nanoparticle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a carbon nanofiber anode active material having graphene oxide-bound carbon nanofibers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rbon nano-fiber negativ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prepared as a comparative example Charge / discharge capacity characteristics graph.
13 is a graph of voltage characteristics of a carbon nanofiber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prepared a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graph of voltage characteristics of a carbon nanofiber electrode activ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bound with graphene oxid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SEI film resistance and CT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raphene oxide binding for one embodiment and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s used.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활물질이 다결정의 나노구조체로 구성됨에 따라 저항이 증가되고, 충방전에 따르는 리튬 이온의 삽입, 탈리에 따라 그 부피가 크게 팽창, 수축되며, 그 표면에 SEI막이 성장하게 되고 전하이동저항(Charge Transfer Resistance, CTR)이 증가하게 되어 성능이 열화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1차원 형상의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된 금속 나노섬유(110) 또는 금속 또는 그 합금의 나노입자(120)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섬유(110) 및 이에 결착하는 그래핀 결착층(130)으로 음극활물질(100)을 구성함으로써,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또는 합금/비합금화(alloying/dealloying) 반응에 의한 나노섬유(110)의 지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다결정 구조가 아닌 1차원 형상의 나노섬유(110)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나노섬유(110)의 팽창이 억제되어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나노섬유(110) 표면의 SEI막 성장을 최소화하여 이로 인한 전하이동저항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100) 및 그 제조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 resistance of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of the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is increas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nanostructure of the polycrystalline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d the volume of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expands and shrinks due to the insertion / The shape of the metal nanofiber 110 or the metal or its alloy made of the one-dimensional metal or its alloy is increased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SEI film is grown on the surface and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CT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is composed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including the nanoparticles 120 of the alloy and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bonded to the carbon nanofibers 110 so that lithium ions are inserted / removed or alloying / alloying / dealloying reaction of the nanofibers 110. The use of the nanofibers 110 having a one-dimensional shape, which is not a polycrystalline structure, An an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property that the expansion of the nanofibers 110 is suppressed to operate stably and the growth of the SEI film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s 110 is minimized, (100)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130)이 결착되고 금속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음극활물질(100)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음극활물질(100)은 나노섬유(110)와 상기 나노섬유(11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결착하는 그래핀 결착층(13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110)는 금속 또는 그 합금으로 이루어진 나노섬유(110)이거나, 금속 또는 그 합금의 나노입자(120)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섬유(110)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110)의 직경은 30nm 내지 5μ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핀 결착층(130)에 사용되는 그래핀은 순수한 그래핀, 산화그래핀, 환원산화그래핀을 포함한다.FIG. 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carbon nanofiber 110 anode active material 100, to which an oxide graphene 130 is b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metal nanoparticles 120.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may include a nanofiber 110 and a graphene binding layer 130 bond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110. The nanofiber 110 may be a metal or a metal Or may be a carbon nanofiber 110 including nanoparticles 120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The diameter of the nanofibers 110 may be selected within a range of 30 nm to 5 mu m. Here, the graphene used in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includes pure graphene, oxidized graphene, and reduced oxidized graphene.

나노섬유(110)를 구성하거나 탄소 나노섬유(110)에 포함되는 상기 금속으로 준금속, 전이후 금속, 전이 금속, 알칼리 금속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안티모니(Sb), 주석(Sn),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철(Fe), 아연(Zn), 구리(Cu), 리튬(Li), 나트륨(Na)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준금속이라 함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적 성질을 지니는 원소로서 실리콘, 게르마늄 등을 포함한다. 탄소 나노섬유(110)에 포함되는 금속 또는 그 합금의 나노입자(120)는 그 직경이 1nm 내지 1μ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살핀다면, 상기 나노섬유(110)를 형성함에 있어 금속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나노입자(120)의 직경이 1nm 내지 200nm의 범위를 가지게 되고, 금속 나노입자(1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30nm 내지 1μm의 범위를 가지게 된다. 상기 범위 내에서 탄소 나노섬유(110)에 포함된 금속 또는 그 합금의 나노입자(120)는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반응에도 나노입자(120)들의 큰 변형 없이 충방전 사이클을 진행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metalloid, a transition metal, a transition metal, and an alkali metal may be used as the metal composing the nanofibers 110 or includ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silicon (Si), germanium (Ge), aluminum (Al), antimony (Sb), tin (Sn), titanium (Ti), vanadium (V), chromium (Cr), cobalt It is possible to use nickel (Ni), manganese (Mn), iron (Fe), zinc (Zn), copper (Cu), lithium (Li), sodium (Na) As used herein, the term " metalloid " includes silicon, germanium and the like as an element having intermediate properties between metal and nonmetal. The nanoparticles 120 included in the carbon nanofiber 110 may have a diameter ranging from 1 nm to 1 μm. More specifically, when the nanofiber 110 is formed, The diameter of the nanoparticles 120 is in the range of 1 nm to 200 nm, and in the case of using the metal nanoparticles 120, the diameter of the nanoparticles 120 is in the range of 30 nm to 1 μm. Within the above range, the nanoparticles 120 of the metal or its alloy contain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can undergo a charging / discharging cycle without significant deformation of the nanoparticles 120 even when lithium ions are inserted and desor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니켈로 구성되는 금속 나노섬유(110)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의,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의 각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도 3과 달리 도 4에서는 탄소 나노섬유(110)의 내부에 포함된 주석코발트 나노입자(120)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도 5에서는 실리콘 나노입자(120) 형태로 첨가되어 제조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tal nanofiber 110 made of nick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rbon nanofiber 110 having metal nanoparticle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anning electron microphotograph of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in cobalt nanoparticles 120 contain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can be clearly identified, and FIG. 5 shows a case where the nanoparticles 120 are added in the form of silicon nanoparticles 120 Giving.

상기 그래핀 결착층(130)은 단일층 또는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또는 환원산화그래핀(reduced graphene oxide), 혹은 그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리튬 이온의 삽입에 따른 나노섬유(110)의 부피 팽창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그래핀 결착층(130)은 상기 나노섬유(110)의 원통형 표면에 밀착하여 완전히 감싸는 한 겹 혹은 이들을 다시 추가적으로 감싸는 여러 겹의 형태로 결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a graphene oxide having a stacked structure, a reduced graphene oxide, or a mixture thereof. In order to effectively suppress the volume expansion of the nanofibers 110 due to the insertion of the lithium ions,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may be formed of one layer which closely contacts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nanofibers 110, It is preferable to bind in the form of multiple ply.

상기 탄소 나노섬유(110) 및 그래핀 결착층(130)도 충방전시에 리튬 이온과 반응을 하여 단일탄소계 음극활물질(흑연, 372 mAh/g) 보다는 적은 용량이지만, 총 음극용량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다면, 금속 및 그 합금 기반 음극활물질(M)이 M + xLi+ + xe ↔ LixM (x≤4.4)의 합금(alloy) 반응을 거치는데 더하여, 탄소 및 그래핀은 리튬과의 충방전 반응에 6C + Li+ ↔ LiC6의 삽입(intercalation) 반응으로 참여하여 음극 용량에 기여하기 때문에, 금속 및 그 합금 기반 음극활물질의 경우보다는 적으나, 탄소 나노섬유(110) 및 그래핀 결착층(130)도 총 음극용량에 기여하게 된다.The carbon nanofibers 110 and the graphene binder layer 130 react with lithium ion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o have a smaller capacity than the single carbon 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graphite, 372 mAh / g), but can contribute to the total negative electrode capacity have. Specifically, the metal and its alloy-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M undergoes an alloy reaction of M + xLi + + xe ↔ Li x M ( x ≤4.4) since the discharge reaction involved in the insertion (intercalation) reactions 6C + Li + ↔ LiC 6 to contribute to the negative electrode capacity, metals, but ever than the control of the alloy-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arbon nano fiber 110 and the graphene binder layer (130) also contributes to the total cathode capacity.

