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399A -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399A
KR20140130399A KR1020140129301A KR20140129301A KR20140130399A KR 20140130399 A KR20140130399 A KR 20140130399A KR 1020140129301 A KR1020140129301 A KR 1020140129301A KR 20140129301 A KR20140129301 A KR 20140129301A KR 20140130399 A KR20140130399 A KR 20140130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
driven gear
driving
gea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열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정열
정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열, 정인화 filed Critical 정열
Priority to KR102014012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0399A/ko
Publication of KR2014013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 종류의 페이스트물질이 내부에 격리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적정량으로의 안정적인 토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페이스트 토출용기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2종 이상의 페이스트물질(P,P')이 격리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격막(11)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부에는 페이스트물질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구(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P,P')을 밀어올리기 위해 용기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압판(20)과; 상기 각 가압판(20)을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가압판(20)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승강스크류(30)와; 상기 승강스크류(30)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된 피동기어(31)와; 상기 피동기어(31)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어져 있는 구동하우징(5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CONTAINER STRUCTURE FOR PASTE EXTRACTING}
본 발명은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일정량의 페이스트 물질이 저장 보관되어지는 가운데 필요에 따라 토출하여 사용이 가능한 페이스트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스트물질(Paste Material)이라 함은 치약이나 연고와 같이 비응고 상태로 존재하다가 외부로 특정시간 노출되는 경우 응고상태로 변화하는 물질을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페이스트물질은 대게 말랑말랑한 연성재질의 튜브에 저장되어 있으며 튜브에 외력을 인가하여 압착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성재질의 튜브 내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은 튜브를 완전하게 압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내부에 잔량의 페이스트물질이 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5년3월8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5-18995호에 개시되어져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페이스트물질이 저장된 제1본체와, 구동수단이 구비된 제2본체로 이루어진 토출장치를 제안함으로서, 사용자가 한손으로 구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서 제1본체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이 구동수단에 의해 밀려서 토출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제2본체가 제1본체 일측에 결합된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용기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고,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비용 증가 및 휴대에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바퀴를 손가락으로 돌려주어야 함으로 사용과정에서 손가락 통증을 유발하게 되어 노인이나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59266호(2002.01.05.)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2044호(2008.06.2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페이스트 토출용기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페이스트 토출을 위한 사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페이스트 토출용기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페이스트 토출용기는, 내부에 2종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이 격리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격막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부에는 페이스트물질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을 밀어올리기 위해 용기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압판과; 상기 각 가압판을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가압판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승강스크류와; 상기 승강스크류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어져 있는 구동하우징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피동기어와 기어 치합이 이루어진 구동기어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하우징의 내벽면에 피동기어와 기어 치합이 이루어진 내부기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구동하우징의 상단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으로 구동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페이스트물질이 내부에 격리 보관되어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적정량으로의 안정적인 토출작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페이스트 토출용기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하부의 구동하우징을 잡고 간단히 돌려주기만 하면 내부의 승강동작에 의해 페이스트물질의 가압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페이스트 토출용기의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용기의 용기본체 평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용기의 가압판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페이스트 토출용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페이스트 토출용기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용기의 구동하우징 평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동하우징 평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구동하우징 평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가압판 평면 구조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다양한 분할형태의 가압판 평면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전동방식 하부 구동하우징 측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내부에 2종류의 페이스트물질(P,P')이 각각 격리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격막(11)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부에는 페이스트물질(P,P')의 외부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구(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P,P')을 상부로 밀어올리기 위해 용기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2개의 가압판(20)과, 각 가압판(20)을 개별적으로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가압판(20)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승강스크류(30)와, 각 승강스크류(30)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된 피동기어(31)와, 피동기어(31)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어져 있는 구동하우징(50)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제1 실시 예에서의 구동수단으로는 구동하우징(50)의 내부 중앙에 피동기어(31)와 기어 치합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51)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가압판(20)은 반원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중앙에는 승강스크류(30)와 나사치합이 이루어지는 스크류결합홈(21)이 형성되었다.
한편, 용기본체(10)의 하단부에는 외부 둘레를 따라 가이드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4)와 대응되는 구동하우징(5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홈(54)이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 구동하우징(5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동하우징(50)에는 구동기어(51)의 상면에 돌출 구비된 구동돌부(53)가 삽입되어지는 중앙홈(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에는 승강스크류(30)가 관통 삽입되는 스크류홈(42)이 형성된 내부하우징(40)이 구성되었다.
