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396A - 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 Google Patents

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396A
KR20140130396A KR20140128915A KR20140128915A KR20140130396A KR 20140130396 A KR20140130396 A KR 20140130396A KR 20140128915 A KR20140128915 A KR 20140128915A KR 20140128915 A KR20140128915 A KR 20140128915A KR 20140130396 A KR20140130396 A KR 2014013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eight
hollow
weights
mount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8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재만
Original Assignee
변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만 filed Critical 변재만
Priority to KR2014012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0396A/en
Publication of KR2014013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3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weight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shing weight assembly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ccordingly easily controls the length or weight fast and comprises a fishing weight having a first connection unit on a first hollow hole, wherein the first hole penetrates inside in a lengthwise direction; and an attaching holder which is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includes a bar inserted into the first hole and form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r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Therefore, the fishing weight assembly has advantages that the a float is easily controlled upward and downward by controlling a length controlling unit without changing buoyancy or weight of the float when the water speed and other factors are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float.

Description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낚시추를 교체하여 무게를 조절하거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holder for a fishing tack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holder for a fishing tack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the weight or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by replacing the fishing tackle quickly and easily with a simple structure.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침하력을 가진 낚시추(또는 낚시 봉돌)와 부력을 가진 낚시찌를 물속에 넣어서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맞추는 찌맞춤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는 침하력과 부력의 균형을 이용해 어신을 더욱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for fishing, a fishing tackle (or a fishing tackle) with a sinking force and a fishing tackle with buoyancy are put into the water to perform a crushing operation to balance the settlement force and the buoyancy. This is done by balancing the settlement force and buoyancy It is to detect the deceased more sensitively.

또한, 위와 같은 작업 후, 물속의 바닥을 회유하는 어종을 잡는 바닥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물속의 바닥에 낚시추(또는 낚시 봉돌)을 위치시키는 수심맞춤 작업을 해야 한다.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in order to perform bottom fishing for capturing fish species floating in the bottom of water,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depth-of-water adjustment work for placing fishing weights (or fishing bolls) on the bottom of water.

이러한 낚시 채비에 사용되는 종래의 낚시추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 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2974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The conventional fishing weights used for such fishing preparation are those list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63,305 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12974.

도6은 종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의 낚시추를 도시한 모습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 fishing weights of a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463,305.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는 도6과 같이 낚시줄상에 설치되는 탄성튜브체(13)를 중량체(1)내부에 삽입하는 기술을 개시한다.A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463,305 discloses a technique of inserting a resilient tube member 13 provided on a fishing line into a weight 1 as shown in Fig.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는 탄성튜브체(13)가 중량체(1)로부터 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탄성변형이 일어나기 쉬워 중량체(1)로부터 더욱 이탈될 우려가 큰 것이 문제이다.However,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63,305 has a problem that the elastic tube body 13 may be detached from the weight 1, and elastic deformation is likely to occur over time, Is a big problem.

도7은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2974호의 낚시추를 도시한 모습도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fishing weight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12974.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추는 낚시줄(10)과 목줄(61)의 사이에 설치되는 낚시용 추(1)를 구성함에 있어서, 낚시추(1)를 두 개의 몸체(11,12)로 분할 형성시키고, 분할된 각 몸체(11,12)의 단부에 고리(13)를 각각 형성시키고, 내부에 중량체(2)가 수납되는 수용부(15)를 형성시키며, 분할 형성되는 두 개의 몸체(11,12) 사이에 두 개의 몸체(11,12)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결합장치(3)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7, the conventional fishing weft is constituted by the fishing weights 1 provided between the fishing line 10 and the neck line 61. The fishing weights 1 are arranged between the two bodies 11, 12, and a ring 13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of the divided bodies 11, 12, and a receiving portion 15 in which the weight 2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a coupling device 3 for coupling the two bodies 11 and 12 to each other between the two bodies 11 and 12 is provided.

이러한 종래의 낚시채비의 낚시추(또는 낚시봉돌)는 물의 유속, 수중 대류현상, 기타 주변환경으로 인해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 낚시대를 회수하여 사용자의 후방으로 쭉 뺀 다음, 낚시찌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낚시추의 무게를 달리하여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해야 하므로 몹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shing rod on the surface due to the flow velocity of water, underwater convection, or other surrounding environment, the fishing rod (or the fishing rod) of the conventional fishing preparation is withdrawn and drawn back to the user's rear sid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shing rod or adjust the buoyancy of the fishing rod by varying the weight of the fishing rod, which is problematic.