또한, 그래핀 결착층(130)을 나노섬유(110)에 강하게 결착시키기 위하여, 전하를 띠는 작용기(21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하를 띠는 제1작용기(210)가 상기 나노섬유(110)에 부착되고, 상기 그래핀 결착층(130)은 상기 제1작용기(210)의 전하와 반대의 전하를 띠게 함으로써 양자를 강하게 결착하게 할 수 있다. 그래핀 결착층(130)이 전하를 띠게 하기 위하여, 그래핀 결착층(130)에 상기 제1작용기(210)와 반대의 전하를 띠는 제2작용기를 부착하거나, 산화(oxidation)를 통하여 그래핀 자체가 음전하를 띠게 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상기 전하를 띠는 작용기(210)가 용액 상에서 전하를 띠는 경우 습식 공정을 통하여 상기 그래핀 결착층(130)을 상기 나노섬유(110)에 부착시키게 된다.Further, in order to strongly bond the graphene binder layer 130 to the nanofibers 110, a charge-generating functional group 21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is case, a first functional group 210 having a charge is attached to the nanofiber 110, and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has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210, Can be strongly adhered to each other. A second functional group having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210 may be attached to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in order to charge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And a method of causing the pin itself to have a negative charge. When the charged functional group 210 is charged in the solution,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is attached to the nanofibers 110 through a wet process.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130)이 결착된 나노섬유 음극활물질(100)은 나노섬유(110)의 원통형 표면을 그래핀(130)이 여러 방향에서 감싸는 구조를 가지므로, 그래핀(130)에 강하게 결착되어 둘러싸인 나노섬유(110)는 충전 반응시 리튬 이온의 삽입에 의한 음극활물질(100)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고, 금속 및 그 합금 나노입자(120) 혹은 상기 음극활물질(100)의 일부 파편의 탈락을 방지하여 상기 음극활물질(100)의 구조적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SEI막의 불균일한 성장을 억제하여 이로 인한 전하이동저항(CTR)의 증가를 낮추게 된다. 상기 음극활물질(100)은 나노섬유(110) 및 그래핀 결착층(130)의 특성에 따라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지며, 나노섬유(110)만으로 구성되는 음극활물질(100) 전극과 비교할 때 연속적인 고속 충방전에도 높은 용량 값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nanofiber anode active material 10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nanofiber 110 is surrounded by the graphene 130 in various directions, The nanofibers 110 which are tightly bound to the metal nanoparticles 110 suppress the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due to the insertion of lithium ions during the charging reaction and prevent the metal and its alloy nanoparticles 120 or portion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can be minimized by preventing the debris from coming off, and the non-uniform growth of the SEI film is suppressed, thereby lowering the increase of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CT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has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nofiber 110 and the graphene binder layer 130 and is superior in terms of continuous high speed as compar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composed of the nanofiber 110 al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 capacitance value even in charging and discharging.

또한, 상기 음극활물질(100)은 섬유 혹은 선(wire) 형태의 1차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노섬유(110) 사이의 빈 공간들이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 반응 시에 음극활물질(100)의 부피 팽창에 의한 구조 붕괴를 막아주어 음극활물질(100)은 장기간 안정적으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수명 특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may have a one-dimensional structure in the form of fiber or wire. The void spaces between the nanofibers 110 prevent the structural collapse due to the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during the insertion-desorption reaction of lithium ions, so that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can stably maintain its struc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 ≪ / RTI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130)이 결착되고 금속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음극활물질(100)의 제조 공정을 예시하고 있다.FIG. 2 illustrates a process for fabricating a carbon nanofiber 110 anode active material 100 in which oxide graphene 130 is bound and metal nanoparticles 120 are b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130)이 결착되고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나노섬유(110) 음극활물질(100)의 제조 방법은 (a)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노입자(120) 또는 금속염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고, 고분자 전구체 또는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상기 나노입자(120) 또는 상기 금속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포함된 고분자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를 열처리 등을 통하여 환원시켜 금속 또는 그 합금의 나노입자(120) 혹은 이들의 혼합물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그래핀(130)을 상기 나노섬유(110)에 결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nanofiber 110 anode active material 100 in which graphene 130 is bound and nanoparticles 120 are boun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Preparing a solution which is contained in the form of nanoparticles 120 or a metal salt and in which a polymer precursor or a polymer is dissolved; (b) electrospinning the solution to form a polymeric fiber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nanoparticles 120 or the metal salt; (c) reducing the polymer nanofibers through heat treatment or the like to produc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nanoparticles (120)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or mixture nanoparticles (120) thereof; And (d) binding the graphene 130 to the nanofibers 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a), (b) 및 (c) 단계를 거쳐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내장된 탄노 나노섬유(110)가 만들어 지게 되고(도 2(a)), 이어서 (d) 단계에서, 상기 탄소 나노섬유(110)의 표면에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 작용기(210)를 부착(도 2(b))한 후, 상기 아미노 작용기(130)가 부착된 탄소 나노섬유(110)와 음전하를 띠는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을 수용액에서 교반하여 그래핀(130)이 결착되고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음극활물질(100)을 형성(도 2(c))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tannonano fibers 110 hav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embedded therein through the steps (a), (b) and (c) (FIG. 2 (a)). In step (d), an amino functional group 210 having a positive charg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fiber 110 The carbon nanofibers 110 attached with the amino functional group 130 and the graphene oxide having a negative electric charge are stirred in an aqueous solution to bind the graphene 130 and the carbon nanotubes 12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Thereby forming the fiber 110 anode active material 100 (Fig. 2 (c)).

상기한 일련의 제조 단계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ries of manufacturing step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노입자(120) 또는 금속염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고, 고분자 전구체 또는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준비하는 (a) 단계에 대하여 살핀다.First, the step (a) of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is contained in the form of nanoparticles 120 or a metal salt and in which a polymer precursor or a polymer is dissolved is prepared.

상기 용액에 포함될 수 있는 금속으로 실리콘(Si), 게르마늄(Ge) 등의 준금속과, 알루미늄(Al), 안티모니(Sb), 주석(Sn) 등의 전이후 금속,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철(Fe), 아연(Zn), 구리(Cu) 등의 전이 금속, 리튬(Li), 나트륨(Na) 등의 알칼리 금속을 들 수 있는데 이중 하나 이상이 금속염 또는 금속 나노입자(120)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A metal such as aluminum (Al), antimony (Sb), or tin (Sn), a metal such as titanium (Ti), vanadium A transition metal such as lithium (V), chromium (Cr), cobalt (Co), nickel (Ni), manganese (Mn), iron (Fe), zinc (Zn) Na). Among them, at least one of them may be contained in the form of metal salt or metal nanoparticles 120.

또한, 상기 금속염으로는 특정 고분자와 혼합되어 상기 용액에서 녹을 수 있는 염이라면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유기산염, 할로겐염, 무기산염, 알콕시염, 설파이드염, 아미드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세테이트, 클로라이드,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나이트레이트, 메톡시드, 에톡시드, 부톡시드, 이소프로폭시드, 설파이드, 옥시트리이소프로폭시드, (에틸 또는 세틸에틸) 헥사노에이트, 부타노에이트, 에틸아미드, 아미드 염 중에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 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의 함유량은 전체 방사용액 중 0.5wt% ~ 90wt%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wt% ~ 30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5wt% ~ 20wt%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금속염의 비율이 너무 낮을 때에는, 나노섬유(110)가 금속 나노섬유(110)인 경우, 금속 나노섬유(110)가 만들어 지지 못하고 나노분말 형태로 파쇄될 수 있으며, 탄소 나노섬유(110)에 포함된 금속 나노입자(120)의 경우에는, 활물질로 사용되는 금속 나노입자(120)가 전체 무게 대비 매우 적은 비중만을 차지하게 되어, 음극 용량이 낮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금속염의 비율이 너무 높을 때는, 금속 나노섬유(11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금속염이 전기방사 용액에 용해되지 못하고 응고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온 농도가 높아 전기방사시 섬유의 형태로 방사되지 못하고 물방울 형태, 혹은 분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탄소 나노섬유(110)에 내장되는 금속 나노입자(120)의 경우에는 금속이 탄소 나노섬유(110) 표면 또는 외부에서 환원되거나, 금속이 그래핀 결착층(130)에 내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전기전도도 향상 및 금속 나노입자(110)의 부피 변화 완화를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 결착층(130)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실험 결과, 금속염이 상기한 범위 내의 비율로 전기방사 용액에 포함된 경우 음극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metal salt may be a salt that is mixed with a specific polymer and dissolved in the solution. For example, an organic acid salt, a halogen salt, an inorganic acid salt, an alkoxy salt, a sulfide salt, an amide salt, or the like may be used. Specifically, there may be mentioned, for example, acetates, chlorides, acetylacetonates, nitrates, methoxides, ethoxides, butoxides, isopropoxide, sulfides, oxytriisopropoxide, (ethyl or cetylethyl) hexanoate, , Ethyl amide, and amide salt may be used. The content of the metal salt may be selected within a range of 0.5 wt% to 90 wt%, preferably 1 wt% to 30 wt%, and more preferably 1.5 wt% to 20 wt% in the total spinning solution. have. When the ratio of the metal salt is too low, when the nanofiber 110 is the metal nanofiber 110, the metal nanofiber 110 may not be formed but may be broken into nanofibers. In the case of the metal nanoparticles 120, the metal nanoparticles 120 used as the active material occupy only a very small specific gravity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capac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becomes low.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metal salt is too high, when the metal nanofiber 110 is to be formed, the metal salt may not dissolve in the electrospinning solution and may be solidified. Further, since the ion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metal nanoparticles 120 embedd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or on the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tal can not be embedded in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and the effect of the graphene binding layer 130,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improvement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relaxation of the volume change of the metal nanoparticles 110, .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hode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when the metal salt is contained in the electrospinning solution in the above range.

