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991A - Golf Swing Training Bat - Google Patents

Golf Swing Training B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991A
KR20140129991A KR1020130085108A KR20130085108A KR20140129991A KR 20140129991 A KR20140129991 A KR 20140129991A KR 1020130085108 A KR1020130085108 A KR 1020130085108A KR 20130085108 A KR20130085108 A KR 20130085108A KR 20140129991 A KR20140129991 A KR 20140129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wing
hollow
vibration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1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3473B1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컨
김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컨, 김경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컨
Priority to PCT/KR2014/0037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78604A1/en
Publication of KR2014012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8Normal golf clubs with directly attach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 for exercising golf swing comprising: a shaft; a head part having one en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grip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haft. The head part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o notify the down swing position of an exerciser, and a detection unit installed below the notification unit to detect the back swing and finish swing positions of the exerciser. A vibration unit, which generates vibration signals when detection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grip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erciser can be notified of the time of top and finish by notifying the time of top and finish via vibration during back swing and follow swing where noise is sever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xerciser with conditions for exercising in pleasant environment where there is little noi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exerciser to exercise with proper impact strength ow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impact strength.

Description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Golf Swing Training Bat}{Golf Swing Training Ba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스윙과 팔로우 스윙시 탑 및 피니쉬의 시점 및 다운스윙시 정확한 임팩트 시점을 연습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swing practice b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lf swing practice bat in which a practitioner is informed of a time point of a top and a finish and an exact impact point in a downswing in a follow swing.

일반적으로 골프경기는 드라이버, 아이언, 퍼터 등의 클럽으로 정지된 공을 타격하여 일정거리에 정해진 홀컵에 홀인시키는 경기로서, 독특한 재미와 함께 그 운동효과 또한 뛰어나 최근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포츠 종목이다.In general, a golf game is a game in which a ball stopped by a club such as a driver, an iron, and a putter is hammered into a predetermined hole 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a sports event enjoyed by many people.

이와 같은 골프를 더욱 재미있게 즐기고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클럽을 통한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져야하며 그 기초가 되는 것이 바른 스윙자세를 익히는 것이다. In order to enjoy more of the same golf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golf, it is necessary to make a precise hit through the club and to learn the right swing posture as the foundation.

이러한 골프 스윙의 바른 자세는 대체로 클럽을 양손으로 바르게 잡는 방법과 임팩트시 럽페이스가 골프공과 직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클럽페이스가 공에 닿는 순간 가장 강하고 빠른 속도로 강력한 타격을 가하는 임팩트 타이밍조절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며, 특히 골프공을 가장 멀리 날려 보내야 하는 드라이버샷의 경우에는 클럽페이스의 정확한 스퀘어 각도유지 및 임팩트 타이밍이 무엇보다도 더욱 중요한 요소에 해당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드라이버샷 등의 골프 스윙 연습시 스윙자세는 연습자가 스스로 체득한 스윙습관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이를 바른 자세로 교정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일반적인 골프채를 사용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에는 골프채가 가벼워 근력강화효과가 적고 연습자 자신이 바른 스윙을 하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스윙 자세를 교정하여 정확한 스윙자세를 유지하거나 부드러운 스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The correct posture of this golf swing is generally that of holding the club correctly with both hands, maintaining the correct square angle so that the impact syringe face is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the golf ball, and the strongest impact at the moment when the club face touches the ball, Timing adjustment and the lik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river shot that needs to blow the golf ball farthest away, the accurate square angle maintenance of the club face and the impact timing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e swing posture of the use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wing habit acquired by the practitioner himself.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correct the swing posture using the correct posture. When the swing practice is performed using a general golf club, Less reinforcing effect Penmanship so effective that he does not know whether the right to correct the swing swing swing posture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or soft swing made could be expected.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0982482호는 막대형상의 샤프트(200)와 상기 샤프트(200)보다 큰 직경의 헤드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300)의 내측 하부에 일체로 내장되어 일정한 무게감을 형성하면서 헤드부의 하부에 하중이 집중되도록 하는 금속재질의 중량추(600)와, 상기 헤드부(300)의 내측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내장설치되고 내측 상부에는 상단금속판(401)이 고정설치되며 하부에는 충돌음 발생을 방지하는 완충재(402)가 고정설치되고 내부에는 제 1 알림볼(403)이 위치이동되게 내장되어 백스윙과 팔로우스윙시 상기 헤드부(300)가 거꾸로 세워져 탑 및 피니쉬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알림볼(403)이 흘러내려 상단금속판(401)에 닿으면서 충돌음을 발생시켜 탑 및 피니쉬의 위치와 타이밍을 가늠하게 하는 제 1 알림관(400)과, 상기 헤드부(300)의 내측 중간부분에 제 1 알림관(400)과 함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내장설치되고 내측 상부에는 자석판(501)이 고정설치되며 하부에는 하단금속판(502)이 고정설치되고 내부에는 제 2 알림볼(503)이 위치이동되게 내장되어 탑위치에서는 상기 제 2 알림볼(503)이 자석판(501)에 맞닿아 부착된 상태에서 다운스윙시 임팩트시점에서 일정한 회전력이 가해지면 자석판(501)으로부터 이탈되어 하단금속판(502)에 닿으면서 충돌음을 발생시켜 임팩트타이밍을 가늠하게 하는 제 2 알림관(500)으로 구성된 골프 연습용 배트(1000)가 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82482 includes a rod-shaped shaft 200 and a head 300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haft 200, (600) integrally embedded in an inner lower part of the head part (300) and concentrating a load on the lower part of the head part while forming a constant weight feeling, and a weight part A top metal plate 40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side and a cushioning material 402 for preventing a collision sound is fixed to the lower part. A first notification ball 403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cushioning material to move the backswing and the follow swing The first notification ball 403 flows down and touches the upper metal plate 401 to generate a collision sound to measure the position and timing of the top and finish, And a magnetic annular plate 501 is fixedly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side of the head part 300. The first alumina pipe 400 is installed vertically along with the first alumina pipe 400 at an inner middle part of the head part 300, A lower metal plate 502 is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and a second notification ball 503 is built in the inner part so that the second notification ball 503 is in contact with the magnet plate 501 to be moved down The golf training bat 1000 comprises a second alerting tube 500 which is detached from the magnetic plate 501 and contacts the lower metal plate 502 to generate a collision sound to measure the impact timing when a constant rotational force is applied at the time of impact at the time of the swing. .