또한,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할된 몸체를 분리하여 중량체를 수납시키고 다시 분할된 몸체를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추의 무게조절이 번거롭고,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djust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the divided bodies must be separated to accommodate the weight bodies, and the divided bodies must be joined again, so that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can not be adjusted quickly and quickly.

또한, 중층 낚시 시, 낚시추의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낚시줄의 길이를 달리하여 낚시 바늘을 다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 채비를 준비함에 있어서 번거로움이 유발되고, 낚시 채비를 갖추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shing weight is not appropriate at the time of middle-layer fishing, the fishing needle must be attached again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Therefore, it is troublesome to prepare fishing prepa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prepare the equipment.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1297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63,30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12974,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63,305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낚시추를 손쉽게 단단히 고정할 수 있어 낚시추 조립체의 무게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추에 연결된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함으써 보다 신속한 낚시 채비를 갖출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shing tackle which can easily and firmly fix a fishing tackle so that the weight of the fishing tackle assembly can be quickly and easily adjusted, and when the position of a fishing tackle connected to the fishing tackle is not appropriat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shing tackle assembly capable of achieving quicker fishing preparation.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중공이 종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제1결합부가 형성된 낚시추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중공에 삽입되는 바와, 상기 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금속재질의 장착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shing reel comprising: a fishing reed having a first hollow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hollow in the first hollow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first hollow; A mounting holder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ly elongated shap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and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 and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 fishing tackle assembly.

또한, 상기 낚시추는 상기 제1중공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외측으로 개구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되, 상기 절개홈은 낚시줄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제1중공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fishing tackle includes a cutout groove that opens outwar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first hollow, wherein the cutoff groov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shing line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

또한, 상기 장착홀더는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바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상단에서 형성된 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Further, the mounting holder includes a fishing tack assembly, where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r and includes a tuck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장착홀더는 상기 제2결합부 하부에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fishing tackle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고정되는 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장착홀더에 결합되는 고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And a stator coupled to the mounting holder, the stator including a loop to which a string of fishing tackles is secured.

또한, 상기 고정자는 상기 고리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장착되도록 하는 오링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Further, the stator includes a fishing weight assembly including an o-ring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t least one O-ring between the loop and the inclined portion.

또한, 상기 고리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진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상단에서 위로 볼록진 라운드부를 포함하되,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ring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xtension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 lowered concave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ixing portion; And a rounded portion rai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wherein a string of fishing hooks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또한, 상기 장착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fishing tackle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der.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부에 고정링이 형성된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장착홀더 내부에 형성된 제4결합부에 체결되는 제3결합부와; 상기 제3결합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The length adjusting unit may include: an upper cap having a fixing r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 third engaging portion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p and fastened to a fourth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mounting holder; And a fixing body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상부캡과 상기 장착홀더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체가 상기 장착홀더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길이조절부를 상기 장착홀더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ture may be attached to the third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p and the mounting holder, and the fixture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holder to fix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to the mounting holder And a fishing tack assembly.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낚시추에 제1중공을 이용하여 장착홀더의 상부에서 끼워 넣을 수가 있게 됨으로써 낚시추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fishing weight can be fit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der by using the first hollow, thereby making it easier to replace the fishing weight.

둘째, 낚시추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홀더에 설치된 길이조절부에 낚시줄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낚시줄을 절개부로 통과시킴으로써 낚시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가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incision part is formed on the fishing weight, the fishing line can be easily installed by passing the fishing line through the incision part in a state where the fishing line is connected to the length adjustment part provided on the mounting holder.

셋째, 낚시추를 장착하는 장착홀더를 사용함으로써 낚시추를 깍는 행위 없이 무게가 다른 낚시추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교환해가며 무게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낚시추의 무게를 늘이거나 줄이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Third, by using the mounting holder to attach the fishing weight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change the weight of different fishing weights without adjusting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increase or decrease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And it is advantageous.

넷째, 오링 장착이 가능하므로 낚시추의 미세한 무게 조절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Fourth, since the O-ring can be mount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다섯째, 수면상의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때, 낚시대를 사용자의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제자리에서 간단하게 길이조절부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fth, when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shing rod on the water surfac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shing rod can be adjusted by simply adjusting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n place without moving the fishing rod to the back of the user.