또한, 상기 금속염과 상기 고분자의 중량비는 5 : 1 내지 1 : 5의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금속 나노섬유(110)의 지름 혹은 탄소 나노섬유(110)에 포함된 금속 나노입자(120)의 크기 및 밀도가 음극활물질(100)로서 최적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ratio of the metal salt and the polymer may be determined within a range of 5: 1 to 1: 5. The diameter of the metal nanofibers 110 or the size and density of the metal nanoparticles 120 includ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may be optimiz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in the above range.

상기 나노섬유(110)는 사용된 고분자가 탄화(carbonization)에 적합한 고분자라면, 전기방사 후 환원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거쳐 탄소 나노섬유(110)에 내장된 금속입자(120)의 형태를 가지게 되고, 사용된 고분자가 탄화에 적합하지 않은 고분자라면 전기방사 후 환원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소량 혹은 미량 탄소를 포함하는 금속 나노섬유(110)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If the polymer used for the carbonization is a polymer suitable for carbonization, the nanofibers 110 have a shape of the metal particles 120 embedd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through heat treatment in a reducing atmosphere after electrospinning, If the polymer used is a polymer which is not suitable for carbonization, it will have a shape of metal nanofibers 110 containing a small amount or a small amount of carbon through heat treatment in a reducing atmosphere after electrospinning.

상기 용액의 용매로서는 상기 고분자 및 금속염이 용해되는 용매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아세트산,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ropanol),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파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톨루엔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중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solvent of the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lymer and the metal salt are soluble.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acetamide (DMAc), acetone, tetrahydrofuran, water, (Such as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acetic acid, hexafluoroisopropanol, methanol, ethanol, propanol, chloroform, dichloromethane, tetrahydrofuran, formic acid, 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isopropanol,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다음으로 상기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상기 나노입자(120) 또는 상기 금속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포함된 고분자 섬유를 형성하는 (b) 단계를 살핀다.Next, the step (b) of irradiating the solution with the nanoparticles 120 or the polymer fibers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 metal salts is carried out.

상기 전기방사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용액을 전기장을 가한 금속관(Needle)을 통해 방사하고, 이를 접지된 금속판에 수거하여 금속염이 포함된 고분자 나노섬유를 형성하게 된다.In the electrospinning, the solution prepared in the step (a) is radiated through a metal needles having an electric field, and collected on a grounded metal plate to form a polymer nanofiber including a metal salt.

전기방사에서 사용하는 장치는 방사용액을 일정 속도로 투입할 수 있는 정량펌프와, 이에 연결된 금속관 혹은 금속바늘 그리고 상기 금속바늘과 접지판 사이에 전압을 가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DC power supply)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관 혹은 금속바늘은 한 개 혹은 여러 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실린더 형태의 드럼-타입의 전기방사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apparatus used in the electrospinning is a metering pump capable of injecting the spinning liquid at a constant speed, a metal pipe or metal needle connected thereto, and a DC power supply for applying a voltage between the metal needle and the grounding plate . One or more metal tubes or metal needles may be used, and a cylindrical drum-type electrospinning device may also be used.

상기 전기방사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준비된 방사용액을 5 ~ 100㎕/분의 유속으로 5 ~ 20kV의 양극 전압이 가해진 금속바늘로 방사한다. 이때, 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접지된 금속판으로 용액이 끌려오게 되고, 이때 작은 면적을 가지는 물방울 형태로 금속바늘 끝에 맺힌 용액이 순간적으로 집전판으로 끌리면서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용매의 휘발과 고분자의 장력으로 인해 섬유형태로 늘어진 금속염이 포함된 고분자 나노섬유가 집전판에 수거된다.In the electrospinning, the spinning solution prepared in the step (a) is spun to a metal needle having a positive voltage of 5 to 20 kV at a flow rate of 5 to 100 μl / min. In this case, the solution is attracted to the grounded metal plate due to the electric attraction force. At this time, the solution formed on the metal needle tip in the form of a droplet having a small area is momentarily attracted to the current collecting plat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The polymer nanofibers containing the metal salts elongated in the form of fibers are collected on the collecting plate.

이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를 열처리 등을 통하여 환원시켜 금속 또는 그 합금의 나노입자(120) 혹은 이들의 혼합물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생성하는 (c) 단계를 살핀다.Next, the step (c) of reducing the polymer nanofibers through heat treatment or the like to produc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nanoparticles 120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or mixture nanoparticles 120 thereof .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형성된 고분자 나노섬유를 한 단계 혹은 복수의 단계의 열처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금속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혹은 금속 나노섬유(11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In step (c), the polymer nanofibers formed in step (b) may be subjected to heat treatment in one or more stages to finally form the carbon nanofibers 110 or the metal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metal nanoparticles 120, .

상기 열처리는 150°C ~ 1500°C 온도 범위의 불활성 분위기에서 일련의 공정에 걸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는 사용된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나노섬유의 탄화가 일어나거나, 금속의 핵 생성 및 결정 성장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는 아르곤(Ar) 또는 질소(N2) 가스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일정 비율의 수소(H2)가 열처리시 투입되어 고분자 및 금속염의 탈산화(deoxydation)을 유도하여 산화되지 않은 금속 상태의 결정을 만들 수 있다.The heat treatment may be conducted in a series of processes in an inert atmosphere at a temperature range of 150 ° C to 1500 ° C. In this temperature range, nanofiber carbonizati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kind of polymer used, nucleation of the metal and crystal growth may occur easily. The heat treatment in the inert atmosphere may be conducted in an argon (Ar) or nitrogen (N 2 ) gas atmosphere. In addition, a certain amount of hydrogen (H 2 ) may be injected during the heat treatment to induce deoxidation of the polymer and the metal salt to make a non-oxidized metal state crystal.

상기 열처리 단계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전처리 과정으로서, 전기방사된 고분자 섬유는 100°C의 진공 혹은 대기 중에서 건조를 통해 용매를 증발시키고, 이어서 150°C ~ 400°C의 대기 중에서 안정화(Stabilization) 처리를 함으로써, 고분자 섬유 내부의 고분자를 고리화(cycleazation) 반응 등을 통해 탄화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한다.The heat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ries of steps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First, as a preprocessing step, the electrospun polymer fibers are subjected to a stabilization treatment in an atmosphere at 150 ° C to 400 ° C followed by evaporation of the solvent through drying at 100 ° C in a vacuum or atmospheric air, The polymer is transformed into a form suitable for carbonization through a cycle-azeotropic reaction.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상기 고분자 섬유는 400°C ~ 700°C의 불활성 혹은 수소를 일부 함유한 환원성 분위기에서 탈산화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는 고분자 및 금속염에 포함된 산소를 수소와 환원시켜 금속의 산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 단계에서 탄화에 적합하지 않은 고분자를 사용하였을 때는 이 단계에서 상기 고분자가 탄화수소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등으로 분해되므로, 금속으로 구성되는 나노섬유(11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After the pretreatment, the polymer fibers are subjected to a deoxidation step in a reducing atmosphere at 400 ° C to 700 ° C inert or partially containing hydrogen. In this step, the oxygen contained in the polymer and the metal salt can be reduced with hydrogen to prevent oxidation of the metal. At this time, if a polymer not suitable for carbonization is used in the step (a), the polymer is decomposed into hydrocarbon gas or carbon dioxide in this step, so that the nanofiber 110 made of metal can be produced.