그러나, 상기의 골프 연습용 배트(1000)는 백 스윙시 탑위치와 팔로우스윙시 피니쉬 위치를 제 1 알림관(400)의 상단금속판(401)을 타격하는 제 1 알림볼(403)의 충돌음을 통해 탑 및 피니쉬 위치의 시점을 연습자에게 알려줌으로 인해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 연습자가 상기 골프 연습용 배트(1000)로 스윙 연습을 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알림볼(403)이 상기 상단금속판(401)을 타격하여 발생되는 충돌음을 연습자가 인지하기 어렵고, 반대로 소음이 적은 조용한 지역에서 다수의 연습자가 상기 골프 연습용 배트(1000)로 스윙 연습을 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알림볼(403)이 상기 상단금속판(401)을 타격하여 발생되는 충돌음이 오히려 소음으로 작용하여 연습자의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in the golf training bat 1000 described above, the top position and the finish position in the follow swing during the back swing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llision sound of the first notification ball 403 hitting the upper metal plate 401 of the first alerting pipe 400 When the practitioner performs the swing practice with the golf practice bat 1000 in a region where noise is high because the instructor informs the practitioner of the top and the finish position, the first notification ball 403 is moved to the upper metal plate 401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perceive the collision sound generated by the hitting.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practitioners perform the swing practice with the golf practice bat 1000 in a quiet area with low noise, the first notification ball 403 is moved to the upper metal plate The impact sound generated by hitting the sound source 401 may act as a noise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practitioner.

또한, 상기의 골프 연습용 배트(1000)는 자력에 의해 제 2 알림관(500)의 자석판(501)에 부착되어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받을 경우, 상기 자석판(501)을 이탈하여 하단금속판(502)을 타격하는 제 2 알림볼(503)의 충돌음을 통해 다운스윙시 임팩트 시점을 알려줄 순 있으나 제 2 알림볼(503)이 부착된 자석판(501)의 자력이 일정함으로 인해 다운스윙시 더 강한 임팩트 강도를 요구하는 연습자에게 적합한 임팩트 강도를 연습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the golf training bat 1000 is attached to the magnetic plate 501 of the second announcement pipe 500 by a magnetic force and receives a certain rotational force, the golf training bat 1000 disengages the magnet plate 501, However, sinc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plate 501 with the second notification ball 503 is consta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ronger impact strength in the downswing due to the impact sound of the second notification ball 503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ndition for practicing an impact strength suitable for a practicing reques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백스윙 및 팔로우스윙시 탑 및 피니쉬 시점을 연습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olf swing practice bat capable of informing a practitioner of a top and a finish time during a backswing and a follow swing.