여섯째, 낚시 바늘의 위치가 적절치 않을 경우, 길이조절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낚시 바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Sixth, when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is not appropri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can be easily and easily adjusted by using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일곱째,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드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낚시 채비를 갖출 수 있다.Seventh,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shing rods and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s, thereby achieving quicker fishing preparation.

여덟째, 물의 유속 및 기 타 주변환경을 인해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에 변경이 필요한 경우, 낚시추의 무게 변경이나 낚시찌의 부력 변경 없이 길이조절부를 조작하여 수면상 낚시찌의 상하 위치를 손쉽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Eighth, it is easy and easy to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of the fishing rod by changing the weight of the fishing rod or changing the weight of the fishing rod without changing the buoyancy of the fishing rod when the water level and other surrounding environment require chang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shing ro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로 길이조절한 상태에서 오링이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은 종래 낚시추의 모습도이다.
1 is a coupling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ing mounted on a length adjust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weight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다.First,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다.FIG. 1 is a coupling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낚시추(1000)는 종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중공(1100)이 형성되어 있다.The fishing weights 1000 are formed with a first hollow 110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중공(1100)의 하부에는 제1결합부(1110)가 형성된다.A first engaging portion 1110 is formed below the first hollow portion 1100.

낚시추(10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앙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살의 저항을 덜 받게 된다.Since the overall shape of the fishing weights 1000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hat becomes narrower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istance of the water is lowered.

낚시추(1000)는 제1중공(1100)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외측으로 개구되는 절개부(1111)를 갖는다.The fishing weights 1000 have cutouts 1111 that open outwar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first hollow 1100.

절개부(1111)는 낚시줄의 직경보다는 크고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The incision 11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shing line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1100.

낚시추(1000)의 재질은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낚시추(1000)의 재질이 납으로 이루어질 경우 낚시추(10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어 낚시추(1000)와 장착홀더(3000)의 체결시 나사산이 마모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또 다른 이유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material of the fishing weights 1000 is preferably made of brass, ceramic, stainless steel or the like. This is because, when the fishing rod 1000 is made of lead, the thread formed on the fishing rod 1000 can be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thread is worn out when the fishing rod 1000 and the mounting holder 3000 are fasten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concern and another reason is that it can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낚시추(1000)는 무게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fishing weights 1000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weights.

장착홀더(30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형봉 형상의 바(3100)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3100)의 외직경은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3100)는 제1중공(1100)에 삽입될 수 있다.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bar 310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1100, the diameter of the bar 3100 is reduced,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1100.

바(31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3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부(3300)를 갖는다.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330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ar 3100 and formed of a threa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r 3100.

제2결합부(3300)의 양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턱(3310)은 제2결합부(330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위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제1결합부(1110)가 턱(3310)에 걸리게 됨으로써 낚시추(100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jaw 331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ngaging part 3300 and has a shape decreasing in diameter toward the upper end, The fishing rod 1000 can be firmly supported by being hooked on the jaw 3310.

받침부(3320)는 제2결합부(330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낚시추(1000)가 제2결합부(3300)에 결합될 때 낚시추(1000)의 유선형상과 매칭되기 때문에 물살의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낚시추(10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The receiving portion 332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300 and has a reduced diameter as it goes down. When the fishing weight 1000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300 Since it is matched with the streamline shape of the fishing weights 10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water curtain and to support the fishing weights 1000.

제1중공(1100)의 하부 둘레면에는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30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1110)가 존재한다.The first hollow portion 1100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1110 formed on the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llow portion 1100 so as to be threadably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300 formed on the mounting holder 30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제3실시예로서 제1결합부(1110)는 제1중공(1100)의 내벽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낚시추(1000)는 상하 방향에 무관하게 제2결합부(3300)와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As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0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first hollow 1100. In this case, the fishing weights 100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engaging portion 3300.

제1결합부(1110)는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30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홀더(3000)에 낚시추(1000)가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10 can be screw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300 formed on the mounting holder 3000, the fishing weight 1000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the mounting holder 3000.

사용자는 장착홀더(3000)의 바(3100)를 낚시추(1000)에 형성된 제1중공(1100)에 끼워 넣고 낚시추(1000)나 장착홀더(3000)를 종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결합부(3300)와 제1결합부(1110)가 서로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낚시추(1000)와 장착홀더(3000)를 서로 고정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user inserts the bar 3100 of the mounting holder 3000 into the first hollow 1100 formed in the fishing weight 1000 and rotates the fishing weight 1000 and the mounting holder 30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shing rod 1000 and the mounting holder 3000 can be fixed to each other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crew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330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0 to each other.