그리고, 용기본체(10)에는 승강스크류(30)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회동과정에서 승강스크류(3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동지지홈(13)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피동기어(31)의 저면 중앙에는 지지돌기(32)가 돌출 구비되었으며, 상기 지지돌기(32)와 대응되는 구동하우징(50)의 바닥면에는 지지돌기(32)가 안착되어 피동기어(31)의 회동이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어지지홈(52)이 점형태로 형성됨으로서 피동기어(31)의 회전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15는 페이스트물질이 격리 보관되어질 수 있는 보관공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부 보관공간(15)에 각기 상이한 페이스트 물질(P,P')이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동하우징(50)을 일측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가압판(20)이 도 5에서와 같이 상승되어지면서 페이스트 물질(P,P')을 밀어주게 되어 토출구(12)를 통해 2종류의 페이스트 물질(P,P')이 동시에 토출되어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구동하우징(50)을 돌려주게 되면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는 구동기어(51)가 함께 회전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구동기어(51)와 맞물려져 있는 양측 2개의 피동기어(31)가 함께 회동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피동기어(31)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양측의 승강스크류(30)가 함께 회전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양측 승강스크류(30)와 나사체결이 이루어져 있는 각각의 가압판(20)은 반원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이 방지됨으로 상호간의 나사작용으로 인하여 상승되어짐으로서 페이스트 물질(P,P')에 대한 가압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승강스크류(30)의 회동과정에서 승강스크류(30)의 상단부는 회동지지홈(13)에 의해 지지되어지고, 승강스크류(30)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된 피동기어(31)는 지지돌기(32) 부분이 기어지지홈(52)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서 안정적인 회동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페이스트 토출용기는 사용자가 용기본체(10) 하부에 결합되어져 있는 구동하우징(50)을 일방향으로 돌려주기만 하면 내부에 보관중인 여러 종류의 페이스트 물질(P,P')의 동시 토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페이스트 토출용기의 기어 구동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기어(31)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동하우징(50)의 내벽면 둘레를 따라 피동기어(31)와 기어 치합이 이루어진 내부기어(55)가 일체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1'는 기어작용이 아닌, 단순히 구동하우징(5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사용자가 구동하우징(50)을 일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내부에서 피동기어(31)가 내부기어(55)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승강스크류(30)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내부기어(55) 구조를 이루게 되면 상기 제1 실시 예의 기술구성에 비해 피동기어(31)와의 기어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지게 됨으로 기어 손상발생을 방지함과 함께 보다 안정적인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이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페이스트 토출용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가압판(20)을 승강구동시키는 피동기어(31) 및 승강스크류(30)를 4개로 구성시킨 것으로서, 하나의 가압판(20)이 2개의 승강스크류(30)에 의해 승강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압판(20)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에는 다수의 승강스크류(30)에 의한 승강 구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보다 안정적인 페이스트 토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가압판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페이스트 물질(P,P')의 저장 및 토출 비율이 상이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도 10에서와 같이 2개의 가압판(20)의 크기를 다르게 구성시킬 수 있고, 또한, 페이스트 물질(P,P')이 3종류 이상으로 사용되어지는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해당 갯수만큼의 가압판(20)이 사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페이스트 토출용기의 기어 구동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기어(31)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동하우징(50)의 내부 중앙에 피동기어(31)와 기어 치합이 이루어진 구동기어(51)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구동하우징(50) 하부에는 구동기어(51)에 동력전달을 위한 전동하우징(60)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전동하우징(60)에는 내부모터(M)로 부터의 동력을 구동기어(51)에 전달하기 위한 모터축(61)이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전동하우징(60) 내부에는 내부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 등의 전원부(62)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6은 모터축(61)이 결합되어 구동기어(51)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연결홈이고, 63 및 64는 각각 내부모터(M)의 동작 제어를 위한 온/오프 전원스위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전동하우징(60)을 구동하우징(5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스위치(63,64)를 눌러서 내부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모터축(61)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기어(51)가 회전되어짐으로서 피동기어(31)에 회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한손으로 용기본체(10)를 잡고 다른 손으로 구동하우징(50)을 회전시킬 필요 없이 간단하게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보다 편리하게 페이스트 물질의 토출작용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손만으로도 토출용기의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4 실시 예에서는 내부모터(M)의 구동 제어를 위해 수단으로 온/오프 전원스위치(63,64)가 구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전동하우징(60)에 센서를 장착하여 간단한 사용자의 터치 또는 접근을 통한 온/오프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내부격막