또한, 다운스윙시 임팩트 시점을 연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습자에 따라 임팩트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olf swing practice bat that can not only present an impact point to a practitioner during a downswing but also control an impact strength according to a practitio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연습자의 다운스윙의 위치를 알려주는 알림수단 및 상기 알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습자의 백스윙 및 피니쉬스윙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 일측에는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olf swing training exercise device including a shaft, a head portion having one end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haft. In the bat, the head portion includes an informing means provid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for informing the position of the down swing of the practitioner, and a sensing mean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forming means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practitioner's backswing and finish swing And a vib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when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ing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또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수용공간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제 1 통체와 상기 중공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1 통체의 중공 하부에 설치되는 금속판과 상기 제 1 자성체에 자성결합되고, 다운스윙시 상기 제 1 자성체를 이탈하여 상기 금속판을 타격하는 제 1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알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제 2 통체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이동체와 상기 제 2 이동체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되,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제어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otification means may include a first hollow cylindrical body disposed on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first magnetic body installed on the hollow upper portion, a metal plate provided on a hollow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low cylindrical body, And a first moving body for releasing the first magnetic body in the downward swing and striking the metal plate, wherein the sensing means includes a hollow second cylind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notification means, And a sensor unit for sensing that the second moving body is moved upward from the hollow bottom of the second cylinder, wherein the sensing signal is a vibr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Do.

또한, 상기 제 1 자성체와 근접한 제 1 통체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 1 수용관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sensor further includes a second magnetic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ylinder close to the first magnetic body and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ceiving tube.

또한, 상기 제 2 자성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자성체의 삽입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a knob for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magnetic bod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또한, 상기 제 2 통체의 양단 내측에는 방음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oundproofing member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h ends of the second cylinder.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 2 통체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광센서와, 상기 제 1 광센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광센서와, 상기 제 2 이동체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광센서와 제 2 광센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경우 상기 진동수단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first optical 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a second optical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a second optical sensor provided on the second optical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by the vibration unit when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sequentially pas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상부에 설치되는 접촉센서와, 상기 제 2 이동체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접촉센서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진동수단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and a vibration sensor for detecting vibration of the second moving body when the second moving body moves upward from the hollow bottom of the second cylinder and contacts the contact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또한, 상기 헤드부의 타단에는 상기 헤드부의 하부로 하중이 집중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further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head further includes a weight which concentrates the loa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백스윙 및 팔로우스윙시 탑 및 피니쉬 시점을 연습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줌으로써, 소음이 심한 지역에서도 연습자에게 탑 및 피니쉬 시점을 확실하게 알려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용한 지역에서는 연습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연습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iming of the top and finish of the back swing and the follow swing is informed to the practitioner by vibration, not only can the practitioner know the timing of the top and finish even in a noisy are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ition for practicing in a more pleasant environment.

또한, 임팩트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인해 연습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임팩트 강도로 연습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impact strength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ition for the practitioner to practice with an impact strength suitable for him / herself.

도 1은 종래의 골프 연습용 배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센서유닛, 제어부 및 진동수단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백스윙의 탑 시점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임팩트 시점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스 스윙 연습용 배트의 팔로우스윙의 피니쉬 시점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golf practice ba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vibration means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ck swing of the golf swing practice bat at the top vie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n action of the golf swing practice bat at an impact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follow swing training bat at the finish time of the follow s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ead portion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센서유닛, 제어부 및 진동수단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ensor unit, a control unit, and a vibration means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1)는 샤프트(20), 헤드부(30) 및 그립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the golf swing training ba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ft 20, a head portion 30, and a grip portion 10.

샤프트(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습자가 후술하는 그립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 연습을 할 경우 하단부에 결합된 헤드부(30)가 스윙궤적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정강성을 가지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ft 20 is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en a practitioner holds a grip 10 to be described later and performs a swing exercise, the head portion 3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haft 20 moves along the swing locus And it is preferably made of wood or metal having a certain rigidity.

그립부(10)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서 샤프트(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내부는 연습자가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강성을 가지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외부는 마찰력이 있는 연성재질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연습자가 그립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윙 연습을 할 경우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1)가 연습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grip portion 10 is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an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haft 20, and the inside thereof is formed of a wood or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rigidity to provide a grip region in which the practitioner can stably grip,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frictional force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that when the practitioner grips the grip portion 10 and performs swing practice, the golf swing training bat 1 can be gripped stably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hands of the practitioner Structure.