또한, 낚시추(1000)의 중량을 조절하고 싶을 때에는 중량이 다른 낚시추(1000)를 장착 또는 분리하는 방식으로 낚시추(1000) 조립체 전체 중량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adjust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1000, the entir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1000 can be adjusted by attaching or detaching the fishing weights 1000 having different weights.

제2중공(3200)은 바(3100)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제2중공(3200)의 내벽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4결합부(3400)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hollow 3200 is longitudinally penetrated inside the bar 3100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llow 3200 is formed with a fourth coupling portion 3400 made of a thread.

길이조절부(2000) 상단에는 상부캡(2200)이 형성되고, 상부캡(2200)의 상측에는 낚시줄이 묶이게 되는 고정링(2100)이 형성되어 있다.An upper cap 220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2000 and a fixing ring 2100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upper cap 2200 to tie a fishing line.

고정링(2100)은 상부캡(2200) 상단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retaining ring 2100 is rotatable at the top of the top cap 2200.

고정링(2100)의 직경과 상부캡(2200)의 직경은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diameter of the fixing ring 2100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cap 2200 ar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1100.

제3결합부(2300)는 상부캡(2200) 하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봉 형상을 하고 있다.The third coupling portion 2300 has a circular rod shape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p 2200 whil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p 2200.

제3결합부(2300)는 제4결합부(3400)에 나사체결 된다.The third engaging portion 2300 is screwed to the fourth engaging portion 3400.

고정체(2400)는 제3결합부(2300)에 나사결합하고, 제3결합부(2300)가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4결합부(3400)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상부캡(2200) 하단과 장착홀더(3000) 상단 사이에 배치된다.The fixing member 2400 is screwed to the third engaging part 2300 and the third engaging part 2300 is screwed to the fourth engaging part 3400 formed in the mounting holder 300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holder 3000.

고정체(2400)의 직경은 제1중공(11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diameter of the fixing body 240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1100.

낚시추(1000)의 제1중공(1100)의 직경이 길이조절부(2000)의 고정링(2100)의 직경 및 상부캡(2200)의 직경, 고정체(2400)의 직경과 장착홀더(3000)의 직경보다도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낚시추(1000)에는 절개부(111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줄이 고정링(210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길이조절부(2000)가 설치된 장착홀더(3000)로부터 낚시추(1000)만을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역으로 설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1100 of the fishing weights 1000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ixing ring 2100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2000 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cap 2200 and the diameter of the fixing body 2400, Since the cutout 1111 is formed in the fishing weight 1000, even in the state where the fishing line is installed on the fixed ring 2100, It is possible to separate only the fishing weights 1000 from the fishing boat 3000 and to install them in reverse.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낚시줄이 연결된 길이조절부(2000)가 장착홀더(300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낚시추(1000)의 절개부(1111)로 낚시줄을 관통시킨 뒤 제1중공(1100)이 고정링(2100)과 상부캡(2200), 고정체(24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낚시추(1000)에 형성된 제1결합부(1110)가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300)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역순으로 낚시추(1000)만을 분리할 수 도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if the length adjuster 2000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der 3000, the user can push the fishing line through the cutout 1111 of the fishing weight 1000 and then fix the first hollow 1100 A first engaging portion 1110 formed on the fishing weight 1000 after passing through the ring 2100, the upper cap 2200 and the fixture 240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a second engaging portion 3300 So that only the fishing weights 1000 can be separated in the reverse order.

따라서 사용자는 낚시추(1000)를 매우 용이하게 교체하여 무게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very easily replace the fishing weights 1000 to perform weight adjustment.

상부캡(22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는 부분으로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ap 2200 is preferably a portion that is held by a user and is formed as a non-slip protrus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사용자가 상부캡(2200)을 잡고 돌림으로써 길이조절부(2000)가 장착홀더(3000)의 제4결합부(3400)에 나사결합하게 되면서 제2중공(320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낚시추(1000) 조립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grips and rotates the upper cap 2200,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2000 is screwed to the fourth engaging portion 3400 of the mounting holder 3000, and is vertically movable in the second hollow 3200 So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fishing rod 1000 assembly can be adjusted as desired.