반면, 상기 고분자가 탄화에 적합한 고분자인 경우, 전기방사된 고분자 섬유는 500°C ~ 1500°C의 불활성 분위기에서 탄화(carbonization)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고분자 섬유 내부의 고분자는 탄화 과정을 통해 반결정질화(semi-crystallized) 탄소로 변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소의 결정성은 탄화 온도에 비례하며 탄소 나노섬유(110)의 강도, 전기전도도 및 음극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ymer is a polymer suitable for carbonization, the electrospun polymer fiber undergoes a carbonization process in an inert atmosphere at 500 ° C to 1500 ° C. At this time, the polymer inside the polymer fiber is converted into semi-crystallized carbon through the carbonization process. At this time, the crystallinity of the carbon is proportional to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may greatly affect the strengt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athode performance of the carbon nanofiber 110.

따라서, 전처리 이후의 공정에서 400°C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할 경우 탄화 및 금속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아 활물질로 사용하기 적합한 탄소 나노섬유(110) 혹은 금속 나노섬유(110)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덧붙여 (c) 단계에서는 불활성 분위기에서의 열처리 또는 화학적 열처리 중 하나 혹은 두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carbon nanofibers 110 or metal nanofibers 110 suitable for use as active materials are not produced becaus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400 ° C or lower in the process after the pretreatment, since carbonization and metal crystallization do not occur. In the step (c), either one or both of heat treatment in an inert atmosphere or chemical heat treatment can be used.

다음으로 그래핀(130)을 상기 나노섬유(110)에 결착시키는 (d) 단계를 거친다. 상기 그래핀(130)으로 통상적인 상용 그래핀 혹은 허머 방법(Hummer's method)등을 통해 직접 합성한 그래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130)을 나노섬유(110)에 결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그래핀(130)을 분산시킨 용액을 진공여과법, 화학적 증착법, 에어스프레이법, 정전분사법, 딥 코팅법, 스핀 코팅법 등의 하나 혹은 둘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Next, a step (d) of binding the graphene 130 to the nanofibers 110 is performed. As the graphene 130, graphene directly synthesized through conventional graphene or Hummer's method can be used. As a method of binding the graphene 130 to the nanofibers 110, a solution in which the graphene 130 is dispersed is subjected to vacuum filtra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air spraying, electrostatic spraying, dip coating, And the like can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한 결착 방법 이외에, 상기 그래핀(130)과 상기 나노섬유(110)가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띠게 만든 뒤 이를 이용하여 양자를 강하게 결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그래핀(130)에 전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산화(oxidation) 혹은 작용기(210)를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graphene 130 and the nanofibers 110 may have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graphene 130, and then the graphene 130 and the nanofibers 110 may be strongly adhered to each other. The graphene 130 may be given a charge by oxidation or by attaching the functional group 210 to the graphene 130.

이중에서 먼저 산화를 통하여 그래핀(130)에 전하를 부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우선, 그래핀 제조 단계에서 허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분산용액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산화 과정 없이 간단하게 산화그래핀(130)을 준비할 수 있다.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에 대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탈리(extrapolate) 반응을 통해 생성된 그래핀(130) 혹은 상용 그래핀을 강산성 용액에서 산화시켜 산화그래핀(130)을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산화그래핀(130)은 용액 상에서 음전하를 띠게 되므로, 양전하를 띠는 작용기(210)가 부착된 나노섬유(110)에 쉽게 결착될 수 있다.A method of imparting charge to the graphene 130 through oxidation is described first. First, by using a graphene oxide dispersion solution which can be produced by the Hummer method in the graphene production step, the oxidized graphene 130 can be easily prepared without a separate oxidation process. Alternatively, the graphene 130 or the common graphene generated through a physical or chemical extrapolate reaction to graphite may be oxidized in the strongly acidic solution to form the oxidized graphene 130. Since the graphene oxide 130 is negatively charged in the solution, it can easily bind to the nanofiber 110 with the positively charged functional group 210 attached thereto.

다음으로 작용기(210)를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핀다. 상기 그래핀(130)에 작용기(210)를 부착하여 용액 상에서 양전하 혹은 음전하를 띠게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작용기(210)로서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니트릴기, 사이올기, 시안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에스테르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110)에도 전하를 띠는 작용기(210)를 부착함으로써 용액 상에서 전하를 띠게 할 수 있는데, 상기 그래핀(1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니트릴기, 사이올기, 시안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에스테르기 등의 작용기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하를 띠는 작용기(210)가 부착된 그래핀(130)과 이와 반대 전하를 띠는 작용기(210)가 부착된 나노섬유(110)는 용액 상에서 교반됨으로써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Next, a method of attaching the functional group 210 will be described. A functional group 210 may be attached to the graphene 130 so as to be positively or negatively charged in the solution. The functional group 210 may include a 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nitrile group, a silyl group, , An alkoxy group, an ester group and the like can be used. As in the case of the graphene 130, a 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nitrile group, a silyl group, a cyanide group, a cyanide group, and a cyanide group may be added to the nanofiber 110 by attaching a functional group 210, Group, an amino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 ester group, and the like. The graphene 130 having the charged functional group 210 attached thereto and the nanofibers 110 having the functional group 210 having the opposite electrical charge can be strongly adhered by stirring in solut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실시예] 그래핀(130)이 결착되고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음극활물질(100)의 제조EXAMPLE Preparation of carbon nanofiber 110 anode active material 100 with graphene 130 bound and silicon nanoparticles 120

(가) 고분자 나노섬유를 만들기 위한 방사용액 제조 단계(A) Preparation of spinning liquid for making polymer nanofibers

금속으로서 실리콘 나노입자(120)(50nm, Sigma-Aldrich Co., Ltd., USA)가 사용되었고, 고분자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Mw = 150,000, Sigma-Aldrich Co., Ltd., USA), 용매로는 DMF(N,N dimethylformamide (99.8%, Sigma-Aldrich Co., Ltd., USA)를 이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먼저 0.3g의 실리콘 나노입자(120)를 3g의 DMF에 분산하고, 1g의 PAN을 DMF 6g에 혼합하여 80°C에서 녹이고 6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상기 두 용액을 합쳐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Silicone nanoparticles 120 (50 nm, Sigma-Aldrich Co., Ltd., USA) were used as the metal, and polyacrylonitrile (PAN, Mw = 150,000, Sigma-Aldrich Co., USA) was used as the polymer. , 0.3 g of silicon nanoparticles (120) was dissolved in 3 g of N, N dimethylformamide (99.8%, Sigma-Aldrich Co., USA) DMF, 1 g of PAN was mixed with 6 g of DMF,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80 ° C for 6 hours. Then, the two solutions were combined to prepare a spinning solution.

(나) 전기방사를 통한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고분자 나노섬유 제조 단계(B) Polymer nanofibers including silicone nanoparticles 120 through electrospinning

상기 전기방사는 15kV의 전압 하에 15㎕/분의 속도로 21G의 금속바늘을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금속바늘과 접지판의 간격은 15cm로 고정하였고, 전기방사는 6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이를 통하여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고분자 나노섬유가 제조되었다.The electrospinning was carried out using a metal needle of 21G at a rate of 15 l / min under a voltage of 15 kV. The spacing between the metal needles and the ground plane was fixed at 15 cm and electrospinning was carried out for 6 hours. Thus, polymer nanofibers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120 were prepared.