또한, 그립부(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센서유닛(33c)으로부터 진동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11)과 진동수단(11)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2)가 내장된다.A vibrating means 11 for generating a vibration by receiv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from a sensor unit 33c to be described later and a battery 12 for applying power to the vibrating means 11 are incorporated in the grip portion 10 .

헤드부(30)는 일단이 샤프트(2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31), 몸체부(3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알림수단(32), 감지수단(33), 무게추(34) 및 캡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head portion 30 includes a body portion 31 having one end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haft 2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 informing means 32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31, (33), a weight (34), and a cap member (50).

몸체부(31)는 연습자의 스윙 연습시 하방으로 하중이 집중되도록 샤프트(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삽입공(31a)이 형성되어 알림수단(32), 감지수단(33) 및 무게추(34)가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몸체부(31)의 타단에는 몸체부(3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알림수단(32), 감지수단(33) 및 무게추(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부재(50)가 결합된다.The body portion 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o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aft 20 so as to concentrate the load downward when practicing the swing of the practitioner and has an insertion hole 31a A sensing means 33 and a weight 34 ar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body 31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31, A cap member 50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eight 32, the sensing means 33 and the weight 34 is combined.

또한, 몸체부(31)는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는 알림수단(32), 감지수단(33) 및 무게추(34)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강성을 가지는 목재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31 may be made of wood or metal having a certain rigidity so as to stably accommodate the notification means 32, the sensing means 33 and the weight 34, desirable.

알림수단(32)은 양단이 밀폐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서 몸체부(31)의 수용공간 상부와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 1 통체(32a), 제 1 통체(32a)의 중공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자성체(32d), 제 1 통체(32a)의 중공 하부에 설치되는 금속판(32c) 및 제 1 자성체(32d)에 자성결합되는 제 1 이동체(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notifying means 32 includes a first tubular body 32a which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portion 31 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seal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first moving body 32b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32d, a metal plate 32c provided in the hollow bottom of the first cylinder 32a and the first magnetic body 32d.

이러한 알림수단(32)은 연습자의 다운스윙 동작시 헤드부(30)가 임팩트 시점에 도달되면 제 1 자성체(32d)에 자성결합된 제 1 이동체(32b)가 제 1 자성체(32d)에서 이탈되어 중공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중공 하부에 설치된 금속판(32c)을 타격함으로써 충돌음을 발생시켜 연습자에게 정확한 임팩트 시점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When the head unit 30 reaches the point of impact at the time of the downward swing of the practitioner, the notifying means 32 releases the first moving body 32b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32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32d Mov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llow to the lower part and strikes the metal plate 32c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llow, thereby generating a collision sound, thereby providing the practitioner with an accurate impact time point.

이 때, 제 1 자성체(32d)는 연습자의 다운스윙 동작시 일정 회전력 이상이 전달되어 임팩트 시점에 도달되면 제 1 이동체(32b)가 이탈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자력의 세기를 가지는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32d uses a magnet having a strength of a proper magnetic force so that the first moving body 32b can be detached when a certain rotational force or more is transmitted during the downswing operation of the practitioner and reaches the impact point Do.

그리고, 제 1 이동체(32b)는 임팩트 시점을 지나 팔로우스윙으로 스윙동작이 전환될 경우에는 알림수단(32)의 하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이동됨으로써, 제 1 통체(32a)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제 1 통체(32a)의 중공 상부에 설치된 제 1 자성체(32d)에 재결합하게 된다.When the swinging operation is switched to the follow swing after the impact time point, the first moving body 32b is moved in a position such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notification means 32 is directed upward, And is recombined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32d provid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body 32a.