고정체(2400)의 역할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길이조절부(2000)를 장착홀더(3000)에 삽입설치 후 상부캡(2200)을 돌려서 상부캡(2200)과 장착홀더(3000) 사이의 길이를 조절 한 뒤에 고정체(2400)를 조이게 되면 고정체(2400)가 장착홀더(3000)의 상단면에 밀착되고 결국 길이조절부(2000)가 장착홀더(3000)에서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inserts the length adjusting part 2000 into the mounting holder 3000 and then rotates the upper cap 2200 to rotate the upper cap 2200 and the mounting holder 3000, The fixing member 24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der 3000 so that the length adjusting unit 2000 is fixed to the mounting holder 3000.

사용자는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싶거나,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 경우, 다시 낚시 채비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때, 상부캡(2200)을 잡고 좌우로 회전시켜서 길이조절부(200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미도시)의 적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desires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shing rod (not shown), or if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not shown) is not appropriate, the user should prepare the fishing gear again.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shing tackle (not shown) and the appropriate positions of the fishing needles (not shown) can be adjust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lengthening or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adjusting portion 2000.

길이조절부(2000)의 조절에 의한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조절은 바닥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고,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조절은 중층에서 서식하는 중층어를 잡기 위한 중층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낚시추(1000) 조립체는 바닥낚시 또는 중층낚시에 모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Adjustment of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shing rod (not shown) by adjusting the length adjuster 2000 is possible for bottom fishing, and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not shown) can be adjusted for middle- Therefore, the fishing rod 1000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both bottom fishing and middle-layer fish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의 고정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자(400)에서 하부캡(430)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것과 고리(410)는 제2연장부(470) 상단부가 제1연장부(450) 방향으로 인접되도록 형성되는 것 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stator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or 400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lip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p 430, 4 are substantially the same except that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first protrusions 470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450,

고정자(400)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5결합부(420)를 갖고 하측에는 후크모양의 고리(410)가 형성되는데, 고리(410)에는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고정된다.The stator 400 has a fifth engaging portion 420 having a threa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ook-shaped hook 410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A string of fishing hooks is fixed to the hook 41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리(41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50)와, 제1연장부(450)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진 고정부(460)와, 고정부(460)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470)와, 제2연장부(470) 상단에서 위로 볼록진 라운드부(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은 고정부(460)에 고정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annulus 410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450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 concave fixing portion 46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450, A second extending portion 47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460 and a rounded portion 480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470, 460).

고리(410)는 제2연장부(470) 상단부가 제1연장부(450) 방향으로 인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캡 일체형 바늘고정 도래를 이용하여 바늘목줄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해진다.Sinc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470 is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extension part 45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art 450, the hook 410 can be easily fixed and separated using the lower cap integral type needle attachment.

제1연장부(450)의 상단에는 스토퍼(490)가 설치되는데, 스토퍼는 고리(410)와 일체형 재질 또는 별도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topper 49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450. The stopper may be made of a monolithic material or a separate silicon material.

고리(410) 상측에는 하부캡(430)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하부캡(430)을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제5결합부(420)는 장착홀더(3000)에 형성된 제4결합부(340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결국 고정자(400)가 장착홀더(3000)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lower cap 4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ing 41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lower cap 430 and rotate the fourth cap 420. The fifth coupler 420 includes a fourth coupler 3400 So that the stator 400 is finally fixed to the mounting holder 3000.

고정자(400)는 하부캡 상단에서 제5결합부 하단까지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링장착부를 갖는다. The stator 400 has an O-ring mounting portion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to the lower end of the fifth coupling portion.

다시 말해서 오링은 하부캡과 제5결합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오링장착부(440)의 직경은 하부캡(4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In other words, at least one or more O-rings can be mounted between the lower cap and the fifth engagement portion, and the O-ring mounting portion 440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cap 430.

오링이 오링장착부(440)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낚시추(1000)(100) 조립체의 미세 무게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원하는 낚시 채비를 수월하게 이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O-ring can be installed in the O-ring mounting portion 440, the user can perform the fine weight adjustment of the fishing weights 1000 and 100, and thus the desired fishing preparation can be achieved easily.