(다)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에 대한 열처리 단계(C) Heat treatment step for the polymer nanofibers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260°C 공기 중에서 1시간 동안 안정화를 시켰고, 이어서 700°C의 질소 분위기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가 제조되었다. 도 5는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약 150 ~ 300nm의 직경을 가지는 탄소 나노섬유(110)에 50nm의 직경을 가지는 실리콘 나노입자(120)들이 탄소 나노섬유(110) 내부 및 표면에 포함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탄소 나노섬유(110)의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이다. 이 사진들을 참조하면, 탄소 나노섬유(110)에 포함된 실리콘 나노입자(120)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탄소막의 모습이 확인할 수 있다. 이 탄소막은 충방전시에 실리콘 나노입자(120)의 부피 변화를 감소시키는데 일부 기여하며, 이에 더하여 탄소 나노섬유(110)는 그 자체로도 활물질로 기능하게 된다.The polymer nanofibers were stabilized in air at 260 ° C for 1 hour and then heat-treated in a nitrogen atmosphere at 700 ° C for 5 hours. Finally,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were finally produced. 5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FIG. Silicon nanoparticles 120 having a diameter of 50 nm are includ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and on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having a diameter of about 150 to 300 nm. 6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photograph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FIG. Referring to these photographs, the shape of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contained in the carbon nanofibers 110 and the carbon film surrounding them can be confirmed. This carbon film partially contributes to reducing the volume change of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in addition, the carbon nanofibers 110 themselves also function as an active material.

(라) 상기 탄소 나노섬유(110)에 아미노 작용기(210)를 부착하는 단계(D) attaching the amino functional group 210 to the carbon nanofibers 110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0.2g을 수거하여 볼밀(ball-mill)을 사용해 탄소 나노섬유(110)의 일부분을 파쇄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상기 탄소 나노섬유(110)의 길이가 줄어들어 그래핀(130)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탄소 나노섬유(110)를 20ml의 톨루엔 용액에 넣고 30분 동안 초음파처리(sonication)로 분산시켰다. 이후, 30ml의 톨루엔을 추가로 투입하고, 1ml의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S)을 주입하여 110°C의 질소 분위기에서 24시간 동안 환류시켜 용액 상에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 작용기(210)를 부착하였다. 이후, 상기 작용기(210)가 부착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잘 세척하여 80°C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0.2 g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was collected and a part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was broken using a ball-mill. Through this process, the length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is reduced, and the adhesion of the graphene 130 is facilitated. The carbon nanofibers 110 were dispersed in 20 ml of a toluene solution by sonication for 30 minutes. Thereafter, 30 ml of toluene was further added, and 1 ml of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S) was introduced. The mixture was refluxed in a nitrogen atmosphere at 110 ° C for 24 hours to form an amino functional group 210) was attached. Then, the carbon nanofibers 110 to which the functional groups 210 were attached were thoroughly washed and dried at 80 ° C for 12 hours.

(마) 아미노 작용기(210)가 부착된 탄소 나노섬유(110)에 대한 산화그래핀(130) 결착 단계(E) binding of the grafted oxide 130 to the carbon nanofibers 110 to which the amino functional group 210 is attached,

80ml의 초순수물(DI water)에 33mg의 아미노 작용기(210)가 부착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분산시킨다. 이후, 산화그래핀(130) 수용액(2mg/ml, Sigma-Aldrich) 2ml 혹은 4ml를 천천히 투입하면서 1시간 동안 잘 교반한다. 이후, 1ml의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Hydrazine monohydrate)를 투입하고 12시간 동안 환류하여 산화그래핀(130)을 화학적으로 환원시킨다.The carbon nanofibers 110 to which 33 mg of the amino functional group 210 is attached are dispersed in 80 ml of DI water. Thereafter, 2 ml or 4 ml of an aqueous solution of oxidized graphene (2 mg / ml, Sigma-Aldrich) was slowly added thereto while stirring well for 1 hour. Thereafter, 1 ml of hydrazine monohydrate is added and refluxed for 12 hours to chemically reduce the oxidized graphene 130.

상기 화학적으로 환원된 산화그래핀(130)과 결착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초순수물로 잘 세척한 후 원심 분리하여 검은 분말을 얻어낸다. 도 7과 도 8은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환원된 산화그래핀(130)이 결착되고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에서는 2ml의 산화그래핀(130) 수용액을 이용하여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외부에 환원된 산화그래핀(130)을 결착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환원된 산화그래핀(130)이 탄소 나노섬유(110) 표면에 밀착하여 둘러싸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산화그래핀(130) 수용액의 농도를 더 높인 경우에 해당하는 도 8을 살펴보면 환원된 산화그래핀(130)이 탄소 나노섬유(110) 표면의 곡면을 따라 밀착하여 결착되어 있을 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노섬유(110)에도 걸쳐 늘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9와 도 10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도 9에서는 탄소 나노섬유(110)의 표면에 환원된 산화그래핀(130)이 잘 밀착되어 감싸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래핀(130) 용액의 농도를 두 배로 올렸을 경우에 해당하는 도 10에서는 또 하나의 그래핀층(130)이 여러 탄소 나노섬유(110)에 걸쳐 늘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핀(130) 용액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산화그래핀(130)이 작용기(210)가 부착된 탄소 나노섬유(110) 표면에 우선적으로 결착되고, 그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산화그래핀(130)이 여러 탄소 나노섬유(110)에 걸쳐 복수의 층으로 쌓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carbon nanofibers 110 bonded with the chemically reduced graphene grains 130 are thoroughly washed with ultrapure water and then centrifuged to obtain black powder. FIGS. 7 and 8 are SEM micrographs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having the reduced oxide graphenes 130 bound thereto and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7 shows a case where oxidized graphene 130 reduced to the outside of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120 is bound using 2 ml of aqueous solution of oxidized graphene 130, It is confirmed that the oxidized graphene 130 is close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8,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of the oxidized graphene 130 is higher than that shown in FIG. 8, not only the reduced oxidized graphene 130 adheres closely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It can also be seen that they are stretched over the fibers 110 as well. This can be confirmed by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s of FIGS. 9 and 10. In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reduced graphene 130 is close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In FIG. 10 corresponding to a case w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fin 130 solution is doubled, it can be seen that another graphene layer 130 is stretched over the various carbon nanofibers 110. Theref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graphene 130 solution is low, the oxidized graphene 130 is preferentially bound to the surface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to which the functional group 210 is attache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graphene 130 solution is high, It can be seen that the fins 130 are piled up into a plurality of layers over several carbon nanofibers 110.

도 11은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에 작용기(210) 및 그래핀(130)이 부착된 후 얻어진 라만 분광 분석 자료이다. 아미노 작용기(210) 부착 후, 탄소 나노섬유(110)의 표면 에너지 변화로 인해 510nm 부근에서 생기는 실리콘 특유의 첨두치(peak)가 -6cm-1 정도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첨두치는 산화그래핀(130) 부착 후 환원 처리를 통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그래핀(130)이 부착된 샘플의 경우, 그래핀(130)의 특징적인 라만 선인 G-band와 2D-band의 관측이 가능하다.11 is a Raman spectroscopic data obtained after the functional group 210 and the graphene 130 are attached to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FIG. It can be seen that the silicon-specific peak generated at around 510 nm shifted by -6 cm -1 due to the surface energy change of the carbon nanofiber 110 after the amino functional group 210 was attached. The peak value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rough reduction treatment after attaching the oxidation graphene 130. Further, in the case of the sample to which the graphene 130 is attached,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G-band and the 2D-band, which are characteristic Raman lines of the graphene 130.

[비교예 1]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oduction of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120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전기방사 설비를 이용하여 나노섬유(110)를 제조하되, 비교예로써 위 단계에서 그래핀(130) 부착 단계를 거치지 않은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제조하였다.The nanofibers 110 wer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electrospinning apparatus as the above embodiment except that the carbon nanofibers 110 hav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not subjected to the graphene- ).

[비교예 2] 탄소를 제거시킨 금속 나노섬유(110) 제조[Comparative Example 2] Production of metal nanofibers 110 from which carbon was removed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전기방사 설비를 이용하여 나노섬유(110)를 제조하되, 비교예로써 실리콘 나노입자(120) 대신 니켈(II) 아세테이트 2g과 탄화에 적합하지 않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1,300,000 MW)을 DMF 용액에 녹여 전기방사한 후 환원 열처리하여 니켈 나노섬유(110)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과는 달리 니켈 나노섬유(110) 내부의 탄소는 나노섬유 형태로 탄화되지 않고, 열처리시 기화되어 나노섬유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섬유 형태로 결정화된 금속 나노섬유(110)가 만들어진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금속 나노섬유(110)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The nanofibers 110 were prepared using the same electrospinning apparatus as in the above example except that 2 g of nickel (II) acetate and 2 g of polyvinylpyrrolidone, which were not suitable for carbonization, were used as comparative examples. 1,300,000 MW) was dissolved in DMF solution, electrospinned, and then subjected to reduction heat treatment to prepare nickel nanofibers (110). At this time, unlike th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1, the carbon inside the nickel nanofibers 110 is not carbonized in the nanofiber form, but is vaporized and removed from the nanofibers upon heat treatment. As a result, metal nanofibers 110 crystallized in the form of fibers are produced. 3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metal nanofibers 110 formed as described above.