여기서, 제 1 이동체(32b)는 제 1 통체(32a)의 중공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통체(32a)의 중공보다 작은 직경의 볼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자성체(32d)에서 이탈될 경우 중공 하부에 설치된 금속판(32c)을 타격하여 충돌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moving body 32b is formed in a ball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hollow of the first cylinder 32a so as to smoothly move the hollow inside of the first cylinder 32a, and the first moving body 32b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32d I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generate a collision sound by hitting the metal plate 32c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감지수단(33)은 제 1 수용관(32)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단이 밀폐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서 몸체부(31)의 수용공간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 2 통체(33a), 제 2 통체(33a)의 중공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이동체(33b) 및 제 2 이동체(33b)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유닛(3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nsing means 33 includes a second cylindrical body 33a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tube 32 and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sealed at both ends and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space side of the body portion 31, A second moving body 33b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hollow of the two cylinder body 33a and a sensor unit 33c sens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ing body 33b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여기서, 센서유닛(33c)은 제 2 통체(33a)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광센서(33ca)와, 제 2 통체(33a)의 내측면 일측 중 제 1 광센서(33ca)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광센서(33cb)와,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 1 광센서(33ca)와 제 2 광센서(33c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경우 그립부(10)의 진동수단(11)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3c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3cd)는 몸체부(31)의 수용공간 중 알림수단(32)과 감지수단(33) 간에 형성된다.Here, the sensor unit 33c includes a first optical sensor 33c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33a and a second optical sensor 33ca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optical sensor 33ca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33a And a second optical sensor 33cb provided on the second optical sensor 33cb so that the second moving body 33b moves upward from the hollow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to sequentially move the first optical sensor 33ca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33cb And the controller 33cd outputs a vibration control signal to the vibration means 11 of the grip portion 10 when the body portion 31 passes through the body portion 31. The control portion 33cd includes a notification means 32 ) And the sensing means (33).

그리고, 제어부(33cd)는 반대로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2 광센서(33cb)와 제 1 광센서(33c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경우에는 그립부(10)의 진동수단(11)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When the second moving body 33b mov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of the second cylinder 33a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33cb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optical sensor 33ca,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is not output to the vibration means 11 of the grip portion 10. [

위와 같은 감지수단(33)은 연습자가 백스윙 및 팔로우스윙 동작시 하부가 상방으로 위치될 경우,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 1 광센서(33ca)와 제 2 광센서(33c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33cd)를 통해 그립부(10)의 진동수단(11)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진동수단(11)을 통해 진동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연습자에게 백스윙 및 팔로우스윙 동작시 탑 및 피니쉬 시점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sensing means 33 may move the second moving body 33b from the hollow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to the upper portion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ing means 33 is positioned above the backswing and the follow swing operation, 2 moving body 33b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optical sensor 33ca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33cb while moving from the hollow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to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controller 33cd, A vibration control signal is outputted to the vibration means 11 of the robot 10 and a vibr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vibration means 11 to provide the practitioner with the top and finish time points during the backswing and the follow swing operation.

그리고, 제 2 이동체(33b)는 제 2 통체(33a)의 중공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통체(33a)의 중공보다 작은 직경의 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oving body 33b is preferably formed in a ball shap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hollow of the second cylinder 33a so as to smoothly move the hollow inside of the second cylinder 33a.

또한, 제 2 통체(33a)의 내측 양단에는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내부를 이동하면서 제 2 통체(33a)의 양단을 타격하여 발생되는 충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음부재(40)가 형성되며, 이러한 방음부재(40)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oving body 33b moves in the hollow interior of the second cylinder 33a to prevent the impact noise generated by striking both ends of the second cylinder 33a at both inner ends of the second cylinder 33a. A member 40 is formed, and the soundproofing member 40 may be formed of a sponge material.

무게추(34)는 헤드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공(31a)과 대응되는 직경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1a)을 통해 감지수단(33)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3개가 설치된다.The weight 3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nsertion hole 3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30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31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ing means 33 through the insertion hole 31a. Are installed.

위와 같은 무게추(34)는 연습자가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1)를 파지하고 스윙 연습을 할 경우, 일정한 무게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헤드부(30) 하부에 하중이 집중되도록 하여 연습자의 근력강화 및 스윙궤적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practitioner grasps the golf swing training bat 1 and performs the swing practice, the weight 34 provides a certain we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30. Thus, the strength of the practitioner and the swing It plays a role to make the trajectory naturally.

캡부재는(50)는 몸체부(31)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공(31a)에 끼움결합되고, 몸체부(31) 하단부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는 결합핀에 의해 핀 결합되어 몸체부(31)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알림수단(32), 감지수단(33) 및 무게추(34)가 연습자의 스윙동작시 몸체부(31) 수용공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ap member 50 is engaged with the insertion hole 31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31 and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1 by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The warning means 32, the sensing means 33 and the weight 34,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space, ar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ody 31 during the swing operation of the practition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백스윙의 탑 시점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임팩트 시점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스 스윙 연습용 배트의 팔로우스윙의 피니쉬 시점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ck swing of the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the top of the golf swing. FIG. 6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at the finish time of the follow swing of the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습자는 통상의 골프채를 파지하는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그립부(10)를 파지한 상태로 스윙동작을 연습하게 된다.The practitioner practicing the swing operation while holding the grip portion 10 of the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gripping a normal golf club.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자가 백스윙 동작을 실행하면 헤드부(30)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탑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감지수단(33)의 제 2 통체(33a)의 하부도 상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 위치해 있던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 2 통체(33a)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 1 광센서(33ca)와 제 2 광센서(33c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4, when the practitioner performs the backswing operation, when the lower end of the head portion 30 is positioned upward and reaches the top pos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of the sensing means 33 And the second moving body 33b located at the hollow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moves upward from the hollow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1 light sensor 33ca and the second light sensor 33cb sequentially.