한편 오링장착부(440)가 낚시추(1000) 조립체의 하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기 때문에 미세한 중량 조절시에도 보다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ring mounting portion 44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shing rod 1000 assembly, the center of gravity is more stably maintai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posture even when a minute weight is adjus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Next,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리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로 길이조절한 상태에서 오링이 장착된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equipped with an O-ring with a length adjustable.

낚시추(100)는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중공(110)이 형성되어 있다.The fishing rod 100 has a first hollow 11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중공(110)의 하부에는 제1결합부(111)가 형성된다.A first coupling portion 11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low portion 110.

낚시추(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중앙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overall shape of the fishing weights 100 is of a streamlined shape with a narrower width from the center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낚시추(100)의 재질은 황동 또는 세라믹 또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낚시추(100)의 재질이 납으로 이루어질 경우 낚시추(1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어 낚시추(100)와 장착홀더(300)의 체결시 나사산이 마모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또 다른 이유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material of the fishing weights 100 is preferably made of brass, ceramic, stainless steel or the like. This is because when the fishing rod 100 is made of lead, the thread formed on the fishing rod 100 can be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and the thread is worn out when the fishing rod 100 and the mounting holder 300 are fasten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concern and another reason is that it can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낚시추(100)의 하단면은 받침부(350)의 상단면과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낚시추(100)와 받침부(350)의 접촉시 전체적인 형상이 유선형이 되기 때문에 물살의 저항을 덜 받게 된다.The lower end face of the fishing spindle 100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similar to the upper end 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350 so that when the fishing spindle 100 and the receiving portion 35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verall shape becomes streamlined, do.

낚시추(100)는 무게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fishing weights 100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weights.

제1중공(110)의 직경은 바(3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중공(110) 내에서 바(31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Since the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11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r 310, rotation of the bar 310 in the first hollow 110 is enabled.

제1중공(110)의 하부 둘레면에는 장착홀더(3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4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111)가 존재한다.The first hollow portion 110 has a first engaging portion 111 formed at a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ith a screw thread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40 formed on the mounting holder 300.

제1결합부(111)는 장착홀더(300)에 형성된 제2결합부(340)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홀더(300)에 낚시추(100)가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fishing rod 100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ounting holder 300 becau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can be screw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40 formed on the mounting holder 300. [

장착홀더(3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중공(110)에 삽입되는 바(310)를 갖고, 바(310)의 하단에서 바(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부(340)를 갖는다.The mounting holder 300 includes a bar 310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110 and having a second threaded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ar 310, And has an engaging portion 340.

사용자는 장착홀더(300)의 바(310)를 낚시추(100)에 형성된 제1중공(110)에 끼워 넣고 낚시추(100)나 장착홀더(300)를 종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결합부(340)와 제1결합부(111)가 서로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낚시추(100)와 장착홀더(300)를 서로 고정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user inserts the bar 310 of the mounting holder 300 into the first hollow 110 formed in the fishing weights 100 and rotates the fishing weights 100 and the mounting holder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shing rod 100 and the mounting holder 300 can be fix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crewing the first fishing rod 340 and the first fishing rod 111 together.

또한, 낚시추(100)의 중량을 조절하고 싶을 때에는 중량이 다른 낚시추(100)를 장착 또는 분리하는 방식으로 낚시추(100) 조립체 전체 중량 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adjust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100, the weight of the fishing weights 100 can be adjusted by attaching or detaching the fishing weights 100 having different weights.

바(310)의 내부의 제2중공(320) 내벽에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제2중공(320)은 받침부(350)의 하단면에서 시작하여 바(310)의 내부에서 길게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A third coupling part (not shown) formed of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hollow 320 inside the bar 31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hollow 3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part 350 And is formed long inside the bar 310 and has threads formed on its inner surface.

받침부(350)는 제2결합부(34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The receiving portion 35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40 and has a reduced diameter as it goes downward.

제2중공(32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결합부(미도시)에는 길이조절부(200)의 하측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제6결합부(230)가 결합한다.A sixth coupling portion 230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200 is coupled to a third coupling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second hollow portion 32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6결합부(230)는 로드(2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sixth coupling portion 2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d 240.

길이조절부(200)는 긴 원형 막대 봉 형상의 로드(240)를 갖고 전체적으로 원형 막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단에는 낚시줄이 묶이는 관통공(220)을 갖는 상부캡(210)이 형성되어 있다.The length adjuster 200 has a round bar rod 240 having a long round rod shape and has a round rod shape as a whole and an upper cap 210 having a through hole 220 to which a fishing line is bundled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상부캡(210)은 로드(2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는 부분으로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캡(210)의 외경은 낚시추(100)의 제1중공(110)의 내경보다 작다.The upper cap 2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d 240 and is formed by a user to hold and turn a slip prevention protrusion (not show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0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hollow (110).