[비교예 3] 열처리 단계에서 핵 생성 및 결정 성장을 통해 형성되는 금속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제조[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metal nanoparticles (120) formed through nucleation and crystal growth in a heat treatment step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전기방사 설비를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되, 비교예로써 실리콘 나노입자(120) 대신 주석(IV) 아세테이트염과 코발트(II) 아세테이트염 0.003몰씩을 사용한 주석코발트합금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제조하였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주석코발트합금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The nanofibers were produced using the same electrospinning apparatus as in the above example except that tin (IV) acetate salt and 0.003 mol of cobalt (II) acetate salt were used in place of silicon nanoparticles (120) Carbon nanofibers 110 were prepared. 4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including the tin cobalt alloy nanoparticles 120 formed as described above.

[시험예]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비교예 1) 및 여기에 그래핀(130)이 부착된 음극활물질(100)(실시예)을 사용한 이차전지의 음극 특성 평가Test Example A negative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using a carbon nanofiber 110 (Comparative Example 1) containing silicon nanoparticles 120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Example) having a graphene 130 attached thereto Character rating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시된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와 상기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에 실시예의 방법으로 그래핀(130)을 부착한 음극활물질(100)을 사용하는 이차전지의 음극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The graphene 130 was attached to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and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described in Comparative Example 1 A negative electrode characteristic of a secondary battery using an anode active material (100) was compared and evaluated.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각 음극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그래핀(130)이 결착되고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 및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각각 고체 상태로 하여 75wt%의 중량비로, 리튬 폴리아크릴레이트(Li-PAA) 바인더를 15wt%의 중량비로, 또한 Super-P 카본 입자를 10wt%의 중량비로 잘 교반하여, 구리 호일위에 슬러리(slurry) 형태로 얇게 바르고, 진공 분위기에서 건조하여 각각의 전극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Li-PAA 바인더는 25wt%의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수용액을 10wt%의 리튬수산화물(Lithium hydroxide monohydrate)과 1 : 1 몰비로 혼합 및 중화시켜 제조하였다.The carbon nanofibers 110 and the silicon nano-particles 110, both of which were grafted with the graphene 130 produc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Li-PAA) binder at a weight ratio of 15 wt%, and Super-P carbon particles at a weight ratio of 75 wt% to 10 wt% of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particles 120, % By weight, thinly applied on a copper foil in the form of a slurry, and dried in a vacuum atmosphere to prepare respective electrode plates. At this time, the Li-PAA binder was prepared by mixing and neutralizing 25 wt% aqueous solution of polyacrylic acid with lithium hydroxide monohydrate (10 wt%) at a molar ratio of 1: 1.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아르곤 분위기로 조성된 글러브 박스에서 코인 전지(CR2032-type coin cell) 형상으로 조립되었다. 위 코인 전지의 전해질로는 1.2몰의 LiPF6가 용해된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를 3 : 7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이때, 이 전해질에는 7wt%의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luoroethylene carbonate, FEC)가 전해질 개선제로 첨가되었다. 상기 작동 전극(working electrode)의 상대 전극(counter electrode)으로는 순도 99.99%의 금속리튬판(Foote Mineral Co.)을 사용하였다. 두 전극 사이에는 분리막으로 폴리프로필렌필름(Celgard Inc.)을 사용하였으며, 충방전 실험 장치로는 Marco사의 4000모델을 사용하여 정전류 하에서 0.05 ~ 2.5V의 전압 범위 내에서 용량을 측정하였다.Th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was assembled into a coin cell (CR2032-type coin cell) in a glove box formed in an argon atmosphere. A solution of 1.2 mol of LiPF 6 dissolved in ethylene carbonate (EC) and dimethyl carbonate (DMC) in a volume ratio of 3: 7 was used as the electrolyte of the coin cell. At this time, 7 wt% of fluoroethylene carbonate (FEC) was added to the electrolyte as an electrolyte improving agent. A metal lithium plate (Foote Mineral Co.) having a purity of 99.99% was used as a counter electrode of the working electrode. A polypropylene film (Celgard Inc.) was used as a separator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the capacity was measured within a voltage range of 0.05 to 2.5 V under a constant current using a Marco 4000 model as a charge / discharge test apparatus.

도 12는 비교예 1과 실시예에 대한 충방전 100 사이클 이후에 얻어진 용량 특성을 보여준다. 이때, 음극활물질(100)에 일정 부하를 걸기 위해 충방전 전류는 400mA/g의 비교적 높은 값으로 고정하였다. 도 13과 도 14는 각각 비교예 1과 실시예의 첫 번째, 두 번째 그리고 50번째의 충방전 곡선을 나타낸다. 이들을 참고하면 비교예 1의 초기 방전 용량값은 1726mAh/g으로 매우 높은 값을 보여주었지만, 빠른 충방전속도로 인해 실리콘 나노입자(120)의 부피 변화가 초래되고, 이로 인한 활물질 손실로 인해 두번째 사이클에서의 방전 용량값은 700mAh/g으로 떨어졌으며, 이는 50 사이클까지 충방전을 진행하였을 때에는 100mAh/g 정도로 대폭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리콘 나노입자(120)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110)를 그래핀(130)으로 잘 감싼 실시예의 경우, 방전 용량은 초기 1058mAh/g에서 780mAh/g로 두번째 사이클에서 일부 감소하였으나, 이후 50 사이클까지 747mAh/g의 큰 손실 없이 용량값이 잘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12 shows the capacitance characteristics obtained after 100 cycles of charge and discharge for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At this time, the charging / discharging current was fixed at a relatively high value of 400 mA / g in order to apply a constant load 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100. 13 and 14 show the first, second and fifty charge / discharge curve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respectively. The initial discharge capacity valu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1726 mAh / g, which was very high. However, due to the rapid charge / discharge rate, the volume of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was changed, The discharge capacity value in the cycle dropped to 700 mAh / g, which is significantly reduced to about 100 mAh / g when the charge / discharge was continued up to 50 cycl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carbon nanofibers 110 containing the silicon nanoparticles 120 were well wrapped with the graphene 130, the discharge capacity was partially reduced in the second cycle from the initial 1058 mAh / g to 780 mAh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pacity value is maintained well without large loss of 747 mAh / g up to 50 cycles.

도 1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그래핀 결착에 따른 SEI막 저항 및 전하이동저항(charge transfer resistance, CTR)의 특성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5(c)에서는 비교예 1과 실시예의 임피던스(impedance)에 대한 SEI막 저항 및 전하이동저항의 측정치를 표시하고, 또한 이를 시뮬레이션(simulation)한 계산치와 비교함으로써 양자가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에서 RE는 직렬 저항, RSEI는 SEI막 저항, RCT는 전하이동저항, 그리고 RP는 상변화 저항을 나타낸다. 도 15(b)에서, 비교예 1의 SEI막 저항값(61.41Ω)을 볼 때, 실시예의 그래핀(130)에 의해 둘러싸인 나노섬유(110)의 SEI막 저항값(46.96Ω) 보다 약 30% 이상 높은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하이동저항의 경우, 그래핀(130)이 부착되지 않은 비교예 1의 나노섬유(110)의 경우 전하이동저항이 133.4Ω인데 반하여, 그래핀(130)이 부착된 실시예의 경우 그 전하이동저항이 15.7Ω에 불과하여, 무려 8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그래핀(130)이 일차원 나노섬유(110)의 원통형 표면에 밀착하여 부착됨으로써, 나노섬유(110) 표면에서 성장하는 SEI막의 저항 감소를 촉진하고, 특히 리튬 이온이 음극 표면 내부로 확산하면서 생기는 전하이동저항을 낮춰준다는 것을 보여준다.FIG. 15 shows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SEI film resistance and charge transfer resistance (CTR) according to graphene bi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5 (c),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I film resistance and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impedan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example are displayed and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value, which shows that they are in good agreement . 15 (a) and 15 (b), R E represents a series resistance, R SEI represents an SEI film resistance, R CT represents a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R P represents a phase change resistance. 15 (b), the SEI membrane resistance value (46.46?) Of the nanofiber 110 surrounded by the graphene 130 of the embodiment is about 30 % ≪ / RTI >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of the nanofiber 110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graphene 130 is not attached is 133.4?, Whereas in the embodiment where the graphene 130 is attached, The resistance is only 15.7?, Which is 8 times higher than the resistance. This is because the graphene 130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is closely attached to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one-dimensional nanofiber 110, thereby promoting the reduction of the resistance of the SEI film grown on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110, And reduces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caused by diffusion into the insid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음극활물질
110 : 금속 또는 탄소 나노섬유
120 : 금속 또는 합금 나노입자
130 : 그래핀 결착층
210 : 작용기
100: anode active material
110: metal or carbon nanofiber
120: metal or alloy nanoparticles
130: graphene binding layer
210: functional group