12 : 토출구 13 : 회동지지홈
14 : 가이드돌기 15 : 보관공간
20 : 가압판 21 : 스크류 결합홈
30 : 승강스크류 31 : 피동기어
32 : 지지돌기 40 : 내부하우징
41 : 중앙홈 42 : 스크류홈
50 : 구동하우징 51 : 구동기어
52 : 기어지지홈 53 : 구동돌부
54 : 가이드홈 55 : 내부기어
60 : 전동하우징 61 : 모터축
62 : 전원부 63,64 : 전원스위치
P,P': 페이스트 물질

Claims (1)

  1. 내부에 페이스트물질(P) 수용되며 상부에는 페이스트물질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토출구(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P)을 밀어올리기 위해 용기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압판(20)과; 상기 가압판(20)을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가압판(20)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승강스크류(30)와; 상기 승강스크류(30)의 하단부에 일체로 구성된 피동기어(31)와; 상기 피동기어(31)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구동하우징(50);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는 2종 이상의 페이스트물질(P,P')을 격리 보관 가능하도록 내부격막(11)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하우징(50)의 내부 중앙에 피동기어(31)와 기어 치합이 이루어진 구동기어(51)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4)와 대응되는 구동하우징(5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홈(54)이 형성됨으로 구동하우징(50)의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구동하우징(50)에는 상기 피동기어(31)에 기어 치합을 이루는 구동기어(51) 상면에 돌출 구비된 구동돌부(53)가 삽입되어지는 중앙홈(41)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승강스크류(30)의 상단부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회동지지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피동기어(31)의 저면 중앙에는 지지돌기(32)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지지돌기(32)와 대응되는 구동하우징(50)의 바닥면에는 지지돌기(32)가 안착되어 피동기어(31)의 회동이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어지지홈(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압판(20)은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구동하우징(50)의 측부에는 승강스크류(30)가 관통 삽입되는 스크류홈(42)이 형성된 내부하우징(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KR1020140129301A 2014-09-24 2014-09-24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KR20140130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301A KR20140130399A (ko) 2014-09-24 2014-09-24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301A KR20140130399A (ko) 2014-09-24 2014-09-24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443A Division KR20140102040A (ko) 2013-02-13 2013-02-13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399A true KR20140130399A (ko) 2014-11-10

Family

ID=5245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301A KR20140130399A (ko) 2014-09-24 2014-09-24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03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537A (zh) * 2019-04-23 2019-09-06 天津德荣针织品有限公司 一种针织衣物存放箱
CN110949823A (zh) * 2019-12-30 2020-04-03 羚鲨贸易(东莞)有限公司 一种家电生产线的零部件存放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537A (zh) * 2019-04-23 2019-09-06 天津德荣针织品有限公司 一种针织衣物存放箱
CN110949823A (zh) * 2019-12-30 2020-04-03 羚鲨贸易(东莞)有限公司 一种家电生产线的零部件存放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600A (en) Massaging appliance
KR101329663B1 (ko)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US20140103072A1 (en) Low cost and low power automatic liquid dispensers
EP1857364A4 (en) tablet filling
US20090101673A1 (en) Motorized extrusion tool
KR20140130399A (ko)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EP4062955A1 (en) Automatic cleaning and washing device for administering substances to body
US20130341353A1 (en) Battery operated toothpaste dispenser
KR101712505B1 (ko) 스펀지를 구비한 화장액 공급용기
KR20140102040A (ko)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KR20180064209A (ko) 정량 배출장치
KR20180012008A (ko) 표면 자동 살균, 세척, 보관 및 충전장치
WO2018101113A1 (ja) ディスペンサ
CN109436594B (zh) 方便取药的药品分装盒
CN211618535U (zh) 一种药品分配盛放装置
CN109431065A (zh) 带电动挤牙膏的牙刷
KR101088114B1 (ko) 세척용 전동브러쉬의 펌핑장치
KR100832554B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388134Y1 (ko) 전동식 화장품용기
KR101037358B1 (ko) 전동식 화장품 용기
CN216710439U (zh) 一种药房专用的自动配药设备
KR101309057B1 (ko) 감속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JP2003267465A (ja) 液体容器の液体ディスペンサー
KR101635524B1 (ko) 다단 기어 구동식 페이스트 물질 토출용기
CN110772057A (zh) 一种内嵌旋转式美妆收纳设备及其工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