따라서, 사용자는 길이조절부(200)가 장착홀더(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낚시추(100)만을 장착홀더(300)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되어 길이조절부(200)를 따로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손쉽게 낚시추(1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pull out only the fishing weight 100 from the mounting holder 300 in a state where the length adjust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mounting holder 300, so that the length adjusting unit 200 is not separated The fishing rod 100 can be easily replaced.

사용자가 상부캡(210)을 잡고 돌림으로써 길이조절부(200)가 장착홀더(300)의 제3결합부(미도시)에 나사결합하게 되면서 제2중공(32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결국 낚시추(100) 조립체의 전체적인 길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grips and rotates the upper cap 210, the length adjusting part 200 is screwed to the third engaging part (not shown) of the mounting holder 300 so that the user can move up and down inside the second hollow 320 Thereby allow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fishing spool 100 assembly to be adjusted as desired.

다시 말해, 사용자는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싶거나,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한 경우, 다시 낚시 채비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때, 상부캡(210)을 잡고 좌우로 회전시켜서 길이조절부(200)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 및 낚시 바늘(미도시)의 적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wishes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shing rod (not shown) or if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not shown) is inappropriat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shing tackle (not shown) and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not shown) can be adjusted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200 by lengthening or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200.

길이조절부(200)의 조절에 의한 낚시찌(미도시)의 상하 위치조절은 바닥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고, 낚시 바늘(미도시)의 위치조절은 중층에서 서식하는 중층어를 잡기 위한 중층낚시에서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낚시추(100) 조립체는 바닥낚시 또는 중층낚시에 모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Adjustment of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shing rod (not shown) by adjusting the length adjusting part 200 is possible in bottom fishing, and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not shown) can be adjusted in middle layer fishing for catching middle- Therefore, the fishing rod 100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both bottom fishing and middle-layer fishing.

고정자(400)는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5결합부(420)를 갖고 하측에는 후크모양의 고리(410)가 형성되는데, 고리(410)에는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이 고정된다.The stator 400 has a fifth engaging portion 420 having a threa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ook-shaped hook 410 formed on the lower side thereof. A string of fishing hooks is fixed to the hook 41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리(41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450)와, 제1연장부(450)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아래로 오목진 고정부(460)와, 고정부(460)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470)와, 제2연장부(470) 상단에서 위로 볼록진 라운드부(4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낚시 바늘을 묶은 줄은 고정부(460)에 고정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annulus 410 includes a first extending portion 450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 concave fixing portion 46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450, A second extending portion 47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460 and a rounded portion 480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470, 460).

고리(410) 상측에는 하부캡(430)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하부캡(430)을 잡고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제5결합부(420)는 받침부(350) 내주면에 형성된 제4결합부(미도시)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결국 고정자(400)가 장착홀더(300)에 고정되는 것이다.The lower cap 4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ing 410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lower cap 430 and rotate the fourth cap 420. At this time, And the stator 400 is finally fixed to the mounting holder 300 by being screwed to the mounting holder 300 (not shown).

고정자(400)는 고리(410)와 받침부(350)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장착되는 오링장착부(440)를 갖는다.The stator 400 has an O-ring mounting portion 440 in which at least one O-ring is mounted between the ring 410 and the receiving portion 350.

고정자(400)가 장착홀더(300)에 고정될 때 받침부(350)와 하부캡(430) 사이에는 오링장착부(440)가 형성되는데 오링장착부(440)의 직경은 하부캡(4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오링이 오링장착부(440)에서 복수개 설치 될 수 있게 된다.An O-ring mounting portion 440 is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350 and the lower cap 430 when the stator 400 is fixed to the mounting holder 300. The O- And a plurality of O-rings can be installed in the O-ring mounting portion 440. [

오링이 오링장착부(440)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낚시추(100) 조립체의 미세 무게조절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원하는 낚시 채비를 수월하게 이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O-ring can be installed in the O-ring mounting portion 440, the user can perform the fine weight control of the fishing rod 100 assembly, and thus the desired fishing preparation can be achieved easily.