Claims (33)

나노섬유; 및
상기 나노섬유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결착되는 그래핀 결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는,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이거나,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Nanofiber; And
And a graphene binder layer which is bonded to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nanofiber,
The nano-
A nanofiber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metal and an alloy there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carbon nanofiber including at least one of nanoparticles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나노섬유의 원통형 표면에 밀착하여 완전히 감싸고 있는 한 겹 혹은 이들을 다시 추가적으로 감싸는 여러 겹의 그래핀 결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phene binding layer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layers of a graphene binder layer which completely surrounds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nanofiber and completely surrounds the nanofiber, or further folds them again.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에 부착되는 전하를 띠는 제1작용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제1작용기의 전하와 반대의 전하를 띠며,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제1작용기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나노섬유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functional group having a charge attached to the nanofiber,
Wherein the graphene binding layer has a charge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Wherein the graphene binding layer is bound to the nanofiber through bonding with the first functional grou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상기 제1작용기의 전하와 반대의 전하를 띠는 제2작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raphene binding layer comprises a second functional group having a charge opposite to the charge of the first functional group.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결착층은 단일층 또는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그래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또는 환원산화그래핀(reduced graphene oxide)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graphene binding layer is composed of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graphene oxide or reduced graphene oxide having a single layer or a laminated structur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그 직경이 30nm 내지 5μm의 범위 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nanofiber has a diameter in a range of 30 nm to 5 mu m.
제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준금속, 전이후 금속, 전이 금속, 알칼리 금속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is one or more of a metalloid, a transition metal, a transition metal, and an alkali meta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안티모니(Sb), 주석(Sn),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철(Fe), 아연(Zn), 구리(Cu), 리튬(Li), 나트륨(Na)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 Ge, Al, Sb, Sn, Ti, V, Cr, Where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de of one or more of Ni, Mn, Fe, Zn, Cu, Li and Na. Negative active material.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가 탄소 나노섬유인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그 직경이 1nm 내지 1μm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n the nanofiber is a carbon nanofiber,
Wherein the nanoparticles have a diameter ranging from 1 nm to 1 占 퐉.
(a) 금속 또는 그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노입자 또는 금속염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고,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상기 나노입자 또는 상기 금속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포함된 고분자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고분자 섬유를 열처리하여 상기 금속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그래핀을 상기 나노섬유에 결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a) preparing a solu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a metal or an alloy thereof is contained in the form of nanoparticles or a metal salt and in which a polymer is dissolved;
(b) electrospinning the solution to form a polymeric fiber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nanoparticles or the metal salt;
(c) heat-treating the polymer fibers to form nanofibers including the metal or the alloy thereof; And
and (d) binding the graphene to the nanofibe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금속 또는 합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탄소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nanofibers are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the metal or alloy nanoparticles. ≪ RTI ID = 0.0 > 11. < / RTI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상기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나노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nanofiber is a nanofiber composed of the metal or the alloy. ≪ RTI ID = 0.0 > 21. < / RTI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이어서,
(c1) 상기 나노섬유에 전하를 띠는 작용기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Following step (c) above,
(c1) attach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charge to the nanofibers to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는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니트릴기, 사이올기, 시안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에스테르기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is at least one of a 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nitrile group, a silyl group, a cyano group, an amino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d an ester group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금속염은 상기 고분자와 혼합되어 상기 용액에 녹을 수 있는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a)
When the solution contains a metal salt,
Wherein the metal salt is a salt that is mixed with the polymer and is soluble in the solu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유기산염, 할로겐염, 무기산염, 알콕시염, 설파이드염 또는 아미드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etal salt is at least one of an organic acid salt, a halogen salt, an inorganic acid salt, an alkoxy salt, a sulfide salt, or an amide salt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으로 아세테이트염, 클로라이드염, 아세틸아세토네이트염, 나이트레이트염, 메톡시드염, 에톡시드염, 부톡시드염, 이소프로폭시드염, 설파이드염, 옥시트리이소프로폭시드염, 에틸헥사노에이트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염, 부타노에이트염, 에틸아미드염 또는 아미드염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etal sal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etate salt, a chloride salt, an acetylacetonate salt, a nitrate salt, a methoxide salt, an ethoxide salt, a butoxide salt, an isopropoxide salt, a sulfide salt, an oxytriisopropoxide salt, Wherein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tyl ethylhexanoate salt, butanoate salt, ethylamide salt and amide salt is used as a solvent for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금속은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안티모니(Sb), 주석(Sn),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코발트(Co), 니켈(Ni), 망간(Mn), 철(Fe), 아연(Zn), 구리(Cu), 리튬(Li) 또는 나트륨(Na)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a)
The met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 Ge, Al, Sb, Sn, Ti, V, Cr, Characterized in that the negative electrode is a mixture of one or more of Ni, Mn, Fe, Zn, Cu, Li, or Na.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ctive materi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아크릴산(PA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닐렌이소프탈라마이드(poly(m)-phenylene isophthalamide, PMIA), 폴리에틸아민(PE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PBT), 폴리설폰(PSF), 폴리에테레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부티랄레신(poly-vinyl butyral resin, PVB), 폴리비닐에스터(PVE), 폴리페로세실디틸실란(polyferrocenyldimethylsilane, PFDMS), 폴리이미드, 폴리피롤(poly-pyrrole-2,5-diyl(p-nitrobenylidene), PPy),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아크릴아민(PAM),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s, PLLA/PD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베타하이드록시알카노아트(poly-β-hydroxyalkanoates, PHA), 폴리부틸렌 써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에티르 우레탄 우레아(poly-ether urethane urea, PEUU),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키틴, 덱스트란, DNA, 콜라겐, 젤라틴, 레시틴, 피브로인(SF), 제인(CASP) 또는 글루텐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lym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cetate (PVAc), polyvinylpyrrolidone (PVP), polyvinyl alcohol (PVA), polyethylene oxide (PEO),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acrylic acid (PAA), polycarbonate PC), polyphenylene isophthalamide (PMIA), polyethylamine (PEI),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trimethylene tetraphthalate (PT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sulfone (PSF),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styrene (P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urethane, polyvinyl butyral resin, PVB), polyvinyl ester (PVE), polyferrocenyldimethylsilane (PFDMS), polyimide, poly-pyrrole-2,5-diyl (p-nitrobenylidene), PPy), polyoxymethylene POM), polyethyleneimine (PEI), polyacrylamine (PAM), polyethyl (PEG), polylactides (PLLA / PDLA), polycaprolactone (PCL), polyglycolic acid (PGA), poly- beta -hydroxyalkanoates (PHA)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ether urethane urea (PEUU), polyvinyl chloride (PVC), chitin, dextran, DNA, collagen, gelatin, lecithin, fibroin (SF) , Jane (CASP), or gluten,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용액에 대한 상기 금속염의 비율은 0.5wt% 내지 90wt%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a)
When the solution contains a metal salt,
Wherein the ratio of the metal salt to the solution is in the range of 0.5 wt% to 90 w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금속염과 상기 고분자의 중량비는 5 : 1 내지 1 : 5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a)
When the solution contains a metal salt,
Wherein the weight ratio of the metal salt to the polymer is in the range of 5: 1 to 1: 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에 금속염이 포함된 경우,
상기 용액의 용매는 상기 금속염 및 상기 고분자가 용해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a)
When the solution contains a metal salt,
Wherein the solvent of the solution is soluble in the metal salt and the polym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아세트산,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Hexafluoroisopropanol),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테트라파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또는 톨루엔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acetamide (DMAc), acetone, tetrahydrofuran, water, acetic acid, hexafluoroisopropanol, methanol, ethanol, propanol, chloroform, dichloromethane,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hydrofuran, formic acid, 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isopropanol, and toluen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 있어,
상기 용액을 5kV내지 20kV의 양극 전압을 가한 금속 바늘을 사용하여 분당 5㎕ 내지 100㎕의 비율로 방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b)
Wherein said solution is spun at a rate of 5 占 퐇 to 100 占 퐇 per minute using a metal needle having an anode voltage of 5 kV to 20 kV.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통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c)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formed by heat treatment in a reducing atmospher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50°C 내지 1500°C의 온도 및 불활성 분위기에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1500 ° C and in an inert atmospher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에 있어서 불활성 기체에 수소를 혼합하여 상기 고분자 및 상기 금속염을 탈산화(deoxydatio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polymer and the metal salt are deoxidized by mixing hydrogen with an inert gas in the heat treatment. ≪ RTI ID = 0.0 > 8. < / RTI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100°C 내지 110°C 온도의 진공 혹은 대기에서 건조하여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c2) 150°C 내지 400°C의 온도에서 상기 고분자를 안정화(stabilization)시키는 단계;
(c3) 400°C 내지 700°C의 온도 및 불활성 기체 혹은 수소를 포함하는 환원성 분위기에서 상기 고분자 및 상기 금속염을 탈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c)
(c1) drying the solution in a vacuum or at a temperature of 100 ° C to 110 ° C to evaporate the solvent;
(c2) stabilizing the polymer at a temperature of from 150 ° C to 400 ° C;
(c3) deoxidizing the polymer and the metal salt at a temperature of 400 ° C to 700 ° C and in a reducing atmosphere containing an inert gas or hydrogen. The method for produc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가 탄소 나노섬유인 경우,
상기 (c3) 단계에 이어서,
(c4) 500°C 내지 1500°C의 불활성 기체에서 상기 고분자를 탄화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n the nanofiber is a carbon nanofiber,
Following the step (c3)
(c4) carbonizing the polymer in an inert gas at 500 [deg.] C to 1500 [deg.] C.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전하를 가지는 그래핀을 사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d)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graphit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를 가지는 그래핀은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또는 전하를 띠는 작용기가 부착된 그래핀 중 하나 혹은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graphen having the charge is one of graphene oxide or graphene having a charged functional group attached thereto or a mixture thereof.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이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인 경우,
상기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은 그래핀을 강산성 용액에서 산화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n the graphene is graphene oxide,
Wherein the graphene oxide is formed by oxidizing graphene in a strongly acidic solution. ≪ RTI ID = 0.0 > 8. < / RTI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이 전하를 띠는 작용기가 부착된 그래핀인 경우,
상기 작용기는 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니트릴기, 사이올기, 시안기, 아미노기, 알킬기, 알콕시기, 에스테르기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제조 방법.
32. The method of claim 31,
If the graphene is graphene with charged functional groups,
Wherein the functional group is at least one of a carbonyl group,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nitrile group, a silyl group, a cyano group, an amino group,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d an ester group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KR20130049001A 2013-05-01 2013-05-01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107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001A KR101510715B1 (en) 2013-05-01 2013-05-01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9001A KR101510715B1 (en) 2013-05-01 2013-05-01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578A true KR20140130578A (en) 2014-11-11
KR101510715B1 KR101510715B1 (en) 2015-04-10