이 때, 제어부(33cd)는 제 2 이동체(33b)가 제 1 광센서(33ca)와 제 2 광센서(33c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면, 그립부(10)에 내설된 진동수단(11)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진동수단(11)은 진동 신호를 발생시켜 연습자에게 백스윙 동작시 탑 시점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ntroller 33cd senses that the second moving body 33b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photosensor 33ca and the second photosensor 33cb, the controller 33cd causes the vibrating means 11 , And the vibration means 11 generates a vibration signal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accurately present the top view point during the backswing opera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자의 백스윙 동작이 다운스윙 동작으로 전환되어 헤드부(30)의 하단부가 하방으로 위치하게 되면, 감지수단(33)의 제 2 통체(33a)의 하부도 하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제 2 통체(33a)의 중공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5, when the back swing motion of the practitioner is switched to the down swing opera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30 is positioned down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of the sensing means 33 is also moved downward And the second moving body 33b positioned at the hollow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moves downward from the hollow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그리고, 연습자의 다운스윙 동작이 임팩트 시점에 도달되어 헤드부(30)에 강한 회전력이 전달되면, 알림수단(32)의 제 1 자성체(32d)에 자성결합되어 있던 제 1 이동체(32b)가 제 1 자성체(32d)를 이탈하여 제 1 통체(32a)의 중공 상부에서 하부로 빠르게 이동하여 제 1 통체(32a)의 중공 하부에 형성된 금속판(32c)을 타격하여 충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When the downward swing motion of the practitioner reaches the impact point and a strong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head portion 30, the first moving body 32b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32d of the notification means 32 One magnetic body 32d moves rapidly from the hollow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cylindrical body 32a to strike the metal plate 32c formed in the hollow bottom of the first cylindrical body 32a to generate a collision sound.

이 때, 연습자는 제 1 이동체(32b)가 금속판(32c)을 강하게 타격하는 충돌음을 통해 정확한 임팩트 시점을 제시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practitioner receives the exact impact time through the impact sound in which the first moving body 32b strongly hits the metal plate 32c.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자의 다운스윙 동작이 임팩트 시점을 지나 팔로우스윙으로 전환되어 헤드부(30)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피니쉬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알림수단(32)의 제 1 통체(32a)의 하부도 상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다운스윙 동작시 제 1 통체(32a)의 중공 하부에 위치해 있던 제 1 이동체(32b)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제 1 통체(32a)의 상부에 설치된 제 1 자성체(32d)에 자성결합하게 된다.6, when the downward swing motion of the practitioner is switched to the follow swing after the impact time point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30 is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32a is also locat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32a so that the first moving body 32b located at the hollow lower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32a moves downward from the lower portion, And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32d provided in the first magnetic body 32d.

마찬가지로 감지수단(33)의 제 2 통체(33a)의 하부도 상방으로 위치하게 되어 다운스윙 동작시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 위치해 있던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 2 통체(33a)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 1 광센서(33ca)와 제 2 광센서(33c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Likewise,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of the sensing means 33 is also located above the second moving body 33b located in the hollow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33a during the downward swing operation,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photosensor 33ca and the second photosensor 33cb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ylinder 33a.

이 때, 제어부(33cd)는 제 2 이동체(33b)가 제 1 광센서(33ca)와 제 2 광센서(33c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면, 그립부(10)에 내설된 진동수단(11)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진동수단(11)은 진동을 발생시켜 연습자에게 팔로우스윙 동작시 피니쉬 시점을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controller 33cd senses that the second moving body 33b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photosensor 33ca and the second photosensor 33cb, the controller 33cd causes the vibrating means 11 And the vibration means 11 generates vibration,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accurately present the finishing point in the follow-swing oper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의 헤드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ead portion of a golf swing practice b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1)는 상기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알림수단(32)의 제 1 자성체(32d)와 근접한 제 1 통체(32a)의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밀착설치되는 제 2 자성체(32f)와 제 2 자성체(32f) 일측에서 연장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32fa) 및 체결부(32fa)의 타단에 형성되고 몸체부(31)의 외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노브(32fb)가 더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golf swing training bat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32d of the notification means 32, A coupling portion 32f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and being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32fa, And a knob 32fb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is further formed.

그리고, 제 2 자성체(32f)와 대응되는 몸체부(31) 내면 일측에는 제 2 자성체(32f)가 제 1 통체(32a)의 외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몸체부(31) 외주면 일측에는 공간부와 연통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31b)이 형성되어 체결부(32fa)가 나사체결됨으로써 노브(32fb)의 조작을 통해 제 2 자성체(32f)와 제 1 통체(32a)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 space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so that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rical body 32a, A fastening hole 31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mmunicated with the space portion and form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32fa is screwed to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nob 32fb.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linder 32a.

위와 같은 제 2 자성체(32f)는 제 1 자성체(32d)에 자성결합된 제 1 이동체(32b)에 자성결합력을 더 부가하는 기능을 하며, 노브(32fb)의 조작을 통해 제 2 자성체(32f)와 제 1 통체(32a)의 외주면과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제 2 자성체(32f)를 통해 제 1 이동체(32b)에 부가되는 자성결합력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운스윙 동작시 임팩트 시점에서 연습자가 원하는 임팩트 강도를 제 2 자성체(32f)의 자성결합력을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magnetic body 32f functions to additionally apply a magnetic coupling force to the first moving body 32b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32d and to move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nob 32fb.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coupling force applied to the first moving body 32b through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32a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ular body 32a, The desired impact strength can be set by adjusting the magnetic coupling forc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32f.

그리고, 감지수단(33)의 센서유닛(33c)이 상기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제 2 통체(33a)의 상단 내면과 방음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접촉센서(33cc)와, 제 2 이동체(33b)가 제 2 통체(33a)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방음부재에 충돌함과 동시에 접촉센서(33cc)로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그립부(10)의 진동수단(11)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3c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ensor 33c of the sensing means 33 is provided with a contact sensor 33cc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ylinder 33a and the soundproof member, The vibrating means 11 of the grip portion 10 vibrates when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sensor 33cc while the movable member 33b moves upward from the hollow bottom of the second cylinder 33a to collide with the soundproof member, And a control unit 33cd for outputting a signal.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외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will include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 :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10 : 그립부
11 : 진동수단 12 : 배터리
20 : 샤프트 30 : 헤드부
31 : 몸체부 31a : 삽입공
31b : 체결공 32 : 알림수단
32a : 제 1 통체 32b : 제 1 이동체
32c : 금속판 32d : 제 1 자성체
32f : 제 2 자성체 32fa : 체결부
32fb : 노브 33 : 감지수단
33a : 제 2 통체 33b : 제 2 이동체
33c : 센서유닛 33ca : 제 1 광센서
33cb : 제 2 광센서 33cc : 접촉센서
33cd : 제어부 34 : 무게추
40 : 방음부재 50 : 캡부재
51 : 결합핀
1: golf swing practice bat 10: grip part
11: Vibration means 12: Battery
20: shaft 30: head portion
31: Body part 31a: Insertion hole
31b: fastening hole 32: notifying means
32a: first cylinder 32b: first moving body
32c: metal plate 32d: first magnetic body
32f: second magnetic body 32fa: fastening portion
32fb: knob 33: sensing means
33a: second cylinder 33b: second moving body
33c: sensor unit 33ca: first light sensor
33cb: second optical sensor 33cc: contact sensor
33cd: control unit 34: weight weight
40: soundproofing member 50: cap member
51:

Claims (8)

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하는 제 1 수용관과,
상기 수용공간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연습자의 다운스윙의 위치를 알려주는 알림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연습자의 백스윙 및 피니쉬스윙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 일측에는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A golf swing practice bat comprising a shaft, a head portion having one end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grip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haft,
The head
A first receiving container for receiving the first container,
A lower swing arm provided at an inner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own swing of the practitioner Notification means;
And a sensing unit disposed under the notification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a back swing and a finish swing of the practitioner,
And a vib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when a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ing mean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상기 수용공간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제 1 통체와 상기 제 1 통체의 중공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자성체와 상기 제 1 통체의 중공 하부에 설치되는 금속판과 상기 제 1 자성체에 자성결합되고, 다운스윙시 상기 제 1 자성체를 이탈하여 상기 금속판을 타격하는 제 1 이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알림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제 2 통체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이동체와 상기 제 2 이동체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감지신호는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진동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tifying means comprises a hollow first cylinder provided on the upper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 first magnetic body provided on the hollow upp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a metal plate provided on the hollow lower portion of the first cylinder, And a first mov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and striking the metal plate in a downward swing,
Wherein the sensing means comprises a hollow second cylind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notification means, a second moving body movably installed in the hollow of the second cylinder,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sensor unit,
Wherein the sensing signal is a vibration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와 근접한 제 1 통체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통체와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magnetic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an upper end of the first cylinder adjacent to the first magnetic body and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cylind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성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자성체의 삽입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The method of claim 3,
And a knob for adjusting an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magnetic bod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체의 양단 내측에는 방음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oundproofing memb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ylind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 2 통체의 내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광센서와, 상기 제 1 광센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광센서와, 상기 제 2 이동체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광센서와 제 2 광센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경우 상기 진동수단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A first photosens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ylinder, a second photosensor provided on the top of the first photosensor, and a second photosensor mounted on the second photo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by the vibration unit when the first optical sensor and the second optical sensor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senso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상부에 설치되는 접촉센서와, 상기 제 2 이동체가 상기 제 2 통체의 중공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접촉센서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진동수단으로 진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A contact sensor provided on a hollow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by the vibration means when the second moving body moves upward from a hollow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cylinder and contacts the contact sensor, And a golf swing training b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타단에는 상기 헤드부의 하부로 하중이 집중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배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d further comprises a weight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head so that a load is concentra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head.
KR1020130085108A 2013-04-30 2013-07-19 Golf Swing Training Bat KR101513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3774 WO2014178604A1 (en) 2013-04-30 2014-04-29 Bat for practicing golf s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158 2013-04-30
KR1020130048158 2013-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91A true KR20140129991A (en) 2014-11-07
KR101513473B1 KR101513473B1 (en) 2015-04-20

Family

ID=52455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108A KR101513473B1 (en) 2013-04-30 2013-07-19 Golf Swing Training B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47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81U (en) * 2015-06-04 2016-12-14 김석헌 Golf-club for Swing Training
KR20160146114A (en)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베스컨 Golf Swing Training Assist Bat
JP2020011014A (en) * 2018-07-19 2020-01-23 有限会社内田販売システム Training tool for improving car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633B1 (en) 2017-08-23 2019-03-15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Swing speed variable smart swing exerciser and method for smart swing exerciser system
KR101960349B1 (en) * 2018-07-30 2019-03-20 김영득 Light emitting swing training apparatus
KR102159878B1 (en) 2019-02-18 2020-09-24 유준호 Apparatus for training golf swing
KR20200110732A (en) 2020-09-18 2020-09-25 유준호 Apparatus for training golf swing
WO2022163876A1 (en) * 2021-01-27 2022-08-04 주식회사 베스컨 Bat for user-customized golf swing pract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82B1 (en) * 2010-01-19 2010-09-15 (주)승진산업 A training golf bat within a weight which is possible to control top timing, impact timing and finish tim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281U (en) * 2015-06-04 2016-12-14 김석헌 Golf-club for Swing Training
KR20160146114A (en) 2015-06-11 2016-12-21 주식회사 베스컨 Golf Swing Training Assist Bat
JP2020011014A (en) * 2018-07-19 2020-01-23 有限会社内田販売システム Training tool for improving car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473B1 (en)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473B1 (en) Golf Swing Training Bat
KR100982482B1 (en) A training golf bat within a weight which is possible to control top timing, impact timing and finish timing
KR101691958B1 (en) Golf Swing Training Assist Bat
KR102504994B1 (en) A customizable swing practice bat
KR101646558B1 (en)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or Bat including apparatus measuring Lie Angle
JP5739942B2 (en) Swing assist device
KR100802231B1 (en) The golf club for backswing practice
WO2014178604A1 (en) Bat for practicing golf swing
KR100919936B1 (en) The training machine for the golf swing
JP2005348753A (en) Golf sw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612899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KR20150128226A (en) Golf swing training bat's sound equipment
KR100502544B1 (en) An Apparatus for Practicing Swing of Golf Club
JP4293868B2 (en) Practicing device for swing
JP2022076033A (en)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KR20130028320A (en) Golf club for exercising swing
KR101733841B1 (en) Golf swing trainer
US6712720B2 (en) Method for practicing golf shots
KR102458865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101513483B1 (en) Golf Swing Training Assist Device
KR200283862Y1 (en) A swing trainer for golf
KR20110010201U (en) Apparatus to practice swing of golf
JPH0631774U (en) Swing training equipment for ball games such as baseball, golf, and tennis
JP3125158U (en) Golf club
KR200473338Y1 (en) Golf Swing Practic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