오링장착부(440)가 낚시추 조립체의 하측에 마련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기 때문에 미세한 중량 조절시에도 보다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o-ring mounting portion 44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shing weight assembly, the center of gravity is more stably maintai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posture even when the minute weight is adjust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1000 : 낚시추 110, 1100 : 제1중공
111, 1110 : 제1결합부 200, 2000 : 길이조절부
210, 2200 : 상부캡 220 : 관통공
230 : 제6결합부 240 : 로드
300, 3000 : 장착홀더 310, 3100 : 바
320, 3200 : 제2중공 340, 3300 : 제2결합부
350, 3320 : 받침부 400 : 고정자
410 : 고리 420 : 제5결합부
430 : 하부캡 440 : 오링장착부
450 : 제1연장부 460 : 고정부
470 : 제2연장부 480 : 라운드부
490 : 스토퍼 1111 : 절개부
2100 : 고정링 2300 : 제3결합부
2400 : 고정체 3310 : 턱
3400 : 제4결합부
100, 1000: Fishing weight 110, 1100: 1st hollow
111, 1110: first coupling portion 200, 2000: length adjusting portion
210, 2200: upper cap 220: through hole
230: sixth engaging portion 240: rod
300, 3000: mounting holder 310, 3100: bar
320, 3200: second hollow 340, 3300: second coupling portion
350, 3320: support part 400: stator
410: collar 420: fifth engaging portion
430: Lower cap 440: O-ring mounting part
450: first extension part 460:
470: second extension part 480: round part
490: Stopper 1111:
2100: stationary ring 2300: third engaging portion
2400: Fixture 3310: Chin
3400: fourth coupling portion

Claims (3)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와,
상기 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부를 갖되,
상기 결합부의 하부 단부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의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As a result,
And an engag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 and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r,
And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받침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의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decreases as the receiving portion is low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질의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d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so as to be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bar.
KR20140128915A 2014-09-26 2014-09-26 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KR2014013039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915A KR20140130396A (en) 2014-09-26 2014-09-26 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915A KR20140130396A (en) 2014-09-26 2014-09-26 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529A Division KR20140109160A (en) 2013-03-05 2013-03-05 A fishing weigh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396A true KR20140130396A (en) 2014-11-10

Family

ID=5245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8915A KR20140130396A (en) 2014-09-26 2014-09-26 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039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389A (en) 2015-04-27 2016-11-04 한상근 Fishing weight assembly
KR20200116800A (en) * 2019-04-02 2020-10-13 정경아 Weight assembly for fishing
KR20210093107A (en) * 2020-01-17 2021-07-27 이영복 Connector of sinker for fresh water fish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389A (en) 2015-04-27 2016-11-04 한상근 Fishing weight assembly
KR20200116800A (en) * 2019-04-02 2020-10-13 정경아 Weight assembly for fishing
KR20210093107A (en) * 2020-01-17 2021-07-27 이영복 Connector of sinker for fresh water fis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en) Sinker for rising float fish-hook
KR101343943B1 (en) A fishing weight assembly
KR20140130396A (en) installing holder for a fishing weight assembly
KR20140109160A (en) A fishing weight assembly
KR101882086B1 (en) Double fishing float easy to measure the depth of water and possible to control buoyancy minutely
CN106305645B (en) The fishhook component of fishing
KR101343942B1 (en) A fishing weight assembly
US2548328A (en) Fishing pole holder
US2734303A (en) Fishing bobber
KR101279290B1 (en) Buoyancy control float for buoyancy controller located in air
KR100858909B1 (en) A fishing weight
US5490348A (en) Two piece slip bobber
KR101492326B1 (en) Fishing sinker
US20130019794A1 (en) Corrosion-Resistant, Ultra-Strong, Universal Holder
KR20160084069A (en) Buoyancy control stick float for sea fishing
KR1009204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bobber
KR200494549Y1 (en) Linier sinker set for fishing with joint region
KR101583728B1 (en) Weights for fishing
KR200275437Y1 (en) Section fishing sinker
KR20200144949A (en)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fish biting sense finely
KR200344879Y1 (en) An Improved Float for Sea Fishing
KR20140098452A (en) Fishing Sinker
KR20190002360U (en) Guide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having guide
JP3223413U (en) Down shot sinke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hard to come off, allowing instant change of tana
KR200492190Y1 (en) Weight for measuring dep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