Family

ID=5245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9001A KR101510715B1 (en) 2013-05-01 2013-05-01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71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27B1 (en) * 2014-12-30 2016-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Reduced graphene oxide/graphene composite film,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composite film
WO2016111605A1 (en) * 2015-01-09 2016-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lectrode manufactured by sam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60139264A (en) * 2015-05-27 2016-12-07 국방과학연구소 3-dimenstinal nanofiber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liquid collector
KR20180004487A (en)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osite electrode active material,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e electrode active material
KR20200061723A (en) * 2018-11-26 2020-06-03 울산과학기술원 A positive electrode slurry containing a biomolecule-carbon aqueous binde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00066942A (en) * 2018-12-03 2020-06-11 울산과학기술원 A positive electrode slurry containing a biomolecule-cellulose aqueous binde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3529281A (en) * 2021-08-10 2021-10-22 山东大学 Graphene/polysiloxane spinning fiber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961B1 (en) * 2017-04-27 2019-05-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Heat dissipation film using multi layered structure of graphene and inorganic nano partic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KR20220063781A (en) 2020-11-09 202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node Materials for Secondary Batteries and Method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027B1 (en) * 2009-03-03 2011-10-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Graphene composite nanofiber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66190B1 (en) * 2011-07-13 2013-05-21 한국과학기술원 Cathod active material of secondary battery comparising carbon fiber including tin particles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27B1 (en) * 2014-12-30 2016-04-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Reduced graphene oxide/graphene composite film,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composite film
WO2016111605A1 (en) * 2015-01-09 2016-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lectrode manufactured by sam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0388946B2 (en) 2015-01-09 2019-08-20 Lg Chem, Ltd Electrod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de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60139264A (en) * 2015-05-27 2016-12-07 국방과학연구소 3-dimenstinal nanofiber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liquid collector
KR20180004487A (en)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osite electrode active material,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e electrode active material
KR20200061723A (en) * 2018-11-26 2020-06-03 울산과학기술원 A positive electrode slurry containing a biomolecule-carbon aqueous binde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00066942A (en) * 2018-12-03 2020-06-11 울산과학기술원 A positive electrode slurry containing a biomolecule-cellulose aqueous binde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3529281A (en) * 2021-08-10 2021-10-22 山东大学 Graphene/polysiloxane spinning fiber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715B1 (en)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715B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um-ion secondary battery using composite of nanofiber and graphe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ung et al. Electrospun nanofibers as a platform for advanced secondary batteries: a comprehensive review
Li et al. Electrospun hollow nanofibers for advanced secondary batteries
Pampal et al. A review of nanofibrous structures in lithium ion batteries
Wang et al. One-dimensional nanomaterials toward electrochemical sodium-ion storage applications via electrospinning
Kang et al. Binder-free electrodes and their application for Li-ion batteries
CN103682283B (en) Composite anode active material each includes its cathode and lithium battery, its preparation method
Svinterikos et al. Electrospun lignin-derived carbon micro-and nanofibers: A review on precursor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KR101708363B1 (en)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negative electrode and lithium battery containing the material
US8535830B2 (en) High-powered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KR101785268B1 (en)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aterial
Wei et al. Solvent-controlled synthesis of NiO–CoO/carbon fiber nanobrushes with different densities and their excellent properties for lithium ion storage
Armer et al. Electrospun vanadium-based oxides as electrode materials
KR101599124B1 (en) Perovskite metal oxide nanofibers as air electrode for lithium air batterie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40138806A (en) Lithium ion batteries comprising nanofibers
Weng et al. Electrospun carbon nanofiber-based composites for lithium-ion batteries: structure optimization towards high performance
US10615409B2 (en) Electrode active material,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JP2012501515A (en) Composite electrode material, battery electrode including the material, and lithium battery having the electrode
KR102178542B1 (en) Metal tin-carbon complex, method for producing said complex,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is produced using said complex,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ies which comprises sai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lithium secondary battery
Chen et al. Wearable lithium ion batteries based on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KR101997968B1 (en) Spider network structure composition of N-doped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MnCoOx nanoparticles, th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o an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CN103959075A (en) Core/shell structured electrod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Chavez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centrifugally spun composite fibers and their performance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and sodium-ion batteries
CN106169574A (e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lectrode and energy storing device
KR101392388B1 (en) Carbon nanofibers